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238B1 -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238B1
KR101617238B1 KR1020140116985A KR20140116985A KR101617238B1 KR 101617238 B1 KR101617238 B1 KR 101617238B1 KR 1020140116985 A KR1020140116985 A KR 1020140116985A KR 20140116985 A KR20140116985 A KR 20140116985A KR 101617238 B1 KR101617238 B1 KR 10161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ze
person
oper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209A (ko
Inventor
최영민
기규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주)드루지야오페라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주)드루지야오페라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Priority to KR102014011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2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 및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물을 제작하되, 3D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관람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Visual Media Production Method for Opera or Musical Performance}
본 실시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연장에서는 정통 클래식 오페라 공연 및 뮤지컬보다는 복합공연 등을 주로 상영하고 있으며, 이에, 정통 클래식 오페라 공연 및 뮤지컬에 대한 관람객의 수요 및 상영 횟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정통 클래식 오페라 공연 및 뮤지컬의 경우, 격식과 공연 장소가 주는 부담감, 그리고 고가의 입장료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공연을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객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기간이나 학부모 등은 교육적인 측면에서 간단하게나 아이들에게 오페라 공연 또는 뮤지컬을 보여주기를 원하며, 지방자치 단체들 또한 형식적으로라도 오페라 공연 또는 뮤지컬을 상영하고 싶어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이에, 전국의 학교나 기관, 소극장 등에 간단한 무대 설치만으로도 누구나 쉽게 오페라 공연 또는 뮤지컬 등을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현장감을 최대한 살려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에 대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 및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물을 제작하되, 3D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관람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 및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물을 제작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무대 설치만으로도 전국의 학교나 기관, 소극장 등에서 관람객이 오페라 또는 뮤지컬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획득하는 인물 영상 획득단계;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배경 영상 획득단계; 상기 3D 인물 영상을 상기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 시 상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상기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하도록 상기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인물 영상 조절단계; 상기 스크린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배경 영상 조절단계; 및 상기 인물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상기 배경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물을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 및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물을 제작하되, 3D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관람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 및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3D 영상물을 제작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무대 설치만으로도 전국의 학교나 기관, 소극장 등에서 관람객이 오페라 또는 뮤지컬을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의 입체 깊이감 조절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의 구현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 제작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 제작시스템(100)은 3D 입체 카메라(110), 영상 제작장치(120) 및 영상물 생성장치(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물 제작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D 입체 카메라(110)는 3D 입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3D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3D 입체 카메라(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두 개의 독립적인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3D 입체 카메라(110)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이를 통해 입체감이 형성된 3D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 카메라(110)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촬영하여 3D 인물 영상을 생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가로 11m, 높이 5m 깊이 15m의 크로마키 스튜디오 내에서 배우들의 실제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 무대에 대한 현장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이때, 배우들은 크로마키 스튜디오 내 특정 동선에 따라 움직이며, 이를 통해, 영상 제작장치(120)는 3D 입체 카메라(110)로부터 특정 동선까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 요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D 입체 카메라(110)는 크로마키 스튜디오 내 공연 중인 배우의 동선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지상으로부터 특정 높이만큼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공연중인 배우들을 촬영한다. 이때, 3D 입체 카메라(110)의 설치 지점은 3D 입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3D 인물 영상이 3D 입체 카메라(110)의 촬영환경과 동일한 무대환경을 갖는 공연장에서 투사되는 경우 공연장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즉, 3D 입체 카메라(110)는 3D 입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3D 인물 영상이 배우들을 촬영할 당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촬영환경과 동일한 무대환경을 갖는 공연장에서 투사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지점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와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을 투사 시의 영사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3D 인물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제작장치(120)는 3D 입체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여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의 배경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영상 제작장치(120)는 소프트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작장치(120)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의 배경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연에 출연하는 배우의 실제 크기 및 표준 스크린의 크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한다. 