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240B1 -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 Google Patents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240B1
KR101586240B1 KR1020140070630A KR20140070630A KR101586240B1 KR 101586240 B1 KR101586240 B1 KR 101586240B1 KR 1020140070630 A KR1020140070630 A KR 1020140070630A KR 20140070630 A KR20140070630 A KR 20140070630A KR 101586240 B1 KR101586240 B1 KR 101586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achate
sludge
main body
wet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231A (ko
Inventor
이문기
Original Assignee
씨에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이(주) filed Critical 씨에스이(주)
Priority to KR102014007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24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의 한 공간에 퇴비화 장치를 설치하여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침전 슬러지를 준설하여 퇴비화 장치로 이송시켜 건조고형화하여 시설내 조경수목에 퇴비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건조고형화시 투수되는 침출수는 정화층에서 정화하여 다시 인공습지 등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는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의 한 공간에 일부분 매립설치되고 준설된 슬러지를 내부에 유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빈공간에 구비하여 준설된 슬러지에서 침출수를 투수하는 필터토양층;과 상기 필터토양층 하부에서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과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정화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저류시키는 격벽관;과 상기 격벽관에 저류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Apparatus for composting of sludge}
본 발명은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의 한 공간에 퇴비화 장치를 설치하여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침전 슬러지를 준설하여 퇴비화 장치로 이송시켜 건조고형화하여 시설내 조경수목에 퇴비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건조고형화시 투수되는 침출수는 정화층에서 정화하여 다시 인공습지 등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하는데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과 같이 일정한 지점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오염농도가 매우 높다 하여도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및 산지 등과 같은 불특정장소에서 농약, 비료, 분요, 기름 및 타이어가루 등과 같은 불특정한 오염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발생량, 배출량이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고 우천시 빗물에 의해 한꺼번에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은 오수처리장치를 특정하기 어렵고 유지관리가 어려워 오염물질이 소하천으로 유입되면 수질을 오염시키고, 물고기를 폐사시키거나 저서생물의 서식처를 파괴하여 수생태계를 교란시키게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를 유입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인공습지 및 저류시설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초기강우에는 슬러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슬러지는 인공습지 및 저류시설 등에 침전된다. 침전된 슬러지로 인해 인공습지 및 저류시설 등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비점오염물질 저감 효율을 낮추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준설차를 사용하여 침전된 슬러지를 준설하여 매립하였지만 2003년부터 1일 1만톤 이상의 시설용량을 가진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직매립이 금지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슬러지의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되어 슬러지의 처리시설이 부족한 문제점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42268호(2008년05월15일)에는 하천 슬러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있어서, 하천이나 호소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인발하는 인발기; 인발된 슬러지를 분리하는 자갈과 모래층; 자갈과 모래층을 통과한 슬러지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 협잡물이 제거된 슬러지 여액을 식재 식물 혹은 물리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하여 퇴비화하는 여액 처리장; 상기 분리된 협잡물을 세정하고 이를 압축하는 압축기;로 구성되는 하천 슬러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하천 슬러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하천이나 호소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인발하여 이송할 때에는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반드시 지자체에 폐기물 신고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여액 처리장으로 보내진 슬러지는 물리-화학적으로 처리되거나 혹은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처리되지만 물리-화학적으로 처리시에 처리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처리되었을 때에는 고가의 설치비용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처리할 때에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수분이 지하로 침투되어 2차 토양오염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22011호(2010년11월19일)에는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처리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저류조로부터 유입된 슬러지를 고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액상은 저류조로 반송하고, 고상은 팽윤재와 혼합하여 슬러지의 초기 수분량을 60 내지 70%로 조절하는 고액분리장치; 상기 고액분리장치로부터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을 호기성 상태에서 열원에 의해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열하면서 발효시키는 호기성 발효장치; 상기 호기성 발효장치로부터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을 호기성 상태에서 부화 및 안정화시켜 퇴비를 완성시키는 후부숙장치; 상기 후부숙장치에서 유입된 슬러지 혼합물로부터 팽윤재를 분리하여, 퇴비화된 슬러지는 인근의 녹농지로 이송시키고, 선별된 팽윤재는 재활용되도록 고액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선별장치; 상기 호기성 발효장치화 후부숙장치가 호기성을 유지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각 장치들을 동작시키고 처리장치 전체를 컨트롤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처리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처리장치 및 방법은 소규모 하수처리장에 적용한다 하였지만, 설비가 복잡하여 설치비용이 높아 하수처리장을 운영하는 지자체의 예산에 큰 부담이 발생하며, 특히 슬러지 처리장치 운영시 유지관리 비용이 대폭 상승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의 주변에 퇴비화 장치를 설치하여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등에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전 슬러지를 준설하고, 퇴비화 장치로 이송하여 슬러지를 건조하여 고형화된 슬러지를 인공습지 및 저류시설 등의 조경수목에 퇴비로 공급하는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슬러지 건조고형화 과정에서 투수된 침출수는 정화층에서 정화하여 다시 습지 등으로 이송시켜 습지 등의 건천화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는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의 한 공간에 일부분 매립설치되고 준설된 슬러지를 내부에 유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빈공간에 구비하여 준설된 슬러지에서 침출수를 투수하는 필터토양층;과 상기 필터토양층 하부에서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과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정화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저류시키는 격벽관;과 상기 격벽관에 저류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층은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1차 정화할 수 있도록 마사토를 구비한 마사층과 상기 마사층의 마사토보다 입자를 크게 형성하여 침출수 배수효율을 높이고 침출수를 2차 정화할 수 있도록 쇄석을 구비한 쇄석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층은 마사층과 쇄석층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사층과 쇄석층 사이에 부직포를 구비한다.
