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31B1 -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 Google Patents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31B1
KR101583731B1 KR1020150123158A KR20150123158A KR101583731B1 KR 101583731 B1 KR101583731 B1 KR 101583731B1 KR 1020150123158 A KR1020150123158 A KR 1020150123158A KR 20150123158 A KR20150123158 A KR 20150123158A KR 101583731 B1 KR101583731 B1 KR 10158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parts
coating
di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오제곤
Original Assignee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김진성 filed Critical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4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도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관 교량, 강교 육고 등 강재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강재 구조물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연(Zinc)의 희생양극 작용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강제 부식을 지연시키며,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를 통해 방수성, 내광성, 내오존성, 내후성, 내구성을 향상시켜 시간이 경화하여도 초기 도포상태를 유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은,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하도용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머 도료,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수지 40~60중량%와 아마이드수지 20~40중량% 및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 중도용 도료,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이면서 고형분이 30~70중량%로 조절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인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표면에 상도층을 형성하는 상도용 도료이다.

Description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PAINT COMPOSITION FOR STEEL STRUCTURE HAVING STEEL BRIDGE, AND METHOD FOR PAINTING OF STEEL STRUCTURE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강재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재를 이용한 강관 교량, 강교 육교 등 강재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강재 구조물과의 접착력 증대를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연(Zinc)의 희생양극 작용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강제 부식을 지연시키며,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를 통해 방수성, 내광성, 내오존성, 내후성, 내구성을 향상시켜 시간이 경화하여도 초기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강관 등 강재 제품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은 염해나 물의 침투 등에 강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짐으로써 사용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바닷가에 축조되는 교량의 경우 염분의 침투를 많이 받아 심각한 내구성 저하가 일어난다.
이러한 강재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를 위하여 강재 구조물의 표면을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무기질 아연말 도료, 염화고무계 도료, 에폭시계 도료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무기질 아연분말 도료.
아연 분말을 주방청제로 한 방청도료로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소위 징크리치페인트로서 소량의 수지에 고농도의 아연분말이나 아연미세분말을 넣어서 만든 것이다.
2. 염화 고무계 도료.
일반적으로 중방식 도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염화고무계 도료는 건조 속도가 빠르고, 층간 밀착성이 우수하고 오염 및 해안 환경에 강하다. 특히 염화고무 도료는 우수한 도막 특성에 의해서 투수성 및 산소 투과성이 다른 도료보다 월등하여 컨테이너나 선박 등 철재 구조물의 도장에 유리하다.
3. 에폭시계 도료.
에폭시계 방식도료는 각종 폴리 아민 화합물 특히, 지방족 폴리아민 화합물을 상온 경화용 에폭시 수지 경화제로 폭넓게 사용해왔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269132호)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받은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a) 관능기가 2~6개이고 당량이 200~600인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와, 관능기가 1~2개이고 당량이 150~300 인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가 혼합된 폴리머 알로이(Polymer alloy) 30~60 중량부와; b)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알리파틱 글리시딜 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제 5~20 중량부와; c) 하이드로포빅 실리카, 알루미늄 옥사이드, 마그네슘 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세라믹 충진재 30~6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제는, a) 당량이 50~400인 아민 수지 10~25 중량부와; b)당량이 100~400인 아마이드 수지 5~15 중량부와; c) 관능기가 2개이고 당량이 150~300인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 3~1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등록특허 제10-12691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관 등 강재 구조물의과의 접착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연(Zinc)의 희생양극 작용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강제 부식을 지연시키며, 내광성, 내오존성, 내후성,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재 구조물 시공 공법은, 강재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강재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를 통해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 표면에 중도용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를 통해 중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중도층 표면에 상도용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40 ~ 60중량부가 혼합된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며,
상기 제3단계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수지 40~60중량%와 아마이드수지 20~40중량% 및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중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시공하고,
상기 제4단계는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이면서 고형분이 30~70중량%로 조절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인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상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에 의하면, 강관 교량, 강교 육교 등 강재 구조물의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강재 구조물과의 접착력 증대를 통해 강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아연(Zinc)의 희생양극 작용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강제 부식을 지연시키며, 중도용 및 상도용 도료를 통해 방수성, 방수성, 내광성, 내오존성, 내후성, 내구성을 향상시켜 시간이 경화하여도 초기 도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강재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은, 강재의 표면에 도장되어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프라이머 도료, 프라이머층 표면에 도장되어 중도층을 시공하는 중도용 도로, 중도층 표면에 도장되어 상도층을 시공하는 상도용 도료로 이루어진다.
