KR101623017B1 - Double-side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ouble-side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017B1
KR101623017B1 KR1020140193590A KR20140193590A KR101623017B1 KR 101623017 B1 KR101623017 B1 KR 101623017B1 KR 1020140193590 A KR1020140193590 A KR 1020140193590A KR 20140193590 A KR20140193590 A KR 20140193590A KR 101623017 B1 KR101623017 B1 KR 10162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member
light
light source
disposed
scatte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대
우진태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0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Abstract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comprises: a light source unit; a first display unit arranged on an upper 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arranged on a lower 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a first reflection polarization member arrang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reflection polarization member arrang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light source unit comprises a light guide panel and a light sourc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anel. The light guide panel comprises a first scattering pattern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arranged on a lower surface. Arrangement d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scattering patterns increases from a light incident unit of the light guide panel to a light fac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scattering patterns have the same arrangement.

Description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Double-sided display device}[0001] Double-sided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패널을 표시부로 사용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sided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sided display apparatus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 a display unit.

최근 디스플레이의 적용예들이 다양화되면서, 양쪽에서 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백라이트를 가운데 두고, 그 상하면에 액정 표시 패널을 각각 배치시킨다. 이 경우 기본적으로 조명광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하게 되므로 광효율이 더욱 중요해진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s applications of displays have diversified,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viewing images from both side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lement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backlight is placed in a cent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cklight. In this case, since the illumination light is basical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light efficiency becomes more important.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반사편광필름을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반사편광필름은 일부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의 편광을 반사시킨 다음 이를 재활용함으로써, 휘도를 개선시킨다. 그러나, 반사된 빛이 백라이트 내부에서 반사되고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일부 흡수되거나 소멸되는 것을 피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광효율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광균일도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A method of using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s a measure for increasing the light efficiency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been proposed. The reflective polarizing film improves the brightness by selectively transmitting a part of the polarized light, reflecting a part of the polarized light, and then recycling it. However, it is difficult to avoid that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inside the backlight and partially absorbed or destroyed during re-en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light efficien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in order to improve the display quality of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대한민국 특허 제040721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092786호Korean Patent No. 040721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9278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 균일도 및 휘도가 개선된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uniformity and brightnes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표시부, 상기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 편광 부재,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 편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부면에 배치된 제1 산란 패턴과 하부면에 배치된 제2 산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대광부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은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below the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have a first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have the same arrange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표시부, 상기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 편광 부재,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 편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부면에 배치된 제1 산란 패턴과 하부면에 배치된 제2 산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중앙부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은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below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first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herein an arrangement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is substantially equal to an arrangement density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have the same arrangemen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표시부, 상기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 편광 부재,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 편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부면에 배치된 제1 산란 패턴과 하부면에 배치된 제2 산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일측으로 갈수록 커지며,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관계에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below the light source unit, And a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first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array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increases from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array density of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increas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Is a point-symmetrical relationship relative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양면 디스플레이의 광 균일도 및 휘도가 개선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light uniformity and brightness of a double-sided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반사 편광 부재를 채용한 단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광 이용 효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이용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도광판에서의 제1 산란 패턴 밀도에 관한 베지어 곡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n a single-sided display device employing a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 and 4 are schematic views compar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source unit of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ezier curve relating to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density in the light guide plate.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 other elements or layers,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a device being referred to as "directly on" refers to not intervening another device or layer in the middl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광원부(100), 광원부(10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표시부(210), 광원부(100)의 하부에 배치된 제2 표시부(220)를 포함한다.1,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00, a first display unit 210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a second display unit 22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

