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881B1 -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 Google Patents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881B1
KR101581881B1 KR1020150094513A KR20150094513A KR101581881B1 KR 101581881 B1 KR101581881 B1 KR 101581881B1 KR 1020150094513 A KR1020150094513 A KR 1020150094513A KR 20150094513 A KR20150094513 A KR 20150094513A KR 101581881 B1 KR101581881 B1 KR 10158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pulley
cover plate
support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태형
이재섭
Original Assignee
아이자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자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자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8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8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1) to automatically receive a monitor, comprising: a body part (3); and an elevation part (5). The body part (3) has a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cut out in one side of an upper plate (7). The elevation part (5) moves the monito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plate (7)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he elevation part (5) comprises: a supporter unit (21); a driving means (23); an elevation means (25); and a finishing means (27). The supporter unit (21) protects the monitor (M) from impact caused by a cover plate (13) opened when the monitor (M) is elevated and passes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he driving means (23) generates an elevation driving force of the supporter unit (21). The elevation means (25) elevates the supporter unit (21) by the elevation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ans (23). The finishing means (27) blocks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when the supporter unit (21) is in a monitor usage position. Therefore, the monitor is held and protected by a holding and protecting stand such that the monitor can be elevated to the usage position without a collision with the cover plate.

Description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Automated Monitor Receiving Type Desk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본 발명은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여부에 따라 도르래뭉치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책상의 상판 위아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automatic storage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automatic storage desk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 monitor by using a pulley bundle.

일반적으로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은 평상시 모니터를 승강장치를 통해 책상의 하부에 수납하여 은폐시킨다. 하지만, 모니터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승강장치를 통해 모니터를 책상의 상판 위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때에만 모니터가 책상의 작업공간을 차지하므로,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 시에는 책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Normally, the automatic monitor desk for the monitor normally stores the monitor in the lower part of the desk through the platform, thereby concealing it. However, if the monitor is to be used, the monitor is raised above the desk top by the lift device. Therefore, the user occupies the work space of the desk only when necessary, so that the desk can be used widely when the monitor is not used.

그 한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컴퓨터 책상(국내 특허등록 제10-0603792)을 들 수 있는데, 이 책상(101)은 도시된 것처럼, 이동판(103)에 연결된 와이어(105)가 선택적으로 정회전이나 역회전되는 윈치식 구동모터(107)의 구동축(107a)에 와인딩되거나 인출되면서 이동판(103)을 승강시킨다. 이때, 이동판(10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막대식 가이드레일(109)을 따라 승강한다. 이에 따라, 이동판(103)은 상부에 모니터(M)가 안착된 받침판(111)과 함께 승강하면서, 모니터(M)를 상판(110)의 개구부(110a)로 노출시키거나 상판(110)의 하부에 수납시킨다. 따라서, 모니터(M)는 필요에 따라 상판(110)의 상부로 노출되거나 상판(110)의 하부에 수납되면서 은폐된다.One such example is a computer desk (reference 10-0603792) shown at 101 in FIG. 1, which includes a wire 105 connected to a moving plate 103, The moving plate 103 is lifted or lowered while being wound or drawn on the drive shaft 107a of the winch type drive motor 107 which is selectively rotated forward or reverse. At this time, the moving plate 103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bar-shaped guide rails 109 vertical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as shown in FIG. The moving plate 103 is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upport plate 111 on which the monitor M is mounted and the monitor M is exposed to the opening 110a of the upper plate 110, And stored in the lower part. Therefore, the monitor M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or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if necessary.

한편, 모니터(M)는 노출 시 개구부(110a)를 폐쇄하는 덮폐판(110b)을 상부로 밀면서 노출된다. 이때, 덮개판(110b)은 힌지 고정된 일측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0a)를 개방한다. 따라서, 모니터(M)는 개구부(110a)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의 상부로 노출된다. 물론, 덮개판(110b)은 모니터(M)가 상판(110)의 하부로 하강할 경우 다시 피벗 회전하면서 개구부(110a)를 폐쇄한다. 이렇게 해서, 덮개판(110b)이 개구부(110a)를 폐쇄하므로, 사용자는 모니터(M)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판(110)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nitor M is exposed while pushing up the covering panel 110b closing the opening 110a at the time of exposure. At this time, the cover plate 110b is pivotally rotated about the hinge-fixed side, and opens the opening 110a as shown in the figure. Thus, the monitor M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10a to the top of the top plate 110 as shown. Of course, when the monitor M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10, the cover plate 110b closes the opening 110a while pivoting again. In this way, since the cover plate 110b closes the opening 110a, the user can use the top plate 110 widely when the monitor M is not used.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컴퓨터 책상(101)은 상판(110) 위로 모니터(M)를 이동시킬 때 이동판(103) 상단의 지지브래킷(113) 위에 놓인 모니터(M)가 직접 덮개판(110b)을 밀어 올리는 바, 이 과정에서 모니터(M)에 충격을 주어 손상을 입히며, 충격으로 인해 모니터(M)가 넘어지면서 이차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when the monitor M is moved over the upper plate 110, the monitor M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113 at the upper end of the moving plate 10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ver plate 110b, In this process, the monitor M is impacted and damaged, and secondary damage is caused as the monitor M falls over due to the impac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B로 상세 도시된 것처럼, 직각으로 절곡된 스터드볼트(115)를 이용해 모니터(M) 하단의 받침부를 지지하였으나, 이 경우에는 스터드볼트(115)를 풀지 않고는 사용 중 모니터(M)를 전혀 이동시킬 수 없어 사용 상 불편이 따르며, 덮개판(13) 개폐 시 여전히 모니터(M)에는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detail in FIG. 1B, the support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monitor M is supported by using the stud bolt 115 bent at right angles. In this case, without loosening the stud bolt 115 The monitor M can not be moved at all during use, which is inconvenient in us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nitor M is still impacted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and closed.

