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450B1 -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450B1
KR101580450B1 KR1020147008812A KR20147008812A KR101580450B1 KR 101580450 B1 KR101580450 B1 KR 101580450B1 KR 1020147008812 A KR1020147008812 A KR 1020147008812A KR 20147008812 A KR20147008812 A KR 20147008812A KR 101580450 B1 KR101580450 B1 KR 10158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play system
product management
management display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3211A (en
Inventor
스티븐 엔. 하디
Original Assignee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564,575 external-priority patent/US8863963B2/en
Application filed by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알티씨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9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선반 상의 제품을 상품화하기 위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은 두 개의 측부를 가지면서 복수의 틈새를 형성하는 전방 라운드형 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를 포함한다. 립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의 전방 라운드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방 선반은 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는 전방 벽과 두 개의 측부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분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은 상부 벽, 저부 벽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 저부 벽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는 벽 틈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방 벽은 트레이 상의 복수의 틈새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for merchandising a product on a shelf includes at least one tray having a front rounded portion having two sides and forming a plurality of crevices. The lip portion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front rounded portion of the at least one tray. The front shelf may extend forward from the lip. The at least one tray may include a front wall and one divider extending upwardly from each of the two sides. The front wall may include a top wall, a bottom wall and two side legs. The front wall, the bottom wall and the two side legs may form a wall gap, and the front wa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aps on the tray.

Figure R1020147008812
Figure R1020147008812

Description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관련 출원 교차 참조Related application Cross reference

본 출원은 2005년 11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734,692호와 2005년 9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716,36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미국 특허 제7,823,734호로서 특허되고 2006년 4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1/411,76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7년 6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1/760,19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9년 1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2/357,860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9년 12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12/639,656호에 관련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2년 8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일부 계속 특허 출원 제 13/564,575호와 2011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53,545호 및 2011년 10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42,473호 및 2011년 9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30,73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통합되어 있다.
This application is related to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734,692, filed November 8, 2005, and U.S. Patent No. 7,823,734, which claims priority to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0 / 716,362, filed September 12, 2005 Part of U.S. Application Serial No. 11 / 411,761 filed on April 25, 2006, part of U.S. Serial No. 11 / 760,196, filed on June 8, 2007, the continuation-in-part of U.S. Application Serial No. 11 / No. 12 / 639,656, filed December 16, 2009, which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2 / 357,860. This application is also a continuation-in-part of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13 / 564,575, filed August 1, 2012,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553,545, filed October 31, 2011, and filed October 3, 2011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1 / 530,736, filed September 2, 2011, all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품 상품화에 사용하기 위한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반 상에 제품을 전시 및 푸시하기 위한 개선된 메커니즘을 갖는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 to shelf assemblies for use in product merchandi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shelf assemblies having improved mechanisms for exhibiting and pushing products on shelves.

편의점, 약국, 식료품점, 할인점 등 같은 소매 및 도매점은 제품을 보관하고 소비자에게 제품을 전시하기 위해 다량의 선반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제품 전시시, 선반 상의 제품이 선반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어 제품이 소비자에게 보여지고 접근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병에 담긴 물 및 기타 병 또는 캔형 음료와 같은 제품을 보관 및 전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쿨러(cooler) 또는 냉장고의 경우에, 이들 제품들이 또한 선반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어 소비자에게 보여지고 접근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tail and wholesalers such as convenience stores, pharmacies, grocery stores, and discount stores are known to require large quantities of shelves to store and display products to consumers. When the product is display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duct on the shelf is arranged toward the front of the shelf so that the product can be seen and accessible to the consumer. In the case of coolers or refrigerators used to store and display products such as soft drinks, energy drinks, bottled water and other bottles or canned beverages, these products may also be placed towards the front of the shelf, It is desirable to be visible and accessible.

제품의 이러한 배치를 달성하기 위해, 공지된 시스템은, 중력에 의해 선반의 전방을 향해 제품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경사진 트레이 또는 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시스템 중 다수는 그 낮은 마찰 계수에 기인하여 경사진 플로어 또는 표면을 따라 제품이 쉽게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폴리프로필렌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플로어 또는 선반을 포함한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 이들 표면은 이물질 또는 점성 물질로 막힐 수 있으며, 이들은 제품이 적절히 활주되는 것을 방해하여, 때때로, 다수 제품이 넘어지고 따라서 추가 제품이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o achieve this arrangement of the product, the known system may include a tilted tray or floor that can move the product towards the front of the shelf by gravity. Many of these systems include floors or shelves of 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that allow the product to slide easily along sloping floors or surfaces due to its low coefficient of friction. However, over time, these surfaces can become clogged with foreign or viscous materials, which interfere with the proper sliding of the product, so that sometimes multiple products fall and thus block further products from moving forward in the shelf .

다른 시스템은 선반의 전방에서 제품이 제거될 때 선반의 전방을 향해 제품을 푸시하기 위한 푸셔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한다. 공지된 푸셔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트랙 상에 장착되며, 제품을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해 푸셔 패들과 코일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때때로, 시스템이 사용될 때,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면, 트랙은 트랙 내의 푸셔 시스템의 적절한 동작을 방해하는 먼지나 점성 물질로 막힌다. 또한, 상품화되는 제품의 크기, 형상 및 중량에 따라서, 공지된 푸셔 패들은 때때로 기울어지거나 후방으로 굴곡되어, 이에 의해 트랙 내의 푸셔 메커니즘의 구속을 유발한다. 이들 상황에서, 푸셔 메커니즘은 제품을 선반의 전방을 향해 적절히 푸시할 수 없다.
Other systems include the use of a pusher system to push the product toward the front of the shelf when th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shelf. Known pusher systems are typically mounted on tracks and include pusher paddles and coiled springs for urging the product forward. Occasionally, when the system is used, and over time, the track is clogged with dust or viscous material that interferes with proper operation of the pusher system in the track. Also, depending on the size, shape and weight of the merchandised product, known pusher paddles are sometimes tilted or bent backward, thereby causing constraint of the pusher mechanism in the track. In these situations, the pusher mechanism can not properly push the product toward the front of the shelf.

예시적 일 실시예는 중력 급송 상품화 시스템(즉, 경사진 선반 또는 트레이) 및 비 중력 급송 상품화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는 트랙리스(trackless) 푸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상품화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One exemplary embodiment relates to improving existing merchandising systems by providing a gravity feed merchandising system (i.e., a sloped shelf or tray) and a trackless pusher system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a non-gravity feed merchandising system.

예시적 일 실시예는 선반 상의 제품을 상품화하기 위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그 위에 제품이 배치되는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트랙리스 시스템은 공지된 푸셔 메커니즘을 유지 및 안내하기 위해 트랙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알려진 문제를 극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교지가 푸셔 메커니즘을 장착하기 위한 트랙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An exemplary embodiment relates to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for merchandising a product on a shelf. This embodiment includes using a trackless pusher mechanism that moves along a surface on which the article is placed. Trackless systems overcome known problems by using tracks to maintain and guide the known pusher mechanism.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achings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with systems including tracks, etc., for mounting pusher mechanisms.

푸셔 메커니즘은 푸셔 패들과 푸셔 패들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플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 코일형 스프링 또는 다른 편향 요소가 푸셔 패들의 뒤에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푸셔 메커니즘의 플로어를 가로질러 그리고 선반의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 평탄 코일형 스프링 또는 편향 요소는 분할기를 가로질러 선반 조립체의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푸셔 패들이 동작 동안 기울여지거나 후방으로 굴곡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pusher mechanism may include a pusher paddle and a floor extending forward of the pusher paddle. A flat coil spring or other deflection element may be operatively connected behind the pusher paddles and extend across the floor of the pusher mechanism and forward of the shelf. Alternatively, a flat coil spring or biasing element may extend forward of the shelf assembly across the divider. With this arrangement, the pusher paddles are prevented from tilting or bending backward during operation.

또한, 예시적 실시예는 중력 급송 시스템 또는 선반의 전방을 향해 제품을 압박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중력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수평 또는 비경사 선반 또는 표면 상에서 제품을 상품화하는 푸셔 메커니즘의 사용을 포함한다.
The exemplary embodiments also include the use of gravity systems as gravity delivery systems or mechanisms for pushing products toward the front of the shelf, and the use of pusher mechanisms to commoditize products on horizontal or non-warped shelves or surfaces.

본 발명의 예시적 예시 실시예에 따라서, 푸셔 패들은 소프트 드링크 병 또는 캔 같은 원통형 제품을 푸시하고 제품 뒤에, 그리고, 트랙 상에 패들을 중심설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오목한 푸싱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푸셔 패들은 또한 원통형 제품을 푸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굴곡 리브 또는 유사한 구조체를 그 상부 에지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평탄 푸싱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exemplary illustr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r paddles may form a concave pushing surface for pushing a cylindrical product such as a soft drink bottle or can, and to maintain the paddles behind the product and on the track in a centered state . Alternatively, the pusher paddles may also form a flat pushing surface that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rib or similar structure on its upper edge that may be used to push the cylindrical article.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푸셔 메커니즘의 플로어는 코일형 스프링에 대해 푸셔 메커니즘을 정렬하도록 노치(notch) 또는 절취(cut ou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플로어는 코일형 스프링의 평탄 단부를 수용하고 플로어에 장착하기 위한 노치 또는 절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팁은 코일형 스프링을 시스템의 플로어에 장착하기 위해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는 조립체의 분할기에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of the pusher mechanism may include a notch or cut out portion to align the pusher mechanism with respect to the coiled spring. The floor of the system may also include a notch or cutout for receiving the flat end of the coiled spring and mounting the floor to the floor. The spring tip may be placed on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to mount the coiled spring to the floor of the system. Alternatively,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may be mounted to the divider of the assembly.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을 위한 어댑터가 전시 시스템의 플로어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어댑터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평면형 표면을 가로질러, 그리고, 평면형 표면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두 개의 리브를 갖는 평면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은 평행하게 연장하는 리브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품화될 제품은 리브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코일형 스프링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음료 캔 같은 소정 유형의 제품의 전진 이동을 개선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 adapter for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may be locat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display system. The adapter may include a planar surface having at least two ribs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parallel manner across the planar surface and outwardly from the planar surface. The coil spring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ibs extending in parallel. In such an arrangement, the product to be commoditized can be placed on the rib, and can not be placed directly on the coiled spring, thereby improving the forward movement of certain types of products such as beverage cans.

또 다른 대안의 양태에서, 시스템의 플로어에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장착하기 위해 장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리브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이격된 활강 레일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에 대하여, 장착 부재는 활강 레일 사이에, 그리고, 플로어 상에 스냅 결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In yet another alternative aspect, a mounting member may be used to mount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to the floor of the system. For systems comprising spaced rung rails joined together by connecting ribs, the mounting members can be mounted between the rung rails and on the floor in a snap-fit or otherwise manner.

또 다른 대안의 양태에서, 트랙리스 푸셔 시스템은 기존 선반 조립체에 개장된다. 이는 전체 트랙리스 푸셔 조립체를 상품화하는 것에 대한 낮은 가격의 대안으로서 기존 선반 시스템에 트랙리스 푸셔 시스템을 배치할 수 있게 한다.
In yet another alternative aspect, the trackless pusher system is retrofitted to an existing shelf assembly. This allows the trackless pusher system to be placed in existing shelf systems as a low cost alternative to commercializing the entire trackless pusher assembly.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은 리테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의 일 단부는 리테이너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상기 단부는 어댑터를 통해 리테이너에 장착될 수 있다. 어댑터는 전시 조립체에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리테이너의 대응 형상 굴곡형 슬롯에 수용되는 굴곡 부분을 가질 수 있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coiled spring may be mounted to the retainer. One end of the coiled spring may be directly mounted to the retainer, or alternatively, the end may be mounted to the retainer through an adapter. The adapter may have a flexure portion that is received in a correspondingly-shaped slot in the retainer to secure the end of the spring to the display assembly.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는 선반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도브테일 연결부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할기는 제품 열의 폭이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tray may be attached through a dovetail connection to form a shelf assembly. Additionally, the divider can be adjusted so that the width of the product row can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products of various sizes.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은 적층가능한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조립체는 제 1 벽과 제 2 벽을 각각 갖는 제 1 트레이 및 제 2 트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레이는 푸셔 메커니즘 및 리테이너 메커니즘을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는 서로의 상부에 제 1 및 제 2 트레이를 적층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트레이에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스페이서는 복수의 멈춤쇠(detent)를 구비할 수 있고,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는 복수의 멈춤쇠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대응 형상의 소켓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may be arranged in a stackable arrangement. Th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tray and a second tray each having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The first and second trays are each configured to receive a pusher mechanism and a retainer mechanism.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are mount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ys to stack the first and second trays on top of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may have a plurality of detents and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ly shaped receptacles to receive a plurality of detents.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은 전방 라운드형 부분을 구비하고, 복수의 틈새(aperture)를 형성하며, 두 개의 측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의 전방 라운드형 부분으로부터 립부(lip)가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방 선반은 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는 두 개의 측부 및 전방 벽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분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벽은 상부 벽, 저부 벽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벽, 저부 벽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는 벽 틈새를 형성하고, 전방 벽은 트레이 상의 복수의 틈새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tray having a front rounded portion, forming a plurality of apertures, and having two sides. The lip can extend upwardly from the front rounded portion of at least one tray. The front shelf may extend forward from the lip. The at least one tray may include one divider extending upwardly from each of the two side and front walls. The front wall may include a top wall, a bottom wall and two side legs. The top wall, bottom wall and two side legs form a wall gap, and the front wa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aps on the tray.

