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169B1 -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169B1
KR101616169B1 KR1020130153204A KR20130153204A KR101616169B1 KR 101616169 B1 KR101616169 B1 KR 101616169B1 KR 1020130153204 A KR1020130153204 A KR 1020130153204A KR 20130153204 A KR20130153204 A KR 20130153204A KR 101616169 B1 KR101616169 B1 KR 10161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ija
extract
omiza
control gro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585A (ko
Inventor
최영현
황혜진
김병우
김주완
한민호
박규열
구세광
김성구
김기영
김철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1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염증유발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항염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범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Maximowiczia Chinensis Extracts For improvement Of Anti-inflammation A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미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IL-1β의 감소,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4-HNE(4-hydroxy-2-nonenal)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및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효과를 확인하여 항염 효과가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염증(inflammation)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중 하나로서,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 인자들(pro-inflammatory mediators)이 만들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LPS(lipopolysaccharide), 염증유발인자 및 방사선조사 등의 유해한 자극은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을 과도하게 유도하여 염증질환과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등의 면역질환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유발물질 중 하나인 NO는 정상상태에서는 내피세포나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며 세포살상과 살균작용 이외에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특히, 혈관 내피세포의 이완작용에 있어서 혈압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 염증유발인자 및 방사선조사 등의 자극은 특히, 유도형 산화질소합성효소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etase)의 발현을 유도하여 많은 양의 NO를 4 내지 6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생성시키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과도한 양의 NO는 상기와 같은 질환들을 유발한다. 따라서 염증질환치료제로서 iNOS 활성 억제제의 개발은 상기 질병의 치료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염증유발물질인 PGE2, PGF2a 및 PGI2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에서 유래한 일종의 호르몬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여하며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에 의해 발현이 조절된다. COX의 활성을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하는 아스피린 인도메타신 같은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는 관절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TNF-α는 BCG, LPS 및 염증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와 섬유아세포 등에서 생산되어 세포사멸작용, 프로스타글란딘 및 IL-1,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산을 유도한다. 종양괴사인자로 발견된 TNF-α는 류마티스 관절염, 장기이식거부반응 등의 자가면역질환, 천식, 아토피성피부염 등의 알러지성 염증질환 및 패혈증, 급성간질환 등의 급성면역질환 등에 대한 관련성이 보고되면서 TNF-α의 합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대한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TNF-α 수용체의 유전자가 손상된 쥐는 LPS에 의한 치사독성에 저항성이 있으며 TNF-α의 항체를 투여한 쥐는 관절염이나 LPS의 독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Beutler B., Science, 229:869, 1985; Pfeffer K et al., Cell,73;457, 1993).
한편,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존의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항염증제는 체내에 부작영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어, 염증 치료의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추출물 유래의 새로운 항염증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오미자는 해발이 200 내지 1,600m에 걸쳐 분포하며 지리산, 속리산, 태백산에서 많이 자라는 덩굴성 낙엽 활엽수이다. 키는 6~9m이고, 잎은 길이가 7~10㎝, 폭이 3~5㎝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넓은 타원형으로 어긋난다. 꽃은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이며 지름이 약 1.5㎝로 3~5송이가 새로 나온 짧은 가지의 잎 겨드랑이에 한 송이씩 핀다. 열매는 신맛이 강하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길이는 0.6~1.2㎝이고 여러 개가 포도 송이 모양으로 밑으로 처져 달린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열매는 약용으로 쓰인다.
