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347B1 -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47B1
KR101605347B1 KR1020090127136A KR20090127136A KR101605347B1 KR 101605347 B1 KR101605347 B1 KR 101605347B1 KR 1020090127136 A KR1020090127136 A KR 1020090127136A KR 20090127136 A KR20090127136 A KR 20090127136A KR 101605347 B1 KR101605347 B1 KR 10160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on
portable terminal
screen data
external output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338A (ko
Inventor
김희운
장시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47B1/ko
Priority to US12/965,140 priority patent/US8942984B2/en
Priority to PCT/KR2010/009083 priority patent/WO2011074917A2/en
Priority to EP10837913.2A priority patent/EP2514105B1/en
Priority to CN2010800577201A priority patent/CN102668391A/zh
Publication of KR2011007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338A/ko
Priority to US14/584,256 priority patent/US96391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마이크 기반으로 제어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프로젝터, 마이크, 음성, 블로우, 인터랙션, 외부 출력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마이크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데이터를 휴대단말 자체에 구비된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있다. 그런데 휴대단말들이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는 휴대단말의 외형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작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혼자서는 볼 수 있지만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TV-OUT 기능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정보를 외부 대형 표시장치에 출력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별도의 대형 표시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며,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간에 별도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휴대단말에 영상 투사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큰 크기의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도들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벽이나 바닥 등을 외부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는 휴대단말의 내부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휴대단말 내에 포함되는 제어수단(예컨대,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에 물리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제어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 자체에 물리적인 접촉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휴대단말이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휴대단말의 흔들림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외부 스크린에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 역시도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위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수행 중 또는 영화 감상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및 보정을 위한 휴대단말의 조작으로 인해 프리젠테이션 또는 영화 감상에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휴대단말의 위치를 재조정하거나 프로젝터 기능의 옵션을 재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상기 무선 제어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 및 무선 제어수단 모두를 휴대해야 함에 따라 휴대의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스크린으로의 화면데이터 출력 및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지원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과 그의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중에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외부 출력 제어 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마이크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출력 모드에서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마이 크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 기반으로 운용되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 감지 시 상기 옵션정보 및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여 외부 출력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환경에 관계없이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휴대단말 또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함에 따라 외부 스크린에 투사 중인 화면데이터의 흔들림 또는 위치가 변화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 이용 시 어두운 곳 또는 밝은 곳 등의 사용자 이용 환경에 관계없이 내부 마이크 또는 외부 마이크 기반으로 간단하게 제어 인터랙션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부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에 대한 채널전환, 화면전환, 페이지전환, 볼륨가감, FF, REW, 일시정지, 재생, 이미지전환, 슬라이드 쇼 등의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이하, '프로젝터 휴대단말'이라 칭함)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중에 마이크(Microphone) 기반으로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사용자 환경(예컨대, 어두운 장소 또는 밝은 장소)에 관계없이 마이크 기반으로 제어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blow) 인터랙션 등의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식된 인터랙션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를 사용자 환경에 관계없이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중에 사용자의 제어 인터랙션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인터랙션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제어를 처리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크는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되는 내부 마이크를 이용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헤 드셋(BLUETOOTH Headset) 등의 외부기기에 구비되는 외부 마이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 및 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 및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은 풀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도 2는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별된 바 타입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수단(100)과,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입력수단(200)과, 휴대단말에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과,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와 및 사용자 음성 등의 외부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Microphone)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모 듈(300) 기반으로 외부 출력 시에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또는 블로우를 입력받고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생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이크(MIC)는 휴대단말 내부에 구비된 내부 마이크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MIC)의 기능은 외부기기에 구비된 외부 마이크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MIC)의 위치는 반드시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타입에 따라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이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상기 마이크(MIC)의 구성은 생략하고 외부기기의 마이크(MIC) 운용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 배치, 좌측 및 우측 배치, 또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배치 등에 적어도 두 개의 멀티 마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이크(MIC)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음성인신모듈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 또는 서로 다른 형태의 마이크들을 여러 개 사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상측 및 하측으로 구분된 두 개의 마이크(MIC)들을 구비할 시 상측 및 하측의 각 마이크(MIC)들 별로 각각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도록 하고, 인터 랙션이 발생하는 해당 마이크(MIC)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측 마이크와 하측 마이크에서 동일한 형태의 음성이 입력될 지라도 상기 음성을 인식하는 해당 마이크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생성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의 타입이 바 타입인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휴대단말의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마이크(MIC) 운용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뮤직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퍼스널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휴대단말이 그 내부에 마이크(MIC) 구성을 구비하는 것 을 예시로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크(MIC)의 구성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마이크(MIC)의 기능은 특정 외부기기(예컨대, 마이크(MIC)가 내장된 블루투스 