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369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369B1
KR101594369B1 KR1020130108972A KR20130108972A KR101594369B1 KR 101594369 B1 KR101594369 B1 KR 101594369B1 KR 1020130108972 A KR1020130108972 A KR 1020130108972A KR 20130108972 A KR20130108972 A KR 20130108972A KR 101594369 B1 KR101594369 B1 KR 10159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onnecting pipe
flow path
switching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925A (ko
Inventor
김광현
유봉곤
이성민
유상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3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은 상기 의류수용부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을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의류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의류수용부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뒤 수용공간으로 재공급되는 공기의 제습을 위해 냉각수를 공급해야 하므로 냉각수 공급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냉각의 효율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많은 양의 냉각수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가 외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짐에도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에너지의 절감 및 냉각수 사용의 절감이 가능한 신개념 건조시스템의 제공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에너지의 절감 및 냉각수 사용의 절감이 모두 가능한 신개념 건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되는 일부 공기를 세탁과정에서 사용된 세탁수와 함께 배출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유로에 배기덕트를 연결하더라도 팬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압력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필요가 없는 위치에서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유로에 배기덕트를 연결된 경우 세탁과정에서 사용된 세탁수가 배기덕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 중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세탁물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냉각수 급수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은 상기 의류수용부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은 상기 의류수용부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전환부바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전환부바디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관, 상기 배수유로와 상기 전환부바디를 연결하는 유로 연결관, 상기 전환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부바디로 유입된 공기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기덕트가 배수유로에 연결되므로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배기되는 일부 공기가 세탁수와 함께 배출되므로 공기만이 배출되었을 때 실내 벽에 응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덕트와 배수유로의 연결점이 의류수용부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압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팬의 회전수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전환부에 밸브가 구비되므로 배출되는 세탁수가 배기덕트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 공급부가 터브 중심의 수직선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세탁물이 냉각수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로전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유로전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세탁물) 및 세탁수가 저장되는 의류수용부(2, 3), 의류수용부 내부 공기 중 일부를 의류수용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83), 의류수용부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흡기덕트(81), 의류수용부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1)을 포함하며, 프론트패널(11)에는 의류수용부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의류수용부에서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3)가 구비된다.
투입구(13)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프론트패널(11)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인 컨트롤패널(17)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7)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캐비닛(1)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터브지지부(21)에 의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전방면에는 투입구(13)에 연통하는 터브투입구(22)가 구비된다.
터브투입구(22)와 투입구(13)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되며, 가스켓(23)은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터브(2)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럼(3)은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데, 터브투입구(22)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31) 및 드럼(3)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3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7)를 구비하여 의류수용부 내부의 일부 공기는 순환시키고 일부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83)로 배기함에 따라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와 배기식 의류처리장치가 혼합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순환덕트(7)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순환덕트(7)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터브(2) 외부로 인출하여 다시 터브(2)로 안내하는 유로로 터브의 상부 원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순환덕트(7)와의 결합을 위해 터브(2)에는 제1연통부(26) 및 제2연통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부(26, 도 2 참고)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안내하는 유로이고, 제2연통부(27)는 순환덕트(7) 내부의 공기를 터브(2)로 안내하는 유로가 된다.
제2연통부(27)는 가스켓(23)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연통부(27)는 가스켓(23)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되고, 순환덕트(7)의 공기 배출구는 가스켓(23)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통부(26)와 같이 제2연통부(27)가 터브의 원주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제2연통부(27)가 가스켓(23)에 구비되면 순환덕트(7)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드럼투입구(31)를 통해 드럼(3)의 중심부에 공급할 수 있어 세탁물과 공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터브(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열부는 순환덕트(7) 내부에 구비되는 팬(71) 및 히터(73)로 구비될 수 있다. 팬(71)은 제1연통부(26)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유입시킬 뿐만 아니라 순환덕트(7)로 유입된 공기를 터브(2)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며 히터(73)는 팬(71)을 통해 제2연통부(27)로 이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제1연통부(26)와 제2연통부(27)는 캐비닛(1)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한 터브의 단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히터(73)는 순환덕트(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이 포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순환덕트(7)가 형성하는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순환덕트(7)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가열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순환덕트(7)를 통해 터브(2)에 공급된 공기 중 일부는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팬(71)에 의해 히터(73)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흡기덕트(81)를 통해 공급된다.
