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462B1 -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462B1
KR101585462B1 KR1020140109372A KR20140109372A KR101585462B1 KR 101585462 B1 KR101585462 B1 KR 101585462B1 KR 1020140109372 A KR1020140109372 A KR 1020140109372A KR 20140109372 A KR20140109372 A KR 20140109372A KR 101585462 B1 KR101585462 B1 KR 10158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vehicle
sunshade
stopper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46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선쉐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커니즘 레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에 수용되는 선쉐이드 슈가 양측에 결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선쉐이드 및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장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여 선쉐이드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급출발시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STRUCTURE OF SUN-SHAD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되는 선쉐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쉐이드의 측면에 장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여 선쉐이드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정지시 선쉐이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 상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선루프 글래스가 장착된다.
이러한 선루프 글래스는 내부 환기와 탁트인 개방감을 주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강렬한 햇볕에 견딜 수 있도록 열처리를 거쳐 제작되며 자외선과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도 있으며, 또한 사고시 유리 파편에 탑승객이 부상을 입지 않도록 고강도 소재로 제작된 것도 있다.
한편, 대부분의 선루프 글래스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직사광선이 차량 내부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선쉐이드를 설치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다.
차량의 탑승자는 취향에 따라 선루프 글래스를 작동하지 않고 선쉐이드를 개방하여 개방감을 즐기거나 선루프 글래스와 선쉐이드를 모두 개방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거나 선루프 글래스와 선쉐이드를 모두 폐쇄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쉐이드(20)는 직사각형의 평탄한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쉐이드(20)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메커니즘 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선쉐이드(20)의 양측에는 메커니즘 레일(10)에 수용되는 선쉐이드 슈(30)가 결합되는데, 상기 선쉐이드 슈(30)는 선쉐이드(20)가 슬라이딩될 때 메커니즘 레일(10)에 물려 선쉐이드(20)에 조작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쉐이드(20)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선쉐이드(20)의 조작력을 너무 무겁게 하면 작동이 힘들어져 보통 0.8kgf 내지 1.2kgf 정도로 가볍게 세팅한다.
그러나 종래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는, 선쉐이드의 작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작력을 낮추면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컨셉 및 선쉐이드 슈의 품질 산포에 의해 조작력이 낮게 나오는 선쉐이드가 생산되어 설계자의 의도와 달리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선쉐이드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선쉐이드의 조작력을 높이면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시 선쉐이드의 밀림 현상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탑승자가 선쉐이드를 개폐할 때 지나치게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급출발시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전후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쉐이드의 작동성 개선과 선쉐이드의 밀림 방지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킨 선쉐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커니즘 레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에 수용되는 선쉐이드 슈가 양측에 결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선쉐이드; 및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장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여 선쉐이드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서 상기 밀림 방지부는,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부 전방에 제 1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 1 슬라이더; 상기 제 1 슬라이더의 후단과 제 1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를 연결하여 제 1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및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제 1 홀을 통해 돌출 가능한 제 1 스토퍼; 를 포함하며, 차량의 급출발시 상기 제 1 슬라이더는 제 1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1 스토퍼는 제 1 홀을 통해 돌출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서 상기 밀림 방지부는,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부 후방에 제 2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 2 슬라이더;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전단과 제 2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를 연결하여 제 2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제 2 홀을 통해 돌출 가능한 제 2 스토퍼; 를 더 포함하며, 차량의 급정지시 상기 제 2 슬라이더는 제 2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고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 2 스토퍼는 제 2 홀을 통해 돌출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더의 전단 및 제 2 슬라이더의 후단은 미리 정해진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토퍼의 하단 및 제 2 스토퍼의 하단은 각각 제 1 슬라이더의 경사면 및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과 마주보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제 1 슬라이더 또는 제 2 슬라이더가 이동됨에 따라 제 1 스토퍼 또는 제 2 스토퍼의 경사면은 제 1 슬라이더 또는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에서 상기 밀림 방지부는 선쉐이드의 양 측면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선쉐이드의 측면에 장착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급출발시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밀리는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림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선쉐이드 슈의 조작력을 가볍게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승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선쉐이드를 조작할 수 있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선쉐이드의 밀림 방지 기능과 선쉐이드의 작동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여 어느 한쪽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설계자가 원하는 대로 선쉐이드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컨셉 및 선쉐이드 슈의 품질 산포에 의해 조작력이 낮게 나오는 선쉐이드가 생산되어 설계자의 의도와 달리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정지시 선쉐이드가 밀리는 현상을 개선하여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 및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4a는 차량의 급출발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밀림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차량의 급정지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밀림 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 및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는,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12)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커니즘 레일(10), 상기 메커니즘 레일(10)에 수용되는 선쉐이드 슈(30)가 양측에 결합되며, 메커니즘 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선쉐이드(20) 및 상기 선쉐이드(20)의 측면에 장착되며, 메커니즘 레일(10)을 가압 지지하여 선쉐이드(2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 상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차량 내부를 환기시켜주고 차량 내부에 개방감을 주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12)는 선루프 글래스(미도시)를 통해 개폐된다.
