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218B1 - Gas pur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Gas pur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218B1
KR101595218B1 KR1020130009172A KR20130009172A KR101595218B1 KR 101595218 B1 KR101595218 B1 KR 101595218B1 KR 1020130009172 A KR1020130009172 A KR 1020130009172A KR 20130009172 A KR20130009172 A KR 20130009172A KR 101595218 B1 KR101595218 B1 KR 101595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et
cyclone
liq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9336A (en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비테크
Publication of KR2013011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95Frying baskets or other foo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본 발명의 신규한 공기유입구, 액적분사장치 및 기액분리장치를 적용하되, 하부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를 적용하며, 상부에는 습식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를 적용한 2단 이상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which employs a novel air inlet, a droplet jetting apparatus, and a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cyclone wet air purification apparatus is applied and a wet or dry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has a laminated structure of two or more stages.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Gas purification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로부터 분진, 매연, 꽃가루 기타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dust, soot, pollen and other harmful substances from air.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은 크게 건식방식과 습식방식, 또는 건식과 습식을 혼합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purifying air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dry system, a wet system, or a combination of a dry system and a wet system.

건식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필터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필터 방식의 경우, 미세입자상 먼지를 완전하게 포집하여 정화하지 못하며, 분진이 함유된 기체가 유인되면 필터 표면에 누적되고, 필터 막힘으로 인하여 집진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병원균 또는 세균의 온상지가 되기도 하며, 따라서 정기적인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있고, 폐기된 필터 부직포로 인하여 2차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여 지구 환경오염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다른 건식 방식으로 광촉매, 전기 집진, 플라즈마를 포함한 기체정화장치도 있으나, 기체정화효율이 저조하며, 또한, 음이온 발생 기체정화장치는 인체 보건 위생에 유해한 오존발생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식으로 구성된 원심형식의 기체정화기는 이론상 90 ~ 95%의 기체정화효율이 가능하지만, 인체 보건 위생에 유해한 5μm 이하를 갖는 미세입자상 먼지, 꽃가루, 담배연기, 유해가스를 포집하여 정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단순하게 기체 중의 먼지를 제한적으로 원심분리 제거하는 산업용 목적의 기체 청정장치이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ry type, there is a method using a filter. In the case of the filter method, the fine particulate dust can not be completely collected and cleaned. When the dust containing gas is attracted, the dust accumulates on the filter surface, and the filter efficiency deteriorates drastically due to the filter clogg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maintenance due to regular replacement, and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generated due to the waste filter nonwoven fabric, which is a major cause of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there are some gas purifying apparatuses including photocataly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plasma by other dry method, but the gas purifying efficiency is low, and an anion generating gas purifying apparatus is known to have a side effect of ozone generation which is harmful to human health and hygiene . The centrifugal type gas purifier composed of dry type can purify gas by collecting dust, pollen, tobacco smoke and noxious gas having fine particle size of 5 μm or less which is harmful to human health and hygiene, although it can theoretically purify gas with 90 ~ 95% , It is an industrial purpose gas purifying apparatus which removes centrifugally the dust in the gas simply.

한편, 습식 방식은, 기체정화기에서 기체 흐름을 유인하여 2차원적인 수막 표면적 접촉에 의하여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기체를 정화하는 방식이 있다.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는 기체 중의 오염물질만이 물의 점성 응착력으로 정화되고, 수막 표면적에 접촉하지 않는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정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과도한 습기를 함유한 기체가 배출되어 정밀기기를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체역학 측면에서 종래의 습식 기체정화기는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정화 가능 및 기체정화효율이 다른 형식의 기체정화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지만 이론상 85% 미만으로 제한적이며, 병원균, 미생물의 자체 살균능력이 없어서 병원균의 온상이 되어 비위생적이며 세정수를 약품처리 살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습식 방식에서는 정화된 기체와 수분이 다시 재결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wet type, there is a method of purifying the gas by the viscous adhering force of the water by the two-dimensional surface contact of the water film by attracting the gas flow in the gas purifier. Only the contaminants in the gas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water film are purified by the viscous adhesive force of the water and most contaminants which do not contact the surface of the water film are not cleaned and the gas containing excessive moisture is discharged, There was a problem of corrosion. In terms of gas mechanics, conventional wet gas purifiers are capable of purifying fine dust less than 0.1 μm in size and gas purifying efficiency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types of gas purifiers, but theoretically less than 85%, and are not capable of self-sterilizing pathogens and microorganism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unsanitary as a hotbed of pathogens and disinfects chemical treatment of washing water.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wet type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urified gas and water are recombined again.

한편, 종래 관련 특허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1994-0023518호는 펌프를 이용하여 노즐로 수분을 분무하는 기술로서, 펌프가 필요 없으며, 공기와 수분을 분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55008호는 세척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급수한 후, 3개의 비산수단을 통하여 세척수를 비산시켜 하부에서 상승하는 공기와 비산시키는 기술로서, 세척수의 공급을 위하여 펌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더불어, 공기가 상승만 할 뿐 회전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4-0023518 discloses a technology for spraying water with a nozzle using a pump, which does not require a pump, and discloses a technique for separating air and wate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6-0055008 discloses a technique of splashing washing water through three splashing means after splash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splashing the washing water with air rising from the bottom. In order to supply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we do not disclose the technology that rotates only the ai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4-002351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4-0023518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550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55008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 가능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간단한 구조로 액적과 공기를 분리할 수 있을 기액분리장치를 적용할 뿐만 아니라, 액적의 분사가 고가의 노즐이 아닌 간단한 구조의 파이프 형태를 통하여 분사되며, 또한 청소가 용이한 액적분사장치를 적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매우 효율이 높은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pparatus which can be used for a domestic or industrial use and which not only applies a gas-liquid separating apparatus capable of separating liquid droplets and air with a simpl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ighly efficient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simple structure by applying a liquid accumulat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cleaned.

