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115B1 - Dehumidifier - Google Patents

Dehumid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115B1
KR101581115B1 KR1020140040832A KR20140040832A KR101581115B1 KR 101581115 B1 KR101581115 B1 KR 101581115B1 KR 1020140040832 A KR1020140040832 A KR 1020140040832A KR 20140040832 A KR20140040832 A KR 20140040832A KR 101581115 B1 KR101581115 B1 KR 10158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dehumidifi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5564A (en
Inventor
이종수
윤상연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115B1/en
Publication of KR20150115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1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는 응축수가 집수된 워터탱크에 빛을 조사하여 워터탱크 내부의 수위 및 동작 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실내 공간에서 간접 조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firm the level and operation stat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by irradiating light to the water tank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indirect lighting in the indoor space .

Description

제습기 {Dehumidifier}Dehumidifier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일반적으로 제습기(除濕機)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濕度)를 낮추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dehumidifier sucks the humid air in the indoor space into the case,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lowers the humidity, and then discharges the dehumidified air back into the indoor space. (Humidity) of the apparatus.

즉,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되며, 제습된 상태의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 공간의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dehumidifier uses a method of taking heat from ambient air by evaporating refrigerant in a liquefied state in the evaporator. As the refrigerant evaporates,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becomes l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lso becomes lower. Accordingly, as the temperature around the evaporator is lowere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condensed and dew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the dehumidif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o lower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이와 같은 제습기는 근래에 들어 제습 성능의 향상과 사용의 편의를 위해 대용량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따라서 제습기의 제습 용량은 물론 그 크기가 큰 제품들이 선호되고 있다.Such a dehumidifier has been recently increased in capacity and functionalit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dehumidification performance and ease of use. Therefore, dehumidification capacity of the dehumidifier as well as products having a larger size are preferr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3417에는 증발기의 하방에 바스켓의 형태로 형성되어 응축된 물을 집수하여 저장하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습기에서는 상기 바스켓에 설정량 이상의 물이 집수되는 경우 상기 바스켓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바스켓의 내부의 물을 비우고 다시 장착하게 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3417 discloses a dehumidifier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sket below an evaporator and collects and stores condensed water. In the dehumidifier of such a structure, when water over a predetermined amount is collected in the basket, the user pulls the basket forward and empties the water in the basket and mounts the basket again.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478호에는 본체의 함몰된 물통 장착부에 물통이 장착되고, 물통 전면부에 구비된 물통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38478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bucket is mounted on a depressed bucket mounting portion of a main body, and a bucket is rotatably pulled out by operating a bucket handle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the bucket Lt; / RTI >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는 물통에 물이 채워지게 되면 물통을 분리하여 물을 비우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때, 물통은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물통의 수위 감지나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such conventional technologies, when the water tank is filled with water, the water tank is separated and the water is emptied. At this time, since the water tank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This is a difficult problem.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불가피하게 물통의 일부를 외부에서 식별가능한 형태로 만들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 실내가 어둡거나 원거리에서는 물통의 수위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넘침이 발생되거나 제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make a part of the water bottle in an identifiable form from the outside.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bottle in the dark room or the remote place, Problems such as failure to properly perform dehumidification may occu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축수가 집수된 워터탱크에 빛을 조사하여 워터탱크 내부의 수위 및 동작 상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실내 공간에서 간접 조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humidifier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water tank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to facilitate checking of the water level and operation state inside the water tank an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indirect lighting in the indoor spac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열교환모듈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열교환 모듈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집수되는 투명소재의 워터탱크; 상기 수직부에 개구되는 라이팅 홀을 차폐하는 분산부재와, 상기 분산부재를 투과하여 상기 워터탱크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라이팅 모듈; 상기 워터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석이 내장된 플로터; 상기 워터탱크의 일측 벽면에 상기 플로터가 수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며,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플로터 수용부; 및 상기 플로터 수용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직부에 제공되며, 상기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상기 센서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모듈은 다수의 색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모듈은 상기 수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모듈은 상기 제습기 일측에 구비되는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내 습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모듈과 상기 워터탱크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확인창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워터탱크가 수납되는 탱크 드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 드로워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 드로워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창은 좌우 양측 중 상기 라이팅 모듈과 먼 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워터탱크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습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위 감지부가 삽입되는 감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설정된 용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의 용량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은 수위 센서와 안전 센서의 감지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팅 모듈의 빛의 조사 방향은 상기 확인창이 개구된 방향과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탱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며 물이 수용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부 커버; 상기 집수부 커버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의 탈착을 위해 잡을 수 있는 탱크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터 탱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며 물이 수용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 커버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집수부의 상면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on which the heat exchange module is mounted and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 water tank of a transparent material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collecting moistur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module; A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shield a lighting hole open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member that transmits light toward the water tank through the dispersing member; A floa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and having a magnet therein; A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to receive the floater on on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ater according to a water level; And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facing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loater.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nsor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ighting module may emit light in a plurality of colors and emit light of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humidifier.
And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 of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And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s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room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humidifier.
Wherei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check window in which the light of the water tank is exposed to the outside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fram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and out, and includes a tank drawer in which the water tank is housed.
The tank drawer is formed with a transmissive portion which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module and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 check windo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drawer so as to be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And the confirmation window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ghting modul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Wherein the drawer comprises: a storage portion forming a space opened upward so that the water tank can be taken in and out; And a front surface portion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forming an out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ier.
The water level sensing part is protruded from the vertical part, and the drawer is formed with a tapered area into which the water level sensing part is inser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sensing part.
The senso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illed; And a safet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is greater than the capacity of the water level sensor,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s of different colors when sensing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safety sensor.
And the lighting direction of the lighting module is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confirmation window is opened.
The water tank may include: a collecting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containing water; A collecting part cover for covering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And a tank handle which is located in the water collecting cover and which can be held by the user for detachment of the water tank.
The water tank may include: a collecting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containing wa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is further formed in the collecting part cover so as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collecting part cover for cover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의하면, 응축수가 집수되는 워터탱크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고,외부에서 상기 워터탱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워터탱크 내부의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can be easily confirmed by irradi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and checking the water tank from the outside .

또한, 라이팅 모듈이 워터탱크 또는 제습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상기 제습기의 가까이에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상기 워터 탱크의 색상 만으로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 또는 상기 제습기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lighting module may illuminate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tank or the dehumidifier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or the state of the dehumidifier can be recognized only by the color of the water tank There is an advantage.

그리고, 상기 라이팅 모듈이 상기 워터탱크의 측방에서 빛을 조사하고, 상기 확인창이 상기 워터탱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에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외부로 분산될 수 있어 무드등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 from the 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confirmation windo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to the water tank can be uniformly dispersed to the outsid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탑 커버 어셈블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사이드 데코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 탱크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워터탱크의 내측으로 라이팅 모듈의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에서 확인창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가 가시화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14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조작 전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워터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using assembly which is an example of the dehumidifi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top cover assembly and a main body,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p cover assembly.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ide deco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uel assembly, which is one example of the dehumidifier.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ater tank assembly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uide assembly for guiding the drawing mouth of the water tank assembly.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of the lighting module is irradia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is visualized through a confirmation window in the water tank assembly.
14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in the state befo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taken out of operation.
15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with the water tank assembly drawn out.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gui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assembly is drawn out.
17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tilted after being drawn out.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guide assembly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tilted after being pulled out.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assemb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nd tha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devised by adding,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배치되며, 냉장실이 한쌍의 도어가 좌우로 배치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냉장고 도어에 디스펜서가 구비된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or compartment is dispos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in which a pair of doors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refrigerato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humid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습기(1)를 형성하는 본체가 전체적으로 상방에서 바라볼 때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forming the dehumidifi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above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제습기(1)의 외관은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팬 어셈블리(10) 그리고, 전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 그리고 좌우 양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0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outer casing of the dehumidifier 1 includes a top cover assembly 100 forming an upper surface, a base fan assembly 10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front case 200 and a rear case 300 ), And a side deck 400 that forms part of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상세히,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상기 제습기(1)의 상면 형상을 형성하며,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좌우 양측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제습기(1)의 이동시 파지하는 손잡이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top cover assembly 100 forms an upper surface shape of the dehumidifier 1, and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 handle hole 111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to allow a user to insert his / her hand and grasp it when the dehumidifier 1 is moved.

그리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전방에는 루버(130)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30)는 상기 제습기(1)의 내측에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구(131)가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130)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시에는 회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131)가 노출되며, 상기 제습기(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루버(130)는 모터(132)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1)의 동작시 자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토출구(131)를 개방하고 제습된 공기의 토출 방향 또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A louver 13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The louver 130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31 through which the dehumidifi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ehumidifier 1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top cover assembly 100. Therefore, when the dehumidifier 1 is in operation, the discharge port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ehumidifier 1 is not operated, the discharge port 131 is rotated So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plane as the top cover assembly 100 to form an outer appearance. The louver 130 is rotatably driven by a motor 132 and automatically rotates when the dehumidifier 1 is operated to open the discharge port 131 and adjust the discharging direction of the dehumidified air .

한편,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에는 조작부(151)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51)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조작을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루버(130)의 후방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상면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151)는 정전 방식의 터치 센서, 버튼, 스위치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151)와 인접한 일측에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p cover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51. The operation unit 151 is operated by the user for operating the dehumidifier 1 and is provided in the rear space of the louver 130 and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so as to be visible, Make operation possible. The operation unit 15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electrostatic touch sensor, a button, and a switch. Further, a display unit 152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humidifier 1 may be further formed on a side adjacent to the operation unit 151.

