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887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887B1
KR101605887B1 KR1020090094389A KR20090094389A KR101605887B1 KR 101605887 B1 KR101605887 B1 KR 101605887B1 KR 1020090094389 A KR1020090094389 A KR 1020090094389A KR 20090094389 A KR20090094389 A KR 20090094389A KR 101605887 B1 KR101605887 B1 KR 10160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rfid tag
communication
connec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7110A (en
Inventor
박성수
유재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887B1/en
Publication of KR201100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 중에서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RFID 태그를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고, 상기 RFID 태그에 근거리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갱신됨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근거리 통신 기술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RFID tag capable of reading and writing in an RFID tag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ctivate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by updating access information required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to the RFID tag, It provides services that can reduce consumption and make it easier and more effective to use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RFID, 근거리 무선 통신, 전력 소모 RFI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RFID)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RFID 태그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탑재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활성/비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al communic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RFID), and more particular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by providing ease of use by controlling activation / inactivity of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최근에는 RFID를 이용한 네트워킹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Recently, networking technology using RFID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RFID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제품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RFID를 이용한 네트워킹 시스템은 RFID를 통해 제품을 식별하고 식별한 정보를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제품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 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RFID is a technology for identifying products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radio frequency (RF). A networking system using RFID means a system that identifies a product through RFID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by providing the identifie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이를 위한 RFID 기술은 제품에 부착되어 제품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전자 칩 및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RFID 태그와, 주파수 발신을 제어하고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RFID 리더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RFID 시스템에서의 RFID 태그와 RFID 리더는 무선 주파수를 송출하여 RFID 태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RFID 리더로 전달하는 안테나에 의해 커플링(coupling)하게 된다. The RFID technology for this purpose can be implemented as an RFID tag composed of an electronic chip and an antenna attached to a product to which information about a product is input, and an RFID reader for controlling frequency transmission and reading data received from the RFID tag. At this time, the RFID tag and the RFID reader in the RFID system transmit the radio frequency and coupl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RFID tag to the RFID reader.

RFID 시스템은 동작 주파수에 따라 저주파 시스템과 고주파 시스템 두 가지로 구분된다. 저주파 시스템은 동작 주파수가 300MHz 이하로, 일반적으로 125KHz, 13.56MHz가 표준 동작 주파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주파 시스템은 비교적 태그가 저렴하고, 소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판독 거리가 짧으며, 카드, 고리, 버튼, 펜 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지향성 안테나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고주파 시스템은 동작 주파수가 400MHz 이상이며, 일반적으로는 860~930MHz, 2450MHz의 동작 주파수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고주파 시스템은 수 미터에서 십 미터 이상에 이르는 긴 판독 거리를 가지므로 움직이는 물체나 매우 빠르게 인식되어야 하는 다중 태그 패키지에 적합하고, RFID 리더와 RFID 태그 내에 많은 지향성 안테나가 적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RFID systems are divided into two types, low frequency system and high frequency system, depending on the operating frequency. Low-frequency systems have operating frequencies below 300MHz, typically 125KHz, 13.56MHz being the standard operating frequency. These low-frequency systems are relatively tag-cheap, capable of storing a small amount of data, have a short reading range,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cards, rings, buttons, and pens. Als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directional antenna is applied. The high-frequency system has an operating frequency of 400 MHz or higher, and generally uses an operating frequency of 860 to 930 MHz and 2450 MHz. These high-frequency systems are characterized by long read distances ranging from a few meters to ten meters or more, making them suitable for moving objects or multi-tag packages that need to be recognized very quickly, and that many directional antennas are applied within RFID tags and RFID tags .

이러한 RFID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교환은 하기와 같이 세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In this RFID system, data exchange is performed in three steps as follows.

첫 번째 과정으로, RFID 태그가 RFID 리더의 통신 영역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RFID 태그에 탑재된 데이터에 따라 RFID 태그의 안테나가 동작하게 하고 이를 RFID 리더의 안테나가 포착하게 된다. In the first step, when the RFID tag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FID reader, the antenna of the RFID tag operates according to the data loaded on the RFID tag, and the antenna of the RFID reader captures the RFID tag.

