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23B1 -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23B1
KR101616623B1 KR1020140094169A KR20140094169A KR101616623B1 KR 101616623 B1 KR101616623 B1 KR 101616623B1 KR 1020140094169 A KR1020140094169 A KR 1020140094169A KR 20140094169 A KR20140094169 A KR 20140094169A KR 101616623 B1 KR101616623 B1 KR 10161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drug
biocompatible polymer
nanopartic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3342A (ko
Inventor
함승주
허용민
노일구
최지혜
김현욱
윤다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23B1/ko
Priority to US14/629,732 priority patent/US9320809B2/en
Publication of KR20160013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5Polycationic or polyanionic oligopeptides, polypeptides or polyamino acids, e.g. polylysine, polyarginine, polyglutamic acid or peptide 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des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61K47/6927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 A61K47/692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 A61K47/693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 A61K47/693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the form being a solid microparticle having no hollow or gas-filled cores the form being a nanoparticle, e.g. an immuno-nanoparticl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nanoparticle being a polymer the polymer being a polysaccharide, e.g. starch, chitosan, chitin, cellulose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1Polysaccharides, e.g. alginate, chitosan,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9Proteins, e.g. albumin,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73Nanoparticle, i.e. structure having three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06Drug deli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08Mechanical repair performed/surgical
    • Y10S977/911Cancer cell de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약제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친수성 약물과 소수성 약물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약물의 초기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암세포의 환경에 특이적이기 때문에, 암세포 선택적 진단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Nanoparticle comprising hydrophobic drug conjugated to cationic polymer and hydrophilic drug conjugated to anionic polymer}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약제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약물 전달 시스템은 리포좀이나 폴리머좀 등과 같은 비히클에 소수성 약물 또는 친수성 약물을 담지하여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전달 시스템의 경우, 약물을 목적하는 부위로 운반하기 위하여, 표적지향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고, 표적지향 역할을 주는 리간드 등을 결합해 주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친수성 약물 및 소수성 약물을 동시에 전달하면서 별도의 공정 없이 표적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고, 초기 약물 방출을 억제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52964호
본 발명은 양이온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고분자 각각에 소수성 약물 및 친수성 약물을 결합하여, 친수성 약물과 소수성 약물을 동시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초기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에 의하여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친수성 약물과 소수성 약물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고, 약물의 초기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암세포의 환경에 특이적이기 때문에, 암세포 선택적 진단 또는 치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성(a) 및 암세포 내에서의 약물 방출 과정(b)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PLL-PTX(a) 및 HA-GEM(b)의 NMR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화학 구조 상의 α, α', 1', 2', 3', 5 및 6은 NMR 데이터 상의 α, α', 1', 2', 3', 5 및 6 피크와 각각 상응한다.
도 3은 MDNCs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HA-GEM: PLL-PTX의 비율에 따른 나노입자의 크기(a), 제타 전위(b) 및 AFM 관찰 결과(c)를 보여준다.
도 4는 pH에 따른 PTX(a) 및 GEM(b)의 약물 방출량(왼쪽) 및 방출 속도 상수(오른쪽)를 보여준다.
도 5는 나노입자가 세포 내로 잘 유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가지 세포주에서 CD44의 발현양을 확인 한 결과 및 HuccT1(I), CD44가 차단된 HuccT1(II), SCK(III) 및 CD44가 차단된 SCK(IV)에서의 나노입자의 세포 내 유입 정도를 보여준다. 도 5a는 공초점 현미경 관찰 결과를, 도 5b는 로다민 B의 형광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 5c는 HuCCT1 및 SCK 에서의 CD44 발현양을 분석한 결과,를 도 5d는 도 5b를 토대로 각 실험군당 로다민 B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낸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은 HuCCT1 및 SCK 세포주에서, 젬시타빈 또는 파클리탁셀의 농도에 따른, GEM + PTX, GEM, PTX, HA-GEM, PLL-PTX 및 MDNCs의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도 6a, b, d, e) 및 IC50값(도 6c, f)을 보여준다.