도 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에 장착된 예시적 푸셔 메커니즘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품이 시스템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도 2의 시스템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수의 제품이 시스템에 배치되어 있는 도 2의 시스템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시스템의 등각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위한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도 8은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의 표면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도 9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도 10은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된 도 7의 예시적 팁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대안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시스템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1의 시스템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어댑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어댑터의 예시적 설치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설치된 어댑터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설치된 어댑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대안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전시 시스템의 플로어에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장착 부재의 등각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의 등각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코일형 스프링이 예시적 푸셔 패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한다.
도 25는 코일형 스프링이 예시적 푸셔 패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에 장착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6은 시스템의 플로어에 장착된 코일형 스프링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한다.
도 27은 시스템의 플로어에 설치된 도 22의 예시적 장착 부재를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대안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트레이의 확대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제 1 고정 방법을 예시하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9b는 제 2 고정 방법을 예시하는 도 28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트레이에 스프링을 부착하는 리벳을 예시하는 도 28의 실시예의 확대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기존 와이어 선반에 조립되는 도 28의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기존 와이어 선반에 조립된 도 28의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어댑터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리테이너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0은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1a는 분할기의 예시적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1b는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1c는 도 41b의 섹션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1d는 분할기의 예시적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5는 시스템에 제품을 구비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시스템에 제품을 구비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시스템에 제품을 구비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분할기에 장착된 푸셔 메커니즘의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에 조립되는 분할기와 푸셔 메커니즘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1은 제품이 없는 도 50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도 50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의 분해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4는 도 53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선반에 대한 푸셔 스프링의 예시적 부착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5는 도 53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선반에 대한 푸셔 스프링의 예시적 부착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6은 도 53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선반에 대한 푸셔 스프링의 예시적 부착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도 53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선반에 대한 푸셔 스프링의 예시적 부착부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양태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9a 내지 도 59c는 도 58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0은 도 58의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의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1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pusher mechanism mounted on an exemplary tray or product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2 in which the product is located within the system.
Figure 4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2 in which a number of products are located in the system.
Figure 5 shows an isometric back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4;
Figure 6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tray or product cha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llustrates an exemplary tip for the end of a coiled spring that may be used with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exemplary tip of Figure 7 mounted on the surface of a tray or product channel.
Figure 9 shows the exemplary tip of Figure 7 mounted on the end of a coil spring.
Figure 10 shows the exemplary tip of Figure 7 mounted on the end of a coil spring.
Figure 11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alternat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11;
Figure 13 shows a front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11;
Figure 14 shows a top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11;
Figure 15 shows a rear view of the system of Figure 11;
Figure 16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adapter that can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shows a front view of the adapter of Figure 16;
Figure 18 illustrates an exemplary installation of an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installed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shows a front view of an installed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alternate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llustrates an isometric bottom view of an exemplary mounting member that may be used to mount the end of a coiled spring to a floor of a display system.
Figure 23 shows an isometric top view of the exemplary mounting member of Figure 22;
24 illustrates an exemplary mounting member of FIG. 22 mounted to an end of a coiled spring with a coiled spring mounted to the exemplary pusher paddle.
Figure 25 shows another view of the exemplary mounting member of Figure 22 mounted on the end of a coiled spring with a coiled spring mounted on the exemplary pusher paddle.
Figure 26 shows the exemplary mounting member of Figure 22 with a coiled spring mounted on the floor of the system attached.
Figure 27 shows the exemplary mounting member of Figure 22 installed in the floor of the system.
28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alternativ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shows an enlarged isometric view of the tray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ure 28;
29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28 illustrating a first fastening method.
29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28 illustrating a second fastening method.
Figure 30 shows an enlarged isometric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28 illustrating a rivet that applies a spring to a tray.
Figure 31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28 assembled to a conventional wire shelf.
Figure 32 shows an isometric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28 assembled to a conventional wire shelf.
33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34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35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n adapter.
36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retainer.
37 shows a side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38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Figure 39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40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41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vider.
41B shows a front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Fig. 41C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section of Fig. 41B.
Figure 41d shows a front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vider.
Figure 42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Figure 43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isplay system.
Figure 44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Figure 45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having a product in the system.
46 shows a top view of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having an article on a system.
Figure 47 shows an isometric back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having a product in the system.
Figure 48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usher mechanism mounted on a divider.
Figure 49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the pusher mechanism and the divider assembled into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Figure 50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Figure 51 shows another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ure 50 without a product.
Figure 52 shows an exploded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ure 50;
Figure 53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54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attachment of the pusher spring to the shelf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
Figure 55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attachment of a pusher spring to a shelf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ure 53;
56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attachment of the pusher spring to the shelf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
Figure 57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xemplary attachment of a pusher spring to the shelf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ure 53;
58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and an isometric view of that aspect.
59A-C show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 58;
Figure 60 shows an isometric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of Figure 58;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되거나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구성요소의 배열 및 구성의 세부사항에 그의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내포하는" 및 "포함하는"과 그 변형어의 사용은 그후 나열된 항목 및 그 균등물과 추가적 항목 및 그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장착", "장착된" 또는 "장착하는"의 사용은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하나의 부품을 다른 부품에 장착, 부착, 결합 또는 체결하는 임의의 기술이나 방법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Before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application to the details of the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or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vention is capable of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practiced or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regarded as limiting. The use of "including" and "including ", and variations thereof, means including the items listed thereafter and equivalents thereof as well as additional items and equivalents thereof. Also, the use of the term "mounted "," mounted ", or "mounting " means broadly embracing any technique or method of mounting, attaching, fastening, or fastening a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do.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 번호가 유사 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예시적 실시예의 등각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 상품화 시스템(10)은 제품 분배 트레이(12)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예시적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이 장착되어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푸셔 메커니즘(14)은 트레이(12)에 끼워맞춤되고, 트레이 또는 트레이의 플로어에 종래의 푸셔 메커니즘을 보유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랙, 레일 또는 안내부의 사용 없이 트레이의 표면을 따라 활주한다. 푸셔 메커니즘은 푸셔 패들과 푸셔 패들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푸셔 플로어를 형성한다. 코일형 스프링은 푸셔 플로어를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고, 트레이 상의 전방 위치에서 트레이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품화될 제품은 푸셔 패들의 전방에서 트레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푸셔 플로어 뿐만 아니라 코일형 스프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품의 중량은 제품의 적절한 푸싱을 보증하도록 푸셔 패들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트랙, 레일 또는 안내부를 사용하는 공지된 푸셔 시스템의 유효성을 방해하는 이물 또는 점성 물질과 연계된 문제점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실시예 및 특징과 그 교지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Referring to the figures in which like numerals represent like elements, FIG. 1 shows a conformal exploded view of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emplary merchandising system 10 includes a product dispensing tray 12 within which an exemplary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is mounted. 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the pusher mechanism 14 is adapted to engage the tray 12, and without the use of tracks, rails, or guides conventionally used to hold conventional pusher mechanisms in the tray or tray floor Slides along the surface of the tray. The pusher mechanism forms a pusher floor extending forwardly of the pusher paddles and pusher paddles. The coiled spring may extend across the pusher floor and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ray at a forward position on the tray.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article to be commercialized may be placed in the tray in front of the pusher paddles and disposed on the coiled spring as well as the pusher floor. In such an arrangement, the weight of the product will prevent the pusher paddles from tilting to insure proper pushing of the product. In addition, problems associated with foreign or viscous materials that hinder the effectiveness of known pusher systems using tracks, rails or guides are eliminated. Other aspects, embodi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teachings ar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below.

예시적 트레이(12)는 표면(16)과, 제품의 배치를 위해 트레이를 그 다수의 열로 분리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분할 패널 또는 분할기(18)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의 양태에서, 트레이(12)는 판매를 위해 제품이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는 선반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일 수 있다. 표면(16)은 복수의 지지 리브(22)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이격된 틈새(20)를 형성하는 표면 또는 중실 표면일 수 있다. 틈새(20) 및 리브(22)는 표면을 제공하고, 이 표면 상에 배치되는 제품의 활주식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표면(16) 상에서 수집되지 않도록 액체와 먼지가 틈새(20)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표면(16)은 표면(16) 상에서의 제품의 활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표면 또는 플로어 구성이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원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exemplary tray 12 may form a surface 16 and one or more split panels or dividers 18 for separating the tray into its multiple rows for placement of the product.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ray 12 may be a shelf or any other surface on which a product may be placed for sale. The surface 16 may be a surface or solid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crevices 20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ribs 22. The gaps 20 and ribs 22 provide a surface and allow sliding movement of the product disposed on the surface and also allow liquid and dust to flow through the gap 20 Allowing them to pass. The surface 16 may be made of any suitable material that allows for sliding movement of the article on the surface 16. Other surface or floor configurations are known and may be used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16)은 노치 또는 절취 부분(26)을 포함하는 라운드형 단부 부분(24)을 형성할 수 있다. 단부 부분(24)은 트레이 상에 배치된 제품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라운드형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단부 부분(24)은 라운드형이거나, 단부 부분(24) 상에, 그리고, 트레이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병이나 캔의 윤곽과 일치하도록 반원 형상을 형성한다. 상품화되는 제품에 따라서 본 발명과 함께 단부 부분의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surface 16 may form a rounded end portion 24 that includes a notch or cut-out portion 26. The end portion 24 may be round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product disposed on the tray. For example, the illustrated end portion 24 may be round or semi-circular to conform to the outline of the bottle or can that may be disposed on the end portion 24 and in the tray. Other shapes of the end portions may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product being commoditized.

노치(26)는 코일형 스프링(30) 또는 유사한 편향 요소의 단부(29)를 수용 및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치(26)는 에지(34)에 의해 결합되는 대향한 각진 에지 표면(32)을 형성할 수 있다. 에지(34)는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2) 내에 형성된 제품 열의 폭을 가로질러 중심설정되고, 트레이의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이 구성은 트레이(12)에 대해 코일형 스프링(30)을 중심설정할 것이며, 트레이의 길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식으로 스프링이 연장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달리 말하면, 노치(26)의 도시된 에지(34)는 트레이에 의해 형성된 제품 열의 중심에 또는 그 부근에서 트레이(12)의 길이를 따라 스프링(30)이 연장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당업자는 노치의 위치 및 구성이 스프링의 원하는 배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notch 26 may be used to receive and mount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or similar biasing element. The notches 26 may form opposing angled edge surfaces 32 joined by edges 34. The edge 34 is preferably centered across the width of the product line formed in the tray 12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length of the tray. This configuration will center the coiled spring 30 relative to the tray 12 and will allow the spring to exten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manner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tray. In other words, the illustrated edge 34 of the notch 26 will allow the spring 30 to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tray 12 at or near the center of the product line formed by the tra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notch may vary depending upon the desired placement of the spring.

코일형 스프링(30)은 노치(26)를 가로질러, 그리고, 에지(34)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단부(29)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V 형상일 수 있으며, 후크로서 기능하여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의 일부가 표면(16)의 단부 부분(24) 아래에서 연장하는 상태로 단부(29)가 에지(34) 둘레를 감쌀 것이다. 이 구성은 트레이 상으로의 코일형 스프링의 용이한 설치를 허용한다.
The coiled spring 30 may form an end 29 tha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edge 34 and across the notch 26. [ In one aspect,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may be V-shaped and may function as a hook such that a portion of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extends below the end portion 24 of the surface 16 The end 29 will wrap around the edge 34. This configuration allows easy installation of the coiled spring onto the tray.

다른 양태에서,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 팁(60)이 스프링(30)의 단부(29)에 추가되어 시스템에 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그 위에 스프링 단부가 부착될 필요가 있는 표면과 트레이의 구성에 따라서 다수의 형상 및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이는 스프링 팁(60)의 상호교환 또는 교체를 허용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 팁(60)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틈새(61)는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틈새(63)는 하기 논의된 바와 같이 트레이(12)의 표면(16)으로부터 연장하는 정합 설형부 또는 장착 부재(65)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트레이(12)에 작동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and with reference to Figure 7, a spring tip 60 may be added to the end 29 of the spring 30 to assist in mounting the spring to the system. The spring tip 60 can form a number of shapes and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surface and tray configuration on which the spring ends need to be attached. The spring tip 60 may be permanently attached to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or it may be separated to permit interchange or replacement of the spring tip 60. The spring tip 60 can be made of plastic and can form one or more gaps. The gap 61 can be used to accommodate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30. The second gap 63 may be used to accommodate the mating tongue or mounting member 65 extending from the surface 16 of the tray 12 as discussed below. In this configuration,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can b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tray 12.

