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511B1 -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11B1
KR101622511B1 KR1020150021007A KR20150021007A KR101622511B1 KR 101622511 B1 KR101622511 B1 KR 101622511B1 KR 1020150021007 A KR1020150021007 A KR 1020150021007A KR 20150021007 A KR20150021007 A KR 20150021007A KR 101622511 B1 KR101622511 B1 KR 10162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power supply
storage system
power
battery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11B1/ko
Priority to JP2015249533A priority patent/JP6204448B2/ja
Priority to US14/986,097 priority patent/US9954368B2/en
Priority to CN201610066955.6A priority patent/CN105870952A/zh
Priority to CN202010091073.1A priority patent/CN111162553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02J7/0021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10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하여 직류/교류 컨버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포함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게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ELECTRICITYPROVIDING SYSTEM INCLUDING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는 변환과 전송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BESS)을 사용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 받아 충전한다. 또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이 필요한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력을 유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발전 시스템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부하 또는 계통이 과부하인 경우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한다. 또한 부하 또는 계통이 경부하인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발전 장치 또는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한다.
또한 발전 시스템과 무관하게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유휴 전력을 공급 받아 충전한다. 또한 계통 또는 부하가 과부하인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 랙을 포함한다. 배터리 랙은 서로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 모듈 각각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셀을 포함한다. 배터리 에너지 시스템의 충전과 방전에 따라 복수의 모듈 각각의 충전 상태가 달라진다. 복수의 모듈 각각의 충전 상태가 달라짐에 따라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공급하는 전력의 효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효율 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력 공급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하여 직류/교류 컨버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는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포함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게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이 가동하지 않을 때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게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류 전원 공급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일 수 있다.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정전시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무정전 정전 공급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충전 상태가 다른 모듈 또는 다른 셀과 기준 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셀 또는 복수의 모듈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에 사용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여 전력 변환 효율을 높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전력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발전 장치(101), 직류/교류 컨버터(103), 교류 필터(105), 교류/교류 컨버터(107), 계통(109), 충전 제어부(1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 시스템 제어부(115), 부하(117) 및 직류/직류 컨버터(121)를 포함한다.
발전 장치(101)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발전 장치가 태양광 발전 장치인 경우, 발전 장치(101)는 태양 전지 어레이일 수 있다. 태양 전지 어레이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합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소정의 전압과 전류를 발생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태양전지 어레이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또한 발전 시스템이 풍력 발전 시스템인 경우, 발전 장치(101)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팬일 수 있다. 다만,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발전 장치(101) 없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만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발전 장치(1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직류/교류 컨버터(103)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컨버팅한다. 발전 장치(101)가 공급한 직류 전력 또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컨버팅한다.
교류 필터(105)는 교류 전력으로 컨버팅된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서 교류 필터(105)는 생략될 수 있다.
교류/교류 컨버터(107)는 교류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공급할 수 있도록 노이즈가 필터링된 교류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컨버팅하여 전력을 계통(109) 또는 독립된 부하에 공급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교류/교류 컨버터(107)는 생략될 수 있다.
계통(109)이란 많은 발전소, 변전소, 송배전선 및 부하가 일체로 되어 전력의 발생 및 이용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부하(117)는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전력을 소모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발전 장치(101)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계통(109) 또는 부하(117)의 전력 수급상황에 따라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한다. 구체적으로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경부하인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발전 장치(101)로부터 유휴 전력을 공급 받아 충전한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과부하인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여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을 공급한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의 전력 수급 상황은 시간대별로 큰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발전 장치(101)가 공급하는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의 전력 수급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일률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사용하여 계통(109) 또는 부하(117)의 전력 수급상황에 따라 전력 공급의 양을 조절 한다. 이를 통해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효율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직류/직류 컨버터(12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직류 전력의 크기를 컨버팅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직류/직류 컨버터(121)는 생략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15)는 직류/교류 컨버터(103) 및 교류/교류 컨버터(107)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11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충전과 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과부하인 경우,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전력을 공급하여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을 전달하게 제어한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경부하인 경우, 충전 제어부(111)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 또는 발전 장치(101)가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전달하게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200)은 발전 장치(101), 직류/교류 컨버터(103), 교류 필터(105), 교류/교류 컨버터(107), 계통(109), 충전 제어부(1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 시스템 제어부(115), 제1 직류/직류 컨버터(119), 부하(117) 및 제2 직류/직류 컨버터(121)를 포함한다.
