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590B1 -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590B1
KR101604590B1 KR1020140073275A KR20140073275A KR101604590B1 KR 101604590 B1 KR101604590 B1 KR 101604590B1 KR 1020140073275 A KR1020140073275 A KR 1020140073275A KR 20140073275 A KR20140073275 A KR 20140073275A KR 101604590 B1 KR101604590 B1 KR 10160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acuum
mold
insulation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494A (ko
Inventor
장현진
진은미
Original Assignee
장현진
진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진, 진은미 filed Critical 장현진
Priority to KR102014007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5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8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타설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벽(200); 상기 제1외벽(200)과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제2타설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벽(400); 및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단열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building cover heat insulation is improved and producing method for this}
본 발명은 단열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를 건축용 마감재로 활용하여 제조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녹색성장을 국가성장의 정책방향으로 설정하여 법률에 의한 규제강화와 더불어 민간의 자율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으며, 이 중 'green house'은 녹색성장의 핵심요소이다.
국내에서는 2009년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발표하였고 그 해 건축물 에너지 효율 등급 강화와, 2011년부터 주택에너지 30% 절감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주택에너지를 60%이상 절감해야 하고, 2018년에는 기존 주택 100만 가구 그린홈 변경계획, 나아가 2025년부터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green home' 건축을 위한 핵심요소로 건축물의 내부단열성능이 강화 되고 있으며, 따라서 건축용 마감재로, 고성능 단열재가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열재는 유기계 단열재로 폴리스티렌 단열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비드법 폴리스티렌 단열재(EPS)와 압출법 폴리스티렌(XPS) 단열재가 있으며, 우레탄을 발포시킨 우레탄보드(PUR, PIR), 그리고 발포 폴리에틸렌(PE) 단열재등이 있다. 무기계 단열재로는 그라스울, 미네랄울 등이 있으며, 단열성능을 대폭향상시킨 에어로겔이 있다.
최근 국내에 알려진 최신단열재로 진공단열재가 있다. 진공단열재는 통상적으로 VIP(Vacuum Insulation Panel)로 불려지며 단열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단열재 내부를 1mbar 이하로 진공처리 한 제품이다. 진공단열재는 기존 일반 단열재 대비 단열성능이 약 8배 이상, 상기의 에어로겔 단열성능 대비 약 3배이상으로 이미 해외에는 널리 알려진 단열재이다.
일반적으로 단열재가 열전도율 값이 0.031~0.045W/mK의 단열성능을 나타내는 반면, 진공단열재는 열전도율값이 0.0045W/mK이하의 고성능을 나타내는 단열재로 같은 열관류율을 구현함에 있어 두께는 최소화 할 수 있고 공간의 유효면적은 최대화 할 수 있어 독일을 주축으로 유럽 주변국가 및 중국,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가전제품을 비롯하여 건축물 등 많은 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물을 위해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단열을 보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매우 우수한 진공단열재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진공단열재를 건축용 마감재로 사용하기에는 장애요인이 많아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진공단열재는 흄드실리카(fumed silical)로 이루어지는 심재(core)가 외피로 감싸여진 형태이다.
이 때,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은 3~4 mW/mK로, 25년 정도 후에는 8 mW/mK로 증가하는데 이는 수분 및 공기가 진공단열재의 외피 및 내부로 침투하기 때문이다.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은 50~100년 후에는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진공단열재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진공단열재가 나사와 못같은 것에 의해 천공될 경우, 열전도율이 20 mW/mK 이상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진공단열재는 공사현장에서 절단되거나 단열성능의 손실 없이 구멍을 뚫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750091호의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이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50091호 (2007.08.1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단열재를 타설재로 둘러싼 마감재를 제조하여 진공단열재의 파손과 단열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은 일면이 개구된 형틀(100)의 내부에 제1타설재를 타설하여 제1외벽(200)을 형성하는 제1타설단계(S10);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외벽(200) 상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하는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제2타설재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외벽(200)와 일체화되는 제2외벽(400)을 형성하여 상기 진공단열재(300)를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2타설단계(S30); 및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양생한 후, 분리하여 건축용 마감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로 채워지는 다수의 타공(3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을 메쉬망(500)으로 둘러싼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는 제1타설재로 이루어지는 제1외벽(200); 상기 제1외벽(200)과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제2타설재로 이루어지는 제2외벽(400); 및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내삽되는 진공단열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은 진공단열재를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로 둘러싼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여 진공단열재의 파손과 단열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 방법은 제1타설단계(S10),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 제2타설단계(S30), 및 양생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타설단계(S10)에서는 일면이 개구된 형틀(100)의 내부에 제1타설재를 타설하여 제1외벽(200)을 형성한다.
상기 형틀(100)은 일면이 직육면체 형태로 개구된 판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타설재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 절반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에 접촉된다.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내부에 진공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타설단계(S30)에서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제2타설재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외벽(200)과 일체화되는 제2외벽(400)을 형성하여 상기 진공단열재(300)를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내삽한다.
또한, 상기 제2타설재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 나머지 절반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생단계(S40)에서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양생한 후, 상기 형틀(100)에서 분리하여 건축용 마감재를 제조한다.
이 때, 상기 양생은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48시간 이상 증기로 양생한다.
이 때, 증기의 온도는 60 내지 100도, 증기의 상대습도는 60 내지 100%인 것이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의 견고한 양생을 위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는 공지된 재료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에서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의 부착성을 강화하기 위한 재질로서, 인산염과 알코올이 함유된 부티랄 수지도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로 채워지는 다수의 타공(3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에서 상기 제1타설재가 상기 다수의 타공(301)으로 일부 유입되며, 상기 제2타설단계(S30)에서 상기 제2타설재가 상기 다수의 타공(301)으로 일부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타공(301)이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로 채워져서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제1외벽(200) 및 제2외벽(400)이 서로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열팽창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에서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을 메쉬망(500)으로 둘러싼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메쉬망(500)은 상기 제1외벽(200)을 이루는 상기 제1타설재와 상기 제2외벽(400)을 이루는 제2타설재를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좀 더 견고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양생단계(S40)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이루는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를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에 좀 더 밀착한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를 양생한 후, 분리하여 건축용 마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외벽(200)과 진공단열재(300)의 사이와 상기 제2외벽(400)과 진공단열재(300)의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하여 상기 제1외벽(200) 및 제2외벽(400)과 진공단열재(300)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외벽(200) 및 제2외벽(400)과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면이 플라즈마 처리 될 수 있다.
이 때,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는 제1외벽(200), 제2외벽(400), 및 진공단열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외벽(200)은 제1타설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외벽(400)은 상기 제1외벽(200)과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제2타설재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내삽된다.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외면에 프라이머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의 부착성을 강화하기 위한 재질로서, 인상염과 알코올이 함유된 부티랄 수지도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로 채워지는 다수의 타공(30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제1외벽(200) 및 제2외벽(400)이 서로 좀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을 둘러싸는 메쉬망(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500)은 상기 제1외벽(200)을 이루는 상기 제1타설재와 상기 제2외벽(400)을 이루는 제2타설재를 상기 진공단열재(300)와 좀 더 견고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는 건물의 내벽체에 결합되는 내장마감재이거나 건물의 외벽체에 결합되는 외장마감재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은 진공단열재를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로 둘러싼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여 진공단열재의 파손과 단열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형틀
200 : 제1외벽
300 : 진공단열재
301 : 타공
310 : 요철
400 : 제2외벽
500 : 메쉬망

