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67B1 - 전기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667B1
KR101622667B1 KR1020140153016A KR20140153016A KR101622667B1 KR 101622667 B1 KR101622667 B1 KR 101622667B1 KR 1020140153016 A KR1020140153016 A KR 1020140153016A KR 20140153016 A KR20140153016 A KR 20140153016A KR 101622667 B1 KR101622667 B1 KR 10162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module
dust
cell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137A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6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집진셀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고 유지 보수에 이점이 있으며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 장치가 게시된다. 전기집진 장치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하전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 분진을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셀을 구비한 집진 모듈과, 상기 집진 모듈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 모듈과, 상기 집진 모듈 및 상기 송풍 모듈과 전기신호를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온화 및 집진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집진 모듈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 모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셀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집진셀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격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집진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조립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집진 단면적의 증대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 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 집진된 분진을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전기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 장치는 일 측 방향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정화시켜 타 측 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고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생성된 전하와 결합되도록 하여 미세 먼지를 하전 시킴으로써 포집이 이루어진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6710호(2007.12.11)에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전기집진기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온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프리필터(10)와, 이온화부(20)와, 집진부(30)와, 에프터필터(40)와, 자외선램프(50)와, 광촉매(60) 및 케이스(70)로 구성된다. 프리필터(10)는 그물망 구조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된 굵은 입자의 분진을 물리적으로 여과시킨다. 이온화부(20)는 집진부(30)에 전달에 위치하여 방전극(22)과 접지극(21) 사이에서 전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중성자인 미세 먼지를 하전시킨다.
집진부(30)는 다수개의 집진 셀 플레이트(31)가 일정간격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케이스(70)에 형성된 도어(71)는 고압단자(72)와 접지단자(7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이온화부(20) 및 집진부(30)의 일 측에는 도어(71)의 고압단자(72) 및 접지단자(73)에 연결되는 단자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집진기는 인입부에서 고전압을 인가받아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 미세 분진은 방전극(Discharge Electorde)을 통해 음전하를 띠게 된다. 음전하를 띠게 된 분진은 집진전극(Collecting Electrode)에 포집되어 미세 분진이 여과된 깨끗한 공기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고전압 인가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고 집진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수의 집진셀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집진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집진셀에 홀을 형성하여 환봉을 삽입하고, 집진셀과 집진셀의 사이에 원형 슬리브를 장착한다. 하지만, 슬리브를 통해 간격을 맞추게 될 경우, 집진 면적이 줄어들어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고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어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집진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도어의 단자와 집진부 측의 단자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단자의 연결 부위에서 각종 변형으로 인한 접촉 불량이 발생하고, 결국 전원 모듈에서 고전압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집진장치의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비교적 통로 및 작업 공간의 치수가 매우 협소한 조선 및 해양 구조물의 밀폐 구역에서 사용될 경우, 집진장치를 설치 및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며 설치 및 분리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86710호(2007.12.1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집진셀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고 유지 보수에 이점이 있으며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집진 모듈과 전원 모듈 간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위에서 고전압이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오류를 최소화하는 전기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통로 및 작업 공간의 치수가 매우 협소한 조선 및 해양 구조물의 밀폐 구역에서 설치 및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설치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하전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 분진을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셀을 구비한 집진 모듈과, 상기 집진 모듈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 모듈과, 상기 집진 모듈 및 상기 송풍 모듈과 전기신호를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온화 및 집진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집진 모듈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 모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셀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집진셀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이격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이격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집진셀들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판 형상의 이격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이격 플레이트와 집진셀들은 직교되게 배치된다.
상기에서, 이격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에 집진셀이 삽입된다.
상기에서, 집진 모듈과 전원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에 전기 전도성 소재의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크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후크 단자는 집진 모듈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부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 모듈의 측면을 커버하는 도어의 단자부에 접촉시 상기 후크 단자가 탄성 변형되면서 도어의 단자부와 면접촉한다.
상기에서, 일면에 제1 자석부가 구비되고 타면에 제2 자석부가 구비되며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 중 하나가 집진 모듈, 송풍 모듈 및 전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가 설치하려는 작업장에 부착되는 고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자석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집진셀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조립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집진 단면적의 증대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전압 전도율이 우수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고전압 공급으로 집진 장치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협소한 밀폐 블록 등에서 설치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이온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집진 모듈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집진 모듈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이격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 부위를 학대한 후크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고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전기집진 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집진 모듈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집진 모듈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이격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A" 부위를 학대한 후크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6의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 "공기의 유동 방향"이고, 상하 방향이 "폭 방향"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7)는 집진 모듈(73)과, 송풍 모듈(4)과, 전원 모듈(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집진 모듈(73)은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하전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 분진을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셀(733)을 구비한다. 하전부 및 집진셀(733)은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된다.
