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89B1 - 습식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습식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89B1
KR101574689B1 KR1020140077021A KR20140077021A KR101574689B1 KR 101574689 B1 KR101574689 B1 KR 101574689B1 KR 1020140077021 A KR1020140077021 A KR 1020140077021A KR 20140077021 A KR20140077021 A KR 20140077021A KR 101574689 B1 KR101574689 B1 KR 101574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drain hole
main
lower portion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현식
Original Assignee
방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현식 filed Critical 방현식
Priority to KR102014007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Landscapes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또는 분말형 이물질과 함께 물과 같은 유체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습식 진공청소기의 배수 구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내장한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된 메인수거통, 상기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메인수거통과 연통되는 보조수거통 및 상기 배수홀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수거통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배수홀을 막고, 상기 메인수거통 내부의 압력이 회복되면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습식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습식 진공청소기{Wet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고형 또는 분말형 이물질과 함께 물과 같은 유체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습식 진공청소기의 배수 구조에 관련된다.
진공청소기는 모터 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압력차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흡입하는 장치이다. 모터 팬에 의한 압력차는 몸체 내부의 막힌 공간을 음압으로 형성하고, 흡입 호스 등을 통해 빨아들인 이물질이 몸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몸체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은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망을 통해 걸러내며, 사용 정도에 따라 필터망에 모인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달리 몸체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의 무게차를 이용하여 사이클론 방식으로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몸체 내부로 흡입된 후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모터의 과열을 식히는데 사용된다. 팬, 모터 등 전기 부품에 빨아들인 물이 닿을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진공청소기는 건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산업용으로 제작되는 대형 진공청소기에서는 다소간의 물기를 함께 흡입할 수 있는 습식 진공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습식 진공청소기는 물과 같은 유체를 이물질과 함께 흡입하기 때문에 물방울까지 걸러줄 수 있는 필터를 채택하거나, 물방울이 팬모터 쪽으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막아주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치 내로 흡입된 물이 팬모터와 같은 전기 부품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진공청소기 내로 수집한 물이 일정 수위를 초과하여 모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05194호에서는 장치 내에서 차오른 수위를 감지하여, 팬모터 쪽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를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7-0005194호 (1997.02.19)
본 발명은 습식 진공청소기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바로바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내장한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된 메인수거통, 상기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메인수거통과 연통되는 보조수거통 및 상기 배수홀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수거통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배수홀을 막고, 상기 메인수거통 내부의 압력이 회복되면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습식 진공청소기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보조수거통의 내부를 향하는 입구에 직경을 좁히는 리브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살의 하부로 상하 방향의 가이드돌기가 내벽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리브살의 하단에 접촉하여 상기 입구를 막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리브살의 단부에는 상기 승강유닛의 접촉면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편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조수거통은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인수거통과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의 작동이 중단되면 메인수거통의 오수가 보조수거통으로 자동 수집된다. 따라서 메인수거통 내에 오수가 머묾에 따라 발생하는 먼지 덩어리의 적층, 구동부로 물기의 유입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보조수거통을 분리하여 비우는 정도로 습식 진공청소기의 사후 관리가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채용된 개폐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개폐밸브의 분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개폐밸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개폐밸브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100)는 모터하우징(10), 메인수거통(20), 보조수거통(30) 및 개폐밸브(40)를 포함한다. 나아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캐스터(62)와 손잡이(63)가 달린 트레이(60)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수거통(20)에 연통된 플렉시블 관체(22)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플렉시블 관체(22)와 이어지는 청소툴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1)가 내장되어 있다. 구동부(11)는 전기모터, 감속기, 회전팬, 제어모듈 등을 포함한다.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기모터가 회전팬을 회전시켜 메인수거통의 공기를 외부로 이송시킨다. 그에 따라 메인수거통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11)의 구성과 작용은 이미 알려진 습식 진공청소기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하우징(10)의 하부에는 필터(12)가 장착된다.
