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422B1 -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422B1
KR101603422B1 KR1020140075689A KR20140075689A KR101603422B1 KR 101603422 B1 KR101603422 B1 KR 101603422B1 KR 1020140075689 A KR1020140075689 A KR 1020140075689A KR 20140075689 A KR20140075689 A KR 20140075689A KR 101603422 B1 KR101603422 B1 KR 10160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frame
occupant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000A (ko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7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42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좌석부를 경유하여 등받이부까지 연장형성된 시트 지지대를 통해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하중에 대응하여 탑승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시트 지지대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 {SEAT}
본 발명은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트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의자, 등받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람의 착좌가 필요한 공간에 적용된다. 특히, 차량에는 내부에 탑승자가 편안하게 착좌할 수 있는 시트가 구비되며,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착좌부,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탑승자의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시트는 착좌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거나 등받이부를 전후방향으로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자세에 부합하도록 시트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구조는 고강성의 철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가 증대되고,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시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비용도 증가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기존의 시트구조는 탑승자의 무게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 지지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쿠션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탑승자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시 쿠션폼의 지지력이 저하되어 움푹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시트를 경량화하고,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시 이에 대응하여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시트가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08-0005361 (2008.01.11)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하중에 대응하여 탑승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시트 지지대를 적용한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지지대는 시트의 좌석부 측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단지지대; 시트의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단지지대; 및 상기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지지대의 후단부와 상단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가 시트의 좌석부를 경유하여 등받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단;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하단지지대, 상단지지대, 연결단은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단지지대에는 상향 돌출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 지지대가 설치되는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가 지지되 쿠션부가 마련되고, 쿠션부를 감싸는 베이스프레임이 형성된 좌석부; 및 상기 좌석부의 후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메트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으로 구성된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시트의 좌석부 측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단지지대; 시트의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단지지대; 및 상기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지지대의 후단부와 상단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가 시트의 좌석부를 경유하여 등받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단;을 포함하는 시트 지지대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양측단부의 상단이 전방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양측단부의 상단이 양측방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양측단부의 하단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골반을 감싸는 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양측단부의 하단에 상기 완충부의 측면으로 감싸도록 돌출되어 완충부를 지지하는 변형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 지지대 및 이를 적용한 시트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하중에 대응하여 탑승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올바른 자세를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의 측면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를 듀얼 프레임 시트에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시트 지지대(300)는 시트의 좌석부(100) 측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단지지대(320); 시트의 등받이부(200)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단지지대(340); 및 상기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지지대(320)의 후단부와 상단지지대(340)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가 시트의 좌석부(100)를 경유하여 등받이부(200)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단(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트 지지대(300)는 기존 시트에 더불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자세가 보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시트 지지대(300)는 시트의 좌석부와 등받이부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축에 설치되거나, 좌석부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단(360)이 시트에 설치되고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가 좌석부와 등받이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시트 지지대(300)는 하단지지대(320)가 탑승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고, 상단지지대(340)가 탑승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는 연결단(360)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하단지지대(320), 상단지지대(340), 연결단(36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에 착좌시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가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일정량 변형되어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지지대(320)에는 상향 돌출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대(34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의 하단지지대(320)에 형성된 받침부(322)를 통해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탑승자가 더욱 편안히 시트 지지대(300)에 착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단지지대(340)에 형성된 지지부(342)는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불량한 자세가 보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트 지지대(300)는 좌석부와 등받이부의 연결부분 사이에 연결단(36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탑승자의 착좌시 하단지지대(320)가 하방으로 눌림과 동시에 상단지지대(340)가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전방으로 회전된 상단지지대(340)가 탑승자의 요추를 밀어줌으로써 탑승자의 허리가 펴지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착좌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단(360)은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고, 일측단에서 하단지지대(320)가 좌석부 측으로 연장되고, 타측단에서 상단지지대(340)가 등받이부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지지대(300)는 탄성적인 소재로 이루어져 탑승자가 착좌함에 따른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탑승자의 착좌시 하단지지대(320)에는 하방으로 하중이 작용되고, 상단지지대(340)에는 