KR 10-0603792KR 10-060379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 수납 책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모니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에 모니터 보호대를 부가함으로써, 승강부가 모니터와 함께 상판의 모니터수납구를 통과할 때, 모니터수납구를 덮고 있는 덮개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모니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 conventional monitor storage desk. When a monitor protector is attached to a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onitor,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passes the monitor holder of the upper plate together with the monito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tect the monitor from the impact applied by the cover plate covering the receiving opening.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판 일측에 모니터수납구가 절결되되, 상기 모니터수납구를 개폐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모니터수납구 내에 설치되어 모니터를 수납하되,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사용 또는 보관하도록 상기 모니터수납구를 통해 상기 상판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모니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모니터가 상승하면서 상기 모니터수납구를 통과할 때 개방되는 상기 덮개판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모니터를 보호하는 서포터유닛; 상기 서포터유닛의 승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서 발생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터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서포터유닛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포터유닛이 모니터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모니터수납구를 메우는 마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monitor receiv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a top plate thereof and having a cover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And a lifting unit installed in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to lift the monitor up and down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so as to use or store the monitor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A supporter unit detachably installed to protect the monitor from an impact caused by the cover plate that is opened when the monitor is passed through the monitor receiver; Driving means for generating an elevating driving force of the supporter unit;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supporter unit by an elevating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ans; And a finishing unit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er unit to fill the monitor receiver when the supporter unit is in a monitor use position.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구동단이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가동단이 상기 서포터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에서 발생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터유닛을 승강시키는 도르래뭉치; 및 상기 도르래뭉치의 가동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상기 서포터유닛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or means includes a pulley bundle which has a driving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and a movabl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to elevate the supporter unit by an elevating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ans; And a guide rod connected to the movable end of the pulley bundl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pporter unit moving up and down.

또한, 상기 도르래뭉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직결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위쪽에 고정된 고정풀리; 및 일단이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 고정되며, 상기 고정풀리를 거친 타단이 상기 서포터유닛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pulley bundle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A stationary pulley fixed above the drive pulley; And a wire having one end wound and fixed to the driving pulle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via the fixed pulley.

또한, 상기 도르래뭉치는, 상기 구동수단에 직결된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 위쪽에 고정된 고정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고정풀리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가동단으로서 상기 서포터유닛에 직결된 가동풀리; 및 일단이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 고정되며, 상기 고정풀리 및 상기 가동풀리를 거친 타단이 상기 고정풀리 위쪽에 고정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pulley bundle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A stationary pulley fixed above the drive pulley; A movable pulley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as a movable end reciprocating between the driving pulley and the fixed pulley; And a wire having one end wound and fixed to the drive pulley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ulley and the movable pulley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pulley.

또한, 상기 서포터유닛은, 상기 안내봉 둘레에 미끄럼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감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 위로 세워져 상기 모니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을 개방할 때 상기 덮개판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모니터를 보호하는 거치겸 보호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er unit may include: a support bracket that is slidably guided around the guide rods and supports the finishing means; And a mounting bracket that is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to mount the monitor and protects the monitor from impact by the cover plate when the cover plate is opened.

또한, 상기 거치겸 보호대는 상기 덮개판을 개방할 때 상기 덮개판과 접촉하는 부위에 부착되어 접촉소음을 제거하는 완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attached to a portion contacting the cover plate when the cover plate is opened to remove contact noises.

또한, 상기 모니터수납구는, 후단 모서리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결합된 상기 덮개판이 상기 모니터수납구를 폐쇄한 때, 상기 덮개판의 선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선단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 상에 장착되어 상기 덮개판 선단 모서리와의 접촉소음을 제거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nitor housing may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along a leading edge of the cover plate so that a front edge of the cover plate is seated when the cover plate is pivotally coupled along a rear edge and the monitor body closes the monitor. And a buffer member mounted on the latching jaw to remove contact noise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cover plate.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합성수지재의 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member is a tu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상기 마감수단는 상기 모니터수납구와 대응하는 외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판은 상면의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모니터 수납 시 위에 놓인 물품이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턱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nishing means may comprise a flat plate having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and the flat plate may further protrude along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article placed on the monitor storage member from falling downward desirable.

본 발명의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에 따르면, 모니터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의 모니터 수납부인 서포터유닛이 지지브래킷과 거치겸 보호대로 이루어지는 바, 거치겸 보호대를 통해 모니터를 걸어 거치함과 동시에 보호하므로, 승강부를 상판 위로 승강시킬 때 거치겸 보호대가 모니터수납구를 덮고 있는 덮개판를 밀어 개방할 뿐, 모니터는 덮개판과 전혀 충돌을 일으키지 않게 되어, 모니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별도로 모니터를 고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 중 모니터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utomatic monitor storag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er unit, which is the monitor storage por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monitor, is composed of the supporting bracket and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ans. When lifting the monitor, the monitor and the monitor can be protected by simply pushing the cover plate that covers the monitor compartment, and the monitor does not collide with the cover plate at all.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ix the monitor separately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the monitor can be freely moved during use, and the eas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덮개판과 접촉이 발생하는 거치겸 보호대의 상단 및 모니터수납구의 걸림턱에 완충부재를 부착함으로써, 거치겸 보호대 또는 걸림턱과 덮개판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Further, by attaching the cushioning member to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and the latching jaws of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id plate, noise due to contact between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or the latching jaw and the lid plate can be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아울러, 승강부의 승강수단으로서 도르래 뭉치를 채용함으로써, 모니터 무게에 따른 출력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승강부를 조립할 수 있어 출력에 따른 제품의 맞춤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by adopting the pulley bundle as the raising and lowering means of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the raising and lowering unit can be assembled by setting various outputs according to the monitor weight, thereby facilitating the customized produc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output.

도 1은 종래의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중 승강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승강부에서 거치겸 보호대를 떼어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승강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승강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중 완충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중 서포터유닛의 고정을 위한 스토퍼 및 고정 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monitor storage desk.
2 is a view illustrating a monitor automatic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monitor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automatic elevator for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s removed from the elevating portion shown in Fig. 5.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vating portion.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ifting portion shown in FIG. 5. FIG.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ock absorber in a monitor automatic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opper and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unit among the monitor automatic receiving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nitor automatic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책상은 도 2 내지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3)와 승강부(5)로 이루어진다.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3 and a lifting part 5 as shown in FIG. 2 to FIG.

여기에서, 먼저 상기 몸체부(3)는 일반적인 책상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책상(1)의 사용면을 제공하는 상판(7)과 이 상판(7)을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다리(9)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의 책상(1)은 상판(7)의 일측, 예를 들어 후단 중앙에 모니터수납구(11)가 절결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part 3 is a basic structure of a general desk. The body part 3 includes an upper plate 7 for providing the use surface of the desk 1, and a leg supporting the upper plate 7 9). However, in the desk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 receiving slot 11 is cut out at one side of the upper plate 7, for example, at the rear end center.

또한, 상판(7)은 모니터(M)를 사용하지 않을 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수납구(11)를 막고, 모니터(M)를 사용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수납구(11)를 개방하는 덮개판(13)이 구비된다.2, when the monitor M is not used, the upper plate 7 closes the monitor 11, and when the monitor M is used, A cover plate 13 which opens is provided.