상기 격벽관은 정화층에서 정화된 침출수를 격벽관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정화층과 맞닿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복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필터망으로 형성한다.
상기 배수관은 압력을 가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강우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캐노피는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도록 캐노피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에 의하면,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 주변에 퇴비화 장치를 설치하여 폐기물처리장치까지 슬러지를 운반하지 않아도 돼 준설후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준설차 임차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슬러지를 준설하여 퇴비화 장치에서 자연 건조시켜 고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고형화된 슬러지를 조경수목에 퇴비로 공급하여 경제적이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 건조고형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정화층에서 정화하여 습지 등으로 이송하여 습지 등의 건천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의 한 공간에 일부분 매립설치되고 준설된 슬러지를 내부에 유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빈공간에 구비하여 준설된 슬러지에서 침출수를 투수하는 필터토양층;과 상기 필터토양층 하부에서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과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정화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저류시키는 격벽관;과 상기 격벽관에 저류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층은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1차 정화할 수 있도록 마사토를 구비한 마사층과 상기 마사층의 마사토보다 입자를 크게 형성하여 침출수 배수효율을 높이고 침출수를 2차 정화할 수 있도록 쇄석을 구비한 쇄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층은 마사층과 쇄석층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사층과 쇄석층 사이에 부직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관은 정화층에서 정화된 침출수를 격벽관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정화층과 맞닿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복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필터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압력을 가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강우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캐노피는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도록 캐노피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비화 장치(100)는 인공습지(C) 등에서 발생하는 침전 슬러지(S)를 건조고형화시켜 퇴비화할 수 있도록 인공습지(C) 등의 한 공간에 퇴비화 장치(100)를 설치한다. 퇴비화 장치(100)는 인공습지(C) 등에서 준설된 슬러지(S)가 이송되면 본체(10) 내에 수용하여 슬러지(S)에서 침출수를 투수하여 건조고형화시킨다.
상기 퇴비화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 필터토양층(20), 정화층(30), 격벽관(40) 및 배수관(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10)는 인공습지(C) 등의 한 공간에 일부분 매립설치되고 퇴비화 장치(100)의 구성들을 내부에 형성 및 구비할 수 있도록 내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한다. 본체(10)는 준설된 슬러지(S)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을 개방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0)는 필터토양층(20) 및 정화층(30)을 내부에 구비하고, 준설된 슬러지(S)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필터토양층(20)과 정화층(30)의 높이는 본체(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토양층(20)은 본체(10)의 내부 빈공간에 구비하되 정화층(30)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슬러지(S)와 직접 맞닿는다. 필터토양층(20)은 준설된 슬러지(S)의 침출수를 투수하여 슬러지(S)를 건조고형화시킨다.
상기 필터토양층(20)은 슬러지(S)에서 침출수를 투수할 수 있도록 흡수성이 좋은 황토, 화산석, 규조토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는 반건조지역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지구지표면의 10%를 덮고 있는 풍부한 천연자연으로서,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실리카, 칼리, 석회, 알루미나 등의 화학조성물과, 석영, 운모, 탄산염광물, 인회석, 규선석 등과 같은 중광물로 형성된다. 또한, 황토는 미세한 벌집구조와 양쪽 공극률을 이루어 수많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온에서는 지속적으로 원적외선 에너지를 방출하여 유해물질을 무해물질로 정화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화산석은 화산재의 일종으로 고온의 화산열에 의하여 점토가 타서 생겨난 것으로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화산석은 상온에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상온(40℃ 이하)에서 92%이상의 적외선을 방사하는 이상적인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다. 화산석은 다공질로서, 흡수성, 통기성이 다른 암석보다 우수하며, 화산석의 내화도는 1120℃ 내지 1210℃이고, 흡수율은 17.7% 내지 32.5%, 마모율은 47.25% 내지 67.22%라고 알려져 있다. 화산석의 내화도, 흡수율 및 마모율은 일반 자갈이나 모래보다 높다.