구체적인 선행기술을 보면, 선행기술 1(KR 10-2010-0072390 A, 공개일자: 2010년 07월 01일)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막걸리에 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오미자가 가진 맛과 향에 기초한 것이고, 천연 열매 추출물이므로 오미자가 가진 유용한 성분이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고 할 뿐, 맛 이외에 구체적인 효과상 특징적 사항의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선행기술 2(KR 10-2006-0119081 A, 공개일자: 2006년 11월 24일)은 항균활성이 있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에 관한 사항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오미자 추출물이 향균활성을 가진다는 정도에 불과하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활용한 항염 효과에 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선행기술 3(KR KR 10-0854567 B1, 공고일자: 2008년 08월 26)는 오매, 황련과 함께 오미자를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물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로서 향균효과가 높은 범위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오미자를 활용하여 항염 관련 효과에 대한 인식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선행기술은 오미자의 독특한 향미와 식감을 기초로 한 식품 조성물이거나, 상기 오미자가 가진 향균성에 기초하여 제조된 향균조성물로 활용되는 것이고, 오미자가 가진 새로운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오미자의 새로운 효과상 특징을 연구하면서 오미자의 우수한 항염 효과를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10-0072390 A KR 10-2006-0119081 A KR 10-085456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IL-1β의 감소,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4-HNE(4-hydroxy-2-nonenal)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및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효과를 확인하여 항염 효과가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150 내지 210℃에서 건조 후 동결건조된 오미자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50 내지 200 부피% 알코올 수용액과 혼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 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중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건조된 오미자의 질량 대비 0.0001 내지 0.05%(w/w)로 접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IL-1β의 감소,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4-HNE(4-hydroxy-2-nonenal)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및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오미자를 150 내지 210℃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오미자를 제조하는 오미자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오미자를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오미자 분쇄단계; 상기 오미자 분말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동결건조 단계 및 상기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50 내지 200 부피% 알코올 수용액과 1 : 3 내지 3 : 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15 내지 35℃에서 10 내지 30 시간 동안 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오미자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미자 건조단계 및 오미자 추출단계 사이에, 상기 오미자 건조단계를 거친 건조된 오미자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 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중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오미자 발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 종자일 수 있다. 오미자는 그 향미가 독특하고, 우수한 향균력을 가지만, 실험결과 오미자 열매 또는 오미자 종자를 사용한 추출물은 보다 오미자 종자를 발효하여 사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사용량에 불구하고 항염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세포독성 없이 적은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작용 없이 우수한 항염 효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항염효과를 기초로 항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150 내지 210℃에서 건조 후 동결건조된 오미자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50 내지 200 부피% 알코올 수용액과 혼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오미자를 건조시키는 경우 제품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오미자 종자를 건조시키는 경우 항염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이 보다 활성화 된다. 즉, 오미자 종자를 건조과정 없이 바로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보다 오미자 종자를 건조하여 추출하는 경우 오미자 종자를 동일한 농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오미자 종자를 건조하여 추출하는 경우가 보다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데 더 유리한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150℃ 미만의 온도로 건조시키는 경우 상기의 효과가 거의 없으며, 210℃를 초과하는 경우 오미자 종자 추출물의 항염 물질이 오히려 감소하는데 상대적으로 고온에 의해 항염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미자 종자를 170 내지 190℃에서 건조 후 동결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오미자 종자를 건조하는 경우 오미자 종자 추출물이 IL-1β함량을 감소시키는 활성 증가 등에 의하여 항염 효과가 가장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염을 위한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은 70 내지 100 중량% 농도의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오미자에 포함된 항염을 위한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에탄올 농도가 70 중량% 미만인 경우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 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중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접종에 의하는 경우 상기 미생물의 발효에 의하여 항염물의 활성이 증대하여 염증반응이 활성화 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높아진다. 특히 상기 미생물 접종은 오미자 종자에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건조된 오미자의 질량 대비 0.0001 내지 0.05%(w/v)로 접종된 것일 수 있다.
