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60B1 -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60B1
KR101586960B1 KR1020140173725A KR20140173725A KR101586960B1 KR 101586960 B1 KR101586960 B1 KR 101586960B1 KR 1020140173725 A KR1020140173725 A KR 1020140173725A KR 20140173725 A KR20140173725 A KR 20140173725A KR 101586960 B1 KR101586960 B1 KR 10158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t
connector
release lev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4017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60B1/en
Priority to CN201510888841.5A priority patent/CN105667362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can promote convenience of use by improving operability and visibility. The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ght side connector (400) formed to be lo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ose top surface is fasten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a seat (100) of the car seat; and a left-side connector (500) formed to be lo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hose top surface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Each of the right-side connector and the left-side connector comprises: a sliding rail; a cover combined with the sliding rail; a connector which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inside of the sliding rail and which has a control unit on the front and a mounting unit in an inserted shape on the rear; and a position control label. The control unit can comprise: a control unit cover fixat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or; and a release lever combined with the control unit cover to be operable forward and backward to control the locking status of the mounting unit.

Description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제품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조작성과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 seat equipped with an isopix fixing device capable of being universally applicable to various products and improving operability and vis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A car seat is a device that is mounted on the seat of a vehicle to prevent accidents when a child, such as a newborn baby or an infant, board the vehicle. It protects a newborn or infant more safely when sudden braking, sudden outbreak, Device.

대부분의 카시트는 현재 차량의 성인용 무릎 및 대각 좌석 벨트(Lap and Kiagonal Seat Belt) 또는 단지 무릎 벨트만을 사용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고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차량에 따라 각각 좌석 및 벨트의 모델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시트의 고정은 불안정하다. Most car seats are used to mount and secure to vehicle seats using only the current adult lap and diagonal seat belts or only lap belts. However, since the seat and the bel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vehicle, the fixing of the seat is unstable.

이러한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좌석 일측에 앵커가 구비되고, 카시트의 일측에 앵커와 결합하는 래치가 구비된 ISOFIX 방식을 이용한 카시트가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instability, a car seat using an ISOFIX system having an anchor at one side of a seat of a vehicle and a latch for engaging with an anchor at one side of the car seat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ISOFIX 방식의 카시트는 ISOFIX 고정장치와 본체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제조 비용이나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으며, 제품 중량이 무거워져 취급의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SOFIX type car seat, the ISOFIX fixing device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In general,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which is inefficient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and time, .

또한, 종래 제품은 범용성이 떨어지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불편을 안고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products are inferior in versatility and inconvenient to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또한, 종래의 ISOFIX 방식의 카시트는 차량 좌석에 장착시키거나 탈착하기 위한 조작부가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이 있었으며 조작성이 좋지 못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SOFIX type car seat has disadvantages in use and poor operability because the operating portion for mounting or detaching the car seat in the vehicle seat is dispersed and installed.

또한, 비좁은 차량의 내부에서 카시트를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인성(視認性)에도 문제가 있었으며, 카시트 자체의 중량이 무거워서 조작에 어려움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car seat must be operated inside a narrow car, there is a problem in visibility, and the car seat itself is heav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erate.

이에 따라, 결합을 간소화하고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조작성과 시인성을 확보하여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ISOFIX 베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ISOFIX base which can be easily used by simplifying the coupling, applying general purpose, ensuring operability and visibi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99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399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885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2885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08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5085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11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81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제품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조작성과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which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can improve ease of use and visibility, And to provide it to the user.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본체로부터 독립시키고, 좌우측을 분리시키는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범용적인 이용이 가능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that is independent of the main body a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o as to separate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weight, And to provide it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카시트를 조작하는 부분을 전방에 집약적으로 배치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착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시기를 구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 seat provided with an isopix fix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by intensively arranging the portion for operating the car seat forwardly and improving the visibility by providing a display device for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installation And to provide it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 우측에 체결된 우측 연결기(400);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 좌측에 체결되는 좌측 연결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연결기(400)는, 좌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좌석(100)의 하면과 체결되기 위한 우측 고정볼트가 설치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우측면의 일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우측 슬라이딩 레일;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우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우측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며, 우측 라벨 부착부가 우측면에 돌출 형성된 우측 커버;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우측면의 전방에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측 장착부가 설치된 우측 커넥터; 및 상기 우측 라벨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우측 커넥터가 슬라이딩된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된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기(500)는, 우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좌석(100)의 하면과 체결되기 위한 좌측 고정볼트가 설치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좌측면의 일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좌측 슬라이딩 레일;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좌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좌측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며, 좌측 라벨 부착부가 좌측면에 돌출 형성된 좌측 커버;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좌측면의 전방에 좌측 조작부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좌측 장착부가 설치된 좌측 커넥터; 및 상기 좌측 라벨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좌측 커넥터가 슬라이딩된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된 좌측 위치조절용 라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커넥터의 우측면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조작 가능한 우측 해제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커넥터의 좌측면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좌측 장착부의 잠금 여부를 전환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조작 가능한 좌측 해제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카시트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커버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커버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에 설치된 앵커(5)가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의 인입된 부분에 장착된 상기 앵커(5)가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에 체결되며, 상기 앵커(5)와의 체결에 따라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이 상기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n isopix fixing device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car sea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ight connector 400 fastened to the right side; And a left connector 500,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ose upp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wherein the right connector 400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And a right fixing bolt for faste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100.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fixing bol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portion of the right side surface, Sliding rail; A right cover coupled to a right side of the right sliding rail and having a right cover opening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pen portion of a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sliding rail, A right connector provided with a right side mounting portion which is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sliding rail, a right side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ight side surface, And a right positioning label attached to the right label attach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mark engrav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right sliding rail to recognize a position where the right connector is slid; And a left fixing bolt for fastening the bottom of the seat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connecting connector 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connecting connector 500, A left sliding rail which is formed hollow and has a part of its left side,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pened; A left cover coupled to a left side of the left sliding rail and having a left cover opening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pen portion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eft sliding rail, A left connector slidable along the inside of the left sliding rail and provided with a left operating part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side and a left side mounting part formed on the rear side; And a left position adjusting label attached to the left label attach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mark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left sliding rail for recognizing a position where the left connector is slid; Wherein the right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right operating portion cover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a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And a right release lever coupled to the right operation section cover and oper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adjust a locked state of the right mounting section, wherein the left operation section includes a left side An operation unit cover; And a left release lever coupled to the left operating section cover and oper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o switch whether the left mounting section is locked or not, w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ar seat, And the left opera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ft cover opening portion and is operable. When the right releasing lever and the left releasing lever are operated to move backward ,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r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so that the anchor (5) installed on the vehicle can be mounted on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side mounting portion The anchor (5) mounted on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are fastened to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when the anchor is fastened to the anchor (5) The seat 100 can be fixed to the vehicle.

또한, 상기 우측 커넥터는, 상기 우측 장착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우측 랫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우측 랫치;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단은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우측 해제레버와 연결된 우측 링크; 및 전단은 상기 우측 링크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우측 랫치와 연결되는 제 1 우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커넥터는, 상기 좌측 장착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좌측 랫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좌측 랫치;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단은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좌측 해제레버와 연결된 좌측 링크; 및 전단은 상기 좌측 링크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좌측 랫치와 연결되는 제 1 좌측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ight connector may include: a right-side latch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ight-side mounting portion and rotatable about a right-side latch axis; A right link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the front end being bent to the right and connected with the right release lever; And a first right spring connected to the right link and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right latch, the left connector being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Latch; A left link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nd whose front end is bent to the left and connected to the left release lever; And a first left spring connected at a front end to the left link and at a rear end to the left latch.