광원부(100)는 상부와 하부로 빛을 제공한다. 제1 표시부(210)와 제2 표시부(220)는 광원부(100)로부터 빛을 제공받아 화면을 표시한다. 제1 표시부(210)는 광원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표시부(220)는 광원부(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표시부(210), 광원부(100), 제2 표시부(220)는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100 provides light to upper and lower parts.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receiv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display a screen. The first display unit 21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The first display unit 210,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may be dispos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제1 표시부(210)와 제2 표시부(220)는 입사면과 표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사면은 광원부(100)에 대향하는 면이고, 표시면은 그 반대면이 된다. 제1 표시부(210)와 제2 표시부(220)는 각각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may include an incident surface and a display surface. The incident surface is a surface opposed to the light source portion 100, and the display surface is the opposite surface.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20 may each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제1 표시부(210)의 입사면 측에는 제1 입사 편광 부재(411)가, 표시면 측에는 제1 출사 편광 부재(4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제1 출사 편광 부재(412)는 모두 흡수형 편광 부재일 수 있다.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제1 출사 편광 부재(412)는 각각 편광판이나 편광 필름의 형태로 액정 표시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제1 출사 편광 부재(412) 중 적어도 하나는 액정 표시 패널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제1 출사 편광 부재(412) 중 적어도 하나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may be disposed on the incident surface side of the first display unit 210 and the first emergent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surface side. Both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first emitting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absorption type polarizing members.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first emitting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e form of a polarizing plate or a polarizing film, respectively. As anothe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first output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first emitting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grid polarizer.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의 투과축과 제1 출사 편광 부재(412)의 투과축은 평행하거나 수직일 수 있다. 양 편광 부재의 투과축이 상호 평행한지 수직인지 여부는 제1 표시부(210)의 구동 모드가 노멀리 블랙(normally black)인지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output polarizing member 412 may be parallel or perpendicular. Whether the transmission axes of the polarizing members are parallel to each other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ing mode of the first display unit 210 is normally black or normally white.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광원부(100) 사이에는 제1 반사 편광 부재(310)가 배치된다.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는 광원부(100)의 부재와 결합되어 있거나,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반사 편광 부재(310)가 주변의 다른 부재와 별도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A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light source 100.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a member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or may be dispo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may be separately provided separately from other members in the vicinity.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는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킨다.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는 예를 들어, X축의 굴절률은 같고 Y축의 굴절률은 다른 다수의 필름을 번갈아 적층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굴절률이 같은 X축이 투과축이 되어 빛을 투과시키고, 굴절률이 다른 Y축은 반사축이 되어 빛을 반사시킨다. 예를 들어, P파는 투과시키고, S파는 반사시킬 수 있다.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selectively reflects and transmits light. For example,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lms alternately laminated on one another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on the X axis and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on the Y axis. In this case, the X-axis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serves as a transmission axis to transmit light, and the Y-axis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serves as a reflection axis to reflect light. For example, P waves can be transmitted and S waves can be reflected.

다른 예로,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로서,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은 좌원 편광과 우원편광 중 어느 하나는 투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반사시킨다.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이 적용될 경우,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과 제1 입사 편광 부재(411) 사이에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변환하는 위상차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film may be applied.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film transmits either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reflects the other. When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film is applied, a retardation film for converting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may further be disposed between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film and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은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의 투과축과 일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광 이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disposing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so as to coincide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

제2 표시부(220)의 입사면 측에는 제2 입사 편광 부재(421)가, 표시면 측에는 제2 출사 편광 부재(4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입사 편광 부재(421)와 제2 출사 편광 부재(422)는 모두 흡수형 편광 부재일 수 있고, 각각 상술한 제1 입사 편광 부재(411)와 제1 출사 편광 부재(4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421 may be disposed on the incident surface side of the second display unit 220 and the second emergent polarizing member 422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surface side.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421 and the second output polarizing member 422 may be both absorptive polarizing members and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411 and the first emitting polarizing member 412 Can be the same.

제2 입사 편광 부재(421)와 광원부(100) 사이에는 제2 반사 편광 부재(320)가 배치된다.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는 상술한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A second reflective polarizer 32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421 and the light source 100.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described above.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은 제2 입사 편광 부재(421)의 투과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20 may be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421.