도 7은 GEM + PTX, GEM, PTX, HA-GEM, PLL-PTX 및 MDNCs군에서,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 정도(도 7a, b) 및 각 군에서 HuccT1, SCK 세포주에 따른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 비율(도 7c, d)을 보여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에 의하여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약물 사이의 결합은 에스터 결합, 이민 결합, 하이드라존 결합, 아세탈 결합 또는 사이클릭 아세탈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소수성 약물 및 친수성 약물과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나노입자가 암세포 특이적 마커에 감응 내포 작용 (receptor mediated endocytosis)을 통하여 세포 내로 유입된 후, 입자 내의 에스터 결합, 이민 결합, 하이드라존 결합, 아세탈 결합 또는 사이클릭 아세탈 결합이 특정 생체 환경에 특이적으로 분해됨에 따라, 특정 생체 환경에서 자기조립체가 분해되어, 친수성 약물 및 소수성 약물을 동시에 세포 내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진단 또는 치료형 약물 전달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생체적합성 양이온성 고분자와 소수성 약물이 결합된 복합체와, 생체적합성 음이온성 고분자와 친수성 약물이 결합된 복합체가 양이온과 음이온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자기조립된 MDNCs(multi drug nano carriers)가 구성된다 (도 1a). MDNCs는 생체 내에서 CD44 매개 내포 작용(endocytosis)에 의하여 암세포 내로 유입되고, 암세포 특이적 환경에서 약물과 고분자의 결합이 분해되어 약물이 방출되게 된다 (도 1b). 예를 들어, 약물과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으로 결합된 경우, 암세포 내의 5.0 내지 5.5 pH 범위에서 프로톤(H+)에 의하여 에스터 결합의 분해속도가 가속된다. 에스터 결합이 분해됨에 따라, 나노입자가 붕괴되어 나노입자에 포함된 친수성 약물 및 소수성 약물을 방출할 수 있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결합되어 비활성 형태로 존재하던 약물이, 상기 결합의 분해에 따라 활성화된 형태로 변환됨에 따라, 초기 약물 방출을 제어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사멸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양이온을 나타내는 생체 적합 고분자이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키토산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리신, 폴리히스티딘 및 폴리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량 2 K 내지 40 K의 리신 호모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poly-M)k
상기 식에서, M은 리신, 히스티딘 또는 아르기닌이고, k는 2 내지 50을 나타낸다.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생체 적합하기만 하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헤파린, 히알루론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더마탄 설페이트, 덱스트란, 알지네이트,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량 10 K 내지 100 K 의 히알루론산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소수성 약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빈블라스틴, 에토포사이드, 악티노마이신 D (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bleomycin),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알킬레이팅 화합물, 알케란 (Alkeran), 부설판 (Busulfan), 시스플라티눔 (Cisplatinum), 시톡산 (Cytoxan), 다우노루비신 (Daunorubicin), 하이드레아 (Hydrea), 이포스파미드 (Ifosfamide), 미트라마이신 (Mithramycin), 마이토마이신 (Mitomycin), 미토크산트론 (Mitoxantrone), 질소 머스타드 (Nitrogen Mustard), 벨란 (Velban), 빈크리스틴 (Vincristine), 카보플라티눔 (Carboplatinum), 이다루비신 (Idarubicin), 이리노테칸 (Irinotecan), 류스타틴 (Leustatin), 나벨바인 (Navelbine), 탁소테레 (Taxotere) 및 토포테칸 (Topotecan) 아드리아마이신, 시스-플라틴, 다우노마이신, 5-플루오로우라실 및 파클리탁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친수성 약물은 부설판(Busulf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멜파란(Melphalan),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시타라빈(Cytarabine), 5-플루오로우라실(5-FU),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 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D), 블레오마이신 및 젬시타빈(gemcitab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 형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암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친수성 영역에 물리화학적 봉입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가시광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의 형광을 발광하는 형광체일수 있고, 예를 들어, 플루오레신(fluorescein), 보디피(BODYPY), 테트라메틸로드아민(Trtramethylrhod아민), 알렉사(Alexa), 시아닌(Cyanine), 알로피코시아닌(allopicocyanine) 또는 기타의 형광을 발생시키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자 수득량(quantaum yield)이 높은 형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염료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생체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목적한 부위까지 효율적으로 나노입자를 전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의 중량 비율은 1:70 내지 70:1, 1:50 내지 50:1, 1:35 내지 35:1, 1:20 내지 20:1, 1:20 내지 1:50, 1:20 내지 1:40, 1:25 내지 1:35, 또는 1:30 내지 1:3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의 중량 비율은 1:25 내지 1:35, 1:30 내지 1:35일 수 있다. 소수성 약물이 파클리탁셀 및 친수성 약물이 젬시타빈일 때, 상기 중량 비율에서 제조된 나노입자의 입경이 작고, 매끄러운 구형이며, 분산도가 양호한 이점이 있다 (실험예 1).