헤드셋, 유선 또는 무선 외부 마이크(MIC) 등)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외부기기 기반으로 운용될 시 해당 외부기기와의 오디오신호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젝터 휴대단말은 입력부(200)와, 오디오처리부(400)와, 표시부(100)와, 저장부(500)와, 프로젝터 모듈(300) 및 제어부(60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600)는 입력신호 추출부(610), STT(Speech-To-Text) 변환부(630), 비교부(650) 및 인터랙션 처리부(67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단말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상기 휴대단말의 각 기능들에 대한 설정 및 각 기능들의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신호들을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련된 명령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 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예컨대,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키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일반적인 키 배열(예컨대, 3*4 방식, 4*3 방식 등)의 키패드(keypad), 쿼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및 돔 키(Dome ke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200)는 프로젝터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입력부(200) 조작에 따른 키 신호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접촉에 따른 터치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기 스피커(SPK)와, 사용자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상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마이크(MIC) 및 상기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 선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성분은 비디오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오디오신호, 프로젝터 기능 실행에 따른 알람을 위한 오디오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오디오처리부(400)의 마이크(MIC)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인터랙션을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소리정보 기반의 인터랙션은 사용자 음성 기반으로 입력되는 음성 인터랙션 및 블로우 기반으로 입력되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항시수신모드(Always listening mode) 및 일반수신모드(normal listening 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항시수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항상 사용자의 음성이나 블로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MIC)를 항상 온(On)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반수신모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마이크(MIC)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재생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 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부(100)는 입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가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시 상기 입력부(200)의 구성은 상기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즉,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600)에서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상기 프로젝터 기능에 따른 외부 출력의 기능 제어를 위한 특정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가상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 스크린 상에 출력되는 외부 화면데이터와 다른 내부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상에 외부 출력 기반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GUI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휴대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데이터는 비디오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방송데이터, 사진데이터, 메시지데이터, 문서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지원하는 해당 기능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기능 수행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그의 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가상아이템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화면데이터를 외부로 출력 시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옵션정보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마이크(MIC)의 운용을 위한 수신모드정보,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해 입력되는 제어 인터랙션을 식별하기 위한 키워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드정보는 항시수신모드 및 일반수신모드의 설정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키워드정보는 일반적인 사용자 음성 및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음성을 구분할 수 있는 키워드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기 키워드정보는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명령하는 매직 키워드(Magic keyword)와 상기 매직 키워드에 의해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 또는 블로우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어 키워드(Command keyword)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정보에 대한 예시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09078590800-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키워드정보는 크게 상기 매직 키워드와 상기 명령어 키워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매직 키워드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위한 음성 또는 블로우 등의 인터랙션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하는 명령어를 나타낸다. 즉,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MIC)가 항시수신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면, 제어 명령이 아닌 일반적인 사용자의 음성,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재생되는 비디오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 등에 포함된 오디오신호 및 기타의 외부 잡음(noise) 등이 상기 마이크(MIC)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직 키워드에 의해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전에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유입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서는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으로 처리하지 않고 무시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신호 중 기 설정된 매직 키워드(예컨대, 상기 'Magic')의 유입 여부는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키워드는 상기 매직 키워드에 의해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기반으로 외부 출력의 기능 제어를 위한 명령어를 나타낸다. 이러한 명령어 키워드로 사용 가능한 명령어는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크게 음성 명령어와 블로우 명령어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 키워드는 동일한 명령어일지라도 마이크(MIC) 운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성 명령어로 사용 가능한 명령어는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Play', 'Pause', 'Next', 'Next', 'Previous', 'Forward', 'Rewind', 'Volume up', 'Volume down', 'Zoom in', 'Zoom out', 'Power on', 'Power off'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 명령어 및 해당 음성 명령어에 의한 실행 기능은 휴대단말 제조 시 기본 설정 값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정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블로우 명령어로 사용 가능한 명령어는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설정되는 임계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하나의 마이크를 운용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입력되는 블로우의 길이 및 입력되는 블로우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반으로 실행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블로우의 길이는 기 설정된 시간(Time) 값(T) 임계치(이하, 'T 임계치'라 칭함)를 기준으로 'T 임계치 미만' 또는 'T 임계치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우의 세기는 기 설정된 세기(Strength) 값(S) 임계치(이하, 'S 임계치'라 칭함)를 기준으로 'S 임계치 미만' 또는 'S 임계치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우의 길이 및 블로우의 세기에 따른 'T 임계치'와 'S 임계치'를 조합하여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미만',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이상', 'T 임계치 이상 S 임계치 미만', 'T 임계치 이상 S 임계치 이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로우의 길이 및 블로우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상기와 같이 블로우 명령어 및 해당 블로우 명령어에 의한 실행 기능은 휴대단말 제조 시 기본 설정 값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정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 1>에서는 블로우 명령어에 대해 두 개의 마이크(MIC) 운용 시의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도 두 개의 마이크들 운용에 따른 기능 설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표 1>에서는 본 발명이 하나의 마이크(MIC) 또는 두 개의 마이크들로 운용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개로 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마이크는 상기 휴대단말 내부에 구성되는 마이크(MIC) 및 외부기기에 