0.01%(w/v) 미만으로 접종시키는 경우 발효과정이 진행되지 않거나 발효기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가 있고, 0.05%(w/v)을 초과하여 접종시키는 경우 과발효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활성 저하되므로 근육에 대한 항염증 효과가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 접종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을 사용한 것으로 건조된 오미자의 질량 대비 0.01 내지 0.03%(w/v)로 접종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오미자 추출물에 포함된 항염의 활성에 도움을 주는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염증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1일 내지 7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가 1일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미생물 활성에 따른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7일 이상 발효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유효물질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된 오미자는 오미자 종자를 건조한 후에 증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증숙된 오미자 종자를 사용하거나 증숙된 오미자를 상기 미생물을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포함된 항염 물질이 크게 증가하여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염증반응이 활성화 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 더 이상 항염 활성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IL-1β의 감소,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4-HNE(4-hydroxy-2-nonenal)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및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오미자를 150 내지 210℃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오미자를 제조하는 오미자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오미자를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오미자 분쇄단계; 상기 오미자 분말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동결건조 단계 및 상기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50 내지 200 부피% 알코올 수용액과 1 : 3 내지 3 : 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15 내지 35℃에서 10 내지 30 시간 동안 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오미자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미자 건조단계 및 오미자 추출단계 사이에, 상기 오미자 건조단계를 거친 건조된 오미자에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 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중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는 오미자 발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단계는 오미자 또는 오미자 종자를 증숙 하는 것 또는 증숙 후 열풍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숙에 의하는 경우 일반 건조에 의하는 경우에 비하여 오미자에 추출물에 함유된 항염 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이 훨씬 더 많이 포함될 수 있어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염증반응이 활성화 되는 것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효과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은 IL-1β의 감소,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4-HNE(4-hydroxy-2-nonenal)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및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 효과로서 항염 효과가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는 또한, 항염 특히 근육에 대한 항염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상기 오미자 추출물의 함량 범위를 제시하고, 항염 효과가 가장 높은 유효물질이 포함되는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그 활용범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비복근의 caspase-3, PARP, nitrotyrosine, TNF-α면역반응성 변화 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비복근의 Caspase-3 and PARP, nitrothrosine, iNOS, Cox-2, TNF-α면역반응성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오미자 종자를 수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선별과정을 거쳐 선별된 상기 오미자를 세척하였다. 상기 오미자를 증숙기에 넣어 60℃에서 40분간 1차 증숙하고, 다시 90℃ 이하에서 2시간 동안 2차 증숙하였다. 상기 증숙된 오미자를 열풍건조한 뒤 상기 오미자의 중량 대비 0.015%(w/v)로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를 접종시켜 15 내지 37℃를 유지하면서 3일간 발효하였다. 이후 상기 발효된 오미자를 0.15 내지 0.2mm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오미자와 60부피%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3 내지 3 : 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은 20 내지 30℃를 유지하면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침전물을 침전시킨 뒤 여과하고, 상기 여과로 모아진 여과액을 rotary vacuum evaporator (Buchi Rotavapor R-144, Switzerland) 농축한 다음 190℃ 3시간 동안 hydrodistillation을 통해 분리하여 오미자 추출물(이하, SSE라 한다)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시험조건]
1. 실험동물
60마리의 건강한 SD rat(SPF 6 주령 수컷 ICR 종 마우스)를 입수하여, 7일간 순화시킨 다음 NTX(대퇴신경절단술) 2 주 후 체중 (위수술 대조군: 41.11±3.71g, 33.00~47.10g; NTX 근육위축 유발군: 41.51±3.54g, 34.30~49.50 g) 및 종아리 두께 (위수술 대조군: 4.50±0.41mm, 4.03~5.28mm; NTX 근육 위축 유발군 3.26±0.18mm, 3.00~3.60mm)가 일정한 실험동물을 군당 10마리씩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NTX 수술일, 약물 투여시작일 및 최종 부검일에 각각 18시간 정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이 기간에도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2. 군 분리 (총 6개군; 군 당 10마리)
(1) Sham vehicle control: 위수술 매체 대조군
(2) NTX control: 좌골신경 절단 및 멸균 증류수 투여 대조군
(3) Oxymetholone: 좌골신경 절단 및 oxymetholone 50mg/kg 투여 대조 약물군
(4) SSE 300: 좌골신경 절단 및 오미자 추출물 300mg/kg 투여 대조 약물군
(5) SSE 150: 좌골신경 절단 및 오미자 추출물 150mg/kg 투여 대조 약물군
(6) SSE 75: 좌골신경 절단 및 오미자 추출물 75mg/kg 투여 대조 약물군.
3. 근육 위축의 유발
이전의 방법들 [Ogawa et al., 2005; Nagpal et al., 2012]에 따라, 우측 대퇴부의 근육을 가로로 절개하여, 좌골신경을 노출시킨 다음 약 5mm 정도의 좌골 신경을 절단 및 절제하였다. 위수술 대조군에서는 좌골 신경을 노출시킨 다음 절제를 실시하지 않고, 창강을 폐쇄하였다.
4. 약물투여
오미자 추출물(SSE)를 멸균 증류수에 현탁시켜 동물 체중 kg 당 10ml의 용량으로 NTX 2주 후부터, 매일 1회씩 28일간 금속제 zonde가 부착된 1ml 주사기 (syringe)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투여 하였으며, oxymetholone 역시 오미자 추출물과 동일하게 멸균 증류수에 현탁시켜 경구투여하였고, 위수술 및 NTX 대조군에서는 오미자 추출물 또는 oxymetholone 대신 동일한 용량의 멸균 증류수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xymetholone 투여용량은 이전의 동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50 mg/kg [Pavlatos et al., 2001; Isaacs et al., 2011]을 투여용량으로 선정하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은 300, 150 및 75mg/kg으로 선정하였다.
