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870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870B1
KR101608870B1 KR1020090008179A KR20090008179A KR101608870B1 KR 101608870 B1 KR101608870 B1 KR 101608870B1 KR 1020090008179 A KR1020090008179 A KR 1020090008179A KR 20090008179 A KR20090008179 A KR 20090008179A KR 101608870 B1 KR101608870 B1 KR 10160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hielding member
pixel
semi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993A (ko
Inventor
최준호
김성민
정진구
하재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870B1/ko
Priority to US12/458,569 priority patent/US8084939B2/en
Publication of KR2010008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색을 나타내는 제1 화소, 제1 화소와 다른 색을 나타내는 제2 화소, 상기 제1 화소 및 제2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화소 및 제2 화소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 필터를 포함한다.
광 필터, 차광 부재, 반 차광 부재, 색 필터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며, 각 화소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양극과 음극 및 그 사이의 유기 발광 부재 등을 포함하는데, 유기 발광 부재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의 빛을 내거나 백색의빛을 낸다.
최근, 백색 유기 발광 부재에적색, 녹색, 청색의 색 필터를 적층하여 풀 컬러 대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색 필터 사용에 의해 감소되는 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백색 화소를 추가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백색 화소를 추가할 경우, 양극 또는 음극에서 사용되는 고반사 금속에 의해 외부광이 반사되어 명암비(contrast ratio)가 감소된다. 감소된 명암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전면에 편광판을 형성하는데, 이는 다시 광 효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명암비(contrast ratio) 및 광 효율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색을 나타내는 제1 화소, 제1 화소와 다른 색을 나타내는 제2 화소, 상기 제1 화소 및 제2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 및 제2 화소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발광 영역 밖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화소에 배치된 광 필터는 반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광 필터의 경계는 상기 차광 부재의 경계와 일치한다.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 층 위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 차광 부재의 두께는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반 차광 부재는 CrOx/Cr 또는 NiOx/N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약 4nm에서 약 20nm의 두께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에 배치된 상기 광 필터는 색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색 필터 경계는 상기 발광 영역 경계 밖에 위치한다.
상기 색 필터 경계는 상기 차광 부재 경계와 중첩한다.
상기 색 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된 개구부를 포함한 차광 부재, 상기 차광 부재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반 차광 부재,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색 필터,상기 색 필터 위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배치된 백색 유기 발광 부재, 그리고, 상기 백색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백색 유기 발광 부재에서 방출된 빛은 색 필터를 통해서 적색,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반 차광 부재를 통해서 백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상기 제1 기판 위에 배치된 화소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배치된 백색 유기 발광 부재, 상기 백색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된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배치된 색 필터, 상기 공통 전극 위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한 차광 부재,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 층으로 형성된 반 차광 부재, 상기 차광 부재 및 상기 반 차광 부재 위에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색 필터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화소 및 제 2 화소의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 필터를 형성함으로써, 명암비와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ate line)(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ata line)(171), 구동 전압 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172)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행 방향 또는 열 방향으로 뻗거나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Qs),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Qd),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 입력 단자(input terminal)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받은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LD)를 흘린다.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L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트랜지스터(Qd)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지만,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s, Qd), 축전기(Cst) 및 유기 발광 소자(L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트랜지스터(Qd) 외에도 구동 트랜지스터(Qd)나 유기 발광 소자(LD)의 문턱 전압 보상을 위한 다른 트랜지스터들이 더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 및 백색 화소(W)를 포함한다. 각 화소(PX)는 기판(100) 위에 형성된 발광 영역(C), 색 필터 영역(D) 또는 반 차광 영역(D'), 및 차광 영역(E)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C)는 광이 방출되는 영역이고, 색 필터 영역(D) 또는 반 차광 영역(D')는 색 필터 또는 반 차광 부재가 형성된 영역이다. 적색(R), 녹색(G) 및 청색(B) 화소는 색 필터를 포함하여 색 필터 영역(D)을 포함한다. 반면, 백색 화소(W)는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나 일부는 흡수하여 차단시키는 반 차광 부재를 포함한 반 차광 영역(D')를 포함한다. 차광 영역(E)은 외부의 광을 흡수하여 차단시키는 차광 부재가 형성된 영역이다.
색 필터 영역(D)는 발광 영역(C)를 둘러싸고 있으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색 필터의 경계는 발광 영역(C)의 경계 밖에 배치될 수 있다.