본 발명은 또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혼합하고 볼텍싱 함으로써, 양이온과 음이온의 정전기적 인력에 따라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약물 사이의 결합은 에스터 결합, 이민 결합, 하이드라존 결합, 아세탈 결합 또는 사이클릭 아세탈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은 1차 아민기가 존재하는 양이온성 고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도록 소수성 약물을 개질하고, 상기 개질된 소수성 약물을 상기 1차 아민기가 있는 양이온성 고분자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이온성 고분자의 1차 아민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숙시닉 안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 SA), 글루타릭 안하이드라이드(glutaric anhydride), 숙시닐 클로라이드(succinyl chloride) 또는 글루타릴 클로라이드(glutaryl chloride) 일 수 있다. 소수성 약물에 숙시닉 안하이드라이드를 도입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공지된 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리딘 용액에 파클리탁셀, 숙시닉 안하이드라이드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넣어 반응시켜, 숙시닉 안하이드라이드가 도입된 파클리탁셀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은,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가 있는 음이온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친수성 약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과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에스터 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을 혼합하여 볼텍싱 함에 의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의 정전기적 인력에 따라 자기 조립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노입자의 약제학적 용도를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진단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세포 표면 단백질인 CD44에 특이적이기 때문에, 별도의 표적지향성을 위한 리간드 없이도,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CD44가 과발현되는 암세포에 특이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적용할 수 있는 암의 종류는 CD44가 과발현되는 암이기만 하면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췌장암, 간암, 유방암, 폐암, 위암, 직장암, 담낭암, 난소암, 방광암, 대장암, 임파종, 뇌암, 자궁암, 전립선암 및 악성흑색종 또는 담도암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CD44 과발현 세포에 잘 유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D44 과발현 세포주 및 저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CD44 저발현 세포주에 비하여 CD44 과발현 세포주에 효율적으로 유입되며, 세포 독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3 및 실험예 4).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또한, 암세포 내의 특이적 환경에서 분해된다. 암세포는 대사과정에서 피루브산, 젖산 등을 많이 생성하여 암세포 내의 pH는 5.0 내지 5.5 pH의 산성을 띠게 된다. 상기 5.0 내지 5.5의 pH 범위에서 프로톤(H+)에 의하여 에스터 결합이 분해됨에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특이적으로 분해되어, 친수성 약물 및 소수성 약물을 방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암세포 특이적 환경에서만 약물을 방출하는 이점이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암 진단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의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비히클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캄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양모지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암 진단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 형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면, 조영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암 치료와 진단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나노입자 내에 물리화학적 봉입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가시광선 영역 또는 근적외선의 형광을 발광하는 형광체일수 있고, 예를 들어, 플루오레신(fluorescein), 보디피(BODYPY), 테트라메틸로드아민(Trtramethylrhodamine), 알렉사(Alexa), 시아닌(Cyanine), 알로피코시아닌(allopicocyanine) 또는 기타의 형광을 발생시키는 형광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자 수득량(quantaum yield)이 높은 형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친수성 염료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진단을 위한 조영제로도 이용되는 경우, 상기 조영제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Hank's solution), 링거 용액(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완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injection) 현탁액은 소디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이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영제는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의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를 들면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멸균 주사용 제제는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예를 들면 1,3-부탄디올 중의 용액)일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거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비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비휘발성 오일은 그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영제는 진단 대상에서 분리한 조직 또는 세포에 투여하여 나노입자가 발산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영상을 수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입자에 의해 발산되는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와 광학 이미징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실시예 1-1]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입자의 제조
1차 아민 기가 존재하며 양이온성을 가지는 고분자를 중합하기 위해 CBZ (Carboxybenzy) 기가 보호(protecting)된 Lys(Z)를 트리포스겐(triphosgene)을 이용하여 50?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용매 조건하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3시간 후, 헥산에 침전시켜 Lys(Z)-NCA 를 얻었다. 생성된 Lys(Z)-NCA를 수분이 제거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 녹인 후 1차 아민인 헥실아민을 Lys(Z)-NCA 대비 1/30 비율로 넣었다. 35℃ 조건에서 48시간 반응을 시킨 후 에테르에 침전시켜서 PLL(poly-L-lysine)(Z)를 얻었다. GPC로 분석결과 고분자 분자량이 4525인 것을 알 수 있으며 고분자 분산도 (PDI) 값은 1.0685인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아민 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PLL(Z)를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trifluoreacetic acid)에 녹인 후 보호 기(protecting group)의 몰 비율 대비 3배의 HBr을 넣어준 후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이 완료된 후 에테르 에 침전시키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분자량 컷 오프 1000(molecular weight cut off 1000) 투석튜브를 이용하여 2일 동안 정제하였다. 정제 한 후, 동결건조를 통하여 물을 제거하여 순수한 PLL을 얻었다.