두 번째 과정으로, RFID 리더가 포착한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해서 처리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RFID reader converts the captured signal into data and processes it.

세 번째 과정으로, 다시 RFID 리더가 RFID 태그의 데이터를 여러 가지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한다. In the third step, the RFID reader changes the data of the RFID tag by various algorithms.

이때, 두 번째 및 세 번째 과정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경우에 다양한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ird processes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and various services can be implemented when various data are processed in this process.

구현 가능한 서비스 중 근거리 통신과 관련하여, 종래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RFID 기술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 제어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계되는 다른 WPAN 연결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WPAN 기능의 사용 권한 제어에만 적용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Among the implementable services, there is a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l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RFID technology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cation. This is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other WPAN connectio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blocked by transmitting a connection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limitation that it can be applied only to the usage right control of the WPAN functio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른 예로, RFID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연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블루투스 연결 정보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 있다. 여기서, RFID의 사용은 블루투스 통신 경로의 설정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이동 통신 단말기에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를 모두 장착하여 RFID 태그 정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간 개인 정보의 전송을 구현하였다.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technique of acquiring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using RFID and exchang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Bluetooth communication is enabled through the obtained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Here, the use of RFID is designed to simplif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luetooth communication path. The RFID reader and the RFID tag are mounted on the Bluetoot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RFID tag information du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RFID 리더기가 블루투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항상 온(on)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를 단말기 상에 구현할 경우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절전을 위해서는 RFID 리더를 On/Off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FID reader always maintains the on state in order to acquire the Bluetooth information,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consumes a lot of power when it is implemented on the terminal. Therefore, in order to save power,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turning on / off the RFID reader.

또 다른 예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블루투스 통신의 본딩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술이 있다. 즉,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리더가 정보를 읽고, 읽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블루투스 기기간 페어링과 블루투스 통신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블루투스 연결 과정에서 사용자의 관여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RFID 리더의 사용에 의해 여전히 사용자의 추가적인 관여가 불가피하고, 과도한 전력 낭비가 발생하여 단말기의 배터리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technique of perform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imply by using the RFID technology. That i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Bluetooth device is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Bluetooth rea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ad information and to perform pairing and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Bluetooth devices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minimizes the involvement of the user in the Bluetooth connection process, however, the additional involvement of the user is still inevitable due to the use of the RFID reader, excessive power is wasted, and the battery problem of the terminal is caused.

따라서, 종래의 RFID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면서도 단말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이고, RFID 기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사용자의 설정 작업을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while eliminating the additional user setting operation in spite of using the RFID technology i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conventional RFID technology, while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minimizing the user's involvement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 RFID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활성/비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need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the activation / deactivation of a sho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radio frequency recognition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무선 주파수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RFID 리더기; 및 상기 RFID 리더기에 의해 생성된 무선 통신 영역 안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RFID 리더기에서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를 통해 상기 접속 정보를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로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탑재된 개인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being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 RFID reader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RFID signal at a radio frequency; And an RFID tag for storing the access information in an RFID tag memory through a radio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RFID reader when the RFID reader enters a wireless communication area generated by the RFID read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quipped with a local communication module for attempt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as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영역(zone)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영역에 위치된 RFID 리더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RFID 태그; 및 상기 RFID 태그의 정보 수신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비활성화시키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 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via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connecting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local area communication; The RFID reader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requir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RFID reader located in the Internet service area and stores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RFID tag memory when it enters the Internet service zone providing the Internet access service through the short- tag; And a controller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and selectively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information is received, and, when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ry to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 서비스 영역(zone) 내에 구비되는 RFID 리더기가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무선 주파수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가 상기 RFID 리더기의 통신 영역 안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RFID 태그가 상기 RFID 리더기에서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로부터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킨 후,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ing a radio frequency recognition technology,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The RFID reader provided in an available Internet service zone periodically transmits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t a radio frequency; Whe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FID reader, the RFID tag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RFID reader, Storing; And when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activat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n communicates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And attempting a connection.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RFID 태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 정보를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접 속 정보로부터 근거리 통신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종류에 따라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nitoring whether connec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Storing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RFID tag memory when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Determining a type of local communication from the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Activating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And 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when the corresponding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zone)에서 별도의 사용자 설정 작업 없이 근거리 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통신 가능 여부의 확인을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s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out a separate user setting operation in a zone whe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ervice is possible, and activat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rvice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convenience can be solved.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 RFID 태그를 탑재하고 이 RFID 태그의 동작 여부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dl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by mounting the RFID tag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ctiv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RFID tag is operated or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은 크게 RFID 태그(160)가 탑재된 개인 휴대 단말기(10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0)와 별도로 구비되는 RFID 리더기(200), 근거리 통신 접속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Referring to FIG. 1, a loc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on which an RFID tag 160 is mounted, an RFID reader 200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f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은, RFID 태그(160)와 RFID 리더기(200)간 정보 교환으로 사용자의 설정 조작 없이도 개인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로 접속하게 됨으로써,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터넷(400)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loc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the RFID tag 160 and the RFID reader 200 to allow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 Thereby providing a ser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400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nd the like.

