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47B1 -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47B1
KR101572147B1 KR1020150092546A KR20150092546A KR101572147B1 KR 101572147 B1 KR101572147 B1 KR 101572147B1 KR 1020150092546 A KR1020150092546 A KR 1020150092546A KR 20150092546 A KR20150092546 A KR 20150092546A KR 101572147 B1 KR101572147 B1 KR 10157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generation module
passage
modul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현
김한
Original Assignee
(주)지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인테크 filed Critical (주)지인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6Stations or aggregates of water-storage type, e.g. comprising a turbine and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5/00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on-bladed rotors, e.g. serrated, using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8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water energy converters, e.g. a water turb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저수조, 저수조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통로, 제1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를 구비한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1소수력발전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1통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2통로, 제2통로에서 낙하하는 물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저장하도록 내장된 수차를 구비한 제2소수력발전모듈; 축전지에서 전기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전등 또는 전기기기를 구비한 전기소모모듈;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설치된 집광판을 구비한 태양광발전모듈; 케이싱, 바람이 통과하도록 케이싱에 마련된 유입구,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내장된 날개, 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자석과, 자석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코일을 구비한 적어도 1개의 풍력발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Small hydro power generation module, Module type power generator, and Module type hybrid power generator having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and wind power generation module}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의 풍력, 태양력과 소수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지주형태로 제작되고, 가로등의 전등 또는 CCTV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나트륨램프 또는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조명하고 있으며, 수동제어 또는 원격제어에 의해 가로등의 점등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도로변이나 골목길에 지주를 세우고, 이 지주에 방범용 CCTV를 설치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가로등이나 CCTV를 작동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외부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자체 발전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고, 일례로 풍력이나 태양광을 이용한 기술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에는 풍력발전 또는 솔라셀발전 중 어느 하나만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고, 이러한 단일 발전장치로는 발전량이 부족하여 원하는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풍력발전시스템은 광범위한 자연풍을 이용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에 의해 도로변에 발생하는 협소한 범위 및 구역의 유도풍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3014호(2011.03.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1731호(2007.02.15. 공고)
상기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풍은 물론 차량 유도풍의 풍력, 태양광과 소수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를 모듈형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지주형태로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발전량을 향상시키도록 한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은, 저수조, 저수조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통로, 제1통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를 구비한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1소수력발전모듈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1통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2통로, 제2통로에서 낙하하는 물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저장하도록 내장된 수차를 구비한 제2소수력발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개폐부는 제1통로에 설치된 볼밸브와, 볼밸브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모터를 구비하고, 저수조에 일정 수위 또는 수압에 도달하면 일시에 제1통로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2소수력발전모듈 사이에 설치된 일정 높이의 중간 기둥; 제1통로와 제2통로의 밀폐를 위해 제2소수력발전모듈의 상부플랜지 또는 제1소수력발전모듈의 하부플랜지에 끼워진 밀폐부재; 저수조에 저장된 수압 또는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값에 도달하면 모터에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센서;와 수차(210)로 낙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소수력발전모듈()에 가공된 배수구(2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발전장치는, 상기된 소수력발전모듈; 제1소수력발전모듈 또는 제2소수력발전모듈에 장착되거나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2소수력발전모듈 사이에 장착되고, 축전지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설치된 전등 또는 전자기기 등이 체결된 전기소모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상기된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2소수력발전모듈; 축전지에서 전기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전등 또는 전기기기를 구비한 전기소모모듈;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설치된 집광판을 구비한 태양광발전모듈; 케이싱, 바람이 통과하도록 케이싱에 마련된 유입구,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내장된 날개, 날개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자석과, 자석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코일을 구비한 적어도 1개의 풍력발전모듈;을 포함하고, 각 모듈이 높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제1소수력발전모듈과 제2소수력발전모듈 사이에 배치된 전기소모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축전지에 전력을 저장하도록 설치되고, 이때 제1소수력발전모듈의 제1통로에서 제2소수력발전모듈의 제2통로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제1통로와 제2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소모모듈의 제3통로와 태양광발전모듈의 제4통로 및 풍력발전모듈의 제5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상호 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기소모모듈은 외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전등 또는 전기기기가 장착된 지지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모듈은 외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집광판이 장착된 지지바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풍력발전모듈은 코일이 외주면에 장착되면서 중공 형태의 형태로 제5통로가 마련된 중심축, 자석이 코일측 일면에 고정되면서 날개가 유입구측 타면에 고정되어 날개와 함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체, 케이싱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의 일부를 유입구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유도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 제4통로와 제5통로의 밀폐를 위해 각 모듈의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 또는 상/하부플랜지에 끼워진 밀폐부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케이싱들의 체결시, 케이싱의 