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695B1 -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 Google Patents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695B1
KR101577695B1 KR1020140050559A KR20140050559A KR101577695B1 KR 101577695 B1 KR101577695 B1 KR 101577695B1 KR 1020140050559 A KR1020140050559 A KR 1020140050559A KR 20140050559 A KR20140050559 A KR 20140050559A KR 101577695 B1 KR101577695 B1 KR 10157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andy
gears
solar system
present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4136A (en
Inventor
은성민
Original Assignee
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민 filed Critical 은성민
Priority to KR102014005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95B1/en
Publication of KR2015012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1), 상기 바닥면(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측면(2) 및 상기 측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지는 덮개면(3)을 포함하는 솜사탕을 이용한 태양계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 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에는 솜사탕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면(3)에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열(5)이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기어 각각에는 솜사탕 배출구(4)에서 생성되는 솜사탕이 감길수 있는 봉(6)이 끼워질수 있는 중앙 홈(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기어중 하나는 손잡이(8)가 부착되어 있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forming a solar system using cotton candy comprising a bottom surface (1), a side surface (2) standing o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1) and a covering surface (3) Wherein a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 a gear train (5)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is placed on the cover surface (3) Each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provided with a central groove 7 through which a cotton bud 6 formed in a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can be insert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attached with a handle 8 have.

Description

솜사탕을 이용한 태양계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 기구{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ar system using cotton candy.

본 발명은 솜사탕을 제작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태양계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showing the formation process of a solar system using a machine for producing cotton candy.

태양계 형성에 관한 이론으로 성운 이론은 현재의 태양계 형성 이론으로 에마누엘 스베덴보리가 1734년 제시한 학설이며, 이후 1755년 이마누엘 칸트가 보충하고 범위를 확장시켰다. 1796년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유사한 이론을 독자적으로 수립했다.
Neolithic theory is the theory of solar system formation. The theory of solar system formation is the theory proposed by Emanuel Svenbery in 1734, and since 1755 Manuel Kant was supplemented and expanded. In 1796, Pierre Simon Laplace established a similar theory on his own.

성운 이론에 따르면 태양계는 폭이 수 광년에 이르는 분자 구름의 일부분이 중력 붕괴를 일으켜 생겨났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태양은 홀로 태어난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태양계 생성 초기부터 존재했던 운석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철과 같이 초신성 폭발을 통해서만 생길 수 있는 동위 원소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는 태양이 생겨난 곳 근처에 초신성이 여럿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들 초신성에서 나온 충격파는 태양 성운의 밀도를 증가시켰고, 중력 붕괴를 일으켰다. 오직 무겁고 금방 죽는 별만이 초신성으로 최후를 맞기 때문에, 태양은 오리온성운처럼 무거운 별들을 생산해 내는 항성 생성 장소에서 형성되었음이 틀림없다.
According to the nebulae theory, the solar system was caused by a gravitational collapse of a part of the molecular cloud that spans light years. Until the early 2000s, the sun was known to be born alone. However, recent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meteorites that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olar system revealed traces of isotopes that can only occur through supernova explosions like iron. This means that there were many supernovae near where the sun came from. The shock waves from these supernovae increased the density of the solar nebula and caused gravitational collapse. Since only the heavy and dead stars are at the end of the supernova, the sun must have been formed in a star producing place that produces heavy stars like the Orion nebula.

이 중력 붕괴가 일어난 부분(전태양 성운)이 태양으로 되었을 것이다. 전태양 성운의 지름은 7천~2만 천문단위였으며, 총 질량은 태양의 1.001배에서 1.1배였다. 구성 성분은 수소와 헬륨(빅뱅 때부터 존재한 원소)이 98퍼센트, 중원소(최초 별들이 죽음을 맞으면서 우주 공간에 분출한 원소들)가 나머지 2퍼센트로 지금의 태양과 거의 같았다.
This part of gravitational collapse (the former solar nebula) would have been the sun. The diameter of the total solar nebula was 7,000 ~ 20,000 units, and the total mass was 1.1 times to 1.001 times of the sun. The constituents were 98 percent of hydrogen and helium (the element that existed since the Big Bang), the middle element (the elements that spewed into outer space when the first stars were killed), and the remaining 2 percent was almost the same as the present sun.