파클리탁셀(Paclitaxel; PTX) 에 PLL과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를 만들기 위해 피리딘 용액에 PTX와 숙시닉 안하이드라이드(succinic anhydride; SA)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DMAP) 을 넣어준 후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3시간 후, 반응액을 디클로로메탄과 1:1 부피비로 섞고, 다시 물을 넣은 분별깔때기에 넣어, 반응 후 남은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분별깔때기를 이용하여 받은 용액을 헥산에 침전시켜 PTX-SA를 얻었다.
생성물로 얻은 PTX-SA 와 PLL을 결합하기 위하여 PTX-SA를 DMSO 용액에 녹인 후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DCC) 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ydroxysuccinimide; NHS)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카르복시 기를 활성화하였다. 1시간 후, DMSO/DIW (4:1 부피비)에 녹인 PLL용액과 섞어준 후 실온에서 24시간 반응하였다. 반응 후, 반응액을 70% 메탄올에 섞어주고 아미콘(amicon; 분자량 3000)을 이용하여 정제한 후, 동결건조하여 PLL-PTX를 얻었다 (반응식 1의 (a) 참조).
이렇게 얻은 PLL-PTX를 NMR로 분석한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다. 도 2(a)에서 화학 구조 상의 α', 2' 및 3'은 NMR 데이터 상의 α', 2' 및 3'에 상응한다.
[실시예 1-2]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음이온성 고분자로 히알루론산(HA)을 친수성 약물인 젬시타빈(GEM)과 결합하기 위하여, 희석된 산에서 HA를 투석시켜서 HA와 이온결합으로 결합되어있는 Na+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된 물질과 GEM을 DMSO에 섞어 준 후, DCC 와 DMAP을 넣어줘서 HA의 카르복실산과 GEM의 하이드록시 기를 4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메탄올에 침전시켜 HA-GEM을 얻었다 (반응식 1의 (b) 참조).
이렇게 얻은 HA-GEM를 NMR로 분석한 결과를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서 화학 구조 상의 α, 1', 5 및 6은 NMR 데이터 상의 α, 1', 5 및 6에 상응한다.
[실시예 1-3]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10 mM HEPES 버퍼 (pH 7.4)에 실시예 1-1의 PLL-PTX 및 실시예 1-2의 HA-GEM을 중량 비율을 달리하여(HA-GEM:PLL-PTX=1:1, 2:1, 4:1, 8:1, 16:1, 32:1 및 64:1) 넣은 후, 서로 섞어주고, 30분 동안 볼텍싱(voltexing)하였다. 그리고 나서, 4℃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여 입자 형태인 MDNCs(multi-drugs nano-carriers)를 제조하였다. MDNCs의 제조 과정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69970178-pat00001

[ 실험예 1]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MDNCs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 3(a)도시한 바와 같이, HA-GEM: PLL-PTX의 비율이 32:1인 경우 제조된 나노입자의 입자 직경이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1 이상의 비율에서 제타 전위가 -20 mV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AFM 관찰 결과, 32:1의 범위에서 나노입자의 형태가 매끄러운 구형으로 분포도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HA-GEM: PLL-PTX의 비율이 32:1인 경우, 제조된 나노입자의 물성이 가장 우수함을 의미한다.
