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630B1 -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630B1
KR101586630B1 KR1020140041914A KR20140041914A KR101586630B1 KR 101586630 B1 KR101586630 B1 KR 101586630B1 KR 1020140041914 A KR1020140041914 A KR 1020140041914A KR 20140041914 A KR20140041914 A KR 20140041914A KR 101586630 B1 KR101586630 B1 KR 10158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tact lens
visual
circulati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6680A (en
Inventor
박계능
Original Assignee
박계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능 filed Critical 박계능
Priority to KR102014004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630B1/en
Publication of KR2015011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6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402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non-metallic material, e.g. iso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076Production of contact lenses enabling passage of fluids, e.g. oxygen, tears, between the area under the lens and the lens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04Lenses comprising decenter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홈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순환홈과,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순환홈과,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유입/유출홈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와 이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contact lens, comprising a visual part forming a central part, A first circula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eye part; and a second circula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appearance part and the frame, A second circula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inflow / outflow groove formed in the contact len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contact lens.

Description

복수의 홈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형성 방법{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물이 원활하게 순환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각 종 홈이 형성된 콘택트렌즈 및 이러한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having grooves formed so that tears can be smoothly circulated and discharged, and a method of forming such a contact lens.

콘택트렌즈는 눈의 전면, 주로 각막에 장착하여 시력을 교정하고, 눈의 치료에 도움을 주며 미용 등의 목적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착용된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에는 얇은 눈물층이 있는데, 이 눈물층은 콘택트렌즈와 각막을 밀착되게 하며 각막에 필요한 산소 등을 공급해 주며 윤활작용을 도와주고 눈을 깜박일 때마다 콘택트렌즈가 약간씩 움직이면서 눈물층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재료의 재질에 따라 하드 콘택트렌즈(또는 하드 렌즈)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또는 소프트 렌즈), 가스 투과성 하드 콘택트렌즈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착용 기간에 따라 매일착용렌즈와 연속착용렌즈, 일회용렌즈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굴절이상 교정 렌즈, 세포층 치료용 렌즈, 미용 칼라 소프트 렌즈로 나누어진다. Contact lenses are mou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eye, mainly on the cornea, to correct vision, help in the treatment of the eye, and also for the purpose of beauty. There is a thin tear layer between the worn contact lens and the cornea, which makes the contact lens close to the cornea, supplies the oxygen needed for the cornea, and helps the lubrication. When the eye is flickering, the contact lens moves slightly, Exchange is made. Such contact lenses may be classified into hard contact lenses (or hard lenses), soft contact lenses (or soft lenses), and gas permeable hard contact lenses, depending on the material. In addition, the contact lens can be classified into a daily wearing lens, a continuous wearing lens and a disposable lens depending on the wearing period. In addition, contact lenses are classified into refractive error correction lenses, cell layer treatment lenses, and cosmetic color soft lense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착용한 콘택트렌즈의 종류에 관계없이 눈물의 순환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한 이유로는 사람의 눈은 항상 일정한 수분이 유지되지 않으면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눈은 드라이 아이현상이 생기거나 각막의 스태인 반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기존의 콘택트렌즈의 눈물 순환을 위해서 주로 산소투과율(DK)에 의존하는 재료 개발에 주력해 왔다. 최근에는 콘택트렌즈에 홀(hole)을 형성하여 눈물을 순환하는 방식에 새로운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콘택트렌즈에 홀(hole)을 형성할 경우 그 홀에 각막 세포가 자라 치명적인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tact lens worn, circulation of the tears is very important. For that reason, if the human eye does not maintain constant water at all times, the eyes of the wearer of the contact lens will suffer dry eye phenomenon or reaction that is the staining of the cornea. For tear circulation of conventional contact lenses, we have been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depend mainly on oxygen permeability (DK). Recently, a new technology has been emerging as a method of circulating a tear by forming a hole in a contact lens. However, if artificial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contact lens, the corneal cells may grow in the holes and cause fatal eye disease.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1707호 2012년 04월 04일 공개 (명칭: 눈물순환 및 산소순환 기능을 갖는 렌즈)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31707 April 04, 2012 (name: lens having tear circulation and oxygen circulation function)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질환을 유발함이 없이 눈물이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으로 원활하게 순환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홈을 가지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 allowing tears to be circulated smoothly to the outer periphery of a contact lens without causing eye diseases,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는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순환홈과,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순환홈과,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유입/유출홈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lens including a visual portion forming a central portion, a visual visual portion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portion, And a second circula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visual sight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 contact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act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le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 RTI >