상기 베이스 팬 어셈블리(10)는 상기 제습기(1)의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팬(11)과 상기 베이스 팬(11)에 장착되는 바퀴(12)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팬(11)은 상기 제습기(1)의 주요 구성인 압축기(20)를 비롯하여 다수의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팬(11)에는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다수의 구성이 장착되더라도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1)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an assembly 10 includes a base fan 11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dehumidifier 1 and a wheel 12 mounted on the base fan 11. The base fan 11 provides a surface on which a number of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compressor 2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dehumidifier 1, can be installed. For this,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base pan 11 so that even if a plurality of structures are mounted, they are not deformed or damaged. The overall shape of the base pan 11 may be an ellipt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에는 바퀴(12)가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1)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바퀴(12)는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손잡이(40)를 잡고 이동시킬 때 상기 제습기(1)를 밀거나 끌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에 축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wheel 1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an 1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ehumidifier 1. [ Particularly, the wheel 1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n 11 so that the user can push or pull the dehumidifier 1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40 of the dehumidifier 1, And can b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한편, 상기 베이스 팬(11)의 상면 전단에는 베이스 롤러(13, 도 14에서 볼 때)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롤러(13)는 워터탱크(800)가 수납되는 탱크 드로워(710)가 전방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운동 하는 것으로,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롤러(13)보다 전방에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무게 중심이 위치되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틸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base roller 13 (as viewed in FIG. 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n 11. The base roller 13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drawer 710 when the tank drawer 710 accommodating the water tank 800 is pulled forwar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ank drawer 71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ase roller 13 and the tank drawer 710 can be tilted.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제습기(1)의 전면 외관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며 각각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베이스 팬(11)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 및 베이스 팬(11)의 둘레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form a front outer appearance and a rear outer appearance of the dehumidifier 1 and are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base pan 1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may be round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base pan 11.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연장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는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리어 연장부(310)와 접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둘레를 따라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e 200, a front extension portion 210 extending rearward is formed. The front extension part 210 contacts the rear extension part 310 of the rear case 300 and connects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The front extension part 210 is a part for connecting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하방에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배치되는 탱크 장착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220)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를 구성하는 탱크 드로워(7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220)의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21)가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혔을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배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221)의 중앙에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서 돌출되는 로커(721)가 출입되는 래치홀(222)이 형성된다.A tank mounting part 220, in which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s disposed, is formed below the front case 200. The tank mounting portion 220 is formed to ope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ank drawer 710 constituting the water tank assembly 700. The upper end of the tank mounting part 220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tank drawer 710 when the tank drawer 710 is closed. A latch hole 222 through which the rocker 721 protruding from the tank drawer 710 enters and exit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ep portion 221.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배면 상부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의 결합을 위한 탑 커버 결합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탑 커버 결합부(311)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둘레를 따라 걸림 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탑 커버 결합부(311)는 형성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 top cover coupling portion 311 for coupling with the top cover assembly 100 is formed on the backside of the front case 200. The top cover engaging portion 31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enga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op cover assembly 100. At this tim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top cover coupling part 311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but only the positions are formed.

그리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배면 양측단을 따라서 다수의 데코 결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측단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좌우 측단을 구속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사이드 데코(4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decor coupling portions 312 may be formed along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200. The decor coupling unit 312 is coupled with the side deck 400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ide edge of the front case 200. The decoupling unit 312 restrain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ide deco 400 so that the front case 200 and the side deco 4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데코 결합부(312)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며, 형성되는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모두 상기 사이드 데코(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front and rear cases 300 and 300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s those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ase 200, . Therefore, both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can be coupled with and fixed to the side deco 400.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3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상기 제습기(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 좌우 양측단에는 리어 연장부(310)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The rear case 300 forms a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dehumidifier 1 and has a shape symmetrical with the front case 200. Rear extension parts 31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case 3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front extension parts 210.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상부에는 악세사리 홀(320)이 구비된다. 상기 악세사리 홀(3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관통되는 구멍으로,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An accessory hole 32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case 300. The accessory hole 320 is a hole through which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to be described below passes and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so that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can penetrate and protrude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 홀(320)의 하방에는 흡입 그릴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부(330)는 내측으로 함몰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 모듈(3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331)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습기(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 suction grill part 330 is formed below the accessory hole 320. The suction grill portion 3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hich is recessed inwardly and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t exchange module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has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331, (1).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함몰된 외측에는 그릴 커버(340)가 장착된다. 상기 그릴 커버(340)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함몰된 공간을 차폐하며, 아울러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외측면과 동일한 라인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그릴 커버(34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흡입 그릴부(33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grill cover 340 is mounted on the depressed outer side of the suction grill portion 330. The grill cover 340 shields the recessed space of the suction grill portion 330 and forms the same li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case 300. Of course, the grill cover 3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suction grill portion 330.

상기 그릴 커버(340)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부(330)와 상기 그릴 커버(340)의 사이에는 필터 어셈블리(3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41)는 상기 흡입 그릴부(3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 그릴부(330) 상에 고정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41)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grill cover 34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ction grill part 330. A filter assembly 341 may be mounted between the suction grill 330 and the grill cover 340. 3, the filter assembly 341 may be fixed on the suction grill unit 330, or may be fixed to the filter assembly 341 as shown in FIG. 3. The filter assembly 341 may be configured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grill unit 330, As shown in FIG.

상기 흡입 그릴부(330)의 하방에는 코드 고정구(360)와 코드 홀더(3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 홀더(350)는 좌우 양측에 각각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제습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상기 한쌍의 코드 홀더(350)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A code fixture 360 and a cord holder 350 may be formed below the suction grill portion 330. Each of the cord holders 350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case 300 so that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ehumidifier 1 can be wound around the pair of cord holders 350, And the protruding end portion is formed to extend outward.

상기 코드 고정구(360)는 상기 코드 홀더(350)의 상방에 위치되며, 중앙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원선 단부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콘센트와 같은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을 상기 코드 홀더(350)에 감은 후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코드 고정구(360)에 삽입하여 상기 전원선을 효과적으로 고정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cord fastener 360 is located above the cord holder 350 and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rd holder 350 to be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receptacle so that the plug of the power line end can be inserted. Therefore, after the power line is wound around the cord holder 350, the plug can be inserted into the cord fastener 360 to effectively store and hold the power line.

한편, 상기 리어 케이스(300)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동일한 형상의 탑 커버 결합부(311)와 데코 결합부(3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위치만 상기 리어 케이스(300)로 다를 뿐 그 형상과 기능은 동일하다. A top cover engaging portion 311 and a decoupling engaging portion 312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ront case 2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ase 300, (300), but the shape and function are the same.

따라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상하단에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이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는 사이드 데코(400)가 장착되어 상기 제습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base pan 11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 side deco 4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ehumidifiers 1 and 2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of the dehumidifier 1.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상부에는 송풍팬(540), 모터(530) 등이 구비되는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흡입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 모듈(30)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 및 열교환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600)과,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와 상기 열교환 모듈(30)과 연결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를 포함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된다. A housing assembly 500 having an air blowing fan 540 and a motor 530 and a heat exchange module 30 for heat exchange with the intake air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 frame 600 supporting the housing assembly 500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a water tank assembly 700 in which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module 30 is collected, a heat exchange module 30, Electric components including a compressor 20 connected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re provided.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 팬(11)의 중앙에는 프레임(600)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6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610)와 상기 수직부(61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frame 600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an 11. The frame 600 may include a vertical part 61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part 62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610.

상기 수직부(610)는 상기 제습기(1)의 하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여 전반부에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후반부에는 상기 압축기(20)를 비롯한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610)의 좌우 양측에는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가 형성되어 탱크 드로워(710)가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vertical part 610 divides the lower space of the dehumidifier 1 back and forth to form a space for mounting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n the front part and a space in which the electric parts including the compressor 20 are mounted, . A main guide 630 and a sub-guide 64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part 610 so that the tank drawer 710 can be slid in and out.

상기 수평부(620)는 상기 제습기(1)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열교환 모듈(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워터탱크(800)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The horizontal portion 62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dehumidifier 1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o allow the housing assembly 500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30 to be seated. In the horizontal portion, a channel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module 30 to the water tank 800 is formed.

상기 프레임(600)의 구체적인 형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The specific shape of the frame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4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ousing assembly which is an example of the dehumidifier.

한편,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는 공기의 강제유동을 위한 모터(530)와 송풍팬(540)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는 하우징 케이스(510)와 상기 하우징 커버(520)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520)와 하우징 케이스(51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송풍팬(540)이 수용되는 공간과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housing assembly 500 is mounted on a horizontal portion 620 of the frame 600 by mounting a motor 530 and a blowing fan 540 for forced air flow. The housing assembly 500 includes a housing case 510 and a housing cover 520. The housing cover 520 includes a housing case 520 and a housing case 510, And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can be formed.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는 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송풍팬(54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루버(1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개구된 후면 전체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커버(5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housing case 510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n opened rear fac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blowing fan 540 can be receive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is opened to mount the louver 130. The entire opened rear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is configured to be shielded by the housing cover 520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전면에는 모터(53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부(511)가 함몰되며, 상기 모터(530)의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모터(530)는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수명이 길고 속도제어가 용이한 비엘디시(BLDC)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530)는 상기 모터 브라켓(531)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A housing 511 for accommodating the motor 530 is received in the housing case 510 and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530 extends through the housing case 510. The motor 530 is used for rotating the blowing fan 540 and may be a BLDC motor having a long life and easy to control the speed. The motor 53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housing case 510 by the motor bracket 531.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부 공간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팬(540)이 구비된다. 상기 송풍팬(540)은 소음이 적고 송풍능력이 우수한 시로코팬(Sirocco fan)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루버(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case 510 is provided with a blowing fan 540 for sucking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ai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ir blowing fan 540 may be a Sirocco fan having low noise and excellent air blowing abilit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case 510 by the rotation of the air blowing fan 540 flows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uver 130 do.

그리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은 공기의 유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도 상기 내부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면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54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하단에서 상기 루버(130)가 장착되는 루버 장착부(550)까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540)와 루버 장착부(550)의 사이에는 커패시터(595)가 장착되는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곡면부(540)를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면 곡률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hape to improve the flow of air,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540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 The curved surface portion 540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case 510 to the louver mounting portion 550 to which the louver 130 is mounted and the capacitor 540 is inserted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40 and the louver mounting portion 550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on which the capacitor 595 is mounted can be exposed. That is, the curved surface portion 540 of the housing case 510 is formed along the inner curvature of the housing case 510 so that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can be formed.

