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186B1 -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186B1
KR101607186B1 KR1020150153606A KR20150153606A KR101607186B1 KR 101607186 B1 KR101607186 B1 KR 101607186B1 KR 1020150153606 A KR1020150153606 A KR 1020150153606A KR 20150153606 A KR20150153606 A KR 20150153606A KR 101607186 B1 KR101607186 B1 KR 10160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groove
elastic
straight lin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15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연결판으로부터 벽돌연결고리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돌연결판(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 줄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이사이에 티홈(41)을 형성하는 티형리브(42); 티홈(41) 내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대칭을 이루는 반원홈(45)(46); 탄성걸림부(32)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절곡부(36); 절곡부(36) 삽입을 위해 티형리브(42)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48); 및 지그재그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웃한 두 개의 티홈(41)으로 동시에 삽입되어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을 반원홈(45)(46)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와이어스토퍼(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Coupl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Masonry Wall}
본 발명은 내벽과 조적벽돌 간에 기구적인 결속력을 부여하는데 이용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연결판으로부터 벽돌연결고리와 강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일정한 패턴으로 쌓아서 만드는 조적벽체는 상하부 벽돌을 길이방향으로 절반씩 어긋나게 쌓으면서 모르타르를 이용해서 접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현장으로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골조 공사 후 상하방향으로 내하중이 실리지 않는 벽체시공에 많이 적용되고 있고, 조적벽체의 표면에 홈을 파내거나 천공하는 작업이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간단하여 각종 배관을 간단히 매설할 수 있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체를 구성하는 조적벽돌과 내벽 사이에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 조적벽돌과 내벽 사이에 모르타르로 접합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내벽과 조적벽돌을 연결장치를 이용해서 결속하면서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조적벽 연결장치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를 참조하면 요철(凹凸)모양으로 된 복수의 홈(11a)(11b)(11c)과 돌기(12)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된 벽돌연결판(10)을 조적벽돌(13)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태의 벽돌연결고리(14) 단부를 벌려서 벽(15)에 고정된 벽면고정브래킷(16)의 고리걸림부(17)에 끼워서 건 다음 벽돌연결판(10)에 형성된 홈(11a)(11b)에 벽돌연결고리(14)를 끼우도록 되어 있었다.
또, 일직선으로 된 강선(18)을 벽돌연결판(10)에 형성된 다른 홈(11c)에 가로 방향으로 끼운 다음 모르타르를 조적벽돌(13) 위에 균일한 두께로 덮어서 강선(18)과 벽돌연결판(10), 벽돌연결고리(14)의 일부를 매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벽돌연결고리(14)와 강선(18)을 벽돌연결판(10)에 형성된 홈(11a)(11b)(11c)에 단순히 삽입해 놓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적작업 중 벽돌연결고리(14)와 강선(18)이 홈(11a)(11b)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매우 높았으며, 특히 조적벽돌(13)에 모르타르를 덮을 때 벽돌연결고리(14)와 강선(18)에 외력이 작용되면서 벽돌연결판(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벽돌연결판(10)으로부터 이탈된 벽돌연결고리(14)와 강선(18)은 모르타르에 매몰되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탈상태를 확인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어서,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벽돌연결판(10)에 형성된 홈(11a)(11b)이 일직선으로 되어 있고 아무런 고정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조적작업 중 작은 외력에도 벽돌연결판(10)이 쉽게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서 한쪽으로 편중되게 위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적벽돌(13)의 접합이 완료된 후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 의해 조적벽돌(13)에 상하방향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벽돌연결고리(14)와 강선(18)이 벽돌연결판(1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결속력이 없기 때문에 접합부 크랙에 의해 쉽게 이탈되어 분리되면서 조적벽의 조기 붕괴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12호 (2008.03.1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9004호(2009.09.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38913호 (2008.03.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벽돌연결고리 및 강선이 벽돌연결판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벽돌연결판이 한쪽으로 편중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는 내벽에 고정되는 벽면고정브래킷;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엇갈린 한 쌍의 탄성걸림부가 단부에 형성되고, 벽면고정브래킷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벽돌연결고리; 탄성걸림부와 결합되어 상기 벽돌연결고리와 조적벽돌을 연결하는 벽돌연결판; 조적벽돌의 상부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벽돌연결판에 끼워지는 강선을 포함하되,