상기 유입/유출홈의 폭은 제2 순환홈과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 좁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며, 외주연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width of the inlet / outlet groove is narrowest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widest at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 유입/유출홈의 외주연 부분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미용시각부에는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isual display unit includes a pattern including at least one connection line formed to connec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connection line.

상기 제1 순환홈, 상기 제2 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inflow / outflow groov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 및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몰드 및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몰드의 오목한 내부면에 단량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몰드에 상기 내부 몰드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 몰드로부터 외부 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lens comprising a visual portion forming a central portion, a visual visual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por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visual portion,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n inner mold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an outer mold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njecting a monomer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Assembling the inner mold into a mold to polymerize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and separating the outer mold from the inner mold to form a contact lens shape.

여기서, 상기 내부 몰드는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1 순환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순환 돌기와,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2 순환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순환 돌기와,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유입/유출홈을 형성하기 위한 유입/유출 돌기가 형성된다. Here, the inner mold may include a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sight part, and a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for contacting the contact lens, A connec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connection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inflow / outflow protrusion for forming an inflow / outflow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s form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lens is connected to the contact lens.

상기 제1 순환홈, 상기 제2 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 돌기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순환 돌기, 상기 제2 순환 돌기와, 상기 연결 돌기, 상기 유입/유출 돌기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the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the inflow / outflow opening, and the second inflow / outflow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a plurality of small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flow proj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 및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몰드 및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몰드의 오목한 내부면에 단량체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몰드에 상기 내부 몰드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부 몰드로부터 외부 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트렌즈 형상의 내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제1 순환홈을 형성하고,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의 경계를 따라 제2 순환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유입/유출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lens comprising a visual portion forming a central portion, a visual visual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por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visual portion,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n inner mold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an outer mold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njecting a monomer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comprising the steps of: polymerizing a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by assembling the inner mold to a mold; separating the outer mold from the inner mold to form a contact lens shape;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visual part, Wherein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re formed so as to connect with each other,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lens form a connection groove, And forming an inlet / outlet groove to be connected.

또한, 상기 제1 순환홈, 상기 제2 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 돌기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순환홈, 상기 제2 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에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second connection groove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small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performing a plasma treatment on the inlet / outlet groov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렌즈가 다양한 홈들을 통해 콘택트렌즈 내에서 눈물의 순환이 원활하고, 그 눈물의 배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홈들은 복수의 소형돌기가 형성되어 거친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홈들을 통해 순환되는 눈물의 표면 장력이 줄어들어 눈물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눈물이 콘택트렌즈 내에서 머무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rculation of the tears in the contact lens is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various grooves of the contact lens, and the tears are smoothly discharged. In particular, the groo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rough surface with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med. Therefore, the surface tension of the tear circulating through the grooves is reduced, so that the tear circul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eye disease that tears may occur in the contact len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택트렌즈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출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연결홈들이 형성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홈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portion of the contact lens of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n inlet / outlet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positions where connection grooves of a contact len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a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E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tact lens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콘택트렌즈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contact lens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는 각막에 착용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그 형상이 각막의 형태에 따라 곡면을 이룬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는 평면도 상 원형이며, 그 단면은 공동의 반구형이다. 1 and 2,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by being worn on a cornea, and the shape of the contact lens is curv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rnea. Further, as shown, the contact lens is circular in plan view and its cross section is hemispherical in the cav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는 시각부(100), 미용시각부(200) 및 테두리부(300)로 구분된다. 시각부(100)는 평면도 상 원형으로 콘택트렌즈의 중심 부분을 이룬다. 미용시각부(200)는 시각부(100)로부터 연장되어 시각부(100)의 외곽에 평면도상 고리 형상을 이루는 영역이다. 또한, 테두리부(300)는 미용시각부(200)의 외곽에 평면도상 고리 형상을 이루는 영역이다.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visual part 100, a visual visual part 200, and a frame part 300. The visual portion 100 is circular in plan view and forms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ct lens. The visual visual field 200 is an area extending from the visual field 100 and forming a ring-shaped top view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field 100. In addition, the rim 300 is a ring-shaped reg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sual field part 200 in a plan vie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에서 눈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각 종 홈들(410, 420, 500, 600)이 형성된다. 시각부(100)와 미용시각부(200)의 경계를 따라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고리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이를 제1 순환홈(410)이라고 칭한다. 그리고 미용시각부(200)와 테두리부(300)의 경계를 따라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고리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이를 제2 순환홈(420)이라고 칭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grooves 410, 420, 500 and 60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circulation of the tears smoothly occurs between the contact lens and the cornea. A ring-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100 and the visual field part 200, and this is referred to as a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 ring-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field part 200 and the rim 300, and this is referred to as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또한,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미용시각부(200)를 가로질러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복수의 연결홈(5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순환홈(420)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테두리부(300)를 가로질러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복수의 유입/유출홈(600)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50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200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inflow / outflow grooves 60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cross the rim 300 so that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lens are connected.