RFID 태그(160)는 기본적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번호를 저장하며, 통신 환경에 대한 관련 정보로서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RFID tag 160 basically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and may store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th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s related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

이때,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는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수신된다. At this time,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through the RFID reader 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리더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 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축된 특정 공간인 인터넷 서비스 영역(zone)에 구비된다. The RFID read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Internet service zone, which is a specific space configured to allow Internet connec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처럼, RFID 리더기(200)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RFID 태그(16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RFID 태그(160)가 읽기(read)/쓰기(write)가 가능한 칩 형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In order to store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FID reader 200 in the RFID tag 160, the RFID tag 160 must be provided in a form of a chip capable of reading / writing.

왜냐하면 RFID 리더기(200)가 위치되는 인터넷 서비스 영역(zone)이 구축된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 따라 다른 통신 환경을 가지게 되므로, 개인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개인 휴대 단말기(100)가 각 인터넷 서비스 영역에서 지원되는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개인 휴대 단말기(100)에 탑재된 RFID 태그(160)가 각 인터넷 서비스 영역에서 지원되는 통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읽기(read) 전용 태그는 개인 휴대 단말기(100)의 태그 정보를 전달할 수는 있어도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일 수는 없으므로, 쓰기(write)가 가능한 태그를 이용한다. This is because the Internet service zone in which the RFID reader 200 is located has a different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local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access the Internet through the portable device 100, It is necessary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supported in each Internet service area. That is, the RFID tag 160 installed in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must be able to receive and store information on communication screens supported in each Internet service area.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ead-only tag can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but can not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received from the outside, a tag that can be written is used .

이와 같이 읽기(read)/쓰기(write)가 가능한 칩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이이피롬(EEPROM) 또는 플래쉬(flash)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A chip capable of reading / writing can be implemented as an EEPROM or a flash memory, which is capable of changing programs and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 태그(160)는 수동 태그로서 내부에 전원 공급이 불필요하며, RFID 리더기(200)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으로부터 동작 전원을 얻게 된다. In addition, the RFID tag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ive tag that does not require power supply to the inside and obtains operating power from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FID reader 200. [

RFID 리더기(200)는 RFID 태그(16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를 관리하는 관리 운영 서버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제공받아 무선 주파수로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The RFID reader 200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management operation server manag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n addition to read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160, do.

이때,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는 RFID 리더기(200)가 위치한 인터넷 서비스 영역의 통신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Internet service area where the RFID reader 200 is located.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는 근거리 통신 연결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가 될 수 있다.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an access point (AP) f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이를 테면, 무선랜인 와이파이(WiFi)의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가 되며,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지그비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인 경우는 지그비 액세스 포인트가 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WiFi,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becomes a Wi-Fi access point, a Bluetooth access point in the case of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and a ZigBee access point in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sing ZigBee .

