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09B1 -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 Google Patents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09B1
KR101592109B1 KR1020140100420A KR20140100420A KR101592109B1 KR 101592109 B1 KR101592109 B1 KR 101592109B1 KR 1020140100420 A KR1020140100420 A KR 1020140100420A KR 20140100420 A KR20140100420 A KR 20140100420A KR 101592109 B1 KR101592109 B1 KR 10159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bracket
fixed
wing
arc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은호
Original Assignee
박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호 filed Critical 박은호
Priority to KR102014010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25Mouth tissue protecting means, e.g. bracket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ation device for an orthodontic bracket, which is to fix a bracket (6) to an arch wire (3) in orthodontics to have versatility by being easily applied to the bracket applied in existing orthodontics, to improve workability by being freely and easily detached when fixed to the bracket, and to be economical and improve aesthetic sensibility by being reused. A slot (4) in which the arch wire (3)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6), and a wing (5) having a groove (7) is installed at a corner part on both sides towards the outside. A hanging protrusion (8) is fixed since the groove (7) of the wing (5)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The hanging protrusion (8)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6), and a first cover member (9) and a second cover member (10)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6) while gui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ing (5)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face the each other on both ends of the bracket (6) and fixed onto the front side of the bracket (6).

Description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of a 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아교정시 적용되는 브라켓을 치 면에 고정하도록 결찰하여 치아의 교정 시술을 하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치아교정 시 적용되는 브라켓에도 용이하게 적용되어 범용성을 가짐과 아울러, 브라켓에 고정할 때 착 탈이 자유롭고 용이하여 작업성을 증대하고 특히,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심미감을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which is adapted to fix a bracket applied to the orthodontic tooth to fix the tooth to a tooth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ket applied to a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And can be easily reused and can be more economically and more aesthetically plea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appliances .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치료는, 치아의 구조, 형태의 이상, 아래위 치아 크기의 부조화, 아래위 치아 맞물림의 이상, 얼굴형태의 이상 등에 의해 발생 되는 얼굴 윤곽의 심미성의 흠 결, 치아 저작기능의 저하 등의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시술이다.
In general,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teeth includes a reduction in the mental aesthetics of the facial contours caused by abnormalities in the structure of the teeth, abnormalities in the shape of the teeth, inconsistency in the size of the lower teeth, To improve the side effects of the procedure.

이러한 치아 교정치료는, 통상적으로, 경량 와이어(LIGHT WIRE) 치료술과 테두름 치료술이 있으며, 상기에서, 경량 와이어 치료술은, 각 치아들을 상이한 힘으로 교정하는 것으로 호주의 알. 피. 베그(R. P. Begg)에 의해 최초로 제안 및 시술되었다.These orthodontic treatments typically include lightweight wire and tentacle treatments, where lightweight wire therapy is used to calibrate each tooth with different forces. blood. Was originally proposed and practiced by R. P. Begg.

즉, 어떤 형태의 치아는 움직일 때 다른 것보다 비교적 잇몸 저항이 적고, 또한 어떤 형태의 치아는 다른 것보다 더 빨리 움직이는 것을 확인한 베그(R. P. Begg)씨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적당히 고려하여 움직임이 필요한 치아를 선택적으로 움직여줌으로써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게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In other words, Begg (RP Begg), who confirmed that some types of teeth move relatively faster than others and that some types of teeth move faster than others, The tooth arrangement can be arranged by selectively moving the teeth.

이에 베그씨의 경량 와이어 치료술은, 대구 치가 포함되는 모든 치아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횡단면에서 둥글게 보이는 아치 와이어(ARCH WIRE)로 치아의 배열을 가지런하게 교정하도록 되어 있다.
Heegg's lightweight wire therapy is designed to fix the brackets to all the teeth that contain the molar, and correct the array of teeth with the ring wire (ARCH WIRE) that looks round in cross-section.

상기에서, 상기 아치 와이어는 브라켓에 느슨하게 고정되며 띠로 묶이지는 않고 마찰을 최소로 하며, 한 지점에서 접촉되어 치아들이 자유로이 슬라이드, 회전, 기울임, 비틀림 운동하도록 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arch wire is loosely fixed to the bracket and is not tied to the band, minimizes the friction, and is made to contact the tooth at one point so that the teeth can freely slide, rotate, tilt and twist.

