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71B1 -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71B1
KR101620071B1 KR1020090087532A KR20090087532A KR101620071B1 KR 101620071 B1 KR101620071 B1 KR 101620071B1 KR 1020090087532 A KR1020090087532 A KR 1020090087532A KR 20090087532 A KR20090087532 A KR 20090087532A KR 101620071 B1 KR101620071 B1 KR 10162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hared
bandwidth
access points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728A (ko
Inventor
이인선
장경훈
황찬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71B1/ko
Priority to US12/880,919 priority patent/US9008032B2/en
Publication of KR2011002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액세스 포인트를 위한 기본 주파수 대역보다 큰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기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공유 주파수 대역, indoor 환경

Description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frequency band, access point and method for setting frequency band}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대역 설정과 관련된 것이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통신 기술 중 하나가 인도어(indoor) 환경에서 활용되는 차세대 무선랜이다. 차세대 무선랜이 사용되는 환경은 보이스,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 타입에 따라 트래픽의 양이 변하며, 서비스 타입에 따라 다양한 대역을 사용한다.
실내에는 복수의 AP들(Access Point)이 설치되므로, 수 GHz 대역 이상의 고주파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AP들은 넓은 대역의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복수의 AP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대역의 채널이 AP 개수만큼 필요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픽의 종류가 다양한 경우 모든 AP에 큰 대역 을 할당하는 것은 주파수의 낭비를 초래하며, 또한, 복수의 AP에 동시에 할당할 수 있는 채널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주파수 활용률을 극대화하여 각 AP와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산출하는 산출부와, 및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산출된 각각의 기본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인접(non-contiguous)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및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위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비교하여,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에 따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요청하여,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토큰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기의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토큰을 반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복수의 단말기들이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와, 및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산출된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인접(non-contiguous)하도록 상기 주파수 대역을 분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은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액세스 포인트를 위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은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경우,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 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토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토큰을 반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들이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자원환경 및 동적으로 채널이 가변하는 환경에서, 공유 스펙트럼 또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된 주파수 자원의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광대역폭을 요구하는 단말기의 경우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파수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차세대 무선랜에서의 광대역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공유 주파수 대역의 활용을 통한 QoS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주파수 대역을 복수개 설정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들 또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시에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제안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100)는 인도어(indoor) 네트워크 환경에 마련되어, 인도어 네트워크 환경에 설치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 제공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100)는 인도어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되는 각 액세스 포인트이거나 또는 홈게이트웨이로 적용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일 수 있다. 다만,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100)가 네트워크 컨트롤러인 경우,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100)는 제어부(120)의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100)는 산출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산출부(11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Effective rate를 고려하여 각각 산출한다. Effective rate를 고려한 기본 주파수 대역(E1’~EN’, N은 양수)의 산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 APN, N은 양수)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산출된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E1’, E2' …, EN')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한다. 도 2에서 t는 시 간, f는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파수에서 각 기본 주파수 대역을 제한 나머지 영역을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주파수에서 일정량의 공유 주파수 대역을 먼저 분할한 후, 나머지 대역을 각 기본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공유 주파수 대역은 공유 스펙트럼(SS: Shared Spectrum)으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공유 주파수 대역(SS)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APN에 설정된 기본 주파수 대역보다 APN에 접속된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의 양이 크면, 기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을 APN에 접속된 단말기에게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대용량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단말기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공유하도록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를 원활히 처리할 수 있다.
도 3a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비인접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120)는 공유 주파수 대역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 APN)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에 인접하도록(contiguous) 공유 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공유 주파수 대역과 각 기본 주파수 대역의 에지가 오버랩되도록, 공유 주파수 대역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본 주파수 대역의 사이에 설정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기본 주파수 대 역을 0~40MHz에 설정하고, 제2액세스 포인트(AP2)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80MHz~120MHz에 설정하였으며, AP1과 AP2 사이인 40~80MHz 영역에 공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AP1이 담당하는 영역에 있는 단말기는 AP1의 일부 채널(예를 들어 0~20MHz) 또는 전체 채널(0~40MHz)을 사용할 수 있다.
