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79B1 -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79B1
KR101608379B1 KR1020090041612A KR20090041612A KR101608379B1 KR 101608379 B1 KR101608379 B1 KR 101608379B1 KR 1020090041612 A KR1020090041612 A KR 1020090041612A KR 20090041612 A KR20090041612 A KR 20090041612A KR 101608379 B1 KR101608379 B1 KR 101608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ensitive adhesive
width
pressur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714A (ko
Inventor
다카히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09011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아떼어냈을 때에 손가락을 향하여 테이프가 날아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은 힘으로 확실하게 떼어낼 수 있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벽면 등의 피부착면에 부착되는 접착부의 폭을 W1,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4)의 폭을 W2로 하였을 때, 접착부의 폭(W1)을 파지부의 폭(W2)보다도 작게(W1 < W2) 한다.

Description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STRETCH RELEASABL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인장(引張)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고무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基材)가 잡아늘여져 피부착면으로부터 떼어지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더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포스터를 붙일 때에 압정 등과 같이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붙이는 방법의 하나로서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2004-339353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는, 발포수지나 고무계의 고탄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벽면과 포스터의 사이에 개재시켜 사용된다.
이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떼어냄에 있어서는, 테이프 끝부에 설치된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긴다. 이것에 의하여, 테이프 기재가 늘어나 변형되어 감에 따라, 서서히 접착 면적이 감소해 가고, 가장 마지막에 벽면으로부터 벗겨져 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벽면에 풀 찌꺼기 등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다 사용한 테이프의 회수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지금까지의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는, 직사각형 형상의 점착 테이프의 피부착면의 한쪽 끝에 비점착성 시트를 맞붙이고, 이 비점착성 시트를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파지부와 접착부의 폭이 같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의 연신력(延伸力)이 커서, 강하게 잡아당길 필요가 있었다. 또, 파지부 자신도 연신되기 때문에, 연신거리가 길어진다는 결점도 있었다.
또한, 훅 등을 벽면에 붙이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이 종류의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사용한 경우는, 떼어낼 때에,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가 떨어진 힘으로, 훅을 부착하기 위한 경질(硬質)의 베이스판 등을 동반하여 손가락으로 날아오는 경우도 있어, 손가락을 다치게 할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잡아떼어냈을 때에 손가락을 향하여 테이프가 날아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로서, 인장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기재가 잡아늘여져 피부착면으로부터 떼어지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피부착면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의 한쪽 끝에는,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비점착의 파지부가 일체적으로 연설(連設)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그 폭이 상기 접착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는 끝부에는, 상기 접착부의 폭과 상기 파지부의 폭을 점차 변화시키는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연결부는, 비점착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연신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비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상기 접착부의 양쪽 끝에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부의 폭이 파지부의 테이프 기재의 폭보다도 작게 하 고, 접착부와 파지부의 사이에 폭을 점차 변화시키는 연결부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파지부에 가해진 인장 응력이 접착부와의 이음매에 응력 집중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효율적으로 떼어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은 점착 테이프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샘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초기 상태로부터 100% 단위로 연신한 상태의 사진 및 그 각 부위에 있어서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1)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2)의 양면에 점착제층(접착부)(3, 3)이 형성된 양면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한쪽 끝(도 1에서는 하단)에는, 박리시에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파지부(4)가 연결부(5)를 거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2)는, 연신 박리하기 쉽고, 또한, 적절한 고무 탄성을 가지고 있는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 예에서는 메탈로센(metallocene)계 촉매를 사용하여 가교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발포 시트로 이루어지나, 연신 박리성을 가지는 적절한 고무 탄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재질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어도 된다. 또한, 발포 시트의 구성은, 연속기포, 독립기포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벽면 등의 피부착면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3)의 폭을 W1, 파지부(4)의 폭을 W2로 하였을 때, 파지부(4)의 폭(W2)이 접착부(3)의 폭(W1)보다도 커지도록(W2 > W1) 형성되어 있다.
접착부(3)와 파지부(4)의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5)는, 그 옆 가장자리가 파지부(4)의 폭(W2)에서부터 접착부(3)의 폭(W1)까지 점차 감소하도록, 이 예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5)는, 적어도 접착부(3)의 점착력보다도 약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비점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 연결부(5)는, 파지부(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맞붙여져 비점착으로 되어 있으나, 이 이외에 연결부(5)를 포함하는 파지부(4)를 비점착으로 하는 방법이 있으면, 적절하게 선택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연결부(5)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연신 박리할 때에 걸리는 응력을 접착부(3)에 집중시킴으로써, 접착부(3)를 균일하게 잡아당겨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연결부(5)의 점착력을 접착부(3)보다도 약하게 하거나, 또는 비점착으로 한 것에 의하여, 피접착물에 연결부(5)가 부착되어, 연신 박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형태로서, 연결부(5)에는, 연결부(5)를 연신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비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연신 처리로서는, 연결부(5)의 표면이나 내부에 시트나 메시(mesh) 등의 보강부재를 맞붙이거나, 일체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연결부(5)의 강성을 높여도 된다.
