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620B1 - Silencer for air tacker - Google Patents

Silencer for air ta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620B1
KR101610620B1 KR1020140127434A KR20140127434A KR101610620B1 KR 101610620 B1 KR101610620 B1 KR 101610620B1 KR 1020140127434 A KR1020140127434 A KR 1020140127434A KR 20140127434 A KR20140127434 A KR 20140127434A KR 101610620 B1 KR101610620 B1 KR 10161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noise reduction
air
reduction bod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5756A (en
Inventor
손홍창
Original Assignee
손홍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홍창 filed Critical 손홍창
Priority to KR102014012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620B1/en
Publication of KR2016003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7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6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타카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타카 못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에어 타카(100)에서 사용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170)에 연결되어 에어와 소음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양단에 형성되는 소음감소통(10)과,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에 적층되어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소음을 감소시키는 제1소음감소체(20)와, 제1소음감소체(20)들 사이사이에 구비되어 제1소음감소체(20)들에 의해 감소되는 소음을 재차 감소시키는 제2소음감소체(30)를 포함하되, 제1소음감소체(20)는 수용되는 소음이 확장되어서 분산되도록 다수의 소음관통홀(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lencer for an air tacer, which is installed in an air tacher and can minimize noise generated in the course of launching a tach nail.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used in the air taker 100 is connected to an air discharge port 170 through which noise is discharged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and the air 11 through which air and noise are introduced, A noise reduction cylinder 10 which i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with a discharge port 12 through which noise is discharged and a noise reduction cylinder 10 which is stacked in an inn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o reduce nois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1 noise reduction body 20 and a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reducing the noise reduced by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nois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radially so that the noise to be received is expanded and dispersed.

Description

에어 타카용 소음기{SILENCER FOR AIR TACKER}{SILENCER FOR AIR TACKER}

본 발명은 에어 타카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타카 못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lencer for an air tacer, which is installed in an air tacher and can minimize noise generated in the course of launching a tach nail.

일반적으로 타카(tacker)는 에어를 이용하여 못이나 스태플(staple)을 고속으로 발사하면서 연속으로 박을 수 있게 하는 공구로서, 타카에서 발사된 못이나 스태플에 의해 2개 이상의 물건 상호간을 조립할 수 있게 하는데 주로 이용된다.In general, a tacker is a tool that allows air to be used to continuously fire a nail or staple at high speed. The tacker can be used to assemble two or more items together by nail or staple fired from a taka It is mainly used to make it possible.

이러한, 타카는 에어의 공급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타카 못을 밀어 내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이 수납되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타카 작업 중 작업자가 손으로 감싸서 파지하는 손잡이와,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며 타카 못이 외부로 발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부와, 다수의 타카 못이 적재되어 공급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타카 못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매거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카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물건을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tacke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piston for generating power for pushing the tackle is moved by being moved back and forth by the supply of air, a hand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gripped by the operator while gripping the tackle, And a magazine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supply part and sequentially supplies a plurality of takam nails.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assemble each other using the takara.

그러나, 전술한, 타카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타카 못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mentioned taker generates noises due to the air exhausted in the process of launching the takamail by the pressure of the ai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10-2013-0065363호가 2013.06.19.일자로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5363 on Mar. 19, 20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 타카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타카 못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ffler for an air taker that is mounted on an air taker and can minimize noise generated in the course of launching a takamai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타카용 소음기는, 에어 타카(100)에서 사용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170)에 연결되어 에어와 소음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양단에 형성되는 소음감소통(10)과,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에 적층되어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소음을 감소시키는 제1소음감소체(20)와, 제1소음감소체(20)들 사이사이에 구비되어 제1소음감소체(20)들에 의해 감소되는 소음을 재차 감소시키는 제2소음감소체(30)를 포함하되, 제1소음감소체(20)는 수용되는 소음이 확장되어서 분산되도록 다수의 소음관통홀(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ilencer for an air ta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air exhaust port 170 through which air used in the air tacher 100 and noise are discharged to form an inlet 11 and an inlet (10) having an exhaust port (12) at both ends thereof for discharging air and noise introduced thereinto and an inn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 first noise reduction device 20 for reducing the noise introduced into the first noise reduction devices 20 and a second noise reduction device 20 provided between the first noise reduction devices 20 to reduce the noise reduced by the first noise reduction devices 20 2 noise reduction body 30, wherei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nois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radially so that the noise to be received is expanded and dispersed.

바람직하게, 제1소음감소체(20)는 스펀지로 구성되고, 제2소음감소체(30)는 제1소음감소체(20)보다 조밀한 밀도의 스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composed of a sponge, and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is composed of a sponge having a density that is denser than that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과 짝수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제1소음감소체(20)들이 소음감소통(10)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in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in the even-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1 noise reduction bodies 20 are stacked on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바람직하게, 제1소음감소체(20)의 소음관통홀(21)은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noise through hole 21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바람직하게, 소음감소통(10)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가 형성되고, 제1소음감소체(20)는 소음감소통(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protrusion 14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t least one first guide groove (22) is formed.