또한,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우측 링크 및 상기 좌측 링크가 각각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우측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우측 랫치에 작용하여 상기 우측 랫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좌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좌측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좌측 랫치에 작용하여 상기 좌측 랫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 및 좌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 및 상기 좌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우측 링크 및 상기 좌측 링크가 각각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 및 상기 좌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상기 앵커(5)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우측 랫치 및 상기 좌측 랫치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상기 우측 랫치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상기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좌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좌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상기 좌측 랫치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ight link and the left link move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to the rear, respectively And the elasticity of the first right spring acts on the right latc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ight link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right lat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first left spr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cts on the left latch so that the left lat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drawn-in portion behind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behind the left mounting portion by the right latch and the left latch,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r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ight link and the left link are moved forwar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respectively, The right latch and the left latch ar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anchor 5 is mounted on the drawn-in portion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 latch A portion of the left latch that is pulled back by the left latch is rotated by the left latch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by a portion of the left latch, The left mounting portion can b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

또한,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해제레버에 부착되고, 기 설정된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으로 구성된 우측 잠금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는 개구된 우측 라벨홈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 잠금 라벨의 일부가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해제레버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색상 및 상기 제 2 색상으로 구성된 좌측 잠금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는 개구된 좌측 라벨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 잠금 라벨의 일부가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우측 라벨홈 및 상기 좌측 라벨홈에 상기 제 1 색상이 표시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잠금 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우측 라벨홈 및 상기 좌측 라벨홈에 상기 제 2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The right opera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ight side lock label attached to the right side release lever and configured with a predetermined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and a right side label groove formed in the right side operation cover, And a left lock label attached to the left release lever and configured by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and the left operation portion cover has an opening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in the locked state, the first color is displayed in the right label groove and the left label groove, and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in the unlocked state, the second color is displayed in the right label groove and the left label groove, It can be.

또한,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우측 커넥터를 관통하는 우측 레버 돌기가 형성된 우측 위치조절 레버; 및 상기 우측 커넥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 2 우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우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을 막고,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되어 상기 우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The right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right position adjusting lever coupled to the right operating portion cover and oper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 right lever protrusion penetrating the right operating portion cover and the right connector; And a second right spring disposed inside the right connector and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wherein when the right position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The right sliding leve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to block sliding of the right connector and when the right position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The insertion of the right connector is releas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in the rail, thereby enabling the sliding of the right connector.

또한,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좌측 커넥터를 관통하는 좌측 레버 돌기가 형성된 좌측 위치조절 레버; 및 상기 좌측 커넥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 2 좌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위치조절 레버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을 막고, 상기 좌측 위치조절 레버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되어 상기 좌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The left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 left position adjusting lever coupled to the left operating portion cover and oper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ft operating lever cover having a left lever projection extending through the left connector cover and the left connector; And a second left spring disposed inside the left connector and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ft lever protrusion, wherein when the left position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 part of the end of the left lever protrusion The left sliding leve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left sliding rail to block the sliding of the left connector and when the left position adjusting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left connector can be slid by being releas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in the rail.

또한, 상기 좌석 하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카시트의 등받이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및 상기 등받이를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는 리클라이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좌석은, 형태유지를 위한 좌석판넬; 및 상기 좌석판넬의 상부에 쿠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몸이 상기 카시트에 고정하는 어깨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은, 상기 좌석판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석판넬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리클라이닝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과 분리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reclining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of the car seat to engage the seat and the backrest an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user adjustments, , A seat panel for maintaining shape; And a cush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anel, wherein the backrest comprises: a headrest on which the head of the user is seated; And a shoulder belt to which the user's body is secured to the car seat for safety of the user, the reclining comprising: a base slidingly coupled to the seat panel; And a reclining cover coupled and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anel so that the base is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rein the seat is detachable from the back through separation of the base from the seat.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에 위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며,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바를 구비하여 상기 어깨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벨트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위치되고, 하단에 상기 벨트가이드가 결합되며, 상기 벨트가이드의 이동에 연동되어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헤드레스트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ckrest may further include a belt guide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and moving in a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bar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to adjust a height of the shoulder belt, And a headrest lever positioned at a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and coupled to the belt guide at a lower end thereof and moved in a height direction interlocked with movement of the belt guide.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벨트가이드의 바 양단이 결합고정되도록 상기 등받이 후면에 위치된 요철형태의 가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이드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의 결합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The backres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fixing part in a concavo-convex form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so that both ends of the belt guide are coupled and fixed. Can be switched.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레버는, 하단과 상기 헤드레스트 하단과 연결되고, 탄성을 이용해 상기 헤드레스트 레버를 끌어당기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drest lever may further include a lever spring connected to a low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headrest and pulling the headrest lever using elasticity.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는,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절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하단에 고정되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레버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인입되어 걸림상태가 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된 리클라이닝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타단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걸림 해제상태가 되고, 상기 베이스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입인되어 상기 베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고정을 통해 상기 리클라이닝이 기 설정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The reclining cov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cli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top, the base being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t one end thereof, spring; And a reclining lev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to engag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spring, wherein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lever,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is in the unlocked state, the bas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sliding manner,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to fix the base, Through the fixation, the reclining can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은 다양한 제품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조작성과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rs with a car seat equipped with an isopix fixing device which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is improved in operability and visibility so as to facilitate the us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본체로부터 독립시키고, 좌우측을 분리시키는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범용적인 이용이 가능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that is independent of the main body an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o as to separate the right and left sides,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reducing weigh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카시트를 조작하는 부분을 전방에 집약적으로 배치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착의 안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시기를 구비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 seat provided with an isopix fix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by intensively arranging the portion for operating the car seat forwardly and improving the visibility by providing a display device for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install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연결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장착부의 잠금 해제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일 실시례와 그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일 실시례와 그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헤드레스트의 일 실시례와 그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리클라이닝의 일 실시례와 그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벨트가이드의 사용상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Figures 1A and 1B show an isopix fixture that may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right connector that can be applied to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 right connector that can be applied to a car seat having the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schematically show the unlocked state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chematically show a locking state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7A and 7B show the operation of the right position control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show an embodiment of an angle-adjustable reclining car seat.
9A and 9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reclining car seat and its combined perspective view.
10A and 10B show an embodiment of a reclining car seat back and its combined perspective view.
11A and 11B show an embodiment of a headrest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thereof.
12A to 12C show an embodiment of a reclining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thereof.
13A to 13C show an embodiment of the use state of the belt gui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 ISOFIXISOFIX 고정장치의 구성> Fixture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ISOFIX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car seat provided with an ISOFIX fixing device to b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는 카시트의 좌석(100)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우측 연결기(400) 및 좌측 연결기(500)의 한 쌍으로 구성된다. Figures 1A and 1B show an isopix fixture that may b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isopix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a seat 100 of a car seat, and includes a right connector 400 and a left connector 500 ).

우측 연결기(400)는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의 우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우측 고정볼트(406)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연결기(500)는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의 좌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좌측 고정볼트가 설치된다. The right connector 400 is provided with a right fixing bolt 406 on its upper surface so that it can be fastened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Likewise, the left connecting device 500 is provided with a left fixing bol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left connecting device 500 can be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이렇게 우측 연결기(400)와 좌측 연결기(500)는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우측 연결기(4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나, 우측 연결기(400)와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좌측 연결기(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우측 연결기(400)의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가능하다.The right connector 400 and the left connector 500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The left connector 500 having a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right connector 400 can be easily configu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right connector 400 to the right connector 400. [ .

