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403B1 - 교량 소화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 소화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403B1
KR101587403B1 KR1020150080432A KR20150080432A KR101587403B1 KR 101587403 B1 KR101587403 B1 KR 101587403B1 KR 1020150080432 A KR1020150080432 A KR 1020150080432A KR 20150080432 A KR20150080432 A KR 20150080432A KR 101587403 B1 KR101587403 B1 KR 10158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bridge
operation signa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맥이앤피
이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이앤피, 이성규 filed Critical (주)맥이앤피
Priority to KR102015008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일정 간격으로 교량 내에 소화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중으로부터 물을 소방호스로 공급받아 신속히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량용소화전(100), 배수관(200), 수중펌프(300),보조물탱크(500), 보조펌프(600),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소화전 시스템{The bridge fire hydrant system}
본 발명은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일정 간격으로 교량 내에 소화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중으로부터 물을 소방호스로 공급받아 신속히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소방관계법령에는 건물의 규모 및 용도 등에 따라, 화재의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소화설비를 필수적으로 갖출 것을 요구한다.
상기 소화설비는 소화전, 스프링클러, 경보장치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의 발생 신호를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소방시스템은, 지하수조와, 옥상수조와, 상기 지하수조와 옥상수조를 연결하면서 각 층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지하수조로부터 물을 압송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급수라인과, 그리고 상기 지하수조와 옥상수조를 연결하면서 각 층에 설치된 소화전들에 지하수조로부터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화전급수라인과, 그리고 지하수조로부터 옥상수조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은 건물의 소방 설비들에 의해 화재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있는 교량의 경우에는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여, 대형 인명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지만, 소방 설비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이다.
따라서 교량에서 사고로 인한 화재 발생시,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한 설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에 따른 심각한 인명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때 교량에서 소방차량 없이도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162065호(2012.07.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일정 간격으로 교량 내에 소화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중으로부터 물을 소방호스로 공급받아 신속히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펌프의 동작 불능시, 교각에 설치 구성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2펌프의 동작을 통해 소방호스로 공급받아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1펌프의 오동작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컨트롤부를 구성하여 사고 발생지인 교량등과 같은 로컬 이외에 원격지에서도 제1펌프와 제2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소화호스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1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일측이 물탱크
(5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펌프에 연결되어 수중의 물을 물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급수관(210);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물탱크(500)의 수위를 체크하여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의 교량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일정 간격으로 교량 내에 소화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중 또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소화호스로 공급받아 신속히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내에서 발생하는 대형 인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중에 설치되는 제1펌프의 동작 불능시, 교각에 설치 구성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2펌프의 동작을 통해 소화호스로 공급받아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1펌프의 오동작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메인 시스템 문제 발생시 보조적으로 화재 진압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원격컨트롤부를 구성하여 로컬 이외에 원격지에서도 제1펌프와 제2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모니터링에 의한 화재 진압이 가능한 복합적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로컬컨트롤부 제어블록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로컬컨트롤부 구성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교량용소화전
(100), 급수관(200), 제1펌프(300),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량용소화전(100)은 교량의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소화호스, 비상전화기, 발광기 및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소화호스는 배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버튼은 화재 발생시, 신고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교량소화전 함체에 형성되는 버튼을 의미한다. 발광기는 신고자의 조작버튼 누름시 발광 동작을 수행함으로 주변에 사고 발생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전화기는 신고자가 관제센터나 소방기관과의 비상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관(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어느 일측이 교량용소화전(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300)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펌프(300)는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하게 되며, 일반적인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배수관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제1펌프(300)는 전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전자밸브는 로컬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하여 제1펌프 동작시 물을 공급하는 역할과 제1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자밸브 이외에 제1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반을 구성하여 로컬컨트롤부에 연결하여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수중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고, 