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680B1 -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 Google Patents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680B1
KR101618680B1 KR1020140060212A KR20140060212A KR101618680B1 KR 101618680 B1 KR101618680 B1 KR 101618680B1 KR 1020140060212 A KR1020140060212 A KR 1020140060212A KR 20140060212 A KR20140060212 A KR 20140060212A KR 101618680 B1 KR101618680 B1 KR 10161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panel
module
fra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88A (ko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태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태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6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68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측 공간부를 구비한 패널 프레임(10);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결합되며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투시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20);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상기 패널(20)이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는 픽싱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10)은 상기 패널(20)의 양쪽면 중에서 한쪽의 제1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1프레임 모듈(12M); 상기 패널(20)의 다른 쪽 제2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2프레임 모듈(15M)을 포함하며, 상기 픽싱부재(30)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시켜서 상기 패널(20)의 양면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Fence with work watching panel}
본 발명은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과 패널 조립 작업시 조립 공수가 줄어들고 조립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한 새로운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투시용 패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여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요인을 해소한 새로운 구조의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공장이나 건설 현장 등과 같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는 안전, 방풍, 작업 상태 확인 등의 목적으로 펜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 중에서는 고정식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직립형 펜스도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75362호는 방풍을 위해 사용되는 용접용 방풍 펜스이다. 조선소와 같이 해안가 혹은 선박 위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강한 바람에 의해 용접 효율이 떨어지거나 용접결함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작업 공간의 주위에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75362호와 같은 방풍 펜스를 설치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75362호는 기본적으로 사각판 형태의 방풍 패널들을 경첩과 같은 힌지부에 의해 절첩시킬 수 있는 한편 사용시에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쳐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이동식 직립형 펜스의 경우 펜스 패널의 하단부에 서포트 레그가 설치되고, 서포트 레그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이동식 직립형 펜스를 세워놓고 캐스터에 의해 필요한 장소에 옮겨서 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용접 공장 등에서 작업 상태 확인을 위하여 펜스 패널 자체를 투명창 형태로 구성한 것이 있다. 이러한 투시창 형태의 펜스에서 펜스 패널은 대략 사각틀 형태의 패널 프레임에 투시 가능한 패널을 설치한 구성이다. 특히, 용접 공장에서 용접 상태 확인 작업을 위하여 패널 프레임에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면서 그린이나 짙은 흑색 등의 색깔이 있는 패널을 설치한 구조의 이동식 직립형 펜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펜스 패널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사각틀 형태의 패널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각의 상하 좌우 프레임 바아를 일일이 용접하고 패널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투시용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패널 프레임은 물론 반투명 패널 자체에도 볼트 결합공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투시 가능한 반투명 패널이 특수한 폴리카보네이트판이기는 하여도 패널 자체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즉, 패널 프레임 자체의 형성을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 바아를 일일이 용접하는 작업 이외에 패널 프레임과 특수 투시 가능한 패널(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판)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해야 하므로 작업시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문제와 작업의 번거로움 및 작업 공수의 증가가 초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특수 투시용 패널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패널 프레임의 내측 위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과 투시용 패널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패널 프레임과 패널을 고정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접합용 실리콘을 일일이 도포하여야 함으로 인한 작업 시간 지연과 작업 공수 증가의 문제는 여전히 초래되는 것이며, 상기 접합용 실리콘이 시간이 지나면서 물성 변화가 생겨서 패널 프레임과 패널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도 생긴다. 그리고, 상기 특수 반투명 패널의 경우 고가의 제품이라서, 특수 반투명 패널의 사이즈(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존에는 특수 투시용 패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조건에 처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04186호(2009.06.16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75362호(2013.07.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부인 투시용 패널과 패널 프레임의 조립 작업시 조립 공수가 줄어들고 조립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능률적인 새로운 구조의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등의 작업시 확인을 위한 투시용 패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여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 요인을 해소하며, 제품 단가가 낮아지는 만큼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새로운 구조의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공간부를 구비한 패널 프레임; 상기 패널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결합되며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투시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 상기 패널 프레임에 상기 패널이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는 픽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은 상기 패널의 양쪽면 중에서 한쪽의 제1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1프레임 모듈; 상기 패널의 다른 쪽 제2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2프레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픽싱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을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시켜서 상기 패널의 양면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가 제공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은 한 쌍의 나란한 제1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 한 쌍의 나란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가 상호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은 한 쌍의 나란한 제2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 한 쌍의 나란한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가 