각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성운은 붕괴하면서 회전 속도가 빨라졌다. 성운 내 물질이 뭉치면서, 물질 내부에 있는 원자는 더욱 자주 충돌하기 시작했고 열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었다. 성운 물질의 대부분이 모여 있는 중앙부는 주변 원반부에 비해 점점 더 뜨거워져 갔다. 약 10만 년에 걸쳐 중력, 가스의 압력, 자기장, 원반의 회전 등으로 발생한 에너지 때문에 압축되어 있던 성운은 평평해지면서 반지름 200천문단위 정도에 이르는, 회전하는 원시 행성계 원반으로 진화했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는 뜨겁고 밀도 높은 원시별이 생겨났다.
According to the law of conservation of angular momentum, the nebula collapsed and the rotation speed became faster. As the material within the nebula coalesced, the atoms inside the material began to collide more frequently and emit energy in the form of heat. The central part where the bulk of the nebulae were gathered became more and more hotter than the surrounding discs. Because of the energy generated by gravity, gas pressure, magnetic field, and rotation of the disk over about 100,000 years, the nebula that has been compressed has evolved into a spinning primitive planetary disk with a radius of about 200 astronomical units. And in the center there was a hot and dense primitive star.

태양 성운의 개념도 태양이 생겨나고 남은 가스 구름 및 먼지로 이루어진, 원반 모양의 ‘태양 성운’에서 여러 행성이 생성되었다고 여겨진다. 현재 인정받는 행성 생성 이론은 강착(降着) 이론이다. 강착 이론에 의하면, 행성들은 중심부의 원시별 주위를 도는 먼지 알갱이들이 뭉치면서 생겨났다. 이 알갱이들은 직접 서로 충돌하면서 지름이 1~10킬로미터에 이르는 천체, 곧 미행성으로 자라났다. 이 미행성은 작은 천체를 빨아들이면서 수백만 년에 걸쳐 매년 15센티미터 정도씩 지름이 커졌다.
The concept of the solar nebula is thought to have been created in a disc-shaped 'solar nebula' consisting of a cloud of gas and dust left over from the sun. The currently accepted theory of planet generation is a set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of adherence, the planets were formed by the gathering of dust grains around the primitive star in the center. These grains were directly collided with each other and grew into a celestial body with a diameter of 1 to 10 kilometers. This tailgate swallowed a small celestial body and increased in diameter by about 15 centimeters each year over millions of years.