수중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소화호스로 물을 공급하여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3 실시예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교량용소화전(100), 급수관(200), 제1펌프(300), 로컬컨트롤부(400), 물탱크(500), 제2펌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펌프의 동작 불능시, 또는 제1펌프의 오동작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교각 일측에 물탱크(500)와 제2펌프(600)를 구성하여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소화호스로 공급하여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물탱크(500)를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2펌프(600)를 물탱크의 어느 일측에 연결시키며, 타측을 급수관(200)에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제2펌프 역시 전자밸브를 포함하는데, 전자밸브는 로컬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능과 제2펌프 동작시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의 조작신호 획득 시 제1펌프로 동작신호를 송출한다. 동작신호를 수신 받은 제1펌프의 전자밸브는 정상동작시에는 동작응답신호를 로컬컨트롤(400)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제1펌프의 이상시에는 제1펌프의 전자밸브는 동작 응답 신호를 로컬컨트롤부로 송출하지 못하게 되고 제1펌프의 전자밸브로부터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로컬컨트롤부는 상기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로컬컨트롤부에 의한 펌프동작 우선 순위는 제1펌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오동작시(제1펌프로부터의 동작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제2펌프를 차선책으로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수관(200)은 제1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라인과 제2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는데 상기 제1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라인과 제2펌프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라인은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분리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한편, 추가적인 구성에 따라 물탱크(5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로컬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후술하게될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은 수위측정센서부(800)로부터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 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으로 물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탱크에는 항상 설정된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져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탱크의 현재 수위값이 1.5미터이고, 설정 수위값이 2미터라면 설정 수위값 미만이기 때문에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물을 채우도록 하며, 채워진 물이 2미터가 되면 제2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물탱크에 물을 설정수위값으로 채우기 위한 물공급 통로로 수면근처 수중에서 물탱크까지 직접 연결되는 보조 급수관(210)을 설치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항상 설정된 수위값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들이 수시로 해당 교량의 물탱크를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물탱크(500)에는 히팅수단(510)이 형성되어 동절기에도 물탱크내에 저장되는 물이 얼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제2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구성적 특징은 도2와 같고 로컬컨트롤부의 동작특성이 상이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적 특징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의 조작신호 획득 시 제2펌프로 동작신호를 송출한다. 동작신호를 수신 받은 제2펌프의 전자밸브는 정상동작시에는 동작응답신호를 로컬컨트롤(400)로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제2펌프의 이상시에는 제2펌프의 전자밸브는 동작 응답 신호를 로컬컨트롤부로 송출하지 못하게 되고 제2펌프의 전자밸브로부터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로컬컨트롤부는 상기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로컬컨트롤부에 의한 펌프동작 우선 순위는 제2펌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오동작시(제2펌프로부터의 동작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제1펌프를 차선책으로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 실시예 역시, 추가적 구성에 따라 물탱크(5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로컬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후술하게될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은 수위측정센서부(800)로부터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 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으로 물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탱크에는 항상 설정된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져 있게 되는 것이다. 예들들어 화재 진압시 물탱크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데, 화재진압에 의한 물 소비로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로컬컨트롤부의 설정수위관리모듈에 의해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으로 물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물탱크로의 물공급은 보조급수관(210)을 통해서 공급된다.
즉, 화재 진압시에도 물탱크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의 물양이 유지되도록 함으로 물부족에 의해 화재를 진압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교량용소화전(100), 급수관(200), 제1펌프(300), 로컬컨트롤부(400), 물탱크(500), 제2펌프(600), 보조급수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급수관(200)의 일측은 교량소화전내 소화호스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펌프에 연결된다. 따라서 화재 진압시 물탱크에 있는 물을 제2펌프와 급수관(200)을 통해 소화호스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보조급수관(210)의 일측은 물탱크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면근처 수중에 있는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는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의 조작신호 획득 시 제2펌프로 동작신호를 송출한다. 