상호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픽싱부재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 중에서 한쪽의 프레임 모듈에 구비된 픽싱 너트와, 상기 픽싱 너트가 구비된 상기 한쪽의 프레임 모듈과 마주하는 다른 프레임 모듈에서 상기 픽싱 너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 사이에 개재된 상기 패널의 양면이 그립되도록 지지하는 픽싱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 볼트와 상기 픽싱 너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패널은 상기 슬리브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상하측 단부 및 좌우측 단부가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 상기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는, 베이스 바아편; 상기 베이스 바아편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 상기 크로스 연장편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편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 상기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는, 베이스 바아편; 상기 베이스 바아편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 상기 크로스 연장편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편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모듈의 상기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상기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 중에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들의 중심부에 더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바아편에 상기 패널의 양면이 상기 픽싱 너트에 체결되는 상기 픽싱 볼트에 의해 가압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의 상기 한 쌍의 서로 나란한 크로스 연장편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서로 나란한 상기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 중에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중심부에 더 가까운 하나의 크로스 연장편은 내측 크로스 연장편을 구성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중심부에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크로스 연장편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을 구성하며,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외측 크로스 연장편의 전후 방향 폭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상기 외측 크로스 연장편들에 각각 구비된 상기 콘택트 바아편이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들에 구비된 상기 콘택트 바아편들 사이에는 상기 패널이 개재되는 패널 인서트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의 상기 베이스 바아편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의 상기 베이스 바아편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에 각각 연결되는 제1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 및 제2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과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은 서로 만나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과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도 서로 만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과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의 양끝단 코너 구멍에는 픽싱 너트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는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가 안착되기 위한 상측 절단부 및 하측 절단부와, 상기 하측 절단부의 아래에 배치된 보조 절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의 상기 하측 절단부들에는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제2프레임 모듈의 상기 보조 절단부들에는 각각 제1보조 프레임 바아와 제2보조 프레임 바아가 결합되고,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1보조 프레임 바아 사이에는 제1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보조 프레임 바아 사이에는 제2패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고정편을 구비한 중공의 판 구조이며, 상기 크로스 고정편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와 한 쌍의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상기 크로스 고정편에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에 형성된 구멍과 정렬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는 패널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각의 상하 좌우 프레임 바아를 일일이 용접하고 패널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기 투시용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패널 프레임은 물론 투시용 패널 자체에도 볼트 결합공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패널(투시용 패널) 자체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문제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시가 가능한 투명 판 구조의 패널 둘레부는 패널 프레임에 구비된 슬리브들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라서 슬리브의 외경만큼 패널의 사이즈를 더 줄일 수 있으므로, 패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패널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인다는 것은 고가의 패널 재료가 절감되어 제품 코스트를 많이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슬리브에 의해 투시용(관찰용) 패널을 둘레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라서 이동중에 패널 프레임이 패널에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이동 등의 취급중에 불량이 생기는 경우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의 B 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C 부분의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에서 주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2의 A 부분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2의 B 부분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요부인 패널 프레임(10)이 두 개의 대칭되는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로 구성되고,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에 의해 투시 가능한 패널(20)의 양면이 지지되어 프레임 모듈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20)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은 픽싱부재(3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20)을 구비한 펜스이다. 본 발명에서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은 투시 가능한 패널(20)(투시 패널이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패널로 칭하기로 함)의 양쪽면 중에서 한쪽의 제1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제1프레임 모듈(12M)은 내측 제1공간부를 구비하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프레임 모듈(12M)은 한 쌍의 나란한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및 한 쌍의 나란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는 단면 일자형 판형상의 베이스 바아편(BP)과, 이러한 베이스 바아편(BP)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과, 이러한 크로스 연장편(EP)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바아편(B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을 포함한다. 즉,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는 베이스 바아편(BP)과 크로스 연장편(EP) 및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이 길게 연장된 바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 모듈(12M)을 형성하는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위쪽의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을 구성하는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의 전후 방향 폭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의 전후 방향 폭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다.