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051B1 -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051B1
KR101612051B1 KR1020110138328A KR20110138328A KR101612051B1 KR 101612051 B1 KR101612051 B1 KR 101612051B1 KR 1020110138328 A KR1020110138328 A KR 1020110138328A KR 20110138328 A KR20110138328 A KR 20110138328A KR 101612051 B1 KR101612051 B1 KR 10161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preventing
coronavirus
coronavirus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1032A (en
Inventor
이우송
류영배
김영민
박수진
권형준
노문철
오현미
정형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051B1/en
Publication of KR2013007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0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0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21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3Viral vaccine for bovine species, e.g. cat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5Viral vaccine for porcine species, e.g. s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 및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3CL 프로테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A quasi-drug composition, a feed additive, and a feed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extracts of Radix, the fraction thereof, or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to 7 has an effect of inhibiting the 3CL protease activity of coronavirus, and therefore is usefu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an be used.

Description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which comprises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및 사료 첨가제,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root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ositions and feed additives, and feeds comprising such feed additives.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는 1937년 닭에서 처음 발견된 뒤 개, 돼지, 조류 등의 동물을 거쳐 1965년에는 사람에게서도 발견되었다. 개기일식 때 태양의 광구가 달에 가려졌을 때 그 둘레에서 하얗게 빛나는 현상인 코로나 현상과 생김새가 비슷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Coronavirus was first discovered in 1937 in chickens and then through animals such as dogs, pigs, and birds, and was found in humans in 1965. When the solar eclipse was covered by the moon at the solar eclipse, the corona phenomenon, which is a phenomenon shining white on its periphery, was similar to that of the appearance.

지금까지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는 거의 감염되지 않고 주로 개, 돼지, 소 등의 동물에 감염되는 병원균으로 인식되어 왔다. 사람에게 감염될 때에도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여러 바이러스 가운데 하나로서 단순한 감기를 유발하거나 어린이에게 위험성이 그리 높지 않은 설사 등의 장질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2003년 3월 중순 처음으로 발생하여 세계적으로 100명이 넘는 사망자와 3,000여 명의 환자를 발생시킨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의 원인균이 신종(변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점차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So far, coronavirus has been recognized as a pathogenic organism infecting animals such as dogs, pigs, and cows, which are rarely infected by humans. When infected with humans, one of the many viruses that cause respiratory symptoms caused a mild cold or diarrheal diseases such as diarrhea, which are not so dangerous to children. However, as it became known for the first time in mid-March 2003 that the causative organism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which caused more than 100 deaths and more than 3,000 patients worldwide, was a new strain of coronavirus, .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에서 주로 폐렴과 장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간혹 신경계 감염과 간염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에 속하며 구형의 외막을 가지는, 약 100-120 nm 크기의 positive sense RNA 바이러스이다(Master, 2006). 코로나바이러스는 가장 외각에 있는 spike 단백질 (S), hemagglutinin-esterase (HE) 단백질, transmembrane (M) 단백질, small membrane (E) 단백질 및 nucleocapsid (N) 단백질 등 총 5개의 구조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Lai and Homes, 2001. Fields Virology). 이 중 spike 단백질은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리간드 역할을 하며, 숙주세포와 바이러스간의 융합을 유도하는 단백질로 가장 변이가 심한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Coronavirus is known to cause pneumonia and enteritis in humans and animals. It is also known to cause nervous system infections and hepatitis. Corona virus is a positive sense RNA virus of about 100-120 nm in size, belonging to the genus Coronaviridae and having a spherical outer membrane (Master, 2006). Coronaviruses are composed of five structural proteins, spike (S), hemagglutinin-esterase (HE), transmembrane (M), small membrane (E) and nucleocapsid and Homes, 2001. Fields Virology). Among them, the spike protein acts as a ligand that binds to the cell receptor, and it is known to be the most mutated protein that induces fusion between the host cell and the virus.

코로나바이러스는 크게 3가지 혈청형으로 나누어진다. 제 1 혈청형은 돼지의 전염성 장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체로, 이 질환은 국내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어린 자돈에 100% 가까운 발병율과 70% 이상의 폐사율을 야기하고 있어 국내 양돈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제 2 혈청형으로는 가축에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는 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있다. 제 3 혈청형으로는 닭에서 호흡기, 비뇨기 및 산란장애를 유발하는 닭 전염성 기관지염이 있다. 소 코로나바이러스는 다른 혈청형 바이러스와는 달리 바이러스의 외막에 제2의 spike인 hemaggulitin이 있어서 형태학적, 혈청학적 및 유전학적으로 구별이 된다. 특히, 제 2 혈청형은 2002년 중국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전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가 속해 있는 혈청형으로 매우 중요하다. WHO 통계에 의하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총 8500명이 감염되었고 이 중 800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최근 사스 코로나바이러스가 박쥐에서 유래하여 사람에게 전파된 것으로 밝혀져 이종 간의 전파로 인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Coronaviruses are divided into three major serotypes. The first serotype is the causative agent of infectious enteritis of pigs. This disease is occurring in Korea, and it causes an incidence rate of close to 100% and a mortality rate of 70% or more in young piglets, and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domestic pigs. The second serotype is bovine coronavirus infec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livestock. The third serotype is chicken infectious bronchitis, which causes respiratory, urinary and spawning disorders in chickens. Unlike other serotypes, bovine coronaviruses have a second spike, hemaggulitin, in the outer membrane of the virus, which is morphologically, serologically, and genetically distinct. Particularly, the second serotype is very important as the serotype in which the SARS coronavirus, which originated in China in 2002 and put the whole world in fear, belongs. According to WHO statistics, a total of 8500 SARS coronaviruses have been infected and 800 of them have been reported to have died.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SAR coronavirus is derived from bats and spread to humans, so coronavirus infection caused by dissemination of different species is a big problem.

코로나바이러스 제어용 타겟은 세포침입 저해, 사이토카인(IFN), RNA 복제 억제 그리고 바이러스 프로테아제(protease) 저해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제어용 타겟으로는 바이러스 프로테아제(viral protease)인 3C-like protease (3CLpro 또는 3CL 프로테아제)와 papain like protease (PLpro 또는 PL 프로테아제)이 있으며, 특히 세계적으로 3CL 프로테아제를 타겟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리노마이신(valinomycin, IC50 = 0.85 μM), 레제르핀(reserpine, IC50 = 3.4 μM) 및 TL3은 현재 신약으로 개발되거나 혹은 임상단계에 있다. The targets for the control of coronaviruses can be divided into cell penetration inhibition, cytokine (IFN), RNA replication inhibition and viral protease inhibition. The most active coronavirus control targets currently are viral protease 3C-like protease (3CL pro or 3CL protease) and papain like protease (PL pro Or PL protease). Particularly, researches targeting 3CL protease worldwide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Valinomycin (IC 50 = 0.85 μM), reserpine (IC 50 = 3.4 μM) and TL3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new drugs or in clinical trials.