외면에 장착된 유도판들 중 모두를 동일 위치나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각각 또는 일부를 다른 위치나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싱은 내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면서 배기구로 연결되도록 나선형 형태로 가공된 유도홈과, 유도홈을 가공하면서 마련되어 이웃한 유도홈들을 구획하는 유도돌기를 더 구비하고, 여기서 유도돌기는 상향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일정 경사로 가공된 경사면과, 공기의 하방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경사면보다 급경사로 가공된 차단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통로, 제2통로, 제3통로, 제4통로와 제5통로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는 배출되는 물의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키기 위해 일부위에서 타부위보다 직경을 작게 하도록 마련된 원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 태양광과 소수력을 이용한 모듈형 발전장치를 지주형태로 설치하고, 각각의 모듈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축전시킴으로써, 하나의 발전장치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가로등이나 CCTV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발전장치를 모듈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손쉽게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로변에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를 설치하고, 풍력발전모듈이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한 차량 유도풍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도로의 특성을 감안하여 유도풍이 최대 발생할 수 있는 높이를 감안하거나 소수력 발전을 위한 높이를 감안하여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높이를 설정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날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충분한 전원을 생산할 수 있고, 예비전력도 축적할 수 있으며, 가로등이나 CCTV를 필요시 언제든지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소수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소수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소모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풍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싱의 내면이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소수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소수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소모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태양광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풍력발전모듈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싱의 내면이 도시된 내부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수력발전모듈(100),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전기소모모듈(300), 태양광발전모듈(400)과 풍력발전모듈(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을 받아 저장 및 배출하는 모듈로, 저수조(110), 저수조(110)와 통하면서 물을 하측으로 배출하도록 가공된 제1통로(120), 제1통로(12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130)와, 개폐부(130)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제어센서(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수조(110)는 빗물을 저장하기 위해 대략 반구(半球)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저수조(110)는 제1통로(120)가 가공된 몸통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고, 상호 별도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통로(120)는 저수조(110)의 물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해 저수조(110)의 최하측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제1통로(120)는 도 1, 도 2와 도 4에서처럼 저수조(110)의 물을 전기소모모듈(300)의 제3통로(310)로 흘려 보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 제1통로(120)는 일부위에 지름이 좁아지도록 돌출부(121)가 마련된다. 이 돌출부(121)는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기 위한 부위로, 배출되는 물의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까지 적은 양의 물이 빠르게 낙하함으로써, 적은 양의 물로 많은 양의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1)는 제1통로(120), 제2통로(240), 후술된 제3통로(310), 제4통로(420)와 제5통로(521)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 마련될 수 있다.
또, 개폐부(130)는 제1통로(12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제1통로(120)의 일부위에 가공된 홈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볼밸브(131), 볼밸브(131)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모터(132)와, 모터(132)를 작동시키도록 설치된 제어센서(140)를 구비한다. 따라서, 저수조(110)에 일정 높이 이상의 빗물이 집수되거나 집수된 빗물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제어센서(14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132)를 작동시키고, 모터(132)에 의해 볼밸브(131)가 회전하여 제1통로(120)와 저수조(110)가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저수조(110)의 물이 배출되면 제어센서(140)와 모터(132)에 의해 볼밸브(131)가 복귀 회전하여 제1통로(120)와 저수조(110)가 폐쇄된다.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에서 낙하하는 물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모듈로,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에서 배출된 물의 낙차를 가장 크게 하기 위해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이브리드 발전장치의 전체 높이에서 중간부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은 저수조(110)에서 배출된 물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수차(210), 수차(210)에서 발생한 전기를 축적하는 축전지(220)와, 축전지(220)의 전력을 전기소모모듈(300)에 설치된 CCTV(320) 또는 전등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230)를 구비한다. 이때, 축전지(220)와 제어기(230)는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이외에도 제1소수력발전모듈(100), 전기소모모듈(300), 태양광발전모듈(400) 또는 풍력발전모듈(5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하부플랜지측 하부에는 수차(210)로 낙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공된 적어도 1개의 배수구(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은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상부플랜지를 관통하는 제2통로(240)에 끼워지는 밀폐부재(600)를 더 구비한다. 이 밀폐부재(600)는 도 1과 도 6에서 보듯이 풍력발전모듈(500)의 제5통로(521)와 제2통로(240)를 연결하여 제5통로(521)에서 제2통로(240)로 유동하는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 밀폐부재(600)는 대략 "T"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전기소모모듈(300), 태양광발전모듈(400)과 풍력발전모듈(500)의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이외에 밀폐부재(600)는 대략 "╋(십자)"형상으로 제작되고, 각 모듈(100,200,300,400,500)의 결합시 상호 접촉되는 양측 플랜지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이 밀폐부재(600)에 대해 대표적으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과 풍력발전모듈(500)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 밀폐부재(600)의 하부는 상부플랜지에 가공된 턱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제3통로(310)에서 제5통로(521)를 지나 제2통로(240)까지 그 지름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600)의 상부는 상부플랜지의 외면에 놓이고, 일례로 풍력발전모듈(500)의 하부플랜지와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상부플랜지가 접촉하여 체결되면서 이들 플랜지 간의 접촉 부위에 대해 밀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로 구성된 발전장치가 전기소모모듈(300)과 결합되어 제작됨으로써, 수력으로만 발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물의 낙차를 크게 하기 위해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을 상호 멀리 배치할 수 있도록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높이를 높게 하거나 별도의 중간 기둥(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중간 기둥에 전기소모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다.