[ 실험예 2] 인 비트로 약물 방출량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입자의 약물 전달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비트로 약물 방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투석 튜브 (dialysis tube, MWCO 4K) 에 넣은 후 pH 7.4 용액 (DPBS) 및 pH 5.5 용액 (acetate buffer, 10 mM)에 넣어준 후 37℃ 조건하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계획된 시간에 용액을 걷어낸 후 동결건조 시키고 같은 양의 용액을 넣어주었다. 동결건조된 용액에 1ml 의 아세토나이트릴/증류수 (75/25 부피분율) 용액을 넣어주고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후, C18 컬럼 (Symmetry C18 5? 3.9x150mm column, waters co.)하에서,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y, waters co.)를 작동하여 두 가지 약물의 시간에 따른 방출량을 얻는다. 이때 이동상으로 DPBS/아세토나이트릴 (50/50 부피분율) 을 분당 1 mL 로 흘려 주었으며, 검출하는 UV 흡광대는 230 nm로 고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약물 모두 pH 7.4 (DPBS) 대비 pH 5.5 (acetic acid buffer 10mM) 에서 방출속도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암세포 특이적인 환경에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 및 방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실험예 3] 나노입자의 세포 내 유입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입자가 히알루론산에 의하여, 특정 세포에 특이적으로 유입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D44 발현양에 차이가 있는 암 세포주(CD44 과발현 담도암 세포주 HuCCT1, 및 CD44 저발현 담관암 세포주 SCK)를 선정하여 이들의 CD44의 발현양을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1x106 개의 HuCCT1 및 SCK 세포를 모은 후 0.2% 부피 분율의 소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및 0.02% 부피분율의 아자이드화나트륨 (sodium azide)로 구성된 블로킹 버퍼(block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결합된 항-마우스 CD44 (20㎕) 와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가 결합된 마우스 IgG (20㎕)를 넣어준 후 4℃ 에서 30분 동안 각각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다시 블로킹 버퍼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4% 부피 분율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 (400㎕) 용액에 재분산시킨 후,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담관암 세포주인 SCK 보다 담도암 세포주인 HuCCT1에서 CD44가 과발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5c).
또한, CD44를 차단(block)한 조건과 차단하지 않은 조건에 대해서 형광물질인 로다민-B 가 표지된 입자를 이용하여 공초점 형광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로다민 B가 표지된 나노입자 (RhoB-MDNCs)를 제조한 후, 2x105 개 HuCCT1 및 SCK가 흡착된 커버 글래스 바텀 디쉬(cover glass bottom dish)를 준비한 후, 1.5 시간 동안 세포에 각각의 나노입자를 흡수시켰다. 또한 CD44 를 차단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양의 세포를 준비한 후 나노입자를 흡수시키기 전에, 2시간 동안, 과량의 히알루론산을 인큐베이션한 후 CD44를 차단시키지 않은 세포와 같은 시간 동안 나노입자를 각각 흡수시켰다. 1.5 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세척하였다. 4% 부피 분율의 파라포름알데하이드를 통하여 30분 동안 고정시키고 1시간 동안 Hoechst 33258을 이용하여 핵을 염색하였다. 그 후 공초점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각각 실험에 대한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uCCT1>SCK>SCK 차단 =HuCCT1 차단 순서로 입자의 유입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5a,b).
또한, 로다민 B의 형광강도 측정 결과를 토대로, 하기 식에 따라, 상대적 형광세기를 계산하였다 (도 5d).
