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526B1 -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 Google Patents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526B1
KR101621526B1 KR1020150104666A KR20150104666A KR101621526B1 KR 101621526 B1 KR101621526 B1 KR 101621526B1 KR 1020150104666 A KR1020150104666 A KR 1020150104666A KR 20150104666 A KR20150104666 A KR 20150104666A KR 101621526 B1 KR101621526 B1 KR 10162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touch
touch pan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영
정복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엘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엘
Priority to KR102015010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부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필름 상에서 터치 패널의 비터치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터치패널의 터치 영역 상에 미리 지정된 위치가 듀얼 터치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FILM FOR TERMINAL POSSIBLE DUAL TOUCH}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부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필름 상에서 터치 패널의 비터치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터치패널의 터치 영역 상에 미리 지정된 위치가 듀얼 터치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의 연구를 통해 얇고 넓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기기가 개발 되어 왔다. 터치패널의 경우 정전기를 이용하여 터치 좌표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식 터치패널이 주로 사용되곤 했는데, 얇고 넓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기기 중,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이 넓어짐에 따라 화려하고 편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큰 크기 때문에 한 손 조작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iOS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의 경우, iOS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뒤로 가기 버튼과 홈 버튼의 거리가 비교적 먼 거리 이격 되기 때문에 한손 조작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iOS의 경우 상태바를 터치하는 것으로 화면상의 스크롤을 최상단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태바를 위에서 아래로 터치함으로써 알림 메뉴를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알림 창이 화면 상단에 배너 형식으로 뜨고, 특히 메시지 앱(카카오톡, 라인, 메시지 등의 앱)의 경우 상태바를 위에서 아래로 터치하고 상태바를 다시 터치함으로써 바로 답장을 쓰거나 해당 앱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폰의 크기가 대형화 됨으로써 한손에 닿을 수 없기 때문에 양손으르 이용해야만 이렇한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1118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터치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큰 단말기, 특히 애플의 iOS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의 기능을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로 다른 단말기의 조작을 통일시켜 단말기를 교체하더라도 손쉽게 교체한 단말기로 적응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한손으로 단말기를 들고 있을 때 들고 있는 손의 손가락으로 닿을 수 없는 화면 상단의 터치 기능들을 단말기의 하단을 터치함으로써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터치패널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비터치영역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제 3 영역을 통해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패널의 일부분에 듀얼 터치되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조작하기 힘든 크기의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을 갖는 단말기를 한 손 조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기종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위치에 입력할 수 있어, 조작법이 간편해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iOS의 경우, 제 1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뒤로 가기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iOS의 경우, 제 1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앞으로 가기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iOS의 경우, 제 1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화면을 최상단으로 스크롤 이동(top back)시킬 수 있는 상태바 터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iOS의 경우, 제 1 영역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드래그 입력함으로써 알림 센터 화면을 불러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더 나아가, iOS의 경우, 배너 알림창이 활성화 되는 경우, 제 1 영역에 터치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함으로써 배너 알림창에 미리 저장된 기능이 실행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메시지 도착으로 인해 배너 알림창이 활성화 되는 경우, 제 1 영역에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을 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답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이 단말기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뒤로 가기 섹션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앞으로 가기 섹션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횡단 스크롤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종단 스크롤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iOS를 기반으로 하는 iphone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iOS를 기반으로 하는 iphone의 인터페이스 중, 상태바 확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iOS를 기반으로 하는 iphone의 인터페이스 중, 알림 센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iOS를 기반으로 하는 iphone의 인터페이스 중, 배너 알림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상태바 섹션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상태바 섹션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이 드래그 될 수 있도록 제 2 감지셀이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오늘 섹션에 대응되는 제 4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제 1 영역 내지 제 5 영역이 모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정전용량식(이하 정전식) 터치패널(11) 및 