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99B1 -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99B1
KR101595399B1 KR1020150067503A KR20150067503A KR101595399B1 KR 101595399 B1 KR101595399 B1 KR 101595399B1 KR 1020150067503 A KR1020150067503 A KR 1020150067503A KR 20150067503 A KR20150067503 A KR 20150067503A KR 101595399 B1 KR101595399 B1 KR 10159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protrusion
fitting
ice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0643A (en
Inventor
황귀난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6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인입(引入) 및 인출(引出)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트레이 수납부;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수납되며, 각얼음으로 얼려질 물이 수용되는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수납부를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수납부 결합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가 트레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물이 수용되며, 운반되어 케이스에 장착되므로,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를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손떨림 등과 같은 외력이 트레이 수납부를 거쳐 아이스 트레이에 전달되므로, 물넘침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se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opened and drawn ou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y accommodated in the tray housing portion and containing water to be frozen by each ice; And a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tray receiving unit to the case, the water is received in the state that the tray is housed in the tray receiving unit, and is mounted on the case. Therefore, Discomfort can be eliminated and an external force such as a hand shake can be transmitted to the ice tray through the tray storage portion, so that the problem of water overflow can be minimized.

Figure 112015046406291-pat00001
Figure 112015046406291-pat00001

Description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본 발명은 냉장고의 내부의 냉기를 이용하여 각얼음을 만들고 이를 저장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for making ice cubes by using cold air inside a refrigerator and storing the ice cubes.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저장되는 저장 대상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The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upplying fresh air generated by the refrigeration cycle to the storage room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stored object fo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 대상물의 저장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저장 대상물을 저장하기 위해 개방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hamber for storing a storage object,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ing for storing a storage object in the storage chamber.

그리고, 상기 냉장고는 냉매가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을 순환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저장실에 저장된 저장 대상물을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냉기를 얻게 된다.The refrigerator obtains a cool air that keeps the objec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room at a low temperature by a refrigeration cycle in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compression-condensation-expansion-evaporation process.

또한, 근래에 들어, 상기 냉장고에는 소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얼음을 만들어 저장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예가 많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n ice maker for storing and storing ice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종래 상기 냉장고에 구비되는 제빙장치는, 얼려질 물이 수용되는 아이스 트레이와 아이스 트레이가 장착되며 저장실에 구비되는 하우징, 얼려진 각얼음을 저장하는 각얼음 저장 용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ly, the ice make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includes an ice tray in which water to be frozen is accommodated, a housing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ice storage containers for storing frozen ice.

그리고, 소비자는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를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손에 들고 물을 급유하고, 급유가 완료된 아이스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시키게 된다.The consumer separates each of the ice trays from the housing, lubs the water in the hand, and mounts the liquefied ice tray inside the housing.

그러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가 기울거나, 손떨림 등으로 인해 물이 아이스 트레이 밖으로 물이 흘러 하우징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ice tray to the housing, water often flows out of the ice tray due to inclination of the ice tray, camera shake, or the like, thereby contamin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기울진 방향으로 물이 쏠려, 제조된 각얼음의 크기가 작고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In addition, water may be pou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tray is tilted, and the size of each ice produced may be small and non-uniform.

특히,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가 구비되는 제빙장치의 경우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를 하나씩 분리, 장착하여야 하며, 이 경우 상기한 문제점은 더욱 증가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ce maker having a plurality of ice trays, each ice tray must be separated and mounted one by one. In this case, the above problem is further increas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스 트레이를 하우징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물통을 이용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방안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has been disclosed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using a water bottle in a state where the ice tray is coupled to the housing.

이는, 물통에 물을 담아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면, 그와 동시에 개방되는 밸브를 통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는 원리이다.This is a principl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through a valve that opens at the same time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water tray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밸브 장치가 구비된 물통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냉장고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case, a water bottle equipped with a valve device must be separately provided, which raise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price of the refrigerator.

또한, 밸브 장치 및 물통의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물 또는 각얼음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ior of the valve device and the water container is not easily cleaned and water or each ice may be contaminated.

한편, 종래의 경우,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를 인출하는 방식으로 냉장고에서 각얼음을 꺼내게 되는데, 이는 도어 개폐에 따른 불편함은 물론, 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냉기가 누설되어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related art, each of the ice cubes is taken out from the refrigerator by open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taking out the ice cubes from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here was a problem that consumption amount increased.

본 발명은, 아이스 트레이에 물을 담고, 운반하여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물 넘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ice maker capable of minimizing water overflow in a process of containing water in an ice tray and transporting the ice tray to a housing.

또한, 본 발명은, 각얼음의 인출시 저장실 내부로부터 냉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capable of minimizing the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when each ice is taken out.

상기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로 인입(引入) 및 인출(引出)되며, 상하면이 개방된 트레이 수납부;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수납되며, 각얼음으로 얼려질 물이 수용되는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수납부를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수납부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having a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opened and drawn ou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opening, An ice tray accommodated in the tray housing portion and containing water to be frozen by each ice; And a storage unit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tray storage unit to the case.