흡기덕트(81)는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팬(71)으로 유입되는 유로 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기덕트(81)에 별도의 공기 유입 수단을 구비시키지 않고, 순환유로(71)에 구비된 팬(71) 만으로 터브(2) 내부의 공기 순환 및 터브(2) 외부의 공기를 순환덕트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도 2는 흡기덕트(81)가 제1연통부(26)를 통해 터브(2) 외부의 공기를 순환덕트(7)로 유입시키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팬(71)이 회전하면 제1연통부(26)에는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므로 터브(2) 내부의 공기 및 터브(2) 외부의 공기가 순환덕트(7)로 유입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는 흡기덕트(81)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수단(밸브 등)이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흡기덕트(81)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83)는 터브(2) 내부와 캐비닛(1) 외부를 연통시켜 배기덕트(83)로 유입된 공기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배수유로(6)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습도가 높은 공기이기 때문에 배기덕트(83)가 캐비닛(1)의 외부와 직접 연통하도록 구비되면 배기덕트(83)에서 배출된 공기가 실내 벽에 응결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터브(2)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유로(6)가 구비되므로 배기덕트(83)가 배수유로(6)에 연결된다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6)의 상세한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배기덕트(83)와 배수유로(6)의 연결점에는 배기덕트와 배수유로(6)의 개폐를 제어하는 유로전환부(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배기덕트(8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터브(2)로 재유입되는 것을 막고, 배수유로(6)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터브(2)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기덕트(83)와 배수유로(6)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유로전환부(9)는 터브(3)에 설정된 최고 수위(H, 도 5참고)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옥외 연통부에 연결된 유로를 통해 악취가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수유로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이하, water trap)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워터트랩이 구비된 배수유로에 본 발명에 구비된 배기덕트(83)를 연결하면 세탁물의 건조 시 배기덕트(83)를 통해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터브(2)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배수부에 배기덕트(83)를 연결할 경우, 제어부는 팬의 회전수 제어를 통해 워터트랩을 제거할 수 있는 압력으로 공기를 배출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유로전환부(9)가 터브(3)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면, 배기덕트(83)가 사이펀현상(siphon)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워터트랩은 유로전환부(9)와 펌프(63) 사이(제2배수유로)에 형성되어 악취가 터브(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83)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전환부(9)를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워터트랩을 제거하기 위한 팬(71)의 회전수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는 터브(2)에 설정된 최고 수위까지 세탁수가 공급되더라도 세탁수가 배수유로(6)를 통해 터브(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전환부(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9)는 상기 배기덕트(8)와 배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전환부 바디(91), 상기 배기덕트(83)와 상기 전환부바디(91)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관(93), 상기 배수유로(61,63,65,67)와 상기 전환부바디(91)를 연결하는 유로 연결관(95), 상기 전환부바디(91)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부바디(91)로 유입된 공기나 세탁수를 상기 터브(2)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97)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배수유로(6)는 상기 터브(2)와 배수펌프(63)를 연결하는 제1배수유로(61), 상기 배수펌프(63)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유로연결관(95)으로 안내하는 제2배수유로(63), 상기 배출관(97)에 구비되어 상기 전환부바디(91) 내부를 상기 터브(2)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3배수유로(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유로(61)는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제2배수유로(65)를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9)로 안내된 세탁수는 상기 제3배수유로(67)를 통해 하수구와 같은 옥외 연통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연결관(93)과 유로연결관(95)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덕트연결관(93)은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로연결관(95)은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덕트연결관(93)과 유로연결관(95)의 위치관계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후술할 전환밸브(99)의 작용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환부바디(91) 내부에는 상기 덕트연결관(93)을 개폐하는 전환밸브(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99)는 자중(dead weight)에 의해 평소에는 덕트연결관(93)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배수유로(6)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전환부바디(91)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상기 덕트연결관(9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환밸브(99)는 상기 덕트연결관(93)을 폐쇄한다.