눈물이 눈물샘을 통해 유출된 후, 눈물은 유입/유출홈(600)을 통해 콘택트렌즈로 유입된다. 유입된 눈물은 유입/유출홈(600)을 따라 제2 순환홈(420)으로 흘러갈 수 있다. 또한, 눈물은 제2 순환홈(420)을 따라 흐르다가 연결홈(500)을 만나면 연결홈(500)을 통해 제1 순환홈(410)으로 흘러갈 수 있다. 그리고 제2 순환홈(420)을 따라 흐르는 눈물의 일부는 유입/유출홈(600)을 만나면 유입/유출홈(600)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연결홈(50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순환홈(410)으로 흘러들어간 눈물은 제1 순환홈(410)을 순환하다가 다른 연결홈(500)을 통해 제2 순환홈(420)으로 흘러갈 수 있다. 그리고 그 눈물은 제2 순환홈(420)을 순환하다가 유입/유출홈(600)을 만나면 유입/유출홈(60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눈물은 전술한 각 종 홈들(410, 420, 500, 600)을 통해 각막과 콘택트렌즈 사이에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After the tears flow out through the lacrimal gland, the tears flow into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The inflow tears can flow in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long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The tears flow along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nd flow into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rough the connection groove 500 when the connection groove 500 is encountered. And a part of the tears flowing along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may flow out of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when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is encountered. The tears flowing into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500 circulate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nd then circulate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 ≪ / RTI > The tears circulate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when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is encounter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rs can be smoothly circulated between the cornea and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above-described groove portions 410, 420, 500, and 6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출홈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n inlet / outlet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컨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유입/유출홈(600)이 도시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눈물은 유입/유출홈(600)을 통해 콘택트렌즈로 유입되거나, 혹은 유출된다. 3 shows an inflow / outflow groove 6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s described above, the tears flow into or out of the contact lens through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유입/유출홈(600)은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으로부터 제2 순환홈(420)까지 연결되며, 유입/유출홈(600)의 폭은 외주연에서 가장 넓고 제2 순환홈(420)과 연결된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제2 순환홈(420)과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 좁게 형성된다. 다른 말로, 유입/유출홈(600)은 콘택트렌즈의 제2 순환홈(420)으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며, 유입/유출홈(600)은 그 폭이 제2 순환홈(420)과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 좁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며, 외주연에서 가장 넓게 형성된다. 눈물이 콘택트렌즈로 유입될 때, 표면 장력에 의해 눈물의 유입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외주연 부분의 유입/유출홈(600)의 폭을 가장 넓게 하여 눈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역으로, 눈물이 콘택트렌즈로 유출될 때, 표면 장력에 의해 눈물의 유출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외주연 부분의 유입/유출홈(600)의 폭을 넓게 하여 눈물의 유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연 부분의 유입/유출홈(600)의 폭을 가장 넓게 하여 눈물의 유입 및 유출을 원활하게 되며, 이로 인해, 눈물이 각막과 콘택트렌즈 사이에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is connect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ct lens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is widest at the outer periphery, And is narrowest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In other words,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extends from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of the contact lens to the outer periphery, and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has a width in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It is the narrowest, gradually becoming wider as it goes to the outer margin, and widest at the outer margin. When the tears are introduced into the contact lens, the inflow of tears due to the surface tension may be hindered. Therefore,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s 600 at the outer periphery is maximized to smooth the inflow of tears. Conversely, when the tears flow out to the contact lens, the leakage of the tears due to the surface tension may be hindered, so that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can be made wider, hav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maximized, so that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tears can be smoothly performed. As a result, To be circulat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연결홈들이 형성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positions where connection grooves of a contact lens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가 컬러 렌즈인 경우 미용시각부(200)에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늬는 안료를 통해 염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용시각부(200)의 무늬는 미용시각부(200)를 가로질러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을 포함한다. 