이러한 연구들에 맞춰서 생물소재인 편백나무, 측백나무, 삼나무에서 분리 정제된 테르페노이드(terpenoid)와 리그노이드(lignoid) 화합물군이 타겟 프로테아제의 강한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Wen C. C. (J. Med . Chem. 2007)가 발표하였으며, 녹차와 홍차로부터 분리된 TF3 (theaflavin-3,3'-digallate)가 프로테아제 저해제로 알려져 있다(Chen, C.-N. et al., eCAM, 2005). 소수의 생물소재로부터의 코로나바이러스 타겟 프로테아제 개발을 제외하고는, 이 외의 모든 저해제들이 합성 펩타이드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의 세포변성(CPE) 억제 효과를 가진 대표적인 소재로는 약용식물인 감초(Licorice)로부터 분리된 배당체 화합물인 글라이씨라이진(glycyrrhizin)과 추출물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oever et al., J. Med . Chem. 2005, Cinatl et al., Lancet, 2003).The biological material, cypress, platycladus,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from cedar terpenoids (terpenoid) and the league cannabinoid (lignoid) group of compounds according to these studies are having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of the target protease Wen CC (J. Med. Chem ., 2007), and TF3 (theaflavin-3,3'-digallate) isolated from green tea and black tea is known as a protease inhibitor (Chen, C.-N. et al., ECAM , 2005). Except for the development of coronavirus target proteases from a small number of biological materials, all other inhibitors have been reported as synthetic peptides. In addition, glycyrrhizin, which is a glycoside compound isolated from Licorice , a medicinal plant, and extracts have been shown to exhibit activity to inhibit virus cytotoxicity (CPE).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ever et al., J. Med . Chem . 2005, Cinatl et al., Lancet , 2003).

현재까지 개발된 항바이러스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응용에 있어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의 개발은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가 맞지 않으면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우수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의 3CL 프로테아제는 변이가 적고 구조가 밝혀져 있어 사스-코로나바이러스뿐만 아니라 같은 혈청형의 소 코로나바이러스, 다른 혈청형의 돼지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좋은 타겟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antiviruses developed so far exhibit severe side effects, a great deal of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ir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ffective if the virus type of the prevalent virus is not matched with the virus of the vaccine.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novel coronavirus agent having excellent infection control and excellent stability. In addition, the 3CL protease of SARS-coronavirus has a small mutation and its structure is known, which can be applied not only to SARS-coronavirus but also to bovine corona virus of the same serotype and porcine corona virus of another serotype, which is a very good target .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사와 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3CL 프로테아제 및 다양한 타겟을 선정하여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들이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을 가지고, 개체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3CL proteas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of coronavirus, and a variety of targets were selected to find a substance capable of inhibiting the viru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xtracts of Panax ginseng, its fraction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the non-toxic tan chinone compounds hav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3CL protease and do not cause toxicity to the individual.

본 발명의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and a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eed additive and fee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ronavirus inf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adix Salviae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its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adix Salviae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1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1

[화학식 2] (2)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2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2

[ 화학식 3](3)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3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3

[화학식 4] [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4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4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5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5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6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6

[화학식 7](7)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7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7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ich comprise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anax ginseng,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other than humans, a ginseng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do.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its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면서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기능을 하는 3CL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코로나 바이러스가 호흡기관 내 다른 세포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by inhibiting the activity of 3CL protease, which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coronavirus and functions as a vital for viral replication, and preventing the coronavirus from diffusing into other cells in the respiratory tract .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may refer to any action that inhibits coronavirus infection or delays the onset of coronavirus infection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treatment" may mean any action that improves or alleviates symptoms due to coronavirus infection by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SARS), 돼지(Pocine), 또는 소(Bovine)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스(SARS)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의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야기될 수 있는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ronavirus may be SARS, Pocine, or Bovine coronavirus, preferably SARS coronavirus. The coronavirus may also cause diseases of the flu, cold, sore throat, bronchitis, and pneumonia, an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e diseases caused by coronaviruses.

일반적으로 단삼(Salvia miltiorrhiza)이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야생 풀뿌리식물로 줄기는 자줏빛으로 겉껍질은 붉은 빛을 띄고, 속은 자줏빛을 띄고 있으며 한약제로 쓰이는 식물일 수 있다. Salvia miltiorrhiza is a perennial wild grasshopper belonging to the family Lamiaceae. Its stem is purplish, its surface is reddish, its inside is purplish and it can be used as a Chinese medicine.

본 발명에서 단삼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ansam can be purchased commercially, sold or cultivated in nature.

상기 단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단삼의 뿌리를 분쇄하여 얻은 단삼 건조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4의 알코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는 단삼의 건조중량의 2 ~ 2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단삼 뿌리 건조물을 세절한 후 추출용기에 넣고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넣고 일정기간 상온에서 방치한 다음, 여과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추출은 상온에서 1주 동안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As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hinese cabbage extract,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such as a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a filtration method and a reflux extraction method may be used. Preferably, the dried ginseng root obtained by pulverizing the roots of the ginseng having the foreign substance removed by washing and drying can be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more preferably C 1 to C 4 , and most preferably, it may be an extract extracted with methanol or ethanol. At this time,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2 to 20 times the dry weight of the ginseng. For example, the dried product of Dansam root i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and a low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preferably methanol or ethanol, of C 1 to C 4 i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have. At this time, the extraction is preferably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week, and thereafter, a method such as concentration or freeze-drying may further be carried out.

한편, 본 발명에서 단삼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하여 얻을 수 있으며, 분획용매는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삼 분획물은 단삼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함으로써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각각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삼 추출물의 분획물은 바람직하게 헥산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ction of Radix Salviae Extract can be obtained by fractionation from the above extract, and the kind of the fraction solvent is not limited. For example, more specifically, the ginseng fraction can be obtained by suspending the extract in water and then fractionating it with hexane and ethyl acetate, respectively, to obtain 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and water fraction,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ction of Radix Salviae Extract is preferably a hexane fraction or an ethyl acetate fraction, more preferably an ethyl acetate fraction.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formulas (1) to (7).

화합물1Compound 1 : : 탄쉬논Tan Shinnon IIA( IIA ( TanshinoneTanshinone IIAIIA ))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8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8

화합물2Compound 2 : : 탄쉬논Tan Shinnon I( I ( TanshinoneTanshinone I) I)

[화학식 2](2)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9
Figure 112011101391742-pat00009

화합물3Compound 3 : 디하이드로탄쉬논(: Dihydrotartran shinone ( DihydrotanshinoneDihydrotanshinone ))

[화학식 3](3)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0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0

화합물4Compound 4 : 크립토탄쉬논(: Cryptocide Shynon ( CryptotanshinoneCryptotanshinone ))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1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1

화합물5Compound 5 : : 탄쉬논Tan Shinnon IIB( IIB ( TanshinoneTanshinone IIBIIB ))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2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2

화합물6Compound 6 : 로즈마리퀴논(: Rosemary quinone ( RosmariquinoneRosmariquinone ))

[화학식 6][Chemical Formula 6]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3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3

화합물7Compound 7 : : 메틸methyl 탄쉬노네이트( Tan Shunnate ( MethylMethyl tanshinonatetanshinonate ))

[화학식 7](7)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4

Figure 112011101391742-pat00014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단삼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활성 성분으로, 상기 화합물들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s (1) to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ative active ingredients present in raw ginseng, and the method for separating the compounds can be performed as follows.

