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375B1 -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 Google Patents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375B1
KR101608375B1 KR1020140178115A KR20140178115A KR101608375B1 KR 101608375 B1 KR101608375 B1 KR 101608375B1 KR 1020140178115 A KR1020140178115 A KR 1020140178115A KR 20140178115 A KR20140178115 A KR 20140178115A KR 101608375 B1 KR101608375 B1 KR 10160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terminal
bottom plate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황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7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전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 측판 및 상판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일측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와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는 와이어 압착부를 포함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로서, 상기 바닥판의 판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비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비드부재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접속부를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FEMALE TERMINAL HAVING BEAD PART}
본 발명은 단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피메일 접속 단자는, 전방에 상대 측의 메일 접속 단자를 받아들이는 접속부와, 후방에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 압착부를 가지며, 이들은 하나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메일 단자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비드부는 실질적으로 메일 단자가 삽입되어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간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부(10)와, 접속부(10)의 후방에 접속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압착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10)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접촉부재(11a)를 갖는 바닥판(11)과, 그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판(12) 및 일측의 측판(12)과 연결되어 절곡됨으로써 각진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3)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11)에 형성된 접촉부재(11a)는 접속부(1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이 나란하게 일직선 형태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재(11a)의 양측 단부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시에 메일 단자의 단부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피메일 단자에 메일 단자를 삽입하게 되면 접촉부재(11a)가 메일 단자의 외면과 선접촉됨으로써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는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와이어 압착부(20)는 접속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부(10)와 체결되는 와이어의 외면을 잡아주어 접속부(10)가 와이어의 단부에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와이어 압착부(20)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 형성된 일측면의 양측은 와이어 압착부(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압착부(20)에 안착된 후에 절곡되어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피메일 단자에 있어서는, 피메일 단자의 바닥판(11)에 형성된 접촉부재(11a)가 일직선 형태로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를 상호 결합시킨 후에 이들이 정확하게 결합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비전 검사를 실시할 경우에 접촉부재(11a)가 상호 중첩된 상태로 보여지기 때문에 좌측 방향에서 한 번 검사를 실시하고, 우측 방향에서 또 한 번의 검사를 실시해야 하므로 검사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 메일 단자와의 접촉을 위한 비드부를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피메일 단자에 메일 단자를 결합한 후에 비드부와 메일 단자 사이의 접촉 여부에 대한 일괄적인 비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검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는, 도전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 측판 및 상판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구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일측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와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는 와이어 압착부를 포함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로서, 상기 바닥판의 판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비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비드부재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접속부를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비드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판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면 형상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비드부재는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피메일 단자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구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영역이 모두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피메일 단자의 일측에 메일 단자와의 접촉을 위한 비드부를 메일 단자가 피메일 단자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사선을 이루도록 배치함으로써 피메일 단자에 메일 단자를 결합한 후에 비드부와 메일 단자 사이의 접촉 여부에 대한 일괄적인 비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검사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피메일 단자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를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는, 도전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101)을 구비한 접속부(100)와, 접속부(100)의 일측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와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는 와이어 압착부(200)를 포함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로서, 바닥판(110)의 판면에는 내부공간(10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공간(101)에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비드부재(31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비드부재(310)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접속부(100)를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100)는 바닥판(110)과, 그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판(120) 및 일측의 측판(120)과 연결되어 절곡됨으로써 각진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30)으로 이루어진다.