도 2는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연결기의 일례를 나타낸다.2 shows an example of a right connector that can be applied to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우측 연결기(400)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 우측 커버(410) 및 우측 커넥터(4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다. 우측 연결기(400)의 후면에는 우측 가이드(418)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ight connector 400 may include a right sliding rail 402, a right cover 410, and a right connector 420, and has a generally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ight guide 418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400. [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은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은 개방되어 있다.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는 중공으로 되어 있으며, 우측 커넥터(420)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right sliding rail 402 has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its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 The inside 408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is hollow and the right connector 420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interior 408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좌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있다. 위치조절공(401)은 후술할 우측 레버 돌기(442)의 끝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401 ar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401 are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sition adjusting hole 401 has a size such that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4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면은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면의 개방된 부분은 우측 커버(410)의 개구된 우측 커버 개구부(4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우측에 우측 커버(41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과 우측 커버(412)가 결합되면 우측 커버 개구부(412)를 통하여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에 위치된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 조작부가 돌출될 수 있다.The right side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is partly opened. The open portion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ed right cover opening portion 412 of the right cover 410. [ That is, the right cover 412 can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When the right sliding rail 402 and the right cover 412 are engaged, the right sliding door 402 The right operating portion of the right connector 420 located in the inner portion 408 of the right connector 420 can be protruded.

우측 커버(410)에는 우측 라벨 부착부(414)가 우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라벨 부착부(414) 위에는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이 부착될 수 있다.The right label 410 has a right label attachment portion 414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label 414 can be attached on the right label attachment portion 414. [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되어 있다. 사용자는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416)을 이용하여 우측 커넥터(420)가 슬라이딩된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abel 416 is marked with a predetermined mar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401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402. The user can measure the degree to which the right connector 420 is slid by using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abel 416. [

우측 커넥터(420)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성이다. 우측 커넥터(420)의 후방에는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측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면의 전방에는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우측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우측 조작부는 우측 커버 개구부(412)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The right connector 420 is configured to slide back and forth along the inside 408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The right connector 420 is provided at its rear portion with a right-side mounting portion formed in a drawn-in shape. A right operating par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right connector 420. The right operating part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ight cover opening part 412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right operating part.

한편, 우측 커넥터(42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우측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다.3, the structure of the right connector 4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g. 3 shows an example of a right connector that can be applied to a car seat having the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측 커넥터(420)는 우측 이너 프레임(422)과 우측 아웃 프레임(430)이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3, the right connector 42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right inner frame 422 and the right out frame 430 are coupled.

우측 이너 프레임(422)에는 제 1 우측 링크축(424)과 제 2 우측 링크축(426)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각각 우측 링크(466)에 형성된 제 1 우측 링크홀(470)과 제 2 우측 링크홀(472)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우측 링크축(424)과 제 2 우측 링크축(426)의 끝단은 우측 아웃 프레임(430)의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우측 이너 프레임(422)에는 우측 랫치축(428)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우측 랫치(476)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며, 상기 우측 랫치축(428)의 끝단은 우측 아웃 프레임(430)의 내면에 고정된다.The right inner frame 422 is provided with a first right link shaft 424 and a second right link shaft 426. The first right link shaft 424 and the second right link shaft 426 are provided with a first right link hole 470 formed in the right link 466, And the ends of the first right link shaft 424 and the second right link shaft 426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out frame 430. The right ratchet shaft 428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right latch 476 and the end of the right lathe shaft 428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right lathe 476, And is fixed inside.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 이너 프레임(422)과 우측 아웃 프레임(430) 내부에는 우측 장착부의 잠금을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Inside the right side frame 422 and the right side frame 430 of the right connector 420, a structure for locking the right sid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측 장착부의 후방에는 우측 랫치(476)가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 랫치(476)는 우측 랫치축(428)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right latch 476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 latch 476 is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round the right lathe shaft 428. [

우측 링크(466)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우측 커넥터(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설치된다. 우측 링크(466)의 전단은 우측으로 절곡된 우측 링크 후크(4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링크 후크(468)는 우측 해제레버(454)의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부분(456)과 연결된다.The right link 466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talled inside the right connector 4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end of the right link 466 is formed with a rightwardly bent right link hook 468 and the right link hook 468 is connected with a connecting portion 456 protruding inward of the right release lever 454. [

사용자는 우측 해제레버(454)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우측 해제레버(454)를 조작할 수 있다.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면,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된 우측 링크(466)도 우측 해제레버(454)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이는 우측 링크(466)에 연결된 제 1 우측 스프링(474)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right release lever 454 while moving the right release lever 454 forward and backward. The right link 466 connected to the right release lever 454 also mov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right release lever 454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pring 474.

제 1 우측 스프링(474)는 우측 링크(466)와 우측 랫치(476)를 연결한다. 우측 링크(466)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우측 스프링(474)에 의하여 우측 랫치(476)가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right spring 474 connects the right link 466 and the right latch 476. When the right link 466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right latch 476 can be rota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by the first right spring 474.

한편, 우측 커넥터(420)의 우측면의 전방에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조작부는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와 우측 해제레버(454)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440, 454)는 우측 조작부 커버(446)에 결합된다. 우측 조작부 커버(446)의 좌측에는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는 우측 조작부 고정나사(464)에 의하여 우측 아웃 프레임(430)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 right operating section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420. The right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right position adjusting lever 440 and a right releasing lever 454 and the levers 440 and 454 are coupled to the right operating portion cover 446. [ The right operating section connector 448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operating section cover 446 and the right operating section connector 448 is fixed to the right out frame 430 by a right operating section fixing screw 464.

우측 조작부 커버(446)에는 개구된 우측 라벨홈(4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해제레버(454)에는 우측 잠금 라벨(452)이 상기 우측 라벨홈(4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된다. 우측 잠금 라벨(452)은 기 설정된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으로 구성되며, 우측 잠금 라벨(452)을 구성하는 하나의 색상이 우측 라벨홈(450)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된다.The right operation cover 446 is formed with an opened right label groove 450 and a right lock label 452 is attached to the right release lever 45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label groove 450. The right lock label 452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and one color constituting the right lock label 452 is displayed on the outside through the right label groove 450.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는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다.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에는 우측 레버 돌기(4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는 우측 조작부 커버(446), 우측 조작부 연결기(448) 및 우측 커넥터(420)를 관통하며,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의 끝단 일부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에 삽입 가능하다.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is oper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right lever projection 442 is formed in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passes through the right operation unit cover 446, the right operation unit connector 448 and the right connector 420 while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passes through the right sliding rail 402 And is insertable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401 formed.

우측 레버 돌기(442)의 외주면에는 제 2 우측 스프링(460)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우측 스프링(460)의 부착을 위한 E-링크(462)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right spring 46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ght lever protrusion 442 to provide an elastic force and an E-link 462 for attaching the second right spring 460 may be coupled together.

<< ISOFIXISOFIX 고정장치의 동작> Operation of Fixation Devi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ISOFIX 고정장치의 조작부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여기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측 연결기(400)에 대해 서술하나, 좌측 연결기(500)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ISOFIX fixing apparatus to b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right connector 400 is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same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left connector 500 as well.