여기서,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와 상기 케이스 중 일방에 형성되는 걸림쇠와 타방에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atch formed at one side of the tray receiving portion and the case, and a latching end formed at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트레이 수납부는, 그 저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수납되는 면과 평행하게 마련되며, 상기 저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최하단부 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parallel to a surface of the ice tra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ice tray.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기준 높이(H)의 물을 수용하여 하나의 각얼음을 만드는 복수 개의 아이스 포켓; 임의의 아이스 포켓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기준 높이(H)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물을 인접한 아이스 포켓으로 공급시키는 포켓 연통부; 및 모든 아이스 포켓에 기준 높이(H)의 물이 수용된 경우 초과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ice tray includes a plurality of ice pockets for receiving water of a reference height (H) to form one ice cubes; A pocket communicating portion for supplying excess water to the adjacent ice pockets when the height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an arbitrary ice pocket exceeds the reference height H; And a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excess supply water to the outside when water of a reference height H is accommodated in all the ice pockets.

그리고, 상기 트레이 수납부는, 장방형으로 마련되고 긴 변이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at least one or more ice trays which ar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whose long sides are posit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se and accommodated therein.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이 분리되게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켜 전복시키는 트레이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ce tray may further include a tray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ice tray so as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tray.

그리고, 상기 트레이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분리된 각얼음을 수용하는 각얼음 저장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ce tray may further include an ice storage contain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y storage portion to receive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The case may be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door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 storage room and a door that selectively shields the storage room.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having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이스 트레이가 트레이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물이 수용되며, 운반되어 케이스에 장착되므로,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를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The water is received in the state that the ice tray is housed in the tray housing portion, and since the ice tray is carried and mounted on the cas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each ice tray can be eliminated.

또한, 손떨림 등과 같은 외력이 트레이 수납부를 거쳐 아이스 트레이에 전달되므로, 물넘침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an external force such as a hand shake is transmitted to the ice tray through the tray housing portion, the problem of water overflow can be minimized.

또한, 수납부 결합 유닛에 의해 트레이 수납부가 케이스에 고정되게 되므로, 아이스 트레이가 냉장고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냉장고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the tray storage unit is fixed to the case by the storage unit coupling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due to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refrigerator even when the ice tray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또한, 트레이 회전 유닛에 의해 각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하게 되므로, 각얼음의 분리를 위해 아이스 트레이를 인출하여야 하는 불편이 제거된다.Further, since each ice is separated from the ice tray by the tray rotating unit, the inconvenience of taking out the ice tray for separating each ice is eliminated.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이 상기 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되게 아이스 트레이가 케이스에 수납되므로, 케이스의 폭, 즉 제빙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저장실의 저장공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ice tray is housed in the case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is positio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ase, the width of the case,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ice maker can be reduced. I have.

특히, 저장실의 저장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는, 케이스를 도어의 배면에 설치함으로써 보다 증대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ffect of enlarging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room can be further enhanced by installing the case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또한, 상기 도어에 각얼음 인출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각얼음의 인출시 마다 도어의 개폐로 인해 발생되는 냉기 누설 등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each of the ice draw-out doors on the door, it is possible to minimize problems such as leakage of cold air generated due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each time the ice is drawn 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수납부 결합 유닛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트레이 수납부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수납부 결합 유닛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2에서 아이스 트레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도 2에서 트레이 수납부와 아이스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2에서 트레이 회전 유닛을 케이스의 내부에서 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II-II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 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연결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도 2에서 각얼음 저장 용기가 인입출 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도어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트레이 수납부에 아이스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ce making apparatus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iving portion coupling unit in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tray-receiving portion and the case engaged with each other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unit in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tray shown in FIG.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ice tray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 6,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ray storage unit and the ice tray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2;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tray rotating unit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in Fig. 2,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10,
12 is an exploded view of a tray rotating unit for rotating a plurality of ice trays,
FIG.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FIG. 12,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FIG. 12;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ice storage container is taken in and out in FIG. 2;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doo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recesses in a state in which an ice tray is housed in a tray storage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실(11a)과 냉동실(11b)로 구획된 저장실(1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11 partitioned into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a freezing compartment 11b.

상기 저장실(11)은 단열재가 충전된 벽체에 의해 외부와의 열전달이 차단된다.The storage room (11) is blocked from heat transfer to the outside by a wall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그리고, 상기 냉장실(11a)과 냉동실(11b)은 저장 대상물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해 일 면이 개방된 상태로 마련되며, 개방된 일 면은 냉장실도어(12a) 및 냉동실도어(12b)에 의해 개폐된다.One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are opened for the input and withdrawal of objects to be stored and the opened one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12b. do.

도 1에는 서 상기 냉장실(11a)과 냉동실(11b)이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도어(12a)와 냉동실도어(12b)가 상기 냉장실(11a)과 냉동실(11b)을 형성하는 벽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1a) 및 냉동실(11b)의 개방된 면을 각각 개폐하는 구조의 냉장고(1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일 예를 보이기 위한 것일 뿐,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1,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12b are connected to a wall form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The refrigerator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 surfaces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are opened and closed by hinging and rotat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장실(11a) 및 냉동실(11b)이 아래위로 또는 위아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냉장실도어(12a) 또는 냉동실도어(12b)가 냉장고(10)의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냉동실(11b)만이 형성된 냉장고(10)로 마련될 수도 있다.That is, in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1b may be provided upside down or up and down,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a or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12b may b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10 And may be sli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so,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10 having only a freezing chamber 11b.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의 저장실(11)에는 저장 대상물의 수납을 위한 선반(14), 서랍식 저장 수단(16) 등이 마련되며, 상기 냉장실도어(12a) 및 냉동실도어(12b)에는 포켓식 저장 수단(18)이 마련된다.1, a storage room 11 of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helf 14, a drawer storage unit 16, and the like for storing objects to be stored. The refrigerator door 12a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12b are provided with a pocket type storage means 18.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100)는 냉동실(11b)의 내부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도어(12b)에 마련될 수 있다.In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maker 100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1b or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b as shown in FIG.