특히, 본 발명은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된 공기정화장치로서, 오염된 공기가 들어오는 최하부의 1단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이나, 상부의 2단 이상부터는 습식 또는 건식을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composed of two or more stages, wherein the lowermost one of the two stages of the contaminated air is a cyclone wet air purifier or an air purifier capable of using wet or dry from the uppermost st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1단 이상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원통형의 본체 중심점이 아닌 사선 또는 법선 방향으로 1개 이상 설치되는 공기유입구로서, 공기의 흐름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의 회전판 역할을 하는 베인(vane)과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 내부 또는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액적화시켜 분사하는 액적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에서 회전상승하는 습윤 상태의 공기로부터 액적을 분리제거하고 건조한 상태의 공기를 상부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로 보내주는 기액분리장치가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상부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 사이에서 관통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nd an air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a wet scrubber or a dry air cleaning apparatu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 An air inlet formed in at least one of a slanting line or a normal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body, the air inlet including a vane serving as a rotating plate of air for rotating the air flow and an opening; And a liquid-liquid mixing device provided in the air inlet or in the main body of the cyclone wet air purifying device for liquid-jetting the liquid to be cleaned, wherein the droplet is discharged from the cyclically wet air- And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drying the air in the dry state to the upper wet scrubber or the dry air cleaning unit is installed betwee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unit and the upper wet scrubber or the dry air cleaning unit. And an air purifier.

특히,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실린더형 분리부;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중심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주입된 습윤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습윤공기입구; 및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에 모인 액적이 외부로 제거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gas-liquid separator comprises: a cylindrical separator; At least one humid air inlet installed at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and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other than a cent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to allow the injected humidified air to rise while rotating; And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bottom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and having droplet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be removed to the outside.

특히, 상기 습윤공기입구의 전단 또는 상기 분리부의 후단에 공기를 강제 배송시키기 위한 팬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fan for forcibly delivering air to the front end of the humidified air inlet or to the rear end of the separating unit.

특히, 상기 분리부 상부에 상기 분리부보다 직경이 큰 실린더형의 확대분리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enlarged separation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portion, the diameter of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paration portion.

특히, 상기 분리부 또는 확대분리부에 오리피스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portion or the enlargement / separa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n orifice.

특히, 상기 액적분사장치는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는 세정공이 1개 이상 형성된 세정액파이프 및 상기 세정액파이프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세정공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이 충돌하여 액적화할 수 있는 충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liquid crystal integrating device includes a cleaning liquid pipe having at least one cleaning hole through which a cleaning liquid can be injected, and an impact plat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leaning liquid pipe and capable of colliding with the cleaning liquid injected from the cleaning hole, .

특히, 상기 세정액파이프의 세정공은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절개폭이 더 증가되어 세정액이 부채꼴 모양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sing hole of the cleaning liquid pipe further increases the cutting width from the inside diameter to the outside diameter direction so that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in a fan shape.

특히,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상부에 습식 스크러버를 사용하는 경우, 세정액이 담겨있는 탱크가 제1탱크 및 제2탱크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1탱크의 세정액이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로 공급되고, 제2탱크의 세정액은 상부의 습식 스크러버에 공급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보충용 세정액(make up water)은 상기 제2탱크로만 공급되고, 상기 제1탱크의 보충용 세정액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탱크의 세정액이 상기 제1탱크로 공급되도록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when a wet scrubber is used o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the tank containing the cleaning liquid is divided into a first tank and a second tank, and the cleaning liquid of the first tank is supplied 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The cleaning liquid of the second tank is supplied to the upper wet scrubber, and the makeup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supplied only to the second tank, and when the replenishing cleaning liquid of the first tank is required, It is preferable that a pipe is provide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of the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tank.

특히, 상기 제1탱크의 수위보다 제2탱크의 세정액 수위가 더 높아, 상기 수위차에 의하여 제2탱크로부터 제1탱크로 세정액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vel of the rinse liquid in the second tank i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first tank, and the rinse liquid moves from the second tank to the first tank by the water level difference.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베인을 갖는 공기유입구, 액적분사장치 및 기액분리장치를 적용하고, 다단 구조로서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식 또는 습식 공기정화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공기로부터 분진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inlet, a droplet jetting apparatus, and a gas-liquid separating apparatus having a vane having a novel structure are applied, a cyclon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as a multi-stage structure, a dry or wet air purifying apparatus located above the cyclone wet air purify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contaminants such as dust from the air through the apparatus.