먼저, 단삼을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단삼 추출물을 얻는다(단계 1). 상기 단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First, the raw ginseng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to obtain a ginseng extract (Step 1). The ginseng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such as cultivated or marketed, cleaned and dried. The alcohol may be a lower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Methanol or ethanol may be preferably used.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상기 단삼 추출물을 얻는 단계는 건조된 단삼을 음건 세절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말상태로 만든 후 추출용기에 넣고 적당한 양의 알코올을 첨가하고, 이를 상온에서 5일 동안 방치한 후 거름종이 등으로 여과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step 1, the dried ginseng is made into powder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shade, and then added to an extraction container. An appropriate amount of alcohol is added, and the ginseng is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Filter paper or the like. This extraction process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a method such as concentration or lyophiliza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이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단삼 추출물에 물을 가하여 현탁시키고,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단삼 분획물을 얻는다(단계 2). 이 때, 통상의 분별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별 깔대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삼 분획물은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얻을 수 있다.
Then, water is added to the dried ginseng extract obtained in the step 1, and the mixture is suspended. The fractions are sequentially fractionated using hexane and ethyl acetate to obtain a ginseng fraction (Step 2). At this time, a usual fractionation extraction method can be used, and a separating funnel can be preferably used. The ginseng fractions can be obtained from hexane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butanol fraction, and water fraction.

그 후,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단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분리하고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단계 3). 상기 화합물 분리를 위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상으로는 n-헥산,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아세톤 혼합용매 및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되는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n-헥산아세톤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n-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의 부피비는 50:1 ~ 1:5 부피비가 바람직하며, 클로로포름아세톤 혼합용매일 경우에는 150:1 ~ 1:4 부피비가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단일 화합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The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in Step 2 is separated and purified by silica gel chromatography to obtain the compounds of Formulas 1 to 7 (Step 3). When carrying out the silica gel chromatography for the compound separ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n - hexane, n -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acetone mixed solvent and methanol as the mobile phase, and in the additional chromatography, n - hexane acetone mixed solvent Can be used. The volume ratio of the mixed solvent of n -hexane ethyl acetate to be used is preferably 50: 1 to 1: 5 by volume, and preferably 150: 1 to 1: 4 by volume when mixing chloroform acetone. The chromatography can be carried out once to several times until a single compound is purified, and concentration and recrystallization can be carried out if necessar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As the salt, an acid addition salt formed b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free acid is useful Do. Acid addition salts include those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nitrous acid or phosphorous acid, and aliphatic mono- and dicarboxylates, phenyl-substituted alkanoates, hydroxyalkanoates, Dioleate, aromatic acid, aliphatic and aromatic sulfonic acids. Such pharmaceutically innocuous sal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ulfate, pyrosulfate, bisulfate, sulfite, bisulfite, nitrate, phosphate, monohydrogenphosphate, dihydrogenphosphate, metaphosphate, pyrophosphate chloride, bromide, Butyrate, caprate, heptanoate, propiolate, oxalate, malonate, succinate, succinate, maleic anhydride, maleic anhydride, , Sebacate, fumarate, maleate, butyne-1,4-dioate, hexane-1,6-dioate, benzoate, chlorobenzoate, methylbenzoate, dinitrobenzoate, hydroxybenzoate, Methoxybenzoate, phthalate, terephthalate, benzene sulfonate, toluene sulfonate, chlorobenzene sulfide Sulfonate, methanesulfonate, propanesulfonate, naphthalene-1-sulphonate, naphthalene-1-sulphonate, , Naphthalene-2-sulfonate or mandelate.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The acid addition sa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by dissolv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hemical Formulas 1 to 7 in an excess amount of an acid aqueous solution, For example,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으로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 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to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tal salts using bases. The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amount of an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insoluble compound salt, and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for the metal salt to produc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silver salt can be obtained by reacting an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with a suitable silver salt (e.g., silver nitrate).

한편, 본 발명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of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In the case of formulation,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are also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have.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Examples of the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Examples of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It can have one formulation.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감염된 바이러스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as used herein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will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severity, age, sex, , The activity of the drug, the sensitivity to the drug,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administer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to administer the amount in which the maximum effect can be obtained in a minimal amount without adverse effect,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or using surgery, hormone therapy, drug 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ich comprises as an active ingredient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to (7) or the fractions thereof.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ractions thereof or the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formulas (1) to (7) may be added to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n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is used as a food additive, the extract, fraction or compound may be directly added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Can be use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Generally, in the production of food or beverag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5 to 1%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gestion intended for health and hygiene purposes or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health, the amount can also be used in the above-mentioned range.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food. Examples of the food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dairy products including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ll of which include healthy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Such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Examples of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s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beverag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and vegetable beverage.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proportion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adix ganorrice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a quasi-drug composi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When the extract or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is used as a quasi-drug additive, the extract or the compound may be directly added or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 components, and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quasi-drug composition may be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grin,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humidifier filler, mask, ointment or filter filler.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adix Salviae Radix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사료첨가제는 3CL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을 통하여 항바이러스 효능을 가지므로 가금류, 가축 등에게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바이러스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이미 발생한 바이러스성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료는 영양가, 주성분, 유통, 수분 함량 배합상태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는 조사료, 농후사료, 보충사료, 단백질사료, 녹말사료, 지방질사료 또는 섬유질사료가 사용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Since the feed additive has an antiviral effect through inhibiting the activity of 3CL prote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ral disease by feeding the feed additives to poultry, livestock, and the lik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viral diseas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Feed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nutritional value, main ingredient, distribution, moisture content, processing type and the like, and the feeds can be used for forage, concentrated feed, supplementary feed, protein feed, starch feed, fat feed or fiber fe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추가적으로 가금류 및 가축 등에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료첨가제를 그대로 또는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금류 및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The feed additive may additionally contain a carrier such as poultry and livesto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additive may be added as it is or a known carrier, stabilizer and the like may be added. Various nutrients such as vitamins, amino acids and minerals, antioxidants, antibiotics, antibacterial agents and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And the shape thereof may be a suitable state such as powder, granule, pellet, suspension and the like. When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it can be supplied to poultry, livestock and the like singly or mixed with feed.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ntaining the feed additive.