전기소모모듈(300)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설치된 방범용 CCTV(320) 또는 점등하는 램프를 구비한 모듈로,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태양광발전모듈(400) 또는 풍력발전모듈(50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이 전기소모모듈(300)은 중공 형태의 제3통로(310)를 마련하고, CCTV(320) 또는 램프가 설치되면서 길가보다 길 중앙 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대략 수평의 지지대(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태양광발전모듈(400)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 집광판(410)과, 중공 형태의 제4통로(420)를 구비한 모듈이다. 이 태양광발전모듈(400)은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의 아래이면서, 전기소모모듈(300) 또는 풍력발전모듈(500)과 체결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태양광발전모듈(400)은 발생시킨 전력이 축전지(220)에 저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태양광발전모듈(400)은 집광판(410)이 설치되면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외향 돌출된 지지바(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풍력발전모듈(500)은 도 1, 도 6,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모듈로, 케이싱(510), 중심축(520), 코일(530), 회전체(540), 날개(550)와 자석(5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5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이고, 양측 단부에 마련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정 면적으로 가공된 유입구(570), 유입구(570)로 외부 공기를 안내하도록 외면에 고정된 유도판(580)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외면에 가공된 배기구(59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는 케이싱(510)의 양측단면을 폐쇄하도록 위치하고, 케이싱(510) 중간부보다 더 직경을 크게 하여 가공된다. 이들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는 케이싱(510)을 높이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호 체결할 때 이용된다.
또한, 유도판(580)은 일방향으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 중 일부의 흐름을 케이싱(510) 내부측으로 변경시키도록 가공된다. 이때, 유도판(580)은 접촉하여 유동 방향이 변경되는 외부 공기가 유동 속도와 풍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케이싱(5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평면상 대략 원호 형상의 일부와 유사한 일정 곡률의 곡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도판(580)은 특히 본 발명의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가 도로변에 설치된 경우, 차량 운행으로 발생하는 차량 유도풍의 일부를 케이싱(510)의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차량 유도풍을 활용한 발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유입구(570)는 유도판(580)을 따라 유동하는 외부 공기가 케이싱(5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적어도 1개가 가공된다.
그리고, 배기구(590)는 유입구(570)를 통해 케이싱(5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날개(550)를 회전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멍으로, 상부플랜지와 유입구(570) 사이에 적어도 1개가 가공된다.
케이싱(510)은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면에 상방향으로 나선형 형태로 경사지면서 배기구(590)로 연결된 유도홈(511)과, 유도홈(511)을 구획하는 유도돌기(512)를 더 구비한다. 이 유도홈(511)은 케이싱(510) 내부로 유입되어 날개(550)를 회전시킨 후 풍압을 소모하면서 날개(550)와 함께 회전하는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여 배기구(590)를 통해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홈이 케이싱(5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속적으로 가공된다. 또한, 유도돌기(512)는 유도홈(511)을 가공하면서 성형된 부위이고,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완만한 경사면(512a)과, 공기의 하방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대략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로 가공된 차단면(512b)을 구비한다. 여기서, 경사면(512a)은 측면은 직선일 수도 있고, 곡선일 수도 있다.
중심축(520)은 케이싱(510)의 평면상 중심에 배치되면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양단부가 고정된다. 이 중심축(52)에는 중공 형태의 제5통로(521)가 마련된다.