즉, 영상 제작장치(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이 공연장에 상영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항상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조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배경 영상 또한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배우의 실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마찬가지로, 영상 제작장치(120)는 제작된 배경 영상을 표준 스크린에 투사 시 표준 스크린에 대응되는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3D 인물 영상과 합성될 배경 영상을 제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에 따른 영상 제작장치(120)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의 배경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배우의 실제 크기 및 표준 스크린의 크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되, 배우들의 공연을 촬영할 당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 등을 추가로 고려하여 배경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제작장치(120)로부터 제작된 배경 화면은 3D 인물 영상과 보다 자연스럽게 합성될 수 있다. 한편, 배경 영상은 공연장의 스크린 크기에 맞게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연산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영상 제작장치(120)는 3D 입체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수행하여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에 추가로 합성될 CG(Computer Graphics) 영상 예컨대, 이벤트 효과 등을 추가로 제작할 수 있다.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3D 입체 카메라(110)에 의해 생성된 3D 인물 영상 및 영상 제작장치(120)에 의해 생성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인물영상 획득부(132), 배경영상 획득부(134), 이벤트 효과 획득부(136), 조정부(138) 및 합성부(139)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물 생성장치(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영상물 생성장치(13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은 각각 별도의 소프트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인물영상 획득부(132)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물영상 획득부(132)가 획득한 3D 인물 영상은 기 설정된 표준 거리에서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촬영된다. 예컨대, 3D 인물 영상은 공연장에 구비된 스크린으로부터 기 설정된 표준 거리만큼 떨어진 영사기에 의해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된다. 이때, 기 설정된 표준 거리는 3D 인물 영상의 획득을 위해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할 당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 예컨대, 3D 입체 카메라(110)로부터 배우까지의 거리, 지상으로부터 3D 입체 카메라(110)까지의 높이, 3D 입체 카메라(110)의 시야각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한다.
배경영상 획득부(134)는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경영상 획득부(134)가 획득한 배경 영상은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에 출연하는 배우의 실제 크기 및 표준 스크린의 크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제작된다. 예컨대, 배경 영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이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항상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조절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마찬가지로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배우의 실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배경 영상은 기 설정된 표준 거리에서 투사되는 경우 소정 크기 예컨대, 표준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이벤트 효과 획득부(136)는 영상 제작장치(120)를 이용하여 제작된 CG 영상 예컨대, 이벤트 효과 영상 등을 수신하고, 이를 조정부(138) 또는 합성부(139)로 전송하여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이한 영상물에 추가로 합성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조정부(138)는 인물영상 획득부(132)를 통해 획득된 3D 인물 영상, 배경영상 획득부(134)를 통해 획득된 배경 영상 및 이벤트 효과 획득부(136)를 통해 획득된 CG 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스케일링하여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138)는 인물영상 획득부(132)를 통해 획득된 3D 인물 영상이 실제 공연이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 시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일반적인 영상물의 경우 기 제작된 영상물의 표준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스크린에서 투사 시 스크린의 크기에 맞춰 영상물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조정된 영상물의 크기에 근거하여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배우의 크기 또한 함께 조절되며, 이 경우, 관람객들이 느끼는 영상물에 대한 현장감 및 사실감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138)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해 제작된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함으로써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138)가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조정부(138)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 및 실제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이 투사되는 영사기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실제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이 투사되는 경우의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를 유추한다. 이때,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와 배우까지의 거리, 지상으로부터 3D 입체 카메라(110)까지의 높이 및 3D 입체 카메라(110)의 시야각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영사기의 위치정보는 영사기로부터 공연장에 구비된 스크린까지의 거리, 지상으로부터 영사기까지의 높이 및 영사기의 시야각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조정부(138)는 유추결과에 근거하여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실제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이 투사되는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한다.