상기 제빙장치(100)가 상기 냉동실도어(12b)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ice maker 100 is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b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도 1에서 제빙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ce making apparatus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외부로 인입출되는 트레이 수납부(120),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아이스 트레이(130)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를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시키는 수납부 결합 유닛(121)을 포함한다.2,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ray accommodating unit 120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se 110, And an accommodating unit coupling unit 121 for coupling the tray accommodating unit 120 to the case 110 when the tray accommodating unit 120 is retracted.

상기 케이스(110)는 대략 육면체로 마련되며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도록 냉기 통공(117)이 구비된다. The case 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on and has a cool air passage hole 117 to allow cool air to flow into the inside thereof.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가 인입출되는 개구(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113)가 형성되는 위치는 설계자에 의해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An opening 113 through which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120 is inserted and remov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10. He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osition where the opening 113 is formed can be changed by a designer.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에서 그 내부에 인입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상태 즉, 아이스 트레이(130)에 수용된 물이 얼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 소정의 영역에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는 투명부(1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ice tray 130 drawn inside the case 110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10, that is, whether or not water contained in the ice tray 130 is frozen, It is preferable that a transparent portion 115 provided in a transparent material is provided.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하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The tray housing part 12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또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상단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수납된다.The tray 130 is accommodat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housing 120.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용기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인입되게 된다.The ice tray 130 is provided in a container form so that water can be received therein and is drawn into the case 110 while being housed in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를 상기 케이스(110)에 고정시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The receiving portion coupling unit 121 fixes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to the case 110 when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is pulled in order to prevent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from flowing .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1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도 2에서 수납부 결합 유닛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트레이 수납부와 케이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수납부 결합 유닛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in FIG. 2.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y receiving unit and a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FIG. 3,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in FIG.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형성되는 걸림쇠(121a)와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걸림쇠(121a)에 결합되는 걸림단(121b)으로 마련된다.3 and 4, the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121 includes a latch 121a formed on the tray receiving unit 120 and a latch 121a formed on the case 110, A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end 121b which is engaged with the latch 121a when it is inserted.

물론, 상기 걸림쇠(121a)와 걸림단(121b)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latch 121a and the latching end 121b may be mutually independent.

한편,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가 인입출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할 때, 전면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121 may b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ray receiving unit 120, respectively, when the tray receiving unit 120 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와 상기 케이스(110)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게 각각 구비되며,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마련되는 영구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5, the receiving unit coupling unit 121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tray receiving unit 120 and the case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tray receiving unit 120 is pulled, May be provided as permanent magnets to be operated.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상기 수납부 결합 유닛(121)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를 인입하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와 상기 케이스(110)가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를 인출하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와 상기 케이스(110)가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o 5, the tray accommodat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case 110 at the same time that the tray accommodating unit 120 is pulled i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storage part 120 and the case 1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same time when the tray storage part 120 is taken out.

한편,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는, 그 저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수납되는 면, 즉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상단과 평행하게 마련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120 is parallel to the top surface of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120 on which the ice tray 130 is housed.

그리고,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저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최하단부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housing part 120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ice tray 130.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가 수평면에 위에 놓여지기만 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자동으로 수평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균일한 높이의 물공급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ce tray 130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ice tray 130 while the tray tray 130 is housed in the tray tray 120, if the tray tray 120 is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The tray 130 is automatically held horizontally, so that the ice tray 130 can be supplied with a uniform height of water.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Next, the ice tray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FIG.

도 6은 도 2에서 아이스 트레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에서 I-I의 단면을 보인 도면,도 9는 도 2에서 트레이 수납부와 아이스 트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tray shown in FIG. 2,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tray in FIG. 6, In which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ice tray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각얼음이 얼려지는 아이스 포켓(133), 상기 아이스 포켓(133)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를 기준 높이(H) 이내로 제한하는 포켓 연통부(131)와 배출부(135)를 포함한다.6 to 8, the ice tray 130 includes ice pockets 133 in which ice cubes are frozen, and pocket communicating holes 133 for limiting the height of water contained in the ice pockets 133 to within a reference height H, (131) and a discharge portion (135).

상기 아이스 포켓(133)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내부가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아이스 포켓(133)에 소정 양의 물이 수용되어 하나의 각얼음을 생성하게 된다.
The ice pockets 133 are formed by dividing the inside of the ice tray 130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received in the respective ice pockets 133 to generate one ice.

*상기 아이스 포켓(133) 각각에 수용되는 물의 양은 상기 아이스 포켓(133)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에 의해 일정한 양이 수용되게 조절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아이스 포켓(133)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최고 높이(이하 '기준 높이(H)'라 함)를 넘어 초과 공급되는 물은 상기 포켓 연통부(131)를 통해 인접하는 아이스 포켓(133)으로 흘러 가게 된다.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each of the ice pockets 133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by the heigh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pockets 133, Water exceeding the he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height H") flows to the adjacent ice pockets 133 through the pocket communicating portion 131. [

상기 포켓 연통부(131)는, 임의의 아이스 포켓(133)과 이에 인접하는 아이스 포켓(133)이 기준 높이(H) 이상에서 서로 연통되게 상기 아이스 포켓(133)을 구획하는 구획부(137)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pocket communicating part 131 includes a partition part 137 for partitioning the ice pockets 133 so that any ice pockets 133 and adjacent ice pockets 13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a reference height H or more, As shown in FIG.