상기 설명한 사료첨가제를 다양한 동물의 사료나 음수의 원료 및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feed additive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feeds for various animal feeds, as raw materials and additives for negative water, and can be used as a fee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ed additives.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other than humans, a ginseng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발병 또는 발병가능성이 있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A method for inhibiting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anax ginseng,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Chemical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susceptible to or incurring a coronavirus infection The disease can be treated.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SARS), 돼지(Pocine), 또는 소(Bovine)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및 폐렴일 수 있다.The coronavirus may be SARS, Pocine, or Bovine coronavirus. In addition, the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s may be flu, cold, sore throat, bronchitis, and pneumonia.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코로나바이러스에 이미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인간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인간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아형 또는 변이형의 코로나바이러스로 감염된 돼지 또는 소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The term "individual"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humans, that have already been infected or infected with coronavirus, and by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fraction or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treated. For example, a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to treat humans infected with various coronavirus subtypes or variants of human coronavirus. In addition,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humans infected with various coronavirus subtypes or variant coronaviruses. In addition, pigs or cows infected with various coronavirus subtypes or variant coronaviruses can be treate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for a coronavirus infection disease.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via any conventional route so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travenously, intramuscularly, subcutaneously, intradermally, orally, intranasally, intrapulmonarily, or rectally, though i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The composi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active agent to the target cell.

본 발명에 따른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7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제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3CL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하여 살바이러스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므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ans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rmulas (1) to (7) as an active ingredient is useful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mposition for a food composition, a quasi-drug composition or 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3CL protease, thereby exhibiting a live virus effect against various coronaviruses. . ≪ / RTI >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One: 단삼Sansam (( SalviaSalvia miltiorrhizamiltiorrhiza )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단삼은 일반적으로 한약재상이나 자연에서 쉽게 채집할 수 있는 것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단삼의 뿌리를 파우더 형태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The root ginseng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generally easy to collect from natural medicinal herb or nature, and the roots of ginseng purchased from the market are pulverized into a powder form.

단삼 2.5 kg에 95% 에탄올(EtOH) 10 ℓ를 가하여 실온에서 7일간 방치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단삼의 에탄올 추출물(140 g)을 수득하였다.
10 kg of 95% ethanol (EtOH) was added to 2.5 kg of ginseng, and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The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paper and concentrated to obtain ethanol extract (140 g).

실시예Example 2 :  2 : 단삼Sansam 추출물로부터  From the extract 단삼Sansam 분획물Fraction  And 폐난트라퀴논계Tragacanth 탄쉬논Tan Shinnon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compounds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단삼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 100 g에 물 2ℓ를 넣어 현탁시켰다. 이를 분별 깔대기에 넣어 헥산 가용추출물 (20 g),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31 g) 및 물 가용추출물 (50 g)을 수득하였다. 2 L of water was added to 100 g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dansam root obtained in Example 1 to suspend. This was put in a separating funnel to obtain hexane soluble extract (20 g),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31 g) and water soluble extract (50 g).

상기에서 수득한 헥산 가용추출물 20 g을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용매(40:1 ~ 1:6)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0 g, 70~230 메쉬(mesh)]를 수행하여 5개의 분획물(Fr.1~5)로 분리하였다. 이 중 세 번째 분획물을 세부적으로 세 개의 분획물로 나누었다. 나누어진 세 개의 분획물 중 첫 번째 분획물(Sub. Fr. 3.1, 2 g)은 아세토니트릴 : 증류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하여 단리 HPLC를 이용하여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 1(120 mg)과 2(80 mg)을 수득하였다. 계속적으로 나누어진 두 번째(Sub. Fr. 3.2, 3 g)은 아세토니트릴 : 증류수 혼합용매(80:20)를 이동상으로하여 단리 HPLC를 이용하여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 3(50 mg)을 수득하였다. 또한, 세 번째 분획물(Sub. Fr. 3.3, 4 g)은 메탄올 : 증류수 (10:0 ~ 1:5) 혼합용매 조건으로 한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으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 4(10 mg)을 수득하였다. 20 g of the hexane soluble extract obtained above was subjected to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500 g, 70 to 230 mesh] using hexane, aceton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40: 1 to 1: 6) And separated into five fractions (Fr.1 to 5). The third fraction was divided into three fractions in detail. The first fraction (Sub.Fr. 3.1, 2 g) of the three fractions was separated using a mixture of acetonitrile: distilled water as the mobile phase and 120 mg of phenanthraquinone-based tanhinone compound 1 (120 mg) and 2 80 mg). Fr. 3.2, 3 g) was prepared by dissolving phenanthraquinone tan chinone compound 3 (50 mg) in an acetonitrile: distilled water mixed solvent (80:20) as mobile phase using an HPLC . The third fraction (Sub. Fr. 3.3, 4 g) was subjected to reversed phas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methanol: distilled water (10: 0 to 1: 5) mg).

계속적으로 다섯 개의 분획물 중(Fr. 1~5), 네 번째 분획물(Fr. 4, 5 g)을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용매(10:0 ~ 0:10)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500 g, 70~230 메쉬(mesh)]를 수행하여 5개의 분획물(Sub. Fr. 4.1 ~ 4.5)로 분리하였다. 화합물 5(12 mg)와 6(13 mg)은 두 번째 분획물(Sub. Fr. 4.2, 1 g))에서 메탄올, 증류수 혼합용매(10:0 ~ 1:5)를 이동상으로 하여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수득하였다. 또한 네 번째 분획물(Sub. Fr. 4.4, 0.65 g)은 메탄올, 증류수 혼합용매(10:0 ~ 1:5)를 이동상으로 하여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 7(15 mg)을 수득하였다.(Fr. 1 to 5) and the fourth fraction (Fr. 4, 5 g) were fractionated 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hexane, acetone and a mixed solvent thereof (10: 0 to 0:10) (Silica gel 500 g, 70-230 mesh)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fractions into five fractions (Sub. Fr. 4.1 to 4.5). Compound 5 (12 mg) and 6 (13 mg) were separated by reverse phas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methanol / distilled water mixed solvent (10: 0-1: 5) as the mobile phase in the second fraction (Sub. Lt; / RTI > The fourth fraction (Sub. Fr. 4.4, 0.65 g) was subjected to reversed phase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using methanol and distilled water mixed solvent (10: 0 to 1: 5) as mobile phase to obtain Compound 7 (15 mg) .