또한,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되는 연결홈(500)은 그 연결선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된 무늬는 연결홈(500)으로 인해 그 무늬가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미용시각부(200)에 무늬와 연결홈(500)이 교차되도록 형성된다면 그 무늬는 컨택트렌즈의 두께의 차이로 인해 원래의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왜곡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되는 무늬는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선을 따라 연결홈(500)이 형성된다. 도 5에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무늬를 예시하였다. 다양한 무늬들은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선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결선을 따라 연결홈(5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홈(500)의 형성으로 인한 무늬의 왜곡이 최소화되어 컬러렌즈 고유의 심미적인 기능을 헤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tact lens is a color lens, a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visual field unit 200. Such patterns can be dyed through pig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of the cosmetic visual field 200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through which the first circulating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groove 420 are connected, . In addition, the connection groove 500 formed in the visual display unit 200 is formed along the connection line. Accordingly, the pattern formed on the visual field part 200 may not be distorted due to the connection groove 500. That is, if the pattern is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connection groove 500 in the visual field part 200, the pattern will be distorted in a pattern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attern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f the contact le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formed in the visual field par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through which the first circulating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groove 420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groove 500 is formed. FIG. 5 illustrates various patterns that can be formed in the visual field unit 200. FIG. The various patterns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through which the first circulating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groove 420 are connected, and the connecting groove 500 may be formed along the connecting line. Therefore, the distortion of the patter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onnection groove 500 is minimized, so that the aesthetic function unique to the color lens can be avoid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a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것은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 중 어느 하나의 홈의 단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 돌기(9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 돌기(900)는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눈물이 눈물의 표면 장력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눈물이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을 따라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소형 돌기(900)는 볼록하고, 둥근 모양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소형 돌기(9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소형 돌기(900)가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형 돌기(900)는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소형 돌기(900)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할 경우,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의 복수의 소형 돌기(9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6 may be a cross-section of one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the connection groove 500, and the inlet / outlet groove 600.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small projections 90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The small protrusion 900 roughens the surface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the connection groove 500 and the inlet / outlet groove 600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tears have. This allows the tears to smoothly flow along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the connection groove 500, and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Here, although the small projection 900 is convex and shown as being rounded, the shape of the small projection 9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lurality of small projections 900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Although the small protrusions 90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the small protrusions 900 are not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grooves 410,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900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may be formed when plasma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nnection groove 500, the inlet / outlet groove 600,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된 홈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410, 420, 500, 6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7에 대표적으로 제2 순환홈(420)이 도시되었다. In order to describe the shape of the grooves 410, 420, 500,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is typically shown in FIG.