코일(530)은 중심축(52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1개가 설치된다.
회전체(540)는 코일(530)을 감싸면서 양측단부가 중심축(5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날개(550)는 회전체(540)의 외주면에 평면상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이 날개(550)는 케이싱(5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풍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체(54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날개(550)는 풍압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평면상 대략 일정 곡률의 곡면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날개(550)는 측면상 측면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제작되거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면서 곡면을 이루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자석(560)은 회전체(540)의 내면에 고정되면서 코일(5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날개(550) 및 회전체(540)와 더불어 회전하는 자석(560)은 코일(530)에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전력을 발생시킨 풍력발전모듈(500)은 전력이 축전지(220)에 저장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풍력발전모듈(500)을 상호 체결할 때, 유도판(580)을 동일한 방향과 위치에 놓이도록 체결할 수도 있고, 유도판(580)들을 각각 다른 방향 또는 일부만 다른 방향에 놓이도록 체결할 수도 있다. 이는 도로의 지형 및 특성을 감안하여 차량 유도풍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는 바람이 부는 날에는 풍력발전모듈(500)에서 발전할 수 있고, 맑은 날에는 태양광발전모듈(400)에서 발전할 수 있으며, 비 오는 날에는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에서 발전할 수 있다. 물론, 바람불고 비오는 날에는 풍력발전모듈(500)과, 제1소수력발전모듈(100) 및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에서 동시에 발전을 할 수 있고, 바람불고 맑은 날에는 풍력발전모듈(500)과 태양광발전모듈(400)에서 발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제1소수력발전모듈
110:저수조
120:제1통로
121:돌출부
130:개폐부
131:볼밸브
132:모터
140:제어센서
200:제2소수력발전모듈
210:수차
220:축전지
230:제어기
240:제2통로
250:배수구
300:전기소모모듈
310:제3통로
320:CCTV
330:지지대
400:태양광발전
410:집광판
420:제4통로
430:지지바
500:풍력발전모듈
510:케이싱
511:유도홈
512:유도돌기
521a:경사면
521b:차단면
520:중심축
521:제5통로
530:코일
540:회전체
550:날개
560:자석
570:유입구
580:유도판
590:배기구
600:밀폐부재.

Claims (12)

  1. 저수조(110), 저수조(110)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통로(120), 제1통로(12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개폐부(130)를 구비한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상기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1통로(120)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2통로(240), 제2통로(240)에서 낙하하는 물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220)에 저장하도록 내장된 수차(210)를 구비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사이에 설치된 일정 높이의 중간 기둥; 상기 제1통로(120)과 제2통로(240)의 밀폐를 위해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상부 플랜지 또는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의 하부 플랜지에 끼워진 밀폐부재(600); 저수조(110)에 저장된 수압 또는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 값에 도달하면 모터(132)에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센서(140); 및 수차(210)로 낙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에 가공된 배수구(2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수력발전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30)는 제1통로(120)에 설치된 볼밸브(131)와, 볼밸브(131)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모터(132)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조(110)에 일정 수위 또는 수압에 도달하면 일시에 제1통로(120)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소수력발전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120) 또는 제2통로(240)에는 배출되는 물의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키기 위해 일부위에서 타부위보다 직경을 작게 하도록 마련된 원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21)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소수력발전모듈.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수력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수력발전모듈의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제1소수력발전모듈(100) 또는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에 장착되거나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사이에 장착되고, 축전지(220)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설치된 전등 또는 전자기기가 체결된 전기소모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듈형 발전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소수력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수력발전모듈의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축전지(220)에서 전기를 공급받도록 설치된 전등 또는 전기기기를 구비한 전기소모모듈(300);
    태양광을 집광하도록 설치된 집광판(410)을 구비한 태양광발전모듈(400);
    케이싱(510), 바람이 통과하도록 케이싱(510)에 마련된 유입구(570), 풍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내장된 날개(550), 날개(55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자석(560)과, 자석(560)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코일(530)을 구비한 적어도 1개의 풍력발전모듈(500);을 포함하고,
    상기 각 모듈(100,200,300,400,500)이 높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제1소수력발전모듈(100)과 제2소수력발전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태양광발전모듈(400)과 풍력발전모듈(500) 중 적어도 하나가 축전지(220)에 전력을 저장하도록 설치되고,
