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540B1 -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540B1
KR101611540B1 KR1020080049250A KR20080049250A KR101611540B1 KR 101611540 B1 KR101611540 B1 KR 101611540B1 KR 1020080049250 A KR1020080049250 A KR 1020080049250A KR 20080049250 A KR20080049250 A KR 20080049250A KR 101611540 B1 KR101611540 B1 KR 10161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s
power
control
cod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265A (ko
Inventor
박은희
유승동
장우용
엄주일
황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540B1/ko
Priority to US12/268,758 priority patent/US8903563B2/en
Publication of KR2009012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65A/ko
Priority to US14/038,194 priority patent/US9146573B2/en
Priority to US14/838,563 priority patent/US107979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제어 디바이스는,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기기들 중 턴 온 상태의 기기의 전원을 일괄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통해서 현재 동작중인 기기를 일괄적으로 끌 수 있는바, 사용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홈 네트워크, 리모컨, 전원 제어, 제어 디바이스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TV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기기들의 연결에 있어서, 현재 동작 중인 복수개의 기기 전원을 끄기 위해서는 현재 동작 중인 기기 각각에 대해서 해당 기기의 리모컨 또는 해당 기기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이용하여 전원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끄려고 하는 기기의 수만큼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기기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리모컨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현재 사용중이 기기의 전원을 모두 끄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컨 모드를 변경하여, 전원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끄려고 하는 기기의 수만큼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영상 및 음성 매체가 발전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되는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재 동작 중인 기기를 끄기 위해서는 조작 횟수가 더욱 증 가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는,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및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기들 중 턴 온 상태의 기기의 전원을 일괄적으로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기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전원 오프 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상태 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하나의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파악된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에 대해서만 전원 제어 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태 파악부는, 상기 기기들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태 파악부는, 상기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원 상태 정 보를 간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태 파악부는,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로 퀘어리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이 있으면 현재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기기들 중 턴 온 상태의 기기의 전원을 일괄적으로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기기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결된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기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전원 오프 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방법은,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기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하나의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파악된 상기 복수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에 대해서만 전원 오프 제어 코드를 송신함으로써 기기들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간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로 퀘어리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응답이 있으면 현재 동작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하나의 버튼을 통해서 현재 동작중인 기기를 일괄적으로 끌 수 있는바, 사용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제어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0), 상태 파악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제어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TV, 또는 리모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제어 디바이스(100)가 리모컨으로 구현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 기기들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각각의 기기로부터 직접 전원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리모컨이 직접 각각의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통신이란, BT(BlueTooth), RF(Radio Frequency), WI-FI(Hi Fi High Fidelity),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reless HDMI-CEC 등 현존하는 모든 통신 기술과, 미래의 모든 양방향 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제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기기를 제어 가능한 디지털 TV를 제어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기들 중 중심이 되는 디 지털 TV와 같은 서버를 통해 다른 기기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리모컨이 디지털 TV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TV와 연결된 복수의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제어 디바이스(100)는 리모컨이 아닌 홈 네트워크 내의 소정 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지털 TV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자신과 연결된 복수 기기들의 전원을 제어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기기들이란, TV, STB(Set-Top-Box), HTS(Home Theater System), BDP(Blue-ray Disc Player), DVDP(DVD Player), HDDR(HDD Recod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홈 네트워크 내에서 각각의 기기와 연결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BDP는 수십 Gbyte 이상 대용량의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계열의 고밀도 광디스크 플레이어를 의미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오프 명령이란, 각 기기를 개별적으로 오프 시키기 위한 명령이 아니라, 현재 동작중인 기기들 전체에 대한 전원 오프 시키기 위한 명령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는 현재 동작 중인 기기들을 모두 끄기 위한 동작에만 사용되도록 별도로 마련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종래 리모컨 또는 디지털 TV에 구비된 버튼을 특정 방식으로 누른 경우 현재 동작중인 모두 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의 기능 버튼을 누른 후에 전원 버튼 을 누른 경우, 기존의 전원 버튼을 짧은 시간 내에 복수 회수 연속적으로 누른 경우, 또는, 기존의 전원 버튼을 일정 이상 동안 길게 누른 경우 등과 같은 경우에 사용자의 모든 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 