상기 규조토는 호수 및 바다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규조토는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지만 미세한 다공질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황토, 화산석 및 규소토를 필터토양층(20)에 혼합 사용하면, 슬러지(S)에서 침출수를 빠르게 투수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S)의 악취까지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화산석 및 규소토는 흡수성, 탈취, 살균 및 유기물 분해기능 등을 반영구적으로 갖고 있어 필터토양층(2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필터토양층(20)은 토양 이외에 흡수성 및 탈취 등에 효과가 좋은 숯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화층(30)은 필터토양층(20)에서 슬러지(S)로부터 투수한 침출수를 하부에서 유출할 때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를 정화한다. 정화층(30)은 침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마사층(32) 및 쇄석층(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화층(30)은 마사층(32)과 쇄석층(34)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직포(33)를 구비한다.
상기 마사층(32)은 마사토를 구비하여 형성하며, 필터토양층(20)의 하부와 맞닿아 구비되어, 필터토양층(20)에서 자연여과하여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1차 정화한다. 상기 마사토란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흙을 "마사토"라고 하는데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아서 밭작물이나 조경수식재, 야생화, 분재, 화분 등에 많이 사용된다. 마사층(32)은 침출수를 자연여과 및 정화하여 쇄석층(34)으로 유출한다.
상기 부직포(33)는 마사층(32)과 쇄석층(34) 사이에 구비하여 마사층(32)과 쇄석층(34)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직포(33)는 마사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쇄석층(34)으로 유입한다. 부직포(33)는 마사층(32)과 쇄석층(34)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쇄석층(34)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쇄석층(34)은 쇄석을 구비하여 형성하며, 마사층(32)의 하부와 맞닿아 구비되어, 마사층(32)에서 자연여과하여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2차 정화한다. 상기 쇄석이란 암석과 큰 옥석 등을 쇄석기로 파쇄하여 만든 자갈로써, 배수성 및 통기성이 뛰어나다.
상기 쇄석층(34)을 마사층(32)의 마사토 입자보다 쇄석의 입자를 크게 형성하여 배수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석층(34)은 마사층(32)에서 유출한 침출수를 유입하여 정화처리함과 동시에 최종적인 여과처리를 한다.
상기 격벽관(40)은 본체(10) 내부 빈공간을 구획하여 본체(10) 내부공간을 분리한다. 분리된 각각의 본체(10) 내부 빈공간에는 필터토양층(20)과 정화층(30)이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격벽관(40)은 내부가 빈공간으로 형성되어 쇄석층(34)으로부터 정화된 침출수를 유입하여 저류시킨다.
상기 격벽관(40)은 정화층(30)에서 정화된 침출수를 격벽관(40)으로 유입하여 저류될 수 있도록 정화층(30)과 맞닿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복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필터망(42)으로 형성한다. 필터망(42)의 그물코는 쇄석층(34)의 쇄석 입자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쇄석층(34)의 쇄석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수관(50)의 일단은 격벽관(40)에 구비되고 타단은 저류된 침출수를 유출하는 인공습지(C)로 배출하도록 한다. 배수관(50)은 본체(10)가 인공습지(C)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화된 침출수를 본체(10)에서 인공습지(C)로 자연유하 시킨다.
상기 배수관(5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을 가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54)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수펌프(54)는 자연유하가 불가능한 지역일 때 격벽관(40) 내부에 구비되어 가동시 압력을 가해 침출수를 배수관(50)으로 끌어올려 침출수를 배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화 장치(100)는 캐노피(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노피(6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강우시 본체(10)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캐노피(60)는 본체(10)에 슬러지(S)의 수용이 용이하도록 캐노피(60)가 걷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캐노피(60)는 사람 또는 전원에 의해 일측면으로 걷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노피(60)는 본체(10) 내부가 통풍되도록 하여 슬러지(S)의 건조고형화 진행을 빠르게 도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62)를 구비한다. 지지대(62)는 캐노피(60)와 본체(10)가 이격되도록 구성하여 본체(10) 내부가 통풍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100)의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준설(S10), 퇴비화 장치로 이송(S20), 건조고형화(S30), 조경수목 퇴비공급(S40) 침출수 정화(S50) 및 침출수 습지로 이송(S60)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공습지(C) 등으로 유입되는 초기빗물은 슬러지를 다량으로 포함되어 유입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슬러지(S)는 인공습지(C)의 하부로 침전되어진다.