프라이머 도료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chloride-vinyl alcohol-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초산비닐공중합체는 강한 접착 특성을 통해 강재 표면에서 박리되지 않고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30중량% 미만은 접착력이 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접착력에 의해 작업성이 떨어진다.
아연(10 ~ 20㎛)은 희생양극 작용에 의해 강재 구조물의 부식을 지연시키며 10~20중량%의 범위를 벗어나면 부식 지연 효과가 약하고 접착력의 약화를 준다.
희석재는 자일렌(Xylene), 톨루엔(Tolue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MIBK), EA(Ethyl Acetate), BA(N-Butyl Acetate), CA(Cellosolve Acetate) 중 하나 이상이 20~40중량%의 범위로 혼합되어 재료들의 물성을 조절하며, 2개 이상이 혼용되는 경우 전술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조절된다.
첨가재는 입자크기가 0.5 ~ 30um인 소광제, 침전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침전방지제, 안료, 기포제거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이며, 이들의 재료의 특성(용도)에 맞춰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고,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경탄 등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고, 분말상의 재료는 전술한 입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경화제는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이소시아네이트는 재료들의 가교에 의한 안정성과 강도의 보강 및 경화성이 우수하다.
희석재는 주제에서 사용된 재료가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와 희석재의 혼합비율은 경화제의 기능을 위한 것이며, 상기 비율을 벗어나면 경화제의 기능이 약하거나 효과의 큰 차이가 없다.
프라이머 도료는 이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는 우수한 접착력과 부식방지 등을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프라이머 도료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초산비닐공중합체와 아연과 희석제 및 첨가제를 교반기에 넣고 60~70℃에서 60~180분 동안 교반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이소시아네이트와 희석제를 105~120℃에서 60~120분 동안 교반한 후 75~85℃의 온도로 냉각하여 경화제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주제와 경화제를 상온에서 교반하여 프라이머 도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프라이머 도료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도용 도료와 상도용 도료의 제조 방법도 프라이머 도료의 제조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중도용 도료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관능기가 1~2개이고 당량이 150~300인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관능기가 2~6개이고 당량이 200~600인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내열성과 내약품성 및 접착력이 우수하다.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관능기가 1~2개이고 당량이 150~3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피클로로 히드린과 비스페놀 A를 중합하여서 제조되는 에폭시 수지로서, 분자구조 중에 친수성의 수산기와 소수성의 탄화수소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접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는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Butyl Glycidyl Ether),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Phenyl Glycidyl Ether), 알리파틱 글리시딜 에테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이 가능하고, 2개 이상이 혼용되는 경우 전술한 혼합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조절된다.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는 방식도료의 내충격성 향상 및 강도를 조절하고, 작업 시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5중량% 미만이 혼합되면 경화 후 강도가 너무 강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접착강도의 약화를 초래한다.
세라믹 충전제는 무기질로서 내화학성, 내마모성 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며, 하이드로포빅 실리카(hydrophobic silica),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마그네슘 옥사이드(Magnesium oxide), 징크 옥사이드(zinc ox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사용이 가능하고, 동등한 기능을 하는 다른 재료의 치환이 가능하며 2개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자유로운 혼합비율로 혼용된다.