반 차광 영역(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영역(C )를 둘러싸고 있으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반 차광 부재의 경계는 발광 영역(C )의 경계 밖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반 차광 영역(D')은 발광 영역(C')와 정확히 일치할 수도 있다(미도시).
각 화소(PX)는 화소 전극(193)과 화소 전극(193)을 하부의 트랜지스터(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홀(255)를 더 포함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00) 위에는 개구부(103)을 포함한 차광 부재(102)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102)는 CrOx/Cr 또 는 NiOx/Ni의 이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께는 약 150nm 에서 약 250n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화소에는 발광 영역(C)에 대응하도록 개구부(103)가 배치되어 있다. 발광 영역(C) 바깥 영역에는 차광 부재(102)가 형성되어 있다. 백색 화소(W)에는 발광 영역(C)에 대응하도록 반 차광 부재(104)가 형성되어 일부 광은 투과시키고 일부 광은 차단시키는 반 차광 영역(D')를 형성한다. 반 차광 부재(104)는 일부 광은 투과시키고 일부 광은 차단시키므로써 광 필터의 역할을 한다.
반차광 부재(104)는 CrOx/Cr 또는 NiOx/Ni로 이루어진 이중층을 포함하며 약 4nm에서 약 2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102), 반차광 부재(104) 및 기판 위에는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막(110)위에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Qd)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막(110)위에는 이외에도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른 박막 구조물(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박막 구조물 중에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덮는 절연막도 있을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아래에도 다른 박막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박막 구조물(220) 위에는 색 필터 영역(D)에 대응하는 위치에 색 필터(257)가 형성되어 있다. 색 필터(257)는 각 화소(PX)가 표시하는 색에 대응하도록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색 필터(257)은 해당하는 색만을 투과 시키고 다른 색을 차단하므로써 광 필터의 역할을 한다.
백색 화소(W) 영역에는 색 필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박막 구조물(220) 및 색 필터(257) 위에는 유기막(25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막(250)은 폴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하부 구조를 평탄화시킨다.
유기막(250) 및 박막 구조물(220)에는 구동 트랜지스터(Qd) 위에 위치한 복수의 콘택홀(255)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막(250)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193)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 전극(193)은 콘택홀(255)을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Qd)와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193)은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 oxide), 산화 인듐 아연(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193) 위에는 격벽(361)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361)은 화소 전극(193)을 노출하는 개구부(365)를 가진다. 격벽(361)은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65)는 발광 영역(C)에대응하도록 위치한다. 개구부(365) 내의 화소 전극(193) 및 격벽(361) 위에는 백색 유기 발광 부재(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공통 전압(Vss)을 전달하는 공통 전극(47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 은(Ag),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극(193), 유기 발광 부재(370) 및 공통 전극(470)은 유기 발광 소자(LD)를 이루며, 화소 전극(193)이 양극, 공통 전극(470)이 음극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색 유기 발광 부재에서 방출된 빛을 색필터(257) 및 반 차광 부재(104)를 통과하여 내보내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색필터(257)을 통과한 빛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반 차광 부재(104)를 통과한 빛은 백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백색 화소(W) 영역에 반 차광 부재(104)를 형성하여 유기 발광 부재(365)에 생성된 빛은 외부로 내보내 색 필터에 의해 감소되는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 내부의 양극 또는 음극에 의해 반사되는 외부 광의 일부를 반 차광 부재(104)가 차단함으로써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도 4b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rOx/Cr로 이루어진 반 차광 부재을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CrOx와 Cr의 두께에 따른 반사도 및 휘도를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 4a CrOx/Cr 상에SiO2를 포함한 절연막 750nm, SiNx를 포함한 박막 구조물 900nm, 유기막 2.4um, 산화 인듐 주석 90nm, 유기 발광 부재 280nm, 및 공통 전극 200nm을 포함한 유기 발광 장치에서 CrOx 및 Cr의 두께에 변화에 따라 반사도를 시뮬레이션한 값이다. 