바람직하게,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들의 사이 위치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짝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에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noise through-holes 21, and the even-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And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noise through-hole 21.

본 발명은 에어 타카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타카 못이 발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에어 타카에서 발생되는 에어와 소음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호스가 연결되지 않아도 되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공해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n air tacher so as to minimiz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firing of the tach nets, so that a separate hose for discharging the air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air tach is not conne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work with noise pollution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타카용 소음기가 에어 타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소음감소체들과 제2소음감소체들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소음감소체와 제2소음감소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where a silencer for an air taker is mounted on an air t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noise reducing bodies and the second noise reducing bodie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noise reducing body and the second noise reduc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타카용 소음기는, 소음감소통(10)과,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를 포함한다. 1 to 3, the silencer for an air tacho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

먼저, 에어 타카(100)는 에어의 공급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타카 못을 밀어 내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이 수납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타카 작업 중 작업자가 손으로 감싸서 파지하는 손잡이(120)와, 본체(110)의 피스톤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아쇠(130)와, 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며 타카 못이 외부로 발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급부(140)와, 다수의 타카 못이 적재되어 공급부(130)의 하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타카 못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매거진(150)과, 본체(11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에어공급포트(160)와, 본체(110)에 공급되어서 사용된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로 방아쇠(130)를 당기면 매거진(150)에서 공급되는 타카 못이 공급부(130)를 통해 에어의 압력에 의해 발사될 수 있다. First, the air taker 100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10 in which a piston for generating power for pushing the takam nails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supply of air, a main body 11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A trigger 130 for actuating the piston of the main body 110 and a supply unit 140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 and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takam nai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magazine 150 on which a plurality of takam nails are stacked a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ly unit 130 and sequentially supplies a plurality of takam nails to the air supply hose 150 connected to an air supply hose for supplying air to the main body 110, A port 160 and an air discharge port 170 through which the air supplied to the main body 110 and used is discharged. Accordingly, when the user pulls the trigger 130 while grasping the handle 120, the takamn supplied from the magazine 150 can be fired by the pressure of the air through the supply part 130.

소음감소통(10)은 에어 타카(100)에서 사용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170)에 연결되어 에어와 소음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양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소음감소통(10)은 에어 타카(100)에 고정되는 브라켓(13)이 일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13)은 에어 타카(100)에 볼팅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port 170 through which the air used in the air taker 100 and the noise are discharged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11 through which air and noise are introduced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And a discharge port 12 through which noise is discharged are formed at both ends.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has a bracket 13 fixed to the air taker 100 at one end. The bracket 13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air taker 100 by bolting.

제1소음감소체(20)는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에 적층되어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는 다수의 다기공이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스펀지일 수 있다. 이러한, 스펀지는 순간적으로 빠르게 배출되는 에어와 소음을 천천히 배출시켜서 파열음을 잡아주게 되므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stacked in the inn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o reduce nois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nd may be constructed of a sound absorbing material. 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may be a sponge form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multi-po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ponge discharges the air and the noise which are discharged instantaneously at a moment, so that the sponge catches the plosive sound, so that the noise can be reduced.

그리고, 제1소음감소체(20)는 수용되는 소음이 확장되어서 분산되도록 다수의 소음관통홀(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상으로 분산되는 소음관통홀(21)들에 의해 소음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ise through holes 21 radially so that the received noise is expanded and dispersed. Here, the noise can be evenly dispersed by the radially dispersed noise through holes 21.

제1소음감소체(20)의 소음관통홀(21)은 상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이 하부로 관통되어서 제2소음감소체(30)로 전달됨과 동시에 측방으로도 흡음되어서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다. 즉, 원형으로 분산되는 소음관통홀(21)에 의해 소음이 하부의 제2소음감소체(30)로 고르게 분산되면서 전달될 수 있다. The noise through hole 21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penetr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noise from the upper por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and can be easily absorbed by lateral absorption. That is, the noise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lower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by the noise through holes 21 dispersed in a circular shape.