IEEE 802.11x 규격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은 primary channel(P)과 secondary channel(S)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AP1의 P와 AP2의 P를 주파수의 양 끝에 설정하고, AP1의 S와 AP2의 S 사이에, 즉, 가운데에 공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공유 주파수 대역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 AP2, …, APN)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인접(non-contiguous)하도록 공유 주파수 대역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각 액세스 포인트(AP1, AP2, …, APN)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이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각 기본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며, 각 액세스 포인트(AP1, AP2, …, APN)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도 3b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0≤AP1의 기본 주파수 대역<40MHz, 40 MHz≤AP2의 기본 주파수 대역<80MHz, 142MHz≤AP3의 기본 주파수 대역<162MHz 인 기본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크기의 공유 주파수 대역을 예를 들어, 81MHz≤SS<121MHz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의 위치는 일 예로서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시간에 따라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각 액세스 포인트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는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Required f는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t는 시간, AP1~AP4는 제1 내지 제4액세스 포인트, E1’~E4'는 각 AP1~AP4의 Effective rate를 고려한 기본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초과하는 대역폭이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는 상술한 방식에 의해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을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AP1~A4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AP1~A4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시간 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AP1, AP2, AP3 및 AP4 각각은 서로 다른 시간 영역에서, 'd'시간 동안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각 d와 SS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도 6a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도어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인도어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같은 인도어 환경의 경우,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는 인도어 환경에 구비된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가 공유할 공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 중 제1액세스 포인트(AP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제1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 록도이다.
제1액세스 포인트(AP1)는 가정 또는 사무실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액세스 포인트(AP1)는 제1통신부(610) 및 제1제어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610)는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제1액세스 포인트(AP1)가 제어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기(MS: Mobile Station),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와 유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MS1, MS2)는 모바일 폰, 랩탑, 노트북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700)가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공유할 공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이 온 되거나 액세스 포인트가 새로 설치되는 등의 초기 상황에서, 각 단말기(MS1, MS2)는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계산하고,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을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요청하는 이벤트(bandwidth request)를 전송한다. 이벤트(bandwidth request)는 각 단말기(MS1, MS2)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의 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610)가 각 단말기(MS1, MS2)로부터 이벤트(bandwidth request)를 수신하면, 제1제어부(620)는 각 단말기(MS1, MS2)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제1액세스 포인트(AP1)가 사용할 기본 주파수 대역(E1')를 산출할 수 있다. 기본 주파수 대역은 각 단말기(MS1, MS2)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의 평균값인 Effective Rate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620)는 를 만족하는 Xi 값들로부터 Effective Rate, 즉,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할 수 있다. Xi는 i번째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 N은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 접속된 단말기 개수, C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가용 대역폭, 는 outage ratio를 나타낸다. outage ratio는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이다.
제1제어부(620)는 제1통신부(6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로부터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으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할당된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 단말기(MS1, MS2)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단말기(MS1, MS2)에게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는 홈게이트웨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통신부(710) 및 제2제어부(720)를 포함한다. 제2제어부(720)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2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통신부(71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과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로부터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제어부(720)는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액 세스 포인트들(AP1~AP4)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산출된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E1’~E4')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제2제어부(720)는 주파수 중 제1액세스 포인트(AP1)가 요청한 기본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기설정된 양의 공유 주파수 대역의 위치(즉, 주파수 범위)를 주파수에 지정할 수 있다. 제2제어부(720)가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 및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제2제어부(720)는 설정된 기본 주파수 대역을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할당하고, 이 때, 공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 의해,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가 공유할 공유 주파수 대역이 할당됨으로써,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가 기본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본대역폭이 할당된 후,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기(MS1)는 데이터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산출한 후,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요청하는 이벤트(required bandwidth)를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전송한다.
제1제어부(620)는 제1통신부(610)가 수신한 이벤트(required bandwidth)를 기반으로 Effective rate, 즉,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할 수 있다. 제1제어 부(620)는 수신한 이벤트로부터 단말기(MS1)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확인하고,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과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비교할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비교결과,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이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요청하도록 제1통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요청에 응답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허가 토큰을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허가 토큰을 수신하면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고, 단말기(MS1)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의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비컨(Beacon field, bcn)의 필드에 포함시켜 단말기(MS1)에게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통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620)는 단말기(MS1)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에 따라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할당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CTS-Self-Extension 프레임은 IEEE 802.11x 규격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서, Duration 필드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 시간에 대한 정보, RA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어드레스, SS info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위치, 대역폭), FCS(Frame Check Sequence)는 에러 검출을 위한 필드이다. 또한, Frame Control 필드는 현재 프레임의 타입을 정의(예를 들어, subtype description 필드)할 수 있다.
단말기(MS1)는 제1액세스 포인트를 주기적으로 센싱하는 CS(Carrier Sensing) 동작에 의해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단말기(MS1)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파싱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공유 주파수 대역에 랜덤 접근(Random Access)할 수 있다.