한편,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과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은 상호 수직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광 이용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20 are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by maximiz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도 4가 참조된다. 반사 편광 부재에 의한 광 효율은 이론적으로는 무한한 리사이클을 통해 거의 100%의 빛이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리사이클이 거듭될수록 광원부(1100) 내부에서 소실되는 광량도 상당히 증가한다. 이에,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장 유의미한 첫번째 리사이클에서의 휘도 상승 효과에 관해서 상대적인 비교를 하기로 한다. Reference is made to Figures 2 to 4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 light efficiency by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can theoretically be transmitted through nearly 100% of light through unlimited recycling. However, in reality, as the recycling is repeated, the amount of light lost inside the light source unit 1100 also increases considerably. 2 to 4, a comparative comparis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the luminance increasing effect in the first recycle which is most significa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2는 반사 편광 부재를 채용한 단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광 이용 효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in a single-sided display device employing a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도 2를 참조하면, 광원부(1100)에서 제공되는 빛은 비편광 빛으로서, P파와 S파를 모두 포함한다. 광원부(1100)에서 제공된 빛이 반사 편광 부재(1310)에 도달하면, 반사 편광 부재(1310)는 P파는 투과시키고, S파는 반사시킨다. 즉, 전체 도달한 빛의 50%를 1차로 투과시켜 입사 편광 부재(1411) 측으로 진입시킨다. 반사된 S파는 광원부(100) 내부에서 리사이클되면서 다시 P파와 S파를 포함하는 광으로 바뀌게 되고, 반사 편광 부재(1310)에 재도달하면 반사 편광 부재(1310)는 P파는 투과시키고, S파는 반사시킨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25%의 빛이 추가로 입사 편광 부재(1411) 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입사 편광 부재(1411)의 투과축은 반사 편광 부재(1310)의 투과축과 일치하므로, 반사 편광 부재(1310)를 통과한 빛은 흡수 손실 없이 입사 편광 부재(1411)를 통과할 수 있다. 반사 편광 부재(1310)가 없는 경우에는 입사 편광 부재(1411)가 50%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것을 감안하면, 반사 편광 부재(1310)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25%의 광량이 더 투과되어 광 효율을 75%의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light provided by the light source unit 1100 is non-polarized light including both a P wave and an S wave. When th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0 reaches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transmits the P wave and reflects the S wave. That is, 50% of the total light reaches the incident polarizing member 1411 side firstly. The reflected S wave is recycled inside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is converted into light including the P wave and the S wave again. When the reflected S wave reaches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again, the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1310 transmits the P wave, . Therefore, theoretically, 25% of the light can further enter the incident-side polarizing member 1411 side. Since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incident polarizing member 1411 coincides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can pass through the incident polarizing member 1411 without absorption loss. Considering that the incident polarizing member 1411 transmits only 50% of light in the absence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the amount of light of 25% is further transmitted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1310, %. ≪ / RTI >

도 3 및 도 4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이용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3 and 4 are schematic views comparing the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double-sided display device.

도 3은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와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을 일치시켜 배치한 예이고, 도 4는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와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을 수직으로 배치한 예이다.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310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er 32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310 and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er 320, Are arranged vertically.

도 3을 참조하면, 양면 디스플레이에서 광원부(1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빛을 방출하므로, 광원부(100)에서 상측으로 방출되는 빛은 전체 방출량 대비 50%이다. 이중 절반인 25%는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를 통과하고, 나머지 25%는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광원부(100)로 되돌아와 리사이클 되어 상측으로 비편광 빛을 제공하고, 그 절반인 12.5%가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1 표시부(210)는 37.5%의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double-sided display, the light source unit 100 emits light upward and downward, so that light emitted upwar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50% of the total emission amount. 25%, which is the half, passes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member 310, and the remaining 25% is reflected. The reflected light returns to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is recycled to provide unpolarized light upward, and half of the light, which is 12.5%, passes through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member 310. Accordingly, the first display unit 210 can receive light of 37.5%.

마찬가지로, 광원부(100)에서 하측으로 방출된 50%의 빛 중 절반인 25%는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를 통과하고, 나머지는 반사되어 광원부(100)에서 리사이틀되고, 이후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로 재진입할 때, 절반인 12.5%가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2 표시부(220)는 37.5%의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Likewise, 25% of the 50% light emitted downward from the light source 100 passes through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er 320 and the rest is reflected and recycled in the light source 100, When reentering the member 320, half of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at 12.5%. Accordingly, the second display unit 220 can receive light of 37.5%.