이때, 기울임, 비틀림 및 회전은 적당한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At this time, tilting, torsion and rotation require a suitable auxiliary device.

그리고, 상기 테두름 치료술은, 현재 가장 널리 그리고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치열교정 치료술로써, 시작단계에서 원형횡단면 형태의 아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연성이 큰 둥근 아치 와이어는 잘못된 위치의 치아들을 적은 힘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움직이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phra therapy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and commonly used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beginn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rched wire is used. Move over the range.

상기에서, 상기 아치 와이어(ARCH WIRE)는 대구 치들을 포함하는 모든 영구 치아에 부착되는 브라켓(BRACKET)에 형성된 슬롯에 끼워지는 것으로 금속 띠 또는 탄성 띠 또는 기타 적당한 형태의 기계 보지구로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ARCH wire is inserted into a slot formed in a bracket attached to all the permanent teeth including the large teeth, and is composed of a metal band, an elastic band, or other suitable type of mechanical bodyspheres.

이러한, 상기 아치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강이나 귀금속으로 구성되고, 치아의 설 측 또는 입술 사이에 위치한다.
Such an arch wire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a noble metal, and is located between the lingual side of the teeth or between the lips.

상기와 같은, 테두름 치료술은, 치아를 모든 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어떤 개별적인 치아를 3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phra therapy can control the teeth in all directions, so that individual teeth can be simultaneously moved in three directions.

일 예로 앞에 위치한 치아를 설 측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아치 와이어를 조정하여 치아의 장축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 tooth placed in front can be moved to the lingual position and the arch wire can be adjusted to rotate around the long axis of the tooth.

상기 아치 와이어는, 스프링과 결찰 선과 같은 특성이 있어 소정의 범위로 치아를 비틀어 줄 수 있고 비틀림 력은 아치 와이어를 통해 치아로 인가되므로 아치 와이어의 스프링과 결찰 선 작용으로 인해 비틀리지 않을 때까지 치아들을 회전 및 이동시켜준다.
Since the arch wir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a spring and a ligature line, the tooth can be twisted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twisting force is applied to the tooth through the arch wire. Therefore, To rotate and move them.

상기에서, 상기 브라켓은 전면부가 쌍둥이 형상을 하는 샴(SIAMESE) 형(TYPE)과 하나의 독립된 형상을 하는 싱글(SINGLE) 형이 있으며, 중간 부분에 아치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각 치아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며, 아치 와이어의 탄성에 의한 힘을 치아에 전달하여 기울임, 비틀림 및 회전되도록 직접적인 힘을 작용하는 것으로, 치아와 입술 사이의 순 측과 치아와 혀 사이의 설 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bracket has a SIEMESE type and a SINGLE type which have a twin shape on the front side and a single type which has a single independent shape. An arch wire is inserted and fix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racket, , Which acts as a direct force to tilt, twist, and rotate the force of the elasticity of the arch wire to the teeth,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net side between the teeth and the lips and to the lingual side between the tooth and tongue. have.

이와 같은, 상기 브라켓의 일례로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64257호(명칭: 치아 교정용 결찰철사의 자동 결찰장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치 면에 밀착되어 교정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구비되며 아치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아치 와이어에 상기 베이스를 결찰 하도록 결찰 장치(결찰철사)가 수용되는 윙 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브라켓이 있다.An example of such a bracket includes a base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tooth surface and is calibrated,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4257 (titled automatic ligation apparatus for wire for lapping for teeth) And a bracket which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ase and has a slot in which an arch wire is inserted and a wing piece which is provided in the base and accommodates a ligation device (ligation wire) for ligating the base to an arch wire.