상기에서 수득한 화합물 7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탄쉬논 IIA(Tanshinone IIA),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탄쉬논 I(Tanshinone I),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 탄쉬논(Dihydrotanshinone),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크립토탄쉬논(cryptotanshinone),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탄쉬논 IIB(Tanshinone IIB),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로즈마리퀴논(Rosmariquinone),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메틸 탄쉬노네이트(Methyl tanshinonate)였다.
The seven compounds obtained above are Tanshinone IIA (Tanshinone IIA), Tanshinone I (2), Dihydrotanshinone (3), Dihydrotanshinone (4) (Tanshinone IIB)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5, Rosmariquinon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6, and Methyl tanshinonat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7 were cryptotanshinon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5,

실시예Example 3: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및 준비 3: Expression and prepar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3.1. 대장균 (3.1. E. coli ( E. E. colicoli )를 이용한 사스() Was used for SARS SARSSARS ) 코로나바이러스 3) Coronavirus 3 CLCL 프로테아제의 준비  Preparation of protease

활성 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하여 사스(SARS)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유전정보[GenBank: DM169957.1]를 바탕으로 SARS-CoV 3CLpro/pET-23d유전자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유전자는 대장균에 형질전환 하였고, 유전자가 포함된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SARS-CoV 3CLpro/pET-23d 플라스미드를 가지는 대장균[E. coli BL21 DE3]은 암피실린(100 ㎍/㎖)이 첨가된 1 L의 LB 배지(1%(w/v) 트립톤, 0.5%(w/v) 효모 추출액, 0.5%(w/v) NaC1)에서 OD600 값이 0.5에 도달할 때까지 37℃의 온도에서 교반을 해주면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활성화 인자로서 IPTG(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를 최종농도가 1 mM이 되도록 첨가한 후, 18℃ 로 옮겨 1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세포를 0.5 % Triton X-100과 300 mM NaCl이 포함된 20 mM 인산나트륨 (pH 7.5) 버퍼에 현탁하여 초음파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원심분리를 통해 얻은 상등액을 단백질 정제에 이용하였다. 사스 3CL 프로테아제는 메티오닌을 시작으로 32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C-말단에는 6개의 히스티딘 택이 붙어있어 단백질 정제가 용이하다. 얻어진 세포파쇄액을 평형화 완충액[20 mM 인산나트륨(pH 7.5)와 0.5 M NaCl]으로 미리 평형화된 니켈-세파로스 칼럼[GE healthcare]에 흡착시키고 100 mM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평형화 완충액을 이용하여 세척해 준 후, 300~500 mM 이미다졸(imidazole)이 포함된 평형화 완충액을 이용하여 용출하였다. 용출되어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는 SDS-전기영동으로 정제된 밴드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0.2 mM NaCl과 1 mM DTT가 첨가된 20 mM Tris-HCl(pH 7.5) 완충 용액으로 투석을 한 후, 단백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In order to express the active protein, the SARS-CoV 3CL pro / pET-23d gene was synthesized based on the genetic information of SARS coronavirus 3CL protease [GenBank: DM169957.1]. The synthesized gene was transformed into E. coli, and a transformant containing the gene was obtained. E. coli BL21 DE3 harboring the SARS-CoV 3 CL pro / pET-23d plasmid was cultured in 1 L of LB medium (1% (w / v) tryptone, 0.5% w / v) yeast extract, 0.5% (w / v) NaCl) at 37 ° C until OD 600 reached 0.5. IPTG (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 was added as an activating factor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 mM, and the mixture was transferred to 18 ° C. and cultured for 10 hours. After the incubation, the cells obtained by centrifugation were suspended in 20 mM sodium phosphate (pH 7.5) buffer containing 0.5% Triton X-100 and 300 mM NaCl, disrupted using an ultrasonic crusher, and centrifuged to obtain a supernatant And used for protein purification. The SARS 3CL protease is composed of 327 amino acids starting from methionine, and has 6 histidine tags at its C-terminus to facilitate protein purification. The resulting cell lysate was adsorbed to a Ni-Sepharose column (GE healthcare) pre-equilibrated with equilibration buffer [20 mM sodium phosphate (pH 7.5) and 0.5 M NaCl] and equilibrated with 100 mM imidazole , Followed by elution with an equilibration buffer containing 300 to 500 mM imidazole. The eluted 3CL protease was identified by SDS-gel electrophoresis and dialyzed with 20 mM Tris-HCl (pH 7.5) buffer containing 0.2 mM NaCl and 1 mM DTT. Respectively.

3.2. 돼지 코로나 바이러스(3.2. Porcine coronavirus ( pocinepocine coronacorona virusvirus )에서 유래한 33) derived from CLCL 프로테아제의 준비  Preparation of protease

돼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ET-23d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 하여 얻어진 PEDV-3CLpro/pET23d 유전자는 실시예 3.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장균[E. coli BL21 DE3 codon plus]에 형질전환하였고, IPTG를 이용하여 과발현 시킨 후, 니켈-세파로스 칼럼[GE healthcare]을 이용하여 활성 단백질인 PEDV 3CL 프로테아제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0.2 mM NaCl과 1 mM DTT가 첨가된 20 mM Tris-HCl(pH 7.5) 완충 용액으로 투석을 한 후, 단백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The gene encoding the 3CL protease obtained from the porcine corona virus was cloned into the pET-23d vector. The PEDV-3CL pro / pET23d gene obtained by cloning was transformed into E. coli BL21 DE3 codon plu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1, overexpressed using IPTG, and then transferred to a nickel-sepharose column [GE healthcare ] Was used to isolate the active protein PEDV 3CL protease. The separated proteins were dialyzed against 20 mM Tris-HCl (pH 7.5) buffer containing 0.2 mM NaCl and 1 mM DTT, and then used for protein analysis.

3.3. 소 코로나 바이러스(3.3. Bovine coronavirus ( bovinebovine coronacorona virusvirus )에서 유래한 33) derived from CLCL 프로테아제의 준비  Preparation of protease

소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얻어진 3CL 프로테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ET-23d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클로닝 하여 얻어진 KWD3-3CLpro/pET23d 유전자는 실시예 3.1과 3.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대장균[E. coli BL21 DE3 codon plus]으로부터 KWD3 3CL 프로테아제를 분리하였다.The gene encoding 3CL protease obtained from bovine coronavirus was cloned into pET-23d vector. The KWD3-3CL pro / pET23d gene obtained by cloning was isolated from E. coli BL21 DE3 codon plus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s 3.1 and 3.2.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단삼Sansam 추출물, 이의  Extract, objection 분획물Fraction  And 페난트라퀴논계Phenanthraquinone series 탄쉬논Tan Shinnon 화합물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3 Compounds of the Sas coronavirus 3 CLCL 프로테아제 ( Protease ( SARSSARS -- CoVCoV 3 3 CLCL propro ),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3), Porcine coronavirus 3 CLCL  The 로테아Rotaia 제 (My ( PEDVPEDV 3 3 CLCL propro ), 소 코로나바이러스 (), Bovine coronavirus ( KWD3KWD3 3 3 CLCL propro )에 대한 저해 활성 측정 ) ≪ / RTI >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들로부터 분리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의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FRET(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assay를 통하여 측정하기 위하여 형광 공여자인 EDNAS와 형광 소멸자인 DABCYL이 결합된 합성 펩타이드인 Dabcyl-KTSAVLQSGFKME-Edans를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기질의 절단으로 인해 EDANS와 DABSYL이 분리되었을 때 이를 형광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order to measure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3CL protease of the extracts of Panax ginseng, the fractions thereof and the phenanthraquinone-based tan chinon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according to th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RET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assay, Dabcyl-KTSAVLQSGFKME-Edans, a synthetic peptide coupled with EDNAS and DABYL, a fluorescence destructor, was used as a substrate. When EDANS and DABSYL are separated due to substrate cleavage, they can be confirmed by fluorescence.