이러한, 모니터수납구(11)를 개폐하는 덮개판(13)은 모니터수납구(11)와 대응하는 외곽 형상을 갖는 바, 다양한 방식으로 책상(1) 즉, 상판(7)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덮개판(13)은 상판(7) 안으로 삽입되는 미닫이 식으로 또는 연계부가 없는 별체의 뚜껑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덮개판(13)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고려할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뒤쪽 모서리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피벗하도록 모니터수납구(11)의 후단 모서리를 따라 힌지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d plate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has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and can be mounted on the desk 1 or the upper plate 7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drawings, the cover plate 13 can be manufactured as a slide type in which the slide plate 13 is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7, or as a separate lid without a connection portion. However, when considering that the cover plate 13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t is preferable to hingingly engage with the rear end edge of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to pivot with the rear edge portion as a rotation axis, as shown in Fig. 4 .

다만, 위와 같이 덮개판(13)을 모니터수납구(11)의 후단 모서리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결합한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판(13)이 모니터수납구(11)를 폐쇄했을 때 덮개판(13)의 선단 모서리를 안착할 수 있도록 도 4에 A로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수납구(11)의 선단 모서리를 따라 걸림턱(12)을 돌출시킨다.However, when the cover plate 13 is pivotally rotat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monitor 11 as shown in Figs. 2 and 3, when the cover plate 13 closes the monitor 11 The engaging protrusion 12 is protruded along the leading edge of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as shown in detail in FIG. 4A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cover plate 13 can be seated.

이때, 걸림턱(12) 위에 완충부재(19)를 부착함으로써 덮개판(13) 선단 모서리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여 접촉소음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러한 완충부재(19)로는 고탄력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완충부재(19)는 링거호스로 많이 사용하는 합성수지재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by attaching the buffer member 19 to the latching jaw 12, the impact due to the contact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lid plate 13 can be alleviated and the contact noise can be removed. As the buffer member 19,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19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widely used as a ringer hose.

이때, 완충부재(19)는 모니터수납구(11)의 걸림턱(12)를 따라 배치되어 덮개판(13)이 모니터수납구(11)를 닫을 때 발생하는 접촉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완충부재(19)가 모니터수납구(11)의 걸림턱(12)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완충부재(19)와 덮개판(13)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완충부재(19)와 덮개판(13)의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어 덮개판(13)이 모니터수납구(11)를 닫을 때 발생하는 접촉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shioning member 19 is disposed along the latching jaw 12 of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so that the contact noise generated when the cover plate 13 closes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can be minimized. Particularly, since the cushioning member 19 is disposed along the engaging step 12 of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ushioning member 19 and the lid plate 13 is increased so that the cushioning member 19 and the lid plate 13 can be dispersed so that the contact noise generated when the cover plate 13 closes the monitor 11 can be minimized.

한편, 승강부(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니터(M)를 책상(1)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기구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1)의 후방에 설치되는 바, 책상(1) 후방에 다리(9)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판(15)이 있는 경우에는 가로판(15)에 직접 장착되며, 가로판(15)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판(15)이 있는 경우에도 별도의 승강부 케이스(17)를 추가하여 이 승강부 케이스(17) 내에 승강부(5)를 수납함으로써, 승강부(5)를 보호할 수도 있다.3 and 5, the elevating unit 5 is a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monitor M up and down the desk 1 in response to a user's operation. And a transverse plate 15 connecting between the legs 9 on the rear side of the desk 1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transverse plate 15. In the case where the transverse plate 15 is not provided, . 3, a separate elevator case 17 is added to accommodate the elevator unit 5 in the elevator unit case 17, so that the elevator unit 5 can be mounted on the elevator unit 5, .

이와 같이, 책상(1)의 상판(7) 아래에서 모니터수납구(11) 내에 설치되는 승강부(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또는 승강부 케이스(17) 바닥에 세워진 지지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따라 사용 시에는 모니터(M)를 상판(7) 위의 사용위치로 상승 이동시키는 반면, 사용 후 보관 시에는 사용위치에 있는 모니터(M)를 상판(7) 아래의 보관위치로 하강 이동시킨다.5 and 6, the elevating portion 5 provided in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below the upper panel 7 of the desk 1 is mounted on the floor or on the floor of the elevating portion case 17 The monitor M is lifted up to the use position on the upper plate 7 in use according to an operation instruction of the user while the monitor M is lifted up to a use position M to the storage position below the upper plate 7. [

이를 위해, 승강부(5)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유닛(21), 구동수단(23), 승강수단(25), 및 마감수단(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o 6, the elevating unit 5 includes a supporter unit 21, a driving unit 23, an elevating unit 25, and a finishing unit 27.

여기서, 서포터유닛(21)은 모니터(M)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5)가 모니터 사용위치에 있을 때, 모니터수납구(11)를 통과해 상판(7) 위로 높이 연장되는 바, 책상(1)에 앉은 사용자 눈높이에 모니터(M)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준다.4, the supporter unit 21 is a support member on which the monitor M is detachably installed. When the elevator unit 5 is in the monitor use position, the supporter unit 21 passes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slot 11 The monitor (M) can be installed at the user's eye level sitting on the desk (1).

이러한 서포터유닛(21)은 지지브래킷(31)과 거치겸 보호대(33)로 이루어지는 바, 지지브래킷(31)은 아래 설명되는 승강수단(25)의 안내봉(43)에 서포터유닛(21)이 장착되도록 하는 지지체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봉(43)의 둘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내봉(4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지지브래킷(31)은 그 상면에 마감수단(27)을 장착하여, 마감수단(27)도 함께 안내봉(4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The supporter unit 21 comprises a support bracket 31 and a mounting bracket 31. The supporting bracket 31 is attached to the guide rod 43 of the elevating means 25 As shown in Fig. 5, is slidably mounted around the guide rod 43,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43. As shown in Fig. The supporting bracket 31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means 27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inishing means 27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 43 together.

한편, 거치겸 보호대(33)는 서포터유닛(21)에 설치되는 모니터(M)를 거치와 동시에 보호하는 지지체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31)의 상면 후방에서 위로 길게 연장되어 모니터(M)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ounting and protection block 33 is a support for protecting the monitor M installed on the supporter unit 21 at the same time as the mounting and protecting the monitor M from behi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31 So that the monitor M is installed.

이를 위해 거치겸 보호대(33)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고리(35)와 같은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이 전면 상측부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거치겸 보호대(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M)를 보관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니터수납구(11)를 통과할 때 접촉하는 덮개판(13)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단부분이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 있을 뿐 아니라, 원호형의 상면에 고무패드와 같은 완충유닛(37)이 부착되어 있다.To this end,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is protruded from the front upper side by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such as a latching ring 35, as shown in Fig. 7, when the monitor M passes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o move the monitor M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use position, the mounting / An upper end portion is bent in an arc shape, and a shock absorbing unit 37 such as a rubber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c shape.

