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388B1 -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388B1
KR101618388B1 KR1020117000614A KR20117000614A KR101618388B1 KR 101618388 B1 KR101618388 B1 KR 101618388B1 KR 1020117000614 A KR1020117000614 A KR 1020117000614A KR 20117000614 A KR20117000614 A KR 20117000614A KR 101618388 B1 KR101618388 B1 KR 10161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starch
tablet
disintegration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424A (ko
Inventor
도루 후쿠시마
다카시 시미즈
데루코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닛본 스미토모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acids, e.g. alanine, edetic acids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728Disc-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을 고 함량으로 함유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고, 수득된 과립을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와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25% 이상으로 함유하며, 붕해 시간이 40 초 이내이고, 절대 경도가 1.8 N/㎟ 이상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TABLET QUICKLY DISINTEGRATING IN THE ORAL CA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양호한 구강 내 붕해성과 취급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구강 내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구강 내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양호한 붕해성과 정제 강도는 상반되는 특성이므로, 두 특성의 양립은 곤란하다. 최근에는, 더욱이 제조 및 유통 과정 동안 정제가 파손되지 않아야할 뿐 아니라, 약국 등에서 자동 패키지 기계에 의한 포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정제 강도의 바람직한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고 함량의 유효 성분을 가진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는, 복용하기 쉬운 크기의 정제를 제조하도록, 양호한 급속 붕해성 및 충분한 강도에 기여하는 유효 성분 이외의 첨가되는 부형제, 붕해제 등을 오직 적은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므로, 구강 내 급속 붕해성 및 정제 강도가 모두 뛰어난 정제를 산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유효 성분의 함량 % 가 높은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로서는, 드록시도파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만니톨 및 옥수수전분을 함유하는 정제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폴라프레징크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만니톨, 히드록시프로필전분 및 크로스포비돈을 함유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상품명: 프로맥 (Promac) D 정제 75) 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구강 내 급속 붕해성 및 정제 강도가 모두 뛰어난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 06/123678 호 팜플렛
특허 문헌 2: 국제 공개 제 00/047233 호 팜플렛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구강 내에서의 양호한 붕해성과 자동 패키지 기계에도 적응 가능한 충분한 정제 강도를 겸비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고, 과립에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첨가하고, 추가로 상기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뛰어난 구강 내 급속 붕해성과 유통 및 취급에 충분한 강도를 겸비하는 정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유효 성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과립, 및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25%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2] 상기 [1] 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제조된 과립, 및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의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또한 붕해 시간이 40 초 이내이며, 절대 경도가 1.8 N/㎟ 이상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절대 경도가 2.0 N/㎟ 이상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붕해제가 옥수수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전분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말이 유효 성분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40%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7] 상기 [6] 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40% ~ 70% 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드록시도파 또는 레보도파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9] 이하의 공정:
(1)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1) 에서 수득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과,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혼합하는 공정; 및
(3) 상기 (2)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예비-정제 조성물을 압축 성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25%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제조 방법;
[10] 상기 [9] 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1)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1) 에서 수득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과,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혼합하는 공정; 및
(3) 상기 (2)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제조 방법;
[11] 상기 [9] 또는 [10] 에 있어서,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붕해 시간이 40 초 이하이며, 절대 경도가 1.8 N/㎟ 이상인 제조 방법;
[12]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외부 윤활법에 의해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절대 경도가 2.0 N/㎟ 이상인 제조 방법;
[14] 상기 [9]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드록시도파 또는 레보도파인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양호한 붕해성과 충분한 강도를 겸비하고,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는, 복용하기 쉬운 적당한 크기를 갖고, 구강 내 급속 붕해성 및 강도가 뛰어나다. 그러므로 이것은 특히 소아 및 삼킴능이 저하된 고령자의 순응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만니톨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본약방 (the Japanese Pharmacopoeia)" 또는 "일본 의약품첨가물 규정 (Japanese Pharmaceutical Excipients)" 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만니톨의 평균 입자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다. 입자 크기의 측정 방법의 예에는,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회절-산란 유형 입자 크기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나노미터 수준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동적 광산란 유형 입자 크기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입자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적합하게는 분쇄 제품을 사용한다. 분쇄 방법의 예에는 기류 분쇄기에 의한 분쇄 방법 및 해머 유형 분쇄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이란,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예를 들어, 감미료, 산미료, 향료, 색소류,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의약품으로서 사용하기에 허용가능한 첨가제) 와 혼합될 수 있는 유효 성분 (약물 물질) 을 의미한다.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 (종종 "유효 성분 과립" 이라고 언급됨) 이란, 상기 언급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을 과립화 및 건조함으로써 제조된 과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 이란, 화학반응에 의한 치환기의 도입 등과 같은 화학 수식이 없는 옥수수전분을 수중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옥수수전분의 일부 혹은 전부가 알파화한 전분을 의미한다. 이의 예에는 옥수수전분의 실질적으로 모두가 알파화한 알파화 전분, 또는 옥수수전분의 일부가 알파화한 부분 알파화 전분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는, 부분 알파화 전분의 알파화도는 30% 미만이며, 알파화도가 보다 높은 알파화 전분과는 구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의 알파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알파화도는 예를 들어 글루코아밀라아제법 또는 요오드적정 전류측정 적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옥수수전분의 실질적으로 모두가 알파화한 전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판의 아미콜 C (AMICOL C; 상품명)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여기서 아미콜 C 는 옥수수전분을 수중에서 알파화한 후 급속 건조시켜 수득된 분말이다.