구성되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합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워드정보, 명령어 및 그에 매핑되는 기능은 상기 휴대단말에서 기본 값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정, 삭제 및 추가 등의 편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의 표시 방식이 설정되는 표시정보를 상기 옵션정보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매직 키워드에 의해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시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명령어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상기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이하, '내부 화면데이터'라 칭함)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이하, '외부 화면데이터'라 칭함)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화면데이터에 제공되는 상기 명령어는 해당 화면데이터에 팝업(Pop-up) 형태로 실행 명령어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500)는 실행 명령어 정보의 표시 방식을 나타내는 상기 표시정보를 비롯하여 특정 실행 명령어에 의해 기능 제어 시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의 표시 방식을 상기 표시정보에 더 추가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500)는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유입되는 오디오신호를 버퍼링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스마트카드(Smart card) 등과 같이 외부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외부의 모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00)는 RAM,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각각 구성되거나 통합된 하나의 메모리 예를 들면, MCP(Multi Chip Package) 메모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6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600)에서 처리된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에 왜곡 없이 투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기능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200)와, 상기 오디오처리부(400)와, 상기 표시부(100)와, 상기 저장부(5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등과 같은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외부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마이크(MIC)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 입력으로 처리하고, 해당 인터랙션에 대응하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전달되는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 진입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의 수신모드정보 기반으로 마이크(MIC) 운용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상기 마이크(MIC)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오디오신호가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에 대응할 시 그에 따른 인터랙션을 발생하여 외부 출력에 대해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표시부(100)를 통한 화면데이터(내부 화면데이터) 출력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화면데이터(외부 화면데이터)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출력 제어 시 상기 표시부(100)를 오프(off)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100) 기반의 내부 화면데이터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와 외부 화면데이터를 분리하여 서로 다른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모든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재생/실행되는 해당 화면데이터 자체만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할 때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신호 추출부(610)와, STT(Speech-To-Text) 변환부(630)와, 비교부(650)와, 인터랙션 처리부(670)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는 상기 마이크(MIC)로 유입되어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음성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이거나 또는 블로우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는 상기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가 음성 인터랙션 기반인지 블로우 인터랙션 기반인지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630)는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오디오신호의 타입에 따른 해당 오디오신호의 변환을 처리한다. 상기 변환부(630)는 오디오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To-Text) 변환부 및 오디오신호를 음압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압 변환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환부(630)는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오디오신호가 음성 인터랙션 기반의 오디오신호이면 해당 오디오신호를 상기 STT 변환부 기반으로 텍스트신호로 변환한다. 또는 상기 변환부(630)는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오디오신호가 블로우 인터랙션 기반의 오디오신호이면 해당 오디오신호를 상기 음압 변환부 기반으로 음압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상기 변환부(630)는 변환된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를 상기 비교부(650)로 전달한다.
상기 비교부(650)는 상기 변환부(630)에서 전달된 텍스트신호의 텍스트를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 중 음성 명령어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650)는 상기 변환부(630)에서 전달된 음압신호를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 중 블로우 명령어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650)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결과 값을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비교부(65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전에 입력된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비교하고,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후에 입력된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음성 명령어 또는 블로우 명령어)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650)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상기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와 비교되는 해당 키워드와의 일치 여부에 따른 결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는 상기 비교부(65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된 입력신호 기반의 인터랙션에 대한 처리를 제어한다.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는 상기 텍스트신호 또는 음악신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시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해당 입력신호에 의한 인터랙션 발생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는 상기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할 시 일치되는 해당 명령어 매핑된 기능 실행을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하고 해당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 수행 시 상기 마이크(MIC)로 유입되어 상기 오디오처리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는 음성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이거나 또는 블로우에 해당하는 오디오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음성 인터랙션인지 블로우 인터랙션인지를 구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른 입력신호가 전달될 시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입력신호를 매직 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 하고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60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입력신호를 명령어 키워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해당 명령어 기반으로 외부 출력 제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이 음성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변환부(630)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오디오신호를 텍스트신호로 변환하여 텍스트를 생성한다. 이는 STT 변환 기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부(650)를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텍스트와 상기 저장부(500)에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전의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비교하고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후의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부(650)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인터랙션에 대한 처리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시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50)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해당 입력신호에 의한 인터랙션 발생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할 시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50)를 기반으로 상기 키워드 정보 중 일치하는 음성 명령어에 따른 제어 인터랙션을 발생하고 그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이 블로우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변환부(630)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 추출부(610)에서 추출된 오디오신호를 음압(sound pressure)신호로 변환한다. 