한편, 상기 하우징 커버(52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521)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상부 일측에는 악세사리 연결부(570)가 형성된다.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는 상기 루버(130)가 장착되는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과 상기 제습기(1)의 외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는 상기 악세사리 홀(3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housing cover 5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case 510, and an orifice 521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opened. An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520.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is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housing case 510 in which the louver 130 is mount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space of the dehumidifier 1, So that they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단부에는 연결부 캡(571)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 캡(571)은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개구된 단부를 차폐하여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 캡(571)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의 단부에는 회전 결합부(57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캡(571)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악세사리 연결부(570)에 탈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 캡(571)을 분리한 후에는 연장 호스 또는 기타 악세사리 들이 상기 회전 결합부(572)에 회전 조작에 의해 간단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 connection cap 571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end of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The connection cap 571 shields the open end of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to prevent ai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may be formed with a rotation engaging part 572 at an end of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ion part cap 571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accessory connection part 570 by rotating the connection part cap 571 . After the connection cap 571 is separated, the extension hose or other accessories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572 by the rotation operation.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21)의 상방에는 컨트롤박스 장착부(580)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열교환 모듈(30)이 배치되는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상방에는 상기 제습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590)가 장착될 수 있게 된다.A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is formed above the orifice 521.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520 and divides the space in which the heat exchange module 30 is disposed up and down. Therefore, a control box 59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can be mounted above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는 상기 컨트롤박스(590)와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박스(590)와 최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so that the capacitor 595 is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ontrol box 590, (590).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하방에는 열교환 모듈(30)이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 모듈(30)은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안착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와 상기 수평부(620)의 사이의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heat exchange module 30 is disposed below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The heat exchange module 3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620 of the frame 600 and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and the horizontal portion 620.

상기 열교환 모듈(30)은 상기 압축기(20)와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되는 증발기(31)와, 상기 증발기(31)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한 공기와 열 교환되는 응축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 module 3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0 and i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31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humidifier 1, And a condenser 32 for heat exchange with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31.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응축기(32)는 병립하여 설치되면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한번 더 열 교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2) are disposed in a juxtaposition,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can be configured to exchange heat once with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2.

즉, 상기 압축기(20)에서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수단을 지나 상기 증발기(31)를 거쳐 상기 응축기(32)로 유동되며, 다시 압축기(20)로 유입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기(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31)와 응축기(32)를 차례로 지나면서 상기 오리피스(521)를 지나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20 flows through the expansion means to the condenser 32 via the evaporator 31, and then flows into the compressor 20 again. The air sucked into the dehumidifier 1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2 and passes through the orifice 521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ssembly 5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따라서, 상기 흡입구(331)를 통해 상기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저온으로 열 교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습기가 액화되면서 공기와 분리되어 제습 공기가 된다.Accordingly,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31 is heat-exchanged at a low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liquefied and separated from the air to be dehumidified air.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습기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건조되고, 건조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31)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제습 공기의 상태로 상기 제습기(1)의 외부 공간으로 토출된다.The air separated from the mois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is heated and dr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2. The dri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dehumidifi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1, 1).

이처럼 상기 증발기(31)와 상기 응축기(32)는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33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상기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건조)될 수 있게 된다. The evaporator 31 and the condenser 32 ar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inlet 331 is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and is heated and dr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32. [ .

그리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분리되는 습기가 액화되면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환된 응축수는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형성되는 드레인 유로(621)를 따라서 유동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될 수 있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that has been phase-converted into the liquid state while the moisture separated from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is liquefied flows along the drain channel 621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620 of the frame 600, So that it can be collected in the water tank 800.

그리고, 상기 수평부(620)에는 상기 응축기(32)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기가 장착된 영역을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2)의 하단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레인 유로(62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 유로(621)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에 의해 상기 응축기(32)를 냉각시켜 상기 응축기(32)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lower part of the condenser 32 may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art 620, and the condensed water may pass through a region where the condenser is installed. Whe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condenser 32 is positioned to b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ain passage 621, the condenser 32 is cooled by the condensed water flowing along the drain passage 621, 32 can be improved.

도 5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탑 커버 어셈블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top cover assembly and a main body,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p cover assembly.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커버 플레이트(110)와 커버 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op cover assembly 100 may include a cover plate 110 and a cover frame 120. Referring to FIG.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상기 제습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습기(1)의 상면 전체 형상과 대응하도록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plate 110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ier 1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entire top surface of the dehumidifier 1.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습기(1)의 손잡이(40)를 형성할 수 있는 손잡이 홀(111)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홀(111)은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어 상기 제습기(1)를 양측에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개구(43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plate 110, a handle hole 111 capable of forming a handle 40 of the dehumidifier 1 is formed. The handle hole 111 may be formed to allow the user to hold the dehumidifier 1 from both sides by inserting his or her hand and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430 of the side deco 400.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루버(130)가 배치되기 위한 루버 장착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 장착구(112)는 상기 루버(130)가 닫힌 상태애서 상기 루버(130)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1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루버(130)는 상면이 상기 루버 장착구(112)를 차폐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30)의 개방시 상기 루버 장착구(112) 또한 개방될 수 있게 된다.The cover plate 110 is formed with a louver mount 112 for mounting the louver 130 therein. The louver mount 112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130 in a state in which the louver 130 is closed. Accordingly, when the louver 130 is cl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louver 130 shields the louver mount 112 and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cover plate 110. When the louver 130 is opened, the louver mount 112 can also be opened.

또한, 상기 루버 장착구(112)의 후방에는 상기 표시부 창(113)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 창(113)은 상기 표시부(15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거나 투명한 소재로 개구된 부분이 차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 창(113)과 인접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조작부(151)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인쇄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부(114)를 터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113 is formed behind the louver mount 112. The display portion window 113 is formed such that the display portion 152 can be exposed, and a portion opened with a corresponding shape or a portion open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is shielded. The cover plate 110 adjacent to the display window 113 may further include a printing unit 114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unit 151. Therefore, the operation unit can be operated by touching the printing unit 114.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커버 결합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을 관통하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커버 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 cover engaging portion 11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cover coupling part 115 is a part where the screw S passing through the cover frame 120 is fastened to allow the cover plate 110 and the cover frame 120 to be coupled.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와 스크류(S)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커버 고정부(116)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커버 고정부(116)는 상기 하우징 커버(520)의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일측과 접하며 스크류(S)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a cover fixing part 116,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housing assembly 500 by a screw S, extends downward. The cover fixing part 116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control box mounting part 580 of the housing cover 520 and is fixed by fastening of the screw S so that the top cover assembly 100 can be fixedly mounted.

그리고, 상기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는 조작유닛(150)이 고정 장착되기 위한 조작유닛 고정부재(117)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유닛(15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에 의해 상기 조작유닛(150)의 둘레를 구속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배면에 상기 조작유닛(150)이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An operation unit fixing member 117 for fixing the operation unit 150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unit 151 and the display unit 152. [ The operation unit fixing member 117 is formed in a rib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operation unit fixing members 117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ration unit 150. Hooks are formed at the ends thereof, The operation unit 15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by restric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ration unit 150

상기 조작유닛(150)은 상기 표시부(152)와 조작부(151)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인쇄회로기판(591)에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스위치 또는 센서들이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152)와 조작부(15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습기(1)의 동작을 조작하거나 동작 상태를 외부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조작유닛(150)은 상기 조작부(151)로만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152)는 독립적으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operation unit 15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152 and the operation unit 151. The display unit 152 and the operation unit 151 may include a display and a plurality of switches or sensors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591, 151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or display the operation state to the outside. Of course, the operation unit 150 may be configured only by the operation unit 151, and the display unit 152 may be independently configured separately.

그리고, 상기 조작유닛(15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3)을 수용하는 기판 케이스(154)가 더 포함되며, 상기 기판 케이스(154)의 둘레에는 상기 조작유닛 고정부재(117)가 삽입되어 관통된 후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걸림부(155)가 더 형성된다.The operation unit 150 further includes a substrate case 154 for receiv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153. The operation unit fixing member 117 is inserted around the substrate case 154, And a case engaging portion 155 for engaging with the engaging portion 155 after being engaged.

상기 손잡이 홀(11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홀 리브(118)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홀 리브(118)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과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홀 리브(118)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리브 단차부(119)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데코 단차부(431)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4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 handle hole rib 118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handle hole 111 is formed. The handle hole rib 118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deco 400. In detail, a rib stepped portion 119 formed in a stepped shape is formed in the handle hole rib 118 so as to be formed with a decorative step portion 43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deco 400. Accordingly, the side deck 400 is fixed to the cover plate 110 while being held in a fixed position, so that the handle 40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상면 둘레에는 테두리(16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16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테두리(160)의 안쪽은 라운드지게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테두리(160)는 크롬 라인이 인쇄 처리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별도의 크롬 소재의 부재가 결합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아이엠엘(IML:In-mold Labeling)방식의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테두리(160)에 크롬 필름이 인쇄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rim 160 is form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The rim 160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and the inside of the rim 160 is formed to be rounded. The rim 160 of the cover plate 110 is formed to have a shape such that a chrome line is printed and a separate member of chrome material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For this purpose, the cover plate 11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n IML (In-mold Labeling) method. That is, the cover plate 11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plastic material, and a chromium film is printed on the rim 160.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성형된 커버 플레이트(110)는 별도의 크롬소재로 된 부품의 결합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성형시 상기 테두리(160)까지 한꺼번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plate 110 formed in this manner does not require the joining structure of parts made of chromium material separately and can be formed all at once to the rim 160 when the cover plate 110 is molded.

한편, 아이엠엘 사출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구조를 간결하게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커버 프레임(120)이 필요하게 된다. In order to mold the cover plate 110 by the IEFI injection molding method, the structure of the cover plate 110 should be simplified. For this purpose, the top cover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case 300, a cover frame 120 having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is required.