5. 관찰항목
비복근의 조직 및 면역 조직화학적 변화, cytokine 함량변화를 관찰하여, 오미자 종자 추출물의 항암,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1) Cytokine
비복근의 IL-1β 및TNF-α함량은 sandwich enzyme-linked immunoassay (ELISA)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apoptotic marks [caspase-3 및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iNOS 관련 산화 스트레스 [nitrotyrosine], 지질과산화 [4-HNE], 염증관련 cytokine [TNF-α].
(3) 면역조직학적 검사
파라핀에 고정된 비복근절단 샘플을 탈파라핀화후 citrate buffer antigen(epitope)로 회복 전처리한다 [Shi et al., 1993].
10mM citrate buffer(pH6.0)가 든 staining dish를 수조에 넣어 온도가 95-100°C가 되도록 한다. 슬라이드를 staining dish에 넣고 뚜껑을 느슨하게 닫아 20분간 배양한다. 이후 staining dish를 꺼내어 상온에 두고 20분간 냉각한다. 항원결정인자(epitope)를 회복후 슬라이드 샘플을 avidin-biotin complex(ABC) 방법을 이용하여 caspase-3, PARP, nitrotyrosine, TNF-α를 측정한다[Ki et al., 2013].
7. 통계분석
유의성은 one way ANOVA test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시험결과]
1. 비복근 cytokine 함량의 변화
비복근 IL-1β함량의 변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NTX 대조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내 IL-1β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IL-1β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1 참조, 도).
NTX대조군에서는 최종 희생일의 비복근 조직내 IL-1β함량이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93.25%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40.98, -41.78, -31.45 및 -23.6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복근 TNF-α함량의 변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NTX 대조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내 TNF-α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TNF-α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최종 희생일의 비복근 조직내 TNF-α함량이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86.1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45.45, -46.02, -38.72 및 -27.4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구분 근육내 cytokine 함량 (pg/mg protein)
Interleukin-1β Tumor necrosis factor-α
Controls
Sham
1.57 ±0.43 79.23±5.02
NTX 4.61 ±4.99** 226.76±7.87**
Oxymetholone 2.72 ±0.60**,## 123.70±4.02**,##
SSE treated
300mg/kg 2.68 ±0.67**,## 122.41±7.34**,##
150mg/kg 3.16 ±0.57**,## 138.96±9.29**,##
75mg/kg 3.52 ±0.76**,## 164.44±4.72**,#
대퇴신경절단모델에서 비복근 내 cytokine의 변화(수치는 평균±표준편차, SSE = 오미자종자추출물; NTX = 대퇴신경절단술, ** p<0.01 as compared with sham control ANOVA test, ## p<0.01 and # p<0.05 as compared with NTX control by ANOVA test)
2. 면역조직화학적 변화
비복근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NTX 대조군에서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oxymetholone 투여군에서도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2 및 도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054.2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37.62, -41.58, -30.45 및 -23.27%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복근 PARP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NTX 대조군에서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2 및 도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193.48%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40.34, -41.68, -30.92 및 -22.8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복근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NTX 대조군에서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nitrotyrosine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2 및 도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nitrotyrosine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597.10%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38.46, -39.50, -30.56 및 -21.6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복근 4-HNE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NTX 대조군에서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4-HNE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4-H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하기의 표2 및 도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4-HNE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581.40%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38.17, -36.24, -24.34 및 -20.6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복근 다발내 TNF-α면역반응세포의 변화: NTX 대조군에서는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TNF-α면역반응 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하기의 표2 및 도1 참조).