부분 알파화 전분의 구체적인 예에는 시판의 PCS-PC-10, 그래플로우 (Graflow), 전분 1500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부분 알파화 전분도 또한 수중에서 옥수수전분을 부분적으로 알파화한 후 건조시켜 수득된 분말이다.
또한, 옥수수전분을 수중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가열 처리하여 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파화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점액 전분을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결합액으로서는, 상기 언급된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 및 만니톨의 수용액이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판의 분말화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0.5 ~ 10%,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 의 농도로, 50 ~ 100℃ 로 가열된 정제수 중에 분산시키고, 여기에 결합액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 30%, 바람직하게는 10%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 의 비율로 만니톨을 첨가한다. 수득된 용액을 과립화를 위한 결합액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옥수수전분을 수중에 분산시키고, 이것을 가열 처리하여 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알파화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점액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옥수수전분을 가열 처리하여 수득되는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의 알파화의 비율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물에 옥수수전분을 0.5 ~ 10%, 바람직하게는 0.5 ~ 3% 의 비율로 분산시키고, 60℃ ~ 100℃ 로 0.1 ~ 15 분 동안 가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옥수수전분의 일부 혹은 전부가 알파화된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이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62 ~ 95℃,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68 ~ 75℃ 에서, 바람직하게는 0.5 ~ 10 분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8 분 동안,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6 분 동안 처리함으로써 옥수수전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파화된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수득하고, 여기에 결합액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 30%, 바람직하게는 10%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의 비율로 만니톨을 첨가한다. 수득 용액을 결합액으로서 사용한다.
정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 30%, 바람직하게는 10% ~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에 상당하는 만니톨이 결합액으로 분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붕해제의 예에는, 가열 처리를 하지 않은 옥수수전분, 옥수수전분의 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인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이 포함된다. 붕해성 및 압축 성형성에 있어서는, 옥수수전분이 바람직하다. 붕해제의 평균 입자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0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다. 바람직한 입자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적합하게는 분쇄 제품을 사용한다. 분쇄 방법의 예에는 기류 분쇄기를 사용하는 방법 및 해머 유형 분쇄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상기 언급된 붕해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조성물의 총 량에 대해서, 총 1 ~ 20 중량% 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가 옥수수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전분의 경우, 붕해제는 바람직하게는 4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1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 ~ 12 중량% 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붕해제가 카르멜로오스 또는 크로스포비돈의 경우, 붕해제는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 ~ 8 중량% 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 과립의 제조를 위해서 붕해제의 일부를 미리 유효 성분에 첨가할 수 있다 (내부 첨가). 이 경우는 나머지의 붕해제를 유효 성분 과립과 혼합한다 (후말 첨가). 이 경우, 첨가되는 붕해제의 30% ~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00% 가 바람직하게는 후말 첨가에 의해 첨가된다.
또한, 내부 첨가 없이, 유효 성분 과립의 제조 후에 모든 붕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붕해제 전부를 유효 성분과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부 첨가 단독으로만) 제조 방법에서는 양호한 붕해성을 보이는 정제가 제공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붕해제의 일부 혹은 모두를 후말 첨가하면, 양호한 붕해성을 보이는 정제를 산출할 수 있다. 붕해제의 내부 첨가 없이, 전량을 후말 첨가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의 일부, 만니톨의 일부 및/또는 하기 언급되는 기타 첨가제를 적합하게 배합할 수 있고, 결합액을 사용하여 플라세보 과립을 제조하여, 유효 성분 과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플라세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결합액으로서는, 상기 언급된 결합액 또는, 옥수수전분의 일부 혹은 전부가 알파화된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결합액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과립화 전의 유효 성분은, 적당하게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제 1 공정에서 유효 성분과 혼합되는 부형제의 구체적인 예에는 수용성 당류 (예를 들어, 만니톨, 락토오스, 에리트리톨, 말티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정제 수크로오스 등) 가 포함되고, 이것은 상기 구체적인 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부형제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부형제는 붕해성, 용해성, 성형성, 타정성 (tabletability), 안정성 등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총 중량의 1 ~ 65%, 바람직하게는 10 ~ 65% 로 적합하게 첨가될 수 있다. 부형제로서 바람직하게는 만니톨을 언급할 수 있고,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총 중량의 20 ~ 30% 로 첨가된다.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붕해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붕해 시간) 에는, 사람 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정제를 구강 내에 넣은 후, 40 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35 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초 이내에 완전히 붕해되는 것을 말한다.
실험적으로는 붕해 시간으로서, 정제를 구강 내에 넣은 시간으로부터 구강 내에서 정제가 완전히 붕해된 시간까지를 측정한다. 붕해 종료 후, 내용물을 즉시 뱉어내고, 구강 내를 물로 충분히 세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40 초 이내의 붕해 시간" 은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측정값이 40 초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은, 정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약 25% 이상과 같은 큰 단위 투여량을 가진 약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에텐자미드, 드록시도파, 레보도파, 아목시실린, 세파렉신, 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드록시도파 및 레보도파가 바람직하다. 유효 성분의 입자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 100 ㎛ 이다.