필터(12)는 메인수거통(20)에 들어온 이물질이 곧바로 모터하우징(10)의 흡입구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거한 이물질이나 물 등이 구동부(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하우징의 설계에 따라 필터는 생략될 수 있다.
메인수거통(20)은 모터하우징(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모터하우징(10)을 들어내고 메인수거통(20)의 내부를 직접 청소할 수 있다. 모터하우징(10)과 메인수거통(20)의 분리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클램프(도시 생략)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인수거통(20)의 바닥에는 배수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홀(21)에는 개폐밸브(40)가 장착된다. 메인수거통(20)은 배수홀(21)와 플렉시블 관체(22)와의 연결부위를 제외하고는 외부와 기밀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구동부의 작동으로 대기압보다 낮아진 메인수거통(20) 내부와 외부와의 압력구배에 의해 배수홀(21)와 플렉시블 관체(22)에는 외부의 공기 등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외부에서 빨아들인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물은 1차적으로 메인수거통(20)에 머물게 된다.
보조수거통(30)은 메인수거통(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수거통(30)은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위치하여 개폐밸브(40)로부터 떨어지는 물 등을 받아 저장한다.
보조수거통과 메인수거통의 결합 관계는 다양할 수 있다.
보조수거통의 상단이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밀착하여, 메인수거통에 장착된 보조수거통의 내부가 기밀되게 할 수 있다. 또는 보조수거통은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위치할 뿐이어서 보조수거통의 내부가 기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는 모터하우징(10), 메인수거통(20), 보조수거통(30)이 트레이(60)에 장착되어 있다. 트레이(60)의 일측에는 기둥(61)이 세워져 있고, 이 기둥(61)에 수평으로 연결된 띠에 의해 메인수거통이 중간 높이에 매달리듯 고정되어 있다. 모터하우징(10)은 메인수거통(20)의 상부에 얹어진 상태로 메인수거통(20)에 고정되며, 보조수거통(30)은 메인수거통(20)의 하부에 위치한다.
보조수거통은 메인수거통과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보조수거통(30)은 트레이(60)에 안착됨으로써 메인수거통(20)과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보조수거통(30)은 메인수거통(20)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수거통의 서랍식 분리는 널리 알려진 서랍장과 같은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형성해 두고, 보조수거통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거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조수거통(30)을 습식 진공청소기(100)로부터 분리하는데 있어 모터하우징(10)이나 메인수거통(20)의 이동을 요구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크다.
습식 진공청소기(100)는 대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모터하우징(10)의 무게나 메인수거통(20)의 부피를 인력으로 다루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습식 진공청소기에 스팀발생장치, 세정액 분사장치 등 추가적인 청소장치들을 더 부가하여, 청소차량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구동부 등을 옮기면서 보조수거통에 접근하는 것보다, 보조수거통(30)을 서랍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에서 보조수거통(30)에는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고,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메인수거통(20)과 분리된다. 도면에서 개폐밸브(40)의 하단부는 메인수거통(20)의 바닥면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보조수거통(3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에 메인수거통(20)의 아래로 돌출된 개폐밸브(40)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절개된 통과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서랍식으로 보조수거통(30)이 인출될 때에 개폐밸브(4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보조수거통(30)에 물이 지나치게 많이 모인 경우에 통과홈(31)을 통해 외부로 흘러 넘치게 되므로, 보조수거통(30)의 물이 개폐밸브(40) 높이까지 차올라 메인수거통(20)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한편 개폐밸브(40)는 배수홀(21)을 단속하는 것으로, 메인수거통(2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배수홀(21)을 막도록 작용하고, 메인수거통(2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수준으로 회복되면 배수홀(21)을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밸브(40)의 작동은 구동부(11)의 작동 시에 발생한 흡입력이 고스란히 플렉시블 관체(22)를 통해 작용하여 이물질을 온전히 흡입할 수 있게 한다. 