도 1a는 상부에 습식 스크러버를 갖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1b는 상부에 건식 공기정화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공기유입구의 설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의 베인(vane)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에서 베인으로 인하여 유입된 공기가 직선 방향이 아닌 회전 방향을 갖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d는 공기유입구의 내부에 액적분사장치가 설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e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 내에 액적분사장치가 설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액적분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그 횡단면도이고, 도 3c 그 종단면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기액분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 및 도 4c는 그 수평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며, 도 4d는 습윤공기입구가 4개인 기액분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e는 확대분리부를 더 갖는 기액분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f은 오리피스를 더 구비하는 기액분리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g는 상부에 덮개를 더 갖는 기액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술한 도 1a을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서,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상부에 2단의 습식스크러버를 가져 총 3단 구성의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에서, 펌프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세정액파이프 내에 쌓여 있던 슬러지 형태의 퇴적물이 세정액과 함께 배관을 통해 펌프 쪽으로 자동적으로 하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wet scrubber on the top, and FIG. 1B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dry air purifying apparatus on the top.
FIG.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direction of an air inlet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vane of an air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air introduced due to the vane in the air in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tation direction other than a linear direction, FIG. 2D is a view FIG. 2E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liquid accumula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cyclone wet air cleaning device. FIG.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plet ej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and FIG. 3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hereof.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B and 4C are a horizontal sectional view and a vertical sectional view thereof, Fig. 4D is a sectional view of a gas- FIG. 4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s-liquid separator further comprising an orifice, and FIG. 4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s-liquid separator having a cover at the top.
FIG. 5 is a more specific view of the above-described FIG. 1A, and is an embodimen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hree-stage three-stage structure with a two-stage wet scrubber on top of a cyclone wet air purifier.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ludge type deposit accumulated in the cleaning liquid pipe automatically falling down to the pump side through the piping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when the pump is turned off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장치(1000)의 개념도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0)는 2단 이상의 다단의 습식과 건식 공기정화장치가 결합된 구조로서, 공기가 들어오는 입구가 위치하는 최하단부에는 습식공기정화장치로서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되,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위에는 습식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를 가질 수 있다.
1A and 1B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air clean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tages of wet and dry air cleaning apparatuses are combined. At the lowermost end where the air inlet is located, An air cleaning apparatus 100 is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may have a wet or dry air cleaning apparatus.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3단 구성의 공기정화장치(1000)로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1단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이며, 상기 사이클론식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상부에는 습식스크러버(200-1, 200-2)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물론 습식스크러버(200)가 3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와 각 습식스크러버(200-1, 200-2)의 사이 및 최상단의 습식스크러버(200-2)의 꼭대기에도 기액분리장치(10-1, 10-2, 10-3)가 각 단을 관통하여 2개의 공기정화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의 공기정화장치로부터 상부의 공기정화장치로 상승하는 공기로부터 세정액적을 분리한다. 또한 습식스크러버 내에는 기액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팩킹 물질로 충진할 수 있다.
FIG. 1A is a three-stage air purifier 10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most one is a cyclone wet air purifier 100. The cyclone wet air purifier 100 Is composed of two stages of wet scrubbers 200-1 and 200-2. Of course, the wet scrubber 200 may be composed of three or more stages. Liquid separators 10-1, 10-2, and 10 are also disposed at the top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and each of the wet scrubbers 200-1 and 200-2 and at the top of the uppermost wet scrubber 200-2. -3)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ir purifying devices through the respective stages to separate the cleaning liquid droplets from the air rising from the lower air purifying device to the upper air purifying device. The wet scrubber may also be filled with a packing material to increase the gas-liquid contact area.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장치(1000)의 개념도로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를 가지는 점은 도 1a와는 동일하나, 그 상부에 건식공기정화장치로서, 필터, 전기집진필터(310) 등의 다양한 건식공기정화장치(300)를 갖는다. 상기 사이클론식 습식공기정화장치(100)와 건식공기정화장치(300) 사이에는 기액분리장치(10)가 양 공기정화장치에 걸쳐 위치한다. 건식공기정화장치(300)의 최상부의 공기출구(320)를 통하여 외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데, 공기출구(320)에는 팬 등의 강제 송풍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는 생략하고 표현하였다.
1B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ir purifi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one wet air purifier 100 is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The apparatus includes various dry air purifying apparatuses 300 such as filters,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filters 310, and the like. Betwee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and the dry air cleaning apparatus 300, a gas-liquid separator 10 is positioned over both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most air outlet 320 of the dry air purifying device 300 is discharged. It is preferable that a forced air blowing device such as a fan is installed in the air outlet 320. However, Respectively.

전술한 도 1a 및 도 1b에서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액적분사장치(20-1)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공기유입구(30) 내에 설치되거나, 공기유입구(30) 및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실린더 본체 내에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a에서 각 단에 액적분사장치(20-1~ 20-3)가 하나씩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수직적 및 수평적으로 다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1개씩만 표현하였다.
Although the droplet ejection apparatus 20-1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n FIGS. 1A and 1B described above, Or may be installed in the cylinder body of the air inlet 30 and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at the same time. In FIG. 1A, one droplet ejection apparatuses 20-1 to 20-3 are provided at each end. However, the droplet ejection apparatuses 20-1 to 20-3 may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1000) 내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in the air purifie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공기유입구(30)의 구조The structure of the air inlet 30

도 2a는 본 발명의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공기유입구(30)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a와 같이 공기유입구(30)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단면 중심점을 향하지 않고 일정 각도 빗겨나 사선방향(또는 법선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벽을 따라 회전상승하면서 액적과 공기가 사이클론 효과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air inlet 30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a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ir inlet 30 is connected to a cyclone wet air purifier Contaminate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s supplied 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so as to be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or normal direction) So that the droplets and air are easily separated by the cyclone effect.

도 2b는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30)의 베인(vane)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30)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와 연결되는 부분은 일부가 막혀져 공기가 직선 운동이 아닌 원형 회전하도록 하는 공기의 회전 가이드 역할의 베인(32)으로 되어 있으며, 일부만 개방된 개방구(31)로 되어 있다. 이렇듯 공기유입구(30)의 후단이 베인(32)으로 일부가 구성되어 이유는 도 2c를 통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ne of the air inle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partially, The vane 32 serves as a rotation guide for air to make a circular rotation instead of a linear motion, and the opening 31 is partially open. The reason why the rear end of the air inlet 30 is partially formed by the vane 3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C.

도 2c는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30)에서 베인(32)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베인(32)에서는 유입된 공기 총량(a3) 중 일부(a1)가 베인(32)에 의해 베인의 곡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개방구(31)로 유입되는 공기(a2)와 합쳐지며, 이러한 베인(32)에 의하여 회전력을 갖는 공기(a2)로 인하여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에서도 공기(a3)의 회전력이 베인(32)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증대된다. 즉, 본 발명의 공기유입구(30) 자체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중심점이 아닌 사선방향(도 2a 참조)으로 위치하여 유입된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유입구(30) 내의 베인(32)으로 인하여 공기의 회전력이 더욱 증가하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회전 운동 증강 방법이 사용된다.
2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e of the vane 32 in the air inle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ne 32, a part a1 of the total amount of introduced air a3 is vane- (A3) i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due to the air a2 having a rotating force by the vane 32, and the air a2 is mixed with the air a2 flowing into the opening 31 while rotating along the curve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vane 32 is not provided. That is, the air inle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see FIG. 2A), not the center point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so that the inflow air is raised while rotating,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ir is further increased due to the vane 32 in the inner rotor 32. [

한편,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외벽 자체가 베인(31)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공기유입구(30)의 후단에 별도의 구성으로 베인(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인(31)은 공기의 흐름을 회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스크류 타입, 원호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기가 직진 운동이 아닌 곡선 운동을 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해주기만 하면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The outer wall itself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may serve as the vane 31 or the vane 31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air inlet 30 as a separate structure. The vane 31 is a component for rotating the air flow,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f it serves as a guide for making the curved movement of the air in various forms such as a screw type and a plate having an arc, .