이는 입력 오디오신호를 음압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부(650)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500)에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전의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비교하고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이후의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부(650)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인터랙션에 대한 처리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압신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시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해당 입력신호에 의한 인터랙션 발생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압신호가 상기 키워드 정보와 일치할 시 상기 인터랙션 처리부(670)를 기반으로 상기 키워드 정보 중 일치하는 블로우 명령어에 따른 제어 인터랙션을 발생하고 그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한 절차에 대응하여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제어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 중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 명령어 정보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에 따른 실행 명령어 정보 출력 후 입력되는 인터랙션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 제어 시 상기 표시정보를 기반으로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해당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본 발명의 마이크(MIC) 운용 방식에 따른 외부 출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하나의 마이크(MIC)로 운용될 시 전술한 <표 1>을 참조한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하나의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인터랙션으로 처리하고 그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다수개의 마이크(MIC)들로 운용될 시 전술한 <표 1>을 참조한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마이크(MIC)들 중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해당 마이크(MIC)에 대응하게 설정된 인터랙션 기반으로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표 1>의 예시에서 제1마이크 기반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른 인터랙션과 제2마이크 기반으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른 인터랙션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제1마이크를 통해 'T 임계치 미만'의 블로우를 입력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마이크 기반의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라 일시정지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마이크를 통해 'T 임계치 미만'의 블로우를 입력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마이크 기반의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라 재생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동일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더라도 상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해당 마이크에 따라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 동작 예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 및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프로젝터 모듈(300) 운용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 제어와 관련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담당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한 일련의 제어 기능은 해당 기능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등의 위치정보 수신기,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화상통화 서비스 지원을 위한 카메라모듈,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 상기 휴대단말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음성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401>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특정 화면데이터가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상기 휴대단말의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특정 장치의 구성 요소(예컨대, 화이트 스크린 등)를 활용하거나 또는 벽면, 바닥 등과 같은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가 투사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물체를 나타낸다.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방송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재생되는 동적인 화면데이터와, 뷰어 어플리케이션(예컨대,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뷰어 어플리케이션, 전자책 뷰어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표시되는 정적인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401> 및 참조부호 <4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MIC) 또는 외부기기(예컨대, 블루투스 헤드셋 등)에 구비된 마이크(MI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401> 및 참조부호 <403>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위한 설정된 키워드(예컨대, 'Magic')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로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이상'에 해당하는 블로우 키워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이상'에 해당하는 블로우 입력을 통해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구분한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401> 및 참조부호 <403>에서는 상기 입력신호가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성 인터랙션의 상기 입력신호를 STT 변환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상기 매직 키워드와 일치할 시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참조부호 <4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외부 출력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실행 명령어 정보(80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제어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특히, 표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 명령어 정보(800)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행 명령어 정보(8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의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03>과 같이 출력된 실행 명령어 정보(800)를 참조하여 희망하는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MIC) 또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마이크(MI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403>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설정된 키워드(예컨대, 'Volume up')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구분한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403>에서는 상기 입력신호가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성 인터랙션의 상기 입력신호를 STT 변환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특히, 음성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상기 명령어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와 일치할 시 참조부호 <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치되는 키워드의 명령어(예컨대, 'Volume up') 기반의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인식하는 명령어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볼륨 가감을 제어(예컨대, 상기 명령어에 따른 볼륨 업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이러한 동작 외에 인식하는 해당 명령어 기반으로 상기 <표 1>의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명령어 기반의 기능 제어 시 상기 참조부호 <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외부 출력에서 제어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실행정보(85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실행정보(850) 출력 제어 시 기 설정된 옵션정보(특히, 표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정보(850)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행정보(8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의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행정보(850)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아이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설정시간 또는 기능 제어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실행정보는 기 실행 기능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된 후 제거되거나 또는 해당 기능 제어가 이루어지는 동안 표시된 후 해당 기능 제어 해제 시 그의 표시가 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05>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특정 기능 제어 후 희망하는 다른 기능 제어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03>과 같이 매직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통해 실행 명령어 정보(800)를 재호출 하거나, 상기 참조부호 <405>와 같이 명령어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통해 다른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참조부호 <401>에서와 같이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매직 키워드 및 명령어 키워드 모두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일치하는 해당 키워드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405>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희망 기능 제어가 완료될 시 해당 화면데이터의 시청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마이크(MIC) 기반의 새로운 