상기 벽돌연결판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 줄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이사이에 티홈을 형성하는 티형리브; 티홈 내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대칭을 이루는 반원홈; 탄성걸림부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절곡부; 절곡부 삽입을 위해 티형리브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 및 지그재그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웃한 두 개의 티홈으로 동시에 삽입되어 탄성걸림부와 강선을 반원홈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와이어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스토퍼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면에 형성되는 평면; 평면과 짝을 이루어 반원형의 단면을 형성하고, 평면의 반대편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면; 볼록면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대칭을 이루며, 반원홈으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직선삽입부; 직선삽입부의 한쪽 단부를 연결해서 직선삽입부와 함께 티홈으로 삽입되는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인서트부; 한쪽의 직선삽입부와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며, 티홈으로 삽입되어 탄성걸림부와 강선에 각각 밀착되는 직선밀착부; 한쪽의 직선삽입부와 직선밀착부를 연결하는 벤딩부; 직선밀착부의 평면에 형성되어 탄성걸림부와 강선의 외주면에 각각 걸리는 반원형의 걸림홈; 삽입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다른 쪽 직선삽입부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푸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티홈(41)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을 와이어스토퍼(50)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이 벽돌연결판(40)으로부터 자연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벽돌연결고리(30)의 탄성걸림부(32)에 형성된 절곡부(36)를 벽돌연결판(40)의 티형리브(42)에 형성된 유동방지홈(48)으로 삽입해서 걸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연결판(40) 또는 벽돌연결고리(30)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벽돌연결판(40) 또는 벽돌연결고리(30)가 한쪽으로 편중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탄성걸림부(32)(34)를 티홈(41)으로 삽입할 때 두 탄성걸림부(32)(34) 간의 거리를 좁힌 다음 입구(47)를 통해 티홈(41)으로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걸림부(32)(34)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티홈(41)의 안쪽에 형성된 반원홈(45)(46)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벽돌연결고리(30)와 벽돌연결판(40)의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두 개의 직선삽입부(51a)(51b)가 티홈(41)에 형성된 두 개의 반원홈(45)(46)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스토퍼(50)가 삽입방향과 삽입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외에는 움직이지 못하므로,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와이어스토퍼(50)의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이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밀착부(53)가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스토퍼(50)를 티홈(41)에 삽입할 때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푸시바(56)를 이용해서 손으로 밀게 되면, 편리하게 와이어스토퍼(50)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손가락에 작용되는 압통을 완화해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와이어스토퍼(50)의 직선삽입부(51a)(51b)를 티홈(41)으로 삽입할 때 인서트부(55)가 티홈(41)에 먼저 진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삽입부(51a)(51b)를 티홈(41)으로 좀 더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와이어스토퍼(50) 성형시 대략적인 모양이 반원단면으로 된 강철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해서 성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게 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와이어스토퍼(50)의 직선삽입부(51a)(51b)를 티홈(41)의 반원홈(45)(46)에 강제로 압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스토퍼(50)가 티홈(41)으로부터 자연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조적벽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조적벽 연결장치에 의해 조적벽돌이 내벽에 고정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연결판의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스토퍼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에 의해 조적벽돌이 내벽에 고정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에 의해 조적벽돌이 내벽에 고정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조적벽돌과 단열재를 배제하고 나머지 요부를 확대해서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스토퍼를 두 개의 탄성걸림부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한 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벽(20)에 고정되는 벽면고정브래킷(22);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엇갈린 한 쌍의 탄성걸림부(32)(34)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고정브래킷(22)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벽돌연결고리(30);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결합되어 상기 벽돌연결고리(30)와 조적벽돌(24)을 연결하는 벽돌연결판(40); 상기 조적벽돌(24)의 상부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벽돌연결판(40)에 끼워지는 강선(26)을 포함한다.