제2 순환홈(420)의 곡면의 모선은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구면 좌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1
로 정의된다. The busbars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1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2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3
은 m차 다항식,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4
는 구면 좌표에서 원점에서 구면까지의 거리,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5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6
는 구면 좌표에서의 각도) (here,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3
Is an m-order polynomial,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4
Is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to the sphere in spherical coordinates,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5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6
Is the angle in spherical coordinates)

제2 순환홈(420)과 제2 순환홈(420)이 형성되지 않은 콘택트렌즈 부분이 만나는 경계 부분(710)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그 곡면의 모선은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구면 좌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7
로 정의된다. The boundary portion 710 wher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nd the contact lens portion wher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re not formed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busline of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as spherical coordinates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7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8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9
은 m차 다항식,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0
는 구면 좌표에서 원점에서 구면까지의 거리,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1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2
는 구면 좌표에서의 각도) (here,
Figure 112014033610653-pat00009
Is an m-order polynomial,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0
Is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to the sphere in spherical coordinates,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1
,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2
Is the angle in spherical coordinates)

여기서, 구면 좌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3
및 구면 좌표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4
각각의 초점 거리 간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Here,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3
And spherical coordinates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focal lengths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5
Figure 112014033610653-pat00015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2 순환홈(420)을 형성하였을 경우, 제2 순환홈(420)이 형성되지 않은 콘택트렌즈 부분이 만나는 경계 부분(710)이 각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제2 순환홈(420)에서 순환하는 눈물이 그 제2 순환홈(420)을 따라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hape, the boundary portion 710 where the contact lens portion wher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is not formed does not damage the cornea, The tear circulating in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can be smoothly circulated along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S. 8A to 8E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내부 몰드(710) 및 외부 몰드(720)를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710)는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내부면을 가진다. 외부 몰드(720)는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내부면을 가진다. 강조하면, 내부 몰드(710)는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 몰드(720)는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형상은 각막의 형상에 맞춰 곡면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9, an inner mold 710 and an outer mold 720 are provided in step S110, as shown in FIG. 8A. As shown, the inner mold 710 is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its cross-section has a generally convex inner surface. The outer mold 720 is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has a generally concave inner surface in cross section. The inner mold 710 is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the outer mold 720 is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Therefore, the overall shape has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rnea.

특히, 내부 몰드(710)의 외면에는 코택트렌즈의 시각부(100)와 미용시각부(200)의 경계를 따라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1 순환홈(41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순환 돌기(미도시)와, 미용시각부(200) 및 테두리부(300)의 경계를 따라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2 순환홈(420)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순환 돌기(미도시)와,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연결홈(500)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돌기(미도시)와, 제2 순환홈(420)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유입/유출홈(600)을 형성하기 위한 유입/유출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특히, 내부 몰드(710)는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 돌기가 형성되도록 제1 순환 돌기와, 제2 순환 돌기와, 연결 돌기와, 유입/유출 돌기의 표면에 복수의 소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소형홈 각각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소형홈은 그 단면이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모양 및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Particular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old 710, a first circulation projection 410 for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rder between the visual part 100 of the co- A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not shown) for forming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rder between the eye visual part 200 and the rim 300, A connection protrusion (not shown) for forming a connection groove 5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circulation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inflow / outflow projection (not shown) for forming an inflow / outflow groove 6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as to connect the periphery. Particularly, the inner mold 710 has a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 connecting groove 500, and a plurality of small projectio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let / A plurality of small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rojections, the second circulation projections, the connecting projections, and the inflow / outflow projections. Each of the plurality of small grooves may be formed concave. Further, the plurality of small grooves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shape and size may not be the same.

S120 단계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드(720)의 오목한 내부면에 콘택트렌즈의 재료인 단량체(monomer, 800a)를 주입한다. In step S120, a monomer 800a as a material of the contact lens is injected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720, as shown in FIG. 8B.