따라서, 거치겸 보호대(33)는 모니터수납구(11)를 통과하는 동안 덮개판(13)과의 충돌로부터 모니터(M)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덮개판(13)을 개방하면서 발생하는 접촉소음을 완충유닛(37)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unting and protection block 33 not only protects the monitor M from collision with the cover plate 13 while passing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but also protects the monitor M from the contact noise generated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Can be removed by the shock absorber unit 37.

이러한 완충유닛(37)은 앞서 설명한 고무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덮개판(13)과 선접촉과 동시에 회전하는 롤러(37d)가 마련되어 접촉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buffer unit 37 may be made of the rubber pad described above. In some cases, however, a roller 37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line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13 as shown in FIG. 10 is provided to minimize the contact noise have.

즉, 도 10에 도시된 완충유닛(37)은 거치겸 보호대(33)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 편(37a)과, 지지 편(37a)에 각각 형성된 이격 홀(37b) 내에 개재되는 지지 축(37c) 및 지지 축(37c)에 개재되어 덮개판(13)을 개방할 때 덮개판(13)과 선 접촉하는 롤러(37d)로 구성된다.10 has a pair of support pieces 37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 and protection block 33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37b interposed in the separation hole 37b formed in the support piece 37a And a roller 37d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shaft 37c and the support shaft 37c and in line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13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완충유닛(37)은 거치겸 보호대(33)의 상면에 마련되면 거치겸 보호대(33)가 덮개판(13)과 접촉할 때 덮개판(13)이 롤러(37d)와 선접촉하면서 구름운동하기 때문에 접촉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buffering unit 37 having such a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so that when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contacts the covering plate 13, The contact noise can be minimized since the rolling contact is performed.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37d)가 적용된 완충유닛(37)은 앞선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37d)와 덮개판(13)이 접촉할 때 롤러(37d)가 이동하여 완충할 수 있게 지지 편(37a)에 형성된 이격 홀(37b)은 거치겸 보호대(33)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 축(37c)과 이격 홀(37b)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7e)가 개재되어 롤러(37d)가 덮개판(13)과 접촉할 때 지지 축(37c)이 이격 홀(37b)을 따라 하강하여 덮개판(13)과 롤러(37d)의 충격을 완화시켜 롤러(37d)와 덮개판(13)의 접촉소음 및 충격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In some cases, the buffer unit 37 to which the roller 37d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when the roller 37d and the lid plate 1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oller 37d moves and the buffering hole 37b formed in the supporting piece 37a is lifted And an elastic member 37e such as a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shaft 37c and the spacing hole 37b so that when the roller 37d contacts the cover plate 13, the support shaft 37c is spaced apart So that the impact of the cover plate 13 and the roller 37d is relieved to minimize contact noise and impact force between the roller 37d and the cover plate 13. [

한편, 구동수단(23)은 모니터(M)를 승강시키는 서포터유닛(21)의 승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모터(39)와 감속기어뭉치(38)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the servomotor 39 and the servomotor 39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nitor M,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reduction gear group 38 as a reduction gear group.

여기서, 서보모터(3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부의 구동명령에 따라 작동 또는 정지하는 바, 감속기어뭉치(38)를 거쳐 승강수단(25) 즉, 아래에 설명되는 승강수단(25)의 구동풀리(45)에 직결됨으로써 승강수단(25)를 구동시킨다.Here, the servomotor 39 is operated or stopped in response to a driv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servomotor 39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ans 25, that is, the elevating means 25 described below And is directly coupled to the drive pulley 45 to drive the elevating means 25.

이를 위해, 서보모터(39)는 지지프레임(20) 하단에 장착되며, 감속기어뭉치(38)를 통해 구동풀리(45)와 연결된다, 이때, 감속기어뭉치(38)는 서보모터(39)의 구동토크를 증폭시킬 뿐 아니라, 전동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servo motor 39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 and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45 through the reduction gear set 38. At this time, the reduction gear set 38 is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39, Not only amplifies the driving torque of the vehicle, but also functions to switch the electric direction to a right angle.

상기 승강수단(25)은 위와 같이 구동수단(23)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는 동작부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서포터유닛(21)의 스트로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는 도르래뭉치(41)와, 이 도르래뭉치(41)의 가동단에 연결된 서포터유닛(21)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봉(43)으로 구성된다. 5 and 6, the elevating means 25 includes a supporter unit 21 and a supporter unit 21. The supporter unit 21 includes a supporter unit 21, And a guide bar 43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pporter unit 21 connected to the movable end of the sheave 41. [

여기서, 도르래뭉치(41)는 서포터유닛(21)의 승강동작을 실질적으로 만들어 내는 동작부로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서포터유닛(21)의 스트로크 즉, 이동거리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Here, the pulley bundle 41 is an operating portion that substantially produces a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er unit 21, and can ensure a sufficiently long stroke, that is, a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er unit 21,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도르래뭉치(4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르래뭉치(41)의 동작을 일으키는 구동단 즉, 구동풀리(45)가 구동수단(23)의 서보모터(39)와 연결되며, 서포터유닛(21)의 승강을 가져오는 가동단은 서포터유닛(21)의 지지브래킷(31)에 연결되고, 따라서, 구동수단(23)에서 발생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게 된다.5 and 6, the pulley bundle 41 has a drive end which causes the operation of the pulley bundle 41, that is, a drive pulley 45, which is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39 of the drive means 23, And the movable end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upporter unit 2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31 of the supporter unit 21 so that the supporter unit 21 ).

그런데, 위와 같이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는 도르래뭉치(41) 또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르래뭉치(41)의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구동풀리(45), 고정풀리(47), 및 와이어(51)로 구성될 수 있다.Incidentally, the pulley bundle 41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upporter unit 21 can also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pulley bundle 41 may be constituted by a drive pulley 45, a stationary pulley 47, and a wire 51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8 as the simplest structure.

이때, 상기 구동풀리(45)는 도시된 것처럼, 지지프레임(20)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수단의 서보모터(39)에 직결되는 바, 서보모터(3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이어(51)를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drive pulley 4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o motor 39 of the drive means. As the drive pulley 45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39 And serves to wind or unwind the wire 51.