상기 세라믹 충진재는 입경이 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충진재의 입경이 10㎛ 미만이면 도장시 흐름성이 낮아져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반대로 충진재의 입경이 40㎛ 이상이면 겉모양, 유연성, 수분 흡수율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충진재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도료가 경화된 후에도 너무 유연해져서 크로스 커팅 시 부착 성능이 약해지고, 반대로 60 중량% 이상이면 강도가 너무 높아져 크로스 커팅 시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부착 성능도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첨가제는 안료, 레벨링제, 소포제, 분산제, 경화 촉진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경탄 등 프라이머 도료에서 사용된 재료와 도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재료의 사용이 가능하다.
안료로는 이산화티탄(TiO2), 카본블랙(Carbon Black), 프탈로시아닌블루(Phthalocyanine blue), 디아조엘로우(Diazo yellow) 등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레벨링제로는 실리콘류 또는 왁스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소포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산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화촉진제는 3급아민 계통인 BDMA(Benzol dimethyl amine), DMP30 {[0031] Tris(Dimethyl aminomethyl)phenol }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경화제는 당량이 50~300인 아민수지, 당량이 100~400인 아마이드 수지, 관능기가 1~2개이고 당량이 150~3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중 하나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
중도용 도료는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는 우수한 내열성과 내구성 등을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상도용 도료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아크릴폴리올은 유리전이온도(Tg)가 -30 ~ 20℃이고, 고형분이 30 ~ 80%이며, 당량이 500 ~ 3000인 제품이 사용되며, 희석재는 프라이머 도료에서 사용된 희석재와 동일하게 자일렌(Xylene), 톨루엔(Tolue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MIBK), EA(Ethyl Acetate), BA(N-Butyl Acetate), CA(Cellosolve Acetate)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첨가재는 소포재, 레벨링재, 침강방지재, 안료, 소광재, 분산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상기 첨가재로 사용되는 기능성 재료는 프라이머 도료에서 설명한 첨가재의 재료와 동일 내지 유사하고 도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제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경화제는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 인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희석재로 희석하여 고형분이 30 ~ 70%로 조절된 것이며, 예를 들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시크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12MDI)가 희석재[자일렌(Xylene), 톨루엔(Tolue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 MIBK), EA(Ethyl Acetate), BA(N-Butyl Acetate), CA(Cellosolve Acetate) 중 하나 이상]로 희석(희석재의 비율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50중량부)된다.
상도용 도료는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는 우수한 내열성과 내구성 등을 위한 최적의 비율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프라이머 도료와 중도용 도료 및 상도용 도료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료를 제조한 후 테스트 하였다.
1. 프라이머 도료.
Figure 112015084562814-pat00001
주제와 경화제의 희석재는 각각 자일렌과 톨루엔을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첨가재는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기포제거제를 10중량%의 범위안에서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으로 프라이머 도료를 제조(재료 혼합)한 후 동일 규격의 시료(강판)에 일정 두께로 도장하여 테스트 하였다.
※ 접착강도 : ASTM D4541 - "Standard Test Method for Pull-Off Strength of Coatings Using Portable Adhesion Testers"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
※ 내염수성 : 50g/L Nacl 용액에 침적하여 녹 발생 확인.
2. 중도용 도료.
Figure 112015084562814-pat00002
주제의 반응성 희석재는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이다.
첨가재는 안료, 레벨링제, 소포제, 분산제, 경화촉진제가 동일 비율로 하여 사용.
상기 실시예의 조성으로 중도용 도료를 제조(재료 혼합)한 후 프라이머 도료의 실시예 1-5 표면에 도포(실시예 2-6)하고 나머지 실시예 2-1 등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가 도포되지 않은 강판에 일정 두께로 도장하여 테스트 하였다.
※ 내굽힘성능 : KS F 4292
※ 내충격성능 : KS D 8502
※ 수분흡수율 : ASTM D 570
※ 냉온반복성능 : KS D 8502
3. 상도용 도료.
Figure 112015084562814-pat00003
주제와 경화제의 희석재는 자일렌과 톨루엔의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다.