    제1소수력발전모듈(100)의 제1통로(120)에서 제2소수력발전모듈(200)의 제2통로(240)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제1통로(120)와 제2통로(240)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소모모듈(300)의 제3통로(310)와 태양광발전모듈(400)의 제4통로(420) 및 풍력발전모듈(500)의 제5통로(521)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가 상호 통하도록 설치된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모모듈(300)은 외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전등 또는 전기기기가 장착된 지지대(33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모듈(400)은 외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집광판이 장착된 지지바(43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모듈(500)은 코일(530)이 외주면에 장착되면서 중공 형태의 형태로 제5통로(521)가 마련된 중심축(520), 자석(560)이 코일(530)측 일면에 고정되면서 날개(550)가 유입구(570)측 타면에 고정되어 날개(550)와 함께 중심축(520)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체(540), 케이싱(510)의 외면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의 일부를 유입구(570)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유도판(5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120), 제2통로(240), 제3통로(310), 제4통로(420)와 제5통로(521)의 밀폐를 위해 각 모듈(100,200,300,400,500)의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 또는 상/하부플랜지에 끼워진 밀폐부재(60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510)들의 체결시, 케이싱(510)의 외면에 장착된 유도판(580)들 중 모두를 동일 위치나 방향으로 배치하거나, 각각 또는 일부를 다른 위치나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10)은 내면을 따라 상향 경사지면서 배기구(590)로 연결되도록 나선형 형태로 가공된 유도홈(511)과, 유도홈(511)을 가공하면서 마련되어 이웃한 유도홈(511)들을 구획하는 유도돌기(5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도돌기(512)는 상향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일정 경사로 가공된 경사면(512a)과, 공기의 하방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경사면(512a)보다 급경사로 가공된 차단면(512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120), 제2통로(240), 제3통로(310), 제4통로(420)와 제5통로(521)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는 배출되는 물의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키기 위해 일부위에서 타부위보다 직경을 작게 하도록 마련된 원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21)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20150092546A 2015-06-29 2015-06-29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157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46A KR101572147B1 (ko) 2015-06-29 2015-06-29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46A KR101572147B1 (ko) 2015-06-29 2015-06-29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12A Division KR20170002263A (ko) 2015-11-20 2015-11-20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147B1 true KR101572147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546A KR101572147B1 (ko) 2015-06-29 2015-06-29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9008A (zh) * 2018-03-28 2018-08-24 合肥云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景观灯的风光互补发电装置及其控制***
KR102678064B1 (ko) * 2021-12-06 2024-06-25 강성욱 태양열 증기터빈 발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753A (ja) * 2010-09-30 2012-04-12 Sakae Ikeda 自然エネルギー複合取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753A (ja) * 2010-09-30 2012-04-12 Sakae Ikeda 自然エネルギー複合取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9008A (zh) * 2018-03-28 2018-08-24 合肥云智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景观灯的风光互补发电装置及其控制***
KR102678064B1 (ko) * 2021-12-06 2024-06-25 강성욱 태양열 증기터빈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299B2 (en) Sun, rain and wind powered light
CN203703793U (zh) 集雨水发电与太阳能发电于一体的led路灯
KR102146373B1 (ko) 풍력 및 수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RU2015104806A (ru) Вертикально-осевая ветровая и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турбина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тока
US200802462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sidential hydropower
KR101401685B1 (ko) 가로등 발전 장치
KR20100078185A (ko) 사이펀을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ES2320535T3 (es) Dispositivo generador accionado por olas.
KR20170002263A (ko) 소수력발전모듈,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CN1973128A (zh) 组合式水力机或水电机
KR101572147B1 (ko) 소수력발전모듈, 모듈형 발전장치, 및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발전모듈을 구비한 모듈형 하이브리드 발전장치
KR101056607B1 (ko) 수면부상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71766B1 (ko) 풍력발전모듈 및 이를 구비한 모듈형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JP2020061211A (ja) ソーラー屋外灯
KR101565461B1 (ko) 취수관을 이용한 중력식 수력발전시스템
KR101309542B1 (ko)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시행에 따른 발전부지가 필요없는 한국전력공사 네트워크 전력망 전주 주상공간을 활용한 차세대 분산형 스마트에너지 발전 공급 대량 시스템용 태양광 풍력 다방면 추적 융합발전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354082B1 (ko) 냉각탑 발전장치
KR20180083190A (ko)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KR101139061B1 (ko) 지하철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JP2011108549A (ja) ソーラーライト
CN213810349U (zh) 一种智慧城市挡雨路灯
KR101698060B1 (ko)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KR20200002084A (ko)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KR200466669Y1 (ko) 자가발전장치
KR100933472B1 (ko) 교각에 설치되는 수력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