한편,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에서 반사된 빛은 광원부(100)를 통과할 수 있다. 광원부(100)가 80%의 투과율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에서 반사된 빛의 80%가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도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로 곧바로 진입하지 못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이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에 수직인 경우에는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이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과 일치하므로 제2 반사 편광 부재(320)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표시부(220)에 제공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이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과 일치하므로 제1 반사 편광 부재(310)를 그대로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210)에 제공되는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휘도가 개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may pass through the light source unit 100. Assuming that the light source unit 100 has a transmittance of 80%, 80%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member 310 can enter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er member 320. He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coincides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does not directly enter the transmission axis. 4, when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20 is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10 Since the polarized light is coincident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can be transmitted as it is. Therefore,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220 can be increased. Similarly, since the polarized ligh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coincides with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can be transmitted as it is. Accordingly,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unit 210 can be increased. Thus, the brightness of the double-side display device 10 can be improv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원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원부(100)는 도광판(110)과 도광판(110)의 적어도 일측 사이드에 배치된 광원(120)을 포함한다. 또한, 광원부(100)는 도광판(110)의 상측에 배치된 제1 광학 시트(130), 도광판(110)의 하측에 배치된 제2 광학 시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source unit of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light source unit 100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110 and a light source 120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optical sheet 13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nd a second optical sheet 14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제1 광학 시트(130)와 제2 광학 시트(140)는 각각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광 차폐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 시트(130)와 제2 광학 시트(140)는 복수의 광변조 기능을 갖는 필름들이 복합화된 복합 시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광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가 복합화된 복합 광학 시트가 적용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학 시트(130)와 제2 광학 시트(140)는 제1 기재(131, 141), 제1 기재(131, 141)에 대향하는 제2 기재(134, 144), 제1 기재(131, 141)의 일면에 배치된 광확산층(132, 142), 제2 기재(134, 144)의 타면에 배치되고, 광확산층(132, 14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결합층(133, 143), 제2 기재(134, 144)의 일면에 배치된 프리즘층(135, 145)을 포함하는 복합 광학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한 광학 시트의 조합과 배치는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The first optical sheet 130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140 may include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 micro lens sheet, a lenticular lens sheet, a light shielding sheet, and the like. Further, the first optical sheet 130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140 may be applied to a composite sheet in which films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modulation functions are combined. In the drawing, a composite optical sheet in which a light diffusion sheet and a prism sheet are combined is exemplified. Specifically, the first optical sheet 130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140 include first substrates 131 and 141, second substrates 134 and 144 opposed to the first substrates 131 and 141, The light diffusion layers 132 and 142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131 and 141 and the bonding layer 133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material 134 and 144 and the light diffusion layers 132 and 142 at least partially , 143, and a prism layer 135, 145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material 134, 14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the various optical sheets may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광원(120)은 예컨대, LED(Light Eimitting Diode),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20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HCFL), or an external electro fluorescent lamp (EEFL).

도광판(110)은 광원(12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120)으로부터 도광판(110)의 일측면(입광부)에 입사된 빛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판(110)의 타측면(대광부)으로 전달된다. 도광판(110)의 상부면과 제1 산란 패턴(111)이, 도광판(110)의 하부면에는 제2 산란 패턴(112)이 배치된다.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은 전반사되어 전달되는 빛의 진행 경로를 변경하여 도광판(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ight guide plate 110 serves to guide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120. Light incident on one side (light incoming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from the light source 120 is transmitted to the other side (large light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through total internal reflection. A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change the propagation path of the light ref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이하,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 산란 패턴(111)은 아일랜드 타입으로 배열되며, 입광부로부터 대광부로 갈수록 촘촘한 배열을 갖는다. 즉, 입광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제1 산란 패턴(111)의 밀도가 커진다. 제2 산란 패턴(112) 또한 제1 산란 패턴(111)과 동일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산란 패턴(112)의 형상은 토트 패턴, 프리즘 패턴, 사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아울러, 제1 산란 패턴(111) 및 제2 산란 패턴(112)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밀도가 촘촘해 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즉 대광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인접한 산란 패턴과의 간격은 좁아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산란 패턴(111) 및 제2 산란 패턴(112)이 동일한 크기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cattering patterns 111 are arranged in an island shape, and have a finer arrangement from the light-incoming portion to the light-shielding portion. That is, the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incident portion increases.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may also have the same arrangement as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scattering patterns 112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tote pattern, a prism pattern, and a square. In addition,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may have the same siz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siz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dense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light-shielding portion, and the distance from the relatively adjacent scattering pattern can be narrowe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have the same size is illustrated.

이러한 제1 및 제2 산란 패턴(112)의 밀도, 및 위치에 따른 패턴의 개수는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d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scattering patterns 112 and the number of patterns depending on the positions can be determined by Bezier curves.

도 7은 도광판에서의 제1 산란 패턴 밀도에 관한 베지어 곡선이다.7 is a Bezier curve relating to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density in the light guide plate.

도 7을 참조하면, X축은 도광판(110)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변위를 나타내고, Y축은 해당 좌표에서의 제1 산란 패턴(111)의 상대적인 개수를 나타낸다. 베지어 곡선은 입광부(X좌표: -90) 패턴 개수 0의 위치에 시점(B0)이 정의되고, 대광부(X좌표: 90) 패턴 개수 100의 위치에 종점(B2)이 정의된다. 조절점 B1은 그래프 평면상 우하 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점 B1의 X축 좌표는 0~75 사이이고, Y축 좌표는 20~50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 내에서 결정된 산란 패턴의 밀도는 도광판(110) 내에서 전반사되는 빛을 상측으로 균일하게 산란시키는데 유리하다. Referring to FIG. 7, the X-axis represents a relativ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relative number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s 111 in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A Bezier curve defines a point B0 at a position of a light-incoming portion (X coordinate: -90) pattern number 0 and an end point B2 at a position of a light number portion (X coordinate: 90) The control point B1 can be located in the lower right quadrant of the graph plane. For example, the X-axis coordinate of the control point B1 may be between 0 and 75, and the Y-axis coordinate may be selected between 20 and 50. The density of the scattering pattern determined within the range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uniformly scattering the light totally reflected in the light guide plate 110 upward.