따라서, 개인 휴대 단말기(100)가 RFID 리더기(200)가 위치한 인터넷 서비스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RFID 태그(160)를 통해 RFID 리더기(200)로부터 방송되는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아울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에 접속을 시도한다. 이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300)로부터 접속이 허용되면 개인 휴대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400)에 접속하게 된다. Whe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100 enters the Internet service area where the RFID reader 200 is locate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local communication connection broadcast from the RFID reader 200 through the RFID tag 160, And activat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attempt connection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When the connection is permitted from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accesses the Internet 4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와 같이,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설정 조작없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for perform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out the user's setting operation using the RFID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휴대 단말기(100)는 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무선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전원 공급부(140), 메모리(150), RFID 태그(160), RFID 태그 메모리(170),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memory 150, an RFID tag 160, an RFID tag memory 170, and a display unit 180.

무선통신부(120)는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무선 통신, 또는 두 단말기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20)는 방송 수신 모듈(122), 이동 통신 모듈(124), 무선 인터넷 모듈(126), 근거리 통신 모듈(12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wo terminals.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22,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4, a wireless Internet module 126,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28.

방송 수신 모듈(122)은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로,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지상파나 위성의 방송 채널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에 대한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이외 부가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22 is a module for providing a terrestrial broadcast or a satellite broadcast and receives related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channel of terrestrial or satellite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e related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channel may be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a broadcast program, and other additional information.

이동 통신 모듈(124)은 이동 통신망과 연계되어 음성/문자 통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기국,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4 is for providing a voice / text communication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devic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character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26)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26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근거리 통신 모듈(128)은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모듈로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 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28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y connecting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include a WiFi, a Bluetooth, a Zigbee, an IrDA hav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터치 패드, 조그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by the user.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key pad, a touch pad, a jog wheel, or the like.

전원 공급부(140)는 개인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 출력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180 visually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0. [

메모리(150)는 개인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50 may store an application program of the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100 and temporarily store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

RFID 태그(160)는 소정 정보가 입력되는 전자 칩 및 안테나가 내장되어 전자 칩에 입력된 소정 정보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로 송출하고, 외부의 무선 주파수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RFID 태그 메모리(170)에 기록한다. The RFID tag 160 includes an electronic chip to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input and an antenna, and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putted to the electronic chip through a radio frequency, receives an external radio frequency through an antenna, ).

이러한 RFID 태그(160)는 기본적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식별번호를 저장하며, 통신 환경에 대한 관련 정보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RFID 태그 메모리(170)에 저장한다. The RFID tag 160 basically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stores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n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FID tag memory 170 stores the access information.

RFID 태그 메모리(170)는 RFID 태그(160)에 수신된 접속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이이피롬(EEPROM) 또는 플래쉬(flash)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RFID tag memory 170 may be embodied as EEPROM or flash memory to update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11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example,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도 3에 도시한 과정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process shown in FIG.

먼저, RFID 태그(160)에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였다가, 수신 여부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28)의 활성/비활성화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S100). First, the RFID tag 160 monitors whether or not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and selectively controls activation / deactivation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28 according to whether the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or not (S100).

즉, RFID 태그(160)에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오프(off) 상태로 비활성화시켰다가, RFID 태그(160)에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RFID 태그(160)를 통해 수신한 접속 정보와 활성화 정보를 RFID 태그 메모리(170)로부터 리드(read)하여 인지한다(S110, S120). That is, if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not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deactivated in the off state, and when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The control unit 110 reads th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he activ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FID tag 160 from the RFID tag memory 170 (S110, S120).

이후, 제어부(110)는 리드한 정보들 중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존재하면, 접속 정보로부터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의 종류를 판별한다(S130, S140). If there is connec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among the read informat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typ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at can be communicated from the connection information (S130, S140).

판별을 통해 근거리 통신의 종류가 결정되면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128)로 활성화 정보를 전달하여 활성화시킨다(S150).When the type of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28 transmits the activation information and activate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28 (S150).