실시예 1 및 2의 단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을 메탄올에 녹여 각각 20 ㎕씩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첨가하고 기질 Dabcyl-KTSAVLQSGFKME-Edans(최종농도, 2.5μM)를 각각 50 ㎕를 넣었다. 이를 20 mM Bis-Tris 완충용액(pH 7.5) 80 ㎕와 혼합하고, 효소원인 3CL 프로테아제(효소 최종농도, 2.5 ㎍/mL) 50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며, 형광 분광기로 360/40㎚에서의 여기(excitation) 및 590/20㎚에서의 방출(emission) 값을 측정함으로써 3CL 프로테아제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The extracts of Examples 1 and 2, the fractions thereof and the phenanthraquinone-based tan chinon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were dissolved in methanol and added to each well of a 96-well plate in a volume of 20 μl each, and the substrate Dabcyl-KTSAVLQSGFKME-Edans , 2.5 [mu] M), respectively. The resulting mixture was mixed with 80 μl of 20 mM Bis-Tris buffer solution (pH 7.5), and 50 μl of enzyme 3CL protease (final concentration of enzyme, 2.5 μg / ml) was added thereto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60 minutes. The inhibitory activity of 3CL proteas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excitation at 40 nm and the emission value at 590/20 nm.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단삼 추출물, 분획물 및 분리된 탄쉬논 화합물들의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3CL protease inhibitory activity of radish extract, fraction and separated tan chinone compounds 시료명Name of sample SARS-CoV 3CL 저해율
(IC50)
SARS-CoV 3CL inhibition rate
(IC 50 )
KWD3 3CL 저해율
(IC50)
KWD3 3CL inhibition rate
(IC 50 )
PEDV 3CL 저해율
(IC50)
PEDV 3CL inhibition rate
(IC 50 )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 25.2 ㎍/mL25.2 / / mL 16.2 ㎍/mL16.2 / / mL 566.2 ㎍/mL566.2 / / mL 헥산 분획물Hexane fraction 10.2 ㎍/mL10.2 / / mL 3.2 ㎍/mL3.2 占 퐂 / mL 344.5 ㎍/mL344.5 / / mL 에틸아세테이드 분획물Ethyl acetate fraction 8.2 ㎍/mL8.2 / / mL 2.0 ㎍/mL2.0 占 퐂 / mL 346.1 ㎍/mL346.1 / / mL 물 분획물Water fraction 98.1 ㎍/mL98.1 / / mL 113.2 ㎍/mL113.2 / / mL 920.2 ㎍/mL920.2 / / mL 탄쉬논 IIA(Tanshinone IIA)Tanshinone IIA (Tanshinone IIA) 89.1 μM89.1 [mu] M 67.9 μM67.9 [mu] M -- 탄쉬논I(Tanshinone I)Tanshinone I 38.7 μM38.7 [mu] M 11.6 μM11.6 [mu] M -- 디하이드로탄쉬논(Dihydrotanshinone I)Dihydrotanshinone I < RTI ID = 0.0 > 14.4 μM14.4 [mu] M 0.7 μM0.7 μM 6.1 μM6.1 μM 크립토탄쉬논(Cryptotanshinone)Cryptotanshinone 136.2 μM136.2 [mu] M 143.3 μM143.3 [mu] M -- 탄쉬논 IIB(Tanshinone IIB)Tanshinone IIB (Tanshinone IIB) 24.8 μM24.8 [mu] M 15.2 μM15.2 [mu] M 74.8 μM74.8 μM 로즈마리퀴논(Rosmariquinone)Rosmariquinone 11.0 μM11.0 [mu] M 24.1 μM24.1 [mu] M -- 메틸 탄시노네이트(Methyl tanshinonate)Methyl tanshinonate 21.1 μM21.1 [mu] M 25.5 μM25.5 [mu] M 65.7 μM65.7 [mu] M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 각각의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SARS-CoV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단삼의 에탄올 추출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에서 각각 25.2, 10.2, 8.2 및 98.1 ㎍/mL의 IC50값을 나타냈으며, 특히 단삼의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들이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고루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As shown in Table 1, the inhibitory activity of each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 of Dansamp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3CL protease was examined. In the case of SARS-CoV 3CL protease, ethanol extracts of Danshen,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IC 50 values of 25.2, 10.2, 8.2 and 98.1 ㎍ / mL were obtained, respectively, and the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of Danshe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This is because the phenanthraquinone-based tan chinone compounds are uniformly contained in the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소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단삼의 에탄올 추출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에서 각각 16.2, 3.2, 2.0 및 113.2 ㎍/mL의 IC50값을 나타냈으며, 특히 단삼의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bovine coronavirus 3CL protease, IC 50 values were 16.2, 3.2, 2.0 and 113.2 ㎍ / mL in ethanol extract, hexane, ethylacetate and water fractions of Danshen respectively. Especially, in the hexane and ethylacetate fractions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 high inhibitory activity.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단삼의 에탄올 추출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에서는 각각 566.2, 344.5, 346.1 및 920.2 ㎍/mL의 IC50값을 나타내었다.In the case of porcine coronavirus 3CL protease, the IC 50 values of the extracts of Danshen,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were 566.2, 344.5, 346.1 and 920.2 ㎍ / mL,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식물체인 단삼으로부터 분리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들의 3CL 프로테아제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SARS-CoV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탄쉬논 IIA, 탄쉬논 I, 디하이드로탄쉬논 I, 크립토탄쉬논, 탄쉬논 IIB, 로즈마리퀴논 및 메틸 탄쉬논에서 각각 89.1, 38.7, 14.4, 136.2, 24.8, 11.0 및 21.1 μM의 IC50값을 나타내었고, 특히 디하이드로탄쉬논 I과 로즈마리퀴논이 각각 14.4 및 11.0 μM의 IC50값을 나타내어 높은 저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소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탄쉬논 IIA, 탄쉬논 I, 디하이드로탄쉬논 I, 크립토탄쉬논, 탄쉬논 IIB, 로즈마리퀴논 및 메틸 탄쉬논에서 각각 67.9, 11.6, 0.7, 143.3, 15.2, 24.1 및 25.5 μM의 IC50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하이드로탄쉬논 I이 소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에서 0.7 μM의 IC50값을 나타내었는바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돼지 코로나바이러스 3CL 프로테아제의 경우, 디하이드로탄쉬논 I, 탄쉬논 IIB, 메틸 탄쉬논에서 각각 6.1, 74.8, 65.7μM의 IC50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하이드로탄쉬논 I 화합물이 6.1μM의 IC50값을 가져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inhibitory activity of the phenanthraquinone-based tan chinon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nshin, against 3CL protease was measur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SARS-CoV 3CL protease, Tanshinon IIA, Tanshinon I, dihydrotanshinone I, Tan swinon burnt swinon IIB, rosemary hydroquinone and methyl exhibited respectively 89.1, 38.7, 14.4, 136.2, 24.8, 11.0 and 21.1 μM of IC 50 values in shots swinon, respectively, are particularly dihydro burnt swinon I and rosemary quinone 14.4 and And an IC 50 value of 11.0 μM, indicating high inhibitory activity. 11.6, 0.7, 143.3, 15.2, 24.1 and 25.5 in the case of bovine coronavirus 3CL protease in the case of Tanshinnon IIA, Tanshinnon I, dihydrotanshinone I, cryptotanninon, tanshinnon IIB, rosemaryquinone and methyltanshinone, respectively. The IC 50 values of μM were shown. In particular, dihydrotancanone I showed the highest IC 50 value of 0.7 μM in bovine coronavirus 3CL protease. In the case of porcine coronavirus 3CL protease, IC 50 values of 6.1, 74.8 and 65.7 μM were shown in dihydrotanshinone I, tanshinone IIB and methyltanshinone, respectively. Especially, 50 values, indicating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본 발명의 실험예 1을 통하여 단삼 추출물, 분획물 및 분리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이 높은 3CL 프로테아제 저해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선택적인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In Experimental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s of Panax ginseng extract, fractions thereof and the separated phenanthraquinone-based tan chinone compound have high 3CL protease inhibitory activity and selective activity.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급성 독성 실험 2: Acute toxicity test of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대한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To investigate the acute toxicity of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6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F, specific pathogens free) C57BL/6J 마우스를 암수 각각 12 마리씩 4군(암수 각각 3마리/실험군)으로 나누어, 온도 22±3℃, 습도 55±10%, 조명 12L/12D의 동물실 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마우스 및 랫트용, (주)제일제당, 서울, 대한민국)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 섭취시켰다.C57BL / 6J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male / female, each 3 male / female) of 12 male and 6 female mice at 6 weeks of age. 12D animal room. Mice were purified for a week before being used in the experiment. Feeds for laboratory animals (mouse and rats, Cheil Jedang Co., Seoul, Korea) and drinking water were sterilized and fed free.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상기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5% 트윈 80(tween 80)에 5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04 mL(100 mg/kg), 0.2 mL(500 mg/kg) 및 0.4 mL(1,000 mg/kg)씩 경구 투여하였다. 시료는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7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 당일은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7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100 mg / kg) per 20 g of the mouse body weight, 0.2 (0.2 mg / kg)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Chemical Formulas 1 to 7 prepared in Example 2 at a concentration of 50 mg / mL in 0.5% mL (500 mg / kg) and 0.4 mL (1,000 mg / kg), respectively. Samples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and the following side effects or deaths were observed for 7 days after administration. That is, on the day of administration, changes in general symptoms and presence or absence of dead animals were observed at 1 hour, 4 hours, 8 hours, 12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and 1 day at the morning and at the afternoon from the next day to 7 days after administration.