명령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원 오프 명령은 다양한 형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태 파악부(120)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파악부(120)는 양방향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기의 전원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된 전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 중 전원 상태 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기기에 대해서는 현재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전원 상태 정보는, 해당 기기에 대한 식별 아이디 및 해당 기기에 대한 전원 오프 코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는 프로파일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퀘어리(query) 및 응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동작하는 기기들 중 턴 온 상태의 기기의 전원이 일괄적으로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30)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전원 오프 코드를 송신하여, 홈 네트워크 내에 동작하는 모든 기기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하나의 코드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라면, 제어부(130)는 상태 파악부(120)를 통해 파악된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에 대해서만 전원 제어 코드를 송신하도록 하여, 현재 동작중인 모든 기기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현재 동작하는 기기들을 일괄적으로 끄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끄는 동작뿐만 아니라 일괄적으로 기기들을 켜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DVD 시청을 하려는 경우, 사용자의 DVD 전원 온 명령에 대응하여, DVDP, 디지털 TV 및 HTS 전원이 일괄적으로 켜지도록(on)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전원 오프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은 전원 온/오프 동작이 하나의 전원 코드로 동작하는 기기인 것을 가정한다.
도 2에 따르면, 도 1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는 리모컨(200)으로 구현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 기기들 즉, HTS(210), TV(220) 및 BDP(23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원 오프 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는 각 기기들로부터 직접 해당 기기의 전원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해당 기기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각 기기별로 해당 전원 오프 코드를 송출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들 모두가 전원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도 1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는 리모컨(300)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TV(320)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TV(320)는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 즉, HTS(310), BDP(33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100)가 리모컨(300)으로 구현되는 경우, TV(320)는 HTS(310), BDP(330)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리모컨(3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리모컨(300)에서 TV(320)로부터 간접 수신된 기기들의 전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기기별로 해당 전원 오프 코드를 송출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들 모두가 전원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300)은 HTS(310) 및 BDP(300)의 전원 오프 코드를 각각의 기기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고, TV(320)을 통해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디바이스(200)가 TV(320)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리모컨(300) TV(320)는 단순히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TV(320)는 HTS(310) 및 BDP(330)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 오프 코드를 각 HTS(310) 및 BDP(330)에 전송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 모두가 전원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가 3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될 수 있는 기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과 제어 디바이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컨의 구체적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원 제어 명령이 인가되면(S410),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한다(S420). 구체적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전원 온/오프 동작이 하나의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기기에 대해서 전원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기기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현재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되는 전원 상태 정보는 해당 기기의 ID 정보 및 해당 기기의 전원 제어 코드일 수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파악된 복수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 기기들의 모든 전원이 오프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S430), 구체적으로, 수집된 전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들을 구별하고, 현재 동작중이 기기들로 해당 기기의 전원 오프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현재 홈 네트워크 내의 동작중인 복수 기기들 모두가 전원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전원 제어 버튼을 이용하여 현재 동작중인 복수 기기들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10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어 디바이스 110: 입력부
120: 상태 파악부 130: 제어부

Claims (14)

  1.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들로부터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를 판단하는 상태 파악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현재 동작 중인 기기에 대해서만 전원 제어 코드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기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전원 오프 코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파악부는,
    상기 기기들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파악부는,
    상기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통하여 다른 기기들의 전원 상태 정보를 간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7. 삭제
  8.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들로부터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기들의 전원 상태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중인 기기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기 현재 동작 중인 기기에 대해서만 전원 제어 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전원 제어 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의 전원 온/오프 동작이 전원 온 코드 및 전원 오프 코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기기들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전원 오프 코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로부터 전원 상태 정보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들 중 하나의 기기를 통하여 다른 기기들의 전원 상태 정보를 간접 수신함으로써 상기 기기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KR1020080049250A 2008-05-27 2008-05-27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0A KR101611540B1 (ko) 2008-05-27 2008-05-27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2/268,758 US8903563B2 (en) 2008-05-27 2008-11-11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4/038,194 US9146573B2 (en) 2008-05-27 2013-09-26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4/838,563 US10797903B2 (en) 2008-05-27 2015-08-28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50A KR101611540B1 (ko) 2008-05-27 2008-05-27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801A Division KR20150135165A (ko) 2015-11-12 2015-11-12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65A KR20090123265A (ko) 2009-12-02