즉,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를 교정하고자 하는 치 면에 말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아치 와이어가 상기 슬롯에 끼움 삽입하여 상기 브라켓을 상기 아치 와이어에 배치한 후, 상기 결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윙 편과 상기 와이어를 결찰하게 고정하여 치아교정 시술을 하게 된다.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base of the bracket is fixed to the tooth surface to be calibrated, the arch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the bracket is disposed on the arch wire, The wire is ligated and fixed to perform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치아교정 시술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아치 와이어를 고정하는 결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ation apparatus for fixing the bracket and the arch wire, which is applied to the orthodontic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종래의 결찰 장치는, 주로 철사 또는 고무줄로 이루어져 상기 위 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아치 와이어를 상기 브라켓에 확고히 고정하게 되어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igation apparatus, the ligation apparatus is mainly composed of a wire or an elastic strand, and is fixed to the bracket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racket by the upper piece, and firmly fixes the arch wire to the bracket.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차이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들은, 치아교정 시술 작업시, 매번 결찰 작업에 사용된 와이어(철사) 또는 고무링을 별도로 교체해야만 하는 작업상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gation apparatuses for correcting brackets have been ineffective in terms of work in that wire (wire) or rubber ring used for ligation operation must be separately replaced at each time of orthodontic work.

이에 따라,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중 잇몸이 손상되는 등, 환자에게 통증 등과 같은 고통을 인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procedure takes a long time and the gums are damaged during the operation, thereby causing the patient to suffer pain such as pa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치아교정 시 적용되는 브라켓에도 용이하게 적용되어 범용성을 가짐과 아울러, 브라켓에 고정할 때 착 탈이 자유롭고 용이하여 작업성을 증대하고 특히,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심미감을 더욱 증대할 수 있도록 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cket which is easily applied to a bracket used in a conventional orthodontic appliance, Which is free and easy to increase workability, and in particular, can be reused, which is economical and can further enhance esthetic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는, 치아교정 시 아치 와이어에 브라켓을 고정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상기 아치 와이어가 끼움 되어 수용되는 슬롯 홈이 형성되고, 양측 모서리 부위에는 외 측 방향으로 요 홈이 형성된 윙이 구비되며;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내주 면에 상기 윙의 요 홈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걸림 턱을 가지어 상기 윙의 외주 면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로 가이드하면서 끼움 고정되는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밀착하여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bracket ligation apparatus for fixing a bracket to an arch wire at the time of orthodontic correction; The bracket includes a slot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to receive the arch wire, and a wing having recesses formed in the outer side thereof at both side edges thereof. A first cover member and a second cover member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while being guid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is received therei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closely fitted to each other at opposite ends of the bracket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re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상기한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는,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provided with coupling means for coupling and fixing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상기한 결합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 형상의 클립과,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클립의 종단이 끼움 되어 고정되는 끼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 bar-shaped clip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member, a second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ver member, And is fixed with a fitting hole.

상기한 클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종단은 서로 연결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들은, '관(管)' 형상의 클립 고정 관의 내부에 일 부위가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ip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have a pair of ends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lips are arrang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clips is accommodated in a tube-shaped clip fixing tube.

상기한 제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사이에는, 서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elastic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close to each other.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연결 고정함과 아울러 압축 탄성을 부가하도록 된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elastic means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mpression spring adapted to apply compression elasticity to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상기한 압축스프링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된 고정편에 양단이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described compression spring is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nd has both ends fixed to a fixed piece exten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되 외 측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간과, 상기 탄성 간들이 관통하면서 서로 교차 되게 끼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고정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astic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nd has an elastic force to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and to extend in the outward direction Wherein the elastic member comprises an elasticity gap and an annular fixing ring which is inserted into and intersected with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it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는, 상기 기존의 브라켓에서 베이스의 전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통해 베이스가 가려져 육안으로 인지되지 않고 반구형의 형상을 표출하도록 되어 심미감을 증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ation apparatus of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se is shielded through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in the conventional bracket, So that aesthetic sense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탄성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들으 결합된 상태를 확고히 함과 아울러, 상기 아치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범용성을 가지면서, 단순한 탈부착 동작을 통해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s are secur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astic means, and the arch wire is not detached from the base, so that the arch wire is fixed to the base through simple detachment / Work is performed, and workability is improved.

그리고, 브라켓의 다시 고정할 때, 재사용하더라도 그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Further, when the bracket is fixed again, even if it is reused, its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and it has an economic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의 사용사태를 보인 개략 평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의 다른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ligation apparatus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3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of the ligation apparatus of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ation apparatus of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state of the ligation apparatus of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gation apparatus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ligation apparatus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9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ligation apparatus of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1)는, 치 면에 밀착되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의 구비되며 아치 와이어(3)가 수용되는 슬롯 홈(4)과, 상기 베이스(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윙(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아교정용 브라켓(6)을 상기 아치 와이어(3)에 결찰 하여 고정하는 것에 적용된다.FIGS. 1 to 5 are views showing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gation apparatus 1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wing 5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2 and a slot groove 4 provided in the base 2 and in which the arch wire 3 is received, And to fix the orthodontic bracket 6 to the arch wire 3 by ligation.