도 2a 내지 도 2c는 공기유입구(30)로 유입되는 공기에 액적을 분사하는 장치를 생략하고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 도 2d 및 도 2e를 통하여 공기유입구(30)로부터 들어오는 분진이 많은 공기로부터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표면적을 제공하는 액적분사장치(20)의 위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2A to 2C, the apparatus for spraying droplets on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30 is omitted, and dust is removed from the dust-rich air coming from the air inlet 30 through FIGS. 2D and 2E The position of the droplet jetting apparatus 20 that provides a surface area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d는 공기유입구(30)의 내부에 액적분사장치(20)가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2e는 공기유입구(20)가 아닌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에 액적분사장치(20)가 2개 존재하는 경우의 예이다. 물론 도 2d와 도 2e의 혼합 형태로 공기유입구(30)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1)에 모두 액적분사장치(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Figure 2d shows the case where the droplet injector 20 is located inside the air inlet 30 and Figure 2e shows the case where the droplet injector 20 is located within the cyclone wet air purifier 100,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re is a dog. Of course, the droplet ejection apparatus 20 may be installed in both the air inlet 30 and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1 in the form of the mixture of FIG. 2D and FIG. 2E.

이하에서는 이러한 액적분사장치(20)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roplet ejection devic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액적분사장치(20)의The droplet jetting device 20 구조 rescue

도 3a는 본 발명의 액적분사장치(20)의 사시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각 단면도이다.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plet ejec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B and 3C are respective sectional views.

본 발명의 액적분사장치(20)는 세정액파이프(21)와 충돌판(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세정액파이프(21)는 내부에 세정액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통상의 파이프를 기본 형태로 한다. 이러한 기본 형태에 더하여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세정액파이프(21)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천공된 세정액분사공(22)을 갖는다. 상기 세정액분사공(22)으로 분사된 세정액은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된 충돌판(25)에 부딪쳐 미세한 크기의 액적, 예를 들어, 수십 ㎛ ~ 수 mm 크기의 입자 형태로 분산되어, 오염공기와 물질교환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전달받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충돌판(25)이 다공판으로 구성되어, 다공판을 통과한 일부의 세정액도 하부에서 상승하는 오염공기와 물질교환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전달받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정액파이프(21)와 충돌판(25)을 이용한 액적분사장치(20)는 적정 이상의 압력으로 분사할 경우, 종래의 팩킹물질을 이용한 기액 표면적 증가 방식보다 기액 표면적이 증가하고, 막힘이 없으며, 항상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droplet jetting apparatu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eaning liquid pipe (21) and an impingement plate (25). First, the cleaning liquid pipe 21 has a basic shape of a conventional pipe hav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can flow. In addition to this basic form, the cleaning liquid pipe 21 has a cleaning liquid spray hole 2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at irregular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liquid pipe 21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The cleaning liquid sprayed into the cleaning liquid spray holes 22 is dispersed in the form of fine droplets, for example, particles having a size of several tens of micrometers to several millimeters, Contaminants are delivered through material exchange. Of course, if necessary, the impingement plate 25 is made of a perforated plate, and a part of the cleaning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may also receive the contaminant through exchange of the contaminated air rising from the bottom. The droplet jetting apparatus 20 using the cleaning liquid pipe 21 and the impingement plate 2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gas-liquid surface area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gas-liquid surface increasing method using packing materials, It has the advantage of always maintaining constant performance.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세정액분사공(22)은 바람직하게는 세정액파이프(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경(23)과 외경(24)으로 동일한 각도(α)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가 아니더라도, 내경(23)에서 외경(24)으로 갈수록 절단폭이 증가하도록 사선방향(또는 "八"자 형태 절개)으로 절개됨으로써, 세정액분사공(22) 밖으로 세정액이 분사될 때,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지면서 분사되어 충돌판(25)에 부딪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넓게 분사되어 충돌판(25)에 부딪치는 경우에 액적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3B and 3C,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liquid spray hole 22 is preferably formed by being incis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ner diameter 23 and the outer diameter 24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leaning liquid pipe 21 Do. (Or "8" -shaped incision) such that the cutting width increases from the inner diameter 23 to the outer diameter 24 even if the angle is not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s spread and spread in a fan shape so as to hit the impingement plate 25. This is because dropletization is facilitated when the droplet is jetted widely and collides against the impact plate 25.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돌판(25)은 다수의 통공이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다공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정액파이프(21)의 분사공(22)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이 부딪쳐 액적화 되며, 다공판(25)의 홀(hole)들로 투과한 세정액은 하부로 낙하하면서, 공기와 물질교환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충돌판(25)과 부딪쳐 액적화된 세정액은 상승하는 공기로부터 오염물질을 전달받은 후 하강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mpingement plate 25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perforated plate of metal or plastic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cleaning liquid injected from the injection hole 22 of the cleaning liquid pipe 21 collides with the droplet so that the cleaning liquid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holes of the perforated plate 25 is dropped to the bottom, . The cleaning liquid that has collided with the impingement plate 25 and drops into droplets is received by the rising air and then descends.

기액분리장치(10)의Liquid separator 10 구조 rescue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기액분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b 및 도 4c는 그 수평단면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B and 4C are a horizontal sectional view and a vertical sectional view thereof.