이후 구동부(11)의 작동이 중단되면 개폐밸브(40)가 개방되어 메인수거통(20)에 수집된 물을 보조수거통(30)으로 흘려내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동부(11)의 작동에 따라 개폐밸브(40)가 연동하여 배수홀(21)을 막거나 개방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물을 보조수거통(30)으로 수집하고, 메인수거통(20) 내부를 비울 수 있게 된다.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는 보조수거통(30)을 분리하고 수거된 물 등의 이물질을 처리하면 되므로, 메인수거통(20)을 매번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관찰해 보면, 건물 바닥 등을 물청소한 후 습식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면 내부 수거통에 먼지와 함께 물이 흡입되는데, 고운 먼지들은 수거통의 각진 구석(예를 들어, 도 1의 C 부분)에 주로 쌓이게 된다. 오랜 기간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경우, 수거통 내에 수거된 미세 먼지는 각진 구석에 단단히 쌓이게 되는데, 청소 후에는 단단해진 먼지 덩어리를 깨부수어야 비로소 수거통 밖으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후에는 모터하우징으로부터 수거통을 분리하여야 하고, 수거통을 기울인 상태에서 바닥 구석에 쌓인 먼지 덩어리를 깨낸 후 수거통 내부를 물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수거통(20)에 수집된 물과 먼지는, 구동부(11)의 작동 중단 시에 개방되는 배수홀(21)을 통해 보조수거통(30)으로 흘러들어간다. 습식 진공청소기의 사용 상태를 관찰하면, 진공청소기(100)의 작동은 보통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작동이 중단된 때마다 메인수거통(20)의 물과 먼지들이 보조수거통(30)으로 이동하므로, 청소가 완료된 시점에서 메인수거통(20)의 내부에 단단히 쌓인 먼지 덩어리가 없게 된다.
보조수거통(30)에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아 쌓이는 일부의 먼지층이 있을 뿐이고,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습식 진공청소기와 같이 구석진 모서리부분에 단단하게 쌓이는 먼지 덩어리들은 크게 없다. 따라서 보조수거통(30)을 메인수거통(20)에서 분리한 후 내부의 물을 쏟아 버리는 것만으로도 보조수거통(30)을 깨끗이 비울 수 있어 사후 관리의 편리함이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개폐밸브와 관련된다.
개폐밸브(40)는 케이싱(41)과, 케이싱(4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배수홀을 개폐하는 승강유닛(46)을 포함한다. 케이싱(41)은 상부하우징(41a)과 하부하우징(41b)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41a)은 메인수거통(20)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플랜지(45)와, 배수홀(21)에 삽입되는 중공된 원통체(42)를 구비한다. 원통체(42)의 내부에는 상하로 개방되어 보조수거통(30)의 내부를 향하는 관로의 입구 직경을 좁히는 리브살(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살(421) 아래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돌기들(423)이 내벽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41a)의 상부에는 원추형 망체(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망체(43)는 덩어리가 큰 이물질이 상부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망체(43)의 슬릿들(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슬릿(431)의 하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슬릿(431)의 상부를 통해 물이 상부하우징(41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망체(43)의 슬릿(431)이 메인수거통(20)의 바닥면으로부터 시작되도록 개폐밸브(40)를 장착한다.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망체와 플랜지는 형상이 변경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하부하우징(41b)는 상부하우징(41a)에 결합된다. 하부하우징(41b)에는 원통체(42)의 개방된 하부를 마감하여 승강유닛(46)이 원통체(42)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하우징(41b)의 바닥면에는 상부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물 등 이물질이 빠져나가는 관통홀(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41b)의 상단부에는 메인수거통(20)에 접하는 플랜지(45)가 구비된다. 하부하우징(41b)은 상부하우징(41a)의 원통체(42)와 나사체결될 수 있고, 상부하우징(41a)와 하부하우징(41b)의 플랜지에는 기밀을 위한 실링이 구비된다.
