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978B1 -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 Google Patents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978B1
KR101570978B1 KR1020130139606A KR20130139606A KR101570978B1 KR 101570978 B1 KR101570978 B1 KR 101570978B1 KR 1020130139606 A KR1020130139606 A KR 1020130139606A KR 20130139606 A KR20130139606 A KR 20130139606A KR 101570978 B1 KR101570978 B1 KR 10157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cut
units
unit
c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8580A (en
Inventor
김상옥
김병오
김동식
강구연
김성언
Original Assignee
(주)유양디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양디앤유 filed Critical (주)유양디앤유
Priority to KR102013013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978B1/en
Priority to PCT/KR2014/004979 priority patent/WO2015072638A1/en
Publication of KR2015005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5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9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종판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 이 오목홈에서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 및 오목홈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펀지 유닛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스펀지 유닛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서, 작물의 재배 및 공급에 있어 효율성, 생산성, 편의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plate, which comprises a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face, a pair of first through-cuts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concave groove and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sponge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to be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each sponge unit having at least one sponge unit adjacent