[식 1]
Figure 112014069970178-pat00002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CD44가 과발현되는 암 세포에 특이적으로 유입됨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 실험예 4] 나노입자의 세포 독성 효과 확인
GEM + PTX, GEM, PTX, HA-GEM, PLL-PTX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입자(MDNCs)를 CD44가 과발현된 HuCCT1 과 저발현된 SCK에 각각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GEM + PTX는 GEM과 PTX를 함께 처리한 군, GEM, PTX는 각각의 약물 단독 처리군, HA-GEM은 HA와 GEM이 결합된 복합체 처리군, PLL-PTX는 PLL과 PTX가 결합된 복합체 처리군을 의미한다.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MTT 어세이를 이용한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HuCCT1에서는 MDNCs 가 가장 적은 농도에서 IC50(50% 저해 농도) 값을 나타냈으며 타겟 능력이 있는 HA-GEM 그리고 두 가지 약물을 같이 처리한 GEM+PTX 순서로 나타났다. SCK의 경우 MDNCs, GEM+PTX 순서로 나타났다. MDNCs가 GEM+PTX 보다 IC50이 낮다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MENCs의 항암 효과는 단순히 GEM과 PTX를 병용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것 이상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MDNCs는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에, 소수성 및 친수성 약물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나노입자를 형성함에 따라, 각각의 약물을 조합한 것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MDNCs는 CD44를 통하여 세포 내 유입이 일어나며, CD44가 과발현된 세포의 경우 저발현된 세포보다 100배 이상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5] 나노입자의 세포 사멸 유도 유전자 발현 정도
실험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각각의 물질의 세포 사멸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x106 개의 HuCCT1 및 SCK 세포에 같은 양의 GEM 및 PTX를 기준으로 하여 GEM, PTX, GEM+PTX, HA-GEM, PLL-PTX, HA-GEM, 및 MDNCs 를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리고 나서 새로운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세포를 얻었다. 얻은 세포들에 대한 총 RNA양을 RNeasy plus Mini Kit (QIAGEN Co.)을 통하여 얻은 후 바이오포토미터를 이용하여 총 RNA 농도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난 후 2 ? 의 총 RNA에 대한 상보적 DNA (cDNA)는 High Capacity RNA-to-cDNA kit (Applied Biosystems) 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실시간 PCR 시스템 (LightCycler 480 System, HNS Bio) 에서 QuantiMix SYBR Kit (PKT, Korea) 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 분석은, cDNA (1㎕), SYBR Green mixture (10㎕), 각각의 포워드 프라이머 (1㎕) 및 리버스 프라이머 (1㎕), 및 DEPC 워터 (7㎕) 로 구성된 반응 용액 (20㎕) 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Bcl-2:
서열번호 1: 5'-GT TTC TTC CGG TGT TAG GAG GGG GTC-3'(forward primer)
서열번호 2: 5'-TCC AGG TGT GCA GGT GCC GGT TC-3'(reverse primer)
Bcl-xL:
서열번호 3: 5'-TCC TTG TTT ACG CTT TCC CAC-3'(forward primer)
서열번호 4: 5'-GGT CGC ATT GTG GCC TTT-3'(reverse primer)
Bax:
서열번호 5: 5'-T TCT GGA GAG CCC CCC TCA-3'(forward primer)
서열번호 6: 5'-CAA AAG TAG AAA AGG GCC GAC AA-3'(reverse primer)
GAPDH:
서열번호 7: 5'-CT TGT CCT CCT CGT CTC TCG-3'(forward primer)
서열번호 8: 5'-TGA CTC CGA CCT TCA CCT TC-3'(reverse primer).
PCR은 95℃ 에서 5분 동안 개시하고 그 후 45 사이클을 증폭하였다(95℃ 에서 10초, 60℃에서 10초, 그리고 72℃ 에서 10초). 얻어진 데이터는 각각 세포의 GAPDH의 기준으로 하여 Ct 방법을 이용 (2-△△Ct)하여, 각각의 mRNA의 상대적인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MDNCs는 CD44가 저발현된 SCK에 비하여 CD44가 과발현된 HuCCT1 세포에서 세포 사멸 유도 유전자인 bax가 과발현되며, 또한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xl 및 Bcl-2의 양이 적게 발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양의 약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입자화 되지 않은 약물군, 즉, GEM, PTX, GEM + PTX, PLL-PTX 군은 CD44 발현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MDNCs 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7a, b).
또한, 세포사멸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Bax/Bcl-2 및 Bax/Bcl-xl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다른 군에 비하여 MDNCs의 세포 사멸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c, d).