후방으로 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연결단(360)이 집중적으로 변형되는데, 연결단(360)을 단순히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할 경우 탄성적인 변형이 용이치 않으며, 하중작용에 따른 변형이 반복될 경우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연결단(360)을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도록 형성해줌으로써 원활한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탄성 변형량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내구성능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지지대(300)를 듀얼 프레임 시트에 적용한 도면으로서, 시트 지지대(300)의 적용에 대한 일례를 하기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탑승자의 하체가 지지되 쿠션부(122)가 마련되고, 쿠션부(122)를 감싸는 베이스프레임(120)이 형성된 좌석부(100); 및 상기 좌석부(100)의 후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메트부(2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220)과 제1프레임(2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220)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240)으로 구성된 등받이부(200);를 포함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시트의 좌석부 측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단지지대(320); 시트의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단지지대(340); 및 상기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지지대(320)의 후단부와 상단지지대(340)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하단지지대(320)와 상단지지대(340)가 시트의 좌석부를 경유하여 등받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단(360);을 포함하는 시트 지지대(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지지대(300)는 좌석부(100)의 후단부에 힌지 구조(H)로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20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220)과 강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2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220)에는 메트부(222)가 형성되어 탑승자의 등부분을 지지하고, 제1프레임(22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탑승자의 상체 조건에 맞추어 변형된다.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220)을 지지해줌으로써 제1프레임(220)에 과도한 하중의 작용시 제1프레임(220)의 변형이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러한, 상기 등받이부(200)의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40)은 6각형의 벌집형태로 이루어진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무게가 감소되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220)은 메쉬 구조와 더불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중 작용시 탄성적인 변형이 용이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부합하는 적절한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프레임(240)은 제1프레임(220)보다 높은 강성으로 이루어져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변형되는 제1프레임(220)의 과도한 변형을 제한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의 시트를 이루는 좌석부(100)와 등받이부(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석부(100)는 중앙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둘레를 따라 베이스프레임(12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탑승자의 하체가 지지되는 쿠션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100)의 쿠션부(122)는 메쉬 구조를 갖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좌석부(100)는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메쉬 구조를 갖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122)를 마련해줌으로써 탑승자의 엉덩이가 쿠션부(122)에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쿠션부(122)를 메쉬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장치의 설치시 효율적인 송풍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선 기능을 추가하여 쿠션부(122)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200)는 제1프레임(220)이 제2프레임(240)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40)이 같이 회전되도록 각 프레임의 하단부(220b,240b)가 좌석부(100)에 설치되고,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40)의 상단부(220a,240a)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40)은 하단부(220b,240b)와 상단부(220a,240a)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220)은 강성을 가진 제2프레임(240)의 하단부(240b)와 상단부(240a)에 연결됨에 따라 제1프레임(220)의 상단부(220a)와 하단부(220b)는 탄성적인 변형이 제한되고,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는 탄성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이렇게, 제1프레임(220)은 상단부(220a)와 하단부(220b)가 제2프레임의 상단부(240b)와 하단부(240b)에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탑승자의 착좌시 제1프레임(2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가 변형되어 탑승자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220)은 양측단부(220c)의 상단이 전방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양측단부(220c)의 상단이 양측방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220)은 양측단부(220c)의 상단이 전방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어깨 부분이 감싸지고, 양측단부(220c)의 상단이 양측방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어깨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착좌하여 등받이부(200)에 하중이 작용되면, 제1프레임(220)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탑승자의 어깨를 감싸줌으로써 탑승자가 시트에 고립되어 안정적인 지지자세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220)의 상단부(220a)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260)가 마련되고, 머리받침부(260)는 제1프레임(220)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240)의 상단부(220b)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받침부(260)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바, 위치의 변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머리받침부(260)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220)에 설치될 경우 탑승자의 하중이 작용됨에 따라 제1프레임(220)이 변형어 머리받침부(26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받침부(260)는 제1프레임(220)을 관통하여 제2프레임에 고정설치해줌으로써 탑승자가 착좌하더라도 머리받침부(26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머리받침부(260)는 쿠션폼이 적용되어 탑승자의 머리 부분이 안락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머리받침부(260)가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탑승자의 체형 및 자세에 더욱 부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240)의 양측단부(240c)는 상단의 폭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 상단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하단의 폭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a) 하단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프레임(240)의 양측단부(240c)는 상단의 폭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 상단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제1프레임의 탄성 변형시 제2프레임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히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240)의 양측단부(240c)는 하단의 폭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 하단 폭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제1프레임(220)을 후방에서 지지해주며, 제1프레임(220)의 과도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220)은 양측단부(220c)의 하단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골반을 감싸는 완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240)은 양측단부(240c)의 하단에 상기 완충부(224)의 측면으로 감싸도록 돌출되어 완충부(224)를 지지하는 변형방지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프레임(220)은 상단부(220a)에 머리받침부(260)가 마련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가 탑승자의 어깨를 감싸며, 중앙부에 메트부(222)가 마련되어 탑승자의 등부분을 지지한다.