본 발명의 정제 중의 유효 성분의 농도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 일반적으로는 25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75 중량%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70 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의 평균 입자 크기는 일반적으로는 20 ~ 500 ㎛, 바람직하게는 20 ~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0 ㎛ 이다. 바람직한 입자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적합하게는 분쇄 제품을 사용한다. 분쇄 방법의 예에는 기류 분쇄기에 의한 분쇄 방법 및 해머 유형 분쇄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 유동층 과립화법, 분무 건조법, 반죽법, 전동 과립화법 등과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유효 성분 및 부형제의 혼합물, 또는 유효 성분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의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먼저 과립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층 과립화법을 채택한다. 과립을 적당하게 건조시키고 다음 공정에 사용한다.
기술된 성분 이외에, 성형, 안정화, 맛의 개량 등을 목적으로 과립화 전 유효 성분에 부형제 외에, 감미료, 산미료, 향료, 색소류,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등과 같은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데 허용가능한 소량의 첨가제를 적당하게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붕해 시간 또는 경도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감미료의 예에는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트레할로오스,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당류 및 당 알코올류, 및 아스파탐, 수크랄로오스, 사카린 나트륨, 2칼륨 글리키르리지네이트, 타우마틴, 스테비아 등의 고 감미도 감미료가 포함된다. 감미료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향료의 예에는 딸기, 오렌지, 파인애플, 요구르트, 페퍼민트, 스페어민트, 멘톨 등이 포함되고, 향료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미료의 예에는 구연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이 포함되고, 산미료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색소의 예에는 황색 산화 제2철, 적색 산화 제2철 등이 포함되고, 색소는 정제의 총 중량의 1%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항산화제의 예에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나트륨 피로술파이트, 아스코르브산, 에리토르브산, 토코페롤 등이 포함되고, 항산화제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안정화제의 예에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L-아르기닌 등이 포함되고, 안정화제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폴리소르베이트 80,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이 포함되고, 계면활성제는 정제의 총 중량의 2%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의 예에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오스, 아세술팜 칼륨 등과 같은 감미료, 구연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과 같은 산미료 등이 포함된다.
그 다음,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과립을 건조하여 수득된 유효 성분 과립과 혼합하여, 예비-정제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유효 성분만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수득된 유효 성분 과립, 적당한 상기 언급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만니톨 등의 부형제를 과립화하여 수득된 플라세보 과립 (유효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과립), 및 상기 언급된 붕해제를 혼합하여 예비-정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또한, 과립화 후에 상기 언급된 첨가제를 붕해제와 함께 첨가할 수 있고, 첨가되는 첨가제의 종류 및 양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다.
상기에서 수득되는 예비-정제 조성물은, 윤활제와 혼합한 후 압축 성형 (타정) 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부 윤활법, 및 윤활제를 미리 혼합하지 않고 펀치 및 다이 상에 윤활제를 분무하면서 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외부 윤활법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타정될 수 있다.
정제 표면에 미량의 윤활제를 부착시키는 외부 윤활법에 의해 타정을 실시하는 것은 뛰어난 붕해성을 달성하기 위해 유효하다. 배합되는 윤활제의 양은, 내부윤활법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0.5 ~ 5 중량% 이다. 외부 윤활법에서는 보다 적은 양으로 윤활 효과를 나타내므로, 그 양은 일반적으로 0.05 ~ 1 중량% 이다. 타정은 회전 타정기, 단발 타정기, 유압 프레스기 등과 같은 적합한 타정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타정압은 정제 직경이 8 ~ 10 mm 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6 ~ 18 kN 이다.
윤활제는 의약품으로서 사용상 허용가능한 범위이면 종류 및 양 모두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사용가능한 윤활제의 예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지방산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탈크, 경화유, 카르나우바 왁스 등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는 소량으로 높은 윤활 효과를 보이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제는, 붕해 시간이 40 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35 초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초 이내이고, 절대 경도가 1.8 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붕해 시간과 경도의 밸런스를 나타내는 지표인 DHB (Disintegrating time-Hardness-Balance Index) 가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여기서 DHB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DHB = 구강 내 붕해 시간 (s)/절대 경도 (N/㎟).
본 명세서에서, 절대 경도는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되는 값이다:
절대 경도 = 정제 경도 (N)/정제의 단면적 (㎟).
여기서, 정제의 경도는 정제 경도계 (TH-203MP, Toyama Sangyo Co., Ltd. 제조) 를 사용해 측정된, 정제의 직경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정제가 파괴되었을 때의 압력이다.