상술한 전환밸브(99)의 작용적인 측면을 근거로 하여 덕트연결관(93)은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유로연결관(95)은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과 같이 덕트연결관(93)이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유로연결관(95)이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소에 자중에 의해 전환밸브(99)가 항상 개방되어 있다가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위치한 유로연결관(95)으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전환밸브(99)를 폐쇄하면 된다.
그러나, 반대로 덕트연결관(93)이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유로연결관(95)이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평소에는 전환밸브(99)를 개방하기 위해서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전환밸브(99)를 개방시켜야 하고 유로연결관(95)을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전환밸브(99)를 자중에 의해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본 발명과 반대로 평소에 중력을 거슬러 전환밸브(99)를 개방시켜야 하므로 본 발명보다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크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력소모를 낮추기 위해 본 발명과 같이 덕트연결관(93)이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유로연결관(95)이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밸브(99)는 덕트연결관(93)을 개폐하는 밸브바디(991), 상기 전환부바디(91)에 상기 밸브바디(991)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밸브회전축(99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부(9)가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비되면 터브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덕트연결관(93)을 통해 터브(2)로 유입되는 것은 막을 수 있지만 터브(2)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로연결관(95)을 통해 터브(2)로 재공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전환부(9)는 유로연결관(95)을 개폐하는 유로밸브(9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밸브(951)는 제2배수유로(65)를 통해 세탁수가 전환부 바디(91)로 유입될 때에만 유로연결관(95)을 개방하도록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전환부 바디(91)가 전환밸브(99)와 유로밸브(951)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 밸브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평소에는 전환부 바디(91)의 상부에 구비된 덕트연결관(93)을 개폐하는 전환밸브(99)는 자중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환부 바디(91)의 하부에 구비된 유로연결관(95)을 개폐하는 유로밸브(951)는 자중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세탁수가 유로연결관(95)을 통해 전환부 바디(91)로 유입되게 되면 폐쇄되어 있던 유로밸브(951)가 개방되고 개방되어 있던 전환밸브(99)가 폐쇄되어 세탁수가 덕트연결관(93)으로 역류하지 않고 배출관(97)을 통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유로전환부(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연결관(95)과 상기 배출관(97)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전환부바디(91)에 구비되며 상기 덕트연결관(93)은 상기 유로연결관(95)과 상기 배출관(97)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밸브(9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연결관(93)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볼(995)과 상기 볼(995)이 상기 덕트연결관(93)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997)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평소에는 상기 볼(995)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이며 다만, 스토퍼(997)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볼(995)이 덕트연결관(93)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막아준다.
물론 스토퍼(997)의 형태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평소의 경우에는 볼(995)이 스토퍼(997)에 의해 덕트연결관(93)의 하부에 위치하며 덕트연결관(93)으로부터 전환부바디(91)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관(97)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유로연결관(95)으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다량의 세탁수는 중력방향으로 흘러 배출관(9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일부 세탁수가 유로연결관(95)과 배출관(97)의 사이에 위치한 덕트연결관(93)으로 흘러들어가 역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 세탁수가 덕트연결관(93)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수압에 의하여 상기 볼(995)이 덕트연결관(9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덕트연결관(93)의 너비는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볼(995)이 덕트연결관(93)을 따라 이동하다가 덕트연결관(93)을 완전히 막게 된다.
이에 덕트연결관(93)은 상부로 이동한 볼(995)에 의해 통로가 완전히 막히게 되고 세탁수는 덕트연결관(93)을 통해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전환밸브(99)만을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수와 공기를 배출관(97)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터브(2)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덕트(7)를 포함하는 경우에 순환하는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종래 배기식 의류처리장치와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기하고 일부는 상기 순환덕트(7)를 통하여 순환시키는 시스템이므로 순환되는 일부 공기의 응축을 위해 냉각수를 공급한다.