KR101611540B1 true KR101611540B1 (ko) 2016-04-12

Family

ID=4138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50A KR101611540B1 (ko) 2008-05-27 2008-05-27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903563B2 (ko)
KR (1) KR101611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267B1 (ja) * 2008-12-25 2010-07-0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DE102009027800A1 (de) * 2009-07-17 2011-01-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Kommunikationseinrichtung, Geräte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ushaltsgeräts
US20130204449A1 (en) * 2010-06-26 2013-08-08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US8719847B2 (en) * 2010-09-27 2014-05-06 Microsoft Corp. Management and marketplace for distributed home devices
KR101799442B1 (ko) * 2011-09-15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9927B1 (ko) * 2012-05-22 2018-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958177B2 (ja) * 2012-08-22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起動制御装置、電子機器起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起動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482385B (zh) * 2013-01-08 2015-04-21 Wistron Corp 電源控制系統
KR101594874B1 (ko) * 2014-07-16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CN104202221A (zh) 2014-08-19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唤醒家庭互联设备的方法和设备
KR102325338B1 (ko) * 2014-12-05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KR102495235B1 (ko) * 2016-11-22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WO2018176470A1 (zh) * 2017-04-01 2018-10-04 深圳市智晟达科技有限公司 关闭电视自动关闭连接设备的方法以及电视
CN108769943B (zh) * 2018-06-06 2021-08-27 银河电力集团股份有限公司 多种通信方式混合组建用电信息采集网络的方法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562A (ja) 2001-01-19 2002-08-02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システム
KR100789487B1 (ko) 2005-04-18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류 전원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과 자동 전원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507306B1 (en) * 1999-10-18 2003-01-14 Contec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JP4434424B2 (ja) * 2000-04-18 2010-03-1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ホーム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159074A (ja) 2000-11-17 2002-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システム
US6642852B2 (en) * 2002-03-01 2003-11-04 Universal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US8116889B2 (en) * 2002-06-27 2012-02-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US7669061B2 (en) * 2003-10-06 2010-02-23 Power Monitor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voltage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devices
KR20060007242A (ko)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장치의 전원오프 제어방법
KR20060115113A (ko) 2005-05-04 2006-11-08 (주)엘스윈 전원제어기능이 구비된 홈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방법
US8027752B2 (en) * 2005-06-09 2011-09-27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US20080001773A1 (en) * 2006-06-29 2008-01-03 X10 Ltd. Programmable remote control and methods of us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562A (ja) 2001-01-19 2002-08-02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制御システム
KR100789487B1 (ko) 2005-04-18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류 전원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과 자동 전원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7903B2 (en) 2020-10-06
US9146573B2 (en) 2015-09-29
US20150372835A1 (en) 2015-12-24
US20140032004A1 (en) 2014-01-30
KR20090123265A (ko) 2009-12-02
US8903563B2 (en) 2014-12-02
US20090299541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540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746554B1 (en) Two way remote control
EP1746555B1 (en) Two way remote control
US20140071351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1089660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element in a display device
US96978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niversal follow-me functionality
US20040169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ppliance power awareness to select a remote control command set
US9210357B1 (en) Automatically pairing remote
JP2009171232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00009292A (ko) 페어링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JP2007180697A (ja) 映像音声システム、制御装置、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13146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5165A (ko) 제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14982A (ko) 리모컨의 페어링 방법
JP623984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4599333B2 (ja) リモコン信号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67055A (ja) 映像音声信号出力装置、映像音声信号提供装置、映像音声信号出力システム、及び、映像音声信号切替方法
TWM484250U (zh) 無線遙控整合系統
JP4372792B2 (ja) 設置状態検出装置
KR2010002570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46308A (ko) 기능키 간편 설정 기능을 가지는 간이 원격제어 장치 및 그방법
JP2007043443A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00786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809895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2001045576A (ja) 複数の電子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