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008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008B1
KR101623008B1 KR1020090101386A KR20090101386A KR101623008B1 KR 101623008 B1 KR101623008 B1 KR 101623008B1 KR 1020090101386 A KR1020090101386 A KR 1020090101386A KR 20090101386 A KR20090101386 A KR 20090101386A KR 101623008 B1 KR101623008 B1 KR 10162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ayer
touch screen
proximity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614A (ko
Inventor
곽행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008B1/ko
Priority to EP10013701.7A priority patent/EP2315109B1/en
Priority to US12/907,809 priority patent/US20110096024A1/en
Publication of KR2011004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다른 이동 단말기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레이어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레이어; 및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는 물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정전식 터치스크린, 근접센서레이어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는 물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는 물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레이어; 및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레이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로 입력되었던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레이어 내지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및 상기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입력레이와와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의 사이에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레이어 내지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및 상기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레이어; 및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레이어 내지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촉 및 상기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레이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로 입력되었던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는 물론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도 정전식 터치스크린에서 감지할 수 있다.
둘째, 표시레이어에서 발생된 노이즈가 터치입력레이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에 대한 처리와 근접 신호에 대한 처리를 하나의 컨트롤러로 수행할 수 있다.
넷째, 근접센서레이어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 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151)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a와 같이 물리적으로 표시패널들이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가 힌지나 슬라이드로 체결된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서, 제 1디스플레이부(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는 어느 한 바디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부(또는 보조 디스플레이부, 외부 디스플레이부)는 다른 바디의 내부면이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로써, 이동 단말기 바디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2a와 같이 표시패널 내에서 논리적으로 분할된 제1 디스플레이부와, 제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 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4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 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4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 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I-I방향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에 근접센서레이어(PS)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는 측면에서, 출력장치인 동시에 입력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환경인 이동 단말기(100)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관찰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1개의 레이어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부(151)는 복수 개의 레이어가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표시레이어(L), 터치입력레이어(TX), 터치출력레이어(RX), 보 호레이어(W) 및 근접센서레이어(PS)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레이어(L)는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원활한 터치입력을 받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상측에는 터치입력과 관련된 레이어가 위치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표시레이어(L)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표시레이어(L)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레이어(L)에 표시된 화상은, 그 위에 있는 다른 레이어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표시레이어(L)와 사용자의 시각 사이에 다른 레이어들이 위치하지만, 다른 레이어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가늘거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레이어(L)에 표시된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표시레이어(L)는 LCD, 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입력레이어(TX)와 터치출력레이어(RX)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에서 전류의 입력단 및 출력단으로 작용하는 레이어이다. 터치스크린은, 작동원리에 따라서, 터치 압력에 의하여 작용하는 저항막식, 적외선의 차단여부를 감지하여 작용하는 적외선식, 초음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초음파식, 압력에 의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장력측정식, 압력에 민감한 수정 크리스탈을 사용하는 피에조식,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용하는 정전용량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의 종류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은 터치입력레이어(TX)로 전류가 인가되고, 인가된 전류 는 터치출력레이어(RX)를 통하여 출력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하면, 손가락과의 사이에서 전기장이 형성된다. 전기장의 형성은 정전용량의 변화로 감지될 수 있으며,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의 컨트롤러(도 7의 C)를 거치며 좌표값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은 상대적으로 인식율이 좋고, 빛 투과율이 높으며, 멀티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여 점차적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입력레이어(TX)와 터치출력레이어(RX)는 터치입력레이어(TX)가 하측에 위치하고 터치출력레이어(RX)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레이어(L)는 작동 과정에서 노이즈를 발생할 수 있다. 표시레이어(L)를 최하단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의 다른 구성의 작동에 노이즈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출력레이어(RX)는 터치입력레이어(TX) 보다 멀리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입력레이어(TX)는 전류가 인가되는 입력단이고, 터치출력레이어(RX)는 터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이다. 따라서 출력신호가 표시레이어(L)에서 발생된 노이즈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터치출력레이어(RX)를 표시레이어(L)로부터 더 멀리 배치할 수 있다.
보호레이어(W)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보호레이어(W)는 강화유리 등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각 구성을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한다.
근접센서레이어(PS)는 근접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근접센서레이어(PS)는 터치입력레이어(TX)와 터치출력레이어(RX)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근접 센서레이어(PS)가 터치입력레이어(TX)와 터치출력레이어(RX)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표시레이어(L)에서 발생된 노이즈를 차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접센서레이어(PS)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는 각각 디스플레이부(151)의 상, 하, 좌, 우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 근접센서레이어(PS)는 평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각 근접센서레이어(PS)가 터치출력레이어(RX) 보다 하측의 레이어에 마련되므로, 표시레이어(L)와 터치출력레이어(RX)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레이어(PS)가 평판형태로 마련되므로, 표시레이어(L)에서 발생되어 터치출력레이어(RX) 방향으로 전파되던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레이어(L)에서 발생된 노이지를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레이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이즈를 차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근접센서레이어(PS)가 디스플레이부(151)의 4방향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향하여 근접하는 도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각 근접센서레이어(PS)에서 인식된 정전용량의 변화는 컨트롤러(도 7의 C)에서 좌표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레이어(PS)의 작동도 원칙적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과 동일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므로, 근접센서레이어(PS)에서 감지된 신호를 좌표값으로 산출해내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레이어(PS)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근접터치센서와 컨트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는 상측에 터치출력레이어(RX)가 위치하며, 그 아래에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가 위치하고, 그 아래에 터치입력레이어(PX)가 위치할 수 있다.