다른 양태에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표면(16)에 형성된 틈새 내에 스냅 결합될 수 있거나, 트레이의 틈새 또는 개구에 다른 방식으로 삽입 및 고정되어 이에 의해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may be snapped into a gap formed in the surface 16 or may be inserted and secured in any other way into the clearance or opening of the tray thereby defining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30 (29) in place.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분할기(18)가 또한 제품을 열들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분할기(18)는 표면(1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연장하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표면(16)의 대향 측부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분할기(18)는 트레이(12)의 임의의 원하는 위치 또는 표면(16)에 위치될 수 있다. 분할기(18)는 표면(16)과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거나, 분할기(18)는 추가된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시스템과 분리될 수 있다. 분할기는 시스템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 레일에 부착될 수 있다. 분할기(18)는 다수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품화되는 제품의 열 사이에서 분할기의 원하는 높이를 제공하도록 임의의 원하는 거리로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 높이는 분할기 연장기(divider extender) 등을 추가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ure 1, a divider 18 may also be used to separate the product into rows. The divider 18 extends substantially upward from the surface 16 and may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rface 16, as illustrated in FIG. Alternatively, the divider 18 may be located at any desired location or surface 16 of the tray 12. [ The divider 18 may be formed in a single structure with the surface 16 or the divider 18 may be separate from the system to provide added flexibility. The divider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rails depending on the system. The divider 18 may form a plurality of structures and may extend upward at any desired distance to provide the desired height of the divider between the rows of product being commoditized. This height can be adjusted by adding a divider extender or the like.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제품 보유 부재(44)가 트레이(12)의 전방에 위치되고, 분할기(18)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제품 보유 부재(44)는 트레이(12) 내에 제품을 보유하고 제품이 트레이(12)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 보유 벽 또는 바아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부재는 트레이(12) 내에 위치된 최전방 제품의 용이한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품 보유 부재(4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굴곡 형상 보유 리브일 수 있다. 이들 예시된 보유 리브는 하나의 분할기로부터 다른 분할기로 연장함으로써 분할기들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유 리브는 리브(46)로서 도 1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내에 제품의 보유를 돕도록 분할기들 사이에서 부분적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보유 부재(44)는 분할기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굴곡형 중실 보유 벽(48)일 수 있다. 보유 벽(48)은 선반 상의 제품의 가시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보유 벽(48)은 또한 분할기(18) 사이에서 부분적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유 벽(100)은 트레이의 표면에 부착되고 분할기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유 벽(100)은 상부 부재(104)에 의해 형성된 개구(102)와, 각진 에지(108)를 추가로 형성하는 대향한 굴곡 측벽(106)과, 플로어 부재(1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측벽(106)은 시스템에 따라 직선이고 굴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는 또한 플로어(110)에 스냅 결합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트레이에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제품 보유 부재(44)를 위해 다수의 형상 및 구성이 존재한다는 것과, 도시된 구성은 단지 이들 다수의 구성 중 단지 예시적 실시예라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One or more of the product holding members 44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tray 12 and extend between the dividers 18.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functions as a front retaining wall or bar to retain the product within the tray 12 and prevent the product from falling out of the tray 12. [ In addition, these members are configured to allow for easy removal of the frontmost product positioned within the tray 12.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may be one or more curved retaining ribs as shown in Fig. These illustrated retaining ribs can couple the dividers by extending from one divider to another divider. In addition, the retaining ribs can extend partially between the dividers to assist retention of the product in the tray, as also shown in Fig. 1 as ribs 46. [ Alternatively, and as shown in Figure 6,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may be a curved solid retaining wall 48 extending between the dividers. Retaining wall 48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 enable visualization of the product on the shelf. In other embodiments, the retention wall 48 may also extend partially between the dividers 18.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1-15, retention wall 100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ray and may not connect a divider. The retention wall 100 includes an opening 102 formed by the upper member 104 and an opposing curved sidewall 106 which further defines an angled edge 108 and a wall member 110 . In addition, the side walls 106 may be straight and not curved depending on the system.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may also be snap-coupled to the floor 110 or otherwise attached to the tray using any of the other techniques described herei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adily recognize that there are a number of shapes and configurations for product holding member 44, and that the depicted configuration is merely exemplary of many of these configurations.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예시적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은 푸셔 패들(50)과 푸셔 플로어(52)를 형성한다. 푸셔 패들(50) 및 푸셔 플로어(52)는 단일 일체형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는 별개의 구조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푸셔 패들(50) 및 푸셔 플로어(52)는 임의의 공지된 적절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셔 패들 및 푸셔 플로어는 임의의 공지된 보강 기술을 사용하여 보강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exemplary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forms a pusher paddle 50 and a pusher floor 52. The pusher paddle 50 and the pusher floor 52 may be formed as a single integral structure or may be separate structures joined together using known techniques. In addition, the pusher paddle 50 and the pusher floor 52 may be made of any known suitable plastic or metal material. The pusher paddle and pusher floor may be reinforced using any known reinforcing technique.

일 양태에서, 푸셔 패들(5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병 또는 캔과 같은 상품화되는 제품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굴곡형 푸셔 표면 또는 면(54)을 형성한다. 굴곡형 푸셔 표면(54)은 푸셔가 트레이 내의 최종 제품과 중앙에 정렬되어 푸셔가 유지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구성은 푸셔와 분할기 벽 사이의 마찰(friction) 및 항력(drag)을 감소시킨다. 대안의 양태에서, 푸셔 표면 또는 면은 평탄 표면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평탄 푸셔 표면은 푸셔 패들의 상부 상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되어 도 1에 도시된 굴곡형 푸셔 표면(54)에 유사한 방식으로 트레이 내에 제품을 중심설정 및 정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굴곡형 리브가 동반될 수 있다. 굴곡형 리브는 원통형 또는 유사한 형상의 제품이 트레이에서 적절히 푸시될 수 있게 허용하는 다른 형상 및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광고, 제품 식별 또는 다른 제품 정보가 푸셔 표면(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aspect, the pusher paddle 50 includes a curved pusher surface or surface 54 that is configur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a product to be merchandised, such as a plastic bottle or can containing beverage, as shown in Figures 3-5. . The bendable pusher surface 54 allows the pusher to be centered with the final product in the tray to allow the pusher to be retained. This configuration reduces the friction and drag between the pusher and the divider wall.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pusher surface or surface may be a flat surface. In another aspect, the flat pusher surface may be located on or near the top of the pusher paddles to be used to center and align the product within the tray in a similar manner to the bendable pusher surface 54 shown in FIG. 1 Flexible ribs may be associated. The curved ribs may form other shapes and configurations that allow cylindrical or similar shaped articles to be properly pushed out of the tray. Advertisements, product identification, or other product information may be placed on the pusher surface 54.

푸셔 표면 또는 면(54)의 뒤에는 리브, 벽 또는 거셋(gusset)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지 부재(58)가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58)는 푸셔 표면(54)을 지지하고 추가로 푸셔 패들(50)을 푸셔 플로어(52)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58) 사이에는 코일형 스프링(30), 더 구체적으로는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트레이(12)를 따라 그리고 전방으로 푸셔 패들(50)을 압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일 단부(57)가 위치된다. 푸셔 패들(50)에 코일형 스프링을 작동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기술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Behind the pusher surface or surface 54 may be positioned one or more support members 58, such as ribs, walls or gussets. The support member 58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usher surface 54 and further connect the pusher paddle 50 to the pusher floor 52. 5, there is a coiled spring 30 between the support members 58, and more particularly a pusher paddle 50, which is pushed along the tray 12 and forward, as is known in the art The coil end 57 used for making the coil is located. Any technique used to operatively connect a coiled spring to the pusher paddle 50 may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52)는 푸셔 패들(50)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푸셔 패들의 푸셔 표면(54)의 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푸셔 플로어(52)는 임의의 미리 정해진 거리 및 임의의 미리 정해진 각도로 연장할 수 있다. 예컨대, 푸셔 플로어(52)는 푸셔 표면(54)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푸셔 플로어(52)는 단일 병 또는 캔과 같은 하나의 제품이 푸셔 플로어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한 거리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푸셔 플로어(52)는 둘 이상의 제품이 푸셔 플로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푸셔 플로어(52)는 도시된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푸셔 플로어 상에 제품을 추가로 보유하기 위해 리브, 벽 등과 같은 푸셔 플로어의 표면 상의 특징부를 보유하는 임의의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usher floor 5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pusher paddles 50 and extend forward of the pusher surfaces 54 of the pusher paddles. The pusher floor 52 may extend at any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any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the pusher floor 52 may exte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usher surface 54.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usher floor 52 may extend a sufficient distance to allow one product, such as a single bottle or can, to be placed on the pusher floor. In another aspect, the pusher floor 52 may be configured to allow more than one article to be placed on the pusher floor. The pusher floor 52 may form any shape including the rounded shape shown and may include any product that retains features on the surface of the pusher floor, such as ribs, walls, etc., to further retain the product on the pusher floor Can be formed.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52)는 코일형 스프링(30)을 배치하도록 크기설정, 성형(shaped) 및 구성되는 세장형 채널, 홈 또는 오목한 부분(59)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채널 또는 홈(59)은 플로어(52)를 가로질러서, 그리고, 푸셔 패들(5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대안의 양태에서, 홈 또는 채널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푸셔 플로어(52)를 가로질러 또는 부분적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트레이 내의 푸셔 패들(50)의 적절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허용한다. 홈(59)은 코일형 스프링(30)의 두께와 일치하거나 그를 초과하는 깊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형 스프링(30)은 제품이 코일형 스프링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대신 이런 제품이 푸셔 플로어 표면 상에 배치되도록 푸셔 플로어 표면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할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는 이물질 또는 다른 물품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 및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플로어는 중실 표면일 수 있다.
2, the pusher floor 52 can form elongate channels, grooves or recesses 59 that are sized, shaped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iled spring 30 .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hannel or groove 59 may extend across the floor 52 and in a manner that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usher paddle 50. In alternate embodiments, the grooves or channels may extend across or partially through the entire pusher floor 52, as shown in FIG. This arrangement allows proper alignment and positioning of the pusher paddles 50 in the tray. The groove 59 may form a depth that coincides with or exceeds the thickness of the coiled spring 30. With this arrangement, the coiled spring 30 will be placed at or below the pusher floor surface so that the product is not placed directly on the coiled spring but instead is placed on the pusher floor surface. As shown in Fig. 19, the pusher floor may include gaps and openings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or other articles can pass. Alternatively, the floor may be a solid surface.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안의 양태에서, 어댑터(180)가 표면(1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어댑터(180)는 그 위에 제품이 배치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융기 리브(182)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 리브(182)는 어댑터(180)의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어댑터(180)는 평면형 표면(184)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브(182)를 갖는 상태로, 평면형 표면(184)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의 평탄 압출체일 수 있다. 어댑터(180)는 라운드형 단부(185)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또는 그를 가로질러 코일형 스프링이 연장할 수 있는 노치 또는 절취 부분(186)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형 단부(185)는 트레이 상에 배치되는 제품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부(185), 노치(186) 및 어댑터(180)의 다른 형상들이 상품화될 제품에 따라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어댑터(180)는 별개의 삽입가능한 부재이거나, 대안으로 표면(16)과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In an alternate aspect of the invention as shown in FIGS. 16-20, an adapter 180 may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16. 16 and 17, the adapter 180 may include one or more raised ribs 182 on which the article may be placed. The raised ribs 182 may extend longitudinally along the length of the adapter 180. Adapter 180 may be formed from a flat surface 184 of plastic material (or any other suitable material) forming planar surface 184, with one or more ribs 182 extending outwardly from planar surface 184. [ Extruded body. The adapter 180 may form a rounded end 185 and may include a notch or cutout portion 186 through which the coiled spring may extend or through. The rounded end 185 may be configur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product disposed on the tray. Other shapes of end 185, notch 186 and adapter 180 may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product to be commercialized. The adapter 180 may be a separate insertable member, or alternatively may be a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rface 16.

도 18을 참조하면, 어댑터(180)는 표면(16) 상에, 그리고, 분할기(18) 사이에 쉽게 삽입가능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어댑터(180)가 설치되면, 푸셔 메커니즘(14)은 어댑터(18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어댑터(180)의 리브(182)를 가로질러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30)은 리브(182) 사이에서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고, 도 20에 더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82)의 상부 표면에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상품화될 제품은 리브 상에 배치되고, 코일형 스프링(30) 상에서가 아니라 리브(182)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18, adapter 180 may be readily insertable on surface 16 and between divider 18. 19, when the adapter 180 is installed, the pusher mechanism 14 can be positioned on top of the adapter 180 and can freely slide across the ribs 182 of the adapter 180. As shown in FIG. The coiled spring 30 may extend in a parallel manner between the ribs 182 and may be disposed at or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ribs 182, as more clearly shown in FIG. In this configuration, the product to be commercialized is placed on the rib and can slide along the rib 182, not on the coiled spring 30.