상기 벽돌연결고리(30)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절곡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절곡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벽면고정브래킷(22)에는 콘크리트 못 또는 타정 못과 같은 화스너(29)를 내벽(20)에 박기 위한 체결공(22a)(22b)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벽돌연결고리(30)를 걸어서 연결하기 위해 양측은 절개되고 상하부는 내벽(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앞쪽으로 돌출되는 고리걸림부(22c)가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벽돌연결판(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 줄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이사이에 티홈(41)을 형성하는 티형리브(42); 상기 티홈(41) 내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대칭을 이루는 반원홈(45)(46)을 포함한다.
상기 티형리브(42)의 상단부에는 걸림턱(43)(4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3)(44) 사이사이에는 상기 티홈(41)으로 통하는 일정한 폭의 입구(47)가 형성된다.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티홈(41)에 각각 형성된 반원홈(45)(46)의 중심간 거리(L1)가 두 탄성걸림부(32)(34)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상에서의 중심간 거리(L2)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거리를 유지하도록 해서 탄성걸림부(32)(34)를 티홈(41)으로 끼울 때 두 탄성걸림부(32)(34) 사이를 강제로 좁힌 다음 입구(47)를 통해 티홈(41)으로 끼우고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걸림부(32)(34)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반원홈(45)(46)에 밀착되어 걸리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 11에서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두 탄성걸림부(32)(34)를 강제로 좁히는 방향은 도면 중 화살표 "C"와 "C'"로 나타내었으며, 사이가 좁아진 탄성걸림부(32)(34)를 입구(47)를 통해 티홈(41)으로 삽입하는 방향은 도면 중 화살표 "D"와 "D'"나타내었다.
상기 벽돌연결판(4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황동,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일정한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성형하는 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티형리브(42)와 걸림턱(43)(44)이 벽돌연결판(4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걸림부(32)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절곡부(36); 상기 절곡부(36) 삽입을 위해 상기 티형리브(42)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48)을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36)는, 예를 들면 탄성걸림부(32)로부터 내벽(20)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해서 형성할 수 있으며, 두 탄성걸림부(32)(34) 중에 내벽(20)과 가까운 곳에 위치된 한쪽의 탄성걸림부(32) 끝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위치나 설치 개수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동방지홈(48)은, 예를 들면 복수의 상기 티형리브(42) 중에 내벽(20)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된 맨 앞쪽의 티형리브(42) 정중앙에 일정한 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동방지홈(48)은, 벽돌연결판(40)의 압출성형 후 엔드밀과 같은 절삭공구를 이용해서 티형리브(42)의 일부를 절삭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티홈(41)으로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상기 강선(26)을 반원홈(45)(46)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와이어스토퍼(50)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면에 형성되는 평면(52); 상기 평면(52)의 반대편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면(5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재료로 사용되는 피아노선과 같은 강철와이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절곡해서 성형할 수 있다.
또,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상기 볼록면(54)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대칭을 이루며, 상기 반원홈(45)(46)으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직선삽입부(51a)(51b); 상기 직선삽입부(51a)(51b)의 한쪽 단부를 연결해서 상기 직선삽입부(51a)(51b)와 함께 상기 티홈(41)으로 삽입되는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인서트부(55)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직선삽입부(51a)(51b)와 인서트부(55)는 일체이며, 인서트부(55)는 평행한 두 직선삽입부(51a)(51b)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부에 해당한다.
또,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티홈(41)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에 각각 밀착되는 직선밀착부(53);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상기 직선밀착부(53)를 연결하는 벤딩부(57)를 포함한다.
즉,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상기 직선밀착부(53) 및 벤딩부(57)는 모두 일체이며, 벤딩부(57)는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상기 직선밀착부(53)를 성형하기 위한 절곡부에 해당한다.
또,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상기 직선밀착부(53)의 평면(52)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4)와 강선(26)의 외주면에 각각 걸리는 반원형의 걸림홈(58); 삽입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다른 쪽 직선삽입부(51a)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푸시바(56)를 포함한다.