태양과 가까운 지역(4천문단위 이내)은 온도가 높아서 물이나 메테인과 같은 휘발성 분자들이 압축될 수 없었기 때문에, 여기서 생겨난 미행성들은 금속류(철, 니켈, 알루미늄) 및 규산염 암석 등과 같이 녹는점이 높은 물질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런 암석 천체는 종국적으로 수성을 비롯한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이 되었다. 지구형 행성을 이루는 물질은 우주에서 매우 희귀한 존재이기 때문에(성운 질량의 0.6퍼센트에 불과하다.), 지구형 행성은 크게 자라날 수가 없었다. 아기 암석 행성은 현 지구 질량의 약 10퍼센트 수준까지 자랐고, 태양 생성 후 약 10만 년 동안 물질을 끌어모으는 것을 멈췄다. 이후 이들은 충돌하고 뭉쳐지는 과정을 다시 시작했고, 지금의 크기로 자라나게 된다. 이들보다 바깥쪽에 있던 미행성 물질은 목성의 중력 효과 때문에 서로 뭉칠 수 없었고 소행성대로 잔존하게 되었다.
Since the volatile molecules such as water and methane could not be compress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in the region close to the sun (within four thousand units), the following phenomena are caused by the high melting point substances such as metals (iron, nickel, aluminum) . These rocks eventually became Mercury and other planets such as Venus, Earth, and Mars. Because the material of the terrestrial planet is very rare in the universe (only 0.6 percent of the nebula mass), the terrestrial planet could not grow so much. The baby rock planet grew to about 10 percent of the earth's mass, and stopped collecting material for about 100,000 years after the sun was created. They then resumed the process of colliding and clumping, and they were grown to the present size. Above these, the asteroids were unable to clump together due to the gravitational effect of Jupiter and remained as asteroids.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가스 행성이 원반에 있는 가스와 먼지를 빨아들이면서 커지고 있다. 목성형 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동결선(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이며, 동결선 바깥쪽부터는 태양 광선이 약하기 때문에 얼음 화합물이 고체로 존재할 수 있다.) 바깥쪽에서 생겨났다. 목성형 행성을 만든 얼음 물질은 거기에서 규산염 암석이나 금속보다 훨씬 더 흔한 존재였기 때문에 목성형 행성은 크게 자라났고, 질량이 커지면서 주변의 수소와 헬륨(우주에서 가장 흔한 원소들)을 효과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었다. 동결선 바깥쪽에 있던 미행성들은 3백만 년 동안 대략 지구 질량의 네 배 수준으로 자라났다. 현재 네 개의 가스 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물질 총량의 99퍼센트에 약간 못 미치는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
A gas planet that has not been born is getting bigger as it sucks gas and dust from the disk. The Jupiter planets (Jupiter, Saturn, Uranus, Neptune) originated from the outside of the freezing line (between Mars and Jupiter's orbit, from the outside of the freezing line, the sun's rays are weak and ice compounds can be solid). Because the ice material that made the jovian planet was much more common there than the silicate rock or metal, the jovian planet grew bigger, and as the mass grew, it effectively attracted the surrounding hydrogen and helium (the most common elements in the universe). The asteroids outside the freezing line grew to about four times the Earth mass for three million years. Currently, the four gas planets occupy slightly less than 99 percent of the total amount of material orbiting the sun.

이론가들은 목성이 동결선 바로 바깥쪽에 자리 잡은 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믿고 있다. 동결선에는 태양 쪽으로 끌려가는 얼음 물질로부터 증발한 많은 양의 물이 축적되었고, 압력이 낮아져 태양 주위를 도는 먼지의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이들은 태양으로 끌려가지 않게 되었다. 동결선은 태양에서 5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물질이 빠르게 뭉칠 수 있는 보호벽의 역할을 했다. 이렇게 잔류한 물질은 대략 지구 질량 10배 수준의 씨앗 행성으로 자라났으며, 이후 궤도 주변에 있던 수소를 빠르게 삼키면서 대략 1천 년 만에 지구 질량 150배까지 자라났다. 이후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318배까지 커지게 된다. 토성은 목성이 생겨난 지 수백만 년 후 형성되었고, 이 시기에는 남은 가스 물질이 적었기 때문에 목성보다 작은 질량을 지니게 되었다.
The theorists believe that it is no coincidence that Jupiter is located just outside the freezing line. The freezing line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water evaporated from the ice material being drawn to the sun and the pressure was lowere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dust moving around the sun, so they were not dragged into the sun. The freeze line acted as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which materials at a distance of 5 astronomical units from the sun could clump rapidly. The remaining material grew into a seed planet of about 10 times the mass of the Earth, and then rapidly swallowed the hydrogen around the orbit and grew to about 150 times the Earth mass in about 1,000 years. This planet will then grow to 318 times the Earth's mass. Saturn was formed millions of years after Jupiter was born, and at that time it had a smaller mass than Jupiter because it had fewer gaseous materials left.