Claims (6)

  1. 일면이 개구된 형틀(100)의 내부에 제1타설재를 타설하여 제1외벽(200)을 형성하는 제1타설단계(S10);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외벽(200) 상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하는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제2타설재를 타설하여 상기 제1외벽(200)과 일체화되는 제2외벽(400)을 형성하여 상기 진공단열재(300)를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2타설단계(S30); 및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양생한 후, 분리하여 건축용 마감재를 제조하는 양생단계(S40);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을 메쉬망(500)으로 둘러싼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진공단열재(300)를 배치하며,
    상기 양생단계(S40)는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1외벽(200)과 제2외벽(400)을 이루는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를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에 좀 더 밀착한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를 양생한 후, 분리하며,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외벽(200) 및 제2외벽(400)과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면이 플라즈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설재와 제2타설재는
    시멘트, 황토, 콘크리트, 석고, 폴리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 배치 단계(S20)는
    상기 진공단열재(300)의 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다음, 상기 형틀(100)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300)는
    상기 제1타설재 및 제2타설재로 채워지는 다수의 타공(3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40073275A 2014-06-17 2014-06-17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275A KR101604590B1 (ko) 2014-06-17 2014-06-17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275A KR101604590B1 (ko) 2014-06-17 2014-06-17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494A KR20150144494A (ko) 2015-12-28
KR101604590B1 true KR101604590B1 (ko) 2016-03-18

Family

ID=5508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275A KR101604590B1 (ko) 2014-06-17 2014-06-17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158B1 (ko) * 2020-05-14 2022-05-09 김영동 진공 패널, 이를 구비한 건축자재 및 도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14Y1 (ko) 2003-09-17 2003-12-24 안승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09162038A (ja) 2007-12-10 2009-07-23 Fp Corporation Ltd 建築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091B1 (ko) 2007-01-25 2007-08-21 김미경 진공코아를 이용한 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14Y1 (ko) 2003-09-17 2003-12-24 안승한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009162038A (ja) 2007-12-10 2009-07-23 Fp Corporation Ltd 建築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494A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936B1 (ko) 단열재 시공에 따른 외부 벽체 보강구조 및 방법
CN106168058A (zh) 一种预制三明治式夹芯保温墙板及制作方法
KR101309735B1 (ko) 친환경 아파트 단열 외벽 패널 시공방법
CN101105062A (zh) 一种外墙保温砖及其制造方法
KR101604590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마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3089B1 (ko) 건물 외벽 마감구조 및 시공방법
CN102587544A (zh) 轻质发泡混凝土墙板及其构筑方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CN205712703U (zh) 单侧复合自保温砌块
KR101392358B1 (ko)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JP2018510983A (ja) 暖かい家を建築するための窓枠断熱工法
US9676166B1 (en) Modular reinforced insulating concrete form
KR101942404B1 (ko) 강도보강용 섬유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복합소재 보강 진공단열패널 제조방법
CN101769057A (zh) 一种轻体房屋的屋面板单元结构
KR101897098B1 (ko) 열교 차단을 위한 발코니 단열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942405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복합소재 보강 진공단열패널 제조방법
CN213539469U (zh) 一种保温型混凝土砌块
RU97143U1 (ru)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KR200186279Y1 (ko) 바닥단열패널
JP6605824B2 (ja) 断熱部材、断熱部材の製造方法
CN103669612A (zh) 一种防火隔热复合构件及制作工艺
CN206769095U (zh) 发泡混凝土板外保温***
CN207110310U (zh) 一种保温装饰复合板
CN202627295U (zh) 一种防火砖及生产该防火砖的模具
JP2007205054A (ja) 断熱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