또한, 절곡부위에 해당하는 인서트부(55)와 벤딩부(57)는 강철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해서 와이어스토퍼(5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도록 하며, 예컨대 두 직선삽입부(51a)(51b)와 인서트부(55)는 평면에서 볼 때 개략적인 모양이 "U"자 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하나의 직선삽입부(51b)와 직선밀착부(53) 및 벤딩부(57)도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 개략적인 모양이 "U"자 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 두 직선삽입부(51a)(51b)는, 인서트부(55)를 선두로 해서 티홈(41)으로 삽입되어 티홈(41)의 안쪽에 형성된 반원홈(45)(46)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며, 이때 인서트부(55)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티홈(41)으로의 진입이 부드럽게 된다.
두 직선삽입부(51a)(51b)가 반원홈(45)(46)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볼록면(54)의 외경과 티홈(41)에 형성된 반원홈(45)(46)의 내경이 서로 대략 일치되도록 형성하며, 두 직선삽입부(51a)(51b) 간의 중심간 거리(L2)와 반원홈(45)(46)의 중심간 거리(L1)도 대략 일치되도록 해서 직선삽입부(51a)(51b)를 반원홈(45)(46)으로 삽입할 때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 두 직선삽입부(51a)(51b)는, 평행한 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원홈(45)(46)에서 삽입방향 및 삽입의 반대방향으로만 미끄러지게 되고 나머지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직선삽입부(51a)(51b)가 반원홈(45)(46)에 약간 억지로 끼워지도록 해서 와이어스토퍼(50)가 티홈(41)으로부터 자연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의 중심을 탄성걸림부(32)(34)의 중심 및 강선(26)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해서 두 직선삽입부(51a)(51b)를 반원홈(45)(46)으로 삽입했을 때 걸림홈(58)이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직선밀착부(53)의 평면(52) 끝부분에 면취부(59)를 형성해서 직선밀착부(53)의 진입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티홈(41)의 끝에서 삽입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두 개의 탄성걸림부(32)(34) 중에 한쪽 탄성걸림부(34)의 고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스토퍼(50)를 두 개의 탄성걸림부(32)(34)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스토퍼(50)를 두 개의 탄성걸림부(32)(34)에 각각 한 개씩 설치하는 경우에는 탄성걸림부(32)(34)를 보다 견고하게 벽돌연결판(4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스토퍼(50)는 벽돌연결판(40)의 티홈(41)에 삽입된 강선(26)이 티홈(4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이때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스토퍼(50)를 티홈(41)의 양쪽 끝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해서 강선(26)이 티홈(41)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7은 조적벽돌(24)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조적벽돌(24)을 접합하는 벽돌접합층을 나타낸 것이며, 28은 내벽(20)과 조적벽돌(24)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연결고리(30)를 연결할 조적벽돌(24)의 상면과 대략 일치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벽면고정브래킷(22)을 내벽(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벽면고정브래킷(22)에 형성된 두 곳의 체결공(22a)(22b)으로 콘크리트 못이나 타정 못과 같은 화스너(29)를 각각 집어넣어서 내벽(20)에 박아 넣게 되면, 벽면고정브래킷(22)이 통상의 경우처럼 내벽(20)에 고정된다.
이후 벽면고정브래킷(22)에 형성된 고리걸림부(22c)에 벽돌연결고리(30)를 걸어서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탄성걸림부(32)(34)가 조적벽돌(24)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돌린 다음 조적벽돌(24) 위에 벽돌연결판(40)을 올려놓고,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탄성걸림부(32)(34)를 벽돌연결판(40)에 형성된 티홈(41)으로 끼운 후 탄성걸림부(32)에 형성된 절곡부(36)를 티형리브(42)에 형성된 유동방지홈(48)에 끼우게 되면, 벽돌연결고리(30)와 벽돌연결판(40)이 결합된다.