즉, 상기 커버 프레임(120)과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 가능하게 되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되는 상기 커버 프레임(120)에 의해 간결한 구조로 구현 가능하게 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는 아이엠엘 방식의 사출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That i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frame 120 and the cover plat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op cover assembly 10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nd the cover frame 120 coupled to the rear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cover plate 110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the IMS method.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배치되며,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 결합부(121)가 형성된다.The cover frame 120 is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ver plate 110. The cover frame 120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and a frame engaging portion 121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상기 커버 결합부(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결합을 위한 스크류(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연장된 상기 커버 결합부(115)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engag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cover plate 110 and is formed so that a screw S for engaging can be fastened. At this time, the cover coupling part 115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and the extended cover coupling part 115 may be inserted into the frame coupling part 12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S)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 결합부(115)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상기 커버 프레임(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screw S is fastened from below to the screw S, the screw S is fastened to the cover engaging part 115 through the frame engaging part 121, So that the cover frame 120 can be fixed.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좌우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 체결되는 스크류(S)가 관통되는 프레임 고정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122)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On both sides of the cover frame 120, a frame fixing part 122 extending downward and through which the screws S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assembly 500 pass may be formed. The frame fixing portion 122 allows the top cover assembly 100 to remain fixed to the housing assembly 500.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120)의 하면에는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 고정 후크(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 후크(123)는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상기 탑 커버 결합부(311)와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rame fixing hooks 123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120. The frame fixing hook 123 is engaged with 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top cover engaging portion 311 formed o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따라서, 상기 커버 프레임(120)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120)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므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 및 리어 케이스(300)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cover frame 120 can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nd the cover frame 120 is coupled with the cover plate 110, And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re coupled and fixed to each other.

도 7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사이드 데코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ide deco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제습기(1)의 측면 형상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탑 커버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팬(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전단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에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리어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ide deco 400 forms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dehumidifier 1 and is disposed between 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base fan 11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eco- And can be fixed to the top cover assembly 100 and the base pan 11. The side deck 4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so that a front end of the side deck 4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case 200 and a rear end of the side deck 4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case 300.

상기 사이드 데코(400)는 상하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며, 데코부재(410)와 핸들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410)는 상기 제습기(1)의 측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접하고,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팬(11)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The side deco 400 is formed as a vertically long plate, and may include a decor member 410 and a handle member 420. The decor member 410 forms a side surface shape of the dehumidifier 1 and has an upper e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and a lower end contacting the base fan 11.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상단이 결합되되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리어 연장부(31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손잡이(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The handle member 42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cor member 410 and an upper end is coupled to the cover plate 110. The handle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210 and the rear extension portion 310, And is configured to form the handle 40.

상세히, 상기 데코부재(41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측단은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장착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데코 결합부(312)에 측단이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부재(41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결합시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사이에서 양단이 구속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4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 팬(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deco member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eco member 410 are connected to the deco coupling portion 312 of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when the side deco 400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restrained. Accordingly, whe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oth ends of the deco member 410 can be held betwee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do. The lower end of the decor member 410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pan 11 and the upper end of the decor member 410 may be fixed to the cover plate 110.

한편,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부는 상기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410)의 상단에는 상기 핸들부재(420)가 장착된다. 상기 데코부재(410)와 핸들부재(420)는 좌우 양측단이 서로 결합되며, 사이의 공간은 개구(430)를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 홀(111)과 대응하는 크기로 이격되어 상기 손잡이(4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decor member 410 is formed to be rounded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handle member 42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ecor member 410. The decor member 410 and the handle member 4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ir left and right ends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decor member 410 and the handle member 420 forms an opening 430 and is separated from the handle hole 111 by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hole 111, As shown in FIG.

상기 데코부재(410)와 상기 핸들부재(42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데코부재(41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핸들부재(420)의 방향으로 돌출된 핸들 결합돌기(412)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의 단부는 상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핸들부재(420)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Handle engaging protrusions 412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member 420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cor member 410 for coupling the decor member 410 and the handle member 420, The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412 is formed to be bent to the upper end and engageable with the handle member 420.

그리고, 상기 데코부재(410)의 좌우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데코 고정부(413)가 형성되며, 상기 데코 고정부(413)는 핸들 결합부(424)와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핸들 결합부(424)와 데코 고정부(41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S)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e decorating member 413 is coupled to the handle engaging portion 424 and the handle engaging portion 423 is engaged with the handle engaging portion 424, 424 and the decourod fixed portion 413 by means of a screw S which is fastened to the deco fixing portion 413.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는 양단이 상기 데코부재(410)와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 홀(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데코부재(410)와의 결합시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Both ends of the handle member 420 are coupled to the decor member 410 and are round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knob hole 111. When the handle member 420 is engaged with the decor member 410, Thereby forming a space that can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하 방향으로도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421)를 형성하며, 상기 라운드부(421)는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핸들부재(420) 내측면을 손을 넣어서 감싸 쥘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와 리어 연장부(310)의 내측면과 접하여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4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감싸 쥐게 되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handle member 420 is formed with a round portion 421 having a curvatur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round portion 421 is formed to face outward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side surface can be wrapped around by hand. A handle supporting portion 422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member 420 to support the front extending portion 210 and the rear extending portion 31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user holds the handle 40, the shape of the handle 40 can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being damaged.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가 삽입되는 핸들 결합홀(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결합홀(423)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의 삽입 후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결합돌기(412)에 의해 상기 핸들부재(420)가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member 420 may have handle engagement holes 423 at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to receive the handle coupling protrusions 412. The handle coupling hole 423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andle coupling protrusion 412 is moved downward after the handle coupling protrusion 412 is inserted, 420) can be restrained.

한편, 상기 핸들부재(4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결합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결합부(424)는 상기 데코 결합부(4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스크류(S)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 결합부(424)에는 상기 데코 결합부(413)를 감싸 지지하는 핸들 지지부(42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420)와 데코 부재의 결합시 상기 핸들 지지부(422)가 상기 데코 결합부(413)와 밀착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스크류(S)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Handle engaging portions 424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handle member 420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andle member 420. The handle engaging portion 4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coupling portion 413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crew S. [ A handle supporting portion 422 is formed on the handle engaging portion 424 to protrude the decor coupling portion 413. Accordingly, when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decor member are engaged, the handle supporting portion 422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cor coupling portion 413, so that the screw S can be fastened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 핸들부재(420)는 상하폭이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 및 리어 연장부(310)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재(420)의 하단 또한 상기 프론트 연장부(210) 및 리어 연장부(310)의 하단 곡률과 대응하도록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의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손잡이(40)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andle member 420 has a vertical wid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extension part 210 and the rear extension part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member 4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extension part 210 and the rear extension part 310, A round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lower curvature of the rear case 310 so that a stable handle 40 structure can be form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ront case 200 and the rear case 300 are coupled.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420)와 데코부재(410)의 결합으로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상단은 개구(430)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430)는 상기 손잡이 홀(1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홀(111)의 개구된 둘레는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리브 단차부(1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 단차부(119)에 대응하는 상기 데코부재(410) 및 핸들부재(420)의 상단에는 데코 단차부(431)가 형성되어 서로 형합될 수 있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side deco 400 forms an opening 430 by the engagement of the handle member 420 and the decorative member 410. The opening 4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le hole 111 . Further, the open periphery of the handle hole 111 extends downwardly in a round manner, and a rib step 119 is formed at an end thereof. Deco step portions 431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decor member 410 and the handle member 420 corresponding to the rib stepped portions 119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이와 같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리어 케이스(300), 사이드 데코(400)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사이드 데코(400)의 고정은 물론 안정적인 손잡이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front case 200, the rear case 300, the side deco 400, and the cover plate 110 can provide a stable handle structure as well as fixing the side deco 400 .

도 8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uel assembly, which is one example of the dehumidifier.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는 컨트롤박스 장착부(580)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에는 컨트롤박스(590)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500)에 장착되는 루버(130)의 후방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안착면(581)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a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is formed on the housing assembly 500, and a control box 590 is mounted on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is located behind the louver 130 mounted on the housing assembly 500 and forms a rearwardly extending seating surface 581.

그리고, 상기 안착면(581)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한쌍의 리브(582)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582)는 하방에서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A pair of ribs 58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581. The ribs 582 are provided to support the control box 590 from below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안착면(581)의 일측에는 박스 고정부(58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박스 고정부(583)는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일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박스 결합부(592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스크류(S)가 상기 박스 결합부(592a)를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A box fixing portion 583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surface 581. The box fixing portion 58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x fitting portion 592a exten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control box 590 and the screw S passes through the box fitting portion 592a So that the control box 590 can be fixed.

상기 박스 고정부(583)와 대향되는 일측에는 박스 가이드(584)가 형성된다. 상기 박스 가이드(584)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가이드 편(592b)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box guide 584 is form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box fixing portion 583. The box guide 584 is elong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guide piece 592b of the control box 590 can be slidably inserted.

즉,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장착시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가이드 편(592b)을 상기 박스 가이드(584)에 삽입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컨트롤박스(590)가 완전히 이동되면 상기 박스 결합부(592a)는 상기 박스 고정부(583)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를 상방에세 체결하여 상기 컨트롤박스(590)가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control box 590 is mounted, the guide piece 592b of the control box 590 is moved backward to be inserted into the box guide 584. When the control box 590 is completely moved, The box engaging portion 592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box fixing portion 583. [ In this state, the screw S is fastened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control box 590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한편, 반대로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상기 스크류(S)를 해제한 후에 상기 컨트롤박스(59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rvice of the control box 590 is required, the control box 590 may be slid rearward after the screw S is released.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590)는 상기 제습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9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이 수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기판 베이스(592)와 상기 기판 베이스(592)를 상방과 하방에서 감싸는 기판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box 59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591 on which various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ehumidifier 1 are mounted and a substrate base 592 made of plastic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591 is accommodated And a substrate case for covering the substrate base 592 from above and below.

상기 기판 베이스(59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단에는 상기 박스 결합부(592a)와 상기 가이드 편(592b)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The board base 592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591 and the box engaging portion 592a and the guide portion 592b protrude outward at both sides.

그리고, 상기 기판 케이스(154)는 상부 케이스(593)와 하부 케이스(594)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593)와 하부 케이스(594)의 사이 공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이 수용된 상기 기판 베이스(59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154)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만약 상기 인쇄회로기판(591)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기판 케이스(154) 내부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도록 하여 상기 제습기(1)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CB case 154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593 and a lower case 594 and the PCB case 594 accommodates the printed circuit board 591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case 593 and the lower case 594. [ The substrate base 592 can be mounted. The substrate case 154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o that even if a fire occurs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591, combustion occurs only in the substrate case 154, And is configured to protect other configurations.