즉, 치아교정 시, 상기 아치 와이어(3)에 브라켓(6)을 고정할 때, 상기 윙(5)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슬롯 홈(4)에 삽입 수용된 상기 아치 와이어(3)가 상기 베이스(2)에서 유동 되지 않고 그 위치를 확고히 고정하게 지지한다.That is, when the bracket 6 is fixed to the arch wire 3 at the time of orthodontic correction, the arch wire 3 fixed to the wing 5 and received in the slot groove 4, (2) and firmly fix its position.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1)는, 상기 브라켓(6)에 구비된 상기 베이스(2)의 전면에 거치 되어 고정되며 내 측면에 상기 윙(5)의 외측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lig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 provided on the bracket 6 and fixed on the inner side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wing 5 is accommodated. do.

즉, 상기 윙(5)들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끼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wings (5) are fitted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therein.

따라서, 상기 슬롯 홈(4)에 끼움 고정된 상기 아치 와이어(3)의 전면을 폐쇄하여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the front surface of the arch wire 3, which is fixed to the slot groove 4, is closed to prevent the end of the arch wire 3 from being separated.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1)에서, 상기 브라켓(6)의 전면에는 상기 아치 와이어(3)가 끼움 되어 수용되는 슬롯 홈(4)이 형성되고, 양측 모서리 부위에는 외 측 방향으로 요 홈(7)이 형성된 윙(5)이 구비된다.
In the ligation apparatus 1 as described above, the slot groove 4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6 so as to receive the arch wire 3, Is provided with a wing (5) formed with a groove (7).

이와 더불어, 상기 브라켓(6)의 전면에는, 내주 면에 상기 윙(5)의 요 홈(7)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걸림 턱(8)을 가지어 상기 윙(5)의 외주 면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로 가이드 하면서 끼움 고정되는 제1 커버 부재(9)와 제2 커버 부재(1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6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protrusion 8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recessed groove 7 of the wing 5 is fitted and fixed,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fit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guid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respectively.

즉,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를 상기 브라켓(6) 전면에 끼움 고정하여 아치 와이어(3)가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fitt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6 to prevent the arch wire 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ndlessly.

이때,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밀착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밀착된 상태라 원형 또는 타원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트 형상 등과 같은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설계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opposing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form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shape that brings about an aesthetics such as a heart shape or the like,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design change.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1)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는, 상기 브라켓(6)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밀착하여 상기 브라켓(6)의 전면에 고정 배치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opposite ends of the bracket 6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6.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1)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6)의 양측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가 끼움 된 상태에서 서로 근접하여 밀착되는 형태로 상기 브라켓(6)에 고정된다.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lig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t both sides of the bracket 6 And is fixed to the bracket 6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being sandwiched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브라켓(6)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를 서로 이격 하는 방향으로 빼내면, 상기 브라켓(6)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가 안정되게 분리된다.Wh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separ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when the bracket 6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racket 6, The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stably separated.

이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전면을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자체 탄성에 의해 외주 면이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 턱(8)이 상기 요 홈(7)에서 분리되어 더욱 손쉽게 분리된다.
5, whe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pressed with finger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opened by the self-elasticity,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8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7) and is more easi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의 결찰 장치(1)에서, 상기한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에는,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다.In the lig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for engaging and fixing them to each other.

즉,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가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can be more stably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means.

상기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9)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커버 부재(10)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 형상의 클립(11)과,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클립(10)의 종단이 끼움 되어 고정되는 끼움 공(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rod-like clip 11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member 10, And a fitting hole (12) which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lip (10) and into which the end of the clip (10) is fitted and fixed.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가 결합될 때, 상기 클립(11)을 상기 끼움 공(12)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결합을 확고히 할 수 있으며,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클립(11)의 종단을 상기 끼움 공(12)에서 이탈시키면, 안정적으로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커버 부재(10)를 분리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engaged, the clip 1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tting hole 12 ,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can b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end of the clip 11 is detached from the fitting hole 12 ,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can be stably separated.