액적이 혼합된 습윤 상태의 공기로부터 액적을 하부로 분리 제거하고, 건조한 공기를 상부로 분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액분리장치(10)는 실린더형 분리부(11), 습윤공기입구(12) 및 드레인관(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윤공기입구(12)의 전단 또는 분리부(11)의 후단(확대분리부(14)를 갖는 경우 확대분리부(14)의 후단)에는 송풍을 위한 팬(17)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액분리장치(10) 내에서 공기의 흐름이 일어나도록 도와준다.
Liquid separ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separator 11, a humidified air inlet 12, and a humidified air inlet 12 for separating and removing the droplets from the humidified air mixed with the droplets, And a drain pipe (13). Preferably, a fan 17 for blowing ai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umid air inlet 12 or at the rear end of the separating portion 11 (the rear end of the expanding and separating portion 14 when the enlarged separating portion 14 is provided) Liquid separ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실린더형 분리부(11)는 통상의 원통형의 체임버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린더형 분리부(11)는 분리부의 횡단면의 직경이 모두 동일한 실린더 형태뿐만 아니라, 실린더형을 기본형으로 하여, 상부 및/또는 하부의 직경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변형된 실린더형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린더형 분리부(11)에서는 후술하는 습윤공기입구(12)가 하부 측면에 1개 이상 설치되며, 특히, 2개 또는 4개씩 짝수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ylindrical separator 11 means a normal cylindrical type of chamber. The cylindrical separating portion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urfaces of the separating portion have the same diameter but also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ylindrical shape is basic and the upper and / or lower diameter is narrowed or widened It is used as a meaning. In the cylindrical separator 11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wet air inlets 12 to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surface, and in particular, two or four wet air inlets 12 are preferably dispos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

또한, 실린더형 분리부(11)의 상부는, 실린더형 분리부(11)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실린더 형의 건조공기출구(15)를 가지며, 상기 건조공기출구(15) 안에 팬(1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건조공기출구(15)가 별도로 없이 분리부(11)의 최상부, 또는 후술하는 확대분리부(14)의 최상부에 팬(17)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eparating portion 11 has a cylindrical drying air outlet 15 whose width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eparating portion 11 and the fan 17 is disposed in the drying air outlet 15. [ Is preferably installed. Of course, the fan 17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eparating section 11 or at the top of the enlarging / separating section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out any separate dry air outlet 15.

본 발명에서 분리부(11)가 실린더형이어야 하는 이유는, 상기 습윤공기입구(12)를 통하여 들어온 습윤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하기 위해서는 분리부(11)가 실린더형을 가져야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이유로 후술하는 확대분리부(14) 역시 실린더형을 가져야 한다.
The reason why the separating unit 11 is cylindric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advantageous for the separating unit 11 to have a cylindrical shape in order for the wet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wetted air inlet 12 to rise while rotating. Also, for the same reason, the enlargement / separation unit 14 to be described later must also have a cylindrical shape.

전술한 바와 같이, 습윤공기입구(12)가 실린더형 분리부(11)의 하부에 위치한다. 실린더형 분리부(11)의 하부로 유입된 습윤공기는 자연적으로 회전하면서 상승이 일어나며, 이러한 상승과정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밀도가 높은 무거운 수분은 서로 응집하여 분리부(11)의 내부 벽면을 타고 하부로 낙하하며, 분리부(11)의 하부, 특히, 분리부(11)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는 드레인관(13)을 통하여 세정액이 배출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et air inlet 12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11. The wet air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ylindrical separating part 11 naturally rises while rotating, and in the ascending process, the heavy water having naturally high densit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coalesces with each other and ride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eparating part 11 And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13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part 11, in particular,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on part 11. [

따라서, 습윤공기입구(12)로 들어온 습윤공기가 선회전을 하면서 상승하기 위하여 도 4b와 같이, 습윤공기입구(12)가 실린더형 분리부(11)의 중심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또는, 법선 방향)으로 위치하여야 한다. 이점은 전술한 공기유입구(30)가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공기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즉, 상기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습윤공기입구(12)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습윤공기입구(12)로 주입된 습윤공기는 도 4c와 같이 선회전하면서 상승하고, 세정액의 액적은 이러한 선회전 과정에서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분리부(11) 내벽으로 모여 중력에 의하여 하강함으로써, 공기와 액적이 분리되는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액적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분리부(11)의 상부에서는 공기 내에 액적이 제거되어 수분이 거의 없는 건조한 공기 상태가 된다.
4B, the wetted air inlet 12 is arran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r in the normal direction, n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11) so that the wetted air entering the wetted air inlet 12 rises while advancing linearly Direction). The advantage is the principle that the above-described air inlet 30 is positio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to allow air to rotate. That is, when the wet air inlet 12 is installed in the obliqu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wet air injected into the wet air inlet 12 rises while swirling as shown in FIG. 4C, The droplets can be separated using the cyclone principle in which the air and the droplet are separated because the droplets naturally come down to the inner wall of the separation part 11 and descend by gravity. Therefore, at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ng part 11, the liquid droplets are removed from the air, and a dry air state in which there is little moisture is obtained.

본 발명의 드레인관(13)은 전술한 실린더형 분리부(11)에서 분리된 액적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관으로서, 도 4a와 같이 일자형으로 분리부(11)의 바닥면(=최하부) 또는 바닥면 근처에 위치한다. 또한, 도 4e와 같이 "U" 자형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e와 같이 "U" 자형으로 절곡된 경우 "U" 자 부분에 액적이 가득 차 있으므로, 건조 공기가 드레인관(13)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분리부(11)의 상부로 상승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The drain pipe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liquid droplets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separator 11 to the outside as a bottom surface (= the lowermost part) of the separating part 11 It is located near the bottom. Also, it may be a shape bent in a "U" shape as shown in Fig. 4E. As shown in FIG. 4E, when the U-shaped portion is bent, the droplet is filled in the U-shaped portion, so that the dry air does not escape to the drain pipe 13, There are advantages.