첨가재는 소포재, 레벨링재, 침강방지재, 안료, 소광재, 분산재를 동일 중량 비유로 혼합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으로 상도용 도료를 제조(재료 혼합)한 후 중도용 도료가 도장된 실시예 2-6에 일정 두께로 도장하여 테스트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프라이머 도료, 중도용 도료 및 상도용 도료의 테스트 결과 모든 항목에서 우수함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은 다음과 같다.
1. 강재 구조물 표면 정리.
예를 들어 강재 교량의 경우 노후화, 염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부식 등이 발생되고, 이러한 보수 부분의 보수를 위하여 먼저 보수 부분을 정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장층과 강재와의 접착력 저하를 막기 위하여 부식된 부분, 크랙 부분, 박리 부분을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2. 프라이머층 시공.
강재 구조물의 표면에 전술한 프라이머 도료를 바람직하게 20 ~ 60㎛ 두께로 도장(도포, 스프레이 등)한 후 경화(자연 경화가 가능하며 기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시간 경화)를 거쳐 프라이머층을 시공한다.
프라이머층은 강재와 중도층에 강력한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도장층의 박리를 막는다.
3. 중도층 시공.
전 공정을 통해 프라이머층을 완성한 후 중도용 도료를 바람직하게 100 ~ 200㎛ 두께로 도장한 후 경화(예를 들어 12~15시간)를 거쳐 중도층을 시공한다.
4. 상도층 시공.
중도층 표면에 상도용 도료를 20 ~ 60㎛ 두께로 도장한 후 경화를 거쳐 상도층을 시공하며, 본 공정을 끝으로 하여 도장을 완료하고, 이에 따라 강재 구조물의 표면에는 보수층이 시공된다.

Claims (4)

  1.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400~6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하도용인 프라이머 도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2.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수지 40~60중량%와 아마이드수지 20~40중량% 및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프라이머층에 도포되는 중도용 도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3.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이면서 고형분이 30~70중량%로 조절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인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강재의 표면에 상도층을 형성하는 상도용 도료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4. 강재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강재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를 통해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 표면에 중도용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를 통해 중도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중도층 표면에 상도용 도료를 도포한 후 경화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초산비닐공중합체(Vinyl acetate copolymer) 30~50중량%와 아연(zinc) 10~20중량%와 희석재 20~40중량% 및 첨가재 10~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방족이나 지환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20~40중량%와 희석재 60~8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40~60중량부가 혼합된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시공하며,
    상기 제3단계는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phenol novolak epoxy resin) 10~30중량%와 비스페놀(bis phenol) A형 에폭시 수지 10~30중량%와 다관능성 반응성 희석재 5~10중량부%와 세라믹 충전재 30~60중량% 및 소광제, 침전방지제, 안료, 소포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재 5~10 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수지 40~60중량%와 아마이드수지 20~40중량% 및 비스페놀A형 에폭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중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중도층을 시공하고,
    상기 제4단계는 아크릴폴리올 50~70중량%와 희석재 15~35중량% 및 첨가제 10~20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가 2개 이상이고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10 ~ 50%이면서 고형분이 30~70중량%로 조절된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인 경화제 20~50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상도용 도료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0150123158A 2015-08-31 2015-08-31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158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58A KR101583731B1 (ko) 2015-08-31 2015-08-31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58A KR101583731B1 (ko) 2015-08-31 2015-08-31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731B1 true KR101583731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58A KR101583731B1 (ko) 2015-08-31 2015-08-31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25B1 (ko) 2016-10-18 2017-03-13 명해용 무용제형 하도용 고방식 도료와 실란 함유 중상도용 고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도막 초내후성 강구조물 도장방법