또한, 고정풀리(47)도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45) 위쪽에 고정되는 바, 서포터유닛(21)의 충분한 승강 스트로크를 확보하도록 위쪽으로 충분히 이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고정풀리(47)는 구동풀리(45)에 의해 와이어(51)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180도 바꿔 주는 역할을 한다.5, 6, and 8, the fixed pulley 47 is also fixed above the drive pulley 45, and is sufficiently spaced upwardly to secure a sufficient lift stroke of the supporter unit 21 . Accordingly, the fixed pulley 47 serv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51 by the drive pulley 45 by 180 degrees.

그리고, 와이어(51)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단인 구동풀리(45)에 감겨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단으로서 서포터유닛(21)에 연결되며, 중간 부분이 고정풀리(47)에 걸쳐져 구동풀리(45)와 서포터유닛(21)을 연계시킨다. 따라서, 이 도르래뭉치(41)에 의하면, 구동수단(23)은 일대일의 비율로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게 된다.5, 6 and 8, one end of the wire 51 is wound and fixed to a drive pulley 45 having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21 as a movable end,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is over the fixed pulley 47 to connect the drive pulley 45 and the supporter unit 21. [ Thus, according to the sheave 41, the driving means 23 lifts up the supporter unit 21 at a one-to-one ratio.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도르래뭉치(41)는 구동풀리(45), 고정풀리(47), 가동풀리(49), 및 와이어(51)로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서, 구동풀리(45)와 고정풀리(47)는 위 도 8의 구동풀리(45) 및 고정풀리(47)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으로서,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5, 6 and 9 includes a drive pulley 45, a fixed pulley 47, a movable pulley 49, and a wire 51. The pulley 41, Here, the drive pulley 45 and the stationary pulley 47 have exactly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e pulley 45 and the stationary pulley 47 of Fig. 8, and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다만, 가동풀리(49)는 승강수단(25)의 가동단으로서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구동풀리(45)와 고정풀리(47) 사이를 왕복운동하도록 와이어(51)에 지지되는 바, 회전축(53)이 서포터유닛(21)의 지지브래킷(31)에 결합됨으로써 와이어(51)에 의해 승강할 때 서포터유닛(21)도 함께 승강시키게 된다. The movable pulley 49 is supported on the wire 51 so as to reciprocate between the drive pulley 45 and the fixed pulley 47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9 as a movable end of the lifting means 25, The rotating shaft 53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bracket 31 of the supporter unit 21 so that the supporter unit 21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wire 51. [

또한, 이 실시예에서 와이어(51)는 일단이 구동풀리(45)에 감겨 고정되는 것은 도 8의 그것과 동일하나, 타단은 또 다른 고정단으로서 고정풀리(47)와 가동풀리(49)를 거쳐 고정풀리(47) 위쪽에서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된다. 이때, 도 9의 도르래뭉치(41)는 도 8의 도르래뭉치(41)보다 가동풀리(49)를 더 포함하고 있으므로, 서포터유닛(21)의 무게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8 in which one end of the wire 51 is wound and fixed to the drive pulley 45 in this embodimen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ed pulley 47 and the movable pulley 49 An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20 above the stationary pulley 47. At this time, since the pulley bundle 41 of FIG. 9 further includes the movable pulley 49 than the pulley bundle 41 of FIG. 8, the weight of the supporter unit 21 can be doubled.

한편, 상기 안내봉(43)은 위와 같은 도르래뭉치(41)의 가동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서포터유닛(2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내봉(43)의 둘레에 끼워지는 서포터유닛(21) 즉, 서포터유닛(21)의 지지브래킷(31)을 도르래뭉치(41)의 승강동작에 따라 상하 수직방향으로 안내한다.5 and 6, the guide rod 43 is a means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pporter unit 21 connected to the movable end of the pulley bundle 41, The support bracket 43 of the supporter unit 21 which is sandwiched around the guide bar 43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1 are guided in the up-and-down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perations of the sheaves 41.

그리고, 마감수단(27)은 서포터유닛(21)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 서포터유닛(21)으로 인해 개방된 모니터수납구(11)를 메우는 칸막이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유닛(21)의 하단에서 모니터수납구(11)에 정합되도록 지지브래킷(31) 상에 설치된다.The finishing means 27 is a partitioning member that fills the monitor opening 11 opened by the supporter unit 21 when the supporter unit 21 is in the use position, 21 on the support bracket 31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이때, 마감수단(27)은 상판(7)과 같은 평판으로서, 모니터수납구(11)에 정합되도록 모니터수납구(11)와 대응하는 외형을 갖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에 키보드(K)나 마우스 등을 함께 올려, 승강부(5)가 모니터 보관위치에 있을 때 마감수단(27)과 함께 키보드(K) 등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inishing means 27 is a flat plate like the upper plate 7 and has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monitor receiving portion 11. As shown in FIG. 4, A mouse or the like may be put together so that the keyboard K and the like can be housed together with the finishing means 27 when the elevator unit 5 is in the monitor storage position.

다만, 마감수단(27)은 도 4에 A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상면의 모서리를 따라 낙하방지턱(55)이 돌출됨으로써, 모니터수납구(11) 내에 모니터(M)를 수납할 때 상면에 놓인 키보드(K) 등이 아래로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4, when the monitor M is housed in the monitor 11, the falling stop 27 protrudes along the corn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nitor 27, (K) do not fall down.

이때, 마감수단(27)보다 폭이 큰 키보드(K)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낙하방지턱(55) 앞쪽 부분과 거치겸 보호대(33) 앞면 사이에 키보드(K)를 반 정도 세워서 수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마감수단(27)은 키보드(K)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구성되고, 전면 테두리 또는 측면 테두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술한 낙하방지턱(55)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키보드(K)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상태로 세워져서 보관된다.4, the keyboard K is placed halfway between the front portion of the fall preventing tab 55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33, You may. To this end, the closing means 27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keyboard K,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edge and the side edge is provided with the drop prevention tongue 55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keyboard K is erected and stored in an inclined state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따라서, 마감수단(27)은 작은 크기(폭)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모니터수납구(11)를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키보드(K)를 경사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K)의 후방에 미도시된 마우스 또는 필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finishing means 27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width), the above-described monitor 11 can be formed small, thereby improving manufacturing cost and aesthetics. In addition, since the keyboard K can be stored in an inclined state, a mouse, a writing instrument or the like not shown in the rear of the keyboard K can be stored,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1)의 동작을 설명하면, 모니터(M)가 필요 없는 작업을 할 때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부(5)는 상판(7) 아래인 모니터수납구(11) 내에서 모니터(M)를 보관위치에 수납한다.2, 3, and 5, when the monitor M is not required, the elevating unit 5 is moved up and down by the upper plate 7 The monitor M is housed in the storage position in the monitor 11,