S130 단계에서,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량체가 주입된 외부 몰드(720)에 내부 몰드(710)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polymerization)시킨다. 8C and 8D, the inner mold 710 is assembled to the outer mold 720 into which the monomer is injected, thereby polymerizing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S140 단계에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720)로부터 외부 몰드(710)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800)를 완성한다. In step S140, the outer mold 71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mold 720 to complete the contact lens 800, as shown in FIG. 8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콘택트렌즈를 컬러 렌즈로 형성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미용시각부(200)에 안료를 통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홈(500)은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이 연결되도록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되는 무늬 중 연결선은 연결홈(500)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미용시각부(200)에 형성되는 무늬 중 복수의 연결선은 제1 순환홈(410) 및 제2 순환홈(420)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연결홈(500)은 연결선의 결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컬러 렌즈를 형성할 경우, 결정된 무늬에 따라 내부 몰드(710)의 연결 돌기 또한 연결선의 결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when a contact lens is formed of a color lens, a process of selectively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through the pigment on the visual field part 200 may be further performe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50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re connecte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connection lines among the patterns formed in the visual field part 200 are formed along the connection groove 500. In contrast, a plurality of connecting lines among the patterns formed on the visual field unit 200 are formed across the first circulating groove 410 and the second circulating groove 420, and the connecting groove 500 is formed along the concave of the connecting line . Accordingly, when the color lens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inner mold 710 is also formed along the connection lin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atter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내부 몰드(710) 및 외부 몰드(720)를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710)는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내부면을 가진다. 외부 몰드(720)는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내부면을 가진다. 도 9의 제1 실시예에서는 내부 몰드(710)의 표면에 제1 순환홈(41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순환 돌기와, 제2 순환홈(420)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순환 돌기와, 연결홈(500)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돌기와, 유입/유출홈(600)을 형성하기 위한 유입/유출 돌기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도 10을 참조로 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몰드(710)에는 이러한 각 종 돌기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10, an inner mold 710 and an outer mold 720 are provided in step S210, as shown in FIG. 8A. As shown, the inner mold 710 is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has a generally convex inner surface in cross section. The outer mold 720 is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has an inner surface whose cross section is entirely concave. 9, a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on the surface of the inner mold 710, a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Outflow groove for forming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and the connection projection for forming the inflow / outflow groove 500 are formed. Howe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se individual projections are not formed in the inner mold 710. Fig.

S220 단계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드(720)의 오목한 내부면에 콘택트렌즈의 재료인 단량체(monomer, 800a)를 주입한다. In step S220, a monomer 800a as a material of the contact lens is injected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720, as shown in FIG. 8B.

S230 단계에서,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량체가 주입된 외부 몰드(720)에 내부 몰드(710)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polymerization)시킨다. In step S230, as shown in FIGS. 8C and 8D, the inner mold 710 is assembled to the outer mold 720 into which the monomer is injected, thereby polymerizing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S240 단계에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720)로부터 외부 몰드(710)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8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완성한다. In step S240, the outer mold 710 is separated from the inner mold 720 to complete the overall shape of the contact lens 800, as shown in FIG. 8E.

그런 다음, S250 단계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콘택트렌즈(800)의 내면에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을 형성한다. In step S250, a laser is irradiated to form a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a connection groove 500, and an inflow / outflow groove 6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800 do.

이어서, S260 단계에서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에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순환홈(410), 제2 순환홈(420), 연결홈(500) 및 유입/유출홈(600)의 표면에 눈물의 표면 장력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소형 돌기(900)를 형성한다. Subsequently, in step S260, plasma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420, the connection groove 500, and the inlet / outlet groove 600 to form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410,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900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circulation groove 420, the connection groove 500, and the inflow / outflow groove 600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tea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탠트렌즈 형성 방법에 따라 형성된 콘택트렌즈는 다양한 홈들을 통해 눈물을 안질환을 유발함이 없이 눈물이 콘택트렌즈 내에서 원활하게 순환되고, 외주연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홈들은 그 표면에 다수의 소형돌기 등이 형성되어 거친 표면을 가지며, 이에 따라, 홈들을 통해 순환되는 눈물의 표면 장력이 줄어들어 눈물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lens 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moothly circulating tears in the contact lens without inducing eye disease through various grooves, . In particular, the groo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rough surf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or the like on the surface thereof, where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tear circulating through the grooves is reduced, and the circulation of the tears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시각부 200: 미용시각부
300: 테두리부 410: 제1 순환홈
420: 제2 순환홈 500: 연결홈
600: 유입/유출홈 710: 내부 몰드
720: 외부 몰드 800a: 단량체
800: 콘택트렌즈 형상 900: 소형 돌기
100: Visual part 200: Beauty part
300: rim portion 410: first circulation groove
420: second circulation groove 500: connection groove
600: inlet / outlet groove 710: inner mold
720: outer mold 800a: monomer
800: contact lens shape 900: small projection