실선 F는 반사도가 0.01이하인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도 4b 도 4a 동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CrOx 및 Cr 두께 변화에 따른 휘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선 G는 CrOx 및 Cr의 두께가 Onm인 경우, 즉 차광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비, 백색 유기 발광 부재에 의해 방출된 빛의 휘도가 50% 이상이 되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도 4a및 도 4b 참조하면, CrOx가 약 2nm 에서 약 16nm의 두께를 갖고, Cr이 약 2nm에서 약 4.5nm 두께를 갖을 때 반사도는 1%이하 이며, 휘도는 50% 이상이다. 반사도 및 휘도에 따른 차광 부재 두께는 절연막, 박막 구조물, 유기막, 화소 전극, 유기 발광 부재, 및 공통 전극 등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포함한 막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도가 1% 이하 및 휘도가 50% 이상인 경우, 차광 부재는 유기 발광 부재에서 생성된 빛의 50%이상을 방출할 수 있는 반 차광 부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도 및 휘도의 범위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구 성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백색 화소 영역에 차광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형성된 반 차광 부재를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대비비는 편광판을 형성한 경우와 거의 동일 수준인 반면, 광 효율은6.5 cd/A에서 10.2 cd/A로 약 50% 이상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중간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판(100) 위에 CrOx/Cr 또는 NiOx/Cr를 포함한 금속 산화물층 및 금속층을 형성한다. 금속 산화물층 및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반 차광 부재(104) 및 개구부(103)을 포함한 차광 부재(102)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백색 화소(W)의 발광 영역(C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 차광 부재(104)는 배치된다. 다른 화소(R, G, B)의 발광 영역(C)에 대응하여 위치한 금속층을 제거하여 개구부(103)를 형성한다. 차광 부재(102)는 약 150nm 에서 약 250nm의 두께를 갖고, 반 차광 부재(104)는 약 4nm에서 약 20nm의 두께를 갖는다.
차광 부재(102), 반 차광 부재(104) 및 기판(100) 위에 절연막(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막(110) 위에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포함한 박막 구조물(220)을 형성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R, G, B)의 색 필터 영역(D)(도 2 참조)에서 박막 구조물(220) 위에 해당 색 필터(257)를 형성한다. 색 필터(257)는 각 화소의 발광 영역(C)에 중첩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색 필터(257) 및 박막 구조물(220) 위에 유기막(250)을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기막(250) 및 박막 구조물(220)을 식각하여 구동 트랜지스터(Qd) 위에 위치한 복수의 콘택홀(255)을 형성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유기막(250) 위에 산화 인듐 주석 또는 산화 인듐 아연을 포함한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화소 전극(193)을 형성한다. 화소 전극(193)은 콘택홀(255)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Qd)와 연결된다.
도 8을 참고하면, 감 광성 유기물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개구부(365)를 가지는 격벽(361)을 형성한다. 비감광성 유기물로 격벽(361)을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별도의 감광막을 사용하는 사진 식각 공정이 소요된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유기 발광 부재(370)와 공통 전극(470)을 차례로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평탄화 유기막(253), 색필터(257), 차광 부재(102), 반 차광 부재(104) 및 상부 기판(101)이 공통 전극(470) 위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00)과는 별도의 기판(101) 위에 개구부(103)을 포함한 차광 부재(102) 및 반 차광 부재(104)가 형성된다. 기판(10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절연 기판을 포함한다. 차광 부재(102) 및 반 차광 부재(104)는 CrOx/Cr 또는 NiOx/Ni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 차광 부재(104)는 차광 부재(102)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다. 개구부(103)에는 색 필터(257)를 형성한다. 색 필터(257), 차광 부재(102) 및 반 차광 부재(104) 위에 평탄화 유기막(253)을 형성할 수 있다.
차광 부재(102), 반 차광 부재(104), 색 필터(257), 및 평탄화 유기막(253)이 형성된 상부 기판(101)은 구동 트랜지스터(Qd), 화소 전극(193), 개구부(365)를 포함한 격벽(361), 백색 유기 발광 부재(370), 및 공통 전극(470)이 형성된 하부 기판(100) 위에 배치된다.