젊은 태양과 같은 황소자리 T형 항성은 평범한 주계열성보다 더 강렬한 항성풍을 발산한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목성과 토성이 생긴 뒤, 강력한 태양풍이 원반에 있던 물질 대부분을 쓸어 버렸을 때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남은 물질이 적었기 때문에 이들 둘은 적은 양의 수소와 헬륨(각각 지구 질량의 1배가 안 될 정도)만을 모을 수 있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종종 ‘중심핵 성장에 실패한 존재’로 언급된다. 이 둘의 생성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이들이 생성되는 데 필요했던 시간이다. 현재 위치에서 천왕성과 해왕성이 지금 크기로 커지려면 1억 년 정도는 걸렸을 것이다. 따라서 천왕성과 해왕성은 지금보다 태양에서 더 가까운 곳?어쩌면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생겨났을 것이며, 그 뒤 바깥쪽으로 궤도를 옮겼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미행성이 모두 태양 쪽으로 이동하지는 않았다. 스타더스트 탐사선이 코멧 와일드 2에서 채취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초기 태양계가 생겨날 때의 물질은 따뜻한 태양계 안쪽 지대에서 카이퍼 대로 이동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The young sun-like Taurus taurus emits stronger, more stellar winds than the usual main sequence. Uranus and Neptune are believed to have formed when Jupiter and Saturn were formed, and when the powerful solar wind swept away most of the material on the disk. Because there were fewer remnants, the two could collect only a small amount of hydrogen and helium, each less than one-tenth of the Earth's mass. Uranus and Neptune are often referred to as 'failing central nucleus growth'.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both generation theories is the time needed for them to be generated. It would take about 100 million years for Uranus and Neptune to grow to their present size at the present location. So Uranus and Neptune are supposed to have originated nearer to the sun than they are now, perhaps between Jupiter and Saturn, and then moved outward orbit. All of the tailings did not move towards the sun. Stardust's analysis of components from Comet Wild 2 revealed that the material at the time of the initial solar system traveled from the warm inner solar system to Kuiper.

젊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항성풍은 원시 행성계 원반 내에 있던 모든 가스와 먼지를 성간 공간으로 불어 날렸고, 행성들의 성장은 끝을 맺게 되었다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The stellar winds released from the young sun have blown all the gases and dust in the original planetary disk into the interstellar space, and the growth of the planets has come to an end.

이와 같이, 태양계는 태양 성운이 회전하는 행성에 모여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태양 성운이 회전하는 생성에 모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solar system is formed by the gathering of solar nebulae on a rotating plane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visually show how the solar nebula converges on the generation of rotation.

2009년8월20일에 공개된 2009-0088467, 2012년03월28일에 공개된 2012-0030221에서 태양계와 관련된 발명을 공개하고 있으나, 이는 현재의 태양계를 보여주고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이 태양계의 형성과정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2009-0088467, published on August 20, 2009, and 2012-0030221, published on March 28, 2012, discloses inventions related to the solar system, but it shows only the present solar system, But it does not show the formation process.

본 발명은 솜사탕을 이용해 태양계의 형성과정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ly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olar system using cotton candy.

솜사탕 기계중심의 모터부분의 움직임과 열을 원시태양의 운동으로 표현하고 뚜껑에 기어를 여러개 달아서 상기 기어가 돌아가는 것을 행성이 자전하는 것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I would like to express the movement and heat of the motor part in the center of the cotton candy machine as the motion of the primordial sun and put the multiple gears on the lid to express the rotation of the gear as the rotation of the planet.

솜사탕 기계가 돌아가면서 생겨나는 솜사탕을 태양계 성운과 미행성의 형성에 대응되도록 하고자 한다.The cotton candy which is generated by the cotton candy machine is intend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of the solar system nebula and the observer.