Claims (6)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
상기 시각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미용시각부;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순환돌기를 가지는 제1 순환홈;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순환돌기를 가지는 제2 순환홈;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제2 순환홈과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형성되는 유입/유출돌기를 가지는 복수의 유입/유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순환돌기, 상기 제2순환돌기, 상기 연결돌기 및 상기 유입/유출돌기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소형홈은 그 단면이 톱니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In a contact lens,
A visual part forming a central part;
A beauty visual part forming an outer edge of the visual part;
An edge portion forming an outer edge of the visual perception portion;
A first circulation groove having a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sight part;
A second circulation groove having a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the border line between the visual sight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having connection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to connec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And a plurality of inflow / outflow grooves having inflow / outflow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le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plurality of small groove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circulation projections, the second circulation projections, the connection projections, and the inflow / outflow projections has a saw-tooth-shaped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출홈의 폭은 제2 순환홈과 연결된 부분에서 가장 좁고, 외주연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며, 외주연에서 가장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inflow / outflow groove is narrowest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uter periphery, and widest at the outer periph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시각부에는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선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은 상기 연결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onnecting line formed to connec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visual field part, and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connect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홈, 상기 제2 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소형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inflow / outflow groove.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 및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몰드 및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의 오목한 내부면에 단량체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에 상기 내부 몰드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몰드로부터 외부 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몰드는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1 순환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순환 돌기와,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를 따라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제2 순환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순환 돌기와,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기 위한 연결 돌기와,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에 유입/유출홈을 형성하기 위한 유입/유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순환 돌기, 상기 제2 순환 돌기, 상기 연결 돌기 및 상기 유입/유출 돌기의 표면에는 복수의 소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형 홈의 단면은 톱니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1.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comprising a visual portion forming a central portion, a visual visual portion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visual por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visual visual portion,
Providing an inner mold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an outer mold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njecting a monomer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Assembling the inner mold to the outer mold to polymerize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Separating the outer mold from the inner mold to form a contact lens shape; Including the
The inner mold
A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sight part, and a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for forming a second circulation proj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visual appearance part and the frame part. A second annular protrusion for forming a groove, a connecting protrusion for forming a connect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o that the first circulating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ng groov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inflow / outflow protrusion for forming an inflow / outflow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s formed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protrusion, the second circulation protrus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inflow / Wherein a small groove of the small groove is formed and a cross-section of the small groove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중심 부분을 형성하는 시각부, 상기 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미용시각부 및 상기 미용시각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이루어진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내면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몰드 및 상기 콘택트렌즈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몰드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의 오목한 내부면에 단량체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외부 몰드에 상기 내부 몰드를 조립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으로 단량체를 중합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내부 몰드로부터 외부 몰드를 분리하여 콘택트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트렌즈 형상의 내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시각부와 상기 미용시각부의 경계를 따라 제1 순환홈을 형성하고, 상기 미용시각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를 따라 제2 순환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순환홈 및 상기 제2 순환홈이 연결되도록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순환홈과 콘택트렌즈의 외주연이 연결되도록 유입/유출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순환홈, 상기 제2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에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1순환홈, 상기 제2순환홈, 상기 연결홈 및 상기 유입/유출홈의 표면에 눈물의 표면 장력을 줄이기 위한 복수의 소형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1. A method of forming a contact lens comprising a visual portion forming a central portion, a visual visual portion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visual portion, and a rim portion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visual visual portion,
Providing an inner mold for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nd an outer mold for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Injecting a monomer into the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outer mold;
Assembling the inner mold to the outer mold to polymerize the monomer in the form of a contact lens;
Separating the outer mold from the inner mold to form a contact lens shape; And
Forming a first circulation groove along the border between the visual part and the visual sight part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lens shape and forming a second circulation groove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visual sight part and the frame part, Forming a connection groove to connect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and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and forming an inlet / outlet groov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le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plasma process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inlet / outlet groove to form a surface of the first circulation groove, the second circulation groove,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inlet / And forming a plurality of small protrusions for reduc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tears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KR1020140041914A 2014-04-08 2014-04-08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KR101586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14A KR101586630B1 (en) 2014-04-08 2014-04-08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14A KR101586630B1 (en) 2014-04-08 2014-04-08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80A KR20150116680A (en) 2015-10-16
KR101586630B1 true KR101586630B1 (en) 2016-01-19