일반적으로 광원(120)에 인접한 입광부가 대광부보다 광량이 풍부하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배열함으로써, 입광부 부근은 광추출을 억제하고, 대광부 부근은 광추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 제공이 가능하다. In general, the light-incoming portion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120 is richer in light quantity than the large-light portion. Thus, by arranging as described above, light extraction can be suppressed in the vicinity of the light-incident portion, and light extraction can be activated in the vicinity of the light-receiving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form overall light.

한편, 광원(120)이 도광판(110)의 일측면에만 배치되는 경우 도광판(110)의 타측면에는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광반사테이프, 광반사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도광판(110) 대광부의 제1 및 제2 산란 패턴(111, 112)은 상기 베지어 함수에 따른 배치를 따르지 않고, 소정의 영역에는 상기 베지어 함수에 역행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고 상부 커버 혹은 상부 프레임에 의하여 가려지는 영역일 수 있으며, 10mm이하의 폭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ight source 120 is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 reflec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The reflection plate may be at least one of a light reflection tape and a light reflection print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cattering patterns 111 and 112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do not follow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Bézier function, but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a manner reverse to the Bezier function. The predetermined area may not be displayed but may be a region covered by the upper cover or the upper frame, and may be a region having a width of 10 mm or les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도광판(110_1)의 양측에 광원(120)이 모두 배치되는 경우, 중앙부가 가장 광량이 적으므로,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은 입광부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촘촘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은 도광판(110_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선대칭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의 밀도에 관하여, 도광판(110_1)의 일측으로부터 중앙부까지의 배열 및 도광판(110_1)의 타측으로부터 중앙부까지의 배열이 각각 베지어 곡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8, when all of the light sources 1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1, the first ligh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light scattering pattern 112 are emitted from the light- The closer to the center, the narrower the array can be.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may be in a line symmetry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1. Regarding the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in this embodiment, the arrangement from the one sid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1 and the arrangement from the other side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1 are Can be determined by a Bezier curv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1 산란 패턴과 제2 산란 패턴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in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실시예는 도광판(110_2)의 양측에 광원(120)이 모두 배치되는 경우 제1 산란 패턴(111)과 제2 산란 패턴(112)의 배열이 점대칭 관계에 있을 수 있음을 예시한다.The embodiment of FIG. 9 illustrates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may be in a point symmetry relationship when both light sources 1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2.

본 실시예는 제1 산란 패턴(111)의 배열은 도 5와 동일하지만, 제2 산란 패턴(112)은 제1 산란 패턴(111)에 대해 도광판(110_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관계에 있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제1 산란 패턴(111)은 도광판(110_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밀도가 더 커지지만, 제2 산란 패턴(112)은 도광판(110_2)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갈수록 밀도가 더 커진다. 이와 같은 대칭적인 배열을 통해서도 도광판의 상측과 하측의 출사광 균일도를 제어할 수 있다. 5,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is point-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2 5 differs from the embodiment of Fig. That is, although the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increases from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2 toward the other side,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becomes denser toward the one si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_2. Through such a symmetrical arrangement, the outgoing light uniformit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ght guide plate can be controlled.