상기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를 분리하고자 할경우에는, 상기 끼움 공(12)에 끼움 고정된 상기 클립(11)을 빼낼 때, 외부로 노출된 상기 끼움 공(12)를 통해 별도의 핀 또는 봉으로 상기 클립(11)의 단 부를 가압하여 빠지도록 하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from each other, when the clip 11 fitted and fixed to the fitting hole 12 is remo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clip 11 is pressed and separated by a separate pin or rod through the fitting hole 12 to be separated.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결찰 장치(1)에서, 상기한 클립(11)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종단은 서로 연결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11)들은, '관(管)' 형상의 클립 고정 관(13)의 내부에 일 부위가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lig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mentioned clip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ir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lip fixing pipe 13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thereof is accommod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찰 장치(1)에서, 상기한 제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사이에는, 서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ig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elastic means between the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so as to maintain a state close to each other .

즉, 상기 탄성 수단을 통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를 통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결합된 상태를 견고히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더라도 곧바로 서로 밀착하여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6)에 고정 및 분리할 때,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That is, an elastic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through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through the elastic means Even if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y can be direct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original state. When the bracket 6 is fixed and separated, the work is simplified and workability is improved.

이와 더불어, 기존에 적용되는 브라켓(6)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브라켓(6)을 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uitably used for a conventional bracket 6, an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bracket 6, so that it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상기에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연결 고정함과 아울러 압축 탄성을 부가하도록 된 압축 스프링(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eans preferably comprises a compression spring (14) adapted to apply compression elasticity to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14)은,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된 고정편(15)에 양단이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아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spring 14 is provided to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nd is extended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xing piece 15. [

이에 따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가 서로 근접 및 이격 되어 상기 브라켓(6)에 탈부착 될 때, 상기 고정편(15)의 사이에 상기 압축 스프링(14)이 게재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 스프링(14)의 불필요한 유동이 방지된다.7, wh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close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racket 6, So that unnecessary flow of the compression spring 14 is prevented.

따라서, 안정적인 탄성력의 인가가 이루어진다.
Thus, a stable elastic force is applied.

또한, 상기한 탄성 수단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되 외 측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간(16)과, 상기 탄성 간(16)들이 관통하면서 서로 교차 되게 끼움 결합 되는 고리 형상의 고정 고리(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8 and 9, the elastic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n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ver member in the lateral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 elastic ring 16 having an elasticity to exte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o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n annular fixing ring 17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rings 16 while being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like.

즉, 상기 탄성 간(16)들이 상기 고정 링(17)에서 수용된 상태로 이동 자재 하게 묶음 결합 되어 있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들을 서로 근접시키려는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since the elastic lugs 16 are movably bundl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stationary ring 17, the elastic force to bring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close to each other .

따라서, 상기 탄성 간(16)들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사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결합된 상태를 견고히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더라도 곧바로 서로 밀착하여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6)에 고정 및 분리할 때,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the elastic legs 16 apply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so that they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ven if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bracket 6 is fixed and separated.

상기에서,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는, 그 색상이 치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으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인지할 때, 심미감을 유발하여, 치아교정 시술동안 환자에게 더욱 향상된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color as the teeth and cause a sense of esthetics when recognized from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give a more improved aesthetic feeling to the user.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인쇄하여 심미감을 유발하는 악세사리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may be embodied in various colors and various patterns may be print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It can also be used as an accessory to induce aesthetic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교정용 브라켓(6)을 아치 와이어(3)에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구강에 설치된 아치 와이어(3)에 상기 베이스(2)의 슬롯 홈(4)을 통해 그 위치를 고정한 후,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의 내측에 상기 브라켓(6)의 상기 윙(5)의 외주 면의 수용한 상태로 끼움 하여 고정한다.When the bracket 6 for bracket 6 is to be fixed to the arch wire 3 by using the ligation apparatus of the bracket for teeth corr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wing 5 of the bracket 6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fter fixing the position thereof through the slot groove 4 of the base 2,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 커버 부재(9)와 제2 커버 부재(10)는 서로 대면하면서 결합한다.
At this time,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coupled while facing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가 서로 대면하는 형태로 결합 되면, 상기 아치 와이어(3)가 상기 브라켓(6)에서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When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as to face each other, the arch wire 3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6 in an endless manner.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아치 와이어(3)에 상기 브라켓(6)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6)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 와이어(3)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10)들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베이스(2)에서 분리시켜, 상기 아치 와이어(3)가 상기 브라켓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해제 한 후, 상기 아치 와이어(3)에서 브라켓(6)을 위치 이동시키면 된다.
When the bracket 6 is to be separated from the arch wire 3 in order to readjust the position of the bracket 6 while the bracket 6 is fixed to the arch wire 3 as described above,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separating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from each other to separate them from the base 2 so that the arch wire 3 can be released from the bracket And then the bracket 6 is moved from the arch wire 3.