상기 포켓 연통부(131)는 인접하는 아이스 포켓(133)으로의 물의 흐름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 보다는 상방으로 개방된 홈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cket communicating part 131 is provided with a groove opened upward rather than a hole formed so as not to act as a resistance against the flow of water to the adjacent ice pockets 133.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포켓(133)에는 기준 높이(H) 이상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초과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135)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 pocket 133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unit 135 for discharging excess supply water to the outside when water of a reference height H or more is supplied.

이는 상기 포켓 연통부(131)를 통해 모든 아이스 포켓(133)에 물이 기준 높이(H) 만큼 수용됐음에도 계속해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초과 공급된 물이 상기 아이스 포켓(133)에 형성된 배출부(135)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3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all the ice pockets 133 through the pocket communicating part 131 bu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art 133 formed in the ice pockets 133 135 to the outside of the ice tray 130.

상기 배출부(13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스 포켓(133)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포켓(133)을 형성하는 구획부(137)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hole)로 마련된다.The outlet 135 is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ice pockets 133 and is formed as a hol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137 forming the ice pockets 133.

또한, 상기 배출부(135)는 기준 높이(H) 이상으로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기준 높이(H)의 바로 위쪽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ing unit 135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ing unit 135 at a reference height H or higher. Therefore, the discharging unit 135 may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reference height H.

그리고, 상기 배출부(135)를 통과한 물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저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unit 135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tray 130.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35)를 통과한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 아래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부(135)를 통과한 물을 가이드하는 배수 가이드 리브(13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35 from being scatter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rib 136 is further provided.

상기 배수 가이드 리브(13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하면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부(135)에서 시작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높이 방향으로 아래 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도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age guide rib 136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ce tray 130 and extend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starting from the outlet 135.

또한, 상기 배수 가이드 리브(136)는 그 말단을 상기 트레이 수납부의 저면까지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이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In addition, the drainage guide rib 136 is formed by extending the end of the drainage guide rib 136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torage unit, which is effective in preventing scattering of water.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상기 케이스(110)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게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다.9, the ice tray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ice tray 130 is accommodated in the tray storage unit 120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osit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se 110. As shown in FIG.

수납을 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134a,134b)가 구비된다.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ce tray 130 for storage.

상기 회전돌기(134a,134b)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양 측면 상단에 구비된 수납 홈부(12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groove 124 provided at the upper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y storage part 120. [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대해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회전돌기(134a,134b)를 축으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The ice tray 130 i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tray storage part 120 and the ice tray 13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rojections 134a and 134b in the tray storage part 1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에는 상기 회전돌기(134a,134b)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더 구비된다.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ce tray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from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136b.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한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각을 대략 180도로 제한시키게 된다.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can rotate the ice tray 130 in only one direction and restrict the rotation angle of the ice tray 130 to approximately 180 degrees.

또한,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물이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prevent the ice tray 130 from being rot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water in the ice tray 130. FIG.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회전돌기(134a,134b)와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의 말단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 결합부(138)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된다.The ends of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an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provided on either side of both sides of the ice tray 130 are connected to the axes of the ice tray 130,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portion 138.

이에 의해, 상기 축 결합부(138)에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회전되게 되며,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전복된 위치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The ice tray 130 is rotated by the rotating force of the shaft coupling part 138 and the ice tray 130 is rotated by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The rotation of the tray 130 is restricted.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비틀림력(torsional force)을 가하기 위해, 상기 축 결합부(138)와 연결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으로 반대 쪽 측면에서 돌출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의 돌출 위치보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높이를 기준으로 아래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connected to the shaft engaging portion 138 may be provided on the ice tray 130 so as to apply a torsional force to the ice tray 130. In this case, 136b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The ice tray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6a,

이에 의하는 경우,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되면서, 상기 축 결합부(138)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상기 축 결합부(138)가 구비된 측면의 회전 제한 돌기(136a,136b) 보다 먼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상단에 걸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138)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 변위가 발생되게 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비틀리게 된다.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ce tray 130 on which the shaft coupling part 138 is not provided are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s When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8 is further rotated in this state, the tray tray 130 is rot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tray 130, Angular displacement is generated and the ice tray 130 is twisted.

따라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로부터 각얼음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Therefore, separation of each ice from the ice tray 130 is made easier.

다만, 상기 축 결합부(138)와 연결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상기 축 결합부(138)가 구비되지 않은 측면에 구비된 회전 제한 돌기(136a,136b)에 비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높이를 기준으로 아래 쪽에 위치됨으로 인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되 않을 수 있는 문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를 다수 회 절곡시켜 구비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connected to the shaft engaging part 138 may be provided on the ice tray 130a or 136b in comparison with 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provided on the side where the shaft engaging part 138 is not provided. The problem that the ice tray 130 may not be held horizontally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tray housing part 120 is that the rotation It can be solved by bending the limi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many time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회전을 위해 트레이 회전 유닛(140)(도 4 및 도 5 참조)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tray rotating unit 140 (see FIGS. 4 and 5) for rotating the ice tray 130.