대안의 양태에서, 리브(182)는 융기 비드 또는 융기 비드들이거나, 표면(16) 상에서의 제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수지부(finger)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서, 리브(182)는 제품 전시 시스템의 전방을 향해 그리고 롤링 부재를 가로질러 제품이 구르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롤러 또는 롤링 부재 또는 러너(runner)와 같은 제품 이동 부재일 수 있다. 예시적 롤러 조립체는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통합되어 있는 RTC Industries, Inc.에 양도된, 2005년 10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일련번호 제 11/257,718호에 설명되고 개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선반 또는 플로어 상에서의 제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명된 푸셔 메커니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ribs 182 may be ridge beads or ridge beads, or a series of fingers that may be used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product on the surface 16. In yet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ribs 182 may be configured to move one or more rollers or product movements, such as a rolling member or runner, that allow the product to roll toward the front of the product display system and across the rolling member . Exemplary roller assemblies include those described and disclosed in U.S. Serial No. 11 / 257,718, filed October 25, 2005, assigned to RTC Industries, Inc.,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are a number of possible techniques that can be used with the pusher mechanism described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product on a shelf or floor.

푸셔 플로어(52)의 하측부는 표면(16)을 따라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는 매끄러운 평면형 표면일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리고,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푸셔 플로어(52)는 푸셔 플로어가 표면을 따라 활주하여 표면(16)으로부터 푸셔 플로어를 더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비드, 러너,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서, 푸셔 플로어의 하측부는 당 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트랙 또는 레일에 대한 푸셔의 장착을 허용하게 레일 장착 부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floor 52 can be a smooth, planar surface that is free to slide along the surface 16. [ Alternatively, and similar to the above, the pusher floor 52 may include beads, runners, rollers, etc. that allow the pusher floor to slide along the surface to further raise the pusher floor from the surface 16 .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floor may be configured with a rail mounting member to permit mounting of the pusher relative to the track or rail, as is understood in the art.

푸셔 플로어는 그를 통해 코일형 스프링(30)이 통과할 수 있는 노치 또는 절취 부분(62)을 더 형성한다.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노치(62)를 통해 통과하고, 표면(16)의 노치(26)를 통해 통과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pusher floor further defines a notch or cutout portion 62 through which the coiled spring 30 can pass.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may pass through the notch 62 and through the notch 26 in the surface 16 and may be mounted to the tray using any of the techniques described above. .

사용시, 푸셔 메커니즘(14)이 트레이(12) 내에서 후방으로 압박될 때,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스프링(30)의 코일 단부(57)는 푸셔 패들(50) 뒤에서 코일해제되기 시작한다. 제품이 트레이의 전방으로부터 제거될 때와 같이 푸셔 메카니즘(14)이 트레이(12)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스프링(30)의 코일 단부(57)는 코일링되고 푸셔 패들(50)을 트레이(12) 내에서 전방으로 푸시함으로써, 제품을 트레이의 전방을 향해 압박한다.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is held in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il end 30 of the spring 30 is held in position 57 begin to uncoil behind the pusher paddle 50. [ The coil end 57 of the spring 30 is coiled and the pusher paddle 5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pusher mechanism 14 is allowed to move forward in the tray 12, such as when th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tray. By pushing it forward in the tray 12, thereby urging the product toward the front of the tray.

대안의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상술한 바와 반대로 푸셔 플로어(52) 아래로(below), 그리고, 밑으로(underneath) 연장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이 구성에서, 홈(59) 및 노치(62)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iled spring 30 extends underneath and underneath the pusher floor 52 as opposed to the above, and extends over the pusher floor as shown in the figure do. In this configuration, the groove 59 and the notch 62 may not be needed.

코일형 스프링(30)은 일반적으로 푸셔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평탄 코일형 스프링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편향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망하는 적용에 따라서 푸셔 메커니즘(14)을 전방으로 압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30)의 코일 장력(tension)은 또한 특정 적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The coiled spring 30 may be any deflection elemen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flat coiled spring, which is typically used with a pushe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one or more coiled springs to push forward the pusher mechanism 14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application. The coil tension of the spring 30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이(12)에 장착된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푸셔 메커니즘(14)은 분할기(18) 사이에서 트레이(12) 내에 끼움장착된다.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 내에서 노치를 통해 연장하며, 트레이에 장착된다. 사용시, 푸셔 메커니즘(14)은 트랙, 레일 또는 안내부의 사용 없이 트레이(12)의 표면(16)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메커니즘(14)은 전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mounted to the tray 12 is shown. As illustrated, the pusher mechanism 14 is fitted within the tray 12 between the dividers 18.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30 extends through the notch in the pusher floor as described above and is mounted to the tray. In use, the pusher mechanism 14 can slide along the surface 16 of the tray 12 without the use of tracks, rails or guides. As shown in Fig. 2, the pusher mechanism 14 is shown in the forward posi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품화 시스템(10)에서 하나의 제품(70)을 상품화하는 푸셔 메커니즘(14)이 도시되어 있다. 제품은 제품 보유 부재(44)에 의해 트레이 외부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품(70)은 도시된 소프트 드링크 병을 포함하는 임의의 상품화될 제품일 수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70)은 제품 아래로 연장하는 코일형 스프링(30)과 푸셔 플로어(52) 상에 배치된다. 플로어(52) 상의 제품의 중량과, 스프링(30)을 가로지르는 제품의 위치설정은 패들(50)이 트레이(12)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 pusher mechanism 14 for merchandising one product 70 in a merchandising system 10. The product is prevented from being tilted to the outside of the tray by the product holding member (44). Product 70 may be any merchandise to be merchandised, including the illustrated soft drink bottles. As shown in this figure, the product 70 is disposed on the pusher floor 52 with the coiled spring 30 extending below the product. The weight of the product on the floor 52 and the positioning of the product across the spring 30 prevent the paddle 50 from tilting in the tray 12. [

도 4를 참조하면, 상품화 시스템(10)에서 다수의 제품(70)을 상품화하는 푸셔 메커니즘(14)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50)에 인접한 제품은 제품 아래로 연장하는 코일형 스프링(30) 및 푸셔 플로어(52) 상에 배치된다. 다른 제품은 이들 제품 아래로 연장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30)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어댑터(180)는 시스템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코일형 스프링에 대향하여 어댑터의 리브(182) 상에 제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0)을 가로지르는 제품의 위치설정 및 푸셔 플로어(52) 상의 제품의 중량은 패들(50)이 트레이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시, 하나의 제품이 제품 보유 부재(44) 부근에서 트레이의 전방으로부터 제거될 때, 푸셔 메커니즘(14)(코일형 스프링(30)의 압박을 통해)은 최전방 제품이 제품 보유 부재(44)에 접촉할 때까지 트레이(12) 내에서 잔여 제품을 전방으로 푸시한다. 추가적 제품이 제거될 때, 푸셔 메커니즘(14)은 제품 보유 부재(44)를 향해 잔여 제품을 푸시하는 것을 계속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re is shown a pusher mechanism 14 for merchandising a plurality of products 70 in a merchandising system 10. As shown in this figure, the product adjacent to the pusher paddle 50 is disposed on a coiled spring 30 and a pusher floor 52 that extends under the product. Other products may be disposed on coiled springs 30 that can extend below these products. Alternatively, the adapter 180 may be located within the system, in which case the product may be placed on the adapter ' s ribs 182 against the coiled spring. In addition, the positioning of the product across the spring 30 and the weight of the product on the pusher floor 52 prevents the paddle 50 from tilting in the tray. The pusher mechanism 14 (through the compression of the coiled spring 30) causes the forefront product to move to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when the on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tray near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Push the remaining product forward in the tray (12) until it contacts. When the additional product is removed, the pusher mechanism 14 will continue to push the remaining product towards the product holding member 44.

도 5를 참조하면, 푸셔 메커니즘(14)의 후면도는 상품화 시스템(10)에서 다수의 제품(70)을 상품화하는 푸셔 메커니즘(14)을 도시한다. 또한, 푸셔 패들(50)에 인접한 제품은 제품 아래로 연장하는 코일형 스프링(30)과 푸셔 플로어(52) 상에 배치된다. 다른 제품은 이들 제품 아래로 연장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어댑터(180)는 시스템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품은 코일 스프링에 대향하여 어댑터의 리브(18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품 보유 부재(44) 부근에서 트레이의 전방으로부터 하나의 제품이 제거될 때, 스프링(30)의 코일 단부(57)는 최전방 제품이 제품 보유 부재(44)에 접촉할 때까지 트레이(12) 내에서 전방으로 푸셔 메커니즘(14)의 푸셔 패들(50)을 압박할 것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 단부(57)는 두 개의 지지 부재(5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이들 부재 사이에 코일형 스프링을 보유할 것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 플로어(52)는 또한 지지 부재(58)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5, a rear view of the pusher mechanism 14 illustrates a pusher mechanism 14 for merchandising a plurality of products 70 in a merchandising system 10. In addition, the product adjacent to the pusher paddle 50 is disposed on the pusher floor 52 with the coiled spring 30 extending below the product. Other products can be placed on coiled springs that can extend below these products. Alternatively, the adapter 180 may be located within the system, in which case the product may be placed on the adapter ' s ribs 182 against the coil spring. The coil end 57 of the spring 30 is positioned within the tray 12 until the forefront product contacts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when one product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tray near the product retention member 44. [ Will push the pusher paddles 50 of the pusher mechanism 14 forward. As can be seen in the figures, the coil end 57 can be positioned between two support members 58. The support member will have a coiled spring between these members. As can be seen, the pusher floor 52 can also extend below the support member 58.

도 6을 참조하면, 푸셔 트레이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다수의 트레이(12)가 단일의 다중 트레이 조립체(8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중 트레이는 다수의 트레이 또는 열을 생성하도록 플로어로부터 상방으로 분할기(18)가 연장하는 상태에서 공통 플로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품 보유 부재(44)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2 개의 분할기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실 부재일 수 있다. 다중 트레이 조립체(8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조립체는 클립, 도브테일, 패스너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나란한 방식으로 함께 커플링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구성에 의해, 다수의 제품의 상품화를 위해 제품의 다수의 열이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pusher tray i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rays 12 can be formed in a single multi-tray assembly 80. Multiple trays may have a common floor with the divider 18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loor to create multiple trays or rows. In this embodiment, the product holding member 44 may be a solid member extending between the two dividers as discussed above. One or more of the multiple tray assemblies 80 may be coupled or coupled together in a side-by-side manner using any known technique, including clips, dovetails, fasteners, and the like. With this arrangement, a plurality of rows of products can be provided for commercialization of a plurality of products.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중력 급송(gravity-fed) 시스템, 즉, 중력이 제품의 상품화를 보조할 수 있게 하도록 경사식으로 장착되는 트레이 또는 제품 채널을 갖는 시스템과 함께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은 중력이 제품의 상품화에 어떠한 보조도 제공하지 않거나 미소한 보조를 제공할 수 있는 비경사식 또는 수평 방식으로 장착되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트랙리스 푸셔 메커니즘(14)은 또한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푸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As discussed above, the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together with a gravity-fed system, that is, a system having a tray or product channel that is mounted obliquely to assist in commoditization of the product, Can be used. Alternatively, the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system in which gravity is mounted in a non-stationary or horizontal manner that does not provide any assistance in commoditization of the product or may provide minute assistance. The trackless pusher mechanism 14 may also be used to push various shaped products.

도 7은 상품화 시스템(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위한 예시적 팁(60)을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팁(60)은 트레이의 표면(16)에 대한 장착을 위해 틈새(63) 및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하기 위한 틈새(61)를 형성한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틈새(63)와 정합하고, 팁(60)을 설형부(65) 상으로, 그리고, 따라서, 표면(16)으로 스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설형부 또는 장착 부재(65)가 표면(16)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7 illustrates an exemplary tip 60 for an end 29 of a coiled spring 30 that may be used with a merchandising system 10. The tip 60 defines a gap 61 for receiving the gap 63 and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for mounting on the surface 16 of the tray. 7, in one aspect of the alternate embodiment, the gap 63 is mated and the tip 60 is snap-engaged onto the tongue-like portion 65 and thus to the surface 16. As shown in Figure 7, A tongue or mounting member 65, which may be constructed, may extend below the surface 16.

도 8을 참조하면, 설형부 또는 장착 부재(65)에 장착되는 도 7의 예시적 팁이 도시되어 있다. 설형부(65)는 팁(60)을 설형부(65) 상으로 스냅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장형의 외측방으로 연장하는 리브(67)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팁(60)을 표면(16)에 장착하기 위해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 및 도시된 기술은 단지 하나의 이러한 기술의 예시적 실시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8, there is shown an exemplary tip of Fig. 7 mounted to a tongue or mounting member 65. Fig. The tongue-like portion 65 may include a serpentine outer-side extending rib 67 used to snap-fit the tip 60 onto the tongue-shaped portion 65.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techniques may be used to mount the tip 60 to the surface 16 and that the illustrated technique is only one exemplary embodiment of such a technique.