단말기(MS1)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완료되어 다른 주파수 대역폭이 필요하면,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을 제1액세스 포인트(AP1)에게 요청할 수 있다.
제1제어부(620)는 단말기(MS1)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기본 주파수 대역 이하이면, 제1제어부(620)는 도 9와 같은 CF-End-Return 프레임을 생성하여 단말기(MS1)에게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가 해제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도 9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 해제를 통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는 제1액세스 포인트(AP1)를 중심으로 형성된 무선 셀인 BSS의 ID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62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반납할 수 있다. 토큰의 요청, 사용 및 반납은 타임 슬롯(time slot)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620)는 단말기(MS1)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중 CTS-Self-Extension 프레임에 설정된 duration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 단말기(MS1)에게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 해제를 통지할 수 있다.
도 10은 제1액세스 포인트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 및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ch a(control)은 단말기(MS1)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채널, ch b(extension to SS)는 공유 주파수 대역에 의해 확장된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채널이다.
제1액세스 포인트(AP1)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의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단말기(MS1)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였음을 통지하고, 공유 주파수 대역(즉, 공유 채널)의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말기(MS1)는 CS 동작에 의해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센싱하여 파싱하고,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MS1)는 이전 40MHz의 대역폭에서 확장된 80MHz 대역폭을 사용한다. 단말기(MS1)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이 끝나면, 제1액세스 포인트(AP1)는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기(MS1)는 CS 동작에 의해 CF-End-Return 프레임이 센싱되면, 이전에 사용한 40MHz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도 11을 참조하여, 액세스 포인트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제3액세스 포인트를 예로 든다.
도 11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제3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3액세스 포인트(AP2)는 제3통신부(810), 제3저장부(820) 및 제3제어부(830)를 포함한다. 제3제어부(8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산출부(110) 및 제어부(120)와 거의 동일하므로 기본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초기 상황에서, 각 단말기(MS3, MS4)는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E3)을 계산하고,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을 제3액세스 포인트(AP3)에게 요청한다.
제3통신부(810)는 단말기(MS3)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한다.
제3저장부(820)는 제3액세스 포인트(AP3)가 설치된 실내 환경에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공유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공유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 중 마스터로 설정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AP3)가 설정할 수 있다.
제3제어부(830)는 제3통신부(810)가 단말기(MS3)로부터 수신한 이벤트를 파싱하여 각 단말기(MS3, MS4)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확인한다. 제3제어부(830)는 확인된 각 주파수 대역폭을 기반으로 기본 주파수 대역 또는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산출하고,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제3액세스 포인트(AP3)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은 각각 설정한 기본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통신에 의해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액세스 포인트(AP3)의 기본 주파수 대역이 할당된 후, 단말기(MS3, MS4)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말기(예를 들어, MS3)는 데이터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산출한 후,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을 요청하는 이벤트(required bandwidth)를 제3액세스 포인트(AP3)에게 전송한다.
제3제어부(830)는 제3통신부(810)가 수신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제3액세스 포 인트(AP3)에 필요한 기본 주파수 대역 또는 기본 주파수 대역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제3제어부(830)는 단말기(MS3)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기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과 기본 주파수 대역을 단말기(MS3)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제3제어부(830)는 도 8과 같은 포맷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고,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 해제시에는 도 9와 같은 포맷의 프레임을 단말기(MS3)에게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파수 대역폭 할당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폭 할당장치의 주파수 대역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210단계에서 산출부(110)는 인도어 환경에 설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Effective rate를 고려하여 각각 산출한다.
1220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산출된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E1’~E4')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 각 기본 주파수 대역(AP1~AP4)과 공유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1210단계 및 1220단계는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 또는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 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원이 온 되거나 액세스 포인트가 새로 설치되는 등의 초기 상황에서, 각 단말기(MS1, MS2)는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BW Request)을 계산한다. 1310단계에서 제1통신부(610)는 각 단말기(MS1, MS2)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BW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132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각 단말기(MS1, MS2)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제1액세스 포인트(AP1)가 사용할 기본 주파수 대역를 산출할 수 있다.
133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제1통신부(6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1330단계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는 설치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를 각 액세스 포인트(AP1~AP4)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134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로부터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으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135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할당된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 단말기(MS1, MS2)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단말기(MS1, MS2)에게 할당할 수 있다. 즉, 135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1310단계에서 수신한 BW Request에 대응하는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4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의하면, 1410단계에서,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제1통신부(610)는 단말기(MS1)로부터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 Request)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한다.