조정부(138)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실제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이 투사되는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3D 인물 영상의 스케일링 값을 추출한다. 이후, 조정부(138)는 추출된 스케일링 값에 따라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한다. 한편, 조정부(138)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실제 공연장에서 3D 인물 영상이 투사되는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한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3D 인물 영상의 스케일링 값을 추출할 수도 있지만, 실제 3D 인물 영상을 공연장에서 투사해본 결과에 따라 계산된 스케일링 값을 직접 입력받고, 이를 통해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정부(138)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에 구비된 스크린의 크기에 근거하여 배경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조정부(138)는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에 대응하여 이벤트 효과 획득부(136)를 통해 획득된 CG 영상을 스케일링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138)가 배경 영상 및 CG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합성부(139)는 조정부(138)에 의해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배경 영상 및 CG 영상을 합성하여 최종적으로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을 생성한다. 이때, 합성부(139)는 영상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이벤트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추가로 합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합성부(139)는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배경 영상 및 CG 영상을 합성 시 각각의 영상에 대한 차등적인 입체 깊이감 조절 과정을 수행한다. 예컨대, 합성부(139)는 합성부(139)를 통해 생성된 영상물이 공연장 내 스크린에 투사 시 배경 영상 대비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CG 영상)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의 깊이(Depth) 값을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의 깊이 값보다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합성부(139)는 영상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영상에 대한 차등적인 입체 깊이감 조절 과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이후, 제작된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2에 명시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방법의 각 동작은 앞서 설명된 영상물 생성장치(130)의 각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방법은 먼저, 영상물 생성장치(130)가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202). 한편, 단계 S202에서 획득되는 3D 인물 영상은 기 설정된 표준 거리에서 스크린으로 투사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촬영된다. 이때, 기 설정된 표준 거리는 3D 인물 영상의 획득을 위해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할 당시의 3D 입체 카메라(110)의 위치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획득한다(S204). 한편, 단계 S204에서 획득되는 배경 영상은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에 출연하는 배우의 실제 크기 및 표준 스크린의 크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제작된다.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단계 S202로부터 획득된 3D 인물 영상이 실제 공연이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 시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한다(S206). 단계 S206에서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공연장에서 3D 인물을 투사 시의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한다.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단계 S204로부터 획득된 배경 영상을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에 구비된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스케일링한다(S208).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단계 S206 및 단계 S208에 의해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을 생성한다(S210). 한편, 단계 S210에서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배경 영상을 합성 시 별도의 이벤트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추가로 합성할 수도 있다. 이때,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단계 S210을 통해 생성된 영상물이 공연장 내 스크린에 투사 시 배경 영상 대비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CG 영상)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의 깊이 값을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의 깊이 값보다 더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202 내지 S210은 앞서 설명된 인물영상 획득부(132), 배경영상 획득부(134), 조정부(138) 및 합성부(139)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의 입체 깊이감 조절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배경 영상 및 이벤트 효과(CG 영상)의 합성을 통해 제작되되, 합성 과정에서 각각의 영상에 대한 차등적인 입체 깊이감 조절 과정이 수행된다. 즉,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영상물이 공연장 내 스크린(300)에 투사 시 배경 영상 대비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이벤트 효과의 깊이 값을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의 깊이 값보다 더 낮게 조정한다. 예컨대, 영상물 생성장치(130)는 공연장 내 구비된 스크린(300)의 깊이 값을 0으로 가정하였을 시 3D 인물 영상 및 배경 영상의 깊이 값을 (-) 값으로 설정하며 이벤트 효과의 깊이 값은 (+)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배경 영상은 3D 인물 영상 대비 (-) 깊이 값이 더 높게 설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은 3D 입체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입체 깊이감이 조절된 영상물을 감상하며, 이를 통해 보다 입체감 있고 역동감 있는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간단한 무대 설치만으로도 전국의 학교나 기관, 소극장 등에서 영사기(400)를 이용하여 상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누구나 재미있고 저렴하게 오페라 또는 뮤지컬을 접할 수 있도록 스토리를 각색하여 기존의 90분 ~ 120분의 공연을 50분 내외로 줄이는 한편, 배우들의 실제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물을 생성함으로써 기존 오페라와는 차별화된 입체감 있는 영상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사전에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영상물 생성과정에서 각각의 영상별로 차등적인 입체 깊이감 조절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이 보다 입체감 있고 역동적인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공연장에서 상영 시 공연 무대에 추가 구비된 특수효과 발생장치(410) 및 사이키 조명 등을 이용하여 번개나 안개 등과 같은 특수 효과를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3D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뿐만 아니라 4D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관람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의 구현 형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물은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되는 경우 공연자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제작된다. 