도 9를 참조하면, 표면(16)에, 더 구체적으로는 트레이(12)의 표면(16)의 단부 부분(24)에 스냅 결합 방식으로 완전히 장착되어 있는 예시적 팁(6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팁(60)의 틈새(61)에 대한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의 장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는 틈새(6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틈새(61)는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하고, 제 위치에 단부(29)를 보유하고, 또한, 시스템으로부터 푸셔 메커니즘(14)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팁으로부터 코일형 스프링을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의 환경에서 틈새(61)로부터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9, there is shown an exemplary tip 60 that is fully mounted in a snap-fit manner to surface 16, and more specifically to end portion 24 of surface 16 of tray 12 . The attachment of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30 to the gap 61 of the tip 60 is also shown. As shown in Fig. 9, the end 29 of the coil-like spring can be inserted into the gap 61. Fig. The gap 61 receives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and retains the end 29 in place and also separates the coil spring from the tip to allow removal of the pusher mechanism 14 from the system To allow the removal of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from the gap 61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esired.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적 팁(60)에 완전히 장착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30)은 이제 트레이(12)의 표면(16)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푸셔 메커니즘(14)은 이제 트레이(12)에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10, an end 29 of a coiled spring fully mounted to the exemplary tip 60 is shown. The coiled spring 30 is now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surface 16 of the tray 12, as illustrated in this figure. As a result, the pusher mechanism 14 is now mounted to the tray 12.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상품화 전시 시스템에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장착하기 위한 대안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장착 부재(130)는 시스템의 플로어(131)에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29)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리브(134)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이격된 활강 레일(132)을 포함하는 이러한 시스템(도 26 내지 도 27)을 위해, 장착 부재(130)는 활강 레일(132) 사이에서 그리고, 플로어(131) 상에 스냅 결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장착 부재는 따라서 코일형 스프링의 단부를 제 위치에 그리고 시스템의 플로어에 보유할 것이다.
21-27, there is shown an alternative technique for mounting the end 29 of the coil spring 30 to a merchandising display system.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used to mount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to the floor 131 of the system. 26-27) that include spaced runter rails 132 that are coupled together by a connecting rib 134, the mounting member 130 is mounted between the slide rails 132 and on the floor 131 ), Or otherwise mounted. The mounting member will thus hold the end of the coil spring in place and in the floor of the system.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장착 부재(130)는 부재(13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측부들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는 레일(132)의 하부측에 스냅 결합함으로써 시스템의 플로어에 장착 부재(130)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136)는 레일(132)의 하부측에 접촉하여 레일(132)의 하부측으로부터 외부로의 다리부의 의도적 굴곡에 의한 것을 제외하면 플로어로부터 장착 부재(130)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L 형상 또는 각진 표면을 형성하는 다리부 단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136)는 플로어에 대해 장착 부재(130)의 활주가능한 이동을 방지하는 연결 리브(134)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장착 부재(130)는 시스템의 플로어에,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레일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푸셔 패들(141)이 시스템의 전방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당겨질 때 장착 부재(130)가 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장착 부재(130)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이 유형의 시스템 플로어(13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별개의 장착 클립,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스너, 접착제 또는 다른 기술이 플로어(131)에 장착 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2-23, mounting member 130 may include one or more legs 136 on one or more sides of member 130. As shown in FIG. The legs can be configured to retain the mounting member 130 in the floor of the system by snap engagement with the underside of the rail 132. [ The leg portion 136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lower side of the rail 132 to prevent the mounting member 130 from rising from the floor except by intentional bending of the leg from the lower side of the rail 132 to the outside And may include a leg end 137 forming an L-shaped or angled surface. The leg 136 can contact the connecting rib 134 preventing sliding movement of the mounting member 130 relative to the floor. Referring to Fig. 26, the mounting member 130 is shown mounted to the floor of th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rails. Figure 27 illustrates that the mounting member 130 maintains its position when the pusher paddle 141 is pulled away from the front of the system. The mounting member 130 may be connected to this type of system floor 131 using other techniques. For example, a separate mounting clip, one or more fasteners, adhesives, or other techniques may be used to secure the mounting member 130 to the floor 131.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장착 부재(130)는 또한 스프링의 단부(29)를 수용할 수 있는 틈새 또는 개구 또는 슬롯(13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기술 또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틈새(138) 및 장착 부재(130)의 구성은 상술한 기술과 유사하게 장착 부재(130) 상의 제 위치에 스프링을 보유할 것이다.
22-23, the mounting member 130 may also include a gap or opening or slot 138 that can receive the end 29 of the spring. The spring may be mounted using any or all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gap 138 and the mounting member 130 will retain the spring in place on the mounting member 130 similar to the techniques described above.

장착 부재(130)는 또한 시스템의 플로어에 장착 부재가 설치된 이후 장착 부재를 가로질러 더 쉽게 활주하도록 그 위에 제품이 배치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부 표면 상에 활주 리브(139)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재(130)는 또한 시스템의 플로어에 장착된 이후 장착 부재(130)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다리부(136)의 위치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평탄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130 may also include a sliding rib 139 on the upper surface that allows the product to be placed thereon to more easily slide across the mounting member after the mount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ystem. The mounting member 130 may also include a elongated flat body 140 that extends forwardly of the location of the leg 136 to provide stability to the mounting member 130 after being mounted to the floor of the system.

도 24 내지 도 25 및 도 27을 참조하면, 푸셔 패들 또는 푸셔 메커니즘(141)은 그에 대해 푸시되는 제품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푸셔 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푸셔 면(143)은 병 또는 다른 원통형 물체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굴곡된 형상일 수 있다. 푸셔 패들(141)은 또한 상술한 푸셔 플로어 구성과 유사한 푸셔 플로어(145)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 플로어(145)는 스프링을 차폐 및 보호하도록 코일형 스프링(30)을 수용하는 스프링 슬리브(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47)는 스프링(30)의 방향으로, 그리고, 푸셔 플로어(145)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147)는 제품의 상당한 기울임(tipping) 또는 기댐(leaning) 없이 그 위에 제품이 배치될 수 있게 하도록 비교적 짧은 높이의 평탄한 표면(149)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4-25 and 27, the pusher paddle or pusher mechanism 141 may include a pusher surface 143 configur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product being pushed thereon. As illustrated, the pusher surface 143 may be shap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bottle or other cylindrical object. The pusher paddle 141 may also include a pusher floor 145 similar to the pusher floor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pusher floor 145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sleeve 147 that receives the coiled spring 30 to shield and protect the spring. The spring sleeve 147 may extend completely or partially across the pusher floor 145 in the direction of the spring 30. The spring sleeve 147 may have a flat surface 149 of relatively short height to allow the product to be placed thereon without significant tipping or leaning of the product.

푸셔 패들(14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의 상부에서 활강하도록 플로어(13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푸셔 패들은 제품 보유 부재(155)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두 개의 제품 분할기 벽(15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추가적 제품 보유 부재(157)는 제품 분할기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The pusher paddle 14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loor 131 to slide on top of the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pusher paddles can be positioned between two product dividers walls 153 joined together by the product holding member 155. Additional product retention member 157 may extend outwardly from the product divider.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를 상품화 전시 시스템에 장착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부(29)는 트레이(216)에 리벳 결합된다.
28 and 29, another alternative technique for mounting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to a merchandising display system i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end portion 29 is riveted to the tray 216.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대안의 실시예에서, 트랙리스 푸셔 시스템은 이미 내장된 제품 분할기를 가질 수 있는 기존 선반 조립체(230)에 개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트랙리스 푸셔 시스템은 기존 와이어 선반 조립체에 개장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트레이 또는 어댑터(216)는 전체 선반 폭으로 크기설정되거나 선반(234)의 단일 레인으로 크기설정될 수 있는 활강 플로어(222)를 가질 수 있다. 활강 플로어(222)는 트레이(216) 상에서 상품화되는 제품을 위한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다수의 융기된 리브(2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융기 리브(224)는 활강 플로어(22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으로, 활강 플로어(222)는 융기 리브 없이 평탄한 평면형 표면일 수 있다. 트레이 또는 어댑터(216)는 도 16의 어댑터(18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8-32,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rackless pusher system may be retrofitted to an existing shelf assembly 230 that may already have a built-in product divider.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trackless pusher system may be retrofitted to existing wire shelf assemblies. Referring to Figures 30-32, the tray or adapter 216 may have a glide floor 222 that can be sized with a full shelf width or sized with a single lane of shelf 234. [ The glide floor 2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ised ribs 224 that help to reduce friction for the merchandised product on the tray 216.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one or more raised ribs 224 may be used with the downward sloping floor 222. Alternatively, the glide floor 222 may be a flat, planar surface without ridge ribs. The tray or adapter 216 may be configured similar to the adapter 180 of FIG.

도 28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형 스프링(30)의 단부(29)는 트레이(216)의 전방 단부(228)에 리벳(229)을 통해 리벳결합될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부착 기술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트레이(216)는 특정 선반을 위해 적합한 임의의 부착 기술에 의해 선반에 보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9 내지 도 3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1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외측방으로 연장하는 수지부 또는 스냅(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선반(234) 상에 트레이(216)를 보유하기 위해 선반(234)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별 와이어(232)와 결합할 수 있다. 수지부 또는 스냅(220)은 트레이(216)의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거나, 트레이의 길이를 따라 이격될 수 있다. 스냅(220)은 기존 와이어 선반에 트레이(216)를 스냅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220A, 220B)은 트레이(216)가 선반에 스냅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체 트랙리스 푸셔 조립체에 대한 저비용 대안으로서 와이어 선반 시스템과 같은 기존 선반 시스템 내의 트랙리스 푸셔 시스템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푸셔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28 and 30, the end 29 of the coiled spring 30 may be riveted to the front end 228 of the tray 216 via the rivet 229, Technology. ≪ / RTI > The tray 216 may be retained on the shelf by any suitable attachment technique for the particular shelf. In one embodiment, and as illustrated in Figures 29-32, the tray 216 may include a resilient portion or snaps 220 that extend into one or more outer chambers, To one or more of the individual wires 232 of the shelf 234 to retain the tray 216 on the tray 216. [ The resilient portion or snaps 220 may extend longitudinally along the length of the tray 216 or may be spaced along the length of the tray. The snap 220 can be used to snap-fit the tray 216 to an existing wire shelf. As shown in FIGS. 29A and 29B, the snaps 220A and 220B can form various configurations that allow the tray 216 to be snapped into the shel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8-32 enables the placement of a trackless pusher system in existing shelf systems, such as wire shelf systems, as a low cost alternative to an entire trackless pusher assemb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this embodiment any of the pusher mechanisms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도 3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시 관리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푸셔 메커니즘(28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분할기(26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레이(306)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테이너(250)를 포함한다. 푸셔 메커니즘(286)은 푸셔 패들(287) 및 푸셔 플로어(288)로 형성될 수 있다. 제품은 푸셔 플로어(288) 상에 배치되고, 분할기(266)와 푸셔 패들(287)을 통해 전시 관리 시스템의 전방으로 안내된다. 코일형 스프링(30)은 제품이 시스템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리테이너(250)를 향해 푸셔 메커니즘(286)을 편향시킨다.
33 and 44,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one or more pusher mechanisms 286, one or more dividers 266, one or more trays (not shown) 306 and one or more retainers 250. The pusher mechanism 286 may be formed of a pusher paddle 287 and a pusher floor 288. The product is placed on the pusher floor 288 and is directed forward of the display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ivider 266 and the pusher paddle 287. The coiled spring 30 deflects the pusher mechanism 286 toward the retainer 250 to move the product forward of the system.

도 33에 도시된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리테이너(250)에 장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은 분할기(266)에 장착될 수 있다(또한,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됨). 코일형 스프링(30)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50)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어댑터(252)를 통해 리테이너(250)에 장착될 수 있다.
In on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33, the coiled spring 30 may be mounted to the retainer 250. Alternatively, the coiled spring 30 may be mounted to the divider 266 (also shown in Figures 48 and 49). The coiled spring 30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retainer 250 as shown in Figure 33 or may be mounted to the retainer 250 through a separate adapter 252 as shown in Figure 34 .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52)는 제 1 단부(256)에 인접한 벽(254)을 갖는다. 제 1 단부(256)는 상방으로 굴곡되는 굴곡 부분(262)을 갖는다. 어댑터(252)의 중간 부분은 대응하는 형상의 스프링 단부(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굴곡 슬롯(260)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5, adapter 252 has a wall 254 adjacent first end 256. The first end 256 has a bent portion 262 that is bent up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adapter 252 may have a flexure slot 260 configured to receive a spring end (not shown) of a corresponding shape.