우선,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해제레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release le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5A and 5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장착부의 잠금 해제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Figs. 4A and 4B schematically show the unlocked state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schematically show the locking state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는 좌측 해제레버와 우측 해제레버(454)를 전후방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측 장착부와 우측 장착부의 잠금 여부를 전환시킬 수 있다.The car seat having the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whether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 mounting portion are locked or not by operating the left release lever and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도 4a 및 도 4b는 우측 해제레버(454)가 후방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장착부(320)가 잠금 해제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4A and 4B show the case where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s moved backward and the right attachment portion 320 is in the unlocked state.

사용자가 우측 해제레버(45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되어 있는 우측 링크(466)도 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right release lever 454 to move backward, the right link 466 connected to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s also moved backward.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링크(466)에는 길이방향의 제 1 우측 링크홀(470)과 제 2 우측 링크홀(47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링크홀(470, 472)은 우측 링크축(424, 426)에 결합되어 있다. 우측 링크(466)는 상기 우측 링크홀(470, 47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4A and 4B, the right link 466 has a first right link hole 470 and a second right link hole 47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ight link holes 470 and 472 Are coupled to the right link axes 424 and 426, respectively. And the right link 466 is moved backward along the right link holes 470 and 472. [

우측 링크(466)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우측 스프링(474)의 탄성이 우측 랫치(476)에 작용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우측 랫치(476)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일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476)에 의하여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개방되며, 우측 장착부에 차량의 앵커(5)가 장착될 수 있는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된다.As the right link 466 moves rearward, the elasticity of the first right spring 474 acts on the right latch 476, thereby rotating the right latch 476 in one direction. The drawn-in portion behind the right-side mounting portion is opened by the right-side latch 476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is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in which the anchor 5 of the vehicle can be mounted on the right-side mounting portion.

도 5a 및 도 5b는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방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5A and 5B show the case where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s moved forward, and the right mount is in the locked state.

사용자가 우측 해제레버(454)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해제레버(454)와 연결되어 있는 우측 링크(466)도 전방으로 함께 이동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right release lever 454 to move forward, the right link 466 connected to the right release lever 454 is also moved forwar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링크(466)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우측 링크홀(470, 47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우측 링크(466)는 제 1 우측 스프링(474)가 우측 랫치(476)에 탄성을 작용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우측 랫치(476)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right link 466 is moved forward along the right link holes 470 and 47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ight link 466 moved rearward causes the first right spring 474 not to apply elasticity to the right latch 476, so that the right latch 476 becomes rotatable.

여기서, 우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앵커(5)가 장착됨에 따라 우측 랫치(476)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476)에 의하여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우측 랫치(476)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Here, the right latch 476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anchor 5 is attached to the drawn-in portion of the right-side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side latch portion 476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rotates the right- Clogged by a portion of the latch 476, the right mounting portion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랫치(476)에는 인입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 장착부가 도 5b의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경우, 우측 랫치(476)의 인입부에 앵커(5)가 위치되고, 우측 랫치(476)의 돌출부가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을 막게 된다.
As shown in Fig. 5B, the right latch 476 is formed with a lead-in portion and a lead-out portion. 5B, the anchor 5 is positioned at the inlet of the right latch 476 and the protrusion of the right latch 476 is closed at the rear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다음으로,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우측 위치조절 레버의 동작을 나타낸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control le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7A and 7B. 6, 7A and 7B show the operation of the right position control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는 좌측 위치조절 레버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좌우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좌측 커넥터와 우측 커넥터(420)를 슬라이딩 시킬수 있다.The car seat having the isopix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lide the left connector and the right connector 420 by operating the left position adjustment lever and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6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커넥터(420)가 고정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6 shows a case in which the right position adjustment lever 440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connector 420 is in a fixed state.

사용자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레버 돌기(442)의 끝단 일부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에 삽입된다. 이에 의하여 우측 레버 돌기(442)는 우측 커넥터(420)가 슬라이딩 되는 것을 막게 되며, 우측 커넥터(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ight position control lever 440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442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401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402 . Thereby, the right lever protrusion 442 prevents the right connector 420 from sliding, and the right connector 420 can be fixed.

도 7a 및 도 7b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로서, 우측 커넥터(420)가 고정 해제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Figs. 7A and 7B show the case where the right position adjusting lever 440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right connector 420 is in the unlocked state.

사용자가 우측 위치조절 레버(440)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하는 경우, 우측 레버 돌기(422)의 끝단 일부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401)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된다. 이에 따라, 우측 커넥터(420)의 고정이 해제되고, 우측 커넥터(420)가 우측 슬라이딩 레일(402)의 내부(408)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right position control lever 440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lever protrusion 422 is releas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401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402 do. The right connector 420 is unlocked and the right connector 420 can be sli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inside 408 of the right sliding rail 402. [

<카시트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r seat>

도 8a 내지 도 8d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8A to 8D show an embodiment of an angle-adjustable reclining car seat.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분리 가능한 리클라이닝 카시트는 좌석(100), 등받이(200), 리클라이닝(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8A to 8D, a detachable reclining car seat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seat 100, a backrest 200, and a reclining 300. [

즉, 카시트는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좌석(100)과 사용자가 몸을 안착하는 등받이(200)를 구비하며, 이 둘을 연결하는 것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300)이 된다. That is, the car seat has a seat 100 on which a user can sit and a back 200 on which a user can sit on the body, and connecting the two becomes a reclining 300 that can be adjusted in angle.

또한,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 및 등받이(2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lining 300 may be engag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10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ack 200.

즉, 리클라이닝(300)이 좌석(100)과 분리되는 경우, 좌석(100)은 등받이(200)와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는 좌석(100)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리클라이닝(300)을 좌석(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하면 된다.That is, when the reclining 300 is separated from the seat 100, the seat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 200, and when the user wishes to use only the seat 100, the reclining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 100 100) by a sliding method.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과 등받이(200) 사이를 연결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는 리클라이닝(300)이 좌석(100)과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결합정도를 변경함으로서 조절된다.
The reclining 300 can adjust the angle while connecting the seat 100 and the back 200. The angle is adjusted by changing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reclining 300 with the seat 100 through a sliding manner.

<좌석의 구성><Configuration of seat>

도 9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좌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9A shows one embodiment of a reclining car seat, and FIG. 9B shows an embodiment of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reclining car seat.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좌석(100)은 좌석(100)의 형태를 유지하는 좌석 판넬(110) 및 사용자가 착석가능한 쿠션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20)는 좌석 판넬(110)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9A and 9B, the seat 100 may include a seat panel 110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seat 100 and a cushion portion 120 that the user can sit 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shion part 120 is positioned above the seat panel 110.

단, 도 9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Fig. 9A are not essential, and may have more or fewer constituent elements.

한편, 좌석 판넬(110)은 리클라이닝(300)과 결합 및 탈착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300)과의 결합 및 탈착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panel 110 can be engaged with and detached from the reclining 300. The connection and detachment with the reclining 300 will be described below.

쿠션부(120)는 사용자가 착석시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탄력성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ushion part 120 may be ergonomically formed to allow the user to feel comfort during sitting, may be made of a highly elast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restoring force against compression.

<등받이의 구성><Configuration of backrest>

도 10a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리클라이닝 카시트 등받이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0A shows one embodiment of a reclining car seat back, and Fig. 10B shows an embodiment of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reclining car seat back.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등받이(200)는 외형을 구성하는 등받이 판넬(210), 잠금장치(220), 헤드레스트(230), 등받이 이너커버(240), 벨트가이드(250), 벨트가이드(250)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고정부(260) 및 어깨 벨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10A and 10B, the backrest 200 includes a back panel 210, a locking device 220, a headrest 230, a backrest inner cover 240, a belt guide 250, A guide fixing part 260 for fixing the guide 250, and a shoulder belt 270. [

단,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0A and 10B are not essential,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도 10b를 참조하면, 등받이 판넬(210)의 정면 상단 일부에 헤드레스트(230)가 위치되고, 헤드레스트 정면 하부의 일부 및 등받이 판넬(210)의 정면 일부를 덮는 등받이 이너커버(240)가 위치될 수 있다. 10B, the headrest 230 is positioned at a part of the front upper end of the backrest panel 210 and the backrest inner cover 240 covering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rest front surface and a front portion of the backrest panel 210 is positioned .