상기 트레이 회전 유닛(1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tray rotating unit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FIG.

도 10은 도 2에서 트레이 회전 유닛을 케이스의 내부에서 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II-II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the tray rotating unit in Fig. 2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 in Fig.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회전 유닛(140)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측면에 구비된 축 결합부(138)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를 회전시키게 된다.10, the tray rotating unit 140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coupling unit 138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ce tray 130 to rotate the ice tray 130 .

이를 위해,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 회전 유닛(140)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인입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와 결합되며, 일 단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41),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레버(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0 to 11, the tray rotating unit 140 is coupled to the ice tray 130 when the tray receiving unit 120 is drawn in. When the tray receiving unit 120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the ice tray 130, A rotation shaft 141 for rotating the tray 130, and a lever 147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 shaft 141.

상기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1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마련된다.The rotation shaf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0,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case 110.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단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 즉 상기 축 결합부(138)가 착탈되는 트레이 결합부(143)가 형성된다.The ice tray 130, that is, the tray coupling portion 143, to which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8 is attached and detached, is formed at one end located inside the case 110.

상기 트레이 결합부(143)와 상기 축 결합부(138)는 슬롯과 이에 착탈되는 돌기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이 형성된 방향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가 수납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ay coupling portion 143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8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of a slot and a protrusion that is detachable therefrom so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t is formed is such that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And may be formed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110.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단에는 상기 레버(147)가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145)가 구비된다.A lever engaging portion 145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se 110 to which the lever 147 is coupled.

상기 레버 결합부(145)와 이에 결합되는 상기 레버(147)의 단부는, 상기 레버(147)의 구동시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폭방향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돌기와 이와 결합될 수 있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engaging portion 145 and the end of the lever 147 engaged with the lever engaging portion 14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a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141 when the lever 147 is driven, And may be formed by a projection having a polygonal shape and a groove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proj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레버(147) 및 상기 레버 결합부(145)를 차폐하기 위해 회전 유닛 커버(14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유닛 커버(148)는 상기 케이스(110)에 측면에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147)가 이동될 수 있는 레버 이동 슬롯(144)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unit cover 148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ever 147 and a lever coupling part 145 for shielding the lever 147 and the lever coupling part 145 provided outside the case 110, It is preferable that a lever movement slot 144, which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0 and is capable of moving the lever 147 in a coupled state, is provided.

상기 레버(147)는,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을 따라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141)에 회전력을 인가하므로, 상기 레버 이동 슬롯(144)은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서 볼 때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r 147 is drive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10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141 so that the lever moving slot 144 is vertically It is preferable to form it long.

또한, 상기 레버(147)는, 소비자에 의해 파지(把持)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마련된다.The lever 147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se 110 so that the lever 147 can be grasped by a consumer.

그리고, 파지 및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레버(147)의 말단에는, 그로부터 상기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레버부(147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acilitate gripping and rota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nding lever portion 147a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lever 14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10 is provided.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는 복수 개의 아이스 트레이(130)가 수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13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ice trays 1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tray accommodating portion 120, and in this case, an additional structure is required to rotate the plurality of ice trays 130 at the same time .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아이스 트레이(130)가 두 개인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two ice trays 130 stored in the tray storage unit 120.

도 12는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 유닛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연결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12 is an exploded view of a tray rotating unit for rotating a plurality of ice trays, FIG. 1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in FIG. 12,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in FIG.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두 개의 아이스 트레이(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후방향으로 순차로 수평하게 수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wo ice trays 130 housed in the tray housing part 120 are sequentially housed horizont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110.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13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상기 케이스(110)의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게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ice trays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stored in the tray storage unit 120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positio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se 110.

그리고,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130)는 그 양 측면에 앞서 설명한 회전돌기(134a,134b)와 회전 제한 돌기(136a,136b)가 구비되며, 어느 한쪽 측면에 구비된 회전돌기(134a,134b)와 회전 제한 돌기(136a,136b)는 축 결합부(138)에 의해 연결된다.Each of the ice tray 130 is provided with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and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on both sides of the ice tray 130.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and 134b, The rotation restricting protrusions 136a and 136b are connected by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8. [

또한, 각각의 아이스 트레이(130)에 구비된 축 결합부(138)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게 상기 두 개의 아이스 트레이(130)가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에 수납된다.The shaft receiving portion 138 of each ice tray 130 is positioned on the same side of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so that the two ice trays 130 are accommodated in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do.

또한, 상기 축 결합부(138)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각각의 축 결합부(138)가 결합되는 두 개의 회전축(141)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회전축(141)에는 앞서 설명한 트레이 결합부(143) 및 레버 결합부(145)가 형성된다.Two axes 141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110 facing the axis coupling portion 138 to which the respective axis coupling portions 138 are coupled. The tray coupling portion 143 and the lever coupling portion 145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each of the rotation shafts 141.