일 단부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이 어댑터(252)의 중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굴곡 슬롯(260)은 제 1 스프링 단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는 추가적 체결을 제공하도록 크림핑 또는 굴곡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충분한 체결 방법이 어댑터(252)에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At one end, the coiled spring 30 may be secur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adapter 25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lexure slot 260 corresponds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first spring end. Additionally, the first spring end of the coiled spring 30 may be crimped or bent to provide additional engagement. Nevertheless, any satisfactory fastening method can be used to secure the first spring end of the coiled spring 30 to the adapter 252.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테이너(250)는 어댑터(252)의 굴곡 부분(262)에 형상 및 크기가 대응하는 굴곡 슬롯(284)을 갖는다. 굴곡 슬롯(284)은 리테이너(250)의 길이를 따라 어댑터(252)의 비제한적 위치설정을 허용하도록 리테이너의 길이를 연장한다.
36 and 37, the retainer 250 has a flexure slot 284 in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lexure 262 of the adapter 252. As shown in FIG. The flexure slot 284 extends the length of the retainer 250 to allow for unrestricted positioning of the adapter 252 along the length of the retainer 250.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를 리테이너(250)에 고정하기 위해, 어댑터(252)의 굴곡 부분(262)이 리테이너(250)의 굴곡 슬롯(284) 내에 배치된다. 굴곡 슬롯(284)은 리테이너(250)에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단부와 어댑터(252)를 고정하고, 전시 시스템의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을 제공한다. 벽(254)은 리테이너(250)와 어댑터(252) 사이의 연결에 추가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이 리테이너(250)에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 및/또는 어댑터(252)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flexure 262 of the adapter 252 is disposed in the flexure slot 284 of the retainer 250 to secure the first spring end of the coil spring 30 to the retainer 250. [ The flexure slots 284 secure the first end of the coiled spring 30 and the adapter 252 to the retainer 250 and provide for quick and easy assembly of the display system. The wall 254 provides additional stability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tainer 250 and the adapter 252. However, other methods may be used to secure the first spring end of the coiled spring 30 and / or the adapter 252 to the retainer 250. [

대안으로, 도 33 및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287)의 코일형 스프링(30)은 트레이(306)의 전방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코일형 스프링(30)의 제 1 스프링 단부(290)는 굴곡 부분을 구비한다. 굴곡 부분은 푸셔 플로어(288)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고, 리테이너(250)와 분배 트레이(306)의 전방 표면의 립부(318)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316)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도 33에 도시됨). 리테이너(250)의 수직 배향 표면과 립부(318)는 수직 배향 표면과 립부(250)의 전방 에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이격된다. 코일형 스프링(30)과 푸셔 메커니즘(286)을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스프링 단부(290)는 리테이너(250)의 수직 배향 표면과 립부(318)의 전방 에지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로 삽입되며, 리테이너(250)와 분배 트레이(306)의 립부(318)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316) 내에 배치된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33 and 44, the coiled spring 30 of the pusher paddle 287 may be mounted directly in front of the tray 306. The first spring end 290 of the coil spring 30 has a curved portion. The flexur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bent downwardly from the pusher floor 288 and received within a recess 316 formed by the retainer 250 and the lip portion 318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tribution tray 306 Lt; / RTI > The vertically oriented surface of the retainer 250 and the lip portion 318 are spaced such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ly oriented surface and the forward edge of the lip portion 250. [ The first spring end 290 is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vertically oriented surface of the retainer 250 and the forward edge of the lip portion 318 to secure the coiled spring 30 and the pusher mechanism 286 to the assembly The retainer 250 and the lip portion 318 of the dispensing tray 306. In this embodiment,

도 38, 도 39,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분할기(266)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그 둘레에 코일형 스프링(30)이 코일링되는 축이 푸셔 플로어(288)에 수직하도록 푸셔 플로어(288)에 수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은 푸셔 패들이 다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제 1 스프링 단부(290)는 팁 부분(296)과 각진 부분(292)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 각진 부분(292)이 코일형 스프링 본체(294)에 수직으로 굴곡될 수 있다. 분할기는 슬롯(29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제 1 스프링 단부(290)의 팁 부분(29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s. 38, 39, 48 and 49, the coiled spring 30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divider 266. Additionally,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coiled spring 30 may be mounted vertically to the pusher floor 288 such that an axis about which the coiled spring 30 is coiled is perpendicular to the pusher floor 288 have. This orienta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usher pads from tipping again. The first spring end 290 may have a tip portion 296 and an angled portion 292.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angled portion 292 may be bent perpendicularly to the coiled spring body 294. The divider may have a slot 298, which is configured to receive a tip portion 296 of the first spring end 290.

분할기에 코일형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팁 부분(296)은 슬롯(298) 내로 삽입된다. 팁 부분(296)이 슬롯(298)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각진 부분(292)은 분할기(266)에 제 1 스프링 단부(290)를 고정하도록 슬롯(298)과 결합한다.
To secure the coil spring to the divider, the tip portion 296 is inserted into the slot 298. When the tip portion 296 is fully inserted into the slot 298, the angled portion 292 engages the slot 298 to secure the first spring end 290 to the divider 266.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푸셔 메커니즘 설계가 구현될 수 있다. 푸셔 패들(287)은 대응하는 형상의 제품을 수용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푸셔 패들(286)은 굴곡된 제 1 단부 및 평탄한 제 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다양한 원통형 제품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푸셔 메커니즘(286)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한다. 동작 동안, 푸셔 메커니즘(286) 내의 제품과 굴곡 제 1 단부가 분할기(266)에 대해 푸셔 메커니즘을 함께 강제하여, 긴장 상태에서 또는 동작 상태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이 제 1 스프링 단부(290)를 보유하는 분할기(266)에 대해 평탄하게 유지된다. 이는 푸셔 메커니즘의 더 매끄러운 동작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시스템으로부터 제품을 제거할 때 제품이 적절히 분배되는 것을 보장한다.
As shown in Figure 33, various pusher mechanism designs can be implemented. The pusher paddles 287 may be formed flat to accommodate products of a corresponding shape. Alternatively, the pusher paddle 286 may have a curved first end and a flat second end. Which serves to accommodate various cylindrical products having diameters of various different sizes an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pusher mechanism 286. [ During operation, the product in the pusher mechanism 286 and the flex first end together force the pusher mechanism against the divider 266 such that in the tensioned state or in the operative state the coiled spring 30 is engaged with the first spring end 290, Gt; 266 < / RTI > This allows smoother operation of the pusher mechanism and ensures that the product is properly dispensed when the user removes the product from the system.

도 40 내지 도 41d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분할기(266) 사이의 거리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분할기(266)는 연결 부분(27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부분(272)은 제 1 세장형 각진 표면(268) 및 제 2 세장형 각진 표면(27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272)은 복수의 돌출부(27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은 면 표면(280) 및 플랭크 표면(282)을 갖는 치형부(278)로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0-41D, the distance between the dividers 266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The divider 266 may have a connecting portion 272. The connecting portion 272 may have a first elongated angled surface 268 and a second elongated angled surface 270.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272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74. As shown in Figure 41B, the rails may be formed with teeth 278 having a face surface 280 and a flank surface 282.

조립되었을 때,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272)은 레일의 치형부(278) 사이에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세장형 각진 표면(268, 270)과 돌출부(274)는 치형부(278) 사이에 쐐기결합된다. 또한,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각진 표면(268, 270)은 면 표면(face surface)(280)과 결합하며, 돌출부(274)는 치형부(278)의 하부 표면과 결합한다. 플랭크 면(282)은 연결 부분(272)과 접촉한다.
When assembled, the connecting portion 272 is received between the teeth 278 of the rail, as shown in Figure 41c. In addition, the elongated angled surfaces 268, 270 and the protrusions 274 are wedged between the teeth 278. The elongated angled surfaces 268 and 270 also engage a face surface 280 and the protrusions 274 engage the lower surface of the teeth 278 as shown in Figure 41C. The flank surface 282 contacts the connecting portion 272.

도 42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306)는 도브테일(dovetail) 연결부를 구비한다. 트레이(306)의 제 1 측부(308)는 트레이(306)의 제 2 측부(310) 상에 위치된 홈(314) 내에 끼움장착되도록 구성된 설형부(312)를 구비한다. 트레이를 연결하기 위해, 홈(314)은 설형부(312)가 홈(314) 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설형부(312)와 정렬된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42, the tray 306 has a dovetail connection. The first side 308 of the tray 306 has a tongue 312 configured to be fit within a groove 314 located on the second side 310 of the tray 306. The grooves 314 are aligned with the tongues 312 to secure the tongues 312 in the grooves 314 to connect the trays.

도 43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레이(306)는 전방 단부에 리테이너(2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는 직사각형 구멍(3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는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돌출부(302)를 구비한다. 트레이(306)에 리테이너(250)를 고정하기 위해, 돌출부(302)는 트레이(306) 상의 장소에 리테이너를 잠금하도록 구멍(300) 내에 끼워맞춤된다.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43, the tray 306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retainer 250 at the front end. The retainer may have a rectangular hole (300), and the retainer has a protrusion (302) of a corresponding shape and size. In order to secure the retainer 250 to the tray 306, the protrusion 302 is fitted into the hole 300 to lock the retainer in place on the tray 306.

도 45 내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이 조립된 이후, 제품이 시스템 내에 탑재된다. 분할기(266)를 조절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제품 크기 및 형상이 시스템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 패들(287)과 연계한 코일형 스프링(30)은 리테이너(250)를 향해 제품을 푸시한다. 사용자가 시스템으로부터 제품을 들어낼 때, 푸셔 패들(287)은 잔여 제품을 푸시하여, 제품이 리테이너(250)로 플로어(264)를 따라 활주하게 한다. 이는 모든 제품이 전시 시스템의 전방에 유지되는 것을 보증한다.
45 to 47, after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is assembled, the product is mounted in the system. By adjusting the divider 266, a wide variety of product sizes and configurations can be loaded into the system. 46 and 47, the coiled spring 30 in conjunction with the pusher paddle 287 pushes the product towards the retainer 250. As shown in FIG. When the user lifts the product from the system, the pusher paddle 287 pushes the remaining product, causing the product to slide along the floor 264 with the retainer 250. [ This ensures that all products are kept in front of the display system.

도 50 내지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400)은 트레이(402, 404)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 1 트레이(402), 제 2 트레이(404), 제 1 스페이서(406) 및 제 2 스페이서(408)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0-52, th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400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trays 402, 404 can b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The present embodiment may generally consist of a first tray 402, a second tray 404, a first spacer 406 and a second spacer 408.

트레이(402, 404)는 각각 분배될 제품을 수납하도록 배열된다. 제 1 트레이(402) 및 제 2 트레이(404)는 각각 투명 리테이너(410), 푸셔 메커니즘(412), 제 1 및 제 2 안내 벽 및 코일형 스프링(414)을 구비할 수 있다.
Trays 402 and 404 are each arranged to receive a product to be dispensed. The first tray 402 and the second tray 404 may each include a transparent retainer 410, a pusher mechanism 412, first and second guide walls, and a coiled spring 414.

푸셔 메커니즘(412)은 상기 논의된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어, 제품이 제거되는 동안 트레이(402, 404)의 표면을 따라 제품을 활주시킨다. 추가적으로, 상기 논의된 푸셔 메커니즘의 임의의 대안의 배열체는 적층가능한 트레이 배열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
The pusher mechanism 412 is arranged in a manner similar to the embodiment discussed above to slide the product along the surface of the trays 402, 404 while the product is being removed. Additionally, any alternative arrangement of the pusher mechanism discuss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stackable tray arrangement.

용이한 조립 및 분해를 제공하기 위해, 적층가능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은 도브테일 연결이나 스냅 체결 연결, 스크류 나사(screw-thread) 연결 또는 리벳 연결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연결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트레이는 제 1 및 제 2 트레이(402, 404)에 제 1 및 제 2 스페이서(406, 408)를 조립하기 위한 멈춤쇠(416)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트레이(402, 404) 각각은 제 1 및 제 2 스페이서(406, 408) 상에 위치된 대응 형상의 멈춤쇠(416)를 수용하기 위해 그 각각의 외부 표면 상에 소켓(418)을 구비할 수 있다.
To provide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stackabl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may have any other suitable connection, such as a dovetail connection, a snap-fit connection, a screw-thread connection or a rivet connection. The first and second trays are provided with detents 416 for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406, 408 in the first and second trays 40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402,404 includes a socket 418 on its respective outer surface for receiving a correspondingly shaped detent 416 lo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406,408. ).

적층가능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을 조립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스페이서(406, 408) 상에 위치된 멈춤쇠(416)는 잠금 배열체에서 제 1 및 제 2 트레이(402, 404)의 외부 표면 상의 대응하는 형상의 소켓(418) 내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논의된 임의의 실시예와 연계하여 구현될 수 있는 적층가능한 배열을 제공한다.
The detents 416 lo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pacers 406 and 408 ar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trays 402 and 404 in the locking arrangement to engage the stackable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Lt; RTI ID = 0.0 > 418 < / RTI > This provides a stackable arrangem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any of the embodiments discussed above.