터치출력레이서(RX)에서 연장된 터치출력레이어 인출선(RXL), 터치입력레이어(TX)에서 연장된 터치입력레이어 인입선(TXL),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서(PS1 내지 PS4)에서 연장된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 인출선(PS1L 내지 PS4L)은 컨트롤러(C)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정전신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터치가 된 지점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C)는 제 1 내지 제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를 통하여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등 도체가 근접된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입력레이어(TX) 및 터치출력레이어(RX)의 작동은 물론,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의 작동이 모두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이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단일한 컨트롤러(C) 에 의하여 두 장치를 제어하고, 두 장치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른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생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일정한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손가락 등 도체를 제 1위치(P1)에서 제 2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위치(P1)에서 제 2위치(P2)로 이동하면, 근접센서레이어(PS)는 그 근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는, 터치스크린의 터치입력레이어(TX) 및 터치출력레이어(RX) 보다 민감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터치입력레이어(TX)와 터치출력레이어(RX)의 경우에는, 민감도를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 노이즈가 발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신호를 원활하게 센싱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여부를 센싱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와 근접된 상공에서의 손가락과 같은 도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장치이므로 민감도를 다소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 1위치(P1)에서 제 2위치(P2)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없이 이동하면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는 각각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는 컨트롤러(도 7의 C)에 입력되어 위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근접터치센서와 컨트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인 디스플레이부(151)의 네 모서리를 따라 근접센서레이어(PS)가 위치할 수 있다.
근접센서레이어(PS)는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가 디스플레이부(151)와 겹치지 않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도, 터치입력레이어(TX) 및 터치출력레이어(RX)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제 1 내지 4근접센서레이어(PS1 내지 PS4)를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도, 근접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됨에도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생산 단가를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근접센서레이어가 터치입력레이와 터치출력레이어의 상이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근접센서레이어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레이어와의 터치출력레이어의 사이라면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 및 디스플레이 화면의 도면이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근접터치센서와 컨트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I-I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이동 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이동 단말기의 근접터치센서와 컨트롤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5)

  1.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레이어; 및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레이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로 입력되었던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레이어 내지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및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복수개의 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입력레이어와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의 사이에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 및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및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복수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접촉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레이어; 및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레이어 내지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로부터 상기 접촉 신호 내지 상기 근접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및 근접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레이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로 입력되었던 제어신호가 출력되는 터치출력레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터치입력레이어와 상기 터치출력레이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레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출력레이어가 상기 터치입력레이어 보다 상기 표시레이어로부터 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상기 복수개의 레이어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적어도 하나의 평판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레이어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101386A 2009-10-23 2009-10-23 이동 단말기 KR10162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86A KR101623008B1 (ko) 2009-10-23 2009-10-23 이동 단말기
EP10013701.7A EP2315109B1 (en) 2009-10-23 2010-10-15 Mobile terminal
US12/907,809 US20110096024A1 (en) 2009-10-23 2010-10-19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86A KR101623008B1 (ko) 2009-10-23 2009-10-2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614A KR20110044614A (ko) 2011-04-29
KR101623008B1 true KR101623008B1 (ko) 2016-05-31

Family

ID=4338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386A KR101623008B1 (ko) 2009-10-23 2009-10-2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96024A1 (ko)
EP (1) EP2315109B1 (ko)
KR (1) KR101623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7931B (zh) * 2009-11-09 2016-01-27 罗姆股份有限公司 带触摸传感器的显示器、控制电路和使用它的电子设备
DE102011015806A1 (de) * 2011-04-01 2012-10-04 Ident Technology Ag Displayeinrichtung
US9569003B2 (en) 2010-09-30 2017-02-14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screen
US9043732B2 (en) * 2010-10-21 2015-05-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GB201020282D0 (en) * 2010-11-30 2011-01-12 Dev Ltd An improved inpu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8390361B2 (en) 2010-12-28 2013-03-05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Capacitive to voltage sensing circuit
EP2587347A3 (en) * 2011-10-25 2016-01-20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screen
US8872794B2 (en) 2011-10-28 2014-10-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3079267A1 (en) * 2011-11-28 2013-06-0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Capacitive proximity sensing in a handheld device
TWI464641B (zh) 2012-04-13 2014-12-11 Au Optronics Corp 具觸控與近接感測功能的顯示器及具感應電極的顯示器結構
JP2013228797A (ja) * 2012-04-24 2013-11-07 Ricoh Co Ltd 画像制御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74061B1 (ko) 2012-05-04 2014-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근접/모션 및 터치 감지 센서와 그를 구비한 표시장치