비터치영역(12)을 포함하는 단말기(10)에 부착되는 필름(30)에 관한 것으로서, 비터치영역(12)에 대응되는 필름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터치패널(11) 상에 미리 지정된 위치가 듀얼 터치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전용량식 터치패널(11)은 사용자가 터치패널(11)을 터치 입력함으로써 미세 전류가 터치패널(11)에 통전되고, 터치패널(11) 상에 전류가 발생한 위치를 미세 전도성 물질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 입력한 좌표를 감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널(11)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전도성물질 및 필름의 제조방법은 메탈메시(TSP), 산소나노튜브(CNT), ITO(Indium-Tim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ATO(Antimony-doped 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및 AZO(Al-doped Zinc Oxide) 등의 다양한 전도성 산화물, 탄소나노와이어 및 그래핀과 같은 탄소기반 투명소재, 또는 투명전도성 고분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1)에 전도성 물질을 복수 개 구비하여 구분하여 각 전도성 물질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구분하고, 감지하여 전류가 발생한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비터치영역(12)은 단말기(10)의 베젤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말기(10)는 상면에 터치패널(11)이 구비되고, 터치패널(11) 및 버튼 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베젤을 포함하곤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터치영역(12)을 베젤인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다만, 비터치영역(12)은 반드시 베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10)의 측면 및 후면과 같이 다양한 비터치영역(12)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함은 물론이다.
한편, 필름(30)은 제 1 영역(100), 제 2 영역(200) 및 제 3 영역(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00)은 비터치영역(12)의 일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의 일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제 3 영역(300)은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일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함은, 대상이 가지는 면적에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뜻한다. 상세하게 제 1 영역(100)이 비터치영역(12)에 일부분에 대응된다 함은 비터치영역(12)에 제 1 영역(100)이 포함되는 것을 뜻하고, 제 1 영역(100)은 일부분에 대응되기 때문에 비터치영역(12)의 소정 넓이에 포함되도록 제 1 영역(10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필름(30)의 제 1 영역(100), 제 2 영역(200) 및 제 3 영역(300)은 내부에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감지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셀이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 3 영역(300)은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의 감지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때,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의 하나 이상의 감지셀은 서로 일대일로 전기적 연결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영역(100)은 하나 이상의 제 1 감지셀(110)을 포함하고, 제 2 영역(200)은 하나 이상의 제 2 감지셀(210)을 포함한다.
즉, 제 1 영역(100)을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면 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전류를 제 3 영역(300)을 통해 제 2 영역(20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영역(200)은 비터치영역(12)에 위치하고,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영역(100)을 사용자가 터치하게 되면 제 3 영역(300)을 통해 제 2 영역(200)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영역(100)을 터치하게 되면 제 2 영역(200)에 대응되는 터치패널(11)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단말기(10)에 터치 입력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즉, 제 2 영역(200)에 터치 입력 시, 제 1 영역(100)에도 듀얼 터치 입력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듀얼 터치라 함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또 다른 하나의 영역에 전류가 흘러 두 개의 영역이 모두 터치 되는 것을 일컫는다.
한편, 제 3 영역(300)은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단말기(10) 상의 비터치영역(12)에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또 다른 일례로서 제 3 영역(300)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터치패널(11)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제 3 영역(300)이 터치패널(1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영역(100) 또는 제 2 영역(200) 중 어느 한 영역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 3 영역(300)에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터치패널(11)에 사용자가 원치 않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영역(300)은 비터치영역(12)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3 영역(300)은 터치패널(11)의 츠,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베젤에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작자의 고의적인 의도로 제 3 영역(300)의 전부 또는 그 일부가 터치패널(11)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셀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소정 넓이로 형성된 전도체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보다 손쉽게 감지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셀은 마름모, 사각형 또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또한,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대응이라 함은, 횡단 방향(X) 및 종단 방향(Y)의 방향성을 의미한다.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터치 입력된 좌표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복수 개로 배열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좌표를 감지한다. 따라서, 제 1 영역(100)에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된 좌표에 위치하는 제 1 감지셀(11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류는 제 3 영역(300)을 통해 제 1 영역(100)의 제 2 감지셀(210)로 전류가 전달되어 흐른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의 각 감지셀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열된다. 도 2는 각 감지셀이 배열되는 것을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200)의 제 1 감지셀(110)들이 a1, a2, a3의 순서를 갖는다면 제 2 영역(200)의 제 2 감지셀(210)들은 a1`, a2`, a3`의 순서를 갖게 된다.