승강유닛(46)은 원통체(42)의 내부에 위치하며, 가이드돌기들(423)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승강유닛(46)의 상면에는 디스크 형상의 고무판(462)이 결합되어 있다. 승강유닛(46)이 상승하면 고무판(462)이 리브살(421)에 접촉하여 배수홀(21)을 막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승강유닛(46)은 원통형 바디(461), 바디(46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하우징(41a)의 가이드돌기들(423) 사이에 구속되는 안내돌기들(461a)을 구비한다. 안내돌기들(461a)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개방된 절개홈(461b)이 형성되어 있다. 속이 빈 바디(461)와 절개홈(461b)은 승강유닛(46)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데 주요하다.
도 5에는 한 쌍씩 짝을 이루는 가이드돌기들(423)과, 이웃하는 가이드돌기들(423) 사이에 위치하는 안내돌기(461a)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돌기(423)와 안내돌기(461a)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리브살(421)은 보조수거통(30)의 내부를 향하는 원통체(42)의 입구에 형성되어, 입구의 직경을 좁히고 있다.
나아가 입구의 중심을 향하는 리브살(421)의 단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접촉편(422)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422)은 승강유닛(46)의 고무판(462)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하부로 돌출된 접촉편(422)은 승강유닛(46)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인다.
만일 돌출된 접촉편(422) 없이 리브살(421)의 하단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경우, 리브살의 평탄한 하면이 상승한 승강유닛의 고무판과 면 접촉하게 된다. 이때 양자의 접촉면적은 접촉편이 구비된 경우보다 넓어지게 된다. 이 경우 리브살과 승강유닛의 고무판 사이에 낀 이물질에 의해 리브살과 승강유닛 사이에 틈이 형성될 가능성이 커진다.
반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접촉편(422)이 구비됨으로써 승강유닛(46)의 고무판(462)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고, 그에따라 이물질이 개재될 확률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개폐밸브(40)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구동부(11)의 작동이 시작되면 메인수거통(2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보조수거통(30)은 대기압 상태이므로 개폐밸브(40)를 통해 보조수거통(30)의 공기가 메인수거통(20)으로 빨려 들어가 배수홀(21)에 공기의 상승류가 형성된다.
배수홀(21)의 상승류는 승강유닛(46)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안내돌기들(461a)이 원통체(42)의 내벽면을 타고 상승하면서 승강유닛(46)이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승한 승강유닛(4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살(421)의 접촉편(422)에 접촉하게 된다. 구동부(11)의 작동 중에는 메인수거통(20) 내의 압력이 보조수거통(30) 내의 압력보다 낮게 유지되므로, 승강유닛(46)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접촉편(422)에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승강유닛(46)의 중앙 부분에 음압이 작용하여 승강유닛(46)을 상승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개폐밸브(40)가 잠긴 상태에서 플렉시블 관체(22)를 통해 물 등 이물질이 메인수거통(20)으로 유입된다. 구동부(11)의 작동이 중단되기 전까지 이물질 등은 메인수거통(20) 안에 머문다.
구동부(11)의 작동이 중지된면, 메인수거통(20) 내의 압력이 대기압 수준으로 재상승된다. 메인수거통(20)의 압력이 회복됨에 따라 승강유닛(46)을 상승시키던 압력 구배는 사라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46)의 무게에 의해 승강유닛(46)은 하강하게 된다.
승강유닛(46)이 하강함에 따라, 접촉편(422)과 승강유닛(46)의 고무판(462)이 이격된다. 이 틈으로 메인수거통(20)의 물이 원통체(42) 안으로 이동하고, 원통체(42)의 내벽면과 승강유닛(46)의 바디 사이의 공간(S)을 거쳐, 하부하우징(41b)의 관통홀(44)로 물이 빠져나간다. 빠져나간 물은 보조수거통(30)에 담기게 된다.
청소가 끝난 후 보조수거통(30)을 메인수거통(20)으로부터 분리한 후 고인 물 등을 비워내면 된다.