이러한 선루프 글래스(미도시)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 또는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틸트업(tilt up) 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선루프 글래스의 하부에는, 평평한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선루프 글래스를 통해 투과되는 직사광선의 차광율을 조절하기 위한 선쉐이드(20)가 장착된다.
상기 선쉐이드(20)는 개구부(12)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메커니즘 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탑승자는 선쉐이드(2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22)를 잡고 선쉐이드(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개구부(12)를 개폐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쉐이드(20)의 좌우 양측에는 선쉐이드 슈(30)가 결합되며, 상기 선쉐이드 슈(30)는 메커니즘 레일(10)에 수용되어 선쉐이드(20)에 조작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20)의 측면에는 메커니즘 레일(10)을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밀림 방지부(100)가 장착되며, 상기 밀림 방지부(100)는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정지시 선쉐이드(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림 방지부(100)는, 차량의 속도 센서 및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연계되어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구조, 차량의 가속도에 따라 이동되는 관성 요소를 이용하여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것과 같이 차량의 가속도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하로 이동하는 스토퍼를 통해 선쉐이드(20)의 조작력을 제어하는 기계식 작동 구조를 토대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기계식 작동 구조는 전자식 작동 구조에 비해 잔고장이 적어 부품 고장에 따른 오작동의 위험이 낮으며 차량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는, 상기 선쉐이드(20)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부 전방에 제 1 홀(112)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하우징(110),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 1 슬라이더(120), 상기 제 1 슬라이더(120)의 후단과 제 1 하우징(110)의 내부면 사이를 연결하여 제 1 슬라이더(12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130) 및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제 1 홀(112)을 통해 돌출 가능한 제 1 스토퍼(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은 내부에 부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전방에 제 1 스토퍼(140)가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홀(112)이 관통 형성되며, 메커니즘 레일(10)에 수용되어 선쉐이드(2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 1 슬라이더(1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더(120)의 후단과 제 1 하우징(110)의 내부면 사이에는 제 1 스프링(130)이 연결되어 제 1 슬라이더(12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슬라이더(120)는 평상시 제 1 스프링(13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제 1 스프링(130)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낼 정도의 힘이 가해졌을 때만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더(120)의 전방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 1 스토퍼(140)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토퍼(140)는 제 1 슬라이더(120)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 제 1 슬라이더(120)에 의해 밀려서 제 1 홀(11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스토퍼(140)는 상부로 돌출되면서 메커니즘 레일(10)을 가압 지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쉐이드(20)의 조작력이 증대되어 의도하지 않은 선쉐이드(2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선쉐이드(20)의 측면에는 제 2 홀(152)을 구비한 제 2 하우징(150)이 결합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50)의 내부에는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제 2 슬라이더(160), 상기 제 2 슬라이더(160)와 제 2 하우징(150)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스프링(170) 및 상기 제 2 홀(152)을 통해 상부로 돌출 가능한 제 2 스토퍼(18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더(160)는 제 1 슬라이더(120)와 달리 그 후단이 제 2 스프링(170)으로 연결되어 평상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며, 제 2 스프링(170)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낼 정도의 힘이 가해졌을 때만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150)은 상호 결합되어 있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차량의 종류에 따른 레이아웃, 주변 부품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서로 이격되어 따로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밀림 방지부(100)는 선쉐이드(20)의 일측면에 장착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선쉐이드(20)의 타측면에도 동일한 밀림 방지부(1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선쉐이드(20)의 설계자는 밀림 방지부(100)의 개수를 조절하여 선쉐이드(20)의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밀림 방지부(100)를 배치하여 선쉐이드(20)의 조작력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차량의 급출발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a는 차량의 급정지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따른 밀림 방지부(1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 또는 정지 상태에 해당하는 평상시, 상기 제 1 슬라이더(120) 및 제 2 슬라이더(160)에는 제 1 스프링(130) 및 제 2 스프링(170)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낼 만한 관성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 1 스토퍼(140) 및 제 2 스토퍼(180)는 제 1 홀(112) 및 제 2 홀(152)을 통해 돌출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의 탑승자는 상기 선쉐이드(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려고 