또한, 등받이 판넬(210)의 양측에 등받이 이너커버(240)를 고정하는 잠금장치(220)가 위치 될 수 있다.Locking devices 220 for securing the backrest inner cover 240 to both sides of the backrest panel 210 can also be located.

한편, 도 11a는 헤드레스트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b는 헤드레스트의 결합시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 11A shows one embodiment of the headrest, and FIG. 11B shows an example of an attempt when the headrest is engaged.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230)는 헤드레스트(230)의 위치조절을 위한 헤드레스트 레버(231), 헤드레스트 레버(231)와 벨트가이드(250)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232), 헤드레스트(230)의 후면에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헤드레스트 커버(233), 헤드레스트(230) 하단과 헤드레스트 레버(231)의 하단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통해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끌어당겨 위치를 고정하는 레버 스프링(234) 및 브라켓(232)과 벨트가이드(250)를 결합하기 위한 샤프트(235)를 포함할 수 있다.11A and 11B, the headrest 230 includes a headrest lever 231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230, a bracket for connecting the headrest lever 231 and the belt guide 250 A headrest cover 233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230 to surround the headrest lever 231 and a lower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headrest 230 and a lower end of the headrest lever 231, A lever spring 234 for pulling the headrest lever 231 to fix the position and a shaft 235 for engaging the bracket 232 and the belt guide 250. [

그리고, 등받이 커버(240)는 등받이 판넬(210)에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The back cover 240 may then be coupled and secured to the back panel 210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screw.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벨트가이드(250)는 등받이(200)후면에 위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바를 포함할 수 있고(바람직하게는 T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의 양단 상부에 어깨 벨트(270)가 접촉되어 통과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는 상단에 어깨 벨트(270)가 기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를 갖거나 기 설정된 각도로 굽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11B, the belt guide 250 may be positioned on the back side of the backrest 200, may be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may include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shoulder belt 270 can be passed through the upp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ar and can be coupled with the headrest 230. At this time, the bar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houlder belt 270 is inclined at an upper end or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가이드 고정부(260)는 벨트가이드(250)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로 구성될 수 있고, 요철은 등받이(200)의 후면에 높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fixing part 26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and a convex so as to fix both ends of the belt guide 250 and the concave and convex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200. [

한편, 어깨 벨트(270)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자의 몸이 카시트에 고정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등받이(200)의 정면 하단에 결합되고, 등받이(200)에 구비된 개방부를 통해 등받이(200)의 후면으로 관통하며, 벨트가이드(250)의 양단 상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고, 등받이(200)의 후면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houlder belt 270 is for fixing the user's body to the seat for the safety of the user. The shoulder belt 27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of the back 200, And may contact at least a part of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elt guide 250 and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back 200. [

<< 리클라이닝의Recline 구성> Configuration>

도 12a 및 도 12b는 리클라이닝의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c는 리클라이닝의 결합사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Figs. 12A and 12B show one embodiment of the reclining, and Fig. 12C shows one embodiment of the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lining.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300)은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카시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리클라이닝(300)은 좌석(100)의 좌석판넬(110)와 결합되는 베이스(310), 베이스(31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좌석판넬(110)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리클라이닝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12A to 12C, the reclining 300 functions to adjust the angle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user's adjustment. The reclining 300 includes a base 310 coupled to the seat panel 110 of the seat 100, a reclining cover 320 coupled to the seat panel 110 under the seat 310 to move the base 3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Lt; / RTI &gt;

단,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Figs. 12A to 12C are not essential,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more constituent elements or fewer constituent elements.

이때, 도 12c를 참조하면 베이스(310)는 리클라이닝(300)의 각도 조절 및 고정을 위한 리클라이닝 레버(311), 베이스(310)가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도록, 양측에 위치되는 스토퍼(312), 일단이 베이스(3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토퍼(312)에 고정되어, 탄성을 이용해 상기 베이스를 끌어당겨 스토퍼(312) 상단에 위치된 등받이의 각도를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스토퍼 스프링(313), 리클라이닝 레버(311)와 베이스(310)사이에 위치되는 레버 스프링(314)를 포함할 수 있다.12C, the base 310 includes a reclining lever 311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angle of the reclining 300, and a stopper 3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ase 310 such that the base 310 is fixed at a preset angl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topper 312 to pull the base using elasticity to fix the angle of the backrest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12 at a predetermined angle A stopper spring 313, and a lever spring 314 positioned between the reclining lever 311 and the base 310.

또한, 리클라이닝 커버(320)는 좌석판넬(110)과 나사로 결합될 수 있고,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조절 홀(321)를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lining cover 320 may be screwed to the seat panel 110, and the base 31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ed. And, the stop can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hole 321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cli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벨트가이드의 사용방법><Usage of belt guide>

도 13a 내지 도 13c는 벨트가이드의 사용상태도 일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13A to 13C show an embodiment of the use state of the belt guide.

도 13b를 참조하면, 벨트가이드(250)는 브라켓(232), 샤프트(235)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 레버(231)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3B, the belt guide 250 is connected to the headrest lever 231 using a bracket 232 and a shaft 235.

도 13a 및 도 13c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레버(231)의 높이방향으로 이동과 연동된다. 즉, 헤드레스트 레버(231)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벨트가이드(250)도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으로 헤드레스트(230)와 벨트가이드(250)의 바 양단 상부를 지나는 어깨 벨트(27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s. 13A and 13C, the head rest lever 231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In other words, by moving the headrest lever 231 in the height direction, the belt guide 250 is also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when the user moves the headrest 230 and the upper portion of both ends of the bar 250, The height of the shoulder belt 270 can be adjusted.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는 헤드레스트(230) 및 어깨 벨트(27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등받이(200)의 후면에 위치된 벨트가이드(2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 고정부(260)의 요철 중 만입된 부분에서 결합 해제할 수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230 and the shoulder belt 270, the user rotates the belt guide 250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200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disengage the engaging portion at the recessed portion.

또한, 헤드레스트 레버(231) 또는 벨트가이드(25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헤드레스트 레버(231) 및 벨트가이드(250) 중 하나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나머지도 같이 높이방향으로 이동된다.When the headrest lever 231 or the belt guide 250 is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one of the headrest lever 231 and the belt guide 250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

사용자는 헤드레스트 레버(231) 또는 벨트가이드(250) 중 적어도 하나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후, 벨트가이드(250)를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고정부(260)의 요철 중 만입된 부분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The user moves at least one of the headrest lever 231 and the belt guide 250 in the height direction to position the belt guide 250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n rotates the belt guide 250 in the other direction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mid-indented portion.

상기 방법을 통해서, 헤드레스트(230) 및 어깨 벨트(270)를 사용자가 한번의 조작을 통해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method,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230 and the shoulder belt 270 through a single operation.