한편,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의 전방에는 커패시터 장착부(56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는 상기 컨트롤박스 장착부(58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패시터(595)는 내부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커패시터 커버(596)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커패시터 커버(596)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is further formed in front of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rol box mounting portion 580. The capacitor 595 is accommodated inside a capacitor cover 596 forming a space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capacitor cover 596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는 상기 커패시터 장착부(560)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된 상기 커패시터 커버(596)는 상기 커패시터(595)를 완전히 감싸서 상기 커패시터(595)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게 된다.Thus, the capacitor 595 may be fixed at the capacitor mounting portion 560 and the capacitor cover 596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may completely enclose the capacitor 595 to prevent a fire by the capacitor 595 .

상기 커패시터(595)는 그 높이 비교적 높으며, 용량이 큰 경우 그 크기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595) 및 커패시터 커버(596)를 상기 컨트롤박스와 분리 구성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박스(590)의 장착 공간을 보다 활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capacitor 595 has a relatively high height, and when the capacitance is large, the size of the capacitor 595 becomes larger. Therefore, by separating the capacitor 595 and the capacitor cover 596 from the control box, the mounting space of the control box 590 can be more utiliz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dehumidifier can be efficiently used.

도 9는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 탱크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ater tank assembly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guide assembly for guiding the drawing-out of the water tank assembly.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600)의 수직부(610)의 전방에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610)의 전방에는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를 구성하는 탱크 드로워(71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상기 워터탱크(800)가 완전히 인입되어 었을 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a water tank assembly 7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vertical portion 610 of the frame 600. The tank drawer 710 forms a space for receiving the tank drawer 710 constituting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n front of the vertical part 610, The tank drawer 710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when the tank drawer 710 is fully inserted.

한편,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 중앙부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평부(620)의 전단에는 상기 로커(721)가 삽입되며, 상기 로커(721)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650)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650)는 상기 래치홀(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힐 때 상기 로커(721)와 걸림 구속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latch 600 is provided with a latch 650 for selectively locking the locker 721 inserted into the front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620 in front of the center of the frame 600. The latch 65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 hole 222 and is engaged with the locker 721 when the tank drawer 710 is closed so that the tank drawer 710 is closed .

이때, 상기 래치(650)는 상기 로커(721)가 한번 삽입되면 걸림 구속되며, 상기 로커(721)가 외력에 의해 다시 한 번 전진하게 되는 경우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구조는 일반적인 누름 방식의 래치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ocker 721 is once inserted, the latch 650 is locked and restrained. When the locker 721 advances once again due to external force,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tank drawer 710 is taken out Lt; / RTI > That is, the latching structure of the latch 650 and the locker 721 can be formed in a manner similar to a general pushing-type latch structure.

물론,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로 구성되는 록킹 유닛은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조가 아닌 다른 구속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locking unit comprising the latch 650 and the locker 721 may have a restraining structure other than the structure of the latch 650 and the locker 721, and alternatively the tank drawer 710 Various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한편, 상기 탱크 드로워(710)를 향하는 상기 수직부(610)의 전면에는 만수위 감지부(660)가 형성된다.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는 한쌍의 센서가 상하 배치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플로터(830)의 위치를 감지하여 만수위를 판단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full water level sensing part 66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610 facing the tank drawer 710. A pair of sensors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full water level sensing unit 660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floater 830 of the water tank 800 and determine the full water level.

상기 한쌍의 센서 중 하부의 수위 센서(661)는 상기 워터탱크(80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센서로 플로터(83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152)로 만수위 신호를 전달하여 외부로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level sensor 661 of the pair of sensors senses the full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er 830 is sensed by the sensor, the water leve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52, .

그리고, 상기 한쌍의 센서 중 상부의 안전 센서(662)는 상기 플로터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의 운전을 중지하여 상기 워터탱크(800)로 더 이상의 응축수가 집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만수위를 외부로 알려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800)를 비울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er is sensed, the safety sensor 662 on the upper one of the pair of sensors stops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so that no further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tank 800. And informs the user of the high water level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empty the water tank 800.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측방에 대응하는 상기 수직부(610)의 일측에는 라이팅 모듈(670)이 장착된다.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상기 워터탱크(800)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가시화하는 한편 간접 조명과 같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향하여 측방에서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A lighting module 6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610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tank drawer 710. The lighting module 670 irradiates light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to visualiz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and to use it as indirect lighting. As shown in FIG.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671)와 상기 발광부재(671)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을 분산시키는 분산부재(6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module 670 includes a light emitting member 671 for emitting light and a dispersing member 672 provid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for disper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

상세히, 상기 발광부재(671)는 엘이디와 같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발광 가능한 다른 소재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광부재(671)는 다수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1)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ail,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may be an element capable of emitting light such as an LED, and other materials capable of emitting light may be used as needed.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may be configured to emit a plurality of colors, and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dehumidifier 1.

예를 들어,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서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671)의 색상을 달리하여, 정상 수위에서는 청색, 만수위에서는 황색 위험수위에서는 적색을 표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투과창을 통해 보여지는 색상만으로 수위 상태를 인지하여 물통을 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color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sensed by the full-water level sensing unit 660 to display red at the normal water level and red at the yellow water level, You will be able to make the water tank empty by recognizing the water level status only by the colors shown through it.

또한, 상기 제습기(1)로 흡입되는 흡입 공기의 습도에 따라서 적정 습도일때는 청색, 정상 이상의 습도일 때는 황색, 제습이 꼭 필요한 고습 상황일 때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습기(1)의 일측에는 외부 습도를 확인하는 습도센서(3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센서(370)와 라이팅 모듈 및 만수위 감지부(660)는 모두 컨트롤박스(590)와 연결되어 상기 제습기(1)의 상태에 따른 상기 워터탱크(800)를 이용한 가시화가 가능할 것이다.Also, depending on the humidity of the intake air sucked into the dehumidifier 1, it may be displayed as blue when the humidity is appropriate, yellow when the humidity is higher than the normal humidity, and red when the humidity is high and the humidity is high. The humidity sensor 370, the lighting module, and the full-water level sensing unit 660 are both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590. The humidity sensor 370, the humidity sensor 370,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ize the water tank 80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ehumidifier 1.

그리고, 상기 분산부재(67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재(671)를 차폐하여 상기 발광부재(671)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ersing member 672 is formed to b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o allow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to pass therethrough and shield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Or < / RTI >

상기 발광부재(671)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워터탱크(800) 내에 균일하고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산부재(672)에서 반사 및 굴절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800) 전체를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may be reflected and refracted by the dispersing member 672 so as to be uniformly and uniformly irradiated in the water tank 800, Lt; / RTI >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 전체가 밝혀 질 수 있으며,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되어 간접 조명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 확인되는 색상을 통해 제습기(1)의 동작 상황을 원거리에서도 확인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entire interior of the water tank 800 can be illumin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odule 670, and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and utilized in the form of indirect lighting. Also,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humidifier 1 can be confirmed from a remote view through the color identifi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

이를 위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측면 또는 상기 라이팅 모듈(670)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라이팅 홀(673)이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lighting hole 673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tank drawer 710 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module 670 so that the water tank 800 is connected to the tank drawer 710 So that the water can be irradi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그리고, 상기 수직부(610)의 좌우 양측면에는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630) 및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슬라이딩 인출입 및 틸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보다 더 하방에 위치된다.A main guide 630 and a sub guide 640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tical part 610. The main guide 630 and the sub guide 640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for guiding the sliding draw-out and tilting of the tank drawer 710. The sub guide 640 is provided on the main guide 630 ). ≪ / RTI >

상기 메인 가이드(630)는 상기 수직부(6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롤링 유닛(680)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메인 가이드(630)는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 파트(632)와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파트(63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631)와 로어 파트(632)는 대응하는 경사 또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631)와 로어 파트(632)의 양단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guide 63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610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 rolling unit 680 described below is moved. The main guide 630 may include a lower part 632 forming a lower part and an upper part 631 forming an upper part. The upper part 631 and the lower part 632 are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inclination or curvature and both ends of the upper part 631 and the lower part 6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loop as a whole have.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63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는 하향 경사부(633)와, 상기 하향 경사부(633)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는 상향 경사부(634)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part 632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part 633 having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and a upward inclining part 634 having an up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of the downward inclined part 633 Lt; / RTI >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하향 경사부(633)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개방되고 틸팅됨에 따라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인출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tank drawer 710 is closed, the rolling unit 68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guide 630 and is positioned at the highest point of the downward slope 633. As the tank drawer 710 is opened and tilted, the rolling unit 680 moves along the main guide 630. When the tank drawer 710 is completely drawn out and tilted, the rolling unit 680 is located at the frontmost position of the main guide 630 and is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upward sloping portion 634 .

한편, 상기 하향 경사부(633)와 상향 경사부(634)에는 모두 내측 방향으로 기어부(635)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부(635)는 랙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롤링 유닛(680)에 구비되는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치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gear portion 635 is formed in the downwardly inclined portion 633 and the upwardly inclined portion 634 in the inward direction. The gear portion 635 is formed in a structure similar to a rack and is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tooth profile so that a rolling gear 681 provided in the rolling unit 680 can be moved along the gear portion 635 .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631)는 상기 롤링 유닛(680)의 메인 롤러(682)와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이동시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part 631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ain roller 682 of the rolling unit 680. When the tank drawer 710 is moved, the main roller 682 contacts the upper part 631 And moves along the upper part 631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그리고,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상기 수직부(610)의 모서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리브(636)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636)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6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636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edges of the main guide 630 and the vertical portion 610 are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guide 630.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ribs 636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a load applied to the main guide 630.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하방에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서브 롤러(69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브 가이드(640)는 상기 서브 롤러(690)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이 인출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인출부(641)와 상기 인출부(641)의 단부에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이 틸팅되는 구간을 안내하는 틸팅부(642)로 구성된다. 상기 인출부(641)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틸팅부(642)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sub guide 640 is provided below the main guide 630 and is adapted to receive a sub roller 690 described below. The sub guide 64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sub-roller 690 and includes a lead portion 641 for guiding a section through which the tank drawer 710 is drawn, And a tilting portion 642 for guiding a section in which the tank drawer 710 is tilted. The lead portion 641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and the tilting portion 642 is formed to have an upward slope.