이때, 상판(7) 아래에 위치하는 승강부(5)의 구동수단(23) 및 승강수단(25)은 물론, 서포터유닛(21) 및 마감수단(27)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M)와 함께 상판(7) 아래에 수납된다. 또한, 모니터수납구(11)는 덮개판(13)에 의해 마감되어, 상판(7)과 같은 높이에 작업면을 제공한다. 또, 승강부 케이스(17)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되어 내부에 수납된 승강부(5)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pporter unit 21 and the finishing means 27 as well as the driving means 23 and the elevating means 25 of the elevating portion 5 located below the upper plate 7 are also moved to the monitor M and the upper plate 7 together. Further,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is closed by the cover plate 13 to provide a work surface at the same height as the top plate 7. [ 3, the lifting portion case 17 is closed so that the lifting portion 5 housed therei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모니터(M)를 사용하기 위해 승강부(5)를 작동시키면, 승강부(5)는 구동수단(23)의 서보모터(39)가 동작됨에 따라 승강수단(25)에 의해 서포터유닛(21)과 마감수단(27)을 도 5에 도시된 보관위치에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들어올린다. 즉, 서보모터(39)에 의해 발생된 승강 구동력은 감속기어뭉치(38)를 통과하면서 감속되어 큰 토크로 승강수단(25)의 구동단에 위치한 구동풀리(45)를 회전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elevator unit 5 to use the monitor M, the elevator unit 5 is operated by the elevator means 25 as the servomotor 39 of the driving unit 23 is operated The supporter unit 21 and the finishing means 27 are lifted from the storage position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That is, the lift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servo motor 39 is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eduction gear set 38 to rotate the driving pulley 45 located at the driving end of the elevating means 25 with a large torque.

이에 따라 구동풀리(45)가 도 9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풀리(45)에 감긴 와이어(51)도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고정풀리(47)를 경유하면서 이동방향이 위로 바뀐 와이어(51)에 의해 가동풀리(49)가 화살표(D) 방향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가동풀리(49) 회전축(53)에 결합된 서포터유닛(21)도 가동풀리(49)와 함께 상승하여,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거치겸 보호대(33) 상단의 절곡부분에 의해 덮개판(13)을 밀고 올라가게 된다. 이때, 서포터유닛(21)의 화살표(D) 방향 이동거리는 와이어(51)의 화살표(C) 방향 이동거리의 절반이 되며, 이와 같이 거치겸 보호대(33)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완충유닛(37)이 덮개판(13)과 접촉하므로 접촉소음을 최소화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pulley 45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9, the wire 51 wound on the drive pulley 45 also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Accordingly, the movable pulley 49 rises in the direction of arrow D by the wire 51 whose moving direction is changed up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ed pulley 47. [ The supporter unit 21 coupled to the rotary shaft 53 of the movable pulley 49 also ascends together with the movable pulley 49 and is guided by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13). 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er unit 2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becomes half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wire 51 in the arrow C direction. As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ascends, So that contact noise is minimized.

그리고, 서포터유닛(2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에 도달하여 모니터가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서보모터(39)는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 등을 통해 위치를 감지하여 정지하고, 마감수단(27)은 모니터수납구(11)를 메워 마감하며, 이 상태에서 모니터(M)의 사용이 이루어진다.4, the supporter unit 21 reaches the top dead center, and the monitor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is time, the servo motor 39 detects the position through the limit switch or the like and stops , The finishing means 27 is closed by closing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and the monitor M is used in this state.

모니터(M)의 사용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모니터(M) 원래의 보관위치로 모니터를 되돌리게 되는 바, 그전에 먼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수단(27) 위에 키보드(K)나 마우스를 올려 함께 수납하여도 좋다. 다만, 이때 키보드(K)는 그 폭이 모니터수납구(11)보다 크므로, 사용자는 거치겸 보호대(33)와 낙하방지턱(55) 사이에 키보드(K)를 경사지게 걸쳐 수납하게 된다.When the use of the monitor M is finished, the user returns the monitor back to the original storage position of the monitor M. First, as shown in Fig. 4, It may be stacked together. At this time, since the width of the keyboard K is larger than that of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he user holds the keyboard K in an inclined manner between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33 and the falling preventing chin 55.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작정지버튼을 누르면, 서보모터(39)는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9의 화살표(B) 반대방향으로 구동풀리(45)도 역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서포터유닛(21)이 화살표(D) 반대방향으로 하강하면, 덮개판(13)은 다시 도 7의 위치로 피벗 회전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stop button in this state, the servo motor 39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drive pulley 45 also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At the same time, when the supporter unit 21 desce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D, the cover plate 13 pivots again to the position of Fig.

이에 따라, 덮개판(13)과 거치겸 보호대(33)의 접촉이 떨어지면, 덮개판(13)은 모니터수납구(11)의 걸림턱(12)에 걸려 모니터 사용 전 위치로 복귀되는데, 이때 덮개판(13)의 선단모서리 부분이 걸림턱(12)의 완충부재(19)에 접촉되므로, 마찬가지로 접촉소음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cover plate 13 and the mounting and protecting bracket 33 is broken, the cover plate 13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12 of the monitor 11 and returned to the position before the monitor is used. At this time, Since the tip end edge portion of the protrusion 13 is in contact with the buffer member 19 of the latching jaw 12, almost no contact noise is generated.

최종적으로, 서포터유닛(21)이 하사점에 이르면, 서보모터(39)는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정지하여 서포터유닛을 상판 아래에 수납시키게 된다.Finally, when the supporter unit 21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servo motor 39 is stopped by the limit switch or the like, and the supporter unit is housed under the upper pla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모니터를 상판 위로 인출시키거나 상판 아래로 인입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The automatic monitor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easily used because the user can draw the monitor onto the top board or draw it under the top board if necessary.