<< 리클라이닝Recline 사용방법> How to use>

베이스(310)는 양측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베이스(310)내부에 스토퍼(312)가 위치되며, 스토퍼(312)와 리클라이닝 커버(3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스토퍼 스프링(313)이 위치될 수 있다.The stopper 312 and the stopper spring 313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stopper 312 and the reclining cover 320 are installed in the base 310, Lt; / RTI &gt;

또한, 베이스(310)의 중앙 하단에 레버스프링(314)가 위치되고, 레버스프링(314)상단에 리클라이닝 레버(311)의 타단이 위치될 수 있다. 레버스프링(314)은 압축에 대한 탄성 복원력을 갖고 있어, 리클라이닝 레버(311)가 눌려진 경우, 리클라이닝 레버(311)를 밀어 올리게 된다.A lever spring 314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bas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spring 314. The lever spring 314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against compression, so that when the reclining lever 311 is depressed, the reclining lever 311 is pushed up.

리클라이닝 레버(311)는 일단이 리클라이닝 커버(320)에 포함된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커버(320)의 타단이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시소처럼 리클라이닝 커버(320)의 일단이 위치조절 홀(321)에서 결합이 해제된다.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included in the reclining cover 320 and fixed. When pressure is applied by the user to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cover 320, one end of the reclining cover 320 is disengaged from 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like a seesaw.

즉 리클라이닝 레버(311)가 위치조절 홀(321)에서 결합이 해제됨으로 인해, 베이스(3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reclining lever 311 is disengaged from 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the base 310 can be moved longitudinally in a sliding manner.

또한, 리클레이닝 레버(311)는 베이스(310)의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위치조절 홀(321)에 다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lining lever 311 may be retrac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32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top of the base 310 and fixed.

즉,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타단에 인가된 압력이 제거되면, 레버스프링(314)의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통해 리클레이닝 레버(311)를 밀어 올려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is removed, the reclining lever 311 is pushed up by the restoring force against the compression of the lever spring 314 and is drawn into 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 And can be fixed.

위치조절 홀(321)은 리클레이닝 레버(311)가 인입되어 고정시, 고정력을 증가하기 위해 마찰력이 증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 adjustment hole 32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eclining lever 311 is retracted and fixed,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fixation force.

예를 들면,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에 걸쇠가 위치될 수 있고, 걸쇠가 위치조절 홀(321)에 인입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 홀(321)은 걸쇠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tch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the latch may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 adjustment hole 321, and the position adjustment hole 321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 latch .

위치조절 홀(321)은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에 위치된 걸쇠의 형태에 따라 바형, 톱니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 saw shap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atch located at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

또한, 위치조절 홀(321)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클레이닝(310)의 각도조절은 3단계로 가능하도록 위치조절 홀(321)이 구비되어 있지만, 이는 일례일 뿐이며, 그보다 많은 위치조절 홀(321)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321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the position adjusting holes 321 are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reclining 310 in three stage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It is apparent that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adjustment hole 321.

또한, 리클라이닝(300)과 좌석(100)의 결합 및 분리에 관해서, 좌석(10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 및 리클라이닝 커버(320)는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 이동하여 좌석(100)에서 리클라이닝(300)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100 and the reclining cover 320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100 by sliding the base 310 in a slid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reclining 300 and the seat 100, The reclining unit 300 can be separated and removed.

상기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레버(311)의 타단에 압력을 인가하면, 리클레이닝 레버(311)의 일단이 상향이동되어 위치조정 홀(321)에 고정결합이 해제가 되고, 베이스(3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분리될 수 있다. 결합의 경우, 분리의 역순으로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311 is moved upward to release the fixed engagement to the position adjusting hole 321, and the base 310 It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liding manner, and can be separated. It is obvious that in the case of combination, it can be done in reverse order of separation.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00 : 좌석
110 : 판넬부,
120 : 쿠션부,
200 : 등받이,
210 : 등받이 판넬,
220 : 잠금장치,
230 : 헤드레스트,
231 : 헤드레스트 레버,
232 : 브라켓,
233 : 헤드레스트 커버,
234 : 레버 스프링,
235 : 샤프트,
240 : 등받이 이너커버,
250 : 벨트가이드,
260 : 가이드 고정부,
270 : 어깨 벨트,
300 : 리클라이닝,
310 : 베이스,
311 : 리클라이닝 레버,
312 : 스토퍼,
313 : 스토퍼 스프링,
314 : 레버 스프링,
320 : 리클라이닝 커버,
321 : 위치조절 홀.
400: 우측 연결기
401: 위치조절공
402: 우측 슬라이딩 레일
406: 우측 고정볼트
410: 우측 커버
412: 우측 커버 개구부
414: 우측 라벨 부착부
416: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
418: 우측 가이드
420: 우측 커넥터
422: 우측 이너 프레임
424: 제 1 우측 링크축
426: 제 2 우측 링크축
428: 우측 랫치축
430: 우측 아웃 프레임
440: 우측 위치조절 레버
442: 우측 레버 돌기
446: 우측 조작부 커버
448: 우측 조작부 연결기
450: 우측 라벨홈
452: 우측 잠금 라벨
454: 우측 해제레버
458: 우측 리벳
460: 제 2 우측 스프링
466: 우측 링크
470: 제 1 우측 링크홀
472: 제 2 우측 링크홀
474: 제 1 우측 스프링
476: 우측 랫치
500: 좌측 연결기
100: Seat
110: panel part,
120: Cushion part,
200: backrest,
210: back panel,
220: Locking device,
230: Headrest,
231: Headrest lever,
232: Bracket,
233: headrest cover,
234: Lever spring,
235: shaft,
240: back cover inner cover,
250: Belt guide,
260: guiding station,
270: Shoulder belt,
300: reclining,
310: Base,
311: Reclining lever,
312: stopper,
313: stopper spring,
314: Lever spring,
320: reclining cover,
321: Positioning hole.
400: right connector
401: Positioning ball
402: Right sliding rail
406: Right fixing bolt
410: Right cover
412: Right cover opening
414: Right label mounting portion
416: Label for right positioning
418: Right guide
420: Right connector
422: right inner frame
424: First right link shaft
426: second right link shaft
428: Right ratchet shaft
430: right out frame
440: Right position control lever
442: Right lever projection
446: Right control panel cover
448: Right control connector
450: Right label home
452: Right lock label
454: Right release lever
458: Right rivet
460: second right spring
466: Right link
470: First right link hole
472: second right link hole
474: First right spring
476: Right Latch
500: Left connector