상기와 같이, 상기 아치 와이어(3)에서 브라켓(6)의 위치가 재조정되면, 상기 제1 커버 부재(9) 및 제2 커버 부재(10)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의 전면에 배치하고, 서로 근접시켜 상기 베이스(2)의 전면에 밀착되게 고정하면, 상기 아치 와이어(3)와 상기 브라켓(6)이 재교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cket 6 is repositioned on the arch wire 3, the first cover member 9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0 ar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 The arch wire 3 and the bracket 6 are fixed in a re-calibrated state when they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fixed tightl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1)는, 치아교정용 브라켓(6)의 전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윙(5)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단순한 탈부착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증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ation apparatus 1 of the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on the front face of the orthodontic bracket 6 and is adapted to receive and fix the wing 5, So that the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because the work is carried out by simple attachment and detachment.

이상 몇 가지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 : 결찰 장치 2 : 베이스
3 : 아치 와이어 4 : 슬롯 홈
5 : 윙 6 : 브라켓
7 : 요 홈 8 : 걸림 턱
9 : 제 1커버 부재 10 : 제 2 커버 부재
11 : 클립 12 : 끼움 공
13 : 고정 관 14 : 압축 스프링
15 : 고정편 16 : 탄성 간
17 : 고정 고리
1: ligation device 2: base
3: Arch wire 4: Slot groove
5: Wing 6: Bracket
7: groove 8: hanging jaw
9: first cover member 10: second cover member
11: clip 12:
13: Fixing tube 14: Compression spring
15: Fixture 16: Elastic liver
17: Retaining ring

Claims (8)

삭제delete 치아교정 시 아치 와이어에 브라켓을 고정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에 있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상기 아치 와이어가 끼움 되어 수용되는 슬롯 홈이 형성되고, 양측 모서리 부위에는 외 측 방향으로 요 홈이 형성된 윙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내주 면에 상기 윙의 요 홈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걸림 턱을 가지어 상기 윙의 외주 면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로 가이드하면서 끼움 고정되는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밀착하여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며,
상기한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는,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In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es fixing a bracket to an arch wire at the time of orthodontic cor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A slot groove in which the arch wire is inserted and received is formed, and wings having recessed grooves in the outward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thereof;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A first cover member and a second cover member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while gui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in a stat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has an engaging jaw to which the groove of the wing is fitted and fixed;
Wherei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fixed to the front face of the bracke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opposite ends of the bracket,
Wherei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provided with engaging means for engaging and fixing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제2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 형상의 클립과,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클립의 종단이 끼움 되어 고정되는 끼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A second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cover member;
A bar-shaped clip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ver member, and a fitting hol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ver member and fixed to the end of the clip by being fitted thereinto.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종단은 서로 연결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들은, '관(管)' 형상의 클립 고정 관의 내부에 일 부위가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above-
And a pair of end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the clips are arrang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clip is housed inside a tube-shaped clip fixing tube. Ligation device.
치아교정 시 아치 와이어에 브라켓을 고정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 장치에 있어;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상기 아치 와이어가 끼움 되어 수용되는 슬롯 홈이 형성되고, 양측 모서리 부위에는 외 측 방향으로 요 홈이 형성된 윙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는,
내주 면에 상기 윙의 요 홈이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는 걸림 턱을 가지어 상기 윙의 외주 면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태로 가이드하면서 끼움 고정되는 제1 커버 부재와 제2 커버 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서로 밀착하여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며,
상기한 제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사이에는, 서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In a ligation apparatus for a bracket for orthodontic braces fixing a bracket to an arch wire at the time of orthodontic cor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A slot groove in which the arch wire is inserted and received is formed, and wings having recessed grooves in the outward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thereof;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A first cover member and a second cover member which are inserted and fixed while gui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in a stat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g has an engaging jaw to which the groove of the wing is fitted and fixed;
Wherein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opposite ends of th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so as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close to each oth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의 연결 고정함과 아울러 압축 탄성을 부가하도록 된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above-
And a compression spring adapted to apply compression elasticity to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한 압축스프링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된 고정편에 양단이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ab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provided with both ends fixed to a fixed piece exten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sid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Bracket ligation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수단은,
상기 제1 커버 부재와 상기 제2 커버 부재에 구비되며, 서로 마주 보는 측 방향의 커버 부재 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되되;
외 측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간과, 상기 탄성 간들이 관통하면서 서로 교차 되게 끼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고정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의 결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above-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being extended from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facing each other;
An elastic liver having an elastic force to be widened in an outward direction, and an annular fixing 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liver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elastic liver.
KR1020140100420A 2014-08-05 2014-08-05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KR1015921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20A KR101592109B1 (en) 2014-08-05 2014-08-05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420A KR101592109B1 (en) 2014-08-05 2014-08-05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09B1 true KR101592109B1 (en) 2016-02-04