도 1의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나 제1 직류/직류 컨버터(119)를 더 포함한다. 직류/직류 컨버터(119)는 발전 장치(101)가 발전하는 직류 전력의 전압을 컨버팅한다. 소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200)은 발전 장치(101)가 생산하는 전력의 전압이 작다. 따라서 발전 장치(101)가 공급하는 전력을 직류/교류 컨버터(103)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승압이 필요하다. 제1 직류/직류 컨버터(119)는 전압을 발전 장치(101)가 생산하는 전력의 전압을 직류/교류 컨버터(103)에 입력할 수 있는 전압의 크기로 컨버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발전 장치(101)는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S101).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발전 장치(101)가 태양전지 어레이인 경우, 발전 장치(101)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발전 장치(101)가 팬인 경우, 발전 장치(101)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충전 제어부(111)는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판단한다(S103).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지 여부는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과부하인지 경부하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면,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충전한다(S105).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방전이 필요한가 판단한다(S107). 발전 장치(101)가 공급하는 전기 에너지만으로 계통(109) 또는 부하(117)의 전력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방전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할 정도로 충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방전이 필요하다면,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방전한다(S109).
직류/교류 컨버터(103)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한 전기 에너지와 발전 장치(101)가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컨버팅한다(S111). 이때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한 전기 에너지와 발전 장치101)가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모두 하나의 직류/교류 컨버터(103)를 통해 직류를 교류로 컨버팅한다. 각 전기기구는 사용할 수 있는 전력에 한계가 있다. 이 한계는 순간적인 한계와 장시간 사용했을 때의 한계가 있는데, 장시간 사용해도 기기에 손상이 가지 않고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전력으로 정격 전력을 정한다. 직류/교류 컨버터(103)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과 발전 장치101)는 직류/교류 컨버터(103)가 이러한 정격 전력의 70% 에서 90% 정도를 전력을 사용하도록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교류 필터(105)는 교류로 컨버팅된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한다(S11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노이즈 필터링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교류/교류 컨버터(107)는 필터링된 교류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컨버팅하여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공급한다(S11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교류/교류 컨버터(107)의 컨버팅은 생략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컨버팅된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공급한다(S11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충전 제어부(111)는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판단한다(S151).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지 여부는 계통(109) 또는 부하(117)가 과부하인지 경부하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전력 공급이 필요하지 않다면, 충전 제어부(111)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충전하게 제어한다(S153).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방전이 필요한가 판단한다(S155).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할 정도로 충분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방전이 필요하다면, 충전 제어부(11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하게 제어한다(S157).
직류/교류 컨버터(103)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방전한 전기 에너지와 발전 장치(101)가 생성한 전기 에너지를 교류로 직류를 교류로 컨버팅한다(S159).
교류 필터(105)는 교류로 컨버팅된 전력의 노이즈를 필터링한다(S16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노이즈 필터링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교류/교류 컨버터(107)는 필터링된 교류 전력의 전압의 크기를 컨버팅하여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공급한다(S16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교류/교류 컨버터(107)의 컨버팅은 생략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컨버팅된 전력을 계통(109) 또는 부하(117)에 공급한다(S165).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랙을 포함하고, 복수의 배터리 랙이 직렬 연결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700v~1000v의 직류/교류 컨버터(103)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은 50v 용량을 가지는 모듈 17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각각은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충전과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모듈의 충전 상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직렬 연결 시 전류는 일정하나 각 모듈 별로 전압은 상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하여 복수의 모듈의 충전 상태가 상이해질 수 있다. 배터리 저장 장치 충전과 방전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수명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셀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충전량이 높은 모듈 또는 셀을 택일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비하여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과 직류/직류 컨버터를 연결하여 충전량이 높은 셀이 충전량이 낮은 셀에게 직류를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과의 연결 관계를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관리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150)는 직류 전력 공급부(151), 직류/직류 컨버터(153), 측정부(155) 및 제어부(157)를 포함한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렬 연결된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의 모듈 각각은 직렬 연결된 복수의 셀을 포함한다.