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손쉽게 선쉐이드(20)를 슬라이딩시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급출발시 상기 제 1 슬라이더(120)에는 제 1 스프링(130)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할 만큼의 관성력이 작용하여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더(120)의 전단은 소정의 각도의 경사면(122)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토퍼(140)의 하단은 제 1 슬라이더의 경사면(122)과 마주보는 형태의 경사면(14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더(120)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슬라이더의 경사면(122)은 제 1 스토퍼의 경사면(142)을 밀게 되고, 제 1 스토퍼(140)는 제 1 홀(11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메커니즘 레일(10)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쉐이드(20)는 제 1 스토퍼(140)와 메커니즘 레일(10)의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급정지시 상기 제 2 슬라이더(160)에는 제 2 스프링(170)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할 만큼의 관성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더(120) 및 제 1 스토퍼(140)와 마찬가지로 제 2 슬라이더(160)의 후단은 소정의 각도의 경사면(162)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토퍼(180)의 하단은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162)과 마주보는 형태의 경사면(18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슬라이더(16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162)은 제 2 스토퍼의 경사면(182)을 밀게 되고, 상기 제 2 스토퍼(180)는 제 2 홀(15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메커니즘 레일(10)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쉐이드(20)는 제 2 스토퍼(180)와 메커니즘 레일(10)의 마찰력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못하고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메커니즘 레일 12 : 개구부
20 : 선쉐이드 22 : 손잡이
30 : 선쉐이드 슈 100 : 밀림 방지부
110 : 제 1 하우징 112 : 제 1 홀
120 : 제 1 슬라이더 122 : 제 1 슬라이더의 경사면
130 : 제 1 스프링 140 : 제 1 스토퍼
142 : 제 1 스토퍼의 경사면 150 : 제 2 하우징
152 : 제 2 홀 160 : 제 2 슬라이더
162 :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 170 : 제 2 스프링
180 : 제 2 스토퍼 182 : 제 2 스토퍼의 경사면

Claims (5)

  1. 차량의 루프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메커니즘 레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에 수용되는 선쉐이드 슈가 양측에 결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선쉐이드; 및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장착되며, 메커니즘 레일을 가압 지지하여 선쉐이드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밀림 방지부는,
    상기 선쉐이드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수용되며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된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더의 전단 및 제 2 슬라이더의 후단은 미리 정해진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토퍼의 하단 및 제 2 스토퍼의 하단은 각각 제 1 슬라이더의 경사면 및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과 마주보는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제 1 슬라이더 또는 제 2 슬라이더가 이동됨에 따라 제 1 스토퍼 또는 제 2 스토퍼의 경사면은 제 1 슬라이더 또는 제 2 슬라이더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방지부는 선쉐이드의 양 측면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KR1020140109372A 2014-08-22 2014-08-22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KR10158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72A KR101585462B1 (ko) 2014-08-22 2014-08-22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72A KR101585462B1 (ko) 2014-08-22 2014-08-22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462B1 true KR101585462B1 (ko) 2016-01-15

Family

ID=5517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372A KR101585462B1 (ko) 2014-08-22 2014-08-22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4B1 (ko) * 2006-12-06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4B1 (ko) * 2006-12-06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0145B (zh) 双开式的全景式天窗及其操作方法
KR101240988B1 (ko) 차량용 파노라마루프 장치
US4422687A (en) Sliding roof panel assembly
US8814257B2 (en) Vehicle roof device
KR10234769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US20060066141A1 (en) Vehicle sliding sunroof
KR101327077B1 (ko)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JPH0524437A (ja) サンシエード装置
US4379586A (en) Sliding roof panel assembly
KR102186136B1 (ko)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US8789878B2 (en) Sunshade with automatic closing
KR101585462B1 (ko)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US20170232825A1 (en) Sunshade For A Roof In A Vehicle, Vehicle Including The Sunshade, Method For Sun Shading In A Vehicle
CN108312817B (zh) 电动遮光罩和天窗的结构
KR100803296B1 (ko) 선쉐이드 작동감 개선 구조
KR102621543B1 (ko)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S61278422A (ja) 車両のサンル−フ装置
KR20070035719A (ko) 선쉐이드 밀림 방지구조
US10953732B2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KR100406705B1 (ko) 자동차의 선쉐이드
KR101571671B1 (ko) 선루프용 메커니즘커버
EP0899138B1 (en) Open roof contruction for a vehicle
JP5879922B2 (ja) シェードストッパ
JP4207594B2 (ja) 車両用ルーフトリ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