또한, 상기 레버(147)는 상기 두 개의 레버 결합부(145) 중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 가깝게 위치된 레버 결합부(145)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ver 147 may be coupled to a lever engaging part 145 positioned near the front of the case 110 among the two lever engaging parts 145.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147)의 회전에 의해 두 개의 회전축(141)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회전축(141)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60)가 구비된다. 연결부재(16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130) 각각에 대응되는 끼움 돌기(146a)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링크 암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60 connects the two rotating shafts 141 so that the two rotating shafts 141 can be simultaneously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147.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160 can be understood as a link arm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itting projection 146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13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회전축(141)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축(141)의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member 16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having an upward convex shape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160 and the rotation shaft 141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Is preferably provided as a member.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부재(160)와 상기 회전축(141) 사이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60 and the rotation shaft 14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먼저, 상기 연결부재(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결합부(145) 또는 상기 회전축(141)의 외주면의 소정 영역이 상기 회전축(14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연결부재 결합부(146)에 핀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12,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coupling portion 145 or the rotation shaft 141 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And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engaging portion 146 in a pin-like manner.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60)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46)는 상기 회전축(141)의 축방향으로 핀결합된다.Here, the coupling member 160 and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portion 146 are pin-coupl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또한, 상기 연결부재(160)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46)의 핀결합을 위해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46)에는 상기 회전축(141)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끼움 돌기(146a)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160)의 양 단부에는 상기 끼움 돌기(146a)에 결합되는 끼움 홀(161)이 형성된다.
끼움 돌기(146a)는 회전돌기(134a)로부터 아이스 트레이(13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130)과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portion 146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46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41 for pin connection between the coupling member 160 and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portion 146 And a fitting hole 16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60 to be engag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146a.
The fitting protrusions 146a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ice tray 130 from the rotation protrusions 134a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ice trays 130. [

여기서, 상기 끼움 돌기(146a)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끼움 돌기(146a)의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끼움 돌기(146a)에 끼워진 상기 연결부재(16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146b)가 구비된다.The fitting protrusion 146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146a so as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46a, Preventing protrusion 146b is provided to prevent the detachable protrusion 146b.

여기서, 상기 회전축(141)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160)의 임의 이탈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회전축(141)에 구비되는 상기 끼움 돌기(146a)에 형성된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6b)의 돌출 방향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more reliably prevent any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60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141,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146b formed on the fitting protrusions 146a provided on the respective rotating shafts 141 Ar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끼움 돌기(146a)에 결합되는 끼움 홀(161)은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6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tting hole 161, which is engag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146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46b.

이에 의해, 상기 끼움 홀(161)과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6b)의 형상이 일치하게 상기 연결부재(160)를 적당히 회전시켜 상기 끼움 홀(161)을 상기 끼움 돌기(146a)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며, 분리시에는 상기한 결합과정을 반대로 반복하게 된다.Thus, the connecting member 160 is rotated appropriately so that the shape of the fitting hole 161 matches the shap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46b, thereby fitting the fitting hole 161 into the fitting projection 146a , And in the separatio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process is reversed.

따라서, 연결부재(160)의 착탈시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연결부재(16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n external force when attaching / detaching the connection member 160, and the connection member 160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돌기(146a)에 결합되는 끼움 홀(261)은 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끼움 홀(261)을 상기 끼움 돌기(146a)에 결합과정에서 상기 끼움 홀(261)의 변형을 상기 끼움 홀(261)의 둘레에서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262)가 마련될 수 있다.13, the fitting hole 261 coupled to the fitting protrusion 146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fitting hole 261 to the fitting protrusion 146a, A cutout portion 262 may be provided which is formed by cutting a deformation of the insertion hole 261 radially around the fitting hole 261.

이 경우, 상기 끼움 홀(261)을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6b)에 대고 상기 끼움 돌기(146a)의 축방향으로 밀면 상기 절개부(262)가 벌어지면서 상기 끼움 홀(261)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상기 끼움 돌기(146a)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이탈 방지 돌기(146b)를 지난 후 상기 절개부(262)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연결부재(260)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itting hole 261 is push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146a against the detachment protrusion 146b, the cut-out portion 262 is open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fitting hole 261 is increased And the cutout portion 262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46b to prevent the connection member 260 from being arbitrarily disengaged.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60)의 양단이 각각의 회전축 둘레면에 그 축방향으로 핀결합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4,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360 may be pin-coupled to the respectiv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otating shafts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이에 의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360)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간단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for coupling of the connecting member 360 is simplified.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100)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서 만들어진 각얼음의 저장을 위한 추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cemaker 100 may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storing the ice made by the ice tray 130. [

이와 관련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5는 도 2에서 각얼음 저장 용기가 인입출 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ice storage container is taken in and out in FIG. 2;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서 분리된 각얼음을 수용하는 각얼음 저장 용기(15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ice storage containers 150 (shown in FIG. 1) which are positioned below the tray storage part 120 and accommodate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130, ).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는, 상기 케이스(110)에 인입출 가능하게 마련된다.Each of the ice storage containers 150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and out of the case 110.

또한,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는, 인입 및 인출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ice storage containers 150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51 for gripping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50 is drawn in or drawn out.

그리고,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는, 외부에서 그 내부에 저장된 각얼음의 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마련된 저장량 확인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ice storage containers 150 may include a storage amount confirmation unit 153 that is transparently provided to recognize the amount of each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150.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가 설치되는 냉장고(10)의 도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Nex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10 in which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빙장치가 구비된 도어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트레이 수납부에 아이스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door provided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 and 18 are sectional views showing recesses in a state in which an ice tray is housed in a tray storage unit.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100)는, 냉장고(10)의 도어(12) 배면, 즉 상기 저장실(11)을 향하는 면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6,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oor 12 of the refrigerator 1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storage compartment 11.