정제의 단면적이란 정제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적, 즉, 정제의 가장 두꺼운 부위에서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요철이 없는 평평한 정제의 경우: 정제의 단면적 (㎟) = 정제의 직경 (mm) × 정제 두께 (mm) 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는 마손도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며, 심지어 정제 자동 패키지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도 파손되기 어렵다. 마손도는 제 15 개정 일본약방 (Japanese Pharmacopoeia Fifteenth Edition) 에 기재되어 있는 정제 마손도 시험법에 따라 측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제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원형 정제, 타원형 정제, 각종 불규칙형 정제 등일 수 있다. 또한, 분할선을 가진 분할 정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언급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 의 정제의 조제)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200 g) 및 아미콜 C (AMICOL C) (7 g) 를 첨가하여, 유효 성분용 결합액 (1000 g) 을 산출하였다. 멀티플렉스 (Multiplex)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를 사용하고, 유효 성분만을 상기 언급된 유효 성분용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유효 성분 과립을 산출하였다. 별도로, 가열한 정제수에 아미콜 C (7 g) 를 첨가하여, 플라세보 과립용 결합액 (360 g) 을 산출하였다. 유효 성분 이외의 각 성분을 용기에 채우고, 상기 언급된 플라세보 과립용 결합액을 사용하여 과립화하여, 플라세보 과립을 산출하였다. 표 1 에 과립화 공정 전의 혼합물의 조성을 나타냈다.
성분 유효 성분 과립 플라세보 과립
드록시도파 500 g -
D-만니톨 - 432 g
옥수수전분 - 88 g
무수 구연산 - 10 g
아스파탐 - 10 g
유효 성분 과립 (282.8 g), 플라세보 과립 (89.2 g), 옥수수전분 (20.0 g) 및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8.0 g) 를 혼합하고,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2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의 정제의 조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유효 성분 과립 (282.8 g) 및 플라세보 과립 (109.2 g), 및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8.0 g) 를 혼합하고,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2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를 수득하였다.
(정제의 물성)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샘플의 붕해 시간 및 경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은 비교예 1 과 비교해 명백하게 양호한 붕해성 및 높은 경도를 보였고,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로서 뛰어난 물성을 나타냈다.
붕해 시간 (s) 경도 (N)
실시예 1 33 92
비교예 1 48 71
실시예 2: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4500 g) 및 아미콜 C (30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22500 g) 을 산출하였다. 플로우-코터 (FLO-COATER) FLF-30 (Freund Corporation 제조) 에 표 3 에 표시된 각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수득된 과립 (28440 g) 및 옥수수전분 (1500 g) 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회전 타정기 및 외부 윤활 시스템 (Kikusui Seisakusho Ltd. 제조) 에 의해, 윤활제로서 소량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15 kN 의 타정압으로 타정하여, 정제 (직경 10 mm, 중량 약 400 mg) 를 수득하였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은 200 개의 정제 당 약 0.4 ~ 0.8 mg 이다.
여기서 사용된 드록시도파는 미리 마이크로화시켜, 평균 입자 크기가 50 ~ 100 ㎛ 인 것을 사용하였다.
성분 실시예 2
드록시도파 15000 g
D-만니톨 7080 g
옥수수전분 1500 g
아스파탐 75 g
실시예 3: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4500 g) 및 아미콜 C (30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22500 g) 을 산출하였다. 플로우-코터 (FLO-COATER) FLF-30 (Freund Corporation 제조) 에 표 4 에 표시된 각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을 사용하여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수득된 과립 (26955 g) 및 옥수수전분 (3000 g) 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회전 타정기 및 외부 윤활 시스템 (Kikusui Seisakusho Ltd. 제조) 에 의해,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윤활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10 mm 직경 R-면 펀치를 사용하여 12 kN 의 타정압으로 타정하여, 정제 (중량 약 400 mg) 를 수득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드록시도파는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리 마이크로화시켰다.
성분 실시예 3
드록시도파 15000 g
D-만니톨 7080 g
아스파탐 75 g
(정제의 물성)
실시예 2 및 3 의 샘플의 정제 물성을 표 5 에 나타낸다. 마손도는 제 15 개정 일본약방 (Japanese Pharmacopoeia Fifteenth Edition) 에 기재되어 있는 정제 마손도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전체 붕해제를 후말 첨가에 의해 첨가한 경우 모든 샘플은 충분한 정제 강도와 양호한 붕해성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3 이 붕해성의 면에서 보다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3
두께 (mm) 4.68 4.72
경도 (N) 89.4 91.9
절대 경도 (N/㎟) 2.20 2.23
마손도 (%) 0.47 0.49
붕해 시간 (s) 32 23
실시예 4:
수득된 과립을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표 7 에 표시된 각각의 붕해제를 전체의 10 중량% 로 첨가하고, 표 6 에 표시된 비율로 혼합하였다.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2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중량 약 400 mg) 를 수득하였다. 정제의 붕해 시간, 두께 및 경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표 7 에 나타냈다.
수득된 과립 18.0 g
붕해제 2.0 g
20.0 g
붕해제 구강 붕해 시간 (s) 경도 (N) 두께 (mm) 절대 경도 (N/㎟) DHB
(붕해 시간/절대 경도)
옥수수전분 24 87.0 3.81 2.3 10.5
히드록시프로필전분 25 90.3 3.80 2.4 10.5
L-HPC 44 84.3 3.89 2.2 20.3
카르복시메틸전분 Na 67 68.3 3.84 1.8 37.7
크로스카르멜로오스 Na 97 77.7 3.84 2.0 47.9
카르멜로오스 Ca (CMC-Ca) 67 62.3 3.87 1.6 41.6
부분 알파화 전분 61 70.0 3.87 1.8 33.7
무첨가 92 67.0 3.45 1.9 34.5
그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붕해제 중에서 옥수수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전분을 후말 첨가에 의해 첨가한 경우에는, 정제 강도와 붕해성의 밸런스가 우수했다.