US9619036B2 (en) * 2012-05-11 2017-04-1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user experience
KR101925485B1 (ko) * 2012-06-15 201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US9236861B2 (en) 2012-07-02 2016-01-12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Capacitive proximity sensor with enabled touch detection
US9176597B2 (en) 2012-07-02 2015-11-03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Directional capacitive proximity sensor with bootstrapping
US9164629B2 (en) 2012-08-06 2015-10-20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Touch screen panel with slide feature
US9280235B2 (en) * 2012-09-13 2016-03-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18380B1 (ko) * 2012-11-19 2019-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9323353B1 (en) * 2013-01-15 2016-04-26 American Megatrends, Inc. Capacitance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 three-dimensional location of an object
US9323380B2 (en) 2013-01-16 2016-04-2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three-dimensional gesture-detection
WO2014112996A1 (en) 2013-01-16 2014-07-24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sensitive display and gesture-detection
US9335922B2 (en) 2013-01-16 2016-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ree-dimensional gesture detecting display
JP6179412B2 (ja) * 2013-01-31 2017-08-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入力表示装置
US10394434B2 (en) * 2013-02-22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JP6042753B2 (ja) * 2013-03-18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及び操作ロック解除方法
TWI498802B (zh) * 2013-09-10 2015-09-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使用在觸控裝置中的控制器以及控制方法
KR20150129419A (ko) * 2014-05-12 2015-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9454272B2 (en) 2014-05-22 2016-09-27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Touch screen for stylus emitting wireless signals
KR102251356B1 (ko) * 2014-06-20 202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장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340480B1 (ko) * 2015-06-04 2021-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7011001A1 (en) * 2015-07-15 2017-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ssure sensitive stylus
TWI602101B (zh) 2016-11-11 2017-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有壓力感測器的觸控顯示面板
US10754465B2 (en) * 2017-02-15 2020-08-2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O2019163503A1 (ja) * 2018-02-22 2019-08-2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308693A1 (en) * 2021-03-29 2022-09-29 Innolux Corporation Imag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292A (ja) 2006-07-24 2008-02-07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7071A (en) * 1990-10-31 1992-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ylus sensing system
EP1605342A3 (en) * 2004-06-10 2010-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0480972C (zh) * 2004-06-29 2009-04-22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图形用户界面的多层显示
US7538760B2 (en) * 2006-03-30 2009-05-26 Apple Inc.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GB2439098A (en) * 2006-06-12 2007-12-19 Sharp Kk Image sensor and display
US7903094B2 (en) * 2006-06-23 2011-03-08 Wacom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input method, and sensing device
US8860683B2 (en) * 2007-04-05 2014-10-1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button activation sensing and proximity sensing
JP4925929B2 (ja) * 2007-06-07 2012-05-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US8432365B2 (en) * 2007-08-30 2013-04-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for three-dimensional touchscreen
KR101234968B1 (ko) * 2007-11-19 2013-02-20 서크 코퍼레이션 디스플레이와 결합되며, 근접 및 터치 감지 성능을 가진 터치패드
US20090140987A1 (en) * 2007-12-04 2009-06-04 Kai-Ti Yang Duplex touch panel
KR101237640B1 (ko) * 2008-01-29 2013-02-27 (주)멜파스 기생 캐패시턴스 방지 구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
US20090194341A1 (en) * 2008-02-05 2009-08-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resistive touch input component as a proximity sensor
KR101495164B1 (ko) * 2008-04-10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화면 처리 방법
US8508488B2 (en) * 2008-06-12 2013-08-13 Samsung Sdi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function
US8760431B2 (en) * 2008-07-17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8289286B2 (en) * 2008-12-19 2012-10-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Zooming keyboard/keypad
ES2569120T3 (es) * 2009-01-14 2016-05-06 Perceptive Pixel, Inc.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sensible al tacto
US8363018B2 (en) * 2009-03-19 2013-01-29 Au Op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8466934B2 (en) * 2009-06-29 2013-06-18 Min Liang Tan Touchscreen interface
US8730199B2 (en) * 2009-09-04 2014-05-20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control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292A (ja) 2006-07-24 2008-02-07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6024A1 (en) 2011-04-28
EP2315109B1 (en) 2016-08-24
EP2315109A2 (en) 2011-04-27
KR20110044614A (ko) 2011-04-29
EP2315109A3 (en)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00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519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2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36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5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5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37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48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707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70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알림 방법
KR10151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19874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100550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96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401035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5002544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0948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95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01276B1 (ko) 단말기에서의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201000557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6896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9262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7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22780A (ko) 이동 단말기
KR10187374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