NTX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TNF-α면역반응 세포의 수가 위수술 매체 대조군에 비해 1791.9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300, 150 및 75mg/kg 투여군에서 각각 NTX 대조군에 비해 -70.67, -70.16, -45.87 및 -37.6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Groups 비복근 근다발에서 면역반응섬유 또는 세포 수
Caspae-3 (fibers/mm2) PARP (fibers/mm2) NT (fibers/mm2) TNF-α(cells/mm2)
Controls
Sham 3.50±2.07 4.60±2.01 6.90±2.18 6.20±2.78
NTX 40.40±6.19a 59.50±11.60a 48.10±10.69a 117.30±41.06a
Oxymetholone 25.20±7.61ab 35.50±7.60ab 29.60±5.27ab 34.40±16.94ab
SSE treated
300mg/kg 23.60±7.00ab 34.70±4.81ab 29.10±4.09ab 35.00±13.69ab
150mg/kg 28.10±4.31ab 41.10±7.71ab 33.40±7.12ab 63.50±16.11ab
75mg/kg 31.00±5.70ab 45.90±8.53ac 37.70±7.09ac 73.10±14.46ab
대퇴신경절단모델에서 비복근내의 면역조직학적 수치변화(수치는 평균±표준편차; SSE = 오미자종자추출물; NTX = 대퇴신경절단술, PARP =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NT = Nitrotyrosine; 4-HNE = 4-hydroxynonenal;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a p<0.01 as compared with sham control by ANOVA test, b p<0.01 and c p<0.05 as compared with NTX control by ANOVA test)
도 1은 비복근의 caspase-3, PARP, nitrotyrosine, TNF-α면역반응성 변화 에 관한 것이고 (SSE = 오미자종자추출물; NTX = 대퇴신경절단술;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PARP =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Scale bars = 40μm, NTX 유발군의 비복근에서 세포자멸사(apoptosis) 마커인 caspase-3, PARP 면역반응성 섬유. iNOS 관련된 nitrotyrosine, proinflammatory(염증 전) 싸이토카인 마커인 TNF-α면역반응성 세포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오미자종자추출물의 투여로 이러한 세포자멸사 마커와 proinflammatory 마커가 용량의존적으로 줄어들었다. A~D = 정상대조군; E~H = NTX 대조군; I~L = Oxymetholone 50mg/kg treated mice; M~P = SSE 300mg/kg orally treated mice; Q~T = SSE 150mg/kg orally treated mice; U~X = SSE 75mg/kg orally treated mice ).
[실험예 2: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시험]
1. 실험동물
60마리의 7개월령 SPF ICR 암컷 마우스를 입수하여, 37일간 순화시킨 다음 체중 (정상 매체 대조군: 53.131±5.24g, 48.00~61.40g; HS 근육위축 유발군: 52.77±5.83g, 43.50~64.70g) 및 종아리 두께 (정상 매체 대조군: 3.42±0.17mm, 3.13~3.64mm; HS 근육위축 유발군: 3.42±0.14mm, 3.16~3.68mm)가 일정한 실험동물을 군당 6마리씩 선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약물 투여시작일 및 최종 부검일에 각각 18시간 정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 picric acid로 개체를 식별하였다
2. 실험군 (총 6개군; 군 당 6마리)
(1) Intact vehicle control: 정상 매체 대조군
(2) HS control: HS 및 멸균 증류수 투여 대조군
(3) Oxymetholone: HS 및 oxymetholone 50mg/kg 투여 대조 약물군
(4) SSE 150: HS(하지거상법) 및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mg/kg 투여군
(5) SSE 100: HS 및 오미자 종자 추출물 100mg/kg 투여군
(6) SSE 50: HS 및 오미자 종자 추출물 50mg/kg 투여군
3. 실험모델
이전의 방법들 [Desaphy et al., 2010; Onda et al., 2011]에 따라, 꼬리의 끝부분에 elastic tape를 이용하여, 가느다란 실을 부착시킨 다음 반대쪽 끝을 마우스 케이지의 상단 철망에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후지를 수평에서 30-40° 정도 상향되도록 위치시켰다(hind-limb suspension; HS, 하지거상법). HS는 투여시작일에서부터 28일간 실시하여 후지 근육의 불용성 위축을 유발하였고, 정상 매체 대조군에서는 HS를 실시하지 않고, 하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였다.
4. 약물투여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멸균 증류수에 현탁시켜 동물 체중 kg 당 10ml의 용량으로 HS 시작일에서부터, 매일 1회씩 28일간 금속제 zonde가 부착된 1ml 주사기 (syringe)를 이용하여 강제 경구투여 하였으며, oxymetholone 역시 오미자 종자 추출물과 동일하게 멸균 증류수에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 매체 및 HS 대조군에서는 오미자 종자 추출물 또는 oxymetholone 대신 동일한 용량의 멸균 증류수만을 경구 투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xymetholone 투여용량은 이전의 동물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50 mg/kg [Pavlatos et al., 2001; Isaacs et al., 2011]을 투여용량으로 선정하였으며, 오미자 종자 추출물은 150, 100 및 50mg/kg으로 투여하였다.