Family

ID=5436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14A KR101586630B1 (en) 2014-04-08 2014-04-08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63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909B1 (en) * 2018-12-07 2019-05-17 (주) 맥브리즈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circula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061813B1 (en) * 2019-05-10 2020-01-02 이기면 Contact lens with suction func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229389B1 (en) * 2020-04-14 2021-03-17 김지태 Penetration hole processing method and Contact lenses processed using this
KR20220052235A (en) * 2020-10-20 2022-04-27 한문섭 Contact lens having lacrimal damping 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60B1 (en) * 2019-03-18 2019-05-15 정태선 Therapeutic contact lens
KR102079718B1 (en) 2019-10-18 2020-02-20 김지태 Mold core producing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mol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462A (en) 1996-01-02 2001-09-25 ホロ オーアール リミテッド Single focus contact lens
KR100881725B1 (en) * 2008-03-12 2009-02-06 염광호 Contact lenses in which tear circulation is formed to enhance osmotic function, and male jigs for producing such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21A (en) * 2002-10-14 2002-11-23 주식회사시리스케이 Soft lens
US7901075B2 (en) * 2007-12-27 2011-03-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aser enhanced lens
KR20120031707A (en) 2010-09-27 2012-04-04 이무석 A lens have the function which tear and oxygen circulates in the l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462A (en) 1996-01-02 2001-09-25 ホロ オーアール リミテッド Single focus contact lens
KR100881725B1 (en) * 2008-03-12 2009-02-06 염광호 Contact lenses in which tear circulation is formed to enhance osmotic function, and male jigs for producing such contac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909B1 (en) * 2018-12-07 2019-05-17 (주) 맥브리즈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circula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061813B1 (en) * 2019-05-10 2020-01-02 이기면 Contact lens with suction func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229389B1 (en) * 2020-04-14 2021-03-17 김지태 Penetration hole processing method and Contact lenses processed using this
WO2021210824A1 (en) * 2020-04-14 2021-10-21 김지태 Penetration hole processing method, and contact lens processed using same
KR20220052235A (en) * 2020-10-20 2022-04-27 한문섭 Contact lens having lacrimal damping ho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69239B1 (en) 2020-10-20 2022-11-18 한문섭 Manufacturing method for contact lens having lacrimal damping holes an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80A (en)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630B1 (en)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CN1308733C (en) A soft contact lens capable of engagement with an eye either right way out or inside out
CN105974604B (en) Annular photic layer in cosmetic contact lenses
RU2581088C1 (en)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oxygen transmission
US8408698B2 (en) Laminated composite lens
JP5369273B1 (en) Colored contact lenses
EP2956817B1 (en) Contact lens stabilisation
JP6101633B2 (en) Colored contact lenses
JP2014021496A (en) Ophthalmic lens with repeating wave patterns
US11281023B2 (en) Tear shaping for refractive correction
CN101574574A (en) Aquatic goggles
KR101978909B1 (en)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circula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JP2021099455A (en) Spectacle lens
CN113985626A (en) Contact lenses with multilayer patterns
US20140125944A1 (en) Hybrid contact lens,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old set for producing the same
JP2018054993A (en) Corneal correction contact lens
KR20120031707A (en) A lens have the function which tear and oxygen circulates in the lens
US20180164605A1 (en) Contact le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202136865A (en) Spectacle lens
KR100914215B1 (en) Mold core to produce contact lenses with tear circulation to enhance osmotic function
KR101954069B1 (en) Color Toric Contact Lens
US9256082B2 (en) Laminated composite lens
CN219370156U (en) Gradual change type multipoint defocusing auxiliary lens and glasses with same
JP2018112668A (en)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CN220752443U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