동작신호를 수신 받은 제2펌프의 전자밸브는 제2펌프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동작된 제2펌프에 의해 물탱크내의 물을 급수관을 경유해 소화호스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추가적인 구성에 따라 물탱크(5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로컬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은 수위측정센서부(800)로부터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 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으로 물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탱크에는 항상 설정된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져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2,3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교량소화전 시스템은 소방차용 급수관(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량에서의 사고시 제1펌프나 제2펌프가 정상 동작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소방서의 소방차를 통해 화재 진압을 해야 하나 교량의 차량들로 인해 소방차가 사고 지점까지 접근할 수 없는 상황 역시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소방차용 급수관(900)을 통해 소방차의 물을 사고지점의 교량소화전까지 공급한 후 소화호스를 통해 사고로 인한 화재진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방차용 급수관(900)은 교량길이 방향으로 교량 전체에 설치되고, 양측 끝단에 연결송수구(910)가 형성되어 연결송수구를 통해 소방차의 물을 교량에 설치된 교량소화전의 각 소화호스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교량이 바다나 강,호수상에 설치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수원상에 설치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교량이란 수원이 없는 산지에도 설치가 된다. 이 경우 제1펌프는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한 지하(심정)나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빗물저장탱크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한 심정을 개발하거나 빗물등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빗물저장탱크등을 설치한 후 상기 제1펌프를 지하(심정)나 빗물저장탱크내에 설치함으로 사고시 화재진압용 물의 공급원으로 지하수나 저장된 빗물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1펌프는 항상 수면근처 수중에 위치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에 있어야 한다. 만일, 제1펌프 위치가 고정된다면 바다의 경우 조수 간만, 호수나 강의 경우 우기와 건기에 의한 수위의 변화로 인해 수중펌프가 수면근처 수중에 있지 못할 수 도 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펌프에는 플로팅수단(310)이 부가 형성되어 조수간만이나 건기에 따른 수면의 하강시에도 제1펌프는 항상 수면근처 수중에 위치하게되 물을 공급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펌프의 위치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급수관 또는 보조급수관을 제1펌프와 연결시키는 플렉서블호스(320)를 이용하여 급수관과 제1펌프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원격컨트롤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원격컨트롤부(700)는 로컬컨트롤부(400)와 유무선 통신가능하게 구성되며 교량용소화전(100)에 형성된 조작버튼의 조작시 조작신호는 로컬컨트롤부로 송출되기도 하지만 후술하게 될 로컬컨트롤부(400)의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을 통해 원격컨트롤부로도 송출된다. 또한 원격컨트롤부는 상기 조작신호 이외에도 제1펌프나 제2펌프의 동작응답신호도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을 통해 수신 받거나, 제1펌프나 제2펌프의 동작신호를 로컬컨트롤부로 송출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별로 상기 원격컨트롤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컨트롤부(700)가 유무선원격제어모듈을 통해 조작신호를 전송받은 이후 제1펌프로부터 동작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원격지 관제센타등에 있는 모니터 요원은 원격컨트롤부를 통해 제1펌프 동작 신호를 로컬컨트롤부(400)로 송출하게 되고 상기 동작신호는 제1펌프에 연결된 전자밸브에 전달되어 제1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제2,3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컨트롤부(700)가 유무선원격제어모듈을 통해 조작신호를 전송받은 이후 제1펌프나 제2펌프의 동작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원격지 관제센타등에 있는 모니터 요원은 원격컨트롤부를 통해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의 동작 신호를 로컬컨트롤부(400)로 송출하게 되고 상기 동작신호는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에 연결된 전자밸브에 전달되어 제1펌프나 제2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펌프 동작 우선 순위는 로컬컨트롤부와 마찬가지로 제1펌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오동작시(제1펌프로부터의 동작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제2펌프를 차선책으로 동작시키거나(제2실시예), 제2펌프 동작을 먼저 수행하고, 오동작시(제2펌프로부터의 동작응답신호가 없는 경우) 제1펌프를 차선책으로 동작시키게 된다.(제3실시예)
원격컨트롤부를 이용하여 펌프로 동작신호를 보내는 이유는 1차적으로 로컬컨트롤부가 동작신호를 각 펌프로 송출하지만 이 신호에 의해 펌프들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2차적으로 원격지에서 원격컨트롤부를 통해 펌프로 동작신호를 보내 펌프 동작을 재 시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의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주변 소방기관 혹은 관제센타로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급 상황 메세지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작버튼을 누군가가 누르게 되면 즉각적으로 주변 소방기관 혹은 원격컨트롤부가 있는 원격지 관제센타로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급 상황 메세지 정보를 제공하여 현재 상황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무선 통신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의 로컬컨트롤부 구성도이다.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신호획득모듈(410),제1펌프동작모듈(420),제2펌프동작모듈(430),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설정수위관리모듈(450), 건식배관관리모듈(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작신호획득모듈(410)은 교량용소화전(100)에 형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펌프동작모듈(420)과 제2펌프동작모듈(430)의 동작특성을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신호획득모듈이 조작신호를 획득 하게 되면, 제1펌프동작모듈(420)은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신호획득모듈이 조작신호를 획득 하게 되면, 제1펌프동작모듈(420)은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정상동작 시에는 제1펌프의 전자밸브는 이에 대한 동작 응답 신호를 로컬컨트롤부(구체적으로 조작신호획득모듈)로 송출하게 되는데, 로컬컨트롤부가 제1펌프의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면 제1펌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게된다.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해 제1펌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펌프동작모듈(430)은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급 상황시 즉각적으로 수중의 물이나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을 경유하여 소화호스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신호획득모듈이 조작신호를 획득 하게 되면, 제2펌프동작모듈(430)은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게 된다. 정상동작 시에는 제2펌프의 전자밸브는 이에 대한 동작 응답 신호를 로컬컨트롤부(구체적으로 조작신호획득모듈)로 송출하게 되는데, 로컬컨트롤부가 제2펌프의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하면 제2펌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하지 못해 제2펌프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펌프동작모듈(420)은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급수관을 통해 소화호스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신호획득모듈(410)이 조작신호를 획득 하게 되면, 제2펌프동작모듈(430)은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켜 급수관으로 물탱크내의 물을 공급한다.