즉, 첨부도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돌연결고리(30)에 형성된 두 탄성걸림부(32)(34)에 도 11의 화살표 "C"와 "C'"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그 중심간 거리(L2)를 이웃한 두 입구(47)와 거의 일치되는 거리로 좁힌 다음, 좁아진 탄성걸림부(32)(34)를 도 11의 화살표 "D"와 "D'"방향으로 하강시켜서 입구(47)를 통해 티홈(41)으로 삽입한 다음 탄성걸림부(32)(34)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걸림부(32)(34)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중심간 거리(L2)가 자유 상태로 회복되면서 반원홈(45)(46)에 밀착된다.
이때 한쪽의 탄성걸림부(32)에 형성된 절곡부(36)가 티형리브(42)에 형성된 유동방지홈(48)에 끼워지도록 하면, 벽돌연결판(4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한쪽으로 편중되게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탄성걸림부(32)(34)가 반원홈(45)(46)에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스토퍼(50)를 벽돌연결판(40)에 형성된 티홈(41)으로 삽입해 두면, 벽돌연결고리(30)가 벽돌연결판(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와이어스토퍼(50)를 티홈(41)에 끼우는 과정은, 탄성걸림부(32)(34)가 걸려 있는 티홈(41)과 이웃하고 비어 있는 다른 티홈(41)에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직선삽입부(51a)(51b)를 삽입해서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직선밀착부(53)가 반원홈(45)(46)에 밀착되도록 하면,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이 탄성걸림부(32)(34)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걸림부(32)(34)가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에 밀착되어 걸려 있기 때문에 티홈(4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된다.
또, 와이어스토퍼(50)를 티홈(41)으로 삽입할 때 푸시바(56)를 이용해서 밀게 되면, 손가락의 국부에 작용되는 압력을 분산시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압통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즉,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두 개의 직선삽입부(51a)(51b)는 티홈(41)에 형성된 두 개의 반원홈(45)(46)으로 각각 나란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직선삽입부(51a)(51b)를 반원홈(45)(46)으로 삽입하기 시작할 때 선두가 되는 인서트부(55)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삽입부(51a)(51b)가 티홈(41)으로 부드럽게 진입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두 개의 직선삽입부(51a)(51b)가 두 개의 반원홈(45)(46)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와이어스토퍼(50)가 삽입방향과 삽입의 반대방향 외에는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직선삽입부(51a)(51b)가 반원홈(45)(46)에 억지로 끼워지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이탈하거나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와이어스토퍼(50)는 도 9에서와 같이 한쪽 탄성걸림부(34) 고정에만 이용해도 무방하며, 도 12에서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스토퍼(50)를 이용해서 두 탄성걸림부(32)(34)를 모두 고정하게 되면,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적벽돌(24) 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강선(26)을 벽돌연결판(40)에 형성된 티홈(41)으로 삽입한 다음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26)이 삽입된 티홈(41)과 이웃한 다른 비어 있는 티홈(41)으로 와이어스토퍼(50)의 직선삽입부(51a)(51b)를 삽입하면서 와이어스토퍼(50)에 형성된 직선밀착부(53)가 강선(26)에 밀착되도록 하게 되면,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이 강선(26)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걸리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와이어스토퍼(50)를 티홈(41)의 양쪽에서 삽입하게 되면, 강선(26)을 벽돌연결판(4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벽돌연결판(40)에 형성된 티홈(41)으로 각각 삽입된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반원홈(45)(46)과 직선밀착부(53)에 형성된 걸림홈(58)에 의해 걸려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되며, 특히 티홈(41)으로 압입된 와이어스토퍼(50)에 의해 자연적으로 이탈되거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 : 내벽 22 : 벽면고정브래킷
22a,22b : 체결공 22c : 고리걸림부
24 : 조적벽돌 26 : 강선
27 : 벽돌접합층 28 : 단열재
29 : 화스너 30 : 벽돌연결고리
32,34 : 탄성걸림부 36 : 절곡부
40 : 벽돌연결판 41 : 티홈
42 : 티형리브 43,44 : 걸림턱
45,46 : 반원홈 47 : 입구
48 : 유동방지홈 50 : 와이어스토퍼
51a,51b : 직선삽입부 52 : 평면
53 : 직선밀착부 54 : 볼록면
55 : 인서트부 56 : 푸시바
57 : 벤딩부 58 : 걸림홈
59 : 면취부

Claims (2)

  1. 내벽(20)에 고정되는 벽면고정브래킷(22);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엇갈린 한 쌍의 탄성걸림부(32)(34)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면고정브래킷(22)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벽돌연결고리(30);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결합되어 상기 벽돌연결고리(30)와 조적벽돌(24)을 연결하는 벽돌연결판(40);
    상기 조적벽돌(24)의 상부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벽돌연결판(40)에 끼워지는 강선(26);