한편, 일반적인 영상물의 경우 기 제작된 영상물의 표준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스크린에서 투사 시 스크린의 크기에 맞춰 영상물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조정된 영상물의 크기에 근거하여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배우의 크기 또한 함께 조절되며, 이 경우, 관람객들이 느끼는 영상물에 대한 현장감 및 사실감은 대폭 감소하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최종적으로 제작된 영상물이 실제 공연장에서 상영되는 경우 공연장의 무대 크기와 무관하게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배우의 실제 크기와 항상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과정을 거쳐 영상물을 생성함으로써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실제 오페라 또는 뮤지컬 전용 극장에 와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표준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된 배경 영상을 공연장에 구비된 스크린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3D 인물 영상과 합성시킴으로써 영상물을 관람하는 관람객들에게 공연장에 최적화된 영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영상물 제작시스템 110: 3D 입체 카메라
120: 영상 제작장치 130: 영상물 생성장치
132: 인물영상 획득부 134: 배경영상 획득부
136: 이벤트 효과 획득부 138: 조정부
139: 합성부 300: 스크린
400: 영사기 410: 특수효과 발생장치

Claims (7)

  1.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등장하는 배우의 공연을 3D 입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3D 인물 영상을 획득하는 인물 영상 획득단계;
    상기 오페라 또는 뮤지컬에 대응하여 제작된 배경 영상을 획득하는 배경 영상 획득단계;
    상기 3D 인물 영상을 상기 영상물이 실제 상영되는 공연장의 스크린에 투사 시 상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상기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하도록 상기 3D 인물 영상을 촬영 시의 상기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와 상기 공연장에서 상기 3D 인물 영상을 투사 시의 영사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3D 인물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인물 영상 조절단계;
    상기 스크린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배경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배경 영상 조절단계; 및
    상기 인물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상기 배경 영상 조절과정에서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물을 생성하는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영상 획득단계에서,
    상기 3D 인물 영상은 기 설정된 표준 거리에서 투사되는 경우 스크린 내 디스플레이되는 인물의 크기가 상기 배우의 실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출력되도록 촬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영상은,
    상기 배우의 실제 크기 및 기 설정된 크기를 갖는 표준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 카메라의 위치정보는 지상으로부터 상기 3D 입체 카메라까지의 높이, 상기 3D 입체 카메라로부터 상기 배우까지의 거리 및 상기 3D 입체 카메라의 시야각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사기의 위치정보는 지상으로부터 상기 영사기까지의 높이, 상기 영사기로부터 상기 스크린까지의 거리 및 상기 영사기의 시야각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이벤트 효과 및 음향 효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영상물에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영상물을 상기 스크린에 투사 시 상기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 대비 상기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상기 이벤트 효과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상기 스케일링된 3D 인물 영상 및 상기 이벤트 효과의 깊이(Depth) 값을 상기 스케일링된 배경 영상의 깊이 값보다 더 낮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KR1020140116985A 2014-09-03 2014-09-03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KR10161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85A KR101617238B1 (ko) 2014-09-03 2014-09-03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985A KR101617238B1 (ko) 2014-09-03 2014-09-03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09A KR20160028209A (ko) 2016-03-11
KR101617238B1 true KR101617238B1 (ko) 2016-05-02

Family

ID=5558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85A KR101617238B1 (ko) 2014-09-03 2014-09-03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321B1 (ko) * 2018-06-01 2023-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09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hree dimensional presentations
CN210021183U (zh) 沉浸式互动全景全息剧院及演出***
CN108200445B (zh) 虚拟形象的虚拟演播***及方法
US9679369B2 (en) Depth key compositing for video and holographic projection
US20160129365A1 (en) Background imagery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US2016026654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source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US10859852B2 (en) Real-time video processing for pyramid holographic projections
KR101408719B1 (ko) 3차원 영상의 스케일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1998A (ko) 영상합성기의 크로마키 피사체영상과 배경영상 합성장치 및 방법
KR20140023665A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KR101617238B1 (ko) 오페라 또는 뮤지컬 공연을 위한 영상물 제작 방법
US10067353B2 (en) Foil tensioning system for pepper's ghost illusion
US202100656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projection system
CN103336403A (zh) 一种5d360°环幕数码高清立体电影制作方法
Reinhuber et al. The Scale of Immersion: Different audio-visual experiences exemplified by the 360 video Secret Detours
TWI759351B (zh) 投影系統、方法、伺服器和控制介面
JPH10501385A (ja) 可視的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可視化用記録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206023911U (zh) 虚拟现实***
KR102145017B1 (ko) 3d 가상스튜디오시스템 및 3d 가상스튜디오 영상합성방법
KR101486959B1 (ko)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노래방 시스템
KR101455664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관람용 의자를 포함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및 방법
JP7309148B2 (ja) ホール用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て行うイベントの実施方法
JP2024051665A (ja) 動画合成システム、動画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64633A (ja) 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システム、入力ストリームに関連する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サラウンド・ビジュアル・フィールド・コントローラ
KR20150114103A (ko) 3차원 리얼타임 가상입체 스튜디오 장치 및 3차원 리얼타임 가상입체 스튜디오 장치에서의 가상입체 스튜디오 영상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