상기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은 관제센터와 같은 원격지에 설치된 원격컨트롤부(7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조작신호와 펌프의 동작응답신호를 획득한 로컬컨트롤부는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을 통해 조작신호와 펌프의 동작응답신호를 원격컨트롤부(700)로 전송한다. 원격컨트롤부(700)가 설치되는 원격지 관제센터등에서는 수신된 조작신호는 경보신호로 접수되고 모니터요원은 조작신호가 접수된 해당 교량용 소화전(100) 주변을 카메라등과 같은 모니터링 수단으로 주변 상황을 모니터링 하면서 긴급상황을 모니터링 하게 된다. 또한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은 획득한 조작신호 이외에도 제1펌프나 제2펌프로부터의 동작응답신호도 원격컨트롤부로 전송한다. 이때, 원격지 관제센터에서는 수신된 동작응답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교량용 소화전이 설치된 소화전 시스템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펌프에 대한 동작신호를 송출하여 2차적으로 펌프 동작을 시도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조작신호가 접수된 이후, 동작응답신호가 미수신 되면 소화전 시스템상(구체적으로 제1펌프나 제2펌프)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원격지 관제센터의 모니터 요원은 해당 교량용 소화전으로 제1펌프나 제2펌프의 동작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출하여 펌프동작을 재시도한다.
상기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은 수위측정센서부(800)로부터 물탱크의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 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값으로 물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물탱크에는 항상 설정된 일정 수위의 물이 채워져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건식배관관리모듈(460)은 화재진압이 완료된 후 급수관에 차 있는 물을 회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화재 진압이 완료된 후 급수관(구체적으로 소화호스부터 제1펌프까지, 또는 소화호스부터 보조펌프까지)에 물이 남아 있게 되면 겨울철 동절기에는 급수관내의 물이 얼게 되고, 급수관내 얼어붙은 물로 인해 다음 화재 진압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건식배관관리모듈은(460) 화재 진압이 완료됨을 알리는 조작버튼의 조작신호 획득시 동작하며, 급수관내의 물을 수중이나 물탱크 내부로 회수하도록 제1펌프나 제2펌프를 역회전 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교량내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자의 심각한 부상이나 주변에 신고자가 없음으로 인해 교량용 소화전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상황도 발생한다. 이때, 관제센타등이 있는 원격지에서 해당 교량을 각종 센서 및 카메라등과 같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모니터링 하다가 화재 발생을 발견하게 되면 즉각적으로 소방 기관에 알림과 동시에 교량 주변에 근무하고 있는 근무자 혹은 주변에 상주하고 있는 비상 연락자에게 현재 사고위치 등을 제공하여 교량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펌프 동작 신호를 원격컨트롤부(700)를 통해 로컬컨트롤부(400)로 전달하여 제1펌프와 제2펌프를 동작시켜 해당 소화전으로 이동한 근무자나 비상연락자가 실시간으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제1펌프나 제2펌프에 대한 동작은 로컬컨트롤부에서도 조작이 가능하지만 원격지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소방 차량의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일정 간격으로 교량 내에 본 발명인 교량 소화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수중으로부터 물을 소화호스로 공급받아 신속히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내에서 발생하는 대형 인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면근처 수중에 위치하는 제1펌프의 동작 불능시, 교각에 설치 구성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제2펌프의 동작을 통해 소화호스로 공급받아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2펌프 동작 불능시, 수중에 설치된 제1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화재진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에 따른 보조 대응책을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메인 시스템 문제 발생시 보조적으로 화재 진압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교량용소화전
200 : 배수관 210:보조급수관
300 : 제1펌프 310:플로팅수단 320:플렉서블호스
400 : 로컬컨트롤부
500 : 물탱크
600 : 제2펌프
700 : 원격컨트롤부
800 : 수위측정센서부
900: 소방차용 급수관 910:연결송수구

Claims (16)

  1. 삭제
  2.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과 과 비상전화기 및 발광기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일측이 물탱크(5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펌프에 연결되어 수중의 물을 물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급수관(210)과;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제1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며, 물탱크(500)의 수위를 체크하여 설정수위값 이하가 되면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의 물이 설정수위값이 되도록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3.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과 과 비상전화기 및 발광기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이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된 제1펌프에 연결되어 제1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일측이 물탱크(5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펌프에 연결되어 수중의 물을 물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급수관(210)과;
    수면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급수관에 물을 공급하며, 물탱크(500)의 수위를 체크하여 설정수위값 이하가 되면 제1펌프를 동작시켜 물탱크의 물이 설정수위값이 되도록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4. 교량 소화전 시스템에 있어서,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며, 소화호스와 조작버튼과 과 비상전화기 및 발광기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소화전(100)과;
    교각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제2 펌프에 연결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물을 상기 교량용소화전의 소화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00)과;