케이스(71)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에는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구(77)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 유입구(77)로 유입된 공기의 통로가 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케이스(71)의 내부에는 하전부와 집진셀(733)이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순차로 배치된다. 케이스(71)의 하부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지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전부는 케이스(7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흄을 하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하전부는 방전극(731)과 접지극(732)을 구비하여 방전극(731)과 접지극(732)의 사이에서 이를 통과하는 흄을 하전시키며, 방전극(731)을 통과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흄은 하전되어 집진셀(733)에 부착된다. 집진셀(733)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하전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하전된 흄을 집진하는 기능을 한다.
송풍 모듈(4)은 집진 모듈(73)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는 수단으로서, 집진 모듈(73)의 흡입구 또는 배출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집진 모듈(73)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송풍 모듈(4)은 집진 모듈(73)의 배출구 측에 배치되었다. 집진 모듈(73)의 유입구(77)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방전부에 의해 하전되어 집진셀(733)에 부착되고, 미세 분진이 여과된 청정한 공기가 송풍 모듈(4)의 상부 측에 형성된 배출구(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원 모듈(3)은 집진 모듈(73) 및 송풍 모듈(4)과 전기신호를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온화 및 집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시켜 집진 모듈(73)로 공급함과 아울러 송풍 모듈(4)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모듈(3)은 집진 모듈(73)의 상부 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집진 모듈(73)의 내부 또는 그 밖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집진 모듈(73)은 이격 수단을 구비한다. 이격 수단은 집진셀(733)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집진셀(733)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격 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집진셀(733)들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판 형상의 이격 플레이트(9)로 구성된다. 이 경우, 이격 플레이트(9)와 집진셀(733)들은 직교되게 배치된다. 즉, 이격 플레이트(9)는 집진 모듈(73)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길게 형성되며, 집진셀(733)들은 집진 모듈(73)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격 플레이트(9)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비교적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진셀(733)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작용함으로써, 집진판에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로 인해 집진 단면적의 증대로 보다 높은 집진 효율을 갖게 된다.
상기 이격 플레이트(9)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91)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91)에 집진셀(733)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셀(733)을 이격 플레이트(9)의 삽입홈(91)에 끼워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집진셀(733)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립 시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집진셀(733)을 교체하여야 할 때, 전체 집진셀(733)들을 모두 교체할 필요없이 교체하고자 하는 일부의 집진셀(733)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에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집진 장치(7)는 집진 모듈(73)과 전원 모듈(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단자부에 전기 전도성 소재의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크 단자(5)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부에는 전기 절연을 위한 애자(739)가 구비된다. 케이스(71)의 측면에는 도어가 결합되어 집진 모듈(73)의 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후크 단자(5)는 집진 모듈(73)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부에 형성되고, 집진 모듈(73)의 측면을 커버하는 도어의 단자부에 접촉시 후크 단자(5)가 탄성 변형되면서 도어의 단자부와 면접촉한다. 후크 단자(5)는 동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원 모듈(3)에서 고전압이 안정적으로 집진 모듈(73)로 전달되어 집진 장치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유지 보수율을 낮출 수 있고, 전압 전도율이 우수하여 집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의 고정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고정 모듈(6)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집진 모듈(73), 송풍 모듈(4) 및 전원 모듈(3)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집진 장치(7)는 고정 모듈(6)을 포함한다. 고정 모듈(6)은 일면에 제1 자석부(63)가 구비되고, 타면에 제2 자석부(65)가 구비된다. 즉, 대략 판 형상의 고정 모듈 본체(61)의 양면에 각각 제1 자석부(63)와 제2 자석부(65)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자석부(63)와 제2 자석부(65) 중 하나는 집진 모듈(73), 송풍 모듈(4) 및 전원 모듈(3)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설치하려는 작업장에 부착된다. 설치하려는 작업장은 전기집진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로서, 선박 건조에서 통로와 공간이 협소한 블록의 밀폐 구역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석부(63) 및 제2 자석부(65)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고정 모듈(6)은 제1 자석부(6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스위치(64)와 상기 제2 자석부(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66)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치(64)를 누르면 제1 자석부(63)의 자성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며, 제2 스위치(66)를 누르면 제2 자석부(65)의 자성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고정 모듈 본체(61)에는 손잡이(67)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1 스위치(64)를 눌러 제1 자석부(63)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면을 집진 모듈(73)(부착하고자 하는 면)에 부착한다. 이후에, 제2 스위치(66)를 눌려 제2 자석부(65)를 활성화시킨 후, 밀폐 블록(부착하고자 하는 면)에 부착함으로써, 전기집진 장치(7)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기집진 장치(7)의 분리 작업은 설치 작업의 반대 순서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 전기집진 장치