상기 제빙장치(100)를 통해 각얼음을 만들기 위해 상기 제빙장치(100)는 냉동실도어(12b)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으나, 상기 냉장실도어(12a)에 냉장실(11a)과 구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제빙장치(100)를 설치하되, 구획된 공간이 냉동실(11b)과 같은 온도 환경으로 제어된다면 냉장실도어(12a)에 제빙장치(100)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The ice make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b to make ice cubes through the ice maker 100. Howeve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2a may be partitione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a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the ice maker 100 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2a if the ice maker 100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but the divided space is controlled to the same temperature environment as the freezer compartment 11b.

이에 의해, 상기 냉장실(11a) 또는 냉동실(11b)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장고(10)의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했던 상기 제빙장치(100)를 상기 도어(12)로 위치이동 시킴으로써, 냉장고(10)의 내부 용적이 증가되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The ice maker 100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chamber 11a or the freezing chamber 11b and serves as a main cause for reducing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10 is moved to the door 1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10 is increased.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2)에는,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를 상기 도어(12)의 개폐동작 없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12)를 관통하여 형성된 인출구(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구(15)를 개폐하는 각얼음 인출 도어(16)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인출구(15)를 통해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12 is provided with an outlet (not shown) formed through the door 12 so that the ice storage containers 150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2 The ice outlet doors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openings 15 are provided to prevent the cold air from leaking through the outlet openings 15.

여기서, 상기 인출구(15)를 통해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가 인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ice storage containers 15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case 110 so that the respective ice storage containers 150 can be taken in and out through the outlet 15 .

다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100)가 상기 도어(12)에 설치됨으로써, 도어(12)의 개폐과정에서 상기 제빙장치(100)에 수용된 아이스 트레이(130)에 작용하는 외력 및 진동이 증가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에 수용된 물이 넘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전면 상단으로부터 후면 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의 상단과 밀착되게 구비되는 밀착부재(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ce maker 100 is installed on the door 12 so tha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ice tray 130 accommodated in the ice maker 100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2 and / 17 and 18,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tray 130 from overflowing, the vibration of the tray tray 130 may be increased from the upper front end to the rear side of the tray receiving portion 12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member 125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upper end of the ice tray 130.

이에 의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물이 출렁이는 경우 상기 밀착부재(125)에 의해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30)로부터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18, water is prevented from being overflowed from the ice tray 130 by the contact member 125 when the water swells due to an external force.

특히, 상기 트레이 수납부(120)의 전방으로 물이 넘쳐 냉동실(11b) 내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overflowing in front of the tray storage part 120 and scattering into the freezing room 11b.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so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tail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Even those embodiments which are not listed in the description should be construed broadly within the spirit and scope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냉장고 11 : 저장실
12a : 냉장실 도어 12b : 냉동실 도어
14 : 선반 16 : 서랍식 저장수단
18 : 포켓식 저장수단 100 : 본 발명의 제빙장치
110 : 케이스 113 : 개구
117 : 통공 115 : 투명부
120 : 트레이 수납부 121 : 수납부 결합유닛
130 : 아이스 트레이 131 : 포켓 연통부
133 : 아이스 포켓 135 : 배출부
136 : 배수 가이드 리브 137 : 구획부
134a, 134b : 회전돌기 136a, 136b : 회전제한돌기
138 : 축 결합부 140 : 트레이 회전유닛
141 : 회전축 143 : 트레이 결합부
144 : 레버 이동 슬롯 147 : 레버
147a : 연장 레버부 148 : 회전유닛 커버
160 : 연결부재 161 : 끼움 돌기
261 : 끼움 홀 262 : 절개부
150 : 각얼음 저장용기 153 : 저장량 확인부
10: Refrigerator 11: Storage room
12a: refrigerator door 12b: freezer door
14: shelf 16: drawer storage means
18: pocket-type storing means 100: ice-m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Case 113: Opening
117: through hole 115: transparent part
120: tray housing part 121: receiving part coupling unit
130: Ice tray 131: Pocket communicating part
133: ice pocket 135:
136: drainage guide rib 137:
134a, 134b: rotation projections 136a, 136b:
138: shaft coupling unit 140: tray rotation unit
141: rotation shaft 143: tray coupling portion
144: lever movement slot 147: lever
147a: Extension lever part 148: Rotation unit cover
160: connecting member 161: fitting projection
261: insertion hole 262:
150: Each ice storage container 153: Storage amount confirmation unit

Claims (24)