    수면 근처 수중에 형성되며,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보조급수관(2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300)와;
    교각의 외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제2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제공하기 위한 물탱크(500)와;
    어느 일측이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며, 타측이 급수관에 연결되되, 전자밸브의 동작에 의해 물탱크의 물을 급수관에 공급하기 위한 제2펌프(600)와;
    일측이 물탱크(5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펌프에 연결되어 수중의 물을 물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급수관(210);
    상기 교량용소화전에 설치 구성된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물탱크내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물탱크(500)의 수위를 체크하여 일정수위 이하가 되면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킴으로 상기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컨트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컨트롤부와 유무선 통신하여 조작버튼의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에 연결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 혹은 제2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원격컨트롤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량길이 방향으로 교량 전체에 설치되고, 양측 끝단에 소방차용 연결송수구(910)가 형성되어, 소방차의 물을 교량소화전의 소화호스에 공급하기 위한 소방차용 급수관(9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물탱크(5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로컬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부(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조작신호획득모듈(410)과,
    상기 조작 신호 획득시,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1펌프동작모듈(420)과,
    상기 제1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펌프동작모듈(430)과,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컨트롤부(700)로부터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에 대한 동작 신호를 수신 받고,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의 전자밸브로 상기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과,
    상기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으로 물을 채우기 위한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소화전 시스템은 물탱크(5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측정된 수위값을 로컬컨트롤부로 제공하기 위한 수위측정센서부(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조작신호획득모듈(410)과,
    상기 조작 신호 획득시,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펌프동작모듈(430)과,
    상기 제2펌프의 동작 응답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1펌프동작모듈(420)과,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컨트롤부(700)로부터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에 대한 동작 신호를 수신 받고,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의 전자밸브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과,
    상기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으로 물을 채우기 위한 설정수위관리모듈(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조작신호획득모듈(410)과,
    상기 조작 신호 획득시, 제2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2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펌프동작모듈(430)과,
    물탱크내의 수위값을 획득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과 비교하여 설정수위값 미만일 경우에 제1펌프에 형성된 전자밸브에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제1펌프를 동작시켜 보조급수관(210)을 통해 물탱크에 미리 설정된 설정수위값으로 물을 채우기 위한 설정수위관리모듈(450)과,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컨트롤부(700)로부터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에 대한 동작 신호를 수신 받고, 제1펌프 혹은 제2펌프의 전자밸브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무선원격제어모듈(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10. 삭제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500)는 물탱크내에 저장되는 물이 얼지 않도록 물탱크에 열을 가하는 히팅수단(5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12. 삭제
  13.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300)는 조수간만이나 우기/건기에 따른 수면 높이의 변화시에도 제1펌프를 항상 수면근처 수중에 위치하게 하는 플로팅수단(310)과 제1펌프의 위치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급수관 또는 보조급수관을 제1펌프와 연결시키는 플렉서블호스(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14.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화재 진압이 완료되면 급수관내의 물을 수중이나 물탱크 내부로 회수하여 급수관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건식배관관리모듈(46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1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컨트롤부(400)는 조작버튼의 조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주변 소방기관 혹은 관제센타로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급 상황 메세지 정보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1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이 바다나 강,호수 이외의 지역에 설치됨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원이 없는 경우, 제1펌프는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한 지하(심정)나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빗물저장탱크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소화전 시스템.