이와 더불어, 제1프레임(220)은 양측단부(220c)의 하단에 완충부(224)를 형성하여 탑승자의 골반이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시트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완충부(22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탑승자의 골반이 충분히 감싸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프레임(220)과 완충부(224)의 경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큰 하중의 작용시 과도하게 변형되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에는 양측단부(240c)의 하단에 완충부(224)의 측면을 감싸도록 돌출된 변형방지부(242)를 형성해줌으로써 완충부(224)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프레임은 제1프레임(220)의 후방측에 위치되고, 제2프레임의 양측단부(240c) 폭이 제1프레임(220)의 양측단부(220c) 폭보다 넓게 형성됨에 따라 제2프레임의 변형방지부(242)가 완충부(224)의 후방에서 측방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완충부(224)는 후방 및 양측방으로 하중이 과도하게 작용하더라도, 변형방지부(242)에 의해 일정량 이상의 변형이 제한되어 완충부(224)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석부(100)의 후단부에는 시트 지지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지지대(300)는 좌석부(100)의 후단부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시트 지지대(300)는 좌석부(100)의 후단부에 힌지 구조(H)로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일정량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시트의 내측으로 시트 지지대(300)를 더 마련해줌으로써 좌석부(100)의 쿠션부(122)와 등받이부(200)의 메트부(222)와 더불어 탑승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시트 지지대(300)는 좌석부(100)의 후단부를 축으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탑승자가 착좌할 경우 시트 지지대(300)에 탑승자의 하중이 가해져 눌림에 따라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된 시트 지지대(300)는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밀어주어 탑승자의 허리가 펴지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착좌 자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를 지지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하중에 대응하여 탑승자를 지지함과 동시에 올바른 자세를 유도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좌석부 120:베이스프레임
122:쿠션부 200:등받이부
220:제1프레임 222:메트부
224:완충부 240:제2프레임
242:변형방지부 260:머리받침부
300:시트 지지대 320:하단지지대
322:받침부 340:상단지지대
342:지지부 360:연결단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탑승자의 하체가 지지되는 쿠션부가 마련되고, 쿠션부를 감싸는 베이스프레임이 형성된 좌석부; 및 상기 좌석부의 후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소재로 이루어지고 메트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탑승자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으로 구성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좌석부 측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하단지지대;
    상기 시트의 등받이부에 위치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상단지지대; 및
    상기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 사이에 마련되고, 일정 각도로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지지대의 후단부와 상단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됨으로써 하단지지대와 상단지지대가 시트의 좌석부를 경유하여 등받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는 연결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은 양측단부의 하단에 일정면적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골반을 감싸는 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양측단부의 하단에 상기 완충부의 측면으로 감싸도록 돌출되어 완충부를 지지하는 변형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양측단부의 상단이 전방을 향해 절곡된 후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양측단부의 상단이 양측방을 향해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 상단지지대, 연결단은 일체로 형성되고,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에는 상향 돌출되어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고, 일측단에서 하단지지대가 좌석부 측으로 연장되고, 타측단에서 상단지지대가 등받이부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140075689A 2014-06-20 2014-06-20 시트 KR10160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89A KR101603422B1 (ko) 2014-06-20 2014-06-20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689A KR101603422B1 (ko) 2014-06-20 2014-06-20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00A KR20150146000A (ko) 2015-12-31
KR101603422B1 true KR101603422B1 (ko) 2016-03-15

Family

ID=5512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689A KR101603422B1 (ko) 2014-06-20 2014-06-20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5048B4 (de) 2016-08-12 2023-10-12 Lear Corp.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itz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83Y1 (ko) * 2001-04-30 2001-10-12 최덕삼 하이팩 의자의 좌판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329A (ja) * 1991-10-31 1993-05-14 Fuji Sheet Kk シートフレーム
JP4728669B2 (ja) * 2005-03-11 2011-07-20 レカ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DE102005021482A1 (de) 2005-05-10 2006-11-16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83Y1 (ko) * 2001-04-30 2001-10-12 최덕삼 하이팩 의자의 좌판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000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JP6404902B2 (ja) ヘッドレスト構造、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および乗客シート
US7290837B2 (en) Cushion plate for vehicle seat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6097823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付車両座席
JPWO2014061732A1 (ja) 椅子
US9402479B1 (en) Leisure chair with a footrest unit
EP3130254B1 (en) Leisure chair with a footrest unit
JP2022111251A5 (ko)
US20100201168A1 (en) Padding Structure for a Chair
US20160375809A1 (en) Bodily Support Assembly
KR102111209B1 (ko) 등쿠션
KR101701141B1 (ko) 에어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603422B1 (ko) 시트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1565576B1 (ko) 시트
JP2002119364A (ja) 椅 子
JP6002052B2 (ja) ベビーカー用シート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JP2003002090A (ja) 車両用シート
KR20160003568U (ko) 목받침이 가능한 휴대용 의자
JP2020168890A (ja) 車両用シート
JP5935627B2 (ja) シートフレーム
JP6166882B2 (ja) 椅子
JP3192039U (ja) 折畳み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