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한쪽 측단부에서 볼 때에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이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으로 연장된 폭이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이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으로 연장된 폭에 비하여 더 작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바아편(B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바아편(B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에 비하여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면으로부터 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된다.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이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과의 사이에 폭의 차이가 있는 만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과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 사이에 폭의 차이가 발생한다.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이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안쪽면에서 상기 폭의 차이만큼 더 들어와서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는 후술하는 픽싱부재(30)의 결합을 위한 구멍(H)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베이스 바아편(BP)에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바아편(BP)의 복수개의 구멍(H)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개의 구멍(H)이 베이스 바아편(B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는 것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는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는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와 마찬가지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도 단면 일자형 판형상의 베이스 바아편(BP)과, 이러한 베이스 바아편(BP)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과, 이러한 크로스 연장편(EP)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바아편(B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을 포함한다. 즉,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베이스 바아편(BP)과 크로스 연장편(EP) 및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이 길게 연장된 바아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도 제1프레임 모듈(12M)을 형성하는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은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정면에서 볼 때에 양쪽 측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안쪽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바깥쪽의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을 구성하는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의 전후 방향 폭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의 전후 방향 폭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된다.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단부에서 볼 때에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이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으로 연장된 폭이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이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으로 연장된 폭에 비하여 더 작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바아편(B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바아편(BP)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에 비하여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면으로부터 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된다.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이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과의 사이에 폭의 차이가 있는만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과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 사이에 폭의 차이가 발생한다.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이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안쪽면에서 상기 폭의 차이만큼 더 들어와서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후술하는 픽싱부재(30)의 결합을 위한 구멍(H)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베이스 바아편(BP)에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바아편(BP)의 복수개의 구멍(H)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개의 구멍(H)이 베이스 바아편(BP)의 상하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 및 보조 절단부(11MC)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 절단부(11UC)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단부에서 일정 길이 아래 위치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을 상단부에서 일정 길이 아래로 내려온 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상기 상측 절단부(11UC)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절단부(11UC)가 제1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와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바아 결합홈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측 절단부(11UC)가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단부와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사각형 바아 결합홈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가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라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측 절단부(11UC)에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양쪽 측단부가 딱 맞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의 상단부에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아래가 받쳐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상측 절단부(11UC)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멍(H)이 배치된다.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면을 따라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 구멍(H) 중에서 상측 절단부(11UC) 영역에도 배치되도록 구멍(H)이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베이스 바아편(BP)의 구멍(H) 중에서 상측 절단부(11UC) 영역에 배치된 구멍(H)은 코너부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과 만나는 구멍(H)이 형성된다.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에 만나는 구멍(H)이 역시 형성된다.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구멍(H) 중에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과 만나는 구멍(H) 역시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코너부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절단부(11LC)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측 절단부(11UC)로부터 일정 길이 아래로 내려온 위치에 배치된다.