실시예 5:
타정압을 15 kN 로 설정한 것 외에는 실시예 4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 9 에 표시된 각각의 붕해제를 전체의 10 중량% 가 되도록 표 8 에 표시된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정제로 조제하였다. 정제의 붕해 시간, 두께 및 경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표 9 에 나타냈다.
수득된 과립 19.2 g
붕해제 0.8 g
20.0 g
붕해제 구강 붕해 시간 (s) 경도 (N) 두께 (mm) 절대 경도 (N/㎟) DHB
크로스포비돈 26 78.3 3.85 2.0 13.0
카르멜로오스 (CMC) 21 78.0 3.79 2.1 10.0
붕해제로서 크로스포비돈 또는 카르멜로오스를 4% 첨가함으로써, 양호한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를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레보도파 및 카르비도파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400 mg 정제))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61.2 g) 및 아미콜 C (4.8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306 g) 을 산출하였다. 멀티플렉스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에 표 10 에 표시된 각각의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수득된 과립 (70.6 g) 에, 옥수수전분 (6.4 g) 및 크로스포비돈 (3.0 g) 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2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를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6
(400 mg 정제 당)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레보도파 250.0 mg
카르비도파 25.0 mg
D-만니톨 23.0 mg
결합액 아미콜 C 4.0 mg
D-만니톨 51.0 mg
붕해제 옥수수전분 32.0 mg
크로스포비돈 15.0 mg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e.q.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에텐자미드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333 mg 정제))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60.0 g) 및 아미콜 C (6.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300.0 g) 을 산출하였다. 멀티플렉스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에 표 11 에 표시된 각각의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수득된 과립 (63.6 g) 에 크로스포비돈 (3.0 g) 을 혼합하고 (실시예 7), 수득된 과립 (63.6 g) 에 옥수수전분 (6.4 g) 을 혼합하고 (실시예 8), 상기 혼합물을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0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를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7
(333 mg 정제 당)
실시예 8
(350 mg 정제 당)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에텐자미드 200.0 mg 200.0 m
D-만니톨 74.0 mg 74.0 mg
결합액 아미콜 C 4.0 mg 4.0 mg
D-만니톨 40.0 mg 40.0 mg
붕해제 크로스포비돈 15.0 mg -
옥수수전분 - 32.0 mg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e.q. e.q.
실시예 9:
(이부프로펜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260 mg 정제))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80.0 g) 및 아미콜 C (4.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400.0 g) 을 산출하였다. 멀티플렉스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에 표 12 에 표시된 각각의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수득된 과립 (46.0 g) 및 옥수수전분 (6.0 g) 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8 kN 의 압력으로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9 mm) 를 수득하였다.
성분 실시예 9
(260 mg 정제 당)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이부프로펜 100.0 mg
D-만니톨 80.5 mg
카르멜로오스 7.5 mg
결합액 아미콜 C 2.0 mg
D-만니톨 40.0 mg
붕해제 옥수수전분 30.0 mg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e.q.
실시예 10: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구강 내 붕해 시간 및 강도)
구강 내 붕해 시간, 정제 경도 및 두께를 측정하고, 절대 경도 및 DHB 를 계산하였다. 수득된 정제는 모두 구강 내에서의 붕해성이 뛰어났고, 경도와 붕해성 사이의 양호한 밸런스를 갖는 목적하는 구강 내 붕해 정제를 수득하였다.
붕해제 구강 붕해 시간 (s) 경도 (N) 두께 (mm) 절대 경도 (N/㎟) DHB
실시예 6 28 91.3 4.16 2.2 12.8
실시예 7 19 129.0 3.73 3.5 5.5
실시예 8 29 136.0 3.80 3.6 8.1
실시예 9 35 85.3 3.41 2.8 12.6
실시예 11:
구강 내 급속 붕해 드록시도파 정제 (400 mg 정제) 의 구강 내 붕해 시간 및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합액의 조제>
실시예 11-1: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60.0 g) 및 아미콜 C (4.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300.0 g)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1-2: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52.0 g) 및 아미콜 C (4.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260.0 g) 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1-3:
가열한 정제수에 D-만니톨 (48.0 g) 및 아미콜 C (4.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240.0 g) 을 산출하였다.
<과립화>
멀티플렉스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에 표 14 에 표시된 각각의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고 건조시켰다.
<타정용 과립의 조제>
실시예 11-1
수득된 과립 (18.0 g) 을 옥수수전분 (2.0 g) 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11-2
수득된 과립 (17.8 g) 을 옥수수전분 (2.2 g) 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11-3
수득된 과립 (17.6 g) 을 옥수수전분 (2.4 g) 과 혼합하였다.