일 예로, RFID 태그(160)에 WiFi 관련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RFID 태그 메모리(170)에 액세스하여 근거리 통신의 종류가 WiFi이고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세부적인 파라미터들을 인지한 다음, 비활성화되어 있던 WiFi 통신 모듈을 활 성화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WiFi-related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the RFID tag memory 170 is accessed to recognize detailed parameters for activa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WiFi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tivate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다른 예로, RFID 태그(160)에 블루투스 관련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이전에 활성화된 WiFi 근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Bluetooth-related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the previously activated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eactivated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ctiv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활성화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RFID 태그 메모리(170)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하여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S160, S170).After activa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170 as a communication parameter to perform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S160, S170).

근거리 통신 접속을 종료한 이후,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오프 상태로 비활성되는데 개인 휴대 단말기(100)가 RFID 리더기(도 1의 200)의 통신 영역에 여전히 위치하는 경우, RFID 태그(160)가 RFID 리더기(도 1의 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접속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근거리 통신 모듈(128)이 다시 활성화될 우려가 있다.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is still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FID reader (200 in FIG. 1), the RFID tag 160 is connected to the RFID reader 1),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28 may be activated again.

따라서, 제어부(110)는 RFID 태그(160)에서 최근 수신한 접속 정보가 RFID 태그 메모리(170)에 기록된 접속 정보와 동일한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여, 바로 이전에 종료한 근거리 통신 접속에 대한 접속 정보가 중복으로 수신되어 근거리 통신 모듈(128)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 information recently received in the RFID tag 160 is the same as the acces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RFID tag memory 170 or not,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ccess to the short-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duplicate to prevent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28 from being activated again.

추가로, 제어부(110)는 RFID 태그 메모리(170)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특정한 시간 동안에만 유효하도록 설정하여, 특정한 시간 동안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128)을 활성화시키고, 특정한 시간 이후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128)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170 to be valid only for a specific time, activate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28 for a specific time, Can be controlled to be deactivated.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RFID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설정 작업 없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다양한 실시 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dur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out using a user's setting using the RFID technology in the above-described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정에서 제공되는 WiFi 접속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RF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WiFi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무선랜(WLAN)의 일종인 와이파이(WiFi) 접속에 관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loc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Fi connection, which is a type of wireless LAN (WLAN),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먼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WiFi: 330) 및 RFID 리더기(320)는 관리 운영 서버(340)로부터 WiFi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이하, 'WiFi 접속 정보'라 칭함)를 전달받아 설정한다(S310, S312). First, the WiFi access point (WiFi) 330 and the RFID reader 320 receive and set access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Fi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WiFi connection from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server 340 (S310 and S312 ).

여기서, 관리 운영 서버(340)는 여러 개 구비될 수 있는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30)를 모두 관리하며, 또한 각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30)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RFID 리더기(320)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관리 운영 서버(340)는 별도의 장비로 구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구성 환경에 따라 개인용 디바이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The management operating server 340 manages all of the plurality of Wi-Fi access points 330 and manages connection information required to connect to each Wi-Fi access point 330. The RFID reader 320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necessary information. The management operation server 340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device and may be replaced by a personal device according to the network configuration environment.

그리고, WiFi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 정보(610)와 SSID(service set identifier: 620), 암호화 방식 종류(630), 암호화 키(640), 채널 번호(650)를 포함할 수 있다. 7, th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WiFi connection includes header information 610, service set identifier (SSID) 620, encryption type 630, encryption key 640, and channel number 650 .

구체적으로, 헤더 정보(610)는 근거리 통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SSID(620)는 각 헤더 정보(610)에 덧붙여지는 32 바이트(byte) 길이의 고유 식별자로 WiFi 액세스 포인트(330)에 대한 네트워크 이름을 나타낸다. 암호화 방식 종류(630)는 WiFi 액세스 포인트(330)가 사용하는 암호화 키(640)의 보안 방식을 나타낸다. Specifically, the header information 610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the SSID 620 is a 32- byte unique identifier added to each header information 610, Indicates the network name. The encryption method type 630 indicates a security method of the encryption key 640 used by the WiFi access point 330.