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측 절단부(11UC)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아래로 내려온 위치를 절단함으로써 하측 절단부(11L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절단부(11UC)를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을 상단부에서 일정 길이 아래로 내려온 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상기 상측 절단부(11UC)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측 절단부(11LC)가 제1사이드 프레임의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바아 결합홈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하측 절단부(11LC)는 제1사이드 프레임의 상단부로는 개방되어 있지 않고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사각홈 구조라는 점에서 상측 절단부(11UC)의 구조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측 절단부(11UC)가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사각형 바아 결합홈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라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측 절단부(11LC)에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의 양쪽 측단부가 딱 맞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 절단부(11LC)를 기준으로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된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의해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위쪽과 아래가 받쳐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멍(H)이 배치된다.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면을 따라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 구멍(H) 중에서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도 배치되도록 구멍(H)이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베이스 바아편(BP)의 구멍(H) 중에서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 배치된 구멍(H)은 하측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과 만나는 구멍(H)이 형성된다.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측 구멍(H)에 만나는 구멍(H)이 역시 형성된다.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구멍(H) 중에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측 구멍(H)과 만나는 구멍(H)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코너부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단부에는 보조 절단부(11MC)가 구비된다. 보조 절단부(11MC)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단부에서 일정 길이 위쪽 위치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을 하단부에서 일정 길이 위쪽으로 올라온 길이만큼 절단함으로써 상기 보조 절단부(11MC)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절단부(11MC)가 제1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와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바아 결합홈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 절단부(11MC)가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하단부와 내측단 및 안쪽면으로 개방된 사각형 바아 결합홈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보조 프레임 바아(19)가 단면 사각형 바아 구조라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보조 절단부(11MC)에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양쪽 측단부가 딱 맞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과 내측 콘택트 바아편(CP1) 및 외측 콘택트 바아편(CP2)의 하단부에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의 위쪽이 받쳐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멍(H)이 배치된다.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면을 따라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의 전체 구멍(H) 중에서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도 배치되도록 구멍(H)이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베이스 바아편(BP)의 구멍(H) 중에서 하측 절단부(11LC) 영역에 배치된 구멍(H)도 코너부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 바아(19)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과 만나는 구멍(H)이 형성된다.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H)이 배치되는데, 상기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베이스 바아편(BP)에도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에 만나는 구멍(H)이 역시 형성된다.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구멍(H) 중에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부 구멍(H)과 만나는 구멍(H) 역시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코너부 구멍(H)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 및 보조 프레임 바아(19)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되어 제1프레임 모듈(12M)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제1프레임 모듈(12M)과 만나도록 결합되는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 및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구성은 제1프레임 모듈(12M)의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 및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 및 보조 프레임 바아(19)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 및 보조 프레임 바아(19)가 사각틀 형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 모듈(15M)의 안쪽면이 제1프레임 모듈(12M)의 안쪽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픽싱부재(3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싱부재(30)는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중에서 한쪽의 프레임 모듈에 구비된 픽싱너트(32)와, 상기 픽싱너트(32)가 구비된 한쪽의 프레임 모듈과 마주하는 다른 프레임 모듈에서 픽싱너트(32)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개재된 패널(20)의 양면이 그립되도록 지지하는 픽싱볼트(34)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픽싱볼트(34)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개재된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싱너트(32)는 기단부측 외주면에 각각 아웃터 플랜지부(32b)와 이너 플랜지부(32a)가 구비된 단관 구조이다. 또한, 픽싱너트(32)는 내부에 선단부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만큼 들어온 볼트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베이스 바아편(BP)의 구멍(H)에 픽싱너트(32)가 끼워져서 베이스 바아편(BP)의 안쪽면과 바깥면에 각각 이너 플랜지부와 아웃터 플랜지부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픽싱너트(32)가 제2프레임 모듈(15M)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물론, 픽싱너트(32)가 제1프레임 모듈(12M)의 구멍(H)에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싱볼트(34)는 두 개의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중에서 픽싱너트(32)가 결합된 프레임 모듈과 마주하는 다른 프레임 모듈의 구멍(H)에 결합되어 픽싱너트(32)에 볼트식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픽싱너트(32)가 제2프레임 모듈(15M)에 결합되어 있어서, 픽싱볼트(34)는 제1프레임 모듈(12M)의 구멍(H)에 끼워진 상태에서 픽싱너트(3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픽싱볼트(34)가 픽싱너트(32)에 결합되기 이전에 슬리브를 픽싱너트(32)에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제1프레임 모듈(12M)의 구멍(H)에 끼워진 픽싱볼트(34)를 슬리브 내부로 통과시켜서 픽싱너트(32)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픽싱볼트(34)와 픽싱너트(32)에 의해 안쪽면끼리 맞닿아 결합(즉,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의 외측단 콘택트 바아편(CP)끼리 맞닿아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가 두 개의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이 결합된 상기 패널 프레임(10) 둘레부를 따라 복수개의 스페이서가 배치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널(20)은 하단부에 레그가 구비된다. 레그는 본 발명의 패널(20)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형 다리 구조이다. 