<타정>
상기에서 제조된 타정용 과립을 에탄올 중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현탁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펀치 및 다이를 사용하여 테이블 프레스 TB-20H (NPa SYSTEM CO., LTD. 제조) 로 12 kN 의 압력으로 각각 압축하여, 평평한 정제 (직경 10 mm)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1-1, 실시예 11-2 및 실시예 11-3 의 정제에 대해서 구강 내 붕해 시간, 정제 경도 및 두께를 측정하고, 절대 경도 및 DHB 를 계산하였다. 결과를 표 14 및 표 15 에 나타낸다.
성분 실시예 11-1 실시예 11-2 실시예 11-3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 드록시도파 160.0 mg 240.0 mg 280.0 mg
D-만니톨 135.0 mg 59.0 mg 19.0 mg
아스파탐 1.0 mg 1.0 mg 1.0 mg
결합액 아미콜 C 4.0 mg 4.0 mg 4.0 mg
D-만니톨 60.0 mg 52.0 mg 48.0 mg
붕해제 옥수수전분 40.0 mg 44.0 mg 48.0 mg
윤활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e.q. e.q. e.q.
붕해제 구강 붕해 시간 (s) 경도 (N) 두께 (mm) 절대 경도 (N/㎟) DHB
실시예 11-1 16 91.3 3.84 2.4 6.7
실시예 11-2 19 80.0 3.82 2.1 9.1
실시예 11-3 23 78.7 3.80 2.1 11.1
수득된 정제는 모두 구강 내에서의 붕해성이 뛰어나, 경도와 붕해성 사이의 양호한 밸런스를 갖는 목적하는 구강 내 붕해 정제가 수득되었다.
비교예 2:
만니톨을 포함하지 않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드록시도파를 함유하는 정제를 조제하였다. 결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가열한 정제수에 아미콜 C (32.0 g) 를 첨가하여, 결합액 (1920 g) 을 수득하였다. 멀티플렉스 MP-01 (POWREX CORPORATION 제조) 에 하기 표 16 에 표시된 각각의 성분을 채우고, 상기 언급된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였다. 건조 후, 과립을 회전 타정기 및 외부 윤활 시스템 (Kikusui Seisakusho Ltd. 제조) 에 의해,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윤활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10 mm 직경 R-면 펀치를 사용하여 12 kN 의 타정압으로 타정하여, 정제 (중량 약 400 mg) 를 수득하였다. 또한, 타정압을 15 kN 으로 증가시키면 타정 장해가 발생해, 타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여기서 사용된 드록시도파는 실시예 2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리 마이크로화시켰다. 정제의 붕해 시간, 두께 및 경도를 측정하였고, 결과를 표 17 에 나타냈다.
성분 비교예 2
드록시도파 1600.0 g
D-만니톨 1411.2 g
옥수수전분 140.8 g
아스파탐 16.0 g
붕해 시간 (s) 경도 (N) 두께 (mm) 절대 경도 (N/㎟) DHB
비교예 2 30 64 4.77 1.5 19.5
이하에,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원료를 하기에 제시한다.
1. D-만니톨 (Kyowa Hakko Kogyo Co., Ltd.)
2. 옥수수전분 (상품명: 옥수수전분(XX16) W, NIHON SHOKUHIN KAKO CO., LTD.)
3.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St-Mg, 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
4.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상품명: PRUV, JRS Pharma LP)
5. 알파화 전분 (상품명: 아미콜 C (AMICOL C), NIPPON STARCH CHEMICAL CO., LTD.)
6. 무수 구연산 (San-Ei Gen F.F.I., Inc.)
7. 아스파탐 (Ajinomoto Co., Inc.)
8. 크로스포비돈 (상품명: Kollidone CL, BASF Japan)
9.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전분 (상품명: 프리모젤 (Primojel), GOKYO TRADING CO., LTD.)
10.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품명: LH-21, Shin-Etsu Chemical Co., Ltd.)
11.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상품명: Ac-Di-sol, GOKYO TRADING CO., LTD.)
12. 카르멜로오스 칼슘 (CMC-Ca, 상품명: ECG-505, GOTOKU CHEMICAL CO., LTD.)
13. 부분 알파화 전분 (상품명: PCS-PC-10, Asahi Kasei Corporation)
14. 쌀 전분 (상품명: 미크로 펄 (Micro Pearl), Shimada Kagaku Kogyo K.K.)
15. 카르멜로오스 (CMC) (상품명: NS-300, GOTOKU CHEMICAL CO., LTD.)