즉, 제 1 영역(200) 중 사용자가 일 좌표에 터치 입력을 하게 되는 경우, 터치 입력으로 인해 일 좌표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류는 제 3 영역(300)을 통해 제 2 영역(200)으로 흐르게 되어 제 2 영역(200)에 대응되는 일 좌표에 도달하여, 제 2 영역(20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말기(10)의 터치 패널에 듀얼 입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의 크기가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영역(200)의 면적은 제 1 영역(100)의 면적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 상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지만, 비터치영역(12)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제 1 영역(100)은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 한정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영역(200)의 면적은 제 1 영역(200)의 면적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비터치영역(12)에 위치되는 제 1 영역(100)은 베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면적이 비교적 협소한 베젤 상에 제 1 영역(100)이 형성되는 반면,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 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비교적 넓은 면적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비터치영역(12)에 위치하는 제 1 영역(100)은 베젤 상이 위치하고,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의 수평 길이만 큼 신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 1 영역(100) 및 제 2 영역(200)에 복수개의 감지셀(110, 210)이 형성되는 경우, 제 2 영역(20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2 감지셀(210)의 배열 간격은 신장되어 늘어난 면적만큼 이격 되어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제 2 영역(200)이 터치패널(11)의 횡단(203) 또는 종단(203)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 1 영역(103, 104)을 터치함으로써, 단말기(10)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횡단 스크롤(17) 또는 종단 스크롤(18)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영역(200)은 터치패널(11)의 종단인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영역(204) 또는 횡단인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2 영역(20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영역(203, 204)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셀(210)의 경우 제 2 영역(203, 304)의 신장된 길이만큼 제 2 감지셀(210) 간의 간격이 소정 간격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영역(103, 104)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감지셀(110)을 터치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제 2 영역(203, 204)에 형성된 제 2 감지셀(210)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드래그 입력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감지셀(110)에 사용자의 접촉/터치 하여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면, 제 2 감지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터치패널(11)에 터치 입력이 전달되고, 단말기(10)의 GUI가 스크롤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iOS(i Operationg System) 기반의 단말기(10)에 적용되는 필름(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필름(30)은 iOS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10)(이하, i시리즈)인 iPHONE, iPAD, iPOT 및 apple watch 등에 부착되는 필름(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구성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전달을 위하여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iOS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10)는 상면에 소정 영역의 터치패널(11)이 형성되고, 터치패널(11) 하측에 원형의 홈 버튼(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12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는 터치패널(11) 상의 좌측 상부 소정간격이 이격 되는 위치에 뒤로 가기 버튼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뒤로 가기 버튼이 위치되는 영역을 뒤로 가기 섹션(15)이라 정의한다.
한편, 도 6, 도 7 및 도 12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는 터치패널(11) 상의 우측 상부 소정간격이 이격 되는 위치에 앞으로 가기 버튼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앞으로 가기 버튼이 위치되는 영역을 앞으로 가기 섹션(16)이라 정의한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는 터치패널(11) 상의 상단에 상태바가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상태바가 위치되는 영역을 상태바 섹션(17)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에서 상태바는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 될 때, 알림 센터(20)가 나타난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에서 활성화된 알림 센터(20)의 상단 좌측에 오늘 버튼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오늘 버튼이 위치되는 영역을 오늘 섹션(21)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에서 활성화된 알림 센터(20)의 상단 좌측에 오늘 버튼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오늘 버튼이 위치되는 영역을 오늘 섹션(21)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iOS의 인터페이스에서 활성화된 알림 센터(20)의 상단 우측에 알림 버튼이 위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iOS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알림 버튼이 위치되는 영역을 알림 섹션(22)이라 정의한다.