한편,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기 열교환 모듈(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기 프레임(60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600)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고,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하부를 축으로 회동되어 상면이 더 열리도록 틸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water tank assembly 700 is configured to collect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heat exchange module 30.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frame 600 and connected to the frame 600 to slide in and ou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s completely drawn out,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urface can be tilted so as to be more open.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워터탱크(800)와 상기 워터탱크(800)와, 상기 워터탱크(800)가 수용되며 인출입 및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탱크 드로워(710)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tank assembly 700 includes a water tank 800 in which condensed water is stored, the water tank 800, and the water tank 800. The water tank 80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drawn out and tilted, And a tank drawer 710 for facilita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습기(1)의 전면 일부 즉,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부(720)와, 상기 전면부(720)의 후방에서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수납되는 수납부(7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tank drawer 71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200. The tank drawer 710 forms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tank drawer 710 is drawn, And a receiving portion 730 formed to open upward from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720 and accommodating the water tank 800 downwardly from above.

상기 수납부(730)는 상기 워터탱크(8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 상태에서 물공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800)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water storage portion 7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ter tank 800 and is opened upward to facilitate water supply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800 is mounted, .

상기 전면부(720)의 상단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커(721)가 구비되며, 상기 로커(721)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워터탱크 어셈블리(7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65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ocker 721 extends rearwar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720. When the water tank assembly 700 is fully retracte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전면부(720)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부(730)에 장착된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722)이 더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72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수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 check window 7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rt 720 to visually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mounted on the receiving part 730.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tank 8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800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상기 확인창(722)은 상기 전면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모듈(670)과 먼 쪽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발광시 국부적으로 강한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물에 의해 분산된 상태로 부드럽고 고른 상태의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The confirmation window 722 may be form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remote from the lighting module 670. Therefore, the light that is locally strong when the lighting module 670 emits light is not irradiated to the outside via the check window 722, but is dispersed by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80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

그리고,상기 확인창(722)은 상기 전면부(720)가 단순히 개구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명한 소재에 의해서 개구된 부분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빛을 간접조명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확인창(722)을 구성하는 투명소재에 특정 색상이나 패턴이 제공될 수도 있다.The confirmation window 72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portion 720 is simply opened, or may be configured so that a portion that is opened by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viewing through the inside may be shielded. In addition, a specific color or pattern may be provided to the transpar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confirmation window 722 in order to use the light in the water tank 800 in the form of indirect illumination.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800)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외부로 새어나와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상태 식별은 물론 무드램프와 같은 간접조명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light is irradiated to the water tank 800 by the lighting module 670, light irradiating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leaks to the outside through the check window 722, 800) can be used in the form of indirect illumination such as a mood lamp.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730)의 측면에는 투과부(734)가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734)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홀(673)과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이 동작되면, 상기 라이팅 모듈(67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팅 홀(673)과 상기 투과부(734)를 거쳐 상기 워터탱크(800)의 측방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로 조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밝힐 수 있게 된다.For this, a transmitting portion 734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730. The transmission portion 734 is formed to ope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hole 673 and the lighting module 670 in a state in which the tank drawer 710 is closed. Accordingly, when the lighting module 670 is operate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670 passes through the lighting hole 673 and the transmission portion 734, 800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can be illuminated.

상기 수납부(730)의 후면에는 수위의 감지를 위한 감지구(731)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감지구(731)는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여 만수위 또는 위험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tapered portion 731 for detecting the level of wate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730. The sensing region 731 is configured to be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gh-water level sensing unit 660 to easily detect that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800 rises to reach a high water level or a dangerous water level .

한편, 상기 수납부(730)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732)와 하부 연장부(733)가 각각 한쌍식 구비된다. 상기 상부 연장부(732)는 상기 수납부(730)의 상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연장부(733)는 상기 수납부(730)의 가장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storage portion 730, a pair of upper extension portions 732 and a lower extension portion 733 extending rearward are provided. The upper extension part 732 may exte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art 730 and the lower extension part 733 may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part 730 to the rear side.

상기 상부 연장부(732)는 상기 하부 연장부(733)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연장부(732)의 단부에는 롤링 유닛(680)이 장착되고,상기 하부 연장부(733)의 후단에는 서브 롤러(690)가 장착되어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인출입 및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upper extension portion 732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lower extension portion 733 and a rolling unit 680 is mounted on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extension portion 732, A sub roller 690 is mounted to allow the tank drawer 710 to be drawn out and tilted.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상부 연장부(732)의 후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기어부(635)와 치형결합되며,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 이동되는 롤링 기어(681)와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속도 및 충격을 완화하시키기 위한 댐퍼(683) 그리고,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어퍼 파트(631)와 접하는 메인 롤러(682)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lling unit 680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extension part 732 and is engaged with a gear part 635 of the main guide 630 and is engaged with a rolling gear A damper 683 for relieving the rotation speed and impact of the rolling gear 681 and a main roller 682 contacting the upper part 631 of the main guide 630.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와 상기 메인 롤러(682)는 각각 상기 로어 파트(632)와 어퍼 파트(631)에 각각 접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인출 또는 틸팅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로어 파트(632)의 기어부(635)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의 내주면과 접하여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ing gear 681 and the main roller 682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632 and the upper part 631 to be able to draw or tilt the tank drawer 710, The gear 681 is moved along the gear portion 635 of the lower portion 632 and the main roller 682 is held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631. [

따라서, 슬라이딩 인출 및 틸팅되는 워터탱크 어셈블리(70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어부(635)와 롤링 기어(68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tank assembly 700, which is slidingly drawn out and tilted, is not pivo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ank drawer 710 is stably maintained by the engagement of the gear portion 635 and the rolling gear 681 It becomes possible to draw in and out.

한편, 상기 댐퍼(683)는 상기 롤링 기어(68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롤링 기어의 회전시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 속도를 줄이도록 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구체적인 동작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The damper 68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lling gear 681 and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lling gear 681 when the rolling gear is rotated so that the tank drawer 710 rotates stably Lt; / RTI > The concrete operation structure of the tank drawer 7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1은 상기 제습기의 일 구성인 워터탱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dehumidifi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탱크(800)는 상기 수납부(730)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투명 집수부(810)와 상부의 집수부 커버(82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tank 8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receiving part 730, and is composed of a lower transparent collecting part 810 and an upper collecting part cover 820 .

상세히, 상기 집수부(810)는 투명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성형 작업 또한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부(810)의 내측에는 상기 플로터(830)가 수용되는 플로터 수용부(811)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터(830)의 이동경로를 확보하며,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와 동일한 수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내측에는 상기 플로터(830)가 수용되며, 수위에 따라서 상기 플로터(8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In detail,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is formed of transparent acrylic or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can be seen through, and the mold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in which the plotter 830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810.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is opened upward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ecure a movement path of the floater 830 and to form the same water level as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The floater 830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and the plotter 830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이때,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는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의 위치와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를 따라서 이동하는 자석이 내장된 플로터(830)의 위치를 상기 만수위 감지부(660)에서 센서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개구된 상면은 플로터 커버(831)로 차폐되어 상기 플로터(830)가 분실되지않고 상기 플로터 수용부(8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plotter accommodating unit 8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ull water level sensing unit 660, and the position of the plotter 830, in which the magnet moves along the plotter accommodating unit 811, And can be sensed by the full-water level sensing unit 660 as a sensor.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is shielded by the floater cover 831 so that the floater 830 can be located inside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811 without being lost.

한편,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에는 한쌍의 핸들 장착부(812)가 형성된다. 상기 핸들 장착부(812)에는 상기 워터탱크(800)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탱크 핸들(840)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 장착부(812)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착구(813)가 형성된다.A pair of handle mounting portions 812 are formed in the water tank 800. The handle mounting portion 812 is provided with a tank handle 840 for the user to move the water tank 800. A mounting hole 813 is formed i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812 .

상기 탱크 핸들(840)의 장착돌기(841)는 상기 장착구(813)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탱크 핸들(840)은 상기 장착구(813)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800)를 들어내거나 운반할 때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상방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고, 상기 워터탱크(800)를 상기 탱크 드로워(71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집수부 커버(82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The tank handle 8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rotrusion 841 of the tank handle 84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813 and the tank handle 84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mounting hole 813. Therefore, when the user lifts or transports the water tank 800, the tank handle 840 is drawn upward and used. When the water tank 800 is attached to the tank drawer 710, The tank handle 840 can be moved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collector cover 820.

한편, 상기 집수부 커버(820)는 상기 집수부(8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8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부(821)와 상기 차폐부(821)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집수부(810)의 상면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8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llector cover 820 is configured to shield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llector 810 and includes a shielding portion 821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or 810 and a shielding portion 821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or 810. [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822 which is rotatably provided at one side and opens / close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810.

따라서, 상기 집수부(810)에 채워진 물을 비우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822)를 회동시켜 상기 집수부(810) 내부의 물을 비우거나 상기 집수부 커버(820) 전체를 분리한 후 물을 비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when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is to be emptied, the opening / closing part 822 is rotated to empty the water in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or to separate the water collecting part cover 820, To be emptied.

상기 집수부 커버(820)에는 핸들 홀(823)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 홀(823)은 상기 탱크 핸들(840)의 가로방향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탱크 핸들(840)이 인출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A handle hole 823 is formed in the collector cover 820. The handle hole 823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ank handle 84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tank handle 840 can be drawn out.

상기 탱크 핸들(84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842)와 상기 파지부(842)의 양단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843)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843)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장착돌기(841)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돌기(841)는 상기 집수부(810)에 형성된 상기 장착구(813)를 따라서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 tank handle 840 includes a grip portion 842 held by a user and an extension portion 843 with both ends of the grip portion 842 extending downward. A mounting projection 841 is provided. The mounting protrusion 841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ounting hole 813 formed in the collecting part 810.

한편, 상기 탱크 핸들(840)은 미사용시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핸들(840)을 완전히 인입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탱크 핸들(840)은 상기 집수부 커버(82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상기 탱크 핸들(840)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tank handle 840 is fully retracted, the tank handle 84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or cover 8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handle 840 is positioned.