16. 히드록시프로필전분: HPS-101(W) (Freund Corporation)
본 발명에 의해서,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구강 내에서의 양호한 붕해성과 자동 패키지 기계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정제 강도를 겸비하는 구강 내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Claims (14)

  1. 유효 성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과립, 및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에텐자미드, 드록시도파, 레보도파, 아목시실린, 세파렉신, 에리트로마이신 및 클라리트로마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25%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함유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제조된 과립, 및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의 혼합물을 압축 성형함으로써 수득되는, 또한 붕해 시간이 40 초 이내이며, 절대 경도가 1.8 N/㎟ 이상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절대 경도가 2.0 N/㎟ 이상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붕해제가 옥수수전분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전분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말이 유효 성분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40%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40% ~ 70% 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드록시도파 또는 레보도파인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9. 이하의 공정:
    (1)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1) 에서 수득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과,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혼합하는 공정; 및
    (3) 상기 (2)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예비-정제 조성물을 압축 성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에텐자미드, 드록시도파, 레보도파, 아목시실린, 세파렉신, 에리트로마이신 및 클라리트로마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효 성분을 총 중량의 25% 이상으로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하의 공정:
    (1)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을 만니톨 및 옥수수 유래 알파화 전분을 포함하는 결합액으로 과립화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을 제조하는 공정;
    (2) 상기 (1) 에서 수득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과립과, 옥수수전분, 히드록시프로필전분, 카르멜로오스 및 크로스포비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붕해제를 혼합하는 공정; 및
    (3) 상기 (2)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붕해 시간이 40 초 이하이며, 절대 경도가 1.8 N/㎟ 이상인 제조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외부 윤활법에 의해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의 절대 경도가 2.0 N/㎟ 이상인 제조 방법.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유효 성분이 드록시도파 또는 레보도파인 제조 방법.
KR1020117000614A 2008-06-13 2009-06-10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8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5300 2008-06-13
JP2008155300 2008-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424A KR20110018424A (ko) 2011-02-23
KR101618388B1 true KR101618388B1 (ko) 2016-05-04

Family

ID=4141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614A KR101618388B1 (ko) 2008-06-13 2009-06-10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119820B2 (ko)
EP (1) EP2308511B1 (ko)
JP (1) JP5583012B2 (ko)
KR (1) KR101618388B1 (ko)
CN (1) CN102119034B (ko)
AU (1) AU2009258560B2 (ko)
CA (1) CA2727488C (ko)
ES (1) ES2400774T3 (ko)
HK (1) HK1158990A1 (ko)
WO (1) WO2009151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9508B2 (ja) * 2005-05-18 2013-06-26 大日本住友製薬株式会社 ドロキシドパを含有する安定な錠剤
IL169678A (en) 2005-07-14 2010-11-30 Innova Sa Sweetener compositions
CN101842085B (zh) 2007-10-31 2013-01-30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口腔崩解剂型
JP5420321B2 (ja) * 2009-06-22 2014-02-19 沢井製薬株式会社 ポラプレジンク含有口腔内崩壊錠
US8858210B2 (en) 2009-09-24 2014-10-14 Mcneil-Ppc, Inc. Manufacture of variable density dosage forms utilizing radiofrequency energy
US20110070301A1 (en) 2009-09-24 2011-03-24 Luber Joseph R Orally transformable tablets
WO2012091049A1 (ja) * 2010-12-28 2012-07-05 大鵬薬品工業株式会社 口腔内崩壊錠剤
US9511028B2 (en) * 2012-05-01 2016-12-0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US9233491B2 (en) 2012-05-01 2016-01-1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achine for production of solid dosage forms
US9445971B2 (en) 2012-05-01 2016-09-20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dosage form
US20160051478A1 (en) * 2013-03-29 2016-02-25 Roquette Freres Film-forming compostions for the film-coating of solid forms
US20160136097A1 (en) * 2013-07-06 2016-05-19 Daicel Corporation Ultrafast-disintegrating tabl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434868A (zh) * 2013-09-18 2015-03-25 重庆圣华曦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且利于在消化道溶出的屈昔多巴口服剂型
CN103549362A (zh) * 2013-10-31 2014-02-05 潘昌仁 一种含有天门冬酰苯丙氨酸甲酯的复合甜味剂
US10231476B2 (en) 2014-04-04 2019-03-19 Douxmatok Ltd Sweetener compositions and foods, beverages, and consumable products made thereof
US20160242439A1 (en) 2014-04-04 2016-08-25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US10207004B2 (en) * 2014-04-04 2019-02-19 Douxmatok Ltd Method for producing sweetener compositions and sweetener compositions
EP2979691A1 (en) 2014-07-30 2016-02-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Oral disintegrating tablet
EP3328360A4 (en) * 2015-07-27 2019-01-02 Unichem Laboratories Limited Tofacitinib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KR20180102114A (ko) * 2016-01-18 2018-09-14 주식회사 다이셀 구강 내 유지형 붕해성 고형 제제,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분체 조성물