도 4d는 습윤공기입구(12)가 4개인 기액분리장치(10)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클론형 기액분리장치(10)에서 습윤공기입구(12)는 분리부(11)의 하부 벽면에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에서는, 2개의 습윤공기입구(12)를 갖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도 가능하다. 특히, 도 4d와 같이 습윤공기입구(12)가 4개인 것도 가능하며, 이때 각 습윤공기입구(12)의 설치 방향은 분리부(11)로 습윤공기가 주입된 후 동일한 방향(도 4d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공기가 회전하도록 습윤공기입구(12)가 위치함)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4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s-liquid separator 10 having four wet-air inlets 12 therein. As described above, in the cyclone-type gas-liquid separ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wetted-air inlet 1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wall surface of the separating portion 11. For example, in FIGS. 4A and 4B, an embodiment having two wet air inlets 12 has been described, but three or more are possibl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D, it is also possible to have four wet air inlets 12, in which the direction of installation of each wetted air inlet 12 is the same direction after wet air is injected into the separating portion 11 And the wet air inlet 12 is positioned such that the air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도 4e는 확대분리부를 더 갖는 기액분리장치(1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형 기액분리장치(10)는 기액분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리부(11)의 직경(D2)보다 큰 직경(D1)을 갖는 확대분리부(14)를 더 가질 수 있다. 확대분리부(14) 역시 분리부(11)와 마찬가지로 실린더형(=원통형)이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11) 및 확대분리부(14)가 실린더형이어야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확대분리부(14)는 실린더형 분리부(11)의 상부에 위치하며, 확대분리부(14)가 있는 경우 건조공기출구(15)는 확대분리부(14) 상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건조공기출구(15) 없이 확대분리부(14)의 상부에 바로 팬(17)이 결합될 수도 있다.
4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as-liquid separator 10 further having an enlarged separator. The cyclone gas-liquid separation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have an enlargement / separation section 14 having a diameter D1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paration section 11 in order to increase gas / liquid separation efficiency. The enlargement / separation unit 14 must also be cylindrical (= cylindrical) like the separating unit 11. 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ing section 11 and the magnifying / separating section 14 must be cylinders so that the air can rise while rotating. The expanding and separating part 14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separating part 11. When the enlarging and separating part 14 is present, the dry air outlet 15 should be located above the enlarging and separating part 14. Of course, the fan 17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nlargement / separation portion 14 without the separate dry air outlet 15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분리부(11) 이외에 별도로 확대분리부(14)를 더 갖는 것은 직경이 커짐으로써 원심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즉, 원심력 = mrω2이며, 상기 r은 반지름으로서, 반지름이 커질수록 원심력이 커지며, 따라서 수분이 더욱 큰 원심력을 받아 응집이 더 잘 되기 때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eparating section 11, a separate enlarging / separating section 14 is provided because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because the diameter is increased. That is, the centrifugal force = mr? 2 , and r is the radius. As the radius becomes larger, the centrifugal force becomes larger.

도 4f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액분리장치(10)로서, 오리피스(16)를 더 구비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경우 분리부(11)의 상부에 도 4f과 같이, 분리부(11)의 직경(D2)보다 작은 통공(16a) 직경(D3)을 갖는 오리피스(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오리피스(16)를 분리부(11) 상단 내부에 더 구비함으로써, 공기 속의 분진과 같은 물질이 오리피스(16)에 부딪혀 하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물론, 도 4f과 달리 확대분리부(14) 없는 제 1 실시예의 분리부(11)의 상단 내부에 오리피스(1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오리피스(16)의 설치는 확대분리부(14)의 유무와 무관하게 분리부(11)의 상단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4F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orifice 16 is further provided as the gas-liquid separator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ifice 16 having a through-hole 16a having a diameter D3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separating portion 1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eparat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 4f. This is because the orifice 16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ortion 11 to induce a material such as dust in the air to collide with the orifice 16 to fall downward. Of course, unlike FIG. 4F, the orifice 16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ortion 11 of the first embodiment without the enlargement / separation portion 14. That is, the orifice 16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unit 11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expansion / separation unit 14 is present.

도 4g는 본 발명의 기액분리장치의 타 실시예로서 상부에 갓 모양의 덮개(18)를 더 갖는 실시예이다. 이는 다단의 습식 스크러버 형태로 상부공기정화장치가 구성될 때(도 1a 참조),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적이 하부에 놓인 기액분리장치로 유입되지 않도록 우산 역할을 하는 덮개(18)를 더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액분리장치(10)를 통과하여 상승하던 공기는 덮개(18) 밑의 통풍구(19)를 통하여 배출된다.
FIG. 4G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gas-liquid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includes a lid 18 at the top. This can further have a lid 18 serving as an umbrella so that when the upper air purification device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multi-stage wet scrubber (see Fig. 1A), the droplets falling from the top are not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as- . In this case, the air that has risen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hole 19 under the lid 18.

본 발명의 일 The invention 실시예에In the embodiment 의한 상부에 습식  Wetted 스크러버를Scrubber 갖는 공기정화장치의 예 Example of an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도 5는 전술한 도 1a을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서,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상부에 2단의 습식스크러버(200-1, 200-3)를 갖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FIG. 5 is a more detailed view of the above-described FIG. 1A. In the embodiment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two-stage wet scrubbers 200-1 and 200-3 o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to be.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로 유입된 분진이 포함된 공기는 회전상승하면서 액적은 비중이 무거우므로 바닥으로 떨어지고,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공기는 제1단의 습식스크러버(200-1)와의 사이에 위치한 기액분리장치(10-1)를 통하여 액적만을 분리하여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로 떨어뜨리고, 공기만 상부의 제1단 습식스크러버(200-1)로 이송한다. 제1단 습식스크러버(200-1)로 이송된 공기는 제1 습식스크러버(200-1)의 액적분사장치(20-2, 20-3)에서 살수되는 액적으로 분진을 전달한 후, 더욱 깨끗해진 공기 상태로 기액분리장치(10-2)를 통과하면서 남아 있는 액적을 분리하고 공기만 통과시키고, 다시 제2 습식스크러버(200-2)에서 한 번 더 분진을 스크러빙한 후, 기액분리장치(10-3)를 통하여 외부 또는 다른 공정으로 분진 등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s lowered to the floor because the droplet has a specific gravity heavy while the rotation is ascending and the air that ascends while rotating is moved between the first stage wet scrubber 200-1 and the first stage wet scrubber 200-1 Liquid separator 10-1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and the air is sent only to the upper first wet scrubber 200-1. After the air transferred to the first stage wet scrubber 200-1 transfers the dust to the droplets which are sprayed in the droplet ejecting apparatuses 20-2 and 20-3 of the first wet scrubber 200-1, Liquid separator 10-2 to separate the remaining liquid droplets, pass air only, scrub the dust once more in the second wet scrubber 200-2, -3) to discharge clean air from which dust and the like have been removed to the outside or another process.