입력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비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참조부호 <501>은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특정 화면데이터가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에 투사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의 화면데이터를 프로젝터 모듈(300) 기반의 외부 출력 기능에 의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데이터는 재생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동적인 화면데이터이거나 뷰어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정적인 화면데이터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참조부호 <5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참조부호 <501> 및 참조부호 <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MIC) 또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마이크(MI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501> 및 참조부호 <503>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위한 설정된 키워드(예컨대, 'Magic')에 대응하는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위한 키워드로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이상'에 해당하는 블로우 키워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T 임계치 미만 S 임계치 이상'에 해당하는 블로우 입력을 통해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구분한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501> 및 참조부호 <503>에서는 상기 입력신호가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성 인터랙션의 상기 입력신호를 STT 변환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상기 매직 키워드와 일치할 시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도 5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제어부(600)는 전술한 도 4의 참조부호 <4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제어 시 내부 화면데이터 또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실행 명령어 정보(800)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매직 키워드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을 발생한 후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한 후 상기 참조부호 <5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인터랙션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MIC) 또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마이크(MI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503>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출력 기능 제어를 위한 설정된 키워드(예컨대, 'T 임계치 이상 S 임계치 이상')에 대응하는 블로우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는 상기 사용자 블로우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구분한다. 이때, 상기 참조부호 <503>에서는 상기 입력신호가 블로우 인터랙션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블로우 인터랙션의 상기 입력신호를 음압 변환에 의해 음압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압신호를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특히, 블로우 키워드)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환된 음압신호가 기 설정된 상기 명령어 키워드 중 특정 키워드와 일치할 시 참조부호 <5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치되는 키워드의 명령어(예컨대, 이전 페이지 전환) 기반의 해당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인식하는 명령어 기반으로 외부 출력 중인 화면데이터에 대한 페이지 전환을 제어(예컨대, 상기 명령어에 따른 이전 페이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이러한 동작 외에 인식하는 해당 명령어 기반으로 상기 <표 1>의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명령어 기반의 기능 제어 시 전술한 도 4의 참조부호 <4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화면데이터 또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 상에 실행정보(85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05>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특정 기능 제어 후 희망하는 다른 기능 제어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매직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통해 실행 명령어 정보(800)를 호출 하거나, 명령어 키워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음성 인터랙션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을 통해 다른 기능 제어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매직 키워드 및 명령어 키워드 모두를 비교할 수 있으며, 일치하는 해당 키워드에 따른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상기 참조부호 <505>와 같이 외부 출력에 대한 희망 기능 제어가 완료될 시 해당 화면데이터의 시청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마이크(MIC) 기반의 새로운 입력신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비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의 예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를 통해 유입되는 블로우 인터랙션 기반의 해당 명령어 키워드에 따라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나타내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로우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하나의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 1>의 예시에서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른 명령어 키워드 설정은 생략하고 모든 형태의 블루우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설정된 하나의 특정 기능을 바로 수행하도록 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5의 예시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휴대단말이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마이크들로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마이크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예시에서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 일 영역에 위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마이크가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예시에서 휴대단말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 일 영역에 위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로우 인터랙션에 대해서 각각의 마이크 별로 특정 하나의 기능 또는 명령어 키워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표 1>의 예시에서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른 명령어 키워드 설정은 생략하고 모든 형태의 블루우 인터랙션에 대해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 각각에 서로 다른 특정 기능 하나씩을 설정(예컨대, 제1마이크: 이전 페이지 이동, 제2마이크: 다음 페이지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이크 기반으로 블로우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마이크에 설정된 이전 페이지 이동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마이크 기반으로 블로우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마이크에 설정된 다음 페이지 이동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제1마이크 및 제2마이크 각각에 대해 명령어 키워드별로 다양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마이크 기반으로 블로우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블로우 인터랙션과 상기 제1마이크에 대해 기 설정된 명령어 키워드 중 일치되는 명령어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이크 기반으로 블로우 인터랙션이 발생할 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블로우 인터랙션과 상기 제2마이크에 대해 기 설정된 명령어 키워드 중 일치되는 명령어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여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젝터 기능을 휴대단말에 형성된 입력수단(예컨대, 입력부(200), 표시부(100) 및 마이크(MIC) 등)를 이용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에 의한 프로젝터 기능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900) 상에 투사하는 외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601단계).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100)를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 중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마이크(MIC)를 활성화할 수 있다(603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마이크(MIC)의 자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 구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기반의 입력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마이크(MIC)의 수동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기 설정된 옵션정보의 수신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항시수신모드로 운용하거나 또는 일반수신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외부 출력 중에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605단계). 즉,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에 구비된 마이크(MIC)를 이용하여 외부 출력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음성 또는 블로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MIC)는 외부기기에 구비된 마이크(MIC)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또는 블로우 등의 입력신호를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인터랙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른 인터랙션을 분석한다(607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가 음성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것인지(609단계)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것인지(613단계)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분석에 의해 상기 609단계에서 상기 인터랙션이 음성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할 시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성 인터랙션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611단계). 