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의 직류/교류 컨버터(103), 시스템 제어부(115), 교류 필터(105) 및 교류/교류 컨버터(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일 수 있다. 특히, SMPS는 모듈의 전압 용량과 유사한 용량의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동작하지 않을 때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정전시 전력 공급 중단을 대비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일 수 있다. 전력 공급 시스템(100)의 구성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력 공급 장치 또는 정전시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중단을 대비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직류 전원 공급 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직류/직류 컨버터(153)는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하여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공급한다.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57)는 직류 전력 공급부(151), 직류/직류 컨버터(153) 및 측정부(155)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7)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 전체에 포함된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15)일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을 관리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15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한다(S201).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가 기준 범위 내 차이를 보이는 경우인지 판단한다(S203). 구체적으로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과 기준 범위 크기 이상 전압 차이를 보이는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55)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모듈 또는 다른 셀과 기준 범위 크기 이상 전류 차이를 보이는지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를 모듈 또는 셀의 전체 용량의 1%라고 할 경우, 측정부(155)는 제1 셀과 제2 셀의 전압이 전체 용량의 1% 이상 차이 나는지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가 기준 범위 밖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S2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구성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공급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전력 공급 시스템(100)을 가동하지 않을 때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태양광 발전 장치인 경우,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일사량이 낮아 발전 장치(101)가 전력을 생성하지 않고 부하(117)나 계통(109)이 전력을 필요하지 않는 경우,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정전시 전력 공급 시스템(100)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시스템(100)이 태양광 발전 장치인 경우,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일출 시간과 일몰 시간을 기준으로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부하 또는 계통의 필요 전력량에 기초하여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부하 또는 계통이 경부하 상태여서 추가적인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정전으로 인하여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가동이 필요 없는 경우, 직류 전력 공급부(151)는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직류/직류 컨버터(153)는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한다(S207). 구체적으로 직류/직류 컨버터(153)는 모듈 또는 셀을 충전할 수 있는 크기로 직류 전력의 크기를 변환할 수 있다. 직류 전력 공급부(151)가 모듈 또는 셀을 충전할 수 있는 크기로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는 다른 모듈 또는 셀과 충전 상태의 차이를 보이는 모듈 또는 셀을 충전한다(S209). 이때, 모듈 또는 셀은 다른 모듈 또는 셀의 충전 상태와 기준 범위의 차이를 가질 때까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직류 전력 공급부(151)로부터 직류 전력이 공급되므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은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을 통해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150)가 셀 단위 또는 모듈 단위로 충전 상태를 측정하고, 충전하는 것에 대해 기재하였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서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150)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고, 배터리 랙 단위로 충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셀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특히,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113)이 포함하는 모듈 단위로 충전 상태를 관리하는 경우 셀 단위로 충전 상태를 관리하는 경우보다 충전 상태 측정 또는 개별적인 충전을 위한 연결이 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력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방전하여 직류/교류 컨버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관리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포함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게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직류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이 구동되지 않을 때 상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정전시 상기 전력 공급 시스템의 동작 정지를 방지하기 위한 무정전 정전 공급 장치인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 공급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의 충전 상태가 다른 모듈 또는 다른 셀과 기준 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복수의 셀 또는 복수의 모듈의 전압을 측정하는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관리 장치.