한편, 도 5에서의 세정액의 순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하부에는 세정액의 저장고가 2개로 나누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장 오염이 심한 세정액이 순환하는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의 세정액이 모이는 제1탱크(410)와 상대적으로 깨끗한 세정액이 순환하는 제2 습식스크러버의 바닥면에 모인 세정액이 저장되는 제2탱크(420)로 나눌 수 있다. 제1 습식스크러버의 바닥면에 모인 세정액은 선택적으로 제1탱크(410) 또는 제2탱크(420)와 연결되어 세정액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는데, 도 5a에서는 제1탱크와 연결된 실시예이다. 상기 탱크의 세정액은 도 5와 같이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각 액적분사장치(20)를 통하여 액적화한 후 다시 해당하는 제1탱크(410) 또는 제2탱크(420)로 모이며, 다시 순환 과정을 되풀이한다. 세정액은 일 회 사용이 아닌 다수 회 사용한 후 일부 세정액은 드레인하며, 모자라는 만큼은 깨끗한 세정액으로 보충(make up)해주어 세정액이 일정한 오염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Fig. 5 will be described. In the lower part of the air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rvoir of the cleaning liquid is preferably divided into two. That is, the first tank 410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of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having the most contamination circulates is collected and the cleaning liquid collec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et scrubber in which a relatively clean cleaning liquid circulates is stored 2 < / RTI > The cleaning liquid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et scrubber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tank 410 or the second tank 420 to circulate the cleaning liquid. In FIG. 5A, the cleaning liquid is connected to the first tank. The cleaning liquid in the tank is drained through each of the droplet ejection apparatuses 20 through a connected pipe as shown in FIG. 5, and then collected in the corresponding first tank 410 or the second tank 420, Repeat. The cleaning liquid is used not for one time but after a number of times it is used to drain some of the cleaning liquid and make up with a clean cleaning liquid so that the cleaning liquid maintains a certain level of contamination.

특히, 보충용 세정액(make up water)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세정액이 사용되는 제2탱크(420)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탱크(410)는 운영 시간이 지날수록 공기로부터 분진이 녹아들어 더욱 더러워지므로, 제1탱크(410)의 세정액도 깨끗한 세정액으로 일부 보충해 주어야 한다. 제1탱크(410)에도 바로 보충액(make up water)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5와 같이 상대적으로 깨끗한 제2탱크(420)로부터 제1탱크(410)로 세정액이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경우 제1탱크(410)와 제2탱크(420) 사이에 연결관(430)을 통하여 수위가 높은 제2탱크(420)에서 제1탱크(410)로 세정액이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때, 제2탱크(420)의 수위(h2)가 제1탱크(410)의 수위(h1)보다 높아 이러한 수위차(h2 > h1)에 의하여 제2탱크(420)로부터 제1탱크(410)로 세정액이 공급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펌프 등에 의하여 강제로 제2탱크(420)로부터 제1탱크(410)로 이송하게 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makeup water is preferably supplied to the second tank 420 where relatively clean cleaning liquid is used. Meanwhile, since the first tank 410 dissolves dust from the air as the operation time passes, the cleaning liquid of the first tank 410 must be partially replenished with a clean cleaning liquid.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make up water to the first tank 410 but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cleaning liquid to move from the relatively clean second tank 420 to the first tank 410 as shown in FIG. . 5, the cleaning liquid is moved between the first tank 410 and the second tank 42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30 from the second tank 420 having a high water level to the first tank 410. In this case, the first tank from the second tank 420 of the water level (h2), the first tank 410 of the water level (h1) of water level difference (h 2> h 1), the second tank 420 by a greater than ( The cleaning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tank 410 from the second tank 420 by a pump or the lik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도 5와는 달리, 제2탱크(420)에서 바로 제1탱크(410)가 아닌 제1탱크와 연결된 어느 하나의 파이프, 예를 들어, 제1탱크로부터 세정액이 공급되는 액적분사장치(20-1 내지 20-3)와 연결된 어느 하나 이상의 파이프와 제2탱크(420)가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Unlike FIG. 5, a liquid ejecting apparatus 20 (see FIG. 5) in which a cleaning liquid is supplied from any one pipe, for example, a first tank, connected to a first tank other than the first tank 410 directly in the second tank 420 -1 through 20-3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tank 420. [0050]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의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액적분사장치의Of the droplet ejection device 자동 세척  Automatic cleaning

도 6을 참조하면, 펌프의 전원을 끄는 경우 세정액파이프(21) 내에 쌓여 있던 슬러지 형태의 퇴적물(s)이 세정액과 함께 배관을 통해 펌프 쪽으로 하강한다. 이는 펌프를 오프하는 경우 세정액파이프(21) 및 이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자연적으로 약한 수준의 진공이 걸려, 세정액파이프(21)에 쌓여있던 퇴적물(s)이 진공에 의하여 펌프 방향으로 이송되어 자연스럽게 세정액파이프(21)의 세척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동세척은 공기유입구(30) 내에 설치되거나,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100) 내에 설치된 액적분사장치(20)도 같은 원리로 펌프를 오프하면, 진공에 의한 세정액파이프(21)의 자동 세척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6, when the pump is turned off, the sludge-like sediment s accumulated in the cleaning liquid pipe 21 descends toward the pump through the piping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When the pump is turned off, a weak level of vacuum is naturally applied to the cleaning liquid pipe 21 and the pipe connecting the cleaning liquid pipe 21, and the sediment s accumulated in the cleaning liquid pipe 21 is transferred to the pump direction by vacuum, It is possible to wash the cleaning liquid 21. Such automatic cleaning is provided in the air inlet 30 or when the pump 20 is also turned off by the same principle as the liquid jetting apparatus 20 provided i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100, It is possible.