<110> University-Industry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Nanoparticle comprising hydrophobic drug conjugated to cationic polymer and hydrophilic drug conjugated to anionic polymer <130> P14U16C0380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2 forward primer <400> 1 gtttcttccg gtgttaggag ggggtc 26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2 reverse primer <400> 2 tccaggtgtg caggtgccgg ttc 23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xL forward primer <400> 3 tccttgttta cgctttccca c 21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xL reverse primer <400> 4 ggtcgcattg tggccttt 18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x forward primer <400> 5 ttctggagag cccccctca 19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ax reverse primer <400> 6 caaaagtaga aaagggccga caa 23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primer <400> 7 cttgtcctcc tcgtctctc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8 tgactccgac cttcaccttc 20

Claims (12)

  1. 폴리리신, 폴리히스티딘 및 폴리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및 소수성 약물 복합체;와 히알루론산 및 친수성 약물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약물은 빈블라스틴,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알케란(Alkeran), 시톡산(Cytoxa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하이드레아(Hydrea), 미트라마이신(Mithramyc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질소 머스타드(Nitrogen Mustard), 벨란(Velba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카보플라티눔(Carboplatinum),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류스타틴(Leustatin), 나벨바인(Navelbine), 탁소테레(Taxotere), 토포테칸(Topotecan) 아드리아마이신, 다우노마이신, 및 파클리탁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친수성 약물은 부설판(Busulf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멜파란(Melphalan),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시타라빈(Cytarabine), 5-플루오로우라실(5-FU),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 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D), 블레오마이신 및 젬시타빈(gemcitab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에 의하여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는 나노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약물 사이의 결합은 에스터 결합, 이민 결합, 하이드라존 결합, 아세탈 결합 또는 사이클릭 아세탈 결합인 나노입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암세포 내의 5.0 내지 5.5의 pH 범위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약물 사이의 결합이 끊어지는 것인 나노입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 nm인 생체환경 감응형 나노입자.
  9.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의 중량 비율은 1: 70 내지 70: 1인 나노입자.
  10.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약물을 결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와 친수성 약물을 결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소수성 약물 복합체와 음이온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 약물 복합체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약물은 빈블라스틴,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알케란(Alkeran), 시톡산(Cytoxa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하이드레아(Hydrea), 미트라마이신(Mithramycin), 마이토마이신(Mitomy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질소 머스타드(Nitrogen Mustard), 벨란(Velba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카보플라티눔(Carboplatinum),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리노테칸(Irinotecan), 류스타틴(Leustatin), 나벨바인(Navelbine), 탁소테레(Taxotere), 토포테칸(Topotecan) 아드리아마이신, 다우노마이신, 및 파클리탁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친수성 약물은 부설판(Busulf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시클로포스파미드 (Cyclophosphamide), 멜파란(Melphalan), 시스플라틴(Cisplati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시타라빈(Cytarabine), 5-플루오로우라실(5-FU),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 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D), 블레오마이신 및 젬시타빈(gemcitab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의약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암은 췌장암, 간암, 유방암, 폐암, 위암, 직장암, 담낭암, 난소암, 방광암, 대장암, 임파종, 뇌암, 자궁암, 전립선암 및 악성흑색종 또는 담도암인 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20140094169A 2014-07-24 2014-07-24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KR10161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69A KR101616623B1 (ko) 2014-07-24 2014-07-24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US14/629,732 US9320809B2 (en) 2014-07-24 2015-02-24 Nanoparticle comprising hydrophobic drug conjugated to cationic polymer and hydrophilic drug conjugated to anionic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69A KR101616623B1 (ko) 2014-07-24 2014-07-24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342A KR20160013342A (ko) 2016-02-04
KR101616623B1 true KR101616623B1 (ko) 2016-04-29

Family

ID=5516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69A KR101616623B1 (ko) 2014-07-24 2014-07-24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20809B2 (ko)
KR (1) KR101616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3191A (ja) * 2017-02-20 2020-04-23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薬物送達用担体及び薬物送達システム
