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244B1 -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244B1
KR101600244B1 KR1020150136169A KR20150136169A KR101600244B1 KR 101600244 B1 KR101600244 B1 KR 101600244B1 KR 1020150136169 A KR1020150136169 A KR 1020150136169A KR 20150136169 A KR20150136169 A KR 20150136169A KR 101600244 B1 KR101600244 B1 KR 10160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ver
assembled
hand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승
Original Assignee
이종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승 filed Critical 이종승
Priority to KR102015013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어 사용자의 질감을 우수하게 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도어에 내장되는 도어정뭉치에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고, 고정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해정축과 연결되는 레버가 구비되며, 레버의 표면에 목재로 제작된 커버링부재가 덧씌워져 목재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해정축으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조임구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링부재는 고정플레이트에 조립되는 플레이트커버와, 해정축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축커버와, 레버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손잡이커버로 구성되도록 하고, 그 플레이트커버와 축커버와 손잡이커버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손잡이 전체의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도록 함으로써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도어 손잡이의 표면 전체에 목재 커버를 덧씌워 금속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목재질감의 도어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wood knob of door}
본 발명은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어 사용자의 질감을 우수하게 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금속부품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그 조립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손잡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손잡이를 잡고 돌려서 개폐하는 원형 도어 손잡이와 손잡이가 스틱형태로 이루어지는 레버형 손잡이로 크게 구분되는 것으로, 도어 손잡이는 여닫이문의 전,후면의 적정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도어 손잡이의 구조는 도어의 중앙 부분에 금속재로 이루어져 괘,해정이 이루어지는 도어정 뭉치가 내장되고, 그 도어정 뭉치에는 한 쌍의 금속재 손잡이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하여 손잡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최근 주류를 이루고 있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는 일측으로 편향되게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장식미를 위하여 손잡이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사출물 등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장기간 사용하면 피막이 벗겨지면서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축물을 친환경 소재로 건축하는 목조 주택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데, 종래의 도어 손잡이는 금속재로 형성되므로 건축물의 인테리어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원형이나 레버형 손잡이 부분 중 일부를 목재(wood)로 덧씌워 이루어진 제품이 보급되고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 역시 이러한 목재가 적용된 도어 손잡이를 매우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목재는 가공성 및 조립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 제안된 것들은 단순히 손잡이 중 일부분만을 목재로 덮어주는 방식이어서 금속이나 사출물 등이 여전히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하다.
특히 목조주택의 경우에는 일부라도 금속재질이 외부로 노출되면 재질에 따른 이질감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미감이 현저히 떨어지고, 도어 손잡이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만족도가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52073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도어 손잡이의 표면 전체에 목재 커버를 덧씌워 금속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목재질감의 도어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 손잡이와 그 표면을 감싸는 목재커버의 조립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가의 자재인 원목의 자재비를 최소화하는 구조로 목재커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도어에 내장되는 도어정뭉치에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고, 고정플레이트의 외측으로는 해정축과 연결되는 레버가 구비되며, 레버의 표면에 목재로 제작된 커버링부재가 덧씌워져 목재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해정축으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조임구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커버링부재는 고정플레이트에 조립되는 플레이트커버와, 해정축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축커버와, 레버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손잡이커버로 구성되도록 하고, 그 플레이트커버와 축커버와 손잡이커버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손잡이 전체의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손잡이에 의하면, 도어 손잡이의 표면에 금속이 노출되지 않고 표면 전체를 목재 질감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또는 익스테리어의 장식미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가 맞닿는 부분 전체를 친환경 소재로 구현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원자재비용이 고가이면서도 가공성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목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장착구조를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하는 구조로 구현하여 조립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커버를 원자재인 목재의 두께에 맞추어 분할 제작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목재질감을 구현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 손잡이의 구조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온,습도 변화나 환경변화에도 목재의 형태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외측의 이중 구조로 상호 보강이 이루어져 레버형 도어 손잡이와 같이 손잡이 사용시 하중이 축에 집중되는 