도 53 내지 도 57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푸셔 패들(500)은 선반(508)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코일형 스프링(504)의 단부에 의해 선반에 보유된다. 푸셔 패들(500)은 선반의 표면을 따라서, 그리고, 선반의 표면의 상부에서 활주한다. T 형상 구성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분할기(502)는 푸셔 패들(5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대안의 양태에서, 분할기(502)의 베이스는 베이스가 푸셔 패들(500) 아래에 위치되도록 선반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푸셔 패들(500)은 분할기의 베이스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분할기(502)가 패들(500)로부터 충분히 멀리 위치되는 경우, 패들(500)은 선반(508)의 표면 상에서 직접적으로 활주할 것이다. 분할기(5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푸시 핀, 리벳, 패스너,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선반에 고정될 수 있다.
53-57, the pusher paddle 500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shelf 508 and held on the shelf by the end of the coiled spring 504. [ The pusher paddle 500 slides along the surface of the shelf and above the surface of the shelf. One or more dividers 502 forming a T-shaped configuration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pusher paddle 500. [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base of the divider 502 may be positioned on the shelf such that the base is located below the pusher paddle 500. With this arrangement, the pusher paddle 500 can slide along the base of the divider. When the divider 502 is positioned sufficiently far from the paddle 500, the paddle 500 will slide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shelf 508. The divider 502 may form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ing those described herein and may be secured to the shelf using any known technique, including push pins, rivets, fasteners, adhesives, and the like.

일 양태에서, 코일형 스프링(504)의 단부(510)는 선반(508) 상에 위치된 구멍(hole) 또는 틈새(506) 내에 위치된다. 단부(510)는 스프링 단부가 구멍(506)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구멍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 스프링 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단부(510)의 스프링 팁은 구멍(506)의 에지 둘레에 단부(510)가 감겨질 수 있게 하는 후크형(hook-shaped)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프링 팁은 구멍(506)의 에지 상에 후크 결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치(catch)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스프링 팁 구성이 가능하다.
The end 510 of the coiled spring 504 is positioned within a hole or clearance 506 located on the shelf 508. In one embodiment, The end 510 may form a spring tip that allows the spring end to pass through the hole 506 and may additionally form any suitable configuration that remains fixed in the aperture. For example, the spring tip of the end portion 510 may form a hook-shaped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end portion 510 to be wrapped around the edge of the hole 506. Alternatively, the spring tip may form one or more catches hooked onto the edge of the hole 506. Another spring tip configuration is possible.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508)에 스프링(504)을 추가로 고정하기 위해, 패스너(512), 핀, 리벳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패스너(512)는 패들(500)이 선반(508)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때 스프링(504)의 전체 동작 동안 원하는 정렬 상태로 스프링을 보유할 수 있는 스프링을 위한 제 2 이격 고정(anchoring) 지점을 제공할 것이다. 선반 상의 기존 구멍의 간격 및 개수와 선반 유형에 따라서, 더 많은 고정 지점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Fasteners 512, pins, rivets, etc. may be used to further secure the spring 504 to the shelf 508, as shown in FIG. The fastener 512 provides a second spacing anchoring point for the spring that can retain the spring in the desired alignment dur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pring 504 when the paddle 500 moves back and forth on the shelf 508 something to do. Depending on the spacing and number of existing holes on the shelf and the type of shelf, you can see that more fixing points are possible.

도 55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선반 상으로 패들(500)의 스프링(504)을 장착하기 위한 예시적 장착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4)의 단부(510)는 선반 상의 구멍(506) 내로 삽입된다. 단부(510)는 단부(510)를 구멍(506)의 에지에 보유하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프링 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리벳 또는 스터드(514)를 포함하는 스프링(504)은 선반 상으로 하강되고, 리벳 또는 스터드(514)는 선반 상에 위치된 다른 구멍(506) 내에 끼움장착된다. 이 리벳 또는 스터드는 스프링을 위한 다른 고정 지점을 제공한다. 도 56 및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4)은 선반에 스프링(504)을 추가로 더 고정하기 위해 또 다른 리벳 또는 스터드(518)를 수용하기 위한 틈새(5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다수의 고정 지점에 의해, 스프링(504)은 선반에 고정될 것이며, 따라서, 패들이 선반에 고정될 것이다. 또한, 이들 다수의 고정 지점에 의해, 스프링은 패들이 선반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때 스프링의 전체 동작 동안 소망하는 정렬을 유지할 것이다. 본원에 설명된 기술 중 임의의 기술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른 고정 기술이 선반에 스프링(504)의 단부를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선반이 스프링(504)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미리 존재하는 구멍을 갖지 않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멍이 소망하는 위치에서 선반에 드릴 가공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s 55-57, an exemplary mounting technique for mounting a spring 504 of paddle 500 onto a shelf is shown. As shown in FIG. 55, the end 510 of the spring 504 is inserted into the hole 506 on the shelf. End 510 can form a spring tip as described herein to hold end 510 at the edge of hole 506. [ 56, the spring 504 including the rivet or stud 514 in this embodiment is lowered onto the shelf and the rivet or stud 514 is positioned within another hole 506 located on the shelf Fitted. This rivet or stud provides another anchor point for the spring. 56 and 57, the spring 504 may form a gap 516 for receiving another rivet or stud 518 to further secure the spring 504 to the shelf . By means of these multiple anchoring points, the spring 504 will be fastened to the shelf, and thus the paddles will be fastened to the shelf. Also, with these multiple anchoring points, the spring will maintain the desired alignment dur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spring when the paddle moves back and forth on the shelf. It is to be appreciated that other anchoring techniques, including any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or any combination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possible to secure the end of the spring 504 to the shelf.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f the shelf has no pre-existing holes that can be used to secure the spring 504, one or more holes can be drilled into the shelf at the desired location.

도 53 내지 도 5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리스 푸셔 패들이 매우 미소한 노력 또는 여분의 장착 부재로 기존 보관 선반 상에 직접적으로 개장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는 선반 상에 상품화되는 제품의 임의의 크기 및 유형을 수용하도록 선반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푸셔 패들의 재배치를 허용할 수 있도록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본원에 설명된 푸셔 패들 중 임의의 패들이 본원에 설명된 기술을 사용하여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술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선반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53-57, it can be seen that trackless pusher paddles can be retrofitted directly onto existing storage shelves with very little effort or extra mounting elements. Additionally,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removed to allow relocation of the pusher paddles at any location on the shelf to accommodate any size and type of product being commodity on the shel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any of the pusher paddles described herein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shelf using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or by using any combination of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도 58 내지 도 6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트레이(12)는 전방 라운드형 부분(669)을 포함한다. 도 5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는 또한 전방 라운드형 부분(669)의 전방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방 립부(670)를 포함한다. 전방 립부(670)는 라운드형일 수 있으며, 트레이(12)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전방 립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12)로부터 0.5 in 높이를 가진다. 전방 립부는 전방 립부의 각 측방향 단부에 융기 에지 또는 벽 부분(671)을 포함한다. 벽 부분은 후술된 캡션 포켓의 측부 부분을 폐쇄하도록 기능한다.
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ures 58-60, the tray 12 includes a forward rounded portion 669. [ As illustrated in Figure 58, the tray 12 also includes a front lip portion 670 positioned adjacent the front of the front rounded portion 669. The front lip portion 670 may be round and may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tray 12. The front lip can have different heights, and in one embodiment, 0.5 inches from the tray 12. The front lip portion includes a raised edge or wall portion 671 at each lateral end of the front lip portion. The wall portion functions to close the side portion of the caption pocket described below.

또한, 트레이는 전방 립부(670)의 전방 방향으로, 그리고, 그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선반(672)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672)은 굴곡될 수 있고 전방 립부(670)의 곡률과 일치할 수 있다. 선반(672)은 수평 표면(674)을 포함한다. 또한, 선반(672)은 선반(672)의 수평 표면(674)에 수직인 돌출부(676)를 포함한다. 선반(672)과 전방 립부(670)는 푸셔 트레이의 전방 부분에 강도를 추가한다. 추가적으로, 선반(672)의 수평 표면(674)은 후술된 캡션 포켓의 저부 부분을 폐쇄하도록 기능한다.
In addition, the tray may include a shelf 672 positioned in front of, an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front lip 670. The shelf 672 can be bent and coincide with the curvature of the front lip portion 670. The shelf 672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674. The shelf 672 also includes a projection 676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surface 674 of the shelf 672. The shelf 672 and front lip portion 670 add strength to the forward portion of the pusher tray. Additionally, the horizontal surface 674 of the shelf 672 functions to close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tion pocket described below.

일 실시예에서, 전방 벽(100)은 상부 벽(680)과 저부 벽(682)을 포함한다. 상부 벽 및 저부 벽은 두 개의 측부 다리부(684)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벽(680) 및 저부 벽(682)이 굴곡된다. 틈새(686)는 상부 벽(680), 저부 벽(682) 및 측부 다리부(684)에 의해 형성된다. 이 틈새는 또한 제품(P)이 틈새를 통해 끼워질 수 없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벽은 상부 벽의 상부(688)로부터 상부 벽의 저부(690)까지의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윤곽은 상부 벽에 대한 스크래치를 제한 또는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이 윤곽은 상부 벽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저부 벽은 동작시 돌출부(676)에 인접하면서 돌출부와 접촉할 수 있는 측부 벽(708)을 포함한다. 측부 다리부는 측부 다리부(684)의 저부 부분에서 노치(698)를 포함한다. 노치는 후크(694)가 틈새(696)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보조한다. 전방 벽은 트레이(12)에서 상품화되는 제품(P)의 모습을 차단하지 않을 수 있는 투명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ront wall 100 includes a top wall 680 and a bottom wall 682. The top wall and bottom wall are connected by two side legs 684. The upper wall 680 and the bottom wall 682 are bent. The gap 686 is defined by a top wall 680, a bottom wall 682 and side legs 684. This clearance can also be sized such that the product P can not be inserted through the crevice. The top wall may also include contours from the top portion 688 of the top wall to the bottom portion 690 of the top wall. This contour helps to limit or prevent scratches on the top wall. This contour also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top wall. The bottom wall includes a side wall 708 that, in operation, is adjacent the projection 676 and can contact the projection. The side legs include notches 698 at the bottom portion of side legs 684. The notch assists in allowing the hook 694 to be inserted into the gap 696. The front wall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may not block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P being merchandised in the tray 12. [

그래픽 포켓(692)은 (a) 전방 벽(100)의 저부 벽(682), (b) 립부(670)의 굴곡 부분, (c) 립부(670)의 측방향 단부의 벽 부분(671) 및 (d) 선반(672)의 수평 표면(674)에 의해 형성된다. 이 그래픽 포켓은 그래픽 스트립 또는 다른 광고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그래픽 스트립이 포켓(692) 내에 배치되면, 이는 상부 이외의 모든 측부로부터 보호된다.
Graphic pocket 692 includes (a) a bottom wall 682 of front wall 100, (b) a flexure portion of lip portion 670, (c) a wall portion 671 at the lateral end of lip portion 670, and (d) a horizontal surface 674 of the shelf 672. This graphics pocket is sized to accommodate a graphics strip or other advertisement. If a graphic strip is placed in the pocket 692, it is protected from all sides other than the top.

전방 벽은 두 개의 후크(694)를 더 포함한다. 이들 후크는 트레이(12)의 틈새(696) 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틈새(696) 내에 후크(694)를 끼움장착하기 위해, 전방 벽은 먼저 후크(694)가 틈새(696)와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 도면 1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후크(694)는 그후 틈새(696) 내로 최초 삽입되고, 그 동안 후크(694)는 틈새에 대해 각지게 존재한다. 전방 벽은 그후 전방 벽이 도면 102-B에 도시된 위치에 이를 때까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위치에서, 후크(694)의 상부 부분(696)은 트레이 선반(12)의 표면(16)의 하측부에 평행하고, 후크(694)는 틈새(696)를 통해 완전히 삽입된다. 후크(694)는 이에 의해 트레이(12)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측부 다리부(684)의 후방 에지(700)는 분할기(18)의 전방 에지(702)에 인접한다. 측부 다리부(684)의 후방 에지(700)는 분할기(18)의 전방 에지(702)와 접촉할 수 있다.
The front wall further includes two hooks (694). These hooks are configured to fit within the clearance 696 of the tray 12. In one embodiment, in order to fit the hook 694 in the gap 696, the front wall is first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s shown in FIG. 101 with the hook 694 not engaged with the gap 696, . The hook 694 is then first inserted into the gap 696, while the hook 694 is angled with respect to the gap. The front wall is then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until the front wall reaches the position shown in Figure 102-B. In this position, the upper portion 696 of the hook 694 is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rface 16 of the tray shelf 12, and the hook 694 is fully inserted through the gap 696. The hook 694 is thereby mounted in the tray 12. [ In one embodiment, the rear edge 700 of the side leg portion 684 is adjacent to the front edge 702 of the divider 18. [ The rear edge 700 of the side leg portion 684 may contact the front edge 702 of the divider 18. [

도 59a 내지 도 59c는 그래픽 캡션(706)과 전방 벽(100)의 다양한 장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9a는 트레이(12)와 장착되지 않은 전방 벽(100)을 개시한다. 대신, 전방 벽(100)이 트레이(12) 위로 상승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래픽 캡션(706)은 비장착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59b는 트레이(12)가 장착되어 있는 전방 벽(100)을 개시한다. 도 59b에서, 그래픽 캡션(706)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도 59b의 하향 화살표는 그래픽 캡션(706)이 그래픽 포켓(692)과 장착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도시한다. 도 59c는 그래픽 포켓(692)에 장착된 그래픽 캡션(706)을 개시한다. 수개의 트레이(12)가 서로 연결될 때, 그래픽 캡션(706)은 그래픽 광고의 연속 또는 거의 연속 스트립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12)는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도브테일 연결을 통한 방식 등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트레이는 다양한 열의 제품을 상품화하기 위한 단일 유닛을 생성하기 위해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59A to 59C show various mounting states of the graphic caption 706 and the front wall 100. Fig. 59A discloses a front wall 100 that is not mounted with the tray 12. Fig. Instead, the front wall 100 is shown elevated above the tray 12. As shown in FIG. Also, the graphics caption 706 is shown as not mounted. 59B shows a front wall 100 on which the tray 12 is mounted. In Fig. 59B, the graphics caption 706 is not mounted. The downward arrow in Figure 59b shows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phics caption 706 moves to be loaded with the graphics pocket 692. [ FIG. 59C discloses a graphics caption 706 mounted on a graphics pocket 692. FIG. When several trays 12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graphics caption 706 may form a continuous or nearly continuous strip of graphical advertisements. The trays 12 may be formed individually and connected together by way of dovetail connection.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rays may be formed as a unit to create a single unit for merchandising products of various rows.