상기와 같은 급성 독성실험 결과, 시료를 투여한 모든 마우스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폐사된 마우스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As a result of the above acute toxicity test, no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in all of the mice to which the sample was administered, no dead mouse was observed, and toxicity was not observed even in weight change, blood test, blood biochemical test, I did.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모든 마우스에서 1,00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 치사량(LD50)이 1,000 m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mpounds of the invention did not show any toxic change in mice up to all 1,000 mg / kg, it is found to be orally administered minimum lethal dose (LD 50) is 1,000 mg / kg or more safe substance.

이하, 단삼 추출물 및 분획물, 및 이들로부터 분리한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식품의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xamples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or health foods containing the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fractions thereof, and the phenanthraquinone-based Tanzanone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isolated therefrom will be describe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preparations

1-1. 1-1. 산제의Sanje 제조 Produce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Or extract thereof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or a salt thereof isolated therefrom

2 g                                                              2 g

유당 1 gLactose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he mixture was packed in an airtight container to prepare a powder.

1-2. 정제의 제조1-2. Manufacture of tablet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0 ㎎ 100 mg of Radix Root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옥수수 전분 100 ㎎ Corn starch 100 mg

유당 100 ㎎ Lactose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2 mg of magnesium stearate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ablets were prepared by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tablets.

1-3. 캡슐제의 제조1-3. Preparation of capsule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0 ㎎ 100 mg of Radix Root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옥수수 전분 100 ㎎ Corn starch 100 mg

유당 100 ㎎ Lactose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2 mg of magnesium stearate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the above components, the capsules were filled in gelatin capsul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reparation method of capsules.

1-4. 주사액제의 제조1-4. Injection preparation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 ㎍/㎖Radix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or a compound or a salt thereof isolated therefrom of 10 μg / ml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Until dilute hydrochloric acid BP pH 3.5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Sodium chloride BP injected up to 1 ml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단삼 추출물, 분획물, 페난트라퀴논계 탄쉬논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The pH of the resulting solution was adjusted to pH 3.5 with dilute hydrochloric acid BP, and sodium chloride BP for injection was added to the solution. The volume was adjusted by using and mixed thoroughly. The solution was filled in a 5 ml type I ampoule made of transparent glass, sealed in an upper lattice of air by dissolving the glass, sterilized by autoclaving at 120 DEG C for 15 minutes or longer, and an injection solution was prepare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건강식품의 제조 2: Manufacture of health food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2-1. Manufacture of cooking seasoning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2 ~ 10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0.2 to 10% by weight of the extract of Radix Salviae Radix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to prepare a cooking sauce for health promotion.

2-2. 토마토 2-2. tomato 케찹ketchup 및 소스의 제조 And source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0.2-1.0% by weight of Radix Salviae Radix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is added to tomato ketchup or sauce to prepare a healthy tomato ketchup or sauce.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2-3. Manufacture of flour food product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0.15 to 5.0% by weight of the extract of Radix Salviae Radix or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or a salt thereof isolated therefrom is added to wheat flour, and a bread, a cake, a cookie, a cracker and a noodle are prepared using the mixture to prepare a health improving food .

2-4. 2-4. 스프soup 및 육즙( And juicy ( graviesgravies )의 제조)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1.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0.1-1.0% by weight of the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is added to the soup and the juice to prepare a health-promoting meat product, a soup of the noodle and a juice.

2-5. 그라운드 2-5. ground 비프(ground beef)의Beef 제조 Produce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A ground beef for health promotion was prepared by adding 10% by weight of Radix Salviae Radix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to ground beef.

2-6. 유제품(2-6. dairy product( dairydairy productsproducts )의 제조)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0.1-1.0% by weight of the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is added to milk, and various dairy products such as butter and ice cream are prepared using the milk.