또한, 미사용시의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1)의 양면에는, 점착제층(3, 3) 을 보호하는 세퍼레이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세퍼레이터의 구성은 임의이어도 되기 때문에, 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점착제층(3, 3)은, 유지성이 높고, 테이프 기재(2)의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동조할 수 있는 연신성을 가지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점착제는 SBS 블록 공중합체계의 폴리머를, 테이프 기재(2)의 표면에 바로 소정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점착제층(3, 3)은 0.1㎜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점착제는, SBS 블록 공중합체계의 폴리머를 모제(母劑)로 α 피넨계 수지나 C5C9 석유계 수지 등의 점착제 성분, 나프텐계 오일 등이 첨가되고, 또한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에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더 첨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면, 테이프 기재의 표면처리와 강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계면 강도가 더 높아져, 투묘성(投錨性)을 올릴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에는 실리카 비즈가 소정량 배합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점착제는 용제계이기 때문에, 내용제성(耐溶劑性)을 가지는 실리카 비즈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소수성 실리카 비즈는, 용제계 점착재에 대한 분산성이 좋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파지부(4)는, 미점착성의 합성수지 필름(41, 41)을 테이프 기재(2)의 양면에 각각 맞붙인 것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 파지부(4)는 폴리에스테르 필름(41, 41)을 점착제층(3, 3)의 표면에 맞붙인 것으로 이 루어지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미점착성이면, 예를 들면 테이프 기재(2)에 점착제층(3, 3)을 도포하지 않고 형성하여도 된다.
이 예에서, 파지부(4)는, 테이프 기재(2)의 한쪽 끝(하단)에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으나, 이 이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2)의 길이방향(연신방향)의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것에 의하면, 양쪽 끝의 파지부(4, 4)를 손으로 파지하여, 그것들을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연신시켜 감으로써, 양쪽 끝에서부터 중앙을 향하여 박리가 진행해 가기 때문에, 상기한 점착 테이프의 선단이나 훅 등의 베이스가 바로 옆을 향하여 날아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점착 테이프(1)의 사용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점착 테이프(1)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도시 생략한 세퍼레이터를 떼어내어 점착면[접착부(3)]를 노출시키고, 이 접착부(3)를 한쪽의 피접착면을 따라 부착한다.
다음에, 다른쪽의 접착부(3)에 다른쪽의 피접착면을 맞붙임으로써, 피접착물이 벽면에 유지된다. 이때, 연결부(5)와 파지부(4)는 피접착물로부터 피하도록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면, 접착부(3)만을 피접착물에 부착함으로써, 파지부(4)를 파지하여 잡아당겨 갔을 때에, 연결부(5)에 의하여 인장 응력을 접착부(3)에 집중시켜, 접착부(3)를 균일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사용 후는, 피접착물로부터 밀려나와 있는 파지부(4)를 손으로 파지하여, 피 접착물을 가볍게 누르면서, 파지부(4)를 끌어당김으로써, 그 인장 응력이 연결부(5)의 테이퍼 의하여 접착부(3)에 집중하여, 작은 힘으로 접착부(3)를 연신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와 함께 비교 검토하였다.
먼저, 실시예로서, 가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발포 시트의 테이프 기재를 준비하고, JIS-K6251에 기재된 덤벨 3호 형상[도 3(a) 참조]으로 구멍을 뚫은 샘플을 제작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동일한 테이프 기재로 폭 5㎜ × 길이 100㎜의 직사각형 형상[도 3(b) 참조]으로 구멍을 뚫은 것을 준비하였다. 각 샘플의 길이방향(연신방향)의 중심선에서부터 10㎜ 간격으로 표식선을 좌우 4군데 넣었다.
[인장시험]
각 샘플의 양쪽 끝 10㎜를 인장시험기에 척(chuck)시켜, 인장속도 300㎜/min로 인장시험에 제공하고, 신장률 100% 단위로 0∼700% 연신시켜, 각 신장상태의 표식선의 간격(실시예 : a1∼d1, 비교예 : a2∼d2)과, 접착부의 폭(실시예 : e1, 비교예 : e2)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하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a1 b1 c1 d1 e1
초기상태 10 10 10 10 5.0
신장률 100% : 19 13 11 10 4.0
신장률 200% : 25 17 12 10 4.0
신장률 300% : 31 21 12 10 3.0
신장률 400% : 37 24 12 10 3.0
신장률 500% : 40 30 13 10 3.0
신장률 600% : 46 34 14 10 2.5
신장률 700% : 49 38 15 11 2.5
<비교예>
a1 b1 c1 d1 e1
초기상태 10 10 10 10 5.0
신장률 100% : 14 13 13 13 5.0
신장률 200% : 14 14 14 15 4.5
신장률 300% : 17 17 17 17 4.0
신장률 400% : 20 20 20 20 4.0
신장률 500% : 23 23 23 23 4.0
신장률 600% : 25 26 25 25 3.5
신장률 700% : 27 28 27 28 3.5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의 정리를 도 4에 나타낸다. 또, 연신거리-테이프 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5(a)에 나타내고, 신장과 파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5(b)에 나타낸다.