레그의 상면에는 상단부와 양쪽 측면부가 개방된 역 디귿자 형태의 채널부재가 구비되고, 이 채널부재가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하단부에서부터 끼워짐으로써 레그가 패널 프레임(10)의 좌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채널부재와 패널 프레임(10)에 동시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면 본 발명의 패널(20) 하단부에 레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물론, 레그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캐스터가 지면에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1프레임 모듈(12M)의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및 양쪽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를 픽싱 너트(32)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조립한 다음 패널(20)과 제2프레임 모듈(15M)을 조립하거나 또는 제2프레임 모듈(15M)의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및 양쪽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를 픽싱 너트(32)에 의해 먼저 조립한 다음 패널(20)과 다른 제1프레임 모듈(12M)을 조립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제1프레임 모듈(12M)을 먼저 조립한 다음에 패널(20)과 제2프레임 모듈(15M)을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측면에는 각각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가 구비되어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단부측이 각각 양쪽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가 맞아 들어가도록 안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겹치는 코너 인접 부분은 픽싱 너트(32)에 의해 동시에 고정한다. 픽싱 너트(32)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아웃터 플랜지부(32b)와 이너 플랜지부(32a) 사이에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지지되므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코너 부분에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픽싱 너트(32)의 아웃터 플랜지와 이너 플랜지가 양쪽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겹치는 코너 인접 부분을 각각 바깥면과 안쪽면에서 지지하여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단부측이 각각 양쪽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가 맞아 들어가도록 안착시켜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에 형성된 구멍(H)과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에 형성된 구멍(H)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에 형성된 구멍(H)이 서로 만나도록 정렬되도록 한 다음, 기단부에 아웃터 플랜지가 구비된 너트관을 상기 구멍(H)들에 동시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너트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볼트를 끼우고, 상기 볼트는 볼트 회전 공구의 회전축에 끼운 상태에서 너트관의 아웃터 플랜지부(32b)는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의 바깥면에 고정되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관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를 상기 볼트 회전 공구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돌려주면, 상기 볼트가 너트관에 나선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뒤로 빠지면서 너트관을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의 바깥면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 아웃터 플랜지부(32b)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너트관 외주면에 이너 플랜지부(32a)가 돌출 형성되면서 픽싱 너트(32)가 형성되며, 이러한 픽싱 너트(32)의 이너 플랜지부(32a)는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안쪽면에 밀착되므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픽싱 너트(32)의 아웃터 플랜지부(32b)와 이너 플랜지부(32a)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코너 부분끼리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쪽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픽싱 너트(32)에 의해 코너 부분끼리 연결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되도록 한 다음에는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끝단 구멍(H)(즉,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양끝단 코너 부분 구멍(H)과 정렬되는 상기 코너 부분 구멍(H)) 사이에 형성된 다른 구멍(H)에 픽싱 너트(32)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픽싱 너트(32)를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끝단 구멍(H) 사이의 다른 중간 구멍(H)들에 결합한다. 픽싱 너트(32)의 아웃터 플랜지부(32b)와 이너 플랜지부(32a)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바깥면과 안쪽면에 각각 접촉되므로, 픽싱 너트(32)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단부 사이의 중간 구멍(H)들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쪽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양끝단 구멍(H)(다시 말해,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끝단 코너 부분 구멍(H)과 정렬되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코너 부분 구멍(H)) 사이의 다른 중간 구멍(H)들에도 역시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에서와 마찬가지로 픽싱 너트(32)들을 결합한다. 결국, 두 개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가 서로 중첩된 코너 부분이 픽싱 너트(3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사각틀 형상의 제1프레임 모듈(12M)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코너 부분 사이의 중간 중간에 픽싱 너트(32)가 장착된 구조를 형성한다.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제1프레임 모듈(12M)이 조립된 다음에는 제1프레임 모듈(12M)의 안쪽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픽싱 너트(32)에 슬리브(40)를 결합한다. 슬리브(40)가 중공관 구조이므로 슬리브(40)를 제1프레임 모듈(12M) 안쪽면에 수용되어 있는 픽싱 너트(32)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다음, 픽싱 너트(32)에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40)들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사각 투명판 구조인 패널(20)을 안치시킨다. 패널(20)을 슬리브(40)들의 내측 영역에 배치하면 패널(20)의 둘레부가 슬리브(4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20)의 둘레부와 인접된 일면은 제1프레임 모듈(12M)을 구성하는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들의 콘택트 바아편(CP)의 표면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제1프레임 모듈(12M)과 마주하는 위치에 조립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상단부와 하단부 내측면에는 각각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가 구비되어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의 양단부측이 각각 양쪽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가 맞아 들어가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와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 및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의 양끝단 인접 코너 구멍(H)들을 상기 픽싱 너트(32)의 볼트홀과 정렬되도록 배치한 다음,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와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 및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의 양끝단 인접 코너 구멍(H)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픽싱 볼트(34)를 결합하고, 상기 픽싱 볼트(34)를 제1프레임 모듈(12M)에 구비된 픽싱 너트(32) 내부의 볼트홀에 결합한다.
그러면, 상기 양쪽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가 연결된 사각틀 형태의 제2프레임 모듈(15M)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2프레임 모듈(15M)이 제1프레임 모듈(12M)과 마주하는 위치에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양단부측 코너 사이에 배치된 중간 구멍(H)들에 픽싱 볼트(34)를 결합하고 제1프레임 모듈(12M)의 양단부측 인접 코너 사이에 배치된 중간 픽성 서포트 너트에 상기 픽싱 볼트(34)를 조여준다.
이처럼,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패널(20)이 개재되도록 조립하여 픽싱 서포트 패널(20)에 픽싱 볼트(34)를 조여서 결합하면, 상기 패널(20)의 양면이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에 의해 그립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에 형성된 콘택트 바아편(CP)과 제2프레임 모듈(15M)의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에 구비된 콘택트 바아편(CP)에 패널(20)의 둘레부측 양면이 견고하게 물려서 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와 도 8 및 도 9 참조.