i시리즈는 iphone6 버전 이상의 단말기(10)와 ipad 단말기(10) 기종의 경우, 넓어진 터치패널(11)로 인하여 한손 조작이 불편하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를 파지하였을 때, 조작을 위해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하는 뒤로 가기 버튼을 터치하여 입력해야 하는데, iOS의 경우 뒤로 가기 버튼이 좌측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한 손 조작이 불편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iOS의 경우 터치패널(11)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인터페이스와 터치패널(11) 하측에 위치하는 홈 버튼(13)을 통해 단말기(10)를 조작하게 되는데, 홈 버튼(13)과 뒤로 가기 버튼이 비교적 먼 거리로 이격 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의 제 1 영역(101)은 단말기(10)의 홈 버튼(13)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제 2 영역(201)은 터치패널(11)의 뒤로 가기 섹션(15)에 대응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제 1 영역(101) 및 제 2 영역(201)은 상술한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이 각각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은 상술한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전달을 위해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 2 영역(201)이 비터치영역(12)에 접하지 않는 터치패널(11)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제 2 영역(20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 3 영역(300)은 얇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영역(101) 및 제 2 영역(201)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로 형성되어 소정의 넓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10)을 일대일로 연결시키는 제 3 영역(300)의 경우, 제 1 영역(110) 및 제 2 영역(210)이 가지는 넓이보다 얇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뒤로 가기 섹션(15)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자면, 제 2 영역(201)이 위치되는 뒤로 가기 섹션(15)의 경우, 터치패널(11)의 좌측 상단에서 상태바(17)의 넓이만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때문에, 뒤로 가기 섹션(15)에 제 2 영역(201)이 위치하려면 제 3 영역(300)은 상태바(17)를 지나 제 2 영역(201)과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3 영역(300)이 사용자가 원치 않는 위치인 상태바(17)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영역(300)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위치에 터치 입력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영역(300)은 비교적 얇게 구비해 터치 입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iOS를 사용하는 i시리즈에서, 제 1 영역(101)을 홈 버튼(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시키고, 제 2 영역(201)을 뒤로 가기 섹션(15)에 위치시키면, 사용자가 i시리즈를 한손 조작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상세하게 iphone을 일례로 설명하자면, iphone의 경우 일반적인 손 크기를 가지는 사용자는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나, 엄지손가락이 뒤로 가기 섹션(15)에 닿지 않기 때문에 파지 방법을 바꿔 파지하거나, 양 손을 이용하여 iphone을 조작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제 2 영역(201)이 뒤로 가기 섹션(15)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필름을 구비한다면, 홈 버튼(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 1 영역(101)을 터치함으로써, 터치패널(11) 상의 뒤로 가기 섹션(15)이 터치된다. 따라서, iphone과 같은 i시리즈의 경우 본 발명의 필름(30)을 부착하게 되면, 한손으로 iphone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OS 및 iOS에서 실행되는 APP(application)의 경우 뒤로 가기 섹션(15)에 위치되는 버튼의 기능이 대부분 상위 단계의 페이지 또는 지나온 페이지를 다시 불러오는 기능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의 경우 제 2 영역(201)을 뒤로 가기 섹션(15)에 형성하는 경우, iOS 및 대부분의 APP에서 모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름(30)이 iOS 및 iOS를 기반으로 하는 APP에 적용되면 그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제 2 영역(202)이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대응되는 제 2 영역(202)의 구성의 경우 상술한 뒤로 가기 섹션(15)에 대응되는 제 2 영역(2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지만, 형성되는 위치가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대응되는 차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앞으로 가기 섹션(16)의 경우 터치패널(11)의 우측 상단에서 상태바(17)의 크기만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제 2 영역(202)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영역(102)은 홈 버튼(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비터치영역(12) 상에 형성하고, 제 1 영역(102) 및 제 2 영역(202)은 제 3 영역(30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영역(102) 및 제 2 영역(202)은 하나 이상의 제 1 감지셀(110) 및 하나 이상의 제 2 감지셀(21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 감지셀(110) 및 제 2 감지셀(220)은 서로 제 3 