그러면, RFID 리더기(210)는 설정해 둔 WiFi 접속 정보를 무선 주파수를 통해 송신한다(S314). 이 경우, RFID 리더기(320)는 개인 휴대 단말기(310)에 탑재된 RFID 태그에 WiFi 접속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명령과, WiFi 접속 정보를 방송하게 된다. Then, the RFID reader 210 transmits the set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radio frequency (S314). In this case, the RFID reader 320 broadcasts a command for recording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RFID tag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and WiFi connection information.

RFID 리더기(320)가 구동하게 되면 RFID 리더기(320)의 안테나에서 발생한 전력 에너지에 의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는데, 이 전자기장의 범위가 통신이 가능한 영역(이하, 통신 영역)이 된다. When the RFID reader 320 is driven,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by the power energy generated by the antenna of the RFID reader 320. The r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becomes a communication enabled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area).

이러한 통신 영역 내로 개인 휴대 단말기(310)가 진입하게 되면(S316), 개인 휴대 단말기(310)는 RFID 태그를 통해 RFID 리더기(320)에서 송신하는 WiFi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한다(S320).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S316),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receives the WiFi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FID reader 320 through the RFID tag and stores it in the RFID tag memory S320).

아울러, 개인 휴대 단말기(310)는 RFID 태그가 구동하게 됨에 따라 RFID 태그 메모리에 액세스(access)하여, RFID 리더기(320)로부터 수신한 WiFi 접속 정보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정보를 인지한 후, 활성화 정보를 해당 WiFi 모듈로 전달함으로써 WiFi 모듈을 활성화시킨다(S322). In addi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accesses the RFID tag memory as the RFID tag is driven, recognizes the WiFi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FID reader 320 and the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Then, the WiFi module is activated by transmitting the activ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WiFi module (S322).

이후, 개인 휴대 단말기(310)는 접속 정보를 통신 파라미터로 설정한 후 활성화된 WiFi 모듈을 통해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30)로 접속을 시도한다(S324). After se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as a communication parameter, the personal wireless terminal 310 attempts to connect to the Wi-Fi access point 330 through the activated WiFi module (S324).

이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330)가 개인 휴대 단말기(310)에 접속을 허용하게 되면(S326), 개인 휴대 단말기(310)는 이후부터 인터넷(350)에 접속할 수 있다(S328). If the WiFi access point 330 permits access to the personal wireless terminal 310 in response to the response, the personal wireless terminal 310 can access the Internet 350 from a step S328.

이상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310)는 WiFi 통신을 통해 인터넷(350)과 연결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연결 과정에서 개인 휴대 단말기(310)의 RFID 태그에 접속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개인 휴대 단말기(310)의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350 through WiFi communication. If connec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n the RFID tag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in the connection process, Sinc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kept in the off state,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can be reduced.

또한, 개인 휴대 단말기(310)가 RFID 리더기(320)와의 통신 영역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설정 조작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직접 활성화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해야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310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with the RFID reader 320, it is not necessary to directly activate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by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us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local communication is possible, , There is no need to confirm and set the information on the network connection.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이다. 5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블루투스(bluetooth) 접속에 관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5,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luetooth connection dur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제2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로서 블루투 스 액세스 포인트(블루투스 AP: 430)를 구비하며, 이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30)는 관리 운영 서버(44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이하, 블루투스 접속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한다(S410). In the second embodiment, a Bluetooth access point 430 is provided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The Bluetooth access point 430 accesses the management operation server 440 with access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et (S410).

여기서, 관리 운영 서버(440)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30) 및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30)로 접속하는 데 필요한 접속 정보를 관리한다. Here, the management operating server 440 manages the access information required to connect to the Bluetooth access point 430 and the Bluetooth access point 430.

그리고, 블루투스 접속 정보는 근거리 통신의 종류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430)의 MAC 주소, 보안상 블루투스 연결하는데 필요한 비밀번호인 PIN 코드를 주요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The Bluetooth acces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MAC address of the Bluetooth access point 430, and a PIN code, which is a password required for Bluetooth connection for security, as key information.