5. 관찰항목
면역 조직화학적 변화, cytokine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1) Cytokine
비복근의 IL-1β 및TNF-α함량은 sandwich enzyme-linked immunoassay (ELISA)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apoptotic marks [caspase-3 및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PARP)], 산화 스트레스 [nitrotyrosine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염증관련 cytokine [Cyclooxygenase-2 (COX-2) 및 TNF-α],
6. 면역조직학적 검사
파라핀에 고정된 비복근절단 샘플을 탈파라핀화 후 citrate buffer antigen(epitope)로 회복 전처리한다 [Shi et al., 1993].
10mM citrate buffer(pH6.0)가 든 staining dish를 수조에 넣어 온도가 95-100°C가 되도록한다. 슬라이드를 staining dish에 넣고 뚜겅을 느슨하게 닫아 20분간 배양한다. 이후 staining dish를 꺼내어 상온에 두고 20분간 냉각한다. 항원결정인자(epitope)를 회복후 슬라이드 샘플을 avidin-biotin complex(ABC) 방법을 이용하여 caspase-3, PARP, TNF-α를 측정한다[Ki et al., 2013].
7. 통계
유의성은 ANOVA test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2: 오미자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시험 결과]
1. 비복근 cytokine 함량의 변화
(1) 비복근 IL-1β함량의 변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HS 대조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내 IL-1β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IL-1β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3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최종 희생일의 비복근 조직내 IL-1β함량이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26.1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42.28, -50.51, -43.37 및 -28.4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2) 비복근 TNF-α함량의 변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HS 대조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내 TNF-α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TNF-α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3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최종 희생일의 비복근 조직내 TNF-α함량이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76.6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38.56, -50.17, -34.74 및 -23.3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Groups Muscular cytokine contents (pg/mg protein)
Interleukin-1β Tumor necrosis factor-α
Controls
Intact 2.02±0.28 92.81±14.41
HS 4.58±0.75a 256.75±51.39a
Oxymetholone 2.64±0.41bc 157.75±33.04ac
SSE treated
150mg/kg 2.27±0.43c 127.93±9.26ac
100mg/kg 2.59±0.36c 167.55±27.92ac
50mg/kg 3.28±0.54ac 196.78±9.60ad
하지거상법으로 유발된 근위축에서 싸이토카인의 변화(수치는 평균±표준편차; SSE = 오미자종자추출물; HS = 후지거상법, ap<0.01and bp<0.05 as compared with intact control by ANOVA test, cp<0.01and cP<0.05 as compared with HS control by ANOVA test)
2. 면역조직화학적 변화
(1) 비복근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caspase-3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oxymetholone 투여군에서도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하기의 표 4 및 도 2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caspase-3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116.1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45.62, -79.84, -44.56 및 -25.7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2) 비복근 PARP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4 및 도 2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PARP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96.7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37.41, -60.00, -38.12 및 -19.7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3) 비복근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nitrotyrosine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정유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nitrotyrosine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4 및 도 2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nitrotyrosine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71.4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정유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35.88, -52.65, -36.47 및 -21.1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4) 비복근 iNOS 면역반응성 근육섬유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정유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iNOS 면역반응성 근육 섬유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4 및 도 2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iNOS 면역반응 섬유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61.1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정유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47.18, -68.85, -53.72 및 -28.2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5) 비복근 다발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mm2) COX-2 면역반응 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COX-2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표4, 그림2).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COX-2 면역반응 세포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740.2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40.35, -47.91, -34.98 및 -22.8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6) 비복근 다발내 TNF-α면역반응세포의 변화
HS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mm2) TNF-α면역반응 세포의 수적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TNF-α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하기의 표 4 및 도 2 참조).