상하면이 개방된 트레이 수납부;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순차로 서로 수평하게 수납되고, 각얼음으로 얼려질 물이 수용되는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의 길이방향 상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돌기;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돌기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끼움 돌기;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구동시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이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 돌기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plurality of ice trays housed horizontally in sequence in the tray storage portion and containing water to be frozen by each ice;
A 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ray housing part;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disposed on the ice tray;
A lever rotatably operable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plurality of ice trays; And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tting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e trays so that the plurality of ice trays rotate together when the lever is driven,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with a fitting hol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is inse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회전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끼움 홀과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회전돌기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Wherein the fitting hole and the fitting protrusion are coupl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 돌기와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 돌기가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nt projection is protrude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so as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coupl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구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 부분을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urved portion convex upward so as to prevent mechanical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은,
물을 수용하여 하나의 각얼음을 만드는 복수의 아이스 포켓들; 및
상기 복수의 아이스 포켓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스 포켓에 수용된 물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물을 인접한 아이스 포켓으로 공급시키는 포켓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comprises:
A plurality of ice pockets that receive water and make one ice cubes; And
And a pocket communicating unit for supplying excess water to the adjacent ice pockets when the height of water contain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ce pockets exceeds a reference heigh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연통부는 상기 서로 인접한 아이스 포켓들을 구획하는 구획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cket communicating portion is a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of a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adjacent ice pock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부가 내부로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수납부 중 일방에 형성되는 걸림쇠와 타방에 형성되는 걸림단으로 마련되어, 상기 트레이 수납부를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수납부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se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tray storage portion can be stored inside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And
And an accommodating unit coupled to the tray accommodating unit to engage the tray accommodating unit with the case, wherein the shelf accommodating unit includes a latch formed at one of the case and the tray accommodating unit and a latching end formed at the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들에서 분리된 각얼음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각얼음 저장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ce storage contain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y storage portion and adapted to receive the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저장 용기는 외부에서 내부에 저장된 각얼음의 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마련된 저장량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each of the ice storage containers includes a storage amount confirmation unit that is transparently provided so as to recognize the amount of each ice stored in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ce maker is provid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끼움 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절개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끼움 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cutout in the fitting hole, and the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by the deformation of the cutout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끼움 홀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by being cut in a radial direction around the fitting h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끼움 돌기의 삽입시 벌어져 상기 끼움 홀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끼움 돌기가 상기 끼움 홀에 삽입된 후에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끼움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configured to extend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to expand the insertion hole, and after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e insertion protrusion is restored to its initial state to prevent the insertion protrusion from being released.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의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 돌기에 끼워진 상기 연결부재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escape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to prevent any devi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fitted to the fitting protrusion.
상하면이 개방된 트레이 수납부;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순차로 서로 수평하게 수납되고, 각얼음으로 얼려질 물이 수용되는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의 길이방향 상의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수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돌기;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회전돌기로부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끼움 돌기;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구동시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이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 돌기와 연결되는 링크 암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암에는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 tra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 plurality of ice trays housed horizontally in sequence in the tray storage portion and containing water to be frozen by each ice;
A 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tray housing part;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a plurality of ice trays disposed on the ice tray;
A lever rotatably operable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plurality of ice trays; And
And a link arm connected to the fitting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ce trays so that the plurality of ice trays rotate together when the lever is driven,
Wherein the link arm is formed with a fitting hole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is insert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홀은 상기 링크 암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tt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nk ar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회전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끼움 홀과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회전돌기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tting protrusio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Wherein the fitting hole and the fitting protrusion are coupl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rotrus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 돌기와 결합된 상기 링크 암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 돌기가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etachment protrusion is protruded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tting protrusion so as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link arm coupl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은 상기 복수의 아이스 트레이들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구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선 부분을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nk arm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urved portion convex upward so as to prevent mechanical interference that may occur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plurality of ice tray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의 상기 끼움 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는 상기 절개부의 변형에 의해 상기 끼움 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cut portion is formed in the fitting hole of the link arm, and the fitting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by the deformation of the cut por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끼움 홀의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by being cut in a radial direction around the fitting hol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끼움 돌기의 삽입시 벌어져 상기 끼움 홀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끼움 홀이 상기 끼움 돌기에 삽입된 후에는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끼움 돌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configured to expand when the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to expand the insertion hole, and after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 the insertion portion is restored to its initial state to prevent the insertion protrusion from being released. A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기의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 돌기에 끼워진 상기 링크 암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22. The method of claim 21,
And an escape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to prevent any disengagement of the link arm fitted in the fitting protrusion.
KR1020150067503A 2015-05-14 2015-05-14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KR101595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03A KR101595399B1 (en) 2015-05-14 2015-05-14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503A KR101595399B1 (en) 2015-05-14 2015-05-14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839A Division KR101612861B1 (en) 2009-04-01 2009-04-01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43A KR20150060643A (en) 2015-06-03
KR101595399B1 true KR101595399B1 (en) 2016-02-18

Family

ID=5350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503A KR101595399B1 (en) 2015-05-14 2015-05-14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9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00Y1 (en) 2002-09-19 2002-12-11 대우전자주식회사 An icing dis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303842B1 (en) * 2003-09-16 2013-12-17 ICE FORM SUPPLY SYSTEM IN COOLING DEVICES
KR100756463B1 (en) * 2006-02-17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80103350A (en) * 2007-05-23 2008-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ice tray for refrigerator, ice making unit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400Y1 (en) 2002-09-19 2002-12-11 대우전자주식회사 An icing d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643A (en)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861B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US8424334B2 (en)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551167B1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en) Refrigerator
US20080006048A1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7850365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040084297A (en) Dispenser in refrigerator
CN110945303A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100116742A (en) Refrigerator
KR101406188B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7621106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9097451B2 (en)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575054B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KR101595399B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evice
KR20090058789A (en) Ice-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WO2024000702A1 (en) Refrigerator
KR20190125113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130053922A (en) A ice making tray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JP4141429B2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ker
US11808510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4097641B2 (en)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ker
KR20200121027A (en) Water supplying unit and ice maker comprising the same
KR20090079044A (en) Refrigerator
KR20110116435A (en) Refrigerator mounted with ice ma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