CN107096036B (zh) * 2017-04-12 2020-01-14 武汉理工大学 一种pH敏感型透明质酸-多柔比星纳米前药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088663B1 (ko) * 2018-03-20 2020-03-13 한국세라믹기술원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의 동시 전달을 위한 온도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및 이의 용도
ES2927608T3 (es) * 2018-09-14 2022-11-08 Inst Nat Sante Rech Med Sistema de liberación de fármacos para fármacos basados en platino
CN109528763A (zh) * 2018-12-29 2019-03-29 江苏靶标生物医药研究所有限公司 顺铂与透明质酸钠的组合物
KR102208650B1 (ko) * 2020-03-03 2021-01-28 한국세라믹기술원 다중 약물의 동시 전달을 위한 온도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및 이의 용도
KR102292438B1 (ko) * 2020-03-03 2021-08-25 한국세라믹기술원 약물 방출 거동 제어를 위한 온도민감성 나노스펀지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230114227A (ko) * 2022-01-24 2023-08-01 (주)화이바이오메드 Sting 길항제가 충진된 요소분해효소 추진 나노모터 기반 방광암 면역 치료제
CN115364236B (zh) * 2022-08-24 2024-05-03 安徽工业大学 一种细胞膜锚定的ros响应壳聚糖凝胶前药体系、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40035317A (ko) * 2022-09-08 2024-03-15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약물 함유 나노입자 제조용 키트 및 약물전달용 나노입자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1025B2 (en) * 1996-03-12 2002-08-27 Pg-Txl Company, L.P. Water soluble paclitaxel derivatives
EP1724287A4 (en) * 2004-03-05 2010-10-27 Denki Kagaku Kogyo Kk HYALURONIC / METHOTREXATE CONNECTION
US7611690B2 (en) * 2005-01-04 2009-11-03 Gp Medical, Inc. Nanoparticles for protein drug delivery
JP2009508852A (ja) * 2006-01-23 2009-03-05 クワンジュ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薬理活性物質と粘膜粘着性高分子とが共有結合されたコンジュゲ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薬理活性物質の経粘膜運搬方法
KR20090052964A (ko) 2007-11-22 2009-05-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위의 기능에 관여하는 위 조직 특이적 유전자pmm1sx08600
KR20100134398A (ko) 2009-06-15 2010-12-23 곽계영 광원의 이동 방향 및 지향각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포인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수신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2011, 32, 8281-8290*
Chemical Biology and Drug Design, 2014.06., 83(6), 741-752*
Int. J. Mol. Sci. 2013, 14, 1629-1654*
J. Pharm. Pharmaceut. Sci. 2010, 13(3), 536-5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20809B2 (en) 2016-04-26
KR20160013342A (ko) 2016-02-04
US20160022824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623B1 (ko) 양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소수성 약물 및 음이온성 고분자가 결합된 친수성 약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
Chandran et al. Characterization of a targeted nanoparticle functionalized with a urea-based inhibitor of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She et al. PEGylated dendrimer-doxorubicin cojugates as pH-sensitive drug delivery systems: synthesis and in vitro characterization
Fu et al. Galactose targeted pH-responsive copolymer conjugated with near infrared fluorescence probe for imaging of intelligent drug delivery
Fay et al. Conatumumab (AMG 655) coated nanoparticles for targeted pro-apoptotic drug delivery
Lale et al. Multifunctional ATRP based pH responsive polymeric nanoparticles for improved doxorubicin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by proton sponge effect/endo-lysosomal escape
EP3011974B1 (en) Anti-nucleolin agent-conjugated nanoparticles
Houdaihed et al. Dual-targeted delivery of nanoparticles encapsulating paclitaxel and everolimus: a novel strategy to overcome breast cancer receptor heterogeneity
Fang et al. Sgc8 aptamer targeted glutathione-responsive nanoassemblies containing Ara-C prodrug for the treatment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JP2017511807A (ja) Cd44結合ペプチド
Wang et al. Gold nanoparticles: synthesis and biological applications
WO2020092304A1 (en) Dendritic polymers complexed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for enhanced cancer immunotherapy
CN114981384B (zh) 发光两性聚合物纳米颗粒
WO2018078648A2 (en) Gold nanoparticle based formulation for use in cancer therapy
Tian et al. Reduction-responsive modification-induced higher efficiency for attenuation of tumor metastasis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functionalized liposomes
WO2008116044A1 (en) Semiconductor quantum dots for efeicient delivery and intracellular imaging of sirna
KR20100035062A (ko) 질환의 진단을 위한 표적 펩타이드가 결합된 양친성 키토산나노입자 조영제
KR101073080B1 (ko) 다중목표 지향 다기능 나노 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Hu et al. A two-photon fluorophore labeled multi-functional drug carrier for targeting cancer therapy, inflammation restraint and AIE active bioimaging
KR101759688B1 (ko) 사이클램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
Tao et al. Anti-CD155 and anti-CD112 monoclonal antibodies conjugated to a fluorescent mesoporous silica nanosensor encapsulating rhodamine 6G and fluorescein for sensitive detection of liver cancer cells
EP3790588B1 (en) Magnetic nanoparticl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tumors
US10869941B2 (en) Gas-generating polymer micell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60000935A (ko) 상보적인 전하를 가지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체환경 감응형 나노입자
CN113304258B (zh) 一种半抗原多价修饰的天然多糖偶联物及其在免疫治疗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