본 발명은 바닥면(1), 상기 바닥면(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측면(2) 및 상기 측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지는 덮개면(3)을 포함하는 솜사탕을 이용한 태양계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 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에는 솜사탕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면(3)에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열(5)이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기어 각각에는 솜사탕 배출구(4)에서 생성되는 솜사탕이 감길수 있는 봉(6)이 끼워질수 있는 중앙 홈(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기어중 하나는 손잡이(8)가 부착되어 있다.
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forming a solar system using cotton candy comprising a bottom surface (1), a side surface (2) standing o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1) and a covering surface (3) Wherein a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 a gear train (5)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is placed on the cover surface (3) Each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provided with a central groove 7 through which a cotton bud 6 formed in a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can be insert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attached with a handle 8 have.

또한, 본 발명에서의 덮개면(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솜사탕 배출구(4)로 부터 배출되는 솜사탕이 봉에 감기는 상태를 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d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tton candy discharged from the cotton candy discharge opening 4 can be seen to be wound around the rod.

또한, 본 발명에서 다수의 기어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의 기어의 회전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봉(6)에 감기는 솜사탕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ge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ge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izes of the cotton candy wrapped around the rods 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기어는 9개의 기어를 이루어 태양계의 행성을 나타내고 상기 손잡이(8)은 상기 다수의 기어가 형성하는 기어열(5)의 가운데에 놓여지도록 하였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gears constitute nine planets of the solar system, and the handle 8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gear train 5 formed by the plurality of gears.

또한, 본 발명에서 측면(2)에는 우주를 표시하는 스티커(10)를 부착하여 흥미 유발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icker 10 for displaying the universe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2 to induce interest.

본 발명은 초신성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에 의해 생성된 태양계 성운부터 원반모양의 성운 형성, 미행성의 형성, 원시행성의 형성, 그리고 원시행성의 운동을 솜사탕 기계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어 태양계 형성과정에 대한 흥미 유발과 알기 쉬운 설명이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lained from a solar system nebula generated by a shock wave generated by a supernova explosion, a disk-shaped nebula formation, a hypothetical formation, a primitive planet formation, and a primitive planetary motion using a cotton candy machine, Interesting and easy-to-understand explanation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 자전 속도에 따라 형성되는 솜사탕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지구형 및 목성형 행성의 표현도 가능하게 하였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cotton candy 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is made differe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xpress the earth and the juxtaposed planets.

또한, 장치를 간소하게 만들어 혼자 실험도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device can be made simple so that experiments can be conducted alone.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태양계의 일 실시예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v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the solar system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완성된 형태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1)과 바닥면(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측면(2) 및 상기 측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지는 덮개면(3)과 바닥면(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솜사탕 생성 기계(20)로 이루어진다.
Fig. 1 shows the appearance of a complet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face 1 and a side face 2 standing on the edge of the bottom face 1, And a cotton candy producing machine 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ace 1 and the lid face 3.

본 발명에서, 바닥면(1), 측면 및 덮개면(3)은 정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면(2)에는 우주를 나타내는 스티커(10)를 부착하여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1, the side surface and the cover surface 3 are formed of a cube, and the side surface 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icker 10 to show a visual effect.

본 발명은 어린 학생들에게 태양계의 형성과정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스티커(10)는 어린 학생들에게 본 발명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how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olar system to young students, and the sticker 10 can cause young students to be curiou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닥면(1)과 바닥면에 설치된 솜사탕 배출구(4)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솜사탕 배출구(4)에 의하여 솜사탕이 생성 및 배출된다.
FIG. 2 shows the bottom surfa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Cotton candy is produced and discharged by the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면(3)과 상기 덮개면에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기어의 중앙 홈(7)에 봉(6)이 끼어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ear train 5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on the cover surface and the rods 6 are sandwiched between the center grooves 7 of the respective gears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솜사탕 배출구(4)에서 솜사탕이 배출되고, 덮개면(3)에 설치된 다수의 기어를 회전시키면, 각각의 기어에 끼워져 있는 봉(6)에 솜사탕이 감기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tton candy is discharged from the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shown in FIG. 2 and a plurality of gears provided on the cover surface 3 are rotated, the cotton candy is wound on the rod 6 fitted to each gear.