접속부(10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닥판(110)과 상판(130)의 폭은 측판(1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접속부(100)의 전체적인 종단면 형상은 폭이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110)과 측판(120)의 판면 일부는 내부공간(101)으로 함몰 형성되어 피메일 단자에 메일 단자가 삽입시에 삽입된 메일 단자의 측면과 접촉되어 메일 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판(14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100)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어 메일 단자가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와이어 압착부(200)는 메일 단자가 삽입되도록 개구 형성된 전면과 대향되는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가 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이어 압착부(200)는 접속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접속부(100)와 연결되어야 하는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여 접속부(100)가 와이어의 단부에서 유동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단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와이어 압착부(200)의 일측면은 개구 형성되어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개구 형성된 일측면의 양측은 와이어 압착부(20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압착부(200)에 안착된 후에 절곡되어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비드부(300)는 피메일 단자의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된 메일 단자의 외면 일측과 접촉되는 접촉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메일 단자와 메일 단자가 전기적으로 긴밀하게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비드부(300)는 접속부(100)의 바닥판(110) 판면 일측에 접속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판면 일부가 내부공간(101)을 향하여 함몰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부(300)가 접속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됨은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에 삽입시에 접촉력이 가해지는 지점이 상호 대칭되도록 함으로써 메일 단자의 외면이 균일하게 가압되도록 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비드부(300)는 바닥판(110)의 판면에서 내부공간(101)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면 형상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는 4개의 비드부재(310)로 구성되며, 비드부재(310)의 외면이 구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메일 단자를 삽입시에 비드부재(310)와 접촉되는 메일 단자의 단부면이 자연스럽게 비드부재(31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기 때문에 메일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비드부재(310)는 상기 메일 단자가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한 쌍의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한 쌍의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의 내부공간(101)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킨 후에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간의 접촉상태를 비전 검사시에 전방에서 비전 검사를 실시하면 4개의 비드부재(310)가 각각 접속부(10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가 일괄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전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바닥판(110)의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비드부재(310)와, 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비드부재(310)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상호 중첩되지 않고, 구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영역이 모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일괄적인 비전 검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단자가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인 전방 측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인 후방 측의 상기 바닥판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는, 메일 단자를 피메일 단자의 내부공간(101)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킨 후에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 간의 접촉상태를 비전 검사시에 전방에서 비전 검사를 실시하면 4개의 비드부재(310)가 각각 접속부(10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가 일괄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전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바닥판(110)의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비드부재(310)와, 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비드부재(310)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에 상호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일괄적인 비전 검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일 단자가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폭 방향을 따라 비드부재(310)는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접속부(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비드부재(310)가 접속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됨은 메일 단자의 피메일 단자의 내부공간(101)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메일 단자의 외면에 가해지는 접촉력이 접속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접촉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의 경우에는 비드부재(310)가 4개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접속부(100)의 판면에 위치한다면, 6개, 8개로도 구성이 가능하며 비드부재(31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메일단자와 피메일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접속부 101 : 내부공간
110 : 바닥판 120 : 측판
130 : 상판 200 : 와이어 압착부
300 : 비드부 310 : 비드부재

Claims (5)

  1. 도전 금속판을 펀칭 및 절곡하여 바닥판(110), 측판(120) 및 상판(130)으로 둘러싸인 내부공간(101)을 형성하는 접속부(100)와;
    상기 접속부(100)의 일측에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와이어와 연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의 외면을 압착하는 와이어 압착부(200)를 포함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로서,
    상기 바닥판(110)의 판면에는 상기 내부공간(101)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메일 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비드부재(310)로 이루어지는 비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비드부재(310)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접속부(100)를 통과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비드부재(310)는 상기 바닥판(110)의 판면에서 상기 내부공간(101)을 향하여 내측으로 구면 형상을 갖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비드부재(310)는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피메일 단자에 결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에 구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영역이 모두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단자가 상기 내부공간(101)으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피메일 단자의 단부와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바닥판(110) 판면에 구비된 비드부재(310)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KR1020140178115A 2014-12-11 2014-12-11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KR10160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15A KR101608375B1 (ko) 2014-12-11 2014-12-11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15A KR101608375B1 (ko) 2014-12-11 2014-12-11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375B1 true KR101608375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15A KR101608375B1 (ko) 2014-12-11 2014-12-11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5114A (ja) * 2016-04-21 2017-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741A (ja) 2007-07-31 2009-02-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雌型端子
JP2013004452A (ja) 2011-06-21 2013-01-07 Yazaki Corp 雌端子
JP2014107079A (ja) 2012-11-27 2014-06-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接点型雌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741A (ja) 2007-07-31 2009-02-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雌型端子
JP2013004452A (ja) 2011-06-21 2013-01-07 Yazaki Corp 雌端子
JP2014107079A (ja) 2012-11-27 2014-06-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多接点型雌端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5114A (ja) * 2016-04-21 2017-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4598B (zh) 電連接器
US9455516B2 (en) Contact socke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EP2485334B1 (en) Multi-contact terminal fitting
US11309651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and a terminal having a conductive case, a conductive member in the case and a coil spring biasing the conductive member toward a meeting terminal
WO2014034418A1 (ja) 接続端子
US11575224B2 (en) Terminal module
KR101608375B1 (ko) 비드부를 구비한 피메일 단자
US20220399670A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6154430B2 (ja) 雌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10010000A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US10847913B2 (en) Terminal fitting
JP2015207353A (ja) 電線用コネクタ
JP2014007012A (ja) 圧着端子
JP2020071908A (ja) 圧着接続端子
WO2010004825A1 (ja) 端子金具及び端子付き電線
KR102615421B1 (ko) 암형 컨택트
US10637162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the electric-wire and the terminal
KR20200010887A (ko) 터미널
JP6796619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7215933B2 (ja) 接続端子
KR101664299B1 (ko) 피메일 단자의 스프링
JP2016009570A (ja) 接点部の製造方法
JP2020004519A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2016046175A (ja) 雌型端子およびこれを有するワイヤハーネス
KR200447275Y1 (ko)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