상기 인공습지(C)에 침전된 슬러지(S)를 준설차 및 펌프를 사용하여 준설한다.(S10)
상기 준설된 슬러지(S)를 인공습지(C)의 한 공간에 형성된 퇴비화 장치(100)로 이송하여 본체(10) 내부에 수용한다.(S20)
상기 퇴비화 장치(100)로 이송된 슬러지(S)에 포함되어 있는 침출수는 필터토양층(20)으로 투수되거나 자연바람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슬러지(S)를 건조고형화시킨다.(S30)
상기 건조고형화된 슬러지(S)는 인공습지(C)에서 발생하는 잡초 및 과잉성장된 식생의 절취물 등과 혼합하여 양질의 퇴비를 생산하여 인공습지(C) 내의 조경수목 등에 퇴비로 공급한다.(S40)
상기 필터토양층(20)으로 투수된 침출수는 필터토양층(20)에서 자연여과되어 하부에서 유출되고 유출된 침출수를 유입하여 마사층(32) 및 쇄석층(34)으로 구성된 정화층(30)에서 정화한다.(S50)
상기 정화된 침출수는 격벽관(40)으로 유입되고 격벽관(40)에 구비된 배수관(50)을 통해 인공습지(C)로 정화된 침출수를 자연유하시킨다. 자연유하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배수펌프(54)를 가동하여 침출수를 배수관(50)으로 끌어올려 인공습지(C) 및 또 다른 습지로 이송한다.(S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필터토양층 30 : 정화층
32 : 마사층 33 : 부직포 34 : 쇄석층
40 : 격벽관 42 : 필터망 50 : 배수관
54 : 배수펌프 60 : 캐노피 62 : 지지대

Claims (7)

  1.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 또는 저류시설의 한 공간에 일부분 매립설치되고 준설된 슬러지를 내부에 유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 빈공간에 구비하여 준설된 슬러지에서 침출수를 투수하는 필터토양층;과
    상기 필터토양층 하부에서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침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과
    상기 본체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본체 내부공간을 분리하고 상기 정화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저류시키는 격벽관;과
    상기 격벽관에 저류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관은 정화층에서 정화된 침출수를 격벽관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정화층과 맞닿는 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복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필터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층은 필터토양층에서 유출하는 침출수를 유입하여 1차 정화할 수 있도록 마사토를 구비한 마사층과 상기 마사층의 마사토보다 입자를 크게 형성하여 침출수 배수효율을 높이고 침출수를 2차 정화할 수 있도록 쇄석을 구비한 쇄석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화층은 마사층과 쇄석층이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사층과 쇄석층 사이에 부직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압력을 가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 강우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캐노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는 본체와 이격되어 구성되도록 캐노피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슬러지 퇴비화 장치.
KR1020140070630A 2014-06-11 2014-06-11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KR10158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30A KR101586240B1 (ko) 2014-06-11 2014-06-11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30A KR101586240B1 (ko) 2014-06-11 2014-06-11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31A KR20150142231A (ko) 2015-12-22
KR101586240B1 true KR101586240B1 (ko) 2016-01-18

Family

ID=5508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30A KR101586240B1 (ko) 2014-06-11 2014-06-11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2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05B1 (ko) * 2010-11-12 2012-08-20 이문기 비점오염물질처리를 위한 친환경 인공습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31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063B2 (en) Treating pollutants by phytoleaching
CN107100261A (zh) 一种新型雨水滞留渗滤***
CN106698813A (zh) 一种适用于海绵社区的功能型雨水花园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US20130175216A1 (en) Phosphorous mitigation for green filter beds
CN107893469A (zh) 一种基于海绵城市雨水渗排一体化***
KR101362254B1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CN112225408A (zh) 城市径流雨水资源生态控污处理的***和方法
KR101310150B1 (ko) 비점오염 여과형 정화장치
KR100966646B1 (ko)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N105461167B (zh) 一种一体化村镇生态景观型垃圾污水处理***
KR100691565B1 (ko) 퇴비를 얻기 위한 하수슬러지의 안정화조
CN105201040B (zh) 一种具有分离净化初期降雨功能的雨水井
CN112157120B (zh) 一种利用增溶增排方式修复土壤的方法及其装置
US20150344338A1 (en) Contained and fully contained phyto-cell for wastewater disposal
Dodane et al. Unplanted drying beds
CN108951829A (zh) 一种带有分层过滤结构的雨水净化生态树池***
KR101352643B1 (ko) 친환경 물순환 빗물침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7806171A (zh) 一种一体化增强型雨水花园
CN107352655A (zh) 一种处理有机污水的生物床***
CN209670011U (zh) 一种下凹式绿地结构
KR101586240B1 (ko) 침전 슬러지 퇴비화 장치
CN112144765B (zh) 一种海绵城市建设用绿色屋顶及雨水净化耦合***
CN109853701A (zh) 一种下凹式绿地结构
JP4144761B1 (ja) 泥状汚泥処理方法、及び泥状汚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