HS 대조군에서는 비복근 다발 단위 면적당 TNF-α면역반응 세포의 수가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3380.4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oxymetholone, 오미자 종자 추출물 150, 100 및 50mg/kg 투여군에서 각각 HS 대조군에 비해 -34.29, -46.60, -32.04 및 -19.3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Groups
Antibody
Controls Reference SSE treated mice (mg/kg)
Intact HS Oxymetholone 150 100 50
Caspase-3 (fibers/mm2) 5.17±1.17 62.83±10.34a 34.17±4.58ab 12.67±2.34ab 34.83±6.91ab 46.67±5.09ab
PARP (fibers/mm2) 10.17±2.32 70.83±11.72a 44.33±6.74ab 28.33±4.63ab 43.83±8.68ab 56.83±4.96ac
NT(fibers/mm2) 5.83±1.47 56.67±5.54a 36.33±5.35ab 26.83±5.38ab 36.00±7.27ab 44.67±6.06ab
iNOS(fibers/mm2) 11.17±4.17 73.83±7.14a 39.00±3.22ab 23.00±4.90ab 34.17±5.91ab 53.00±6.93ab
CoX-2(cells/mm2) 14.50±4.32 266.83±35.62a 159.17±22.39ab 139.00±34.53ab 173.50±32.77ab 205.83±39.68ab
TNF-α(cells/mm2) 7.63±1.37 266.83±27.04c 175.33±17.41ab 142.50±14.43ab 181.33±15.81ab 215.17±8.59ab
하지거상법으로 유발된 근위축에서 면역조직형태학적 변화(수치는 평균±표준편차, relative expressions/18s ribosomal RNA; SSE, 오미자종자추출물; HS = 후지거상법; PARP, Cleaved poly(ADP-ribose) polymerase; COX-2, cyclooxygenase-2;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a p<0.01 as compared with intact control by ANOVA test, b p<0.01 and c p<0.05 as compared with HS control by ANOVA te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고,
    근육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증숙 및 건조된 오미자 종자를 에탄올과 혼합하여 추출된 것이고
    상기 오미자 종자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가 접종되어 발효된 것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건조된 오미자의 질량 대비 0.0001 내지 0.05%(w/w)로 접종된 것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았어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8. 오미자를 증숙하는 오미자 증숙단계
    상기 오미자 증숙단계에 따라 증숙된 오미자를 150 내지 210℃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오미자를 제조하는 오미자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오미자에 대하여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mis)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오미자 발효단계;
    상기 오미자 발효단계를 거친 오미자를 분쇄하여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오미자 분쇄단계;
    상기 오미자 분말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제조하는 동결건조 단계 및
    상기 동결건조 된 오미자 분말을 에탄올과 1 : 3 내지 3 : 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15 내지 35℃에서 10 내지 30 시간 동안 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오미자 추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 종자이고,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근육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30153204A 2013-12-10 2013-12-1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1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204A KR101616169B1 (ko) 2013-12-10 2013-12-1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204A KR101616169B1 (ko) 2013-12-10 2013-12-1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85A KR20150067585A (ko) 2015-06-18
KR101616169B1 true KR101616169B1 (ko) 2016-05-12

Family

ID=5351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204A KR101616169B1 (ko) 2013-12-10 2013-12-10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183B1 (ko) * 2016-10-24 2019-04-12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229B1 (ko) * 2016-11-01 2019-06-05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77327A1 (ko) * 2018-03-12 2019-09-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89120A (ko) * 2018-09-20 2024-06-20 김숙경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38536B1 (ko) * 2023-06-20 2024-02-20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85A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dayachee et al. An overview of the medicinal importance of Moringaceae
Branch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L.) as a valuable medicinal plant
KR101616169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hauhan et al. Biological Actions of Opuntia Species.
CN103329949B (zh) 一种检验科用消毒液及制备方法
KR101851972B1 (ko)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7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Viereck Alaska's wilderness medicines: healthful plants of the far north
CN104256166A (zh) 一种用于治疗牛蓝舌病的功能性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616170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항산화 및 면역 활성 증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0421A (ko) 창포 추출물을 활용한 동물용 세정제 조성물
JP2006225297A (ja) 肥満、高脂血症および動脈硬化性疾患の治療・予防剤
KR20210060797A (ko) 시호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0949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뇨 장애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31569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세균 독성에 의한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Watt et al. SUTO (BASUTO) MEDICINES: Part I
Silalahi Utilization and Bioactivity of Java Long Pepper (Piper retrofractum Vahl) for Education Purposes
KR102055264B1 (ko)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450B1 (ko) 노간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5194237A (zh) 一种治疗淋巴癌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Fikri et al. An Effect Virgin Coconut Oil Oral And Topical On Volume Decrease Of Foot Edema Of Male Wistar Flows Induced By–Caragenan
KR10212772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