JP2017218445A (ja) * 2016-06-03 2017-12-14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崩壊剤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93026B2 (en) 2017-03-20 2019-12-03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rocess for making tablet using radiofrequency and lossy coated particles
AU2020258631B2 (en) * 2019-04-17 2023-11-02 Nordiccan A/S Fast disintegrating cannabinoid tablets
JP7145121B2 (ja) * 2019-05-31 2022-09-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錠剤の製造方法
CN110354106B (zh) * 2019-08-21 2023-03-24 成都诺和晟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在口腔中快速溶解的膜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3678A1 (ja) 2005-05-18 2006-11-23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ドロキシドパを含有する安定な錠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80059A5 (ko) 1973-08-22 1976-09-30 Hoffmann La Roche
US3920728A (en) 1973-08-22 1975-11-18 Hoffmann La Roche Separation and resolution of isomeric forms of 3-(3,4-dihydroxy-phenyl)-serine
JPS52125630A (en) 1976-04-14 1977-10-21 Kyowa Hakko Kogyo Co Ltd Antiperkinson drugs containing l-threo-3,4-dihydroxyphenylserine
JP3701990B2 (ja) 1994-08-19 2005-10-05 ピジョン株式会社 ゴオウを成分とする小児五疳薬剤
WO1998002185A1 (fr) * 1996-07-12 1998-01-22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Materiaux moules par compression, a desagregation rapide,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JPH115738A (ja) 1997-06-15 1999-01-12 Katsuhiro Nishino 脳虚血に伴う神経脱落症状の予防剤および超急性期治療剤
US6465009B1 (en) 1998-03-18 2002-10-15 Yamanouchi Pharmaceutical Co., Ltd. Water soluble polymer-based rapidly dissolving tablets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EP1072264A4 (en) * 1998-04-16 2004-07-28 Ajinomoto Kk REMEDIES FOR PRIMITIVE BILIARY CIRRHOSIS
US20020177593A1 (en) 1998-09-30 2002-11-28 Yuji Ishihara Agents and crystals for improving excretory potency of urinary bladder
ATE283708T1 (de) * 1999-02-15 2004-12-15 Sumitomo Pharma Im mundraum schnellzerfallende tabletten
US20030026835A1 (en) 1999-02-15 2003-02-06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Tablets disintegrating rapidly in the oral cavity
US7727548B2 (en) 2000-03-01 2010-06-01 Eisai R&D Management Co., Ltd. Rapidly disintegrable tablet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JP4802436B2 (ja) * 2000-04-12 2011-10-26 Msd株式会社 口腔内崩壊型組成物及び口腔内崩壊型製剤
CA2424001C (en) 2000-09-22 2013-10-22 Sumitomo Pharmaceuticals Co., Ltd. Oral preparations with favorable disintegration characteristics
JP2002363067A (ja) * 2001-06-06 2002-12-18 Shin Etsu Chem Co Ltd 錠剤の製造方法
JP2003095928A (ja) * 2001-09-27 2003-04-03 Kowa Co 糖衣製剤
FR2841138B1 (fr) 2002-06-25 2005-02-25 Cll Pharma Composition pharmaceutique solide contenant un principe actif lipophile,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20060105036A1 (en) 2003-05-12 2006-05-18 Stephen Peroutka Threo-dops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
DE50305909D1 (de) * 2003-10-13 2007-01-18 Salama Zoser B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umfassend Oxoplatin und dessen Salze
CN101198327B (zh) * 2005-05-25 2012-06-20 特兰斯塞普特制药公司 治疗半夜失眠的固体组合物和方法
KR20080031208A (ko) * 2005-05-25 2008-04-08 트랜스셉트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야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한 고체 조성물 및 방법
BR122020005056B1 (pt) 2005-05-26 2023-01-10 Sumitomo Pharma Co., Ltd Método para preparar uma preparação oral que compreende cloridrato de n-[4-[4-(1,2- benziso-tiazol-3-il)-1-piperazinil]-(2r,3r)-2,3-tetrametileno-butil]-(1r,2s,3r,4s)-2,3-biciclo[2,2,1] heptanodicarboxiimida (lurasidona)
CA2658549A1 (en) * 2006-08-08 2008-02-14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Oral disintegrating tablet having masked bitter tas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3678A1 (ja) 2005-05-18 2006-11-23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ドロキシドパを含有する安定な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9820B2 (en) 2015-09-01
EP2308511B1 (en) 2012-12-26
ES2400774T3 (es) 2013-04-12
CN102119034A (zh) 2011-07-06
CA2727488A1 (en) 2009-12-17
AU2009258560A2 (en) 2011-02-03
EP2308511A1 (en) 2011-04-13
JPWO2009151072A1 (ja) 2011-11-17
AU2009258560A1 (en) 2009-12-17
AU2009258560B2 (en) 2014-07-10
CA2727488C (en) 2016-09-20
WO2009151072A1 (ja) 2009-12-17
HK1158990A1 (en) 2012-07-27
CN102119034B (zh) 2013-05-22
KR20110018424A (ko) 2011-02-23
US20110105615A1 (en) 2011-05-05
JP5583012B2 (ja) 2014-09-03
EP2308511A4 (en) 2011-11-23
US20150320688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388B1 (ko) 구강 내 급속 붕해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EP1886678B1 (en) Stable tablet containing droxidopa
KR101612137B1 (ko) 구강 내 붕괴정
JP5296456B2 (ja) 溶出が良好なイルベサルタン含有医薬組成物および口腔内崩壊錠
JP2001058944A (ja) 速崩壊性固形製剤
JP2008285434A (ja) 口腔内速崩壊錠
US2009006240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09179604A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
JP2010053043A (ja) 口腔内速崩壊錠
JP2010229075A (ja) イミダフェナシンを含有する口腔内崩壊錠
JP4944467B2 (ja) 医薬用組成物
JP2018048136A (ja) 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803555A (zh) 口腔內崩解錠添加用組成物
JP2012197245A (ja) 新規な口腔内崩壊錠
JP2008280316A (ja) 経口投与用錠剤
JP2005194225A (ja) 胃内崩壊性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