Family

ID=5535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420A KR101592109B1 (en) 2014-08-05 2014-08-05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0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65B1 (en) 2016-04-27 2017-08-17 주식회사 석랩 Orthodontic bracket
KR102062709B1 (en) 2018-03-15 2020-01-06 이효연 Orthodontic bracket for self ligation
WO2021058911A1 (en) * 2019-09-23 2021-04-01 Deneri Jean Claude Orthodontic bracket
CN114271966A (en) * 2022-01-12 2022-04-05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device for oral teeth
CN114271966B (en) * 2022-01-12 2024-06-04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device for oral cavity tee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094A (en) 1985-01-31 1985-11-05 Kesling Peter C Edgewise bracket wire retaining clip
JP2008526578A (en) 2005-01-14 2008-07-2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Breathable composite she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094A (en) 1985-01-31 1985-11-05 Kesling Peter C Edgewise bracket wire retaining clip
JP2008526578A (en) 2005-01-14 2008-07-2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Breathable composite she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565B1 (en) 2016-04-27 2017-08-17 주식회사 석랩 Orthodontic bracket
KR102062709B1 (en) 2018-03-15 2020-01-06 이효연 Orthodontic bracket for self ligation
WO2021058911A1 (en) * 2019-09-23 2021-04-01 Deneri Jean Claude Orthodontic bracket
CN114271966A (en) * 2022-01-12 2022-04-05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device for oral teeth
CN114271966B (en) * 2022-01-12 2024-06-04 江苏康林贝医疗器械有限公司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device for oral cavity tee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667A (en) Orthodontic bite jumping device
US10058401B2 (en) Orthodontic device
KR101327925B1 (en) Self-ligating lingual bracket
KR101592109B1 (en) A Orthodontic bracket ligature
JP2015531303A5 (en)
KR100986821B1 (en) Incisor retractor using lip protector
EP3096709B1 (en) Orthodontic apparatus
CN104812328A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9101437B2 (en)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JP6441304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080153052A1 (en) Ligature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s
KR20140144044A (en) Clip and hook functions with orthodontic devices
JP3923752B2 (en) Orthodontic ligature
WO2015199273A1 (en) Orthodontic bracket having self-ligating type slot
US3866322A (en) Orthodontic device
KR101299811B1 (en) Non-wing orthodontic bracket
KR20110106087A (en) Apparatus for orthodontics with furcation to be fixed to palate
KR101366038B1 (en) Self ligating bracket
KR200269058Y1 (en) Orthodontic device using multiple hooks
KR101552795B1 (en) Brace cover
KR20020016325A (en) Self-ligating lingual bracket
KR101888990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17524454A (en) Orthodontic ligature
JP2004329912A (en) Wire ligature member for orthodontics
KR101131171B1 (en) Correction equipment for lingual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