상술한 도 6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배열 밀도차를 갖는 제1 산란 패턴(111)의 배열 방향(도광판(110)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도광판(110)의 입광부로부터 대광부를 향하는 방향)은 제1 반사 편광 부재(310)의 투과축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아울러, 밀도차를 갖는 제2 산란 패턴(112)의 배열 방향은 제2 반사 편광 부재(320)의 투과축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In the embodiments of Figs. 6 to 9 described above,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111 having the array density difference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the direction across the light guide plate 110, that is, the direction from the light incoming portion to the light- May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10. In additi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112 having the density difference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32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100: 광원부
210: 제1 표시부
220: 제2 표시부
310: 제1 반사 편광 부재
320: 제2 반사 편광 부재
411: 제1 입사 편광 부재
412: 제1 출사 편광 부재
421: 제2 입사 편광 부재
422: 제2 출사 편광 부재
10: Double-sided display device
100:
210: first display section
220: second display section
310: a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320: a second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411: a first incidence polarizing member
412: a first outgoing polarizing member
421: a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422: a second outgoing polarization member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1 표시부;
상기 광원부의 하측에 배치된 제2 표시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반사 편광 부재; 및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반사 편광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부면에 배치된 제1 산란 패턴과 하부면에 배치된 제2 산란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타측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배열 밀도는 상기 도광판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광판의 일측으로 갈수록 커지며,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관계에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A light source;
A first display unit dispos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below the light source unit;
A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And a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display,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light guide plate includes a first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econd scattering pattern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 array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increases from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array density of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increas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toward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Wherein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are point-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point of the light guide plat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란 패턴 및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밀도는 베지어 곡선에 의해 결정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nsity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and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is determined by a Bezier curv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과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은 수직한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5 항에 있어서,
배열 밀도차를 갖는 상기 제1 산란 패턴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과 동일한 방향이고,
배열 밀도차를 갖는 상기 제2 산란 패턴의 배열 방향은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과 수직한 방향인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scattering pattern having the array density difference is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on polarizing member,
Where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cattering pattern having an array density difference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와 상기 제1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입사 편광 부재, 및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와 상기 제2 표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입사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ive polarizer and the first display,
And a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과 상기 제1 입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은 상호 일치하고,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과 상기 제2 입사 편광 부재의 투과축은 상호 일치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nd a transmission axis of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coincide with each other,
Wherein a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nd a transmission axis of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coincide with each oth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는 상기 제1 입사 편광 부재 또는 상기 광원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는 상기 제2 입사 편광 부재 또는 상기 광원부와 결합되어 있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incident polarizing member or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incident polarizing member or the light source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제1 반사 편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제2 반사 편광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2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ight source por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sheet disposed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first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And a second optical sheet disposed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second reflective polarizing memb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와 제2 광학 시트는 각각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마이크로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광 차폐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optical sheet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each include at least one of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 micro lens sheet, a lenticular lens sheet, and a light shielding shee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와 상기 제2 광학 시트는 각각
제1 기재,
상기 제1 기재에 대향하는 제2 기재,
상기 제1 기재의 일면에 배치된 광확산층,
상기 제2 기재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확산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결합층, 및
상기 제2 기재의 일면에 배치된 프리즘층을 포함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optical sheet and the second optical sheet are
The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light diffusion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A bonding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the bonding layer at least partially bonding the light-diffusing layer, and
And a prism lay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KR1020140193590A 2014-12-30 2014-12-30 Double-sided display device KR101623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590A KR101623017B1 (en) 2014-12-30 2014-12-30 Double-side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590A KR101623017B1 (en) 2014-12-30 2014-12-30 Double-side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017B1 true KR101623017B1 (en) 2016-05-20

Family

ID=5610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590A KR101623017B1 (en) 2014-12-30 2014-12-30 Double-sided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0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62B1 (en) * 2002-10-24 2007-10-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2507118A (en) * 2008-10-27 2012-03-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Semi-specular hollow backlight with gradient extra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62B1 (en) * 2002-10-24 2007-10-1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2507118A (en) * 2008-10-27 2012-03-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Semi-specular hollow backlight with gradient extr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6328B (en) Illumination device, pictur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iquid crystal television, liquid crystal monitor and liquid crystal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US7817225B2 (en) Polarizer with first and second patterns of wires where the first pattern of wires is positioned repeatedly and randomly among the second pattern of wires
TWI566009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742300B2 (en) Display device
WO2016107084A1 (en) Optical module and reflective display device
JP2010123464A (en) Lighting system,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407601A (en) Surface light source emitt light from both surfaces, and double side display using the same
US20080186738A1 (en) Polarized light guide plate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77117B2 (en) Optical lens module and backlight unit
JP2010262813A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40194B1 (en) Display panel unit and display device
US10955602B2 (en) Reflective polarizer module having light recycling improving sheet, and back light unit having same
JP35182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059498A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152372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2586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23017B1 (en) Double-sided display device
KR100883659B1 (en) Illuminating apparatus providing polarized light
US20110037923A1 (en) Light condensing film,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22546678A (en) display system
US20070279739A1 (en) Polarization converting light guide pane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9271379A (en) Transmission type display device
JP64488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37398B1 (en) Polarization separating film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JP4325631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