Claims (11)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 우측에 체결된 우측 연결기(400); 및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 하면 좌측에 체결되는 좌측 연결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우측 연결기(400)는,
좌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좌석(100)의 하면과 체결되기 위한 우측 고정볼트가 설치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우측면의 일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우측 슬라이딩 레일;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우측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우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우측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며, 우측 라벨 부착부가 우측면에 돌출 형성된 우측 커버;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우측면의 전방에 우측 조작부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우측 장착부가 설치된 우측 커넥터; 및
상기 우측 라벨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우측 커넥터가 슬라이딩된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의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된 우측 위치조절용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기(500)는,
우측면에는 개구된 복수의 위치조절공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좌석(100)의 하면과 체결되기 위한 좌측 고정볼트가 설치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좌측면의 일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좌측 슬라이딩 레일;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좌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좌측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며, 좌측 라벨 부착부가 좌측면에 돌출 형성된 좌측 커버;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좌측면의 전방에 좌측 조작부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좌측 장착부가 설치된 좌측 커넥터; 및
상기 좌측 라벨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좌측 커넥터가 슬라이딩된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의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표시가 각인된 좌측 위치조절용 라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커넥터의 우측면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우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장착부의 잠금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조작 가능한 우측 해제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커넥터의 좌측면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좌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상기 좌측 장착부의 잠금 여부를 전환하기 위하여 전후방으로 조작 가능한 좌측 해제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카시트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커버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커버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에 설치된 앵커(5)가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우측 장착부와 상기 좌측 장착부가의 인입된 부분에 장착된 상기 앵커(5)가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에 체결되며, 상기 앵커(5)와의 체결에 따라 상기 카시트의 좌석(100)이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In a car seat having an isopix fixing device,
A right connector 400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ose upp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And
And a left connector 500,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ose upper surface is fastened to the left side of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The right connector (400)
And a right fixing bolt for fastening the bottom of the seat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100. The inside of the seat 1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 right-side sliding rail hav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pened;
A right cover coupled to a right side of the right sliding rail and having a right cover opening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pen portion of a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side sliding rail,
A right connector provided with a right side mounting portion which is slid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sliding rail, a right side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right side surface, And
A right positioning label attached to the right label attach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mark engrav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right sliding rail in order to recognize a position where the right connector is slid; Further included,
The left connector 500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ar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100. A left fixing bolt for fastening the seat 1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1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left sliding rail having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opened;
A left cover coupled to a left side of the left sliding rail and having a left cover opening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pen portion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left sliding rail,
A left connector slidable along the inside of the left sliding rail and provided with a left operating part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side and a left side mounting part formed on the rear side; And
A left position adjusting label attached to the left label attach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mark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of the left sliding rail for recognizing a position where the left connector is slid; Further,
The right-
A right operation unit cover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a right side surface of the right connector; And
Further comprising a right release lever coupled to the right operating section cover and operable front and rear to adjust a locked state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The left-
A left operating section cover fixedly installed in front of a left side surface of the left connector; And
Further comprising a left release lever coupled to the left operating section cover and oper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switch whether the left mounting section is locked or not,
Where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car seat,
Wherein the right opera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ight cover opening portion and the left opera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ft cover opening portion,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backward, the right attachment portion and the left attachment portion ar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and an anchor (5) installed in the vehicle is inserted into the right attachment portion and the left attachment portion And can be mounted on the portion,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forward, the right attachment portion and the left attachment portion ar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and the anchor 5 Is fastened to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the seat (100) of the car seat is fixed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fastening with the anchor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커넥터는,
상기 우측 장착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우측 랫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우측 랫치;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단은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우측 해제레버와 연결된 우측 링크; 및
전단은 상기 우측 링크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우측 랫치와 연결되는 제 1 우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커넥터는,
상기 좌측 장착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좌측 랫치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좌측 랫치;
상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단은 좌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좌측 해제레버와 연결된 좌측 링크; 및
전단은 상기 좌측 링크와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좌측 랫치와 연결되는 제 1 좌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ght connector includes:
A right-side latch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ight-side mounting portion and rotatable about a right-side latch axis;
A right link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the front end being bent to the right and connected with the right release lever; And
And a first right-side spring having a front end connected to the right link and a rear end connected to the right-side latch,
The left-
A left latch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rotatable about a left latch axis;
A left link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nd whose front end is bent to the left and connected to the left release lever; And
And a first left spring connected to the left link, the front end being connected to the left link, and the rear end being connected to the left latch.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우측 링크 및 상기 좌측 링크가 각각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우측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우측 랫치에 작용하여 상기 우측 랫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좌측 링크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좌측 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좌측 랫치에 작용하여 상기 좌측 랫치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 및 좌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 및 상기 좌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우측 장착부 및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우측 링크 및 상기 좌측 링크가 각각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우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 및 상기 좌측 장착부의 인입된 부분에 상기 앵커(5)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우측 랫치 및 상기 좌측 랫치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우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우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상기 우측 랫치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상기 우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된 좌측 랫치에 의하여 상기 좌측 장착부 후방의 인입된 부분이 상기 좌측 랫치의 일부분에 의하여 막히게 됨으로써 상기 좌측 장착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ight link and the left link are respectively moved rearward in accordance with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The elasticity of the first right spring acts on the right latch so that the right rattl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ight link to the rear, The left lat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elasticity acting on the left latch, and the drawn-in portion behind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behi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re opened by the right latch and the left latch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left mounting portion ar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operated to move forwar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ight link and the left link are respectively moved forward in accordance with forward movement of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The right latch and the left latch ar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anchor (5) is attached to the drawn-in portion of the right mounting portion and the drawn-in portion of the left mounting portion, and the right latch The right side mounting portion is blocked by the portion of the right side latch so that the right side mounting portion is switched to the locking state and the drawn portion behind the left side mounting portion by the left side latch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left side The left mounting part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by being blocked by the part A car seat provided with a re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so-fix.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해제레버에 부착되고, 기 설정된 제 1 색상 및 제 2 색상으로 구성된 우측 잠금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는 개구된 우측 라벨홈이 형성되어 상기 우측 잠금 라벨의 일부가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해제레버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색상 및 상기 제 2 색상으로 구성된 좌측 잠금 라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는 개구된 좌측 라벨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 잠금 라벨의 일부가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우측 라벨홈 및 상기 좌측 라벨홈에 상기 제 1 색상이 표시되고, 상기 우측 해제레버 및 상기 좌측 해제레버가 잠금 해제상태인 경우, 상기 우측 라벨홈 및 상기 좌측 라벨홈에 상기 제 2 색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ight-
And a right lock label attached to the right release lever, the right lock label comprising a predetermined first color and a second color,
A right label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operation unit cover so that a part of the right lock label is displayed outside,
The left-
Further comprising a left lock label attached to the left release lever and configured by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A left label groove is formed in the left operation unit cover to display a part of the left lock label,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in the locked state, the first color is displayed in the right label groove and the left label groove, and when the right release lever and the left release lever are in the unlocked state, And the second color is displayed on the right label groove and the left label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조작부는,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우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우측 커넥터를 관통하는 우측 레버 돌기가 형성된 우측 위치조절 레버; 및
상기 우측 커넥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 2 우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우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을 막고,
상기 우측 위치조절 레버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우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되어 상기 우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ght-
A right side position adjusting lever coupled to the right side operation cover and being oper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having a right side lever protrusion formed through the right side cover and the right connector; And
And a second right spring located inside the right connector and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Wherein a portion of an end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is inserted into one of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to block the sliding of the right connector when the right position adjusting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left direction,
When the right position adjusting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 part of the end of the right lever projection is insert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right sliding rail to enable sliding of the right connector Wherein the isopix fix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조작부는,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좌측 조작부 커버 및 상기 좌측 커넥터를 관통하는 좌측 레버 돌기가 형성된 좌측 위치조절 레버; 및
상기 좌측 커넥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 2 좌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위치조절 레버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을 막고,
상기 좌측 위치조절 레버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되는 경우, 상기 좌측 레버 돌기의 끝단 일부가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절공 중 하나로부터 삽입해제되어 상기 좌측 커넥터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 left position adjusting lever coupled to the left operating section cover and oper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ft operating lever cover being formed with left lever protrusions penetrating the left operating section cover and the left connector; And
And a second left spring located inside the left connector and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ft lever projection,
Wherein a portion of an end of the left lever projection is inserted into one of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left sliding rail to prevent sliding of the left connector when the left position adjusting lever is operated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When the left position adjusting lever is operated to move leftward, a part of the end of the left lever projection is released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left sliding rail, so that the left connector can be slid Wherein the isopix fix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하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카시트의 등받이 하단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및 상기 등받이를 결합하고, 사용자의 조정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고정되는 리클라이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좌석은,
형태유지를 위한 좌석판넬; 및
상기 좌석판넬의 상부에 쿠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헤드레스트;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몸이 상기 카시트에 고정하는 어깨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클라이닝은,
상기 좌석판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석판넬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리클라이닝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석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좌석과 분리되는 것을 통해 상기 등받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lining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backrest of the car seat to engage the seat and the backrest and to b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a user's adjustment,
The seat
Seat panel for maintaining shape; And
And a cush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anel,
The backrest,
A headrest on which the head of the user is seated; And
And a shoulder belt to which the user's body is secured to the car seat for the safety of the user,
In the reclining,
A base slidably coupled to the seat panel; And
And a reclining cover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anel so that the base is mov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seat
Wherein the base is separated from the seat by being separated from the seat. &Lt; RTI ID = 0.0 &gt; 15. &lt; / RTI &g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에 위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며,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바를 구비하여 상기 어깨 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벨트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위치되고, 하단에 상기 벨트가이드가 결합되며, 상기 벨트가이드의 이동에 연동되어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헤드레스트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backrest,
Further comprising a belt guide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and being moved in a height direction and having a bar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to adjust a height of the shoulder belt,
In the headrest,
And a headrest lever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drest and is coupled to the belt guide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moved in a height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belt guide. Car sea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벨트가이드의 바 양단이 결합고정되도록 상기 등받이 후면에 위치된 요철형태의 가이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가이드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고정부에의 결합여부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ackrest,
Further comprising: a guide fixing portion in a concavo-convex form positioned on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so that both ends of the bar of the belt guide are engaged and fixed,
Wherein the belt guide is switched between engagement with the guide fixing portion according to rota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레버는,
하단과 상기 헤드레스트 하단과 연결되고, 탄성을 이용해 상기 헤드레스트 레버를 끌어당기는 레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drest lever
And a lever spr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for pulling the headrest lever using elasticit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커버는,
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의 위치 조절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절 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하단에 고정되며, 압축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레버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인입되어 걸림상태가 되고, 타단이 상기 레버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된 리클라이닝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타단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걸림 해제상태가 되고,
상기 베이스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리클라이닝 레버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위치조절 홀 중 하나에 입인되어 상기 베이스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고정을 통해 상기 리클라이닝이 기 설정된 각도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lining cover includes: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cli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top,
The base includes:
A lever spring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against compression; And
And a reclining lev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holes to be engage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spring,
As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lining lever,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is in the unlocked state,
The base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sliding manner,
One end of the reclining leve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to fix the base,
And the reclining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fixing of the base.
KR1020140173725A 2014-12-05 2014-12-05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KR101586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5A KR101586960B1 (en) 2014-12-05 2014-12-05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CN201510888841.5A CN105667362B (en) 2014-12-05 2015-12-07 Automotive seat with fixing device of safety chair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725A KR101586960B1 (en) 2014-12-05 2014-12-05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60B1 true KR101586960B1 (en) 2016-01-20