종래 순환식 의류처리장치에 비하여 훨씬 적은 양의 냉각수만을 공급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를 응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냉각수 공급부(10)는 터브의 내부로 냉각수가 흘러 터브의 내주면을 냉각시키도록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면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에 필요한 물을 터브(2)에 공급하는 물공급부(4), 세제가 저장되며 터브(2)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냉각수 공급부(10)는 상기 세제공급부(5)와 터브(2)를 연결하는 공급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수는 상기 세제공급부(5)를 통해 터브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공급부(10)는 터브(2)의 중심(C1)을 지나는 수직선(X)으로부터 터브의 너비방향(Y)을 따라 소정거리(X1)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 상기 냉각수 공급부(1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건조 중 터브(2) 내부로 물을 공급하더라도 터브의 내주면을 따라 냉각수가 흘러 드럼(3)에 저장된 세탁물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터브 6: 배수유로 61: 제1배수유로
63: 펌프 65: 제2배수유로 67: 제3배수유로
7: 순환덕트 81: 흡기덕트 83: 배기덕트
9: 유로전환부 91: 전환부 바디 93: 덕트 연결관
95: 유로연결관 97: 배출관 99: 전환밸브
10: 냉각수 공급부

Claims (12)

  1. 세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의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인출하여 다시 상기 의류수용부로 안내하는 순환덕트;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로 안내하는 흡기덕트;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은 상기 의류수용부에 설정된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유로전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배수유로의 연결점에 구비되는 전환부바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전환부바디를 연결하는 덕트연결관;
    상기 배수유로와 상기 전환부바디를 연결하는 유로 연결관;
    상기 전환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부바디로 유입된 공기나 세탁수를 상기 의류수용부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의류수용부와 배수펌프를 연결하는 제1배수유로;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유로연결관으로 안내하는 제2배수유로; 그리고,
    상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상기 전환부바디 내부를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3배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전환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연결관을 개폐하는 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유로 연결관을 개폐하는 유로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연결관은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연결관은 상기 전환부바디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밸브는 자중(deadweight)에 의해 상기 덕트연결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덕트 연결관을 개폐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전환부바디에 상기 밸브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밸브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배수유로를 통해 상기 전환부바디로 세탁수가 유입되면 상기 덕트연결관을 폐쇄하고, 상기 전환부바디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덕트연결관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관과 상기 배출관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전환부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연결관은 상기 유로연결관과 상기 배출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덕트연결관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볼, 상기 볼이 상기 덕트연결관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덕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세제가 저장되며 상기 의류수용부에 연통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는 상기 세제공급부를 통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108972A 2013-09-11 2013-09-11 의류처리장치 KR101594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72A KR101594369B1 (ko) 2013-09-11 2013-09-1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72A KR101594369B1 (ko) 2013-09-11 2013-09-1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25A KR20150029925A (ko) 2015-03-19
KR101594369B1 true KR101594369B1 (ko) 2016-02-16

Family

ID=5302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972A KR101594369B1 (ko) 2013-09-11 2013-09-1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312A (ko) * 2016-12-07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03157A (ko) * 2022-06-30 202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669A (ja) * 2008-09-03 2010-03-18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361B1 (ko) * 2005-08-25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669A (ja) * 2008-09-03 2010-03-18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25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29557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968079B (zh) 具有冷却水回路的洗涤-烘干机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KR10248926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54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436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11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US20230175194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6038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541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13438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WO2019052344A1 (zh) 一种洗衣干衣***及其控制方法
RU2517009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сушкой, в которой конденс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строено в стиральный блок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101560387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KR2013007479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92554B1 (ko) 세탁기
KR20180027041A (ko) 세탁장치
KR10156038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65312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