71 : 케이스 73 : 집진 모듈
733 : 집진셀 3 : 전원 모듈
4 : 송풍 모듈 5 : 후크 단자
6 : 고정 모듈 63 : 제1 자석부
64 : 제1 스위치 65 : 제2 자석부
66 : 제2 스위치 9 : 이격 플레이트
91 : 삽입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하전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 분진을 집진하는 다수의 집진셀(733)을 구비한 집진 모듈(73);
    상기 집진 모듈(73)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는 송풍 모듈(4);
    상기 집진 모듈(73) 및 상기 송풍 모듈(4)과 전기신호를 연결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온화 및 집진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집진 모듈(73)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송풍 모듈(4)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3)을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73)과 전원 모듈(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에 전기 전도성 소재의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크 단자(5)를 구비하며,
    상기 후크 단자(5)는 집진 모듈(73)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부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 모듈(73)의 측면을 커버하는 도어의 단자부에 접촉시 상기 후크 단자(5)가 탄성 변형되면서 도어의 단자부와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53016A 2014-11-05 2014-11-05 전기집진 장치 KR10162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16A KR101622667B1 (ko) 2014-11-05 2014-11-05 전기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016A KR101622667B1 (ko) 2014-11-05 2014-11-05 전기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37A KR20160054137A (ko) 2016-05-16
KR101622667B1 true KR101622667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016A KR101622667B1 (ko) 2014-11-05 2014-11-05 전기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2517A (zh) * 2020-10-20 2021-02-19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电除尘器在线喷砂除垢方法
KR20220094728A (ko) 2020-12-29 2022-07-06 태광에코 주식회사 지하철 터널 공간의 미세먼지 토탈 제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46B1 (ko) 2017-02-02 2018-11-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 집진시스템
KR101945240B1 (ko) 2017-02-13 2019-06-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 환경 및 터널의 미세먼지 집진차량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방법
KR102014016B1 (ko) 2018-01-02 2019-08-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집진전동차
KR102120549B1 (ko) 2018-08-27 2020-06-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먼지 응집장치
KR102298025B1 (ko) 2019-10-23 2021-09-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철 양방향 초미세먼지 제거 모듈
KR102318368B1 (ko) 2019-10-23 2021-10-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철 양방향 초미세먼지 제거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28Y1 (ko) 2000-07-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집진기의 집진판과 방전극의 정렬 및 마모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628Y1 (ko) 2000-07-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전기집진기의 집진판과 방전극의 정렬 및 마모검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2517A (zh) * 2020-10-20 2021-02-19 新疆八一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电除尘器在线喷砂除垢方法
KR20220094728A (ko) 2020-12-29 2022-07-06 태광에코 주식회사 지하철 터널 공간의 미세먼지 토탈 제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37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US10179336B2 (en) Portable air cleaner with improved multi-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722863B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100949455B1 (ko) 집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집진장치
US9308537B2 (en) Electrostatic air conditioner
CA2627856C (en) Single 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724556B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101523209B1 (ko) 전기집진장치
KR101957095B1 (ko)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US20180015482A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design and assembly
KR20190094604A (ko) 전기 집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KR101757899B1 (ko) 중첩식 컬렉터 셀 유닛을 갖는 전기 집진기
KR102014139B1 (ko) 전기 집진기
KR102504398B1 (ko) 공기조화기용 입자 하전 장치
KR101331611B1 (ko)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JP5380212B2 (ja) 電気集塵機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KR102308868B1 (ko) 전기 집진기
CN211678243U (zh) 电集尘过滤器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77746A1 (zh) 一种离子化集尘装置
CN111328296B (zh) 用于紧凑型空气清洁器的静电除尘器和使用该静电除尘器的紧凑型空气清洁器
KR102025791B1 (ko) 집진기 시스템
KR101902274B1 (ko) 지하 터널용 전기 필터 구조의 집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