Family

ID=5530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725A KR101586960B1 (en) 2014-12-05 2014-12-05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6960B1 (en)
CN (1) CN105667362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67A (en)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쁘레베베 Fixing device for ISOFIX car seat
CN108082013A (en) * 2017-12-21 2018-05-29 浙江雅虎汽车部件有限公司 A kind of child safety seat ISOFIX second lock mechanisms
KR20190080114A (en) 2017-12-28 2019-07-08 이지현 Easy Handling ISOFIX Fixing Device of a Car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778B (en) * 2016-12-26 2019-09-2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Vehic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923A (en) 1999-09-28 2001-05-15 마츠우라 야스오 Child car seat
KR20020028852A (en) 2000-10-11 2002-04-17 마츠우라 야스오 Child car seat
KR100338587B1 (en) * 1999-02-08 2002-05-27 카사이 켄조우 Juvenile safety car seat, protector, protector for child-care instrument, child-care instrument and bed for neonate
KR20080050857A (en) 2006-12-04 2008-06-10 전형원 Kart for baby and car seat
CN103241148A (en) * 2012-02-06 2013-08-14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Children safe chair fixing mechanism
JP3186998U (en) * 2013-08-23 2013-10-31 コンビ株式会社 child seat
KR20140008117A (en) 2012-07-10 2014-01-21 (유)삼송 Car-seat for infant having combination confirmation means
KR101421876B1 (en) * 2013-01-10 2014-07-22 이지현 Front and Rear Two Way Type Clamp Device for ISOFIX Car Sea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1722B2 (en) * 2000-11-24 2011-12-21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5586359B2 (en) * 2010-07-20 2014-09-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Child seat belt fixing device and car child seat having the same
JP6015492B2 (en) * 2013-02-27 2016-10-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Sheet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34908B1 (en) * 2013-02-27 2015-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torage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JP6139955B2 (en) * 2013-04-17 2017-05-31 株式会社 日本育児 Infant restraint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587B1 (en) * 1999-02-08 2002-05-27 카사이 켄조우 Juvenile safety car seat, protector, protector for child-care instrument, child-care instrument and bed for neonate
KR20010039923A (en) 1999-09-28 2001-05-15 마츠우라 야스오 Child car seat
KR20020028852A (en) 2000-10-11 2002-04-17 마츠우라 야스오 Child car seat
KR20080050857A (en) 2006-12-04 2008-06-10 전형원 Kart for baby and car seat
CN103241148A (en) * 2012-02-06 2013-08-14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Children safe chair fixing mechanism
KR20140008117A (en) 2012-07-10 2014-01-21 (유)삼송 Car-seat for infant having combination confirmation means
KR101421876B1 (en) * 2013-01-10 2014-07-22 이지현 Front and Rear Two Way Type Clamp Device for ISOFIX Car Seat
JP3186998U (en) * 2013-08-23 2013-10-31 コンビ株式会社 child 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67A (en)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쁘레베베 Fixing device for ISOFIX car seat
CN108082013A (en) * 2017-12-21 2018-05-29 浙江雅虎汽车部件有限公司 A kind of child safety seat ISOFIX second lock mechanisms
KR20190080114A (en) 2017-12-28 2019-07-08 이지현 Easy Handling ISOFIX Fixing Device of a Ca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67362B (en) 2018-07-24
CN105667362A (en)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9196B (en) Child safety seat
KR101586960B1 (en) Car seat having isofix fixing equipment
RU2594272C2 (en) Child chair (vers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55503A (en) Vehicular seat
TWI503242B (en) Child seat
KR101586958B1 (en) Separable reclining car seat
US6260903B1 (en) Portable automobile partition
KR101421876B1 (en) Front and Rear Two Way Type Clamp Device for ISOFIX Car Seat
JP2024029085A (en) Child restraint device comprising a seat element and a base attachable to a car seat
CN112937389A (en) Child safety seat
TW201716265A (en) Child safety seat
US9738182B2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CN108275035A (en) Modularization head restraining structure and moulding support structure
KR20170122699A (en) Position-adjustable seat frame for car
EP3444143B1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KR10167164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CN110893802B (en) Child restraint system and child restraint carrier thereof
CN108275036A (en) With the improved high-performance seat assembly into system and modularization head restraint assembly
US20240101005A1 (en) Child safety seat
KR20180029767A (en) Fixing device for ISOFIX car seat
WO2018126712A1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leg structure
US20140008954A1 (en) Detachable seating device
KR101642604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slope of baby car seat
KR101571246B1 (en) Isofix base for fixing car seat with operating lever
KR101570000B1 (en) Isofix base for fixing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