영역(300)을 통해 서로 일대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영역(202)을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대응하여 형성하게 되면, 파지하는 손가락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 1 영역(102)을 터치함으로써,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하는 제 2 영역(202)에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고, 제 2 영역(20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듀얼 터치 입력되는 특징이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은 제 2 영역(205)이 상태바 섹션(17)에 형성될 수 있다. iOS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는 상단의 상태바를 통해 미리 저장된 기능이 실행되곤 한다. 일례로서, 상태바를 터치하는 경우 상하로 스크롤되는 페이지를 최 상단으로 스크롤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한편, 제 2 영역(205)을 상태바 섹션(17)에 형성하여 제 1 영역(105)을 터치함으로써, 제 2 영역(205)의 상태바에 듀얼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제 2 영역(205) 또는 제 2 영역(205)에 형성되는 제 2 감지셀(210)은 상태바 섹션(17)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제 2 영역이 상태바 섹션(17)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단말기(10)에서 멀티 터치로 인식하여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 2 영역(205) 또는 제 2 영역(204)에 구비되는 제 2 감지셀(210)은 상태바 섹션(17) 일부분에 대응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영역(205) 또는 제 2 감지셀(210)이 상태바 섹션(205)의 중앙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따라서, 제 1 영역(105)을 홈 버튼(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하고, 제 2 영역(205)을 상태바 섹션(17)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패널(11) 상에서 최 상단에 위치하는 상태바를 한 손 조작을 통해 터치 입력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3,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상태바를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drag) 입력을 하면, 상태바가 확장되어 알림 센터(20)를 불러올 수 있다. 상세하게는, iOS는 알림 센터(20) 기능을 갖고 있는데, 알림 센터(20)는 상태바를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 함으로써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상태바를 확장시켜 알림 센터(20)를 불러올 수 있도록 듀얼 터치로 상태바 섹션(17)을 드래그 입력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영역(106)에 형성되는 제 1 감지셀(1060) 및 제 2 영역(206)에 형성되는 제 2 감지셀(2060)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일대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영역(106)을 터치함으로써 듀얼 터치되는 제 2 영역(206)이 순차적으로 드래그 입력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감지셀(1060) 및 제 2 감지셀(2060)은 일정 배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를 들어 설명하자면, 제 1 영역(106) 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감지셀(1060)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의 제 1 감지셀(1060)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제 2 감지셀(2060)의 경우 제 2 영역(206) 내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제 1 감지셀(1060) 및 복수의 제 2 감지셀(2060)은 동일한 순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감지셀(1060)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하측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하게 되면, 제 1 감지셀(1060)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제 2 감지셀(2060)이 드래그 입력되는 순서대로 듀얼 터치되어 터치패널(11)에 드래그 입력된다. 또한, 1 감지셀(1060) 및 제 2 감지셀(206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드래그 입력에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 방향으로 신장된 막대 형상의 셀로 구비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막대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 1 감지셀(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및 제 2 감지셀이(2061, 2062, 2063, 2064, 2065, 2066) 서로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iOS의 기능 중 한 가지로서, 배너 알림창(23) 배너 기능을 포함한다. 배너 알림창(23)은 사용자에게 메시지, 메일 및 App 소식 등이 도착되었을 때, 상태바가 자동으로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를 알려주는 기능이다. 이때, 상태바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하는 경우 iOS 또는 App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기능이 실행된다. 따라서, 상태바 섹션(17)을 터치하거나, 상태바 섹션(17)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할 수 있는 제 1 영역(106) 및 제 2 영역(206)을 이용하면 한 손으로 상술한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메시지, 카카오톡 및 라인 등의 도착으로 인해 배너 알림창(23)이 활성화 되는 경우, 상태바 섹션(17)에 위치하는 제 2 영역(206)을 듀얼 터치 함으로써 송신자에게 답장할 수 있도록 해당 소프트웨어로 전환된다. 