    을 포함하되,
    상기 벽돌연결판(40)의 상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복수 줄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사이사이에 티홈(41)을 형성하는 티형리브(42);
    상기 티홈(41) 내측에서 서로 나란하게 대칭을 이루는 반원홈(45)(46);
    상기 탄성걸림부(32)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절곡부(36);
    상기 절곡부(36) 삽입을 위해 상기 티형리브(42)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48); 및
    지그재그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웃한 두 개의 상기 티홈(41)으로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상기 강선(26)을 반원홈(45)(46)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와이어스토퍼(50);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토퍼(5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면에 형성되는 평면(52);
    상기 평면(52)의 반대편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볼록면(54);
    상기 볼록면(54)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대칭을 이루며, 상기 반원홈(45)(46)으로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직선삽입부(51a)(51b);
    상기 직선삽입부(51a)(51b)의 한쪽 단부를 연결해서 상기 직선삽입부(51a)(51b)와 함께 상기 티홈(41)으로 삽입되는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인서트부(55);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평행하게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티홈(41)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2)(34)와 강선(26)에 각각 밀착되는 직선밀착부(53);
    한쪽의 직선삽입부(51b)와 상기 직선밀착부(53)를 연결하는 벤딩부(57);
    상기 직선밀착부(53)의 평면(52)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부(34)와 강선(26)의 외주면에 각각 걸리는 반원형의 걸림홈(58);
    삽입방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 다른 쪽 직선삽입부(51a)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푸시바(56);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0150153606A 2015-11-03 2015-11-03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607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06A KR101607186B1 (ko) 2015-11-03 2015-11-03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606A KR101607186B1 (ko) 2015-11-03 2015-11-03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186B1 true KR101607186B1 (ko) 2016-03-30

Family

ID=5566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606A KR101607186B1 (ko) 2015-11-03 2015-11-03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37B1 (ko) 2020-11-02 2021-05-11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98B1 (ko) 2012-05-02 2014-03-10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보강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98B1 (ko) 2012-05-02 2014-03-10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조적벽체 보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37B1 (ko) 2020-11-02 2021-05-11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0723B2 (ja) 連結された複数のフォーム・パネルを使用する絶縁コンクリート型枠
US7775010B2 (en) Slab bolster coupling
KR101631862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US114993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st-in anchor
KR102256356B1 (ko) 데크조립체
US5819374A (en) Clip fastener for radiant tubing and other thin objects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AU2010328464A1 (en) Connector clip
KR101543388B1 (ko)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10160718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891091B1 (ko) 건축용 조적벽 결속장치
KR101340955B1 (ko) 커플러
KR101525412B1 (ko)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보강장치
US9663954B1 (en) Interlocking roof cement paver and method to manufacture
KR101669151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JP3939283B2 (ja) ブロックおよびブロック連結具
KR101639996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558158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체 연결장치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102294527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JP4287463B2 (ja) 建築用型枠の施工方法、断熱型枠およびアッセンブリタイ
KR101264573B1 (ko) 보강철근 결속용 고정클립
JPS5916605B2 (ja) 順次流込まれるコンクリ−トあるいは鉄筋コンクリ−ト構造部材の結合素子
JP6849557B2 (ja) 配線・配管材保持台座及び配線・配管材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