이러한 동작 예시는 전술한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랙션 분석 후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분석에 의해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인터랙션이 블로우 인터랙션인 것으로 결정할 시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615단계). 이러한 동작 예시 전술한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랙션 분석 후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607단계에서 분석된 인터랙션이 음성 인터랙션 및 블로우 인터랙션 모두에 대응하지 않을 시 해당 인터랙션의 입력신호를 무시 처리한다(617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에서 특정 동영상 재생에 의한 화면데이터의 외부 출력 시 상기 동영상 재생에 따른 오디오데이터가 상기 휴대단말의 스피커(SPK) 기반으로 출력되고,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데이터가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MIC)로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 내에서 출력되어 다시 인입되는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사용자의 음성 또는 블로우만을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바지 인(Barge-in) 기능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마이크 기반의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신호 기반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시(701단계), 인터랙션 분석에 의해 상기 인터랙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703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분석에 의하여 인터랙션이 음성 인터랙션인지 또는 블로우 인터랙션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분석 및 결정 동작은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해당 동작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을 결정하면 상기 인터랙션의 타입에 대응하여 해당 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변환 방식으로 변환한다(70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 STT 변환 방식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텍스트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블로우 인터랙션인 경우 음압 변환 방식 기반으로 상기 입력신호를 음압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 동작은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한 해당 동작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에 따른 입력신호의 변환이 완료될 시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상태인지 비활성화 상태인지를 판별한다(707단계).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이전에 사용자의 매직 키워드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발생에 의해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이면(707단계의 No) 상기 변환된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이하, '변환신호'라 칭함)를 이용하여 키워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709단계).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매직 키워드와 상기 변환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환신호와 매직 키워드 간의 비교에 의하여 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711단계).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환신호와 일치되는 매직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변환신호와 상기 매직 키워드가 일치하지 않을 시(711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713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무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터랙션이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정보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 및 상기 휴대단말의 스피커(SPK)를 이용한 경고음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변환신호와 상기 매직 키워드가 일치할 시(711단계의 Yes)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 제어할 수 있다(715단계).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전술한 도 4의 참조부호 <403>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표시정보에 따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 명령어 정보(80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후 상기 701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인터랙션 입력을 대기하고, 이후 새로운 인터랙션이 감지될 시 후술하는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7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상태이면(707단계의 Yes) 상기 변환된 텍스트신호 또는 음압신호(이하, '변환신호'라 칭함)를 이용하여 키워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721단계).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키워드 정보 중 명령어 키워드와 사기 변환신호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환신호와 상기 명령어 키워드 간의 비교에 의하여 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723단계).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환신호와 일치되는 명령어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변환신호와 상기 명령어 키워드가 일치하지 않을 시(723단계의 No) 해당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725단계).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마이크(MIC) 기반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무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터랙션이 기 설정된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정보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 및 상기 휴대단말의 스피커(SPK)를 이용한 경고음 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제어부(60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변환신호와 상기 명령어 키워드가 일치할 시(723단계의 Yes) 해당 명령어 키워드에 따른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한다(727단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변환신호와 일치되는 명령어 키워드가 검색될 시 해당 명령어 키워드에 할당된 기능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에 따른 제어 인터랙션을 발생하여 해당 외부 출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전술한 도 4의 참조부호 <40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표시정보에 따라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정보(850)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음성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블로우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인식하여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마이크 기반의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Claims (23)

  1.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진입하면, 기설정된 옵션정보에 따라 마이크(MIC)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는 과정과,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이크에 입력되는 인터렉션 수신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되는 인터랙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인터렉션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된 인터렉션의 타입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인터렉션의 타입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위한 변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인터랙션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 인터랙션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비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와 일치할 시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를 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활성화 상태일 시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명령어 키워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가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와 일치할 시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랙션을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결정된 인터랙션 타입이 음성 인터랙션일 시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서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되는 음성 명령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결정된 인터랙션 타입이 블로우 인터랙션일 시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서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되는 블로우 명령어 키워드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제어 과정은