또한, 배너 알림창(23)이 활성화 되는 경우, 상태바 섹션(17)에 위치하는 제 2 영역(206)을 듀얼 터치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하는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로의 전환 없이 해당 화면에서 즉시 답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송신자에게 즉시 답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상태바의 확장으로 나타나는 알림 센터(20)의 경우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오늘 버튼 및 알림 버튼이 탭 형식으로 형성된다. iOS에서 제공하는 오늘 버튼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알림 버튼의 경우 메시지 또는 App 등의 상태 및 호출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알림 센터(20)의 알림 섹션(22) 또는 오늘 섹션(21)을 듀얼 터치할 수 있도록 알림 섹션(22) 또는 오늘 섹션(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듀얼 터치되는 제 4 영역(400) 및 홈 버튼의 좌측 또는 우측의 비터치영역(12)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직접 터치 입력되는 제 5 영역(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4 영역(400)은 알림 섹션(22) 또는 오늘 섹션(21) 중 어느 한 섹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영역(400)은 상술한 제 2 영역(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고, 제 5 영역(500)은 상술한 제 1 영역(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즉, 제 4 영역(400)은 제 4 감지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제 5 영역(500)은 제 5 감지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 영역(400) 및 제 5 영역(500)은 듀얼 터치를 위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물론이다.
따라서, 홈 버튼(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제 5 영역(500)을 구비하고, 알림 섹션(22) 또는 오늘 섹션(21)에 제 4 영역(400)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iphone을 파지한 한 손으로 알림 센터(20)의 알림 또는 오늘 버튼을 듀얼 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추가로, 제 4 영역(400)은 오늘 섹션(21) 또는 알림 섹션(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iOS의 오늘 섹션(21) 및 알림 섹션(22)은 각각 뒤로 가기 섹션(15) 또는 앞으로 가기 섹션(17)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각 섹션에 모두 대응되는 위치에 제 4 영역(400)을 구비하면, 제 4 영역(400)은 오늘 섹션(21) 또는 알림 섹션(22)과 뒤로 가기 섹션(15) 또는 앞으로 가기 섹션(16)에 모두 듀얼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뒤로 가기 섹션(15)과 오늘 섹션(21)을 일례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오늘 섹션(21)의 크기 및 위치는 뒤로 가기 섹션(15)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4 영역(400)을 뒤로 가기 섹션(15)에 위치시키게 되면, 뒤로 가기 섹션(15)에 듀얼 터치 입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 섹션(21)도 함께 듀얼 터치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4 영역(400)은 뒤로 가기 섹션(15)에 대응되는 오늘 섹션(21)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단말기 11 : 터치패널
12 : 비터치영역 13 : 홈 버튼
15 : 뒤로 가기 섹션 16 : 앞으로 가기 섹션
17 : 횡단 스크롤 18 : 종단 스크롤
19 : 상태바 섹션(17) 20 : 알림 센터(20)
21 : 오늘 섹션(21) 22 : 알림 섹션(22)
23 : 배너 알림창(23) 30 : 필름
100 : 제 1 영역 110 : 제 1 감지셀
200 : 제 2 영역 210 : 제 2 감지셀
300 : 제 3 영역 400 : 제 4 영역
500 : 제 5 영역

Claims (12)

  1. 정전식 터치패널(11) 및 비터치영역(12)을 포함하는 단말기(10)에 부착되는 필름(3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필름(30)은,
    상기 비터치영역(12)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 1 영역(100);
    상기 터치패널(11)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 2 영역(200); 및
    상기 제 1 영역(100) 및 상기 제 2 영역(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영역(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00)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 3 영역(300)을 통해 상기 제 2 영역(200)에 대응하는 상기 터치패널(11)의 일부분에 듀얼 터치되고,
    상기 단말기(10)는 iOS 기반의 단말기(10)이고,
    상기 제 1 영역(100)은 상기 단말기(10)의 홈 버튼(13)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영역(200)은 상기 터치패널(11)의 뒤로 가기 섹션(15), 앞으로 가기 섹션(16) 또는 상기 터치패널(11)의 상단의 상태바 섹션(17)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100)은 하나 이상의 제 2 감지셀(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200)은 하나 이상의 제 1 감지셀(11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셀(110)은 제 2 감지셀(210)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200)이 상기 터치패널(11)의 종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영역(100)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의 UI가 종단 방향으로 스크롤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200)이 상기 터치패널(11)의 횡단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영역(100)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의 UI가 횡단 방향으로 스크롤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200)이 상기 터치패널(11)의 상단의 상태바 섹션(17)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100)을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 함으로써, 상기 제 2 영역(200)에 대응되는 상태바 섹션(17)이 하단 방향으로 확장되어 알림 센터(20)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센터(20)의 오늘 섹션(21)에 대응하는 제 4 영역(400); 및