10 : 기액분리장치 11 : 분리부
12 : 습윤공기입구 13 : 드레인관
15 : 건조공기출구 17 : 팬
18 : 덮개 19 : 통풍구
20 : 액적분사장치 21 : 세정액파이프
22 : 세정액분사공 23, 24 : 내경, 외경
25 : 충돌판 30 : 공기유입구
31 : 개방구 32 : 베인(vane)
100 :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
200 : 습식스크러버 300 : 건식공기정화장치
410 : 제1탱크 420 : 제2탱크
430 : 연결관 1000 : 공기정화장치
10: gas-liquid separator 11: separator
12: humid air inlet 13: drain pipe
15: Dry air outlet 17: Fan
18: lid 19: vent
20: droplet jetting device 21: cleaning liquid pipe
22: cleaning liquid spray hole 23, 24: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25: collision plate 30: air inlet
31: opening 32: vane
100: Cyclone Wet Air Purifier
200: Wet scrubber 300: Dry air cleaning device
410: first tank 420: second tank
430: Connector 1000: Air Cleaner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1단 이상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는, 원통형의 본체; 상기 원통형의 본체 중심점이 아닌 사선 또는 법선 방향으로 1개 이상 설치되는 공기유입구로서, 공기의 흐름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기의 회전판 역할을 하는 베인(vane)과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 내부 또는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액적화시켜 분사하는 액적분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에서 회전상승하는 습윤 상태의 공기로부터 액적을 분리제거하고 건조한 상태의 공기를 상부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로 보내주는 기액분리장치가 상기 사이클론 습식공기정화장치와, 상기 상부의 습식스크러버 또는 건식 공기정화장치 사이에서 관통설치되며,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실린더형 분리부;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중심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주입된 습윤 공기가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습윤공기입구; 및 상기 실린더형 분리부의 하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면에 모인 액적이 외부로 제거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부 상부에 상기 분리부보다 직경이 큰 실린더형의 확대분리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1.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yclone wet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 wet scrubber or dry ai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stages installed on the cyclone wet air purification apparatus,
The cyclone wet air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n air inlet formed in at least one of a slanting line or a normal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body, the air inlet including a vane serving as a rotating plate of air for rotating the air flow and an opening; And a liquid accumulating device provided in the air inlet or in the main body of the cyclone wet air purifying device for dropletizing and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A gas-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removing droplets from wet air in the cyclone wet air cleaning apparatus, which is rotating upward, and sending the air in a dry state to an upper wet scrubber or a dry air purifier,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wet scrubber or the dry air cleaning device,
The gas-liquid separator comprises: a cylindrical separator; At least one humid air inlet installed at a lower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and installed in a diagonal direction other than a center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so that the injected humidified air rises while rotating; And a drain pipe installed at a lower bottom of the cylindrical separator and having droplets collected on the bottom thereof to be removed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cylinder-shaped expanding / separating por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ng portion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para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09172A 2012-04-23 2013-01-28 Gas purification apparatus KR1015952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38 2012-04-23
KR20120042038 2012-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336A KR20130119336A (en) 2013-10-31
KR101595218B1 true KR101595218B1 (en) 2016-02-26

Family

ID=4963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172A KR101595218B1 (en) 2012-04-23 2013-01-28 Gas purif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2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310A (en) * 2018-11-29 2020-06-08 박애린 Wet type air purifier
KR102132114B1 (en) * 2019-01-25 2020-07-08 장종환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6405B2 (en) 2014-07-10 2016-04-19 Dana Electronics Co., Ltd. Cyclone type humidifier and wet air purifier combina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
KR20160097816A (en) 2015-02-10 2016-08-18 브이케이테크(주) Air purification equipment
CN108579305A (en) * 2018-07-03 2018-09-28 江苏绿塔环境工程有限公司 Unpowered turbine fuel and vapor separator
KR101997186B1 (en) * 2019-02-01 2019-07-08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Chemical solution cleaning device using catalytic oxidation water generating device
KR101999165B1 (en) * 2019-03-25 2019-07-12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Chemical solution cleaning device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25B1 (en) * 2010-04-09 2011-02-09 (주)큰나무 Spray type gas filtering system with venturi effect
KR101092910B1 (en) * 2011-05-13 2011-12-12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Gas purification apparatus and duct using porous inner c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732B1 (en) 2004-11-17 2006-11-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Blower type liquid air-cleaner
KR100742131B1 (en) * 2005-09-14 2007-07-30 코리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Dust collector by flus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25B1 (en) * 2010-04-09 2011-02-09 (주)큰나무 Spray type gas filtering system with venturi effect
KR101092910B1 (en) * 2011-05-13 2011-12-12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Gas purification apparatus and duct using porous inner ca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310A (en) * 2018-11-29 2020-06-08 박애린 Wet type air purifier
KR102122198B1 (en) 2018-11-29 2020-06-26 박애린 Wet type air purifier
KR102132114B1 (en) * 2019-01-25 2020-07-08 장종환 air purifier
WO2020153611A1 (en) * 2019-01-25 2020-07-30 장종환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336A (en)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218B1 (en) Gas purification apparatus
KR101753542B1 (en) A dust collector removing air pollutants with fine dust
US62418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crubbing contaminants from a gas flow
KR101172708B1 (en) wet type gas scrubber
KR101959628B1 (en) Shower filter for air cleaning
KR101768009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9500125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 waste gas containing dusts and chemical contaminants
JP2009539579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2006094174A2 (en) Dual flow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882283B1 (en) A Cyclone Air Purifier having Electro Spraying
KR20150107346A (en) A air cleaner
JP5040612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296799B1 (en) Wet type dust collector for air purifying apparatus
KR102171046B1 (en) An Air Purifying Device
KR101733239B1 (en) Wet dust collector using swirl and air spray
KR20170006088A (en) Air Purifier with water
WO2005074529A2 (en) Paint spray booth
KR102072734B1 (en) Wet dust collecting uni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295322Y1 (en) Sanitation apparatus of odor and noxious gas using ball venturi
KR101611538B1 (en) A Scrubber for Collecting Contaminator from Gas with Swirl Generating Structure
KR102236966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odor
JP5315388B2 (en) Conical cell scrubber and air scrubber using the same
JP2000033216A (en) Moist generator
RU2753559C1 (en) Air-purifying apparatus
JP2006175336A (en) Wet gas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