여기서,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과 짝수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제1소음감소체(20)들이 소음감소통(10)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in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in the even-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re staggered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noise reduction bodies 20 are stacked on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즉, 소음관통홀(21)들이 상하로 엇갈리면 상부의 소음관통홀(21)들에서 배출되는 소음이 하부의 제1소음감소체(20)를 통과하면서 감소되고, 제2소음감소체(30)를 통과하면서 감소된 후에, 제2소음감소체(30)의 하부에 위치된 제1소음감소체(20)의 소음관통홀(21)들에 수용되어서 다시 확장 및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음이 상하로 적층된 제1소음감소체(20)들과 제1소음감소체(20)의 소음관통홀(21)을 통과하면서 대폭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noise through holes 21 are staggered up and down, the noise emitted from the upper noise through holes 21 decreases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first noise reducing body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ing body 30 And then accommodated in the noise through holes 21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and can be expanded and dispersed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noise can be greatly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stacked up and down and the noise through holes 21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제2소음감소체(30)는 제1소음감소체(20)들 사이사이에 구비되어 제1소음감소체(20)들에 의해 감소되는 소음을 재차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음재는 다수의 다기공이 서로 연통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소음감소체(30)의 스펀지는 제1소음감소체(20)의 스펀지보다 조밀한 밀도로 형성될 수 있어서, 소음감소가 제1소음감소체(20)보다 더욱 증대될 수 있다.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so as to reduce the noise reduced by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and may be composed of a sound absorbing material . Here,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sponge that is form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multi-por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ponge of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can be formed with a density that is denser than that of the sponge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so that the noise reduction can be further enhanced than that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

여기서, 본 발명은 소음감소통(10)의 내부에 제1소음감소체(20)들과 제2소음감소체(30)들을 교번으로 적층시켜서 장착하여서 완성할 수 있다. 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by alternately laminating the first noise reduction members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tion members 30 in the interior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이 소음관통홀(21)을 거치면서 제1소음감소체(20)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감소되고, 제2소음감소체(3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감소된 후에, 다시 제2소음감소체(30)의 하부에 위치된 제1소음감소체(20)를 통과하면서 다시 감소된다. 즉, 소음은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상태로 소음감소 통(10)의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ise is primarily reduced through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noise through-hole 21, and decreases secondarily through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The sound is reduced agai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That is, the nois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in a state in which the noise is continuously reduc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ha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Furth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소음감소통(10)과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a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소음감소통(10)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4)는 직방형으로 형성되면서 소음감소통(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된다. At least one guide projection (1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he guide protrusion 14 is formed in a shape of a rectangle and extends from one end to the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제1소음감소체(20)는 다수의 소음관통홀(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소음감소통(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홈(22)은 제1소음감소체(2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된다.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has a plurality of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radially and at least one first guide groove 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protrusion 14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form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noise reducing member 20. [

그리고,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들의 사이 위치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짝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에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소음감소체(20)들이 소음감소통(10)의 내측에 삽입되면 제1가이드홈(22)들에 가이드돌기(14)가 슬라이딩되므로, 상하로 위치되는 소음관통홀(21)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으면서 엇갈리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noise through holes 21, and the even-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in a state It is preferable that one guide groove 22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close to the noise through-hole 21. Accordingly, whe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are inserted into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he guide protrusions 14 slide in the first guide grooves 22, so that the noise through holes 21, The staggered state can be maintained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제2소음감소체(30)의 외측에도 제1가이드홈(22)에 대응되도록 제2가이드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groove 3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noise reduction member 30 to correspond to the first guide groove 22.

따라서, 소음감소통(10)의 내측으로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가 삽입되면 제1가이드홈(22)과 제2가이드홈(32)에 가이드돌기(14)가 슬라이딩되므로,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소음감소통(1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are inserted into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guide protrusion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first guide groove 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32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can be sequentially stacked inside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without being rotated right and left.

또한, 소음감소통(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소음이 감소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어도, 제1가이드홈(22)과 제2가이드홈(32)에 가이드돌기(14)가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소음감소통(10)의 내측에서 제1소음감소체(20)와 제2소음감소체(3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제1소음감소체(20)의 위치가 변동되어서 상하부에 위치되는 소음관통홀(21)들이 서로 일치되어 소음감소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protrusions 14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22 and the second guide groove 32 so that even if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ducing the noise introduced into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he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noise reducing body 20 and the second noise reducing body 30 are not fluctuated can be firmly maintained inside the noise reducing cylinder 10.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changed, and the noise through holes 21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noise reduction from being re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밀함을 갖는 스펀지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서 소음을 감소시키므로 구조가 심플하고 장착 및 분해가 편리하며 무게가 가벼운 이점이 있다. 또한, 에어 타카(10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에어와 소음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별도의 호스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에어 타카(100)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in structure, convenient in mounting and disassembling, and light in weight because sponges having different densities are sequentially stacked to reduce noise. Further, since it is us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air taker 100, a separate hose for discharging air and noise to the outside is not needed, which is a convenient advantage in us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ir taker 100 and can be widely used as a very useful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소음감소통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브라켓
14 : 가이드돌기 20 : 제1소음감소체
21 : 소음관통홀 22 : 제1가이드홈
30 : 제2소음감소체 32 : 제2가이드홈
100 : 에어 타카 110 : 본체
120 : 손잡이 130 : 방아쇠
140 : 공급부 150 : 매거진
160 : 에어공급포트 170 : 에어배출포트
10: Noise reduction barrel 11: Inlet
12: outlet 13: bracket
14: guide projection 20: first noise reduction element
21: sound through hole 22: first guide groove
30: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2: second guide groove
100: Air taker 110: Body
120: handle 130: trigger
140: Feeder 150: Magazine
160: air supply port 170: air discharge port