이상에 의하여, 이하와 같은 지식을 얻었다.
· 실시예는, 중앙의 접착부가 잘록해져 있음으로써, 인장 응력이 접착부에 집중하기 때문에, 중앙부(a점)의 신장이 크고, 파지부를 향함에 따라 신장이 작아져 감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떼어낼 수 있다.
· 또, 실시예는, 양쪽 끝에서부터 중앙을 향하여 폭방향의 잘록함도 커지기 때문에, 더욱 박리하기 쉽다.
· 비교예는, a점∼d점이 균일한 신장을 나타내기 때문에, 박리 개시에서부터 박리 완료까지 일정한 연신력으로 계속 잡아당기지 않으면, 박리시킬 수 없다. 따라서, 균등하게 신장하기 때문에, 폭방향의 잘록함도 그다지 감쇠하지 않는다.
· 실시예의 점착 테이프는, 비교예에 비하여 60%의 연신거리에서 파단을 맞는다.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1)로서 적어도 한쪽 끝에 파지부(4)를 구비하고 있고, 파지부(4)를 잡아당김으로써, 점착 테이프가 피부착면으로부터 잡아떼어내지는, 이른바 연신 박리식의 점착 테이프이면, 이들 각종 변형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의 (a) 정면도 및 (b) 측면도,
도 2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시험 샘플의 정면도,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를 100% 단위로 700%까지 연신한 상태의 사진과, 각 눈금간의 신장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a) 테이프 폭과 연신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b) 연신거리와 파단점의 완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5)

  1. 탄성을 가지는 테이프 기재(基材)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로서, 인장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테이프 기재가 잡아늘여져 피부착면으로부터 떼어지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피부착면을 따라 부착되는 접착부의 한쪽 끝에는,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비점착의 파지부가 연결부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그 폭이 상기 접착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지부로부터 상기 접착부에 걸쳐, 그 폭이 점차 감소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비점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연신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비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양쪽 끝에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연신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비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의 양쪽 끝에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파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KR1020090041612A 2008-05-15 2009-05-13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KR101608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7932A JP5238346B2 (ja) 2008-05-15 2008-05-15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JPJP-P-2008-127932 200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14A KR20090119714A (ko) 2009-11-19
KR101608379B1 true KR101608379B1 (ko) 2016-04-01

Family

ID=413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612A KR101608379B1 (ko) 2008-05-15 2009-05-13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38346B2 (ko)
KR (1) KR101608379B1 (ko)
CN (1) CN101580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8464B2 (ja) * 2011-12-02 2016-09-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の製造方法
JP6633338B2 (ja) * 2015-10-14 2020-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ブ付き粘着製品
JP6656871B2 (ja) * 2015-10-14 2020-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ブ付き粘着製品
CN110358469A (zh) * 2019-07-18 2019-10-22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粘结组件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353A (ja) 2003-05-15 2004-12-02 Nitomuzu:Kk 延伸剥離テープ
JP2006169389A (ja) 2004-12-16 2006-06-29 Nitomuzu:Kk 延伸剥離テー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4642A (en) * 1996-11-08 1999-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nally separable tape laminate
JP4426750B2 (ja) * 2002-07-15 2010-03-03 株式会社ニトムズ 吊下具
JP2005082657A (ja) * 2003-09-05 2005-03-3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再剥離性接着テ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353A (ja) 2003-05-15 2004-12-02 Nitomuzu:Kk 延伸剥離テープ
JP2006169389A (ja) 2004-12-16 2006-06-29 Nitomuzu:Kk 延伸剥離テ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14A (ko) 2009-11-19
CN101580677A (zh) 2009-11-18
JP5238346B2 (ja) 2013-07-17
CN101580677B (zh) 2014-06-18
JP2009275122A (ja)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301B1 (ko) 연신 박리 테이프
EP0716672B1 (en)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TWI392716B (zh) 貼著構件及光學組件之貼著方法
US7781056B2 (en)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US8241720B2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and article attachment kit
US6403206B1 (en) Removable foam adhesive tape
KR101197815B1 (ko) 접착제 조성물, 접착 테이프 및 접착 구조체
JP3553331B2 (ja) 再剥離可能な自動粘着装置
JP2007169421A (ja) 再剥離性粘着テープ及び物品取り付けキット
KR20080114606A (ko) 점착 테이프
JP3583591B2 (ja) 再剥離可能な自動粘着装置
KR101608379B1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JPH1088081A (ja) つまみ補助の付いた、再剥離可能な、自動粘着装置
JPH09126217A (ja) 再取り外し可能な自己粘着性留め用デバイス
JP5255871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KR20060071411A (ko) 이형가능한 접착 테이프
KR102233172B1 (ko) 양면 점착 폼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US20200130288A1 (en) Two-way stretching and pasting device
JP5238308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KR101593525B1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방법
KR101593520B1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 테이프의 박리방법
JP5430072B2 (ja) 剥離可能な粘着テープ
KR101593523B1 (ko) 박리 가능한 점착 테이프
AU2007209867B2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and article attachment kit
JPH0634520A (ja) 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のアンカー力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