    상기 제 4 영역(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홈 버튼(13)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 5 영역(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센터(20)의 알림 섹션(22)에 대응하는 제 4 영역(400); 및
    상기 제 4 영역(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홈 버튼(13)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 5 영역(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200)이 상기 터치패널(11)의 상단의 상태바 섹션(17)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배너 알림창(23)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100)에 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함으로써, 상기 배너 알림창(23)에 미리 저장된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메시지 도착으로 인해 상기 배너 알림창(23)이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미리 저장된 기능으로서 상기 메시지에 대한 답장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KR1020150104666A 2015-07-23 2015-07-23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KR10162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66A KR101621526B1 (ko) 2015-07-23 2015-07-23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666A KR101621526B1 (ko) 2015-07-23 2015-07-23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526B1 true KR101621526B1 (ko) 2016-05-16

Family

ID=5610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666A KR101621526B1 (ko) 2015-07-23 2015-07-23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63A (ko) * 2016-12-15 2018-06-25 (주)컨트릭스랩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가상현실 감상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5213A (ja) 2011-02-18 2012-09-1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5213A (ja) 2011-02-18 2012-09-10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663A (ko) * 2016-12-15 2018-06-25 (주)컨트릭스랩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가상현실 감상기기
KR101966825B1 (ko) * 2016-12-15 2019-08-13 (주)컨트릭스랩 터치패널 및 이를 구비한 가상현실 감상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2334B (zh) 触摸屏幕的控制方法及装置
EP250081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0798301B1 (ko)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188097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691464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328202B1 (ko)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EP2698708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having multi-tasking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the same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61323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ed information on touch screen thereof
KR20100094777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특수 기호 입력 장치 및 방법
TW201133307A (en) Touch function identif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13167063A2 (zh) 一种触摸屏终端、控制装置以及触摸屏终端的工作方法
KR20120131906A (ko) 터치센서 겸용 버튼이 장착된 스마트폰
JP5854928B2 (ja) 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140085208A1 (en) Touchscree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5099577A (ja) タッチパネル
KR101621526B1 (ko) 듀얼 터치가 가능한 단말기용 필름
CN104978135A (zh) 一种图标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3150085A (ja) タッチパネル式携帯端末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190130B (zh) 一种触控式主动笔
JP2016035705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5045431A (zh) 用于触摸屏终端的智能传感器及其触摸检测方法
KR20150098366A (ko)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KR101692848B1 (ko) 호버링을 이용하는 가상 터치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