이러한 결과는 도 4에서 볼 수 있다.
These results can be seen in FIG.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하여 솜사탕이 봉(6)에 감긴 것을 알 수 있다.
FIG. 4 shows that the cotton candy is wound on the rod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태양계의 성운은 솜사탕 배출부(4)에서 생성되는 솜사탕에 대응되고, 봉(6)에 감긴 솜사탕은 태양계의 행성에 대응되는 것으로 솜사탕을 이용하여 태양계의 형성과정을 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bula of the solar system corresponds to the cotton candy produced in the cotton candy discharge unit 4, and the cotton candy wrapped around the rods 6 corresponds to the planetary system of the solar system,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olar system can be seen using cotton candy.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5 to 7 sh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5에서 덮개면(3)에는 기어열(5)이 설치되고 기어열(5)의 가운데 부분에는 손잡이(8)가 형성되어 손잡이(8)를 회전하면 다수의 기어들이 회전하게 된다.
5, a gear train 5 is provided on the cover surface 3 and a handle 8 i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gear train 5 so that a plurality of gears are rotated when the handle 8 is rotated.

상기 기어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기어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였다.
The sizes of the ge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gears is different.

상기 기어에는 봉(6)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rods 6 are connected to the gear.

도 6은 솜사탕 배출구(4)에서 솜사탕이 배출되고 도 5에 도시된 손잡이(8)를 회전하면 봉(6)들이 회전하며 솜사탕을 감게 된다.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tton candy is discharged from the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and the handle 8 shown in FIG. 5 is rotated, so that the rods 6 are rotated and the cotton candy is wound.

도 7은 솜사탕이 봉(6)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봉(6)의 회전 속도에 따라 다른 크기의 솜사탕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태양계의 각각 다른 크기의 행성을 나타내게 된다.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cotton candy is wound around the rod 6, and cotton candles of different size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od 6, which represents planets of different sizes of the solar system.

예를 들어, 지구형 행성은 기어의 크기를 크게 해서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하고 목성형 행성은 기어의 크기를 작게 해서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하여 솜사탕에 의해 표시되는 행성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 terrestrial planet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gear to slow the rotation speed, and the jovian planet can make the size of the planet smaller by reducing the size of the planet by the cotton candy.

1: 바닥면 2: 측면
3: 덮개면 4: 솜사탕 배출구
5: 기어열 6: 봉
7: 중앙 홈 8: 손잡이
9: 솜사탕 10: 스티커
20: 솜사탕 생성 기계
1: bottom surface 2: side surface
3: Cover face 4: cotton candy cane outlet
5: Gear column 6: Rod
7: central groove 8: handle
9: cotton candy 10: sticker
20: cotton candy producing machine

Claims (5)