또한, 거치겸 보호대에 완충유닛이 마련되어 모니터가 상판 위로 인출될 때 완충유닛이 거치겸 보호대와 덮개판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 및 접촉소음을 최소화시켜 모니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도서실과 같은 정숙한 장소에서 본 발명의 책상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unit is provided on the mounting and protecting unit to minimize shock and contact noise caused by collision between the mounting and protecting plate and the cover plate when the monitor is pulled out onto the top plate,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monitor. The inventive desk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예를 들어, 서포터유닛(21)이 안내봉(43)을 따라 이동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했을 때 그 높이에 서포터유닛(21)이 고정되도록 지지프레임(20)에 다수의 고정 홀(20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20a)에 스토퍼(20b)가 삽입되어 서포터유닛(21)을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 plurality of fixing holes 20a ar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0 so that the supporter unit 21 is fixed at the height when the supporter unit 21 moves along the guide bar 43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stopper 20b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0a to fix the supporter unit 21.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중 서포터유닛의 고정을 위한 스토퍼 및 고정 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 홀(20a)은 지지프레임(20)을 따라 다수 형성되고, 스토퍼(20b)는 고정 홀(20a)을 관통하여 고정 홀(20a)로부터 돌출된 스토퍼(20b)의 선단이 지지브라킷(31)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고정 홀(20a)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stopper and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upporter unit among the monitor automatic receiving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0a are formed along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stopper 20b is fixed to the stopper 20b through the fixing hole 20a and protruded from the fixing hole 20a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0a so that the tip thereof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bracket 31. [

이때,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되는 고정 홀(20a)은 그 위치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H1, H2, H3의 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0) 중 H1에 해당하는 고정 홀은 구동수단(23) 등의 고장에 따라 작업자가 원활하게 구동수단(23)을 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고정 홀을 관통한 스토퍼에 서포터유닛(21)이 지지되는 높이에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hole 20a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thereof is H1, H2, H3 from the groun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H1 of the supporting frame 20 is fixed to the stopp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so that the operator can smoothly repair the driving means 23 in accordance with the failure of the driving means 23 And is formed at a height at which the supporter unit 21 is supported.

또한, H2에 해당하는 고정 홀은 그 위치가 모니터수납구(11)에 마감수단(27)이 정합되었을 때 서포터유닛(21)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프레임(20)의 중심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고정 홀을 관통한 스토퍼에 서포터유닛(21)이 지지되는 높이에 형성된다.The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H2 is form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20 so that the supporter unit 21 does not descend when the position thereof is matched with the finishing means 27 to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At a height where the supporter unit 21 is supported on the stopper that penetrates the supporter 21.

그리고, H3에 해당하는 고정 홀은 그 위치가 책상을 운반할 때 서포터유닛(21)이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책상의 무게 중심이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서포터유닛(2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홀을 관통한 스토퍼에 서포터유닛이 지지되는 높이에 형성된다.The fixing hole corresponding to H3 moves the supporter unit 21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esk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er unit 21 when the supporter unit 21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ing frame 20 So that the supporter unit is supported by the stopp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1 : 책상 3 : 몸체부
5 : 승강부 7 : 상판
11 : 모니터수납구 12 : 걸림턱
13 : 덮개판 15 : 가로판
17 : 승강부 케이스 19 : 완충부재
20 : 지지프레임 20a : 고정 홀
20b : 스토퍼 21 : 서포터유닛
23 : 구동수단 25 : 승강수단
27 : 마감수단 31 : 지지브래킷
33 : 거치겸 보호대 35 : 걸림고리
37 : 완충유닛 39 : 서보모터
41 : 도르래뭉치 43 : 안내봉
45 : 구동풀리 47 : 고정풀리
49 : 가동풀리 51 : 와이어
53 : 낙하방지턱
1: desk 3:
5: elevating part 7: top plate
11: Monitor receiving opening 12:
13: cover plate 15:
17: elevating part case 19: buffering member
20: Support frame 20a: Fixing hole
20b: stopper 21: supporter unit
23: driving means 25:
27: closing means 31: supporting bracket
33: Mounting and protection 35:
37: buffer unit 39: servo motor
41: pulley bundle 43: guide rod
45: drive pulley 47: fixed pulley
49: movable pulley 51: wire
53:

Claims (11)