한편, 상기 집수부(810)의 중앙과 상기 집수부 커버(82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후방으로 향하여 함몰되는 로커홈(850)이 형성된다. 상기 로커홈(850)은 상기 워터탱크(800)의 장착시 상기 로커(721)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워터탱크가 상기 수납부(73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로커가 상기 로커홈(850)에 삽입되어 상기 워터탱크(800)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800)의 삽입 또는 인출시에 상기 로커(721)는 상기 로커홈(8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a rocker groove 85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and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cover 820 so as to be vertically elongated and recessed toward the rear. The rocker groove 850 is a groove into which the rocker 721 is inserted when the water tank 800 is mounted.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730, So that the water tank 800 can not flow. When the water tank 800 is inserted or withdrawn, the locker 721 can be moved along the locker groove 85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제습기의 동작을 위해서 우선, 사용자는 제습을 위한 공간에 상기 제습기(1)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제습기(1)는 하면에 바퀴(12)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면의 양측에 손잡이(40)가 형성되어 대용량의 경우 매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In order to operate the dehumidifier, the user places the dehumidifier 1 in a space for dehumidification. The dehumidifier (1) is provided with a wheel (12)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handle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ehumidifier (1).

사용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0) 상면의 손잡이 홀(111)로 손을 집어넣어 상기 사이드 데코(400)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상기 손잡이(40)를 감싸 쥘 수 있으며, 양측을 잡고 상기 제습기(1)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put his / her hand into the handle hole 1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10 to hold the handle 40 through a space formed on the side deco 400 side, Can be stably moved.

상기 제습기(1)가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를 조작하여 상기 제습기(1)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습기(1)의 구동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20)와 모터(530)가 구동되며, 상기 루버(130)는 회전하여 토출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The user operates the dehumidifier 1 to drive the dehumidifier 1 in a state where the dehumidifier 1 is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The compressor 20 and the motor 530 are driven by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and the louver 130 is rotated to expose the discharge port 131 to the outside.

상기 압축기(20)의 구동에 의해 냉동사이클에서의 냉매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압축기는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며, 팽창수단을 거쳐 상기 증발기(31)로 유입된 저온의 냉기에 의해 상기 증발기(31)는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에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상변화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32)로 향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32)에서 재차 열교환된 후 상기 압축기(20)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사이클의 순환에 의해 상기 증발기(31)는 지속적으로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32)는 발열하게 된다.The refrigerant circulates in the refrigeration cycle by driving the compressor 20, and the compressor discharges refrigerant in a liquid state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means to the low-temperature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or 31 So that the evaporator 31 can be cooled. The phase-change refrigerant heat-exchanged with the outside air in the evaporator 31 is directed to the condenser 32 and is returned to the compressor 20 after heat-exchanged again in the condenser 32. By this cycle circulation, the evaporator 31 is continuously cooled and the condenser 32 is heated.

한편, 상기 모터(530)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540)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송풍팬(540)의 회전으로 상기 제습기(1)가 위치된 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31)를 통해서 상기 제습기(1)의 내측으로 강제 흡입된다.The fan 54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530 and air in the room in which the dehumidifier 1 is place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540 through the inlet 331, And is forcibly sucked into the dehumidifier (1).

흡입되는 냉기는 우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있던 수분은 상기 증발기(31)와의 열교환 과정 중에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31)를 따라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를 통과한 공기는 연속하여 응축기(32)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32)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한 상태의 공기가 되어 상기 오리피스(521)로 유입된다.The cold air sucked firs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31 and the moisture in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1 is condensed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with the evaporator 31 and flows along the evaporator 31.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31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32 and is heated by the condenser 32 to be dried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orifice 521.

상기 오리피스(52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송풍팬(540)에 의해 상기 하우징 케이스(510)의 내측 벽면을 따라서 유동하게 되고, 상방의 루버(130)를 통해서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orifice 521 flow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case 510 by the blowing fan 540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again through the upper louver 130.

이러한 과정은 실내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이때에 발생되는 상기 증발기(31)의 응축수들은 상기 프레임(600)의 수평부(620)에 형성된 드레인 유로(621)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워터탱크(800)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부(810)의 내측에 집수되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집수된다. The condensation water of the evaporator 31 generated at this time is discharged to the drain port (not shown)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620 of the frame 600, 621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The condensed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800 is collected inside the water collecting part 810 and is continuously collected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a set water level.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되는 물의 양이 증가되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플로터(830)는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수위 센서(661)에 의해 상기 플로터(83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152)를 통해 만수위를 알려 사용자에게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울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터(830)의 위치가 상기 안전 센서(662)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습기(1)는 동작을 강제 종료하여 상기 워터탱크(800)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When the amount of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tank 800 is increased to reach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floater 830 is moved upward. 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er 830 is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661, The display unit 152 informs the user of the full water level to guide the user to empt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800. When the position of the floater 830 is sensed by the safety sensor 662, the dehumidifier 1 forcibly stops its operation to prevent the water tank 800 from overflowing.

상기 제습기(1)의 동작 중 사용자의 조작이나 설정에 의해 상기 라이팅 모듈(670)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시 상기 워터탱크(800)는 간접조명과 같이 빛을 발산하게 되며 외부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에 집수된 물의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The lighting module 670 may be operated by a user's operation or sett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and the water tank 800 may emit light as indirect lighting when the lighting module 670 operates.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tank 800 from the outside can be easily checked.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riting module 6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2는 상기 워터탱크의 내측으로 라이팅 모듈의 빛이 조사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에서 확인창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가 가시화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ght of the lighting module is irradia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is visualized through a confirmation window in the water tank assembly.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습기(1)의 구동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이 설정되면, 상기 발광부재(671)에서는 빛을 발광하게 되고, 상기 분산부재(672)를 통해 반사 및 굴절되어 상기 워터탱크(800)의 측방에서 상기 워터탱크(80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ighting module 670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the dehumidifier 1 is driven. When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odule 670 is set, the light emitting member 671 emits light and is reflected and refracted through the dispersing member 672, so that the light from the water tank 800). ≪ / RTI >

이때,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빛은 상기 라이팅 홀(673)과 투과부(734)를 차례로 지나면서 상기 워터탱크(800)로 향하게 되고, 상기 워터탱크(800)를 투과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를 밝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ight of the lighting module 670 passes through the lighting hole 673 and the transmissive portion 734 in order to be directed to the water tank 800, a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tank 800 to the water tank 800 ).

상기 제습기(1)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에 물이 집수된 상황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내부로 빛이 조사되게 되며,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수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water is collected in the water tank 800 by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1, the water is irradiated into the water tank 800, and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800 can be easily .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heck window 7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drawer 710

이때, 조사되는 빛에 의해 물이 채워진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밝기가 현저하게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기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가 어두운 상황에서도 상기 워터탱크(800) 내부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rightness of the portion filled with water and the portion not filled with water may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illuminated light, and the user can confirm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through this. Further,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800 can be easily confirmed even in a dark room.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800)는 실내가 어두운 상태 일때 상기 라이팅 모듈(670)의 동작에 의해 밝게 빛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800) 내에 채워진 물에 의해 무드등 과 같은 간접 조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상기 제습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ank 800 can brightly illuminate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module 670 when the room is in a dark state, and functions as indirect lighting such as a mood by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tank 800 . Meanwhile, the lighting module 670 may irradiate light of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humidifier.

예를 들어, 상기 수위 감지부(660)에서 감지된 수위가 정상 수위 즉, 상기 수위 센서(661)의 감지 전일 경우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청색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가 청색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확인창을 통해서 상기 워터탱크(800)가 청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워터탱크(800)를 비울 필요가 없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660 is a normal water level, that is, before the sensing of the water level sensor 661, the lighting module 670 irradiates blue light to the water tank 800, Can be made to shine in blue.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water tank 800 has turned blue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empty the water tank 800 in this state.

상기 수위 센서(661)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황색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가 황색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상기 워터탱크(800)가 황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워터탱크(800)를 비워야 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water level sensor 661 sense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the lighting module 670 emits yellow light so that the water tank 800 can be illuminated with a yellow color.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water tank 800 has turned yellow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and in such a stat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800 needs to be emptied.

한편, 상기 안전 센서(662)에서 상기 워터탱크(800)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라이팅 모듈(670)은 적색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가 적색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상기 워터탱크(800)가 적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워터탱크(800)가 완전히 채워진 상태인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1)가 더 이상 제습작용을 수행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우고 상기 제습기(1)가 다시 동작될 수 있도록 조작하여야 한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800 is sensed by the safety sensor 662, the lighting module 670 emits red light so that the water tank 800 can be illuminated in re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water tank 800 has turned to r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In this stat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water tank 800 is completely filled, and the dehumidifier 1) is no longer performing a dehumidifying action. Therefore, in such a state, the user must immediately operate the water tank 800 to empty the water tank 800 and operate the dehumidifier 1 again.

이와 같이 상기 워터탱크(800)의 직접적인 수위 확인이 없더라도 상기 확인창(722)을 통해서 확인되는 색상만으로 사용자는 워터탱크(800)를 비워야 하는 시기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us, even if there is no direct water level confirmation of the water tank 800, the user can determine the time when the water tank 800 should be emptied by only the color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722.

한편, 상기 워터탱크(800)가 만수위가 되거나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워야 하는 경우에 상기 워터탱크(800)를 탈착하기 위한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ater tank 800 when the water tank 800 becomes full or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800 needs to be empt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4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조작 전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14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in the state befo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taken out of opera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습기(1)가 정상 구동되고 상기 워터탱크(800)가 만수위가 되기 전에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전면부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어 일체감을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ank drawer 71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efore the dehumidifier 1 is driven normally and the water tank 800 is fully floated, and the tank drawer 710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drawer 71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case 200 to have a sense of unity.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롤링 유닛(680)은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가장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서브 롤러(690) 또한 상기 서브 가이드(640)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In this state, the rolling unit 680 is positioned at the rear most of the main guide 630, and the sub-roller 690 is also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b-guide 640.