1415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수신한 이벤트를 기반으로 제1액세스 포인트(AP1)의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즉, Effective rate를 산출할 수 있다.
142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이 크면, 1425단계에서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1430단계에서, 제1통신부(610)는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로부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토큰을 수신할 수 있다.
토큰을 수신하면, 1435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고, 1440단계에서 단말기(MS1)에게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을 할당할 수 있다. 즉, 144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단말기(MS1)에게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다.
단말기(MS1)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에 포함된 SS Info 필드로부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확인하고, 공유 주파수 대역에 랜덤 접근(Random Access)할 수 있다.
1445단계에서 제1통신부(610)는 단말기(MS1)로부터 다른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145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단말기(MS1)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이하이면, 1455단계에서 단말기(MS1)에게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가 해제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가 해제되면, 1460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제1통신부(6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컨트롤러(700)로부터 수신한 토큰을 네트워크 컨트롤러(700)에게 반납할 수 있다.
1465단계에서, 제1제어부(620)는 1445단계에서 단말기(MS1)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을 단말기(MS1)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1제어부(620)는 1445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CTS-Self-Extension 프레임에 설정된 duration이 만료되면, 단말기(MS1)에게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 해제를 통지할 수 있다.
도 15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없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원이 온 되거나 액세스 포인트가 새로 설치되는 등의 초기 상황에서, 각 단말기(MS1, MS2)는 통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BW Request)을 계산한다. 1510단계에서 제3통신부(810)는 각 단말기(MS3, MS4)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BW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152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제3액세스 포인트(AP3)의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수신한 각 주파수 대역폭(BW Request)을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153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1~AP4)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제3액세스 포인트(AP3)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제3제어부(830)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AP4)가 사용할 기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설정된 양의 대역폭은 남겨둘 수 있다.
154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제3통신부(810)를 제어하여 1510단계에서 각 단말기(MS3, MS4)들이 요청한 주파수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6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없는 경우, 제3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의하면, 1610단계에서, 제3통신부(810)는 단말기(MS3)로부터 서비스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 Request)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162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단말기(MS3)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 Request)을 기반으로 제3액세스 포인트(AP3)에 필요한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할 수 있다.
163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단말기(MS3)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1640단계에서 기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할 수 있다.
165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단말기(MS3)가 요청한 필요한 주파수 대역 폭(Required BW)를 할당하고, 도 8과 같은 포맷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단말기(MS3)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을 파싱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에 랜덤 접근(Random Access)할 수 있다.
1660단계에서 제3통신부(810)는 단말기(MS3)로부터 다른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167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단말기(MS3)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이하이면, 1680단계에서 단말기(MS3)에게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의 점유가 해제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1690단계에서, 제3제어부(830)는 1660단계에서 단말기(MS3)가 요청한 주파수 대역폭(Required BW)를 단말기(MS3)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제3제어부(830)는 1660단계로 진입하기 이전에 CTS-Self-Extension 프레임에 설정된 duration이 만료되면, 단말기(MS3)에게 CF-End-Return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여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 해제를 통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도 1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각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인접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비인접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시간에 따라 공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각 액세스 포인트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하는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와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도어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구비된 인도어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제1액세스 포인트 및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도시한 블록도,
도 8는 CTS-Self-Extension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CF-End-Return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1액세스 포인트가 공유 주파수 대역을 점유 및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제3액세스 포인트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폭 할당장치의 주파수 대역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없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주파수 대역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6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없는 경우, 제3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110 : 산출부
120 : 제어부 AP1 : 제1액세스 포인트
610 : 제1통신부 620 : 제1제어부
700 : 네트워크 컨트롤러 710 : 제2통신부
720 : 제2제어부

Claims (21)

  1.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의 개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가용 대역폭, 및 불능 비율(outag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산출된 각각의 기본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불능 비율은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인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인접(non-contiguous)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4. 액세스 포인트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위한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비교하여,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의 개수,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및 불능 비율(outag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고,
    상기 불능 비율은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인 액세스 포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에 따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할당하는 액세스 포인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되는 액세스 포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요청하여,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토큰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액세스 포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말기의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토큰을 반납하는 액세스 포인트.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는 액세스 포인트.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액세스 포인트.