제2 실시 예에서, RFID 리더기(420)는 블루투스 접속 정보를 관리 운영 서버(440)로부터 전달받아 설정하고, 무선 주파수를 통해 송신한다(S412, S414).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FID reader 420 receives the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server 440, and transmits the Bluetooth conne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radio frequency (S412, S414).

그러면, RFID 태그를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410)가 RFID 리더기(420)의 통신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제1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410)가 블루투스를 통해 인터넷(450)과 통신하게 된다. Then, when the portable personal terminal 410 having the RFID tag enters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RFID reader 42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410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Lt; / RTI >

이하, 중복되는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제3 실시 예Thir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이다. 6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지그비(zigbee) 접속에 관한 것으로, 통신 종류만 다를 뿐 제2 실시 예에서 설명한 동 작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relates to a zigbee connection dur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procedur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type of communication.

이에 중복되는 동작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제3 실시 예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는 지그비 액세스 포인트(지그비 AP: 530)가 되며, 개인 휴대 단말기(510)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은 지그비 모듈로 한정될 수 있다. The ZigBee access point (ZigBee AP) 530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ZigBee access point (ZigBee AP 530)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limited to a ZigBee module.

그리고, 지그비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이하, 지그비 접속 정보)는 지그비 액세스 포인트(530)의 MAC 정보와 암호화 키, 암호화 방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주요 정보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ZigBee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ZigBee connection may include MAC information, an encryption key, and the type of the encryption method of the ZigBee access point 530 as key information.

따라서,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510)는 지그비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설정 조작없이 인터넷(55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510 can access the Internet 550 without manipulating the user through the Zigbee communic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근거리 통신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RFID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에는 단말기 내에 RFID 리더기가 탑재되어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 접속시 추가적인 사 용자의 관여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RFID 리더기를 단말기와 별도로 구비하고 RFID 리더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여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조작하여 근거리 통신을 활성화하는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근거리 통신 기술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sing RFID technology, an RFID reader is mounted in a terminal, which not only consumes power of the terminal but also requires additional user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However, the RFID reader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terminal directly to activat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and can utiliz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more easily and effectively throug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l area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RFI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의 신호 흐름도.3 is a signal flow diagram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 local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RF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4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RF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5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도.6 is a signal flow diagram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ing an RF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정에서 제공되는 WiFi 접속 정보를 나타낸 도면. 7 is a diagram illustrating WiFi connec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310: 개인 휴대 단말기 160: RFID 태그100, 310: personal portable terminal 160: RFID tag

200, 320: RFID 리더기 300: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200, 320: RFID reader 300: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400, 350: 인터넷 110: 제어부400, 350: Internet 110:

120: 무선통신부 122: 방송 수신 모듈1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2: broadcast receiving module

124: 이동 통신 모듈 126: 무선 인터넷 모듈124: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6: wireless Internet module

128: 근거리 통신 모듈 130: 사용자 입력부128: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30: User input

140: 전원 공급부 150: 메모리140: Power supply unit 150: Memory

170: RFID 태그 메모리 180: 디스플레이부170: RFID tag memory 180:

330: WiFi AP 340: 관리 운영 서버330: WiFi AP 340: Management Operation Server

430: 블루투스 AP 530: 지그비 AP430: Bluetooth AP 530: ZigBee AP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1.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enable short range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영역(zone)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영역에 위치된 RFID 리더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RFID 태그; 및 The RFID reader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requir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the RFID reader located in the Internet service area and stores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RFID tag memory when it enters the Internet service zone providing the Internet access service through the short- tag; And 상기 RFID 태그의 접속 정보 수신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접속 정보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선택적으로 활성/비활성화시키고, 활성화할 근거리 통신모듈에 대해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로부터 통신 가능한 근거리 통신의 종류를 판별하여 판별한 종류에 따라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And a controller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selectively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local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whether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ransmitting, from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And activates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and activates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to control access to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RFID 태그는, In the RFID tag, 읽기(read)/쓰기(write)가 가능한 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And a chip capable of reading / writing data.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종료한 이후, After termina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바로 이전에 종료한 근거리 통신 연결대한 접속 정보가 중복으로 수신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RFID 태그에서 최근 수신한 접속 정보가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와 동일한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has just been terminated earlier from being received in duplicate to activat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gai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cently received in the RFID tag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And judges whether or not the data is duplica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특정한 시간 동안에만 유효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특정한 시간 동안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특정한 시간 이후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to be valid only for a specific time period so as to activate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during the specific time and deactivate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The short-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Bluetooth, a Wi-Fi, a Bluetooth, and a ZigBee. 삭제delete 삭제delete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controlling a local communication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via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RFID 태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Monitoring whether or not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in an RFID tag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접속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access information in the RFID tag memory when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ceived in the RFID tag;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로부터 근거리 통신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Determining a type of local communication from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판별된 근거리 통신의 종류에 따라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Activating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local area communication; 상기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장비에 통신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및Attemp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when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is activated; And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특정한 시간 동안에만 유효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특정한 시간 동안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특정한 시간 이후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Setting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to be valid only for a specific time period, activat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the specific time, and deactivat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The short-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Wherein th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Wi-Fi, Bluetooth, and ZigBee. 제14항에 있어서, 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근거리 통신 연결을 종료한 이후에는, After termina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바로 이전에 종료한 근거리 통신 연결에 대한 접속 정보가 중복으로 수신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RFID 태그에서 최근 수신한 접속 정보가 상기 RFID 태그 메모리에 저장된 접속 정보와 동일한지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has just been terminated from being received in duplicate to activat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ga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recently received in the RFID tag is the same as the conne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memory A step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duplicated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KR1020090094389A 2009-10-05 2009-10-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KR101605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89A KR101605887B1 (en) 2009-10-05 2009-10-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389A KR101605887B1 (en) 2009-10-05 2009-10-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10A KR20110037110A (en) 2011-04-13
KR101605887B1 true KR101605887B1 (en) 2016-03-23

Family

ID=4404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389A KR101605887B1 (en) 2009-10-05 2009-10-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8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77B1 (en) 2012-03-23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having nearfeild wireless communication reader, device having nearfeild wireless communication tag and method for connecting with ap thereof
KR20140030693A (en)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media streaming service and vehicle av system therefor
KR20140055577A (en) * 2012-10-31 2014-05-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Local area wirel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mobile terminal
KR102332154B1 (en) * 2015-02-17 2021-11-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Network Automatic Connecting Switching System, Mobile and Network Connecting Method
CN104866882A (en) * 2015-06-12 2015-08-26 安徽朗坤物联网有限公司 Ultrahigh-frequency RFID reader-writer device and hopping channel method
KR101953273B1 (en) * 2016-11-29 2019-03-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card mounted ic chip
KR102250170B1 (en) * 2020-05-26 2021-07-02 (주)이츠비전 Server for Providing Responsive Adverti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10A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8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ar filed communic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US2019012449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1002042B1 (en) Device, module and method for shared antenna operation in a RFID technology based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0735427B1 (en) Method for sharing sim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62953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discovery for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with reader device having transponder functionality
EP3829221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4519142B2 (en) Information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information in a contactless information storage device
CN102783223B (e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
EP2986037A1 (en) A method for detecting manipulation by a user of a devic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tag,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US2012030930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
US90987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ce recognition of a second portable data carrier by a first portable data carrier
CN103503323B (e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050024976A (en) Dual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card
JP4252612B2 (en) Communication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832976A (e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1000987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ual mode of portable terminal
CN101515814A (en) Enhance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US82710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81535B1 (en) Method and Devices Transmitting Data for Bluetooth Mobile Phone by RFID
KR101224273B1 (en) Wireless network node
KR101847282B1 (en) Mobile relay system supporting multi-channel point-to-point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6412804B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for logistics tracking
CN103501192A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JP2011253297A (en) Communication device, reader/writer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94900A (en) Unificated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and the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