구조이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목재 커버의 표면이 손상되더라도 커버만을 간단하게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목재 커버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또는 익스테리어 분위기에 맞추어 목재커버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교체하여 미감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손잡이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손잡이가 조립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해정축과 레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레버와 손잡이커버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손잡이 커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외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해정축과 레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 커버와 축커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D)에 설치되는 도어정 뭉치(100)와 그 도어정 뭉치(100)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10) 및 고정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해정축(120)과 레버(130)로 구성되어 도어정 뭉치(100)의 괘정 또는 해정을 도모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해정축(120)과 레버(130)의 표면에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링부재(200)가 덧씌워져 금속재질의 도어정 뭉치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정 뭉치(100)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절환하여 도어정 뭉치(100)의 래치(102)를 도어 외측으로 진출입시켜 도어(D)가 문틀에 괘정되거나 해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정 뭉치(100)에는 손잡이의 절환 작동을 차단하기 위한 락장치(1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정 뭉치(100)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110), 해정축(120), 레버(130)는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모두 장착되거나 또는 도어의 실내측이나 실외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해정축(120)과 레버(130)의 표면에 덧씌워지는 커버링부재(200)는 목재,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목으로 제작되는 플레이트커버(210)와 축커버(220)와 손잡이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플레이트(110)에는 플레이트커버(210)가, 해정축(120)에는 축커버(220)가, 레버(130)에는 손잡이커버(230)가 각각 덧씌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플레이트(110)와 해정축(120)과 레버(130)의 표면이 목재로 덧씌워져 금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도어 손잡이 전체가 목재 질감으로 구현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커버(210)와 축커버(220)와 손잡이커버(230)는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레버(130)가 해정축(120)으로부터 분리 구성되도록 하여 해정축(120)에 축커버(2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레버(130)를 해정축(120)에 조임구(140)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해정축(120)에 조립된 레버(130)의 표면에 다시 손잡이커버(230)를 덧씌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정축(120)과 레버(130)는 사용자가 괘정 또는 해정으로의 도어 손잡이를 절환 작동시 해정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정축(120)에는 체결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130)가 체결부(122)에 조립되고 그 체결부(122)에는 레버(130)가 조립된 상태에서 해정축(120)과 레버(130)의 회전 동작이 연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게 링크조립부(126,136)를 형성하여 맞물리게 끼워 조립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조립부의 형상은 레버(130)가 다각형 또는 편심 지지되는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0)가 지지벽에 의하여 끼워 조립되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손잡이커버(230)는 레버(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2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끼움부(232)는 축커버(220)가 해정축(120)을 감싸게 덧씌워진 상태에서 레버(130)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부(2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10과 같이 끼움부(232)에 레버(130)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해정축(120)의 말단에 일부 돌출된 부분, 즉 레버(130)가 조립된 부분과 레버(130) 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232)가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정 뭉치(100)가 도어(D)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110)가 도어의 표면에 밀착 고정되고, 고정플레이트(110)에서 해정축(120)이 돌출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커버(210)를 먼저 끼워 고정플레이트를 덧씌우고, 그 이후에 축커버(220)를 끼워 해정축(120)을 덧씌우며, 플레이트커버와 축커버가 덧씌워진 상태에서 레버(130)를 해정축(120)에 조립한 후 레버(130)에 손잡이커버(230)를 덧씌워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커버(210)와 축커버(220)는 레버(130)가 해정축(120)에 조립되면서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상호 간에 벌어짐 되지않고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커버(220)와 레버(130)가 서로 밀착되는 사이에는 손잡이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축커버가 마모되지 않도록 하고, 레버(130)가 원활하게 축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부싱(22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130)와 손잡이커버(230)가 조립되는 구조는, 레버(130)에 체결구멍(132)이 형성되어 손잡이커버(230)가 조임볼트로 레버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체결구멍(132)은 도 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이 형성되어 조임볼트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멍(132)의 형상을 중앙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지도록 구비하고, 그 체결구멍(132)에 체결구멍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조임볼트(134)를 조립하여 조임볼트에 의하여 체결구멍이 벌어져 손잡이커버(230)의 끼움부(232) 내벽에 가압 고정되도록 하면 손잡이커버(230)의 끼움부(232)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임볼트를 반복적으로 분해, 조립하는 경우에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134)는 도어에 손잡이커버(230)가 밀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육각 L렌치 등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정뭉치(100)에 