그리고, 상기 로커(721)는 상기 래치(65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커(721)와 래치(650)의 구속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tank drawer 710 is kept closed by the locker 721 and the latch 650 while the locker 721 is inserted into the latch 650. [

도 15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15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with the water tank assembly drawn out. 1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guide assembly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assembly is drawn out.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워터탱크(800)의 물을 비우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상기 로커(721)가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상부를 후방으로 한번 누른 후 떼게 되면,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이 해제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empty the water in the water tank 800, when the user first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drawer 7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ocker 721 and then releases the water, 650 and the locker 721 are released.

상기 래치(650)와 로커(721)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롤링 유닛(680)의 롤링 기어(681)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는 하방으로 향하는 하향 경사부(6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워터탱크(800)가 수용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The rolling gear 681 of the rolling unit 680 rotates while moving along the gear portion 635 formed in the main guide 630 do. At this time, since the rolling gear 681 moves downward along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633, the tank drawer 710 is rotated by the weight of the tank drawer 710 accommodating the water tank 800 It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이때, 상기 롤링 기어(681)와 연동하는 댐퍼(683)에 의해 상기 롤링 기어(681)의 회전 속도는 급격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일정한 속도 범위 내에서 전방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lling gear 681 is not rapidly increased by the damper 683 interlocked with the rolling gear 681, and the tank drawer 710 is drawn out in a predetermined speed range Lt; / RTI >

또한,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의 어퍼 파트(631)와 접하는 상태로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 구름 운동하여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인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The main roller 682 may roll along the upper part 631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631 of the main guide 630 so that the tank drawer 710 is pulled out, So that the roller 710 does not vertically move and the rolling gear 681 can be stably moved along the gear portion 635.

한편, 상기 서브 롤러(690)는 상기 서브 가이드(640)를 따라서 구름 운동하며, 상기 서브 가이드(640)의 인출부(641)의 하향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The sub roller 690 rolls along the sub guide 640 and moves along the downward inclination of the lead portion 641 of the sub guide 640.

이와 같이, 상기 탱크 드로워는 도 15 및 도 16의 상태가 될 때가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된다. In this manner, the tank drawer is slidably pulled out forward until the state shown in Figs. 15 and 16 is reached.

도 17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제습기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가 인출 후 틸팅된 상태의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17 is a side view of the dehumidifier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tilted after being drawn out.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guide assembly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assembly is pulled out and then til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하향 경사부를 벗어나는 시점에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최대 속도로 전방 이동하게 되며, 전방 이동되는 관성에 의해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ank drawer 710 moves forward at a maximum speed when the rolling gear 681 moves out of the downward inclined portion, and the rolling gear 681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moves along the portion 634.

상기 롤링 기어(681)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기어부(635)에 지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상향 경사로 인해 상기 롤링 기어(681)의 이동 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메인 롤러(682)는 상기 어퍼 파트(631)를 따라 지속적으로 접촉상태로 구름 운동하여 상기 롤링 기어(681)가 상기 기어부(635)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The rolling gear 681 is continuously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635 of the upward sloping portion 634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lling gear 681 due to the upward inclination of the upward sloping portion 634 The speed will gradually slow down. Of course, at this time, the main roller 682 also continuously moves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631 to prevent the rolling gear 681 from moving out of the gear part 635.

한편, 상기 롤링 기어(681)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서브 롤러(690)는 상기 틸팅부(642)로 진입하여 구름 운동하게 되며, 상기 틸팅부(642)의 이동거리는 상기 상향 경사부(634)의 이동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된다. While the rolling gear 681 is moving, the sub-roller 690 enters the tilting portion 642 and rolls,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tilting portion 642 is adjusted by the upward inclined portion 634, As compared with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ody.

이때,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상기 베이스 팬(11)에 구비되는 베이스 롤러(13)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워터 탱크(710)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베이스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점보다 전방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게 되어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틸팅된다. At this time, the tank drawer 710 is supported by the base roller 13 provided to the base pan 11, and when the tank drawer 710 is fully drawn out,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in front of the point supported by the base roller to generate a moment, and the tank drawer 710 is tilted while being naturally rotated.

이때, 상기 롤링 유닛(680)과 보조 롤러(690)는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틸팅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드로워(710)는 틸딩되어 상기 수납부(730)의 개구된 상면이 상방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ing unit 680 and the auxiliary roller 690 guide the tilting of the tank drawer 710 while moving along the main guide 630 and the sub guide 640. The tank drawer 710 is tilted so that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730 is completely exposed upward.

상기 탱크 드로워(710)가 완전히 틸팅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 17 및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롤링 유닛(680)과 상기 서브 롤러(690)는 각각 상기 메인 가이드(630)와 서브 가이드(64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17 and 18 when the tank drawer 710 is completely tilted and the rolling unit 680 and the sub-roller 690 are in contact with the main guide 630 and the sub- 640, respectively.

도 19는 상기 워터 탱크 어셈블리에서 상기 워터탱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assembly.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탱크 드로워(710)의 틸팅까지 완료되면, 상기 워터탱크(800)는 상기 수납부(730)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탱크(800)를 상기 수납부(73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워터탱크(800)의 개폐부(822)를 회동하여 상기 워터탱크(800) 내의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19, when the tilting of the tank drawer 710 is completed, the water tank 800 can be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portion 730, and the water tank 800 can be taken out from the receiving portion 730 730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800 can be discharged by rot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822 of the water tank 800.

이때 상기 워터탱크(800)의 분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탱크 핸들(840)을 상방으로 인출하고, 사용자는 상기 탱크 핸들(840)을 잡고 상기 워터탱크(800)를 분리 또는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water tank 800, the tank handle 840 is drawn upward, and the user can hold the tank handle 840 to remove or move the water tank 800 .

Claims (17)

열교환모듈이 안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열교환 모듈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집수되는 투명소재의 워터탱크;
상기 수직부에 개구되는 라이팅 홀을 차폐하는 분산부재와, 상기 분산부재를 투과하여 상기 워터탱크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재로 구성되는 라이팅 모듈;
상기 워터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자석이 내장된 플로터;
상기 워터탱크의 일측 벽면에 상기 플로터가 수용되도록 상하로 연장되며,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플로터 수용부; 및
상기 플로터 수용부와 마주보는 상기 수직부에 제공되며, 상기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수위 감지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A frame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on which the heat exchange module is seated and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A water tank of a transparent material detachably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collecting moisture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module;
A lighting module configured to shield a lighting hole opened in the vertical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member that transmits light toward the water tank through the dispersing member;
A floater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and having a magnet therein;
A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to receive the floater on on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ater according to a water level; And
And a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facing the floater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lo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nsor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모듈은 다수의 색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습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module may illuminate the light in a plurality of colors,
Wherein the light source emits light of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an operation state of the dehumidifi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모듈은 상기 수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 of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모듈은 상기 제습기 일측에 구비되는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내 습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room humidity detected by a humidity sens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ehumidifi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모듈과 상기 워터탱크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확인창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water tank are arranged so that a check window for exposing light to the outside is crossed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워터탱크가 수납되는 탱크 드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rame,
And a tank drawer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and out, and in which the water tank is hou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드로워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빛이 투과되는 투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ank drawer is formed with a transmissive portion that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module and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드로워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상기 워터탱크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check windo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drawer so as to be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은 좌우 양측 중 상기 라이팅 모듈과 먼 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firmation window is disposed at a position farther away from the lighting module than the right and left sid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드로워는,
상기 워터탱크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습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ank drawer,
A water storage portion forming a space opened upward so that the water tank can be taken in and out;
And a front surface portion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forming an out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ehumidifi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탱크 드로워에는 상기 수위 감지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상기 수위 감지부가 삽입되는 감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is protruded from the vertical portion,
Wherein the tank drawer is formed with a tapered portion which is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vel detecting portion and into which the level detecting portio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설정된 용량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의 용량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팅 모듈은 수위 센서와 안전 센서의 감지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tate in which a set amount of water is filled;
And a safety sensor capable of sensing a state in which a greater amount of water than the capacity of the water level sensor is filled,
Wherein the lighting module irradiates lights of different colors when sensing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safety senso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팅 모듈의 빛의 조사 방향은 상기 확인창이 개구된 방향과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ight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ighting module is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direction in which the confirmation window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탱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며 물이 수용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부 커버;
상기 집수부 커버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워터탱크의 탈착을 위해 잡을 수 있는 탱크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comprises:
A collecting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containing water;
A collecting part cover for covering an opened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And a tank handle disposed on the water collecting cover and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for detachment of the water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탱크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며 물이 수용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집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 커버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집수부의 상면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comprises:
A collecting part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containing water;
And a collecting cover covering the opened top surface of the collecting part,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tha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ater collecting part cover and opens / close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KR1020140040832A 2014-04-04 2014-04-04 Dehumidifier KR101581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2A KR101581115B1 (en) 2014-04-04 2014-04-04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2A KR101581115B1 (en) 2014-04-04 2014-04-04 Dehumid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64A KR20150115564A (en) 2015-10-14
KR101581115B1 true KR101581115B1 (en) 2016-01-11

Family

ID=5435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832A KR101581115B1 (en) 2014-04-04 2014-04-04 Dehumid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1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706A1 (en) * 2018-12-24 2020-07-02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Duct having exposed drain pump water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876A (en) * 2001-06-07 2002-12-18 Corona Corp De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73Y2 (en) * 1989-03-28 1994-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Dehumidifier
JP3284267B2 (en) * 1997-09-17 2002-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Dehumidifier drainage device
KR20060129678A (en)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humid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876A (en) * 2001-06-07 2002-12-18 Corona Corp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64A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4834A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KR101581116B1 (en) Dehumidifier
KR101588126B1 (en) Dehumidifier
CN110857797B (en) Dehumidifier
KR101662891B1 (en) Dehumidifier
KR20200022667A (en) Dehumidifier
CN104949215A (en) Dehumidifier
KR20120097550A (en) Refrigerator
US8333084B2 (en) Refrigerator and lighting device therefor
KR101581115B1 (en) Dehumidifier
KR101581114B1 (en) Dehumidifier and withdrawal method of water tank thereof
KR101532876B1 (en) Dehumidifier
KR101581549B1 (en) Dehumidifier
KR101671575B1 (en) Dehumidifier
KR20060129678A (en) A dehumidifier
JP2002364903A (en) Dehumidifier
JP4090440B2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CN117232191A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115420047A (en)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ng device
JP2002364877A (en) Dehumid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