2-7. 2-7. 선식의Solar 제조 Produce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Brown rice, barley, glutinous rice, and yulmu were dried by a known method and dried, and the mixture was granulated to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Black soybeans, black sesame seeds, and perilla seeds were steamed and dri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they were prepared into powders having a particle size of 60 mesh by a grinder.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The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salt thereof, or a salt thereof, or a salt thereof is concentrated in a vacuum concentrator under reduced pressure, sprayed, and dried with a hot air drier, and the resulting dried product is pulverized to a size of 60 mesh with a pulverizer to obtain a dry powder.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The dried grains, seeds and seed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or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or the salts thereof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mixed in the following proportions.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Cereals (30% by weight of brown rice, 15% by weight of yulmu, 20% by weight of barley)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Seeds (7% by weight perilla, 8% by weight black bean, 7% by weight black sesame)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의 건조분말(1 중량%),Dried powder (1% by weight) of the extract or its fraction, or the compound or its salt isolated therefrom,

영지(0.5중량%),(0.5% by weight),

지황(0.5중량%)
(0.5% by weight)

2-8. 탄산음료의 제조2-8. Manufacture of carbonated drinks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 에서 20~180 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 주입하여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A syrup is prepared by mixing additives of 5 to 10% of sugar, 0.05 to 0.3% of citric acid, 0.005 to 0.02% of caramel and 0.1 to 1% of vitamin C and mixing 79 to 94% of purified water thereto, ° C for 20 to 180 seconds and mixed with cooling water at a ratio of 1: 4, then 0.5-0.82% of carbon dioxide gas is injected to produce a carbonated drink containing the extract or its fraction, or a compound or salt thereof isolated therefrom Respectively.

2-9. 2-9. 건강음료의Health drink 제조 Produce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Such as liquid fructose (0.5%), oligosaccharide (2%), sugar (2%), salt (0.5%) and water (75%) and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nd sterilized instantly, and packaged in small containers such as glass bottles and plastic bottles to produce health drinks.

2-10. 야채 주스의 제조2-10. Manufacture of vegetable juice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A vegetable juice for health promotion was prepared by adding 0.5 g of the extract or its fraction or a salt or a salt thereof to 1,000 ml of tomato or carrot juice.

2-11. 과일 주스의 제조2-11. Manufacture of fruit juice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Healthy fruit juice was prepared by adding 0.1 g of the extract or its fraction, or the compound or its salt isolated therefrom to 1,000 ml of apple or grape juice.

2-12. 가축용 사료의 제조2-12. Manufacture of feed for livestock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이나 이의 염을 배합한 배합사료 및 기능성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mpounded feed and a functional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r its fractions,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or a salt thereof, were prepared.

Claims (21)

단삼 추출물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 is an effective ingredient, wherein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Gt;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extract or its fraction is an effective ingredi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SARS), 돼지(Pocine), 또는 소(Bovine) 코로나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onavirus is SARS, Pocine, or Bovine coronavir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야기되는 질환은 독감,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또는 돼지독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ease caused by the coronavirus infection is influenza, cold, sore throat, bronchitis, pneumonia, or swine flu.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in the form of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 / RTI >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단삼 추출물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 i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extract or its fraction is an active ingredient. 단삼 추출물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 is an effective ingredient, wherein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구강청결제,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The quasi-drug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quasi-drug composition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oral cleanser,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humidifier filler, mask, ointment agent and filter fi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quasi-drug composition comprises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A quasi-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extract or its fraction is an effective ingredient. 단삼 추출물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사료 첨가제.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 is an effective ingredient, wherein the extract is extracted with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단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유효성분인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A feed additive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ronavirus infection, wherein the extract or its fraction is an active ingredient. 제11항 또는 제12항에 기재된 사료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A feed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ccording to claim 11 or 12. 단삼 추출물의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인, 방법.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hexane or ethyl acetate fraction of a radish extract to a mammal other than a human, wherein the extract is prepared by using water, a C 1 to C 4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38328A 2011-12-20 2011-12-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KR101612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28A KR101612051B1 (en) 2011-12-20 2011-12-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328A KR101612051B1 (en) 2011-12-20 2011-12-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032A KR20130071032A (en) 2013-06-28
KR101612051B1 true KR101612051B1 (en) 2016-04-27

Family

ID=4886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328A KR101612051B1 (en) 2011-12-20 2011-12-20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0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69B1 (en) * 2017-11-14 2019-03-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comprising an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909B1 (en) * 2017-07-28 2019-02-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MERS
KR20210132567A (en) * 2020-04-24 2021-11-04 김홍렬 Composition for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 or disease casued by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polyphosphate
CN113679726A (en) * 2020-05-18 2021-11-23 上海科技大学 Application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 and quinone compounds in resisting coronavirus
EP4154878A4 (en) * 2020-05-18 2024-01-03 Univ Southern Medical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 of root of ligulilobe sag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preparing antiviral drug
WO2022040321A1 (en) * 2020-08-19 2022-02-24 Natreon, Inc. Protection against coronavirus infection by extracts and extract compon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584A1 (en) 2000-09-26 2002-10-17 Johns Hopkins University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90221542A1 (en) 2006-01-13 2009-09-03 Haichao Wang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ith Tanshinon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14A (en) * 1998-12-02 2000-07-05 최수부 Healthy food contained natural medicine materia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584A1 (en) 2000-09-26 2002-10-17 Johns Hopkins University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090221542A1 (en) 2006-01-13 2009-09-03 Haichao Wang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ith Tanshino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69B1 (en) * 2017-11-14 2019-03-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comprising an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 a fraction thereof, 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032A (en)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44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comprising extracts of Turmeric
KR10161205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comprising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US20220313764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INCLUD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10049618A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 originated from influenza virus
KR101782532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gelica dahurica or furanocoumarins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ng or treating Avian influenza, Swine influenza or Corona virus
KR10127160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 Originated from Influenza Virus
KR101138461B1 (en) Composition for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otavirus infection comprising glycyrrhiza uralensis
KR101087759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al diseases comprising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KR100901761B1 (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extracts and fractions of Genus Hoveni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itis B
KR101128088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ronavirus and composo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3C-like protease
KR10118982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comprising polyphenol compounds
KR10144351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Cichorium intybu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27096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Dryopteris crassirhizoma or phloroglucinol derivatives isolated therefrom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rona virus related disease
KR101811848B1 (en) Composite comprising curcuminoid/steviosid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KR101011454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al diseases containing Sophora flavescens extracts, fractions, the isolated pterocarpan and flavonoid compounds therefrom,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KR10099987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iral diseases containing rodiola extracts, fractions, the isolated flavonoid compounds therefrom, derivatives compounds thereof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10086473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ment of coronavirus infection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y of 3c-like protease comprising ecklonia cava
KR101078365B1 (en)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the extracts or fractions of Arthraxon hispidus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000351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al diseases containing Sophora flavescens extracts, fractions, the isolated pterocarpan and flavonoid compounds therefrom,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11506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KR101189822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neuraminidas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viral diseases comprising coumarin compounds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05760B1 (en) Composition for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otavirus infection comprising ecklonia cava
KR20210139180A (en) Therapeutic agent for coronavirus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09812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iral diseases containing rodiola extracts, fractions, the isolated flavonoid compounds therefrom, derivatives compounds thereof or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an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