  11.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과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의 개수,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가용 대역폭, 및 불능 비율(outag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필요로 하는 기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산출된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능 비율은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인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기본 주파수 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비인접(non-contiguous)하도록 상기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14.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의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복수의 단말기들의 개수,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 대역폭, 및 불능 비율(outag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위한 기본 주파수 대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보다 크면,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공유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을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능 비율은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인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게 할당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은 상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에 따라 가변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서 설정된 경우,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설정된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허가하는 토큰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토큰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공유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상기 토큰을 반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기본 주파수 대역의 할당을 네트워크 컨트롤러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기본 주파수 대역과 상기 공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공유 주파수 대역 사용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87532A 2009-09-16 2009-09-16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KR10162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32A KR101620071B1 (ko) 2009-09-16 2009-09-16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US12/880,919 US9008032B2 (en) 2009-09-16 2010-09-13 Frequency band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access point, and frequency band using method of access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32A KR101620071B1 (ko) 2009-09-16 2009-09-16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28A KR20110029728A (ko) 2011-03-23
KR101620071B1 true KR101620071B1 (ko) 2016-05-12

Family

ID=43730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32A KR101620071B1 (ko) 2009-09-16 2009-09-16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08032B2 (ko)
KR (1) KR101620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1226A (en) * 2011-05-27 2012-11-28 Vodafone Ip Licensing Ltd Single band query of frequency bands supported by a multi-band WLAN access point
WO2015112173A1 (en) * 2014-01-27 2015-07-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adio band assignment
US20150381336A1 (en) * 2014-06-30 2015-12-31 Intel IP Corporation Multi-user aggregation over frequency
US10554350B2 (en) * 2015-08-04 2020-02-0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ub-partitioning of wireless wideband channel and us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254A1 (en) * 2007-01-15 200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frequency band allocation between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371B1 (ko) 2000-08-26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에서의 억세스 단말 및 그 대역폭 할당방법
GB2391433B (en) 2002-07-31 2007-03-28 Hewlett Packard Co Bandwidth allocation
US20040203828A1 (en) 2002-12-06 2004-10-14 Vinod Mirchandani Selective channel assignment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041619A1 (en) * 2003-08-22 2005-02-24 Karabinis Peter D. Wireless systems, methods and devices employing forward- and/or return-link carrier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sub-band carriers
US7414969B2 (en) 2003-10-15 2008-08-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EEE 802.11 network admission control
EP1784990A4 (en) 2004-08-31 2010-02-24 At & T Corp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ssignment in a wireless local network
US20060251013A1 (en) 2005-05-04 2006-11-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source allocation in multi-access point wireless networks
KR100943614B1 (ko) * 2005-05-31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무선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파수 자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7796566B2 (en) 2005-06-22 2010-09-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dynamic channel management and dynamic bandwidth chang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FI20065269A0 (fi) * 2006-04-26 2006-04-26 Nokia Corp Spektrin käyttö radiojärjestelmässä
US7864663B2 (en) * 2007-05-25 2011-0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rthogonal spread-spectrum waveform generation with non-contiguous spectral occupancy for use in CDMA communications
FI20075859A0 (fi) * 2007-11-30 2007-11-30 Nokia Corp Järjestelmien välinen häiriökontrolli
US8934405B2 (en) * 2008-05-06 2015-0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ssion scheduling and control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355734B2 (en) * 2008-08-07 2013-01-15 Apple Inc. Wireles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254A1 (en) * 2007-01-15 2008-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frequency band allocation between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28A (ko) 2011-03-23
US20110064062A1 (en) 2011-03-17
US9008032B2 (en)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960B2 (en) Frequency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for unauthorized frequency band
RU2718958C1 (ru) Расшире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ас в режиме передачи много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edca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US9961685B2 (en) Progressive resource allocation for vehicular communication
EP296250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fferentiated fast initial link setup
US10499254B2 (en) Frequency spectrum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571153B (zh) 用於一無線通訊系統之基地台及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
US20230328589A1 (en)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KR102087656B1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분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US2013022999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fferentiated Association Service Provisioning in WiFi Networks
US20140038657A1 (en) Resource allocation in a coexistence system
US202401556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94337A (ja) キャリアセンス多重アクセス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EP2847941B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vision quality of service sensitive device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09716819B (zh) 一种信道控制方法,及设备
US8929387B2 (e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50435B2 (en) Method for obtaining request of station, access point, and station
KR101620071B1 (ko) 주파수 대역 설정 장치 및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그의 주파수 대역 설정 방법
CN115843115A (zh) 侧行通信的方法及装置
KR20150015264A (ko) 무선 네트워크의 분산 접속 방법 및 장치
EP38134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unlicensed band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003594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ban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50285B2 (en) Multi-channel virtual sensing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167777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동적 대역폭 변경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114529A1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KR101514645B1 (ko) 계획된 접속이 가능한 무선망의 무선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획된 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