KR1020150080432A 2015-06-08 2015-06-08 교량 소화전 시스템 KR10158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32A KR101587403B1 (ko) 2015-06-08 2015-06-08 교량 소화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32A KR101587403B1 (ko) 2015-06-08 2015-06-08 교량 소화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403B1 true KR101587403B1 (ko) 2016-01-21

Family

ID=5530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432A KR101587403B1 (ko) 2015-06-08 2015-06-08 교량 소화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34Y1 (ko) * 2019-09-04 2020-05-12 인천광역시 연수구 시설안전관리공단 비상용 소화전
CN113384843A (zh) * 2021-06-02 2021-09-14 深圳思麦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消防控制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97Y1 (ko) * 2000-12-15 2001-06-15 주식회사파라다이스산업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100812976B1 (ko) * 2007-08-17 2008-03-13 (주) 한길산업 교량용 수질개선 인공폭포 구조물
KR20090011740A (ko) * 2007-07-27 2009-02-02 조용성 해수를 이용한 교량 상부의 화재 자동 진화 시스템
KR100955704B1 (ko) * 2009-08-06 2010-05-03 화랑시스템(주) 축전식 소방펌프 시스템
KR101162065B1 (ko) 2012-02-13 2012-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97Y1 (ko) * 2000-12-15 2001-06-15 주식회사파라다이스산업 간이형 스프링쿨러 장치
KR20090011740A (ko) * 2007-07-27 2009-02-02 조용성 해수를 이용한 교량 상부의 화재 자동 진화 시스템
KR100812976B1 (ko) * 2007-08-17 2008-03-13 (주) 한길산업 교량용 수질개선 인공폭포 구조물
KR100955704B1 (ko) * 2009-08-06 2010-05-03 화랑시스템(주) 축전식 소방펌프 시스템
KR101162065B1 (ko) 2012-02-13 2012-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34Y1 (ko) * 2019-09-04 2020-05-12 인천광역시 연수구 시설안전관리공단 비상용 소화전
CN113384843A (zh) * 2021-06-02 2021-09-14 深圳思麦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消防控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5855A (en) Hose leak detectors
KR101893898B1 (ko) 지능형 소화전
KR101587403B1 (ko) 교량 소화전 시스템
KR101701455B1 (ko)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JP6219649B2 (ja) 消火設備及び緊急遮断装置
CN215427107U (zh) 一种楼宇消防联动控制装置
CN107819985A (zh) 一种可无线通信的智能消防栓
JP7227170B2 (ja) 危険なサイトに設置された、炭化水素の輸送のためのパイプラインのセクションまたはコンポーネントのための監視システム
JP5399878B2 (ja) 消火栓装置点検システム
GB250027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sewerage system
KR20180070411A (ko) Iot 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소화시스템
CN106345092A (zh) 智能化高层建筑消防监控***
KR101700870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초고속 통신망과 연계한 소방관리 시스템
KR101375123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JP6385213B2 (ja) 支援システム
KR101574201B1 (ko) 무장애 스마트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JP6216488B2 (ja) 消火設備
CN111028545A (zh) 一种湖泊船只管理与监控***
ES2682720T3 (es) Sistema de control de instalaciones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EP2662501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leak protection of a supply water installation
JP6134977B2 (ja) 消火設備
JP6181490B2 (ja) 消火設備
JP2019120036A (ja) 防潮扉自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防潮扉自動制御方法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JP641583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