도 60은 수개의 트레이(12)가 장착된 수개의 전방 벽(100)을 개시한다. 그래픽 캡션(706)으로부터 거의 연속적 특징의 그래픽 광고가 도 60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0은 트레이(12) 상에 유지되고 전방 벽(100)에 의해 구속되는 제품(P)을 개시한다.
60 discloses several front walls 100 on which several trays 12 are mounted. A graphical advertisement of a nearly continuous feature from the graphic caption 706 is shown in FIG. 60 also discloses a product P held on the tray 12 and restrained by the front wall 100. Fig.

상술한 바의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컨대, 당업자는 다수의 설명된 구성요소가 매장(store) 및 다양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시스템에도 도면에 도시된 직립(upright) 푸셔 구성에도 한정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시스템이 본 발명의 특징, 교시 및 원리를 간단히 예시하기 때문이다. 본원에 개시 및 규정된 발명은 상세한 설명 및/또는 도면에서 설명되거나 그로부터 명백한 개별 특징 중 둘 또는 그 초과의 모든 대안의 조합으로 확장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 다양한 조합 모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대안의 양태를 구성한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설명하며, 당업자가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o the foregoing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 number of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be used in a store and in various configurations.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ingle system or an upright pusher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figures, since the system simply illustrates the features, teachings, and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further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disclosed and defined herein extends to a combination of all alternatives of two or more of the individual features described or made appar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 or drawings. All of these various combinations constitute various alternativ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llustrate the best modes known for practicing the invention and will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tilize the invention.

Claims (20)

제품 관리 전시(display)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틈새(aperture)를 형성하는 표면 및 전방 라운드형(rounded) 부분을 갖는 트레이(tray)와,
상기 트레이의 전방 라운드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립부(lip)와,
상기 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선반(shelf)과,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을 갖는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은 벽 틈새를 형성하며,
상기 전방 벽은 트레이의 표면 상의 복수의 틈새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In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A tray having a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apertures and a front rounded portion,
A lip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rounded portion of the tray,
A front shelf extending forward from the lip,
And a front wall having a top wall portion, a bottom wall portion and two side leg portions,
The upper wall portion, the lower wall portion and the two side leg portions form a wall gap,
Wherein the front wall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aps on a surface of the tray.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립부의 대향 단부(opposite end)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벽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부 벽 부분, 립부 및 두 개의 벽 부분에 의해 그래픽 포켓(graphic pocket)이 형성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wo wall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an opposite end of the lip portion,
Wherein a graphic pocket is formed by the bottom wall portion, the lip portion and the two wall portion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은 굴곡되는(curved),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all is curved,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틈새는 트레이의 표면 상에 배치된 제품보다 작은,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gap is smaller than the product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ray,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은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all may be removed from the tray,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부착된 복수의 분할기(divider)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분할기는 제품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열(row)들로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dividers attached to the tray, the plurality of dividers being configured to separate the product into one or more row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다리부 각각의 에지(edge)는 복수의 분할기 중 하나의 분할기의 에지와 접하는(abut),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dge of each of the side legs is abutted with the edge of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r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활주하도록 구성된 푸셔 메커니즘(pusher mechanism)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 메커니즘은 코일형 스프링(coiled spring)에 의해서만 트레이 상에 장착 및 보유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er mechanism configured to slide a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ray,
The pusher mechanism is mounted and retained on the tray only by a coiled spring,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은 반투명한(translucent),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wall is translucent,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포켓은 그래픽 스트립(strip)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aphics pocket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graphics strip.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틈새를 형성하는 표면 및 전방 라운드형 부분을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전방 라운드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립부와,
상기 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선반과,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을 갖는 제거가능한(removable) 전방 벽으로서, 상기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은 벽 틈새를 형성하는, 전방 벽과,
상기 립부의 대향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벽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은 트레이의 표면 상의 복수의 틈새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래픽 포켓이 저부 벽 부분, 립부 및 두 개의 벽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In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A tray having a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gaps and a front rounded portion,
A l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rounded portion of the tray,
A front shelf extending forward from the lip,
A removable front wall having a top wall portion, a bottom wall portion and two side leg portions, the top wall portion, bottom wall portion and two side leg portions defining a wall gap, ,
And two wall portions each extending from an opposite end of the lip portion,
The front wall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aps on a surface of the tray,
Wherein the graphics pocket is formed by a bottom wall portion, a lip portion and two wall portion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대향 측부 에지들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하는 2 개의 분할기를 더 포함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wo dividers extending upwardly from opposing side edges of the tray,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활주하도록 구성된 푸셔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셔 메커니즘은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서만 트레이에 장착 및 보유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pusher mechanism configured to slide a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ray,
The pusher mechanism is mounted and retained in the tray only by a coil spring,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메커니즘은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고, 트레이의 표면 아래로 연장하지 않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usher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tray and does not extend below the surface of the tray,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표면은 이물질(debris) 또는 다른 물질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복수의 개구(opening)를 형성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urface of the tray forms a plurality of openings to allow passage of debris or other material.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은 반투명한,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ront wall is translucent,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틈새를 형성하는 표면 및 전방 라운드형 부분을 각각 구비하며, 두 개의 측부들을 각각 갖는 복수의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의 전방 라운드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립부와,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의 립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전방 선반과,
복수의 분할기로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이 두 개의 측부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나의 분할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분할기와,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을 각각 갖는 복수의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벽 부분, 저부 벽 부분 및 두 개의 측부 다리부 부분은 벽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방 벽 각각은 복수의 트레이 중 하나의 트레이의 표면 상의 복수의 틈새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In a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A plurality of trays each having a surface forming a plurality of gaps and a front rounded portion and each having two sides,
A lip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forward rounded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A front shelf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spective lip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rays,
A plurality of dividers,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having one divider extending upward from each of the two sides;
And a plurality of front walls each having a top wall portion, a bottom wall portion and two side leg portions,
Wherein the upper wall portion, the bottom wall portion and the two side leg portions form a wall gap,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ront walls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aps on a surf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방 벽 각각 상의 립부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벽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 각각은 저부 벽 부분, 립부 및 두 개의 벽 부분에 의해 형성된 그래픽 포켓을 포함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8. The method of claim 17,
Further comprising two wall portions extending from opposite ends of the lip portion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front walls,
Each of said front walls including a graphics pocket formed by a bottom wall portion, a lip portion and two wall portions,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의 측부는 선반 상의 복수의 트레이 중 다른 트레이의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ide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be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trays on the shelf,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 각각의 그래픽 포켓은 광고를 담은 연속적 스트립을 형성하는,
제품 관리 전시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graphics pockets of each of the front walls form a continuous strip of advertising,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KR1020147008812A 2011-09-02 2012-08-31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KR1015804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0736P 2011-09-02 2011-09-02
US61/530,736 2011-09-02
US201161542473P 2011-10-03 2011-10-03
US61/542,473 2011-10-03
US201161553545P 2011-10-31 2011-10-31
US61/553,545 2011-10-31
US13/564,575 US8863963B2 (en) 2005-09-12 2012-08-01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13/564,575 2012-08-01
PCT/US2012/053357 WO2013033545A1 (en) 2011-09-02 2012-08-31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211A KR20140093211A (en) 2014-07-25
KR101580450B1 true KR101580450B1 (en) 2015-12-28

Family

ID=4701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812A KR101580450B1 (en) 2011-09-02 2012-08-31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50554B1 (en)
KR (1) KR101580450B1 (en)
CN (1) CN104010551B (en)
AU (1) AU2012301697B2 (en)
BR (1) BR112014010557A2 (en)
WO (1) WO201303354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5358B2 (en) 2005-09-12 2016-02-23 RTC Industries, Incorporated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10441092B2 (en) 2005-09-12 2019-10-15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9173504B2 (en) 2005-09-12 2015-11-03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8978904B2 (en) 2005-09-12 2015-03-17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10285510B2 (en) 2005-09-12 2019-05-14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11583109B2 (en) 2005-09-12 2023-02-21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10952546B2 (en) 2005-09-12 2021-03-23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8967394B2 (en) 2005-09-12 2015-03-03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138075B2 (en) 2005-09-12 2015-09-22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11259652B2 (en) 2005-09-12 2022-03-01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9265362B2 (en) 2005-09-12 2016-02-23 RTC Industries, Incorporated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11344138B2 (en) 2005-09-12 2022-05-31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9486088B2 (en) 2005-09-12 2016-11-08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8739984B2 (en) 2005-09-12 2014-06-03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750354B2 (en) 2005-09-12 2017-09-05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9259102B2 (en) 2005-09-12 2016-02-16 RTC Industries, Incorporated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360196B2 (en) 2012-06-15 2016-06-07 Rtc Industries, Inc. Low voltage power supply for a merchandise display system
US10154739B2 (en) 2013-12-02 2018-12-18 Retail Space Solutions Llc Universal merchandis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D801734S1 (en) 2014-12-01 2017-11-07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parts
AU2015369659B2 (en) * 2014-12-22 2018-06-14 Rtc Industries, Inc.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955802B2 (en) 2015-04-08 2018-05-01 Fasteners For Retail, Inc. Divider with selectively securable track assembly
CN108289554B (en) * 2015-10-12 2020-10-30 Rtc工业股份有限公司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EP3402371B1 (en) 2016-01-13 2020-03-04 RTC Industries, Inc. Merchandise display system with an anti-splay device
CN113576204A (en) * 2016-11-07 2021-11-02 Rtc工业股份有限公司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10959540B2 (en) 2016-12-05 2021-03-30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system, compon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WO2018200997A1 (en) 2017-04-27 2018-11-01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mounted tray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13679209A (en) 2017-06-16 2021-11-23 Rtc工业股份有限公司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WO2019147943A1 (en) * 2018-01-26 2019-08-01 Rtc Industries, Inc. Low voltage power system for a merchandise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9564A1 (en) 2004-03-11 2005-09-15 Dci Marketing, Inc. Merchandising system
WO2007133086A1 (en) 2006-05-16 2007-11-22 Elkop As Display trough for goods
US20080129161A1 (en) 2006-10-23 2008-06-05 Rtc Industries, Inc. Merchandising System with Flippable Column and/or Item Sto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217A (en) * 1994-10-31 1996-10-08 The Mead Corporation Pusher unit for dispensing merchandise
US6325221B2 (en) * 1997-11-08 2001-12-04 Display Industries, Llc Merchandising display track device of multiple-piece construction
US6053338A (en) * 1997-11-25 2000-04-25 Rxtra, Inc. Adjustable health improvement device for modifying a daily behavior by reminding a person to take medication
US20050072747A1 (en) * 2002-05-10 2005-04-07 Roslof James P. Merchandising system
CN101472509B (en) * 2005-09-12 2011-06-15 Rtc工业股份有限公司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9564A1 (en) 2004-03-11 2005-09-15 Dci Marketing, Inc. Merchandising system
WO2007133086A1 (en) 2006-05-16 2007-11-22 Elkop As Display trough for goods
US20080129161A1 (en) 2006-10-23 2008-06-05 Rtc Industries, Inc. Merchandising System with Flippable Column and/or Item S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0554A1 (en) 2014-07-09
WO2013033545A1 (en) 2013-03-07
AU2012301697B2 (en) 2016-01-14
CN104010551A (en) 2014-08-27
KR20140093211A (en) 2014-07-25
CN104010551B (en) 2018-02-02
AU2012301697A1 (en) 2014-04-17
BR112014010557A2 (en) 2017-06-13
EP2750554B1 (en)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450B1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US8863963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EP2512298B1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820585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8453850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9232864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AU2009206477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pusher mechanism
US8312999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US11051637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JP2009511095A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KR102062173B1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AU2013359375B2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with trackless pusher mechanism
EP3361912B1 (en) Product management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