KR101866433B1 (ko) 2017-11-29 2018-06-12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도료를 이용한 교량의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121701B1 (ko) 2019-11-28 2020-06-11 (주)리콘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164899B1 (ko) 2020-07-08 2020-10-13 권오진 강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도장방법
KR102260780B1 (ko) * 2021-04-01 2021-06-08 에스티이엠 주식회사 강교의 강재 구조물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방법
KR102331925B1 (ko) 2021-02-19 2021-12-01 (주)삼화피앤씨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를 이용한 강재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383644B1 (ko) 2021-12-02 2022-04-11 (주)리콘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88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태일케미칼 환경친화성의 수성 에폭시수지-세라믹과 수성실리콘아크릴수지 도료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료를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방지공법
JP2007277551A (ja) * 2006-04-04 2007-10-25 United Technol Corp <Utc> 耐食性プライマ組成物および金属基体を含む物品
KR100897417B1 (ko) * 2008-07-15 2009-05-1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KR101269132B1 (ko) 2011-03-15 2013-05-29 한서포리머주식회사 친환경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657B1 (ko) * 2014-04-21 2015-02-04 부림산업개발(주) 중방식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388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태일케미칼 환경친화성의 수성 에폭시수지-세라믹과 수성실리콘아크릴수지 도료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료를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방지공법
JP2007277551A (ja) * 2006-04-04 2007-10-25 United Technol Corp <Utc> 耐食性プライマ組成物および金属基体を含む物品
KR100897417B1 (ko) * 2008-07-15 2009-05-14 한서포리머주식회사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KR101269132B1 (ko) 2011-03-15 2013-05-29 한서포리머주식회사 친환경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8657B1 (ko) * 2014-04-21 2015-02-04 부림산업개발(주) 중방식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25B1 (ko) 2016-10-18 2017-03-13 명해용 무용제형 하도용 고방식 도료와 실란 함유 중상도용 고방식 도료 및 이를 이용한 이중도막 초내후성 강구조물 도장방법
KR101866433B1 (ko) 2017-11-29 2018-06-12 피엔에이건설 주식회사 친환경 도료를 이용한 교량의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2121701B1 (ko) 2019-11-28 2020-06-11 (주)리콘 강재 또는 콘크리트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164899B1 (ko) 2020-07-08 2020-10-13 권오진 강재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도장방법
KR102331925B1 (ko) 2021-02-19 2021-12-01 (주)삼화피앤씨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를 이용한 강재 표면 도료 시공 공법
KR102260780B1 (ko) * 2021-04-01 2021-06-08 에스티이엠 주식회사 강교의 강재 구조물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방법
KR102383644B1 (ko) 2021-12-02 2022-04-11 (주)리콘 수용성 에폭시 및 우레탄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철재 표면 도료 도장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731B1 (ko) 강교를 포함하는 강재 구조물 보수보강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US11279834B2 (en) Coatings
KR100897417B1 (ko)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US20070224362A1 (en) Two-part waterborne epoxy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JP6106209B2 (ja) 自然乾燥型水性塗料組成物
JPS6072965A (ja) 低温硬化性被覆組成物
US20220106494A1 (en) Two-component aqueous epoxy resin paint
KR102042801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1797975B1 (ko) 세라믹 분말과 아크릴 혼합수지를 이용하고 하도 전처리가 필요없는 고탄성, 고부착성 방수 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579967B2 (ja) エポキシ樹脂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KR101866433B1 (ko) 친환경 도료를 이용한 교량의 강재 구조물 도장 공법
KR101269132B1 (ko) 친환경 세라믹계 2액형 방식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174478A2 (en) Low temperature curing, sag-resistant epoxy primer
JP5414979B2 (ja) 熱線高反射塗装物および塗装方法
KR101969326B1 (ko) 2액형 중방식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친환경 보수보강 시공방법
AU2022200977B2 (en) Glycerol-based epoxy resins
JP6654496B2 (ja) 被膜形成方法
JP2022132594A (ja) 水性被覆材
JP7128142B2 (ja) 水性被覆材
KR960001658B1 (ko) 도료조성물
JP2013227416A (ja) 低汚染塗料組成物
US20220162454A1 (en) Coatings
CN116200102B (zh) 一种poss杂化的环氧防腐涂料及其涂层
JP6854104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JP2001220549A (ja) 無機質系基材用塗料および塗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