    상기 활성화된 인터랙션 수신모드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된 새로운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렉션의 타입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인터랙션의 타입에 대응하는 변환 모드에서 상기 새로운 입력신호를 위한 변환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새롭게 변환된 입력신호가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새롭게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하는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 명령어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명령어 정보는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 활성화 시 실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이 상기 제어 인터랙션에 따라 제어될 때 기능 실행됨을 나타내는 실행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인터랙션에 따른 외부 화면데이터의 제어 시 상기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의 온 제어 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화면데이터로 출력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13.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기능에 대한 기설정된 옵션정보 및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출력 모드에서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휴대 단말이 외부 출력 모드에 진입하면, 상기 기설정된 옵션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외부 출력을 수행하고, 상기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이크에 입력되는 인터렉션 수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되는 인터렉션을 감지하고, 감지된 인터렉션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된 인터렉션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감지된 인터렉션의 타입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위한 변환을 실행하고,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의 타입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인입되는 사용자의 음성 인터랙션 또는 사용자의 블로우 인터랙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출력 모드에서 상기 인터랙션에 따라 외부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면 상기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온(On)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의 온 제어 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화면데이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제어 인터렉션을 발성하고, 상기 제어 인터렉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 수신모드 활성화 상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랙션 수신모드가 비활성화일 시, 상기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고;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상기 기설정된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 활성화 상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렉션 수신모드 활성화 시,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명령어 키워드 정보를 비교하고; 및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가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렉션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9. 제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의 타입이 음성 인터렉션이면,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하는 음성 명령어 키워즈를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로 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랙션의 타입이 블로우 인터렉션이면, 상기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하는 블로우 명령어 키워드를 상기 명령어 키워드 정보로 부터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인터렉션 수신모드에서 상기 마이크에 입력되는 새로운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렉션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렉션의 타입에 대응하는 변환 모드에서 상기 새로운 입력신호을 위한 변환을 실행하고,
    상기 새롭게 변환된 입력신호를 명령어 키워드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새롭게 변환된 입력신호와 일치하는 명령어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렉션을 기반으로 상기 외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 명령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실행 명령어 정보는 상기 인터렉션 수신모드 활성화 시, 실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출력이 상기 제어 인터렉션에 따라 제어될 때, 기능 실행됨을 나타내는 실행정보를 상기 휴대단말에 표시되는 내부 화면데이터 및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외부 화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데이터에 실행 명령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090127136A 2009-12-18 2009-12-18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36A KR101605347B1 (ko) 2009-12-18 2009-12-18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965,140 US8942984B2 (en) 2009-12-18 2010-12-10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mobile device
PCT/KR2010/009083 WO2011074917A2 (en) 2009-12-18 2010-12-17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mobile device
EP10837913.2A EP2514105B1 (en) 2009-12-18 2010-12-17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mobile device and corresponding mobile device
CN2010800577201A CN102668391A (zh) 2009-12-18 2010-12-17 用于控制移动装置的外部输出的方法和***
US14/584,256 US9639149B2 (en) 2009-12-18 2014-12-29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output of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136A KR101605347B1 (ko) 2009-12-18 2009-12-18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338A KR20110070338A (ko) 2011-06-24
KR101605347B1 true KR101605347B1 (ko) 2016-03-22

Family

ID=4415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136A KR101605347B1 (ko) 2009-12-18 2009-12-18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942984B2 (ko)
EP (1) EP2514105B1 (ko)
KR (1) KR101605347B1 (ko)
CN (1) CN102668391A (ko)
WO (1) WO20110749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5639B2 (en) * 2007-11-26 2012-05-08 Nasrin Chaparian Amirmokri NanoPC mobile personal computing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605347B1 (ko) * 2009-12-18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066633A1 (en) * 2011-09-09 2013-03-14 Verisign, Inc. Providing Audio-Activated Resource Access for User Devices
US20130076633A1 (en) * 2011-09-27 2013-03-28 Ctx Virtual Technologies Integrated, portable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
US9088815B2 (en) * 2011-11-17 2015-07-21 Tip Solutions, Inc. Message inj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692997A (zh) * 2011-11-25 2012-09-26 北京十分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终端操作的方法
CN102523347A (zh) * 2011-12-16 2012-06-27 广东步步高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电子产品中的吹气操控方法和装置
CN103383594B (zh) * 2012-05-04 2018-01-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2799266A (zh) * 2012-06-28 2012-11-28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声控方法
CN103780738B (zh) * 2012-10-17 2017-08-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102091003B1 (ko) 2012-12-10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064516B (zh) * 2012-12-18 2015-10-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翻页方法以及装置
KR102019719B1 (ko) * 2013-01-17 2019-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영상처리 시스템
CN104007809B (zh) * 2013-02-27 2017-09-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4063155B (zh) * 2013-03-20 2017-12-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内容分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3218122B (zh) * 2013-04-25 2016-08-31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声控屏幕方法
US20150043311A1 (en) * 2013-08-09 2015-02-12 Your Voice S.P.A. Execution of command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50040445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4715757A (zh) * 2013-12-13 2015-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声控操作方法及装置
CN103955278A (zh) * 2014-05-15 2014-07-3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的方法及终端
KR102208477B1 (ko) 2014-06-30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327711B2 (en) * 2014-12-05 2022-05-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rnal visual interactions for speech-based devices
CN104882141A (zh) * 2015-03-03 2015-09-02 盐城工学院 一种基于时延神经网络和隐马尔可夫模型的串口语音控制投影***
CN105160695B (zh) * 2015-06-30 2019-0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照片处理方法及移动终端