조립되는 락장치(104)의 조립을 위해서는 고정플레이트(110)에 타공된 구멍과 플레이트커버(210)에 타공된 구멍이 일치하게 조립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커버(210)에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부(111,211)를 형성하여 고정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커버(210)가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플레이트커버(210)를 돌리면서 고정플레이트(110)의 타공된 구멍과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없이 맞물림부에 의하여 정위치에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도어정뭉치(100)에 락장치(104)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스커버(210)와 축커버(22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커버(210)는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면을 차단하는 커버판(212)과 고정플레이트(110)의 측면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테(214)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커버판(212)과 커버테(214)가 분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커버(220)도 복수의 커버관체(222)로 분리 구성되어 커버관체(222)가 다층으로 적층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커버(210)와 축커버(220)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플레이트커버(210)와 축커버(220)를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자재비가 저렴한 원목을 사용하여 커버링부재(2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0: 도어정뭉치
102: 래치 104: 락장치
110: 고정플레이트 111: 맞물림부
120: 해정축 122: 체결부
126: 링크홈
130: 레버 132: 체결구멍
134: 조임볼트 136: 링크축

Claims (7)

  1. 도어(D)에 내장되는 도어정뭉치(100)에 고정플레이트(110)가 장착되고, 고정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는 해정축(120)과 연결되는 레버(130)가 구비되며, 레버의 표면에 목재로 제작된 커버링부재(200)가 덧씌워져 목재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레버(130)는 해정축(120)으로부터 분리 구성되어 조임구(140)에 의하여 조립되고,
    상기 커버링부재(200)는 고정플레이트(110)에 조립되는 플레이트커버(210)와, 해정축(120)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축커버(220)와, 레버(130)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손잡이커버(2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커버(230)에는 레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232)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130)에는 중앙이 가로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체결구멍(132)이 형성되고, 레버가 손잡이커버의 끼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구멍의 상,하 폭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조임볼트(134)가 체결구멍에 조립되어 조임볼트의 조임에 의하여 체결구멍이 벌어져 손잡이커버(230)의 끼움부(232) 내벽에 가압 고정되게 조립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커버(210)에는 서로 대응되게 맞물림부(111,211)가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커버(210)가 정위치 조립을 유도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커버(220)는 복수의 커버관체(222)로 분리 구성되어 커버관체(222)가 다층으로 적층되게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커버(210)는 고정플레이트(110)의 상면을 차단하는 커버판(212)과 고정플레이트(110)의 측면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테(214)로 분리 구성되어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KR1020150136169A 2015-09-25 2015-09-25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KR10160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69A KR101600244B1 (ko) 2015-09-25 2015-09-25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69A KR101600244B1 (ko) 2015-09-25 2015-09-25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244B1 true KR101600244B1 (ko) 2016-03-04

Family

ID=5553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69A KR101600244B1 (ko) 2015-09-25 2015-09-25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985B1 (ko) * 2016-08-04 2017-10-23 양상권 장축의 나무손잡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193Y1 (ko) * 1994-09-16 1996-08-22 곽판순 도어 록의 결착장치
KR101520735B1 (ko) 2014-09-12 2015-05-18 김덕호 교체용 도어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193Y1 (ko) * 1994-09-16 1996-08-22 곽판순 도어 록의 결착장치
KR101520735B1 (ko) 2014-09-12 2015-05-18 김덕호 교체용 도어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985B1 (ko) * 2016-08-04 2017-10-23 양상권 장축의 나무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531B2 (en) Method of assembling universal trim piece system for a refrigerator
JP6409126B2 (ja) 交換用ドアハンドル
KR20080001006A (ko) 냉장고
KR101600244B1 (ko) 표면이 목재로 커버링 되는 레버형 도어 손잡이
US8434794B2 (en) Three stage multi-point closure system for luggage
EP2913450B1 (en) Control plate assembly of a flushing tank, and assemb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EP2697581A2 (de) Teilesatz für eine kältegerätetür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EP2558784B1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KR200393564Y1 (ko) 복합 기능창
KR100992849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손잡이
EP1507124A2 (de) Elektrisches Gerät mit drehbarem Griff
EP4023840A1 (en) Handle lock assembly with sealing feature
USD640910S1 (en) Appliance door handle assembly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101693825B1 (ko) 방충창용 락킹장치
KR102375402B1 (ko) 도어락 장치
JP2002081233A (ja) レバ−ハンドル
KR101165732B1 (ko) 도어록용 데드볼트의 헤드
FR3019579A1 (fr) Actionneur lineaire et dispositif d’occultation associe
KR101770042B1 (ko) 폴딩 도어 손잡이
JP3493216B2 (ja) 扉及びこの扉を有する冷蔵庫
WO2010081389A1 (zh) 门窗执手
JP6462460B2 (ja)
FR2620509A1 (fr) Poignee pour robinet sanit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