색 필터(257)은 도 2의 색 필터 영역(C )에 대응하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R, G, B) 영역에 배치되고, 반 차광 부재(104)는 백색 화소(W)의 반 차광 영역(C')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색 필터 영역(C)과 차광 영역(E)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공통 전극(470)과 유기막(253) 사이에는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포함하는 보 호막(200)이 개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공통 전극(470)과 유기막(253)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접착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반사도와 휘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중간 단계에 있는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기판 102 차광 부재
104 반 차광 부재 193 화소 전극
257 색 필터 250, 253 유기막
370 유기 발광 부재 470 공통 전극

Claims (21)

  1. 백색을 나타내며, 제1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화소,
    제1 화소와 다른 색을 나타내며,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화소,
    상기 제1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배치된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된 공통 전극,
    상기 제1 발광 영역의 외부 및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외부에 배치된 차광 부재,
    상기 제1 발광 영역 내에 배치된 반 차광 부재, 그리고
    상기 제2 발광 영역 내에 배치된 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반 차광 부재의 두께는 상기 차광 부재의 두께보다 더 얇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의 경계는 상기 차광 부재의 경계와 일치하는 유기 발광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는 CrOx/Cr 또는 NiOx/Ni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표시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의 두께는 4nm에서 20n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서,
    상기 색 필터의 경계는 상기 제2 발광 영역의 경계 밖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색 필터 경계는 상기 차광 부재 경계와 중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색 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하부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4항에서,
    상기 색 필터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차광 부재는 상기 유기 발광 부재 위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항에서,
    상기 반 차광 부재는 상기 차광 부재와 동일한 층 위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0. 삭제
  21. 삭제
KR1020090008179A 2009-02-02 2009-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0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79A KR101608870B1 (ko) 2009-02-02 2009-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2/458,569 US8084939B2 (en) 2009-02-02 2009-07-16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79A KR101608870B1 (ko) 2009-02-02 2009-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993A KR20100088993A (ko) 2010-08-11
KR101608870B1 true KR101608870B1 (ko) 2016-04-05

Family

ID=4239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179A KR101608870B1 (ko) 2009-02-02 2009-02-02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84939B2 (ko)
KR (1) KR101608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435B1 (ko) * 2008-10-28 2015-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293497B2 (ja) 2009-08-18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US8884509B2 (en) * 2011-03-02 2014-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ptical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12226931A (ja) * 2011-04-19 2012-11-15 Canon Inc 表示装置
JP6019997B2 (ja) * 2012-09-26 2016-11-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56864B1 (ko) * 2013-04-09 2019-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미러 기능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2082B1 (ko) * 2013-11-11 2020-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66896B1 (ko) * 2014-05-08 2020-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1846B1 (ko) 2014-07-16 2021-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576694A (zh) * 2014-12-17 2015-04-2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7146463A (ja) * 2016-02-17 2017-08-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559511B (zh) * 2016-03-03 2016-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導電元件基板、導電元件基板的製造方法以及顯示面板
KR20210120176A (ko) * 2020-03-25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743A1 (en) * 2004-08-27 2007-01-04 Masaaki Asano Color filter substrate for organic EL element
JP2008218300A (ja) * 2007-03-07 2008-09-18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76224B1 (en) * 1997-08-08 2010-10-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Structure for pattern formation, method for pattern form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JP4011292B2 (ja) * 2001-01-15 2007-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US20050147844A1 (en) 2004-01-05 2005-07-07 Eastman Kodak Company White oled devices with color filter arrays
JP4507936B2 (ja) 2005-03-2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85133B1 (ko) 2004-11-11 2011-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1256965B1 (ko) 2005-06-22 2013-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70000029A (ko) 2005-06-24 2007-0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KR101192122B1 (ko) 2005-06-29 2012-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37114A (ko) 2005-09-30 2007-04-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42372B1 (ko) * 2005-11-29 2007-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321172B1 (ko) 2005-11-30 2013-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1607B1 (ko) 2005-12-21 2007-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디스플레이
KR101222955B1 (ko) 2005-12-28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499116B2 (en) 2006-04-11 2009-03-03 Tpo Displays Corp. Systems for displaying images having micro-reflective transmissio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articular storage capacitor arrangement
KR20070111610A (ko) 2006-05-18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21091A (ko) 2006-06-21 2007-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2421A (ko)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반투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3743A1 (en) * 2004-08-27 2007-01-04 Masaaki Asano Color filter substrate for organic EL element
JP2008218300A (ja) * 2007-03-07 2008-09-18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4268A1 (en) 2010-08-05
US8084939B2 (en) 2011-12-27
KR20100088993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87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081529B2 (en) Display device
JP6286941B2 (ja)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US1155215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80398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5187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75055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2019039329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6014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4637831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JP6724973B2 (ja)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819370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58886B2 (ja)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9026749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15734B2 (ja)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電子機器
JP5117553B2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