100 : 진공청소기
10 : 모터하우징 11 : 구동부 12 : 필터
20 : 메인수거통 21 : 배수홀 22 : 관체
30 : 보조수거통 31 : 통과홈
40 : 개폐밸브 41 : 케이싱
41a : 상부하우징 41 : 플랜지 42 : 원통체 421 : 리브살
422 : 접촉편 423 : 가이드돌기 43 : 망체 431 : 슬릿
41b : 하부하우징 44 : 관통홀 45 : 플랜지
46 : 승강유닛 461 : 바디 461a : 안내돌기 461b : 절개홈
462 : 고무판
60 : 트레이 61 : 기둥 62 : 캐스터 63 : 손잡이
S : 공간

Claims (4)

  1.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내장한 모터하우징;
    상기 모터하우징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흡입력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고, 하부에 배수홀이 형성된 메인수거통;
    상기 메인수거통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메인수거통과 연통되는 보조수거통; 및
    상기 배수홀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수거통의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배수홀을 막고, 상기 메인수거통 내부의 압력이 회복되면 상기 배수홀을 개방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보조수거통의 내부를 향하는 입구에 직경을 좁히는 리브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살의 하부로 상하 방향의 가이드돌기가 내벽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가이드돌기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리브살의 하단에 접촉하여 상기 입구를 막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진공청소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입구의 중심을 향하는 상기 리브살의 단부에는 상기 승강유닛의 접촉면을 향하여 돌출된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는 습식 진공청소기.
  4. 제1항에서,
    상기 보조수거통은 일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인수거통과 분리되는 습식 진공청소기.
KR1020140077021A 2014-06-24 2014-06-24 습식 진공청소기 KR101574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1A KR101574689B1 (ko) 2014-06-24 2014-06-24 습식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21A KR101574689B1 (ko) 2014-06-24 2014-06-24 습식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689B1 true KR101574689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21A KR101574689B1 (ko) 2014-06-24 2014-06-24 습식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147B1 (ko) * 2016-10-05 2017-07-31 주식회사 바맥스 중앙 집중식 진공시스템의 청소대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290B1 (ko) 1998-06-18 2001-02-01 구자홍 물흡입진공청소기덮개의잔수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290B1 (ko) 1998-06-18 2001-02-01 구자홍 물흡입진공청소기덮개의잔수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147B1 (ko) * 2016-10-05 2017-07-31 주식회사 바맥스 중앙 집중식 진공시스템의 청소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0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RU2249425C2 (ru) Пылесос для влажной и сухой уборки
RU2277372C2 (ru) Пылесборник робота-пылесоса
CA2689483C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US20030182757A1 (en) Filtration arrangement of a vacuum cleaner
CN113243839B (zh) 分离组件、污水储存装置、吸取装置和表面清洁设备
CN107205603B (zh) 具有旋风分离器的吸尘器
KR10157468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US9237835B2 (en) Collecting apparatus of sucked materials for vacuum cleaner appliances
KR100544479B1 (ko)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RU2262285C2 (ru) Пылесос с контейнером
US20150173575A1 (en) In-line vacuum lquid aspirator
KR102372076B1 (ko) 신발바닥 및 바퀴의 이물질 세척용 흡입매트를 이용한 습건식 집진장치
CN108354512B (zh) 一种立式吸尘器
JP2003245232A (ja) 電気掃除機
KR20140136591A (ko)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CN101147660A (zh) 吸尘器集尘桶底部灰尘倒除装置
CN208957977U (zh) 一种吸尘器垃圾分离装置
CN211324726U (zh) 旋风式预分离装置及包括该旋风式预分离装置的吸尘装置
CN216776906U (zh) 分离组件、污水储存装置、吸取装置和表面清洁设备
CN101596085B (zh) 吸尘器的排气过滤装置
CN117297419A (zh) 容器、清洁设备及清洁***
JPH0443192Y2 (ko)
KR960003440Y1 (ko) 액체여과식 보조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