상판(7) 일측에 모니터수납구(11)가 절결되되, 상기 모니터수납구(11)를 개폐하는 덮개판(13)을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3); 및
상기 모니터수납구(11) 내에 설치되어 모니터(M)를 수납하되, 동작명령에 따라 상기 모니터(M)를 사용 또는 보관하도록 상기 모니터수납구(11)를 통해 상기 상판(7)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부(5)는,
상기 모니터(M)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모니터(M)가 상승하면서 상기 모니터수납구(11)를 통과할 때 개방되는 상기 덮개판(13)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모니터(M)를 보호하는 서포터유닛(21);
상기 서포터유닛(21)의 승강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23);
상기 구동수단(23)에서 발생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5); 및
상기 서포터유닛(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서포터유닛(21)이 모니터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모니터수납구(11)를 메우는 마감수단(27);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5)은,
구동단이 상기 구동수단(23)에 연결되고 가동단이 상기 서포터유닛(2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23)에서 발생된 승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터유닛(21)을 승강시키는 도르래뭉치(41); 및
상기 도르래뭉치(41)의 가동단에 연결되어 승강하는 상기 서포터유닛(2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봉(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포터유닛(21)은,
상기 안내봉(43) 둘레에 미끄럼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마감수단(27)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1); 및
상기 지지브래킷(31) 위로 세워져 상기 모니터(M)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13)을 개방할 때 상기 덮개판(13)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모니터(M)를 보호하는 거치겸 보호대(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겸 보호대(33)는 상기 덮개판(13)을 개방할 때 상기 덮개판(13)과 접촉하는 부위에 부착되어 접촉소음을 제거하는 완충유닛(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37)은,
상기 거치겸 보호대(33)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 편(37a);
상기 지지 편(37a)에 각각 형성된 이격 홀(37b) 내에 개재되는 지지 축(37c); 및
상기 지지 축(37c)에 개재되어 상기 덮개판(13)을 개방할 때 덮개판(13)과 선 접촉하는 롤러(37d);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편(37a)은 상기 이격 홀(37b)이 상기 거치겸 보호대(33)의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 축(37c)과 이격 홀(37b) 사이에 지지 축(37c)의 승강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7e)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A body part (3) having a cover plate (13) which is cut off at one side of the upper plate (7) and in which the monitor receiving part (11) is opened and clos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nitor M so that the monitor M can be used or stor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by being installed in the monitor 11, (5)
The elevating portion (5)
The monitor M is detachably installed so as to protect the monitor M from an impact caused by the cover plate 13 which is opened when the monitor M passes through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A supporter unit (21);
Driving means (23) for generating an elevating driving force of the supporter unit (21);
An elevating means (25) for elevating the supporter unit (21) by an elevating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ans (23); And
And a finishing means 27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er unit 21 to fill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when the supporter unit 21 is in the monitor use position
The elevating means (25)
Wherein the driving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23 and the movabl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21 so as to move the supporter unit 21 up and down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eans 23 41); And
And a guide rod (43) guid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pporter unit (21) connected to the movable end of the pulley bundle (41)
The supporter unit (21)
A support bracket 31 installed to guide the guide rod 43 slidably around the guide rod 43 to support the finishing means 27; And
The monitor M is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31 to mount the monitor M. The monitor M is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31 to protect the monitor M from an impact caused by the cover plate 13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33)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37 attached to a portion contacting the cover plate 13 to remove contact noise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The buffer unit (37)
A pair of support pieces 37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A support shaft 37c interposed in the spacing holes 37b formed in the support pieces 37a; And
And a roller (37d)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shaft (37c) and in line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13) when the cover plate (13) is opened,
The support piece 37a is formed such that the spacing hole 37b extends in the direction of elevation of the mounting and protecting member 33 and the support shaft 37c is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support shaft 37c and the spacing hole 37b And an elastic member (37e) for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37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뭉치(41)는,
상기 구동수단(23)에 직결된 구동풀리(45);
상기 구동풀리(45) 위쪽에 고정된 고정풀리(47); 및
일단이 상기 구동풀리(45)에 감겨 고정되며, 상기 고정풀리(47)를 거친 타단이 상기 서포터유닛(21)에 연결된 와이어(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3] The motorcy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ey bundle (41)
A drive pulley (45)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23);
A fixed pulley 47 fixed above the drive pulley 45; And
And a wire (51) whose one end is wound and fixed to the driving pulley (45)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pulley (47) is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뭉치(41)는,
상기 구동수단(23)에 직결된 구동풀리(45);
상기 구동풀리(45) 위쪽에 고정된 고정풀리(47);
상기 구동풀리(45)와 상기 고정풀리(47)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가동단으로서 상기 서포터유닛(21)에 직결된 가동풀리(49); 및
일단이 상기 구동풀리(45)에 감겨 고정되며, 상기 고정풀리(47) 및 상기 가동풀리(49)를 거친 타단이 상기 고정풀리(47) 위쪽에 고정된 와이어(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3] The motorcy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ey bundle (41)
A drive pulley (45)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23);
A fixed pulley 47 fixed above the drive pulley 45;
A movable pulley 49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er unit 21 as a movable end reciprocating between the driving pulley 45 and the fixed pulley 47; And
And a wire 51 whose one end is wound and fixed to the driving pulley 45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xed pulley 47 via the fixed pulley 47 and the movable pulley 49 Automatic desk storage monitor featu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수납구(11)는,
후단 모서리를 따라 피벗 회전하도록 결합된 상기 덮개판(13)이 상기 모니터수납구(11)를 폐쇄한 때,
상기 덮개판(13)의 선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선단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걸림턱(12); 및
상기 걸림턱(12) 상에 장착되어 상기 덮개판(13) 선단 모서리와의 접촉소음을 제거하는 완충부재(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 (11)
When the cover plate (13) coupled to pivot along the rear edge closes the monitor (11)
A latching protrusion 12 protruding along the leading edge so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cover plate 13 is seated; And
And a buffer member (19) mounted on the latching jaw (12) to remove contact noise with the leading edge of the cover plate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9)는 합성수지재의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said buffer member (19) is a tub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단(27)은 상기 모니터수납구(11)와 대응하는 외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판은 상면의 모서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모니터 수납 시 위에 놓인 물품이 아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턱(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osing means 27 is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n out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nitor receiving opening 11. The flat plate is protrud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prevent the article placed on top of the monitor from falling down Further comprising a bushing (55).
KR1020150094513A 2015-07-02 2015-07-02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KR1015818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13A KR101581881B1 (en) 2015-07-02 2015-07-02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13A KR101581881B1 (en) 2015-07-02 2015-07-02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67 Division 2014-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881B1 true KR101581881B1 (en) 2016-01-04

Family

ID=551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13A KR101581881B1 (en) 2015-07-02 2015-07-02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8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177A (en) * 2020-12-30 2021-03-26 石家庄书立贸易有限公司 Prevent hidden flat display screen support protection device that falls
KR20230045957A (en) * 2021-09-29 2023-04-05 문필상 Multipurpose desk having vertical type dra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792B1 (en) 2005-04-13 2006-07-28 이재섭 Table for computer
KR100720656B1 (en) * 2006-01-17 2007-05-21 서석호 Monitor receiving table
KR100740258B1 (en) * 2006-06-02 2007-07-18 박광수 Tv rack draw ing out system
KR101386561B1 (en) * 2013-07-24 2014-04-24 (주)청도산업 Computer desk w monitor the descen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792B1 (en) 2005-04-13 2006-07-28 이재섭 Table for computer
KR100720656B1 (en) * 2006-01-17 2007-05-21 서석호 Monitor receiving table
KR100740258B1 (en) * 2006-06-02 2007-07-18 박광수 Tv rack draw ing out system
KR101386561B1 (en) * 2013-07-24 2014-04-24 (주)청도산업 Computer desk w monitor the descen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45177A (en) * 2020-12-30 2021-03-26 石家庄书立贸易有限公司 Prevent hidden flat display screen support protection device that falls
KR20230045957A (en) * 2021-09-29 2023-04-05 문필상 Multipurpose desk having vertical type drawer
KR102609819B1 (en) * 2021-09-29 2023-12-05 문필상 Multipurpose desk having vertical type dra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834B2 (en) Tilting, retractable screen device for tables
KR101581881B1 (en) Automatically Monitor Receiving Type Desk
JP5767573B2 (en) Elevator maintenance equipment
KR101021008B1 (en) Monitor automatic collection type desk for computer
JP2019100000A (en) Sliding door device
KR100603792B1 (en) Table for computer
JP6236234B2 (en) Storage door opening / closing structure
JP2016014284A (en) Bicycle parking device
JP5597034B2 (en) Chair with table
KR101654925B1 (en) Apparatus to prevent sliding door from drooping for furniture
CN101799105B (en) Support fram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locked
CN203728116U (en) Belt breakage protection device with deceleration function
JP5268089B2 (en) Vehicle lift device
KR101855822B1 (en) storage closet with controlling height
JP4542853B2 (en) Lifting cabinet with door
JP6806271B2 (en) X-ray equipment
US5240315A (en) Sewing machine cabinet with manual lift
CN112431501A (en) Protector and aerial working equipment
KR20080005573U (en) Going up and coming down of monitor with table
JP2019156558A (en) Carrier unit and elevator
KR102628408B1 (en) Multi-function computer
JP2012184562A (en) Swing door having single swing/double swing switching mechanism
JP5224854B2 (en) Vehicle lift device
JP2001017245A (en) Furniture provided with lift box
KR100890271B1 (en) Up and down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