KR20170004160A (ko) * 2015-07-01 2017-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261360A (zh) * 2015-09-23 2016-01-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翻页装置及方法
CN106095073A (zh) * 2016-05-30 2016-11-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指令的发送方法及装置
US10438583B2 (en) * 2016-07-20 2019-10-08 Lenovo (Singapore) Pte. Ltd. Natural language voice assistant
US10621992B2 (en) 2016-07-22 2020-04-14 Lenovo (Singapore) Pte. Ltd. Activating voice assistant based on at least one of user proximity and context
US10079015B1 (en) * 2016-12-06 2018-09-18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layer keyword detection
CN107025201B (zh) * 2017-03-28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设备匹配的方法及用户设备
US10664533B2 (en) 2017-05-24 2020-05-26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response cue for digital assistant based on context
KR102389041B1 (ko) * 2017-08-11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머신 러닝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11308472B2 (en) 2018-03-30 2022-04-19 Block, Inc. Temporarily provisioning functionality in a multi-device point-of-sale system
US11334861B2 (en) 2018-03-30 2022-05-17 Block, Inc. Temporarily provisioning functionality in a multi-device point-of-sale system
US11328279B2 (en) 2018-03-30 2022-05-10 Block, Inc. Multi-state merchant-facing device
US11514452B2 (en) * 2018-03-30 2022-11-29 Block, Inc. Multi-device point-of-sale system having multiple merchant-facing devices
CN108766427B (zh) * 2018-05-31 2020-10-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语音控制方法及装置
CN109068087B (zh) * 2018-09-14 2020-04-21 大连成者科技有限公司 智能会议投影***
CN109994111B (zh) * 2019-02-26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099635B2 (en) * 2019-09-27 2021-08-24 Apple Inc. Blow event detection and mode switch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KR20220024557A (ko) * 2019-10-15 2022-03-03 구글 엘엘씨 자동화된 어시스턴트에 의한 응답 액션을 트리거하기 위한 핫 명령의 검출 및/또는 등록
US11221690B2 (en) * 2020-05-20 2022-01-11 Micron Technology, Inc. Virtual peripherals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9303B1 (en) * 2001-02-22 2009-02-10 Pryor Timothy R Reconfigurable instrument panels
US5878395A (en) 1995-12-08 1999-03-02 Intermec Ip Corp. Code reading terminal with integrated vehicular head-up display capability
US6594632B1 (en) 1998-11-02 2003-07-15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s-free operation of a voice recognition system
US6965863B1 (en) 1998-11-12 2005-11-15 Microsoft Corporation Speech recognition user interface
US6975944B1 (en) 1999-09-28 2005-12-13 Alpha Mos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aterials used in electronics
US6820056B1 (en) 2000-11-21 2004-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gnizing non-verbal sound commands in an interactive computer controlled speech word recognition display system
JP2005208292A (ja) 2004-01-22 2005-08-04 Canon Inc 音声認識機能付き情報提示装置
US7769705B1 (en) * 2004-05-21 2010-08-03 Ray Anthony Luechtefeld Method, artificially intelligent system and networked complex for facilitating group interactions
US8898098B1 (en) * 2004-05-21 2014-11-25 Ray Anthony Luechtefeld Method, artificially intelligent system and networked complex for facilitating group interactions
US7329005B2 (en) 2004-08-31 2008-02-1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and system for a beam projector having an audio capability device
KR100690611B1 (ko) 2004-12-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복합 단말기의 프리젠테이션 기능 구현 장치
US7562383B2 (en) * 2005-04-20 2009-07-14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 dynamic user interface proxy using physical keys
US8223242B2 (en) * 2005-12-06 2012-07-17 Panasonic Corporation Digital camera which switches the displays of image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JP5489981B2 (ja) * 2007-04-18 2014-05-14 ルイディ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転記装置に転換できる関連表面を伴う先組み部品
US7926958B2 (en) 2007-07-30 2011-04-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90036227A (ko) 2007-10-09 2009-04-14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벤트 구동 빔-프로젝터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090043240A (ko) 2007-10-29 2009-05-0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메시지 커맨드를 이용한 빔-프로젝터 이동통신단말기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빔-프로젝터 이동통신단말기
US8175639B2 (en) 2007-11-26 2012-05-08 Nasrin Chaparian Amirmokri NanoPC mobile personal computing and communication device
US8471868B1 (en) * 2007-11-28 2013-06-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ojector and ultrasonic gesture-controlled communicator
JP2009147410A (ja) * 2007-12-11 2009-07-02 Sony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
KR101476291B1 (ko) 2008-01-07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바람 인터랙션 제어방법
CN101546244A (zh) 2008-03-27 2009-09-30 明基电通(上海)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396633B1 (ko) 2008-06-10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리 신호를 이용한 영상 출력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3615B1 (ko) 2008-06-12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음성 인식 방법
KR101509007B1 (ko) * 2009-03-03 2015-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86913B1 (ko) * 2009-08-13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 2009-12-18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71349A (ko) * 2009-12-21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359020B2 (en) * 2010-08-06 2013-01-22 Google Inc. Automatically monitoring for voice input based on context
KR101919792B1 (ko) * 2012-09-20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8209B1 (ko) * 2012-09-24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8391A (zh) 2012-09-12
EP2514105B1 (en) 2015-10-28
US8942984B2 (en) 2015-01-27
US9639149B2 (en) 2017-05-02
EP2514105A4 (en) 2013-10-02
WO2011074917A2 (en) 2011-06-23
US20110153323A1 (en) 2011-06-23
US20150116211A1 (en) 2015-04-30
EP2514105A2 (en) 2012-10-24
KR20110070338A (ko) 2011-06-24
WO2011074917A3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347B1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727951B2 (en) Display apparatus, voice acquiring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JP5819269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46111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11030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U2666966C2 (ru) Способ и прибор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аудио
KR101262700B1 (ko)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US8700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CN102668390B (zh) 用于控制移动装置的输出的方法和***
JP2013037689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532933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71349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84653A (ko) 휴대단말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KR20110054609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EP371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3141237A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20057799A (ko) 휴대단말에서 사전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663015B1 (ko)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8120768A1 (zh) 一种遥控方法和终端
KR20110099991A (ko) 컬러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122027A (ko)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968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