KR1020150021007A 2015-02-11 2015-02-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62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7A KR101622511B1 (ko) 2015-02-11 2015-02-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JP2015249533A JP6204448B2 (ja) 2015-02-11 2015-12-22 バッテリー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管理装置
US14/986,097 US9954368B2 (en) 2015-02-11 2015-12-31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N201610066955.6A CN105870952A (zh) 2015-02-11 2016-01-29 蓄电池储能***管理装置和方法
CN202010091073.1A CN111162553A (zh) 2015-02-11 2016-01-29 蓄电池储能***管理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07A KR101622511B1 (ko) 2015-02-11 2015-02-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511B1 true KR101622511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07A KR101622511B1 (ko) 2015-02-11 2015-02-11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54368B2 (ko)
JP (1) JP6204448B2 (ko)
KR (1) KR101622511B1 (ko)
CN (2) CN1111625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87A1 (ko) * 2017-09-20 2019-03-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63692B1 (ko) 2019-08-20 2020-01-09 (주)피앤이이노텍 발전 시스템과 연계하여 배터리 랙들을 충방전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100104B1 (ko) * 2019-08-20 2020-04-14 (주)피앤이이노텍 무정전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지는 전력 충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4893B (zh) * 2019-11-18 2021-04-06 苏州阿特斯新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的电池配置方法
AU2022207959A1 (en) * 2021-01-12 2023-02-23 Rosendin Electric, Inc. Bessup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EP4195440A1 (en) 2021-12-08 2023-06-14 Abb Schweiz Ag Energy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EP4246751A1 (en) 2022-03-18 2023-09-20 ABB Schweiz AG Method of controlling of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of power system with high dynamic loa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91B1 (ko) * 2013-01-18 2013-10-18 김혁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8891B2 (ja) * 2001-06-15 2009-10-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を有する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663341B2 (en) 2004-12-24 2010-02-16 Lg Chem, Ltd. System for controlling voltage balancing in a plurality of lithium-ion cell battery packs and method thereof
KR100778414B1 (ko) 2006-10-12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JP5035978B2 (ja) * 2007-08-24 2012-09-2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dcdcコンバータ装置
KR101146670B1 (ko) * 2009-12-16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56535B1 (ko) * 2010-01-18 2012-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력 저장 장치와 그 동작 방법 및 전력 저장 시스템
JP5706108B2 (ja) * 2010-07-12 2015-04-22 旭化成株式会社 エネルギー蓄積装置
KR20120011363A (ko) 2010-07-26 2012-02-08 한국전기연구원 충전 밸런싱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계통 연계형 배터리 충방전 시스템
US9263776B2 (en) 2011-01-06 2016-02-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118191B2 (en) * 2011-08-29 2015-08-25 Samsung Sdi Co., Ltd. Cell balancing method, cell balancing device,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cell balancing device
US20130088900A1 (en) 2011-10-10 2013-04-11 Jong-Ho Park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678526B1 (ko) 2011-11-17 201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KR101165593B1 (ko) 2012-02-07 2012-07-23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양방향 디씨-디씨 컨버터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셀 밸런싱 회로 장치
KR101485347B1 (ko) 2012-12-05 2015-01-27 한국전기연구원 배터리 관리 시스템,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배터리 모듈의 셀 밸런싱 방법
CN103441566B (zh) * 2013-09-12 2016-07-06 重庆大学 一种市电、光伏电池和储能电池协同供电***及方法
CN104333068A (zh) 2014-11-03 2015-02-04 国家电网公司 锂电池充电控制方法、装置和***及电池管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91B1 (ko) * 2013-01-18 2013-10-18 김혁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87A1 (ko) * 2017-09-20 2019-03-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075521B2 (en) 2017-09-20 2021-07-27 Lsis Co., Ltd. Energy storage system
KR102063692B1 (ko) 2019-08-20 2020-01-09 (주)피앤이이노텍 발전 시스템과 연계하여 배터리 랙들을 충방전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100104B1 (ko) * 2019-08-20 2020-04-14 (주)피앤이이노텍 무정전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지는 전력 충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1034066A1 (ko) * 2019-08-20 2021-02-25 (주)피앤이이노텍 무정전 전원 공급 기능을 가지는 전력 충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9927A (ja) 2016-08-18
JP6204448B2 (ja) 2017-09-27
US20160233699A1 (en) 2016-08-11
CN111162553A (zh) 2020-05-15
US9954368B2 (en) 2018-04-24
CN105870952A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511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2400501B1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KR10240050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835585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90710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cell, and energy storage system
CN101946222B (zh) 具有并联电池拓扑的电源
US9153967B2 (en) Battery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574075A2 (en) Battery system
KR2012008193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2916417A1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90067989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10454286B2 (en) Conversion circuit device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systems
KR20130049706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배터리 셀 밸런싱 방법, 및 전력 저장 시스템
KR101677831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101038156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KR20150135843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3558B1 (ko) 팬을 이용한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2017001378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70036328A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KR20160073664A (ko) Bess 제어 장치
KR20160103464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CN210807105U (zh) 光伏逆变器及电容放电电路
KR101746949B1 (ko) 다수의 미약 전원의 전력 조합 장치 및 그 제어 신호의 생성 방법
KR20190104962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40139911A (ko) Dc-링크 전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bess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