바닥면(1), 상기 바닥면(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측면(2) 및 상기 측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놓여지는 덮개면(3)을 포함하는 솜사탕을 이용한 태양계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 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에는 솜사탕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면(3)에는 다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열(5)이 놓여지고,
상기 다수의 기어 각각에는 솜사탕 배출구(4)에서 생성되는 솜사탕이 감길수 있는 봉(6)이 끼워질수 있는 중앙 홈(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기어중 하나는 손잡이(8)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면(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솜사탕 배출구(4)로 부터 배출되는 솜사탕이 봉에 감기는 상태를 볼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기어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의 기어의 회전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되고, 상기 봉(6)에 감기는 솜사탕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다수의 기어는 9개의 기어를 이루어 태양계의 행성을 나타내고 상기 손잡이(8)은 상기 다수의 기어가 형성하는 기어열(5)의 가운데에 놓여지며,
상기 측면(2)에는 우주를 표시하는 스티커(10)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사탕을 이용한 태양계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실험 기구(100).
An experiment showing the process of forming a solar system using a cotton candy including a bottom surface 1, a side surface 2 standing o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1, and a cover surface 3 placed on the upper edge of the side surface 2 In the instrument 100,
A cotton candy discharge port (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
A gear train (5) composed of a plurality of gears is placed on the cover surface (3)
Each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provided with a central groove 7 through which a rod 6 made of cotton candy produced in a cotton candy discharge outlet 4 can be inserted,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is attached with a handle (8)
The cover surface 3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otton candy discharged from the cotton candy discharge opening 4 can be seen wrapped around the bar,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ge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rotational speeds of the ge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zes of the cotton candy wrapped around the rods 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gears constitute nine planets of the solar system and the handle 8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gear train 5 formed by the plurality of gears,
And a sticker (10) for displaying the universe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0559A 2014-04-28 2014-04-28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KR1015776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59A KR101577695B1 (en) 2014-04-28 2014-04-28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559A KR101577695B1 (en) 2014-04-28 2014-04-28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36A KR20150124136A (en) 2015-11-05
KR101577695B1 true KR101577695B1 (en) 2015-12-15

Family

ID=5460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559A KR101577695B1 (en) 2014-04-28 2014-04-28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14Y1 (en) * 2001-05-08 2001-10-15 박태연 A device for preparing a cotton candy
JP2005253437A (en) 2004-02-16 2005-09-22 Munehiko Maeda Apparatus for producing cotton candy
JP2006280241A (en) 2005-03-31 2006-10-19 Fuji Oil Co Ltd Apparatus for making candy flo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14Y1 (en) * 2001-05-08 2001-10-15 박태연 A device for preparing a cotton candy
JP2005253437A (en) 2004-02-16 2005-09-22 Munehiko Maeda Apparatus for producing cotton candy
JP2006280241A (en) 2005-03-31 2006-10-19 Fuji Oil Co Ltd Apparatus for making candy f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36A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es et al. Origin and evolution of the cometary reservoirs
Hills The formation of comets by radiation pressure in the outer protosun
KR101577695B1 (en) An experimental device for displaying a procedure of forming solar system with using cotton candy
Kortenkamp Asteroids, Comets, and Meteoroids
Palen et al. Understanding our universe
Heller Better than earth
Bond Exploring the solar system
Liu et al. One Universe:: At Home in the Cosmos
Bailey The Moon may be a former planet
Rubin SECRETS OF PROMITIVE METEORITES
Schaefer Mysterious eclipses of the central star of NGC 2346
Yao A New Hypothesis O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Solar And Extrasolar Planetary Systems
Öpik News and Comments: The Rings of Uranus; Mars; Venus; Comet Halley; Extraterrestrial Life and Civilizations; Life on Jupiter; Asteroids; Apollo Group; Diameters of Asteroids; Cratering; New Meteorite Crater; Catalogue of Impact Structures; Crater Production Rates, Saturation, Fragmentation; Flash on the Moon; Innisfree Meteorite; Other Solar Systems; Stellar Planets; Star Formation in Supernova Shells; Pre-planetary Disc.
Kuiper Satellites, comets, and interplanetary material
Bodenheimer Structure and evolution of gaseous protoplanets
Aderin-Pocock The planets: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our solar system
Tucker et al. Black hole blowback
Hadfield Visual Galaxy: The Ultimate Guide to the Milky Way and Beyond
Kallel-Jallouli The Big Bang explosion and the creation of our universe.“Time” Zero
Carroll Before Earth
Mohamed et al. 3D Models of Symbiotic Binaries
Lissauer Formation of giant planets and brown dwarfs
Hartmann et al. The grand tour: a traveler's guide to the Solar System
Ksanfomality Extrasolar planets and planets of the solar system: looking for life beyond the Earth
Хренников et al. On the possibility of through passage of asteroid bodies across the Earth’s atmosph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