Claims (7)

에어 타카(100)에서 사용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에어배출포트(170)에 연결되어 에어와 소음이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에어와 소음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양단에 형성되는 소음감소통(10)과,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에 적층되어 소음감소통(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소음을 감소시키는 제1소음감소체(20)와,
제1소음감소체(20)들 사이사이에 구비되어 제1소음감소체(20)들에 의해 감소되는 소음을 재차 감소시키는 제2소음감소체(30)를 포함하되,
제1소음감소체(20)는 수용되는 소음이 확장되어서 분산되도록 다수의 소음관통홀(2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inlet port 11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port 170 through which the air used in the air taker 100 and the noise are discharged and the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1 and the noise 12) are formed at both ends,
A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which is stacked in an inner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to reduce nois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And a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to reduce noise again reduced by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Wherei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has a plurality of noise through holes (21) formed radially so that the noise to be received is expanded and disper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소음감소체(20)는 스펀지로 구성되고,
제2소음감소체(30)는 제1소음감소체(20)보다 조밀한 밀도의 스펀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constituted by a sponge,
Wherein the second noise reduction body (30) comprises a sponge having a density that is denser than that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과 짝수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에 형성되는 소음관통홀(21)이 서로 엇갈리는 상태로 제1소음감소체(20)들이 소음감소통(10)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sound deade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and the nois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even-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Wherein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ies (20) are stacked on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소음감소체(20)의 소음관통홀(21)은 반구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muffler for an air tachome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through hole (21)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음감소통(10)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가 형성되고,
제1소음감소체(20)는 소음감소통(10)의 가이드돌기(14)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guide protrusion (14)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Wherein at least one first guide groove (22)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projection (14) of the noise reduction cylinder (10).
청구항 6에 있어서, 홀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들의 사이 위치되는 상태로 형성되고, 짝수 번째의 제1소음감소체(20)는 제1가이드홈(22)이 소음관통홀(21)에 근접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타카용 소음기.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dd-numbered first noise reduction body (20)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positioned between the noise through holes (21) )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uide groove (22) is close to the noise through hole (21).
KR1020140127434A 2014-09-24 2014-09-24 Silencer for air tacker KR1016106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34A KR101610620B1 (en) 2014-09-24 2014-09-24 Silencer for air ta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34A KR101610620B1 (en) 2014-09-24 2014-09-24 Silencer for air ta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56A KR20160035756A (en) 2016-04-01
KR101610620B1 true KR101610620B1 (en) 2016-04-08

Family

ID=5579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34A KR101610620B1 (en) 2014-09-24 2014-09-24 Silencer for air ta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62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95Y1 (en) * 2001-07-09 2001-12-01 박용출 silencer for pneumat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095Y1 (en) * 2001-07-09 2001-12-01 박용출 silencer for pneuma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756A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946B2 (en) Flash, noise and smoke suppression device
US3331546A (en) Piston return and buffer system
US9995543B2 (en) Charging handle with exhaust ventilation
TW201607702A (en) Driving machine
KR101610620B1 (en) Silencer for air tacker
JP2005510369A (en) Nail gun
JP6317561B2 (en) Fiber filling apparatus and fiber filling method
JP6492280B2 (en) Air tucker
KR101454604B1 (en) Silencer for air tacker
KR101454602B1 (en) Silencer for air tacker
KR101401475B1 (en) The Air Chipping Hammer
JP7047446B2 (en) Driving tool
CN207606783U (en) A kind of repeating type nailing device that performance muffler is good
JP4155908B2 (en) Combustion work tool
KR101295179B1 (en) One-way air cylinder for high speed momentum
CN208163544U (en) Gunpowder machine hammer
KR102024633B1 (en) Air tacker
JP6531967B2 (en) Air tacker
JP2004074299A (en) Silencer for pneumatic type fastening tool driver
KR200426471Y1 (en) Tacker
JP4125181B2 (en) Combustion work tool
TWM567167U (en) Continuous feeding nail structure of pneumatic nail gun
TW201930026A (en) Continuous nail feeding structure of pneumatic nail machine capable of continuously feeding nails to meet the requirement of massive application
JP2778480B2 (en) Sound reduction device for pneumatic driven nailing machine
JP2005040875A (en) Combustion pow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