한편,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2프레임 모듈(15M)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는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 및 하측 절단부(11LC) 아래 위치의 보조 절단부(11MC)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하측 절단부(11LC)는 바아가 수용되는 홈 형상(즉,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안쪽면과 좌우 양쪽 측면으로 개방된 사각홈 형상)이다. 도 9 참조.
따라서,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단부측은 각각 제1프레임 모듈(12M)의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에 각각 끼워져서 배치되고,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양단부측을 상기 보조 절단부(11MC)에 끼워져서 배치되고,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의 양단부측도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측 절단부(11UC)와 하측 절단부(11LC)에 각각 끼워져서 배치되고, 보조 프레임 바아(19)의 양단부측을 보조 절단부(11MC)에 끼워져서 배치된 다음, 각각의 보조 프레임 바아(19)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및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사이에 제1패널(24)과 제2패널(26)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보조 프레임 바아(19)는 제1프레임 모듈(12M)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제2프레임 모듈(15M)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와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 및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구조의 픽싱 너트(32)와 픽싱 볼트(34)에 의해 각각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연결된다. 도 9 참조.
이때, 제1패널(24)과 제2패널(26)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고정편(CF)을 구비한 중공의 판 구조이며, 상기 크로스 고정편(CF)이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다. 제1패널(24)은 제1전방 패널(20)과 제2전방 패널(20)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제2패널(26)도 제2전방 패널(20)과 제2전방 패널(20)로 구성되고, 체결구는 볼트가 될 수 있는데, 제1전방 패널(20)의 크로스 고정편(CF)이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안쪽면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제1전방 패널(20)의 내부에서 체결구를 크로스 고정편(CF)과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에 동시에 체결(상기 크로스 고정편(CF)과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크로스 연장편(EP)에 체결구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 사이에 제1전방 패널(20)을 고정하고, 제1후방 패널(20)의 크로스 고정편(CF)이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안쪽면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제1후방 패널(20)의 내부에서 체결구를 크로스 고정편(CF)과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에 동시에 체결(상기 크로스 고정편(CF)과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크로스 연장편(EP)에 체결구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 사이에 제1후방 패널(20)을 고정한다. 도 8 참조.
또한, 상기 제2패널(26)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2전방 패널(20)과 제2후방 패널(20)도 상기 제1전방 패널(20)과 제1후방 패널(2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고정된다. 즉, 제2전방 패널(20)의 크로스 고정편(CF)이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안쪽면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제2전방 패널(20)의 내부에서 체결구를 크로스 고정편(CF)과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동시에 체결(상기 크로스 고정편(CF)과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크로스 연장편(EP)에 체결구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 사이에 제2전방 패널(20)을 고정하고, 제2후방 패널(20)의 크로스 고정편(CF)이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안쪽면에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제2후방 패널(20)의 내부에서 체결구를 크로스 고정편(CF)과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동시에 체결(상기 크로스 고정편(CF)과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크로스 연장편(EP)에 체결구를 동시에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 사이에 제2후방 패널(20)을 고정한다. 도 8 참조.
한편, 본 발명의 펜스가 중간의 힌지부에 의해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도 1과 도 8 참조)되고 필요시 펼쳐서 쓰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절첩시켜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경첩 등이 될 수 있는데, 두 개의 펜스를 중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다. 이때,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펜스는 세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에 레그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레그는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 및 패널(20)의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역 디귿자 형상의 브라켓을 레그 상면에 장착하고, 상기 레그 상면의 브라켓을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의 하단부에서 위로 끼운 다음, 상기 브라켓과 제1프레임 모듈(12M) 및 제2프레임 모듈(15M)에 동시에 결합되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하면 레그에 의해 본 발명의 펜스를 세워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레그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캐스터에 의해 본 발명을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중간의 힌지부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 펜스(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로 이루어진 패널 프레임(10)과 패널(20)이 결합된 것)를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는 패널 프레임(10)을 형성하는 각각의 상하 좌우 프레임 바아를 일일이 용접하고 패널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상기 투시용 패널을 고정하기 위하여 패널 프레임(10)은 물론 투시용 패널 자체에도 볼트 결합공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조립 공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는 장점이 있으며, 패널(20)(투시용 패널) 자체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문제도 해소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패널 프레임(10) 자체의 형성을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 바아를 일일이 용접하는 작업 이외에 패널 프레임(10)과 패널(20)(특수 투시용 패널)에 볼트 결합공을 형성해야 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립 작업시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되는 문제와 작업의 번거로움 및 작업 공수의 증가가 초래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기존에 특수 투시용 패널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패널 프레임(10)의 내측 위치에 결합한 상태에서 패널 프레임(10)과 투시용 패널 사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패널 프레임(10)과 투시용 패널을 고정하는 방식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주요부를 조립할 수 있어서 접합용 실리콘을 일일이 도포하여야 함으로 인한 작업 시간 지연과 작업 공수 증가의 문제를 해소한 효과가 있으며, 접합용 실리콘이 시간이 지나면서 물성 변화가 생겨서 패널 프레임(10)과 투시용 패널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20)(특수 투시용 패널)의 경우 고가의 제품이라서, 패널(20)의 사이즈(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픽싱 볼트(34)와 픽싱 너트(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슬리브(40)들의 내측 영역에 패널(20)이 안치되고, 패널(20)의 둘레부는 슬리브(40)들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조라서 슬리브(40)의 외경만큼 패널(20)의 사이즈를 더 줄일 수 있으므로, 패널(20)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패널(20)의 사이즈를 최대한 줄인다는 것은 고가의 패널(20) 재료가 절감되어 제품 코스트를 많이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20)의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패널(20)이 슬리브(40)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펜스를 이동하는 것과 같은 취급 도중에 패널(20)이 유동되어 생기는 파손 문제도 해결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패널(20) 이외에 비투시형 제1패널(24)과 제2패널(26)을 상기한 방식으로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1패널(24)과 제2패널(26)의 조립 작업이 수월한 등의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패널 프레임 11UC. 상측 절단부
11LC. 하측 절단부 11MC. 보조 절단부
12M. 제1프레임 모듈 12. 제1상측 프레임 바아
13. 제1하측 프레임 바아 14.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
15M. 제2프레임 모듈 16. 제2상측 프레임 바아
17. 제2하측 프레임 바아 18.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
19. 보조 프레임 바아 BP. 베이스 바아편
IP. 크로스 연장편편 CP. 콘택트 바아편
H. 구멍 EP1. 내측 크로스 연장편
EP2. 외측 크로스 연장편 20. 패널
24. 제1패널 26. 제2패널
30. 픽싱부재 32. 픽싱 너트
32a. 이너 플랜지부 32b. 아웃터 플랜지부
34. 픽싱 볼트

Claims (14)

  1. 내측 공간부를 구비한 패널 프레임(10);
    상기 패널 프레임(10)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결합되며 한쪽 면에서 다른 쪽 면으로 투시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20);
    상기 패널 프레임(10)에 상기 패널(20)이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는 픽싱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프레임(10)은 상기 패널(20)의 양쪽면 중에서 한쪽의 제1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1프레임 모듈(12M);
    상기 패널(20)의 다른 쪽 제2면에서 그립하도록 배치된 제2프레임 모듈(15M)을 포함하며,
    상기 픽싱부재(30)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시켜서 상기 패널(20)의 양면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측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은 한 쌍의 나란한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한 쌍의 나란한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가 상호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은 한 쌍의 나란한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한 쌍의 나란한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가 상호 연결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픽싱부재(30)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 중에서 한쪽의 프레임 모듈에 구비된 픽싱 너트(32)와, 상기 픽싱 너트(32)가 구비된 상기 한쪽의 프레임 모듈과 마주하는 다른 프레임 모듈에서 상기 픽싱 너트(32)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개재된 상기 패널(20)의 양면이 그립되도록 지지하는 픽싱 볼트(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픽싱 볼트(34)와 상기 픽싱 너트(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브(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패널(20)은 상기 슬리브(4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20)의 상하측 단부 및 좌우측 단부가 상기 슬리브(4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을 구성하는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상기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는,
    베이스 바아편(BP);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
    상기 크로스 연장편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편(B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 상기 한 쌍의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는,
    베이스 바아편(BP);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의 양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
    상기 크로스 연장편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바아편(BP)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상기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기 한 쌍의 콘택트 바아편(CP) 중에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들의 중심부에 더 가까운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바아편(CP)에 상기 패널(20)의 양면이 상기 픽싱 너트(32)에 체결되는 상기 픽싱 볼트(34)에 의해 가압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상기 한 쌍의 서로 나란한 크로스 연장편(EP)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서로 나란한 상기 한 쌍의 크로스 연장편(EP) 중에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중심부에 더 가까운 하나의 크로스 연장편(EP)은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을 구성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중심부에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크로스 연장편(EP)은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을 구성하며,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의 전후 방향 폭은 상기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의 전후 방향 폭에 비하여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기 외측 크로스 연장편(EP2)들에 각각 구비된 상기 콘택트 바아편(CP)이 서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 크로스 연장편(EP1)들에 구비된 상기 콘택트 바아편(CP)들 사이에는 상기 패널(20)이 개재되는 패널(20) 인서트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상기 베이스 바아편(BP)과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상기 베이스 바아편(BP)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구멍(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각각 연결되는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 및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멍(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양끝단 코너 구멍(H)과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끝단 코너 구멍(H)은 서로 만나도록 정렬되고,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의 양끝단 코너 구멍(H)과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의 양끝단 코너 구멍(H)도 서로 만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의 양끝단 코너 구멍(H)과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와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의 양끝단 코너 구멍(H)에는 픽싱 너트(3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와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바아는 상기 제1상측 프레임 바아(12) 및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와 상기 제2상측 프레임 바아(16)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가 안착되기 위한 상측 절단부(11UC) 및 하측 절단부(11LC)와, 상기 하측 절단부(11LC)의 아래에 배치된 보조 절단부(11M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기 하측 절단부(11LC)들에는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와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제2프레임 모듈(15M)의 상기 보조 절단부(11MC)들에는 각각 제1보조 프레임 바아(19)와 제2보조 프레임 바아(19)가 결합되고, 상기 제1하측 프레임 바아(13)와 상기 제1보조 프레임 바아(19) 사이에는 제1패널(24)이 배치되고, 상기 제2하측 프레임 바아(17)와 상기 제2보조 프레임 바아(19) 사이에는 제2패널(2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24)과 상기 제2패널(26)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고정편(CF)을 구비한 중공의 판 구조이며, 상기 크로스 고정편(CF)이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사이드 프레임 바아(14)와 한 쌍의 상기 제2사이드 프레임 바아(18)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24)과 상기 제2패널(26)의 상기 크로스 고정편(CF)에는 상기 제1프레임 모듈(12M)과 상기 제2프레임 모듈(15M)에 형성된 구멍(H)과 정렬되는 구멍(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KR1020140060212A 2014-05-20 2014-05-20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KR10161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12A KR101618680B1 (ko) 2014-05-20 2014-05-20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212A KR101618680B1 (ko) 2014-05-20 2014-05-20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88A KR20150133888A (ko) 2015-12-01
KR101618680B1 true KR101618680B1 (ko) 2016-05-10

Family

ID=5488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212A KR101618680B1 (ko) 2014-05-20 2014-05-20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310B1 (ko) * 1995-07-28 1999-06-01 토시죠 하세 판넬 및 판넬구조체
KR100766078B1 (ko) * 2005-12-09 2007-10-11 주식회사 알루스 조립식 난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310B1 (ko) * 1995-07-28 1999-06-01 토시죠 하세 판넬 및 판넬구조체
KR100766078B1 (ko) * 2005-12-09 2007-10-11 주식회사 알루스 조립식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88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4710A1 (en) Impact slider assembly for a guardrail
WO2008120071A3 (en) Collapsible tent or marquee
KR101618680B1 (ko) 작업 상태 확인용 패널을 구비한 펜스
CN103306373A (zh) 适于组合使用的单元模块化折叠活动房屋
EP1259688B1 (fr) Construction a montage rapide
WO2010007428A2 (en) Temporary fence panel
KR20190075583A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KR100997933B1 (ko) 접이식 교량용 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CN208056794U (zh) 一种绿化施工围护栏
CN104695598A (zh) T型钢龙骨横竖框连接结构
KR200440747Y1 (ko) 프레임 조립용 용접고정형 슬리브와 이를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용 거치대 및 난간 조립구조
JP3827242B2 (ja) 鉄骨構造物の屋根受け部における柱梁継手構造
KR101794075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울타리 및 설치방법
CN210259226U (zh) 一种周转发货框架
JP2017008504A (ja) 基礎杭とユニット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ユニット工法
JP2010178926A (ja) 移動棚とその台枠
CA2711891A1 (en) Frame repair system and kit
KR20190037758A (ko) 철제 가구용 프레임 및 프레임 조립체
JP2001287815A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JP5844781B2 (ja) 太陽電池架台と鋼管杭の接合構造および杭頭キャップ金物
JP6416681B2 (ja) 収納可能な手摺枠を設けてなる昇降式移動足場
KR101946428B1 (ko) 비계용 조립 골조체 및 그 조립 골조체를 이용한 조립식 비계
CN219261939U (zh) 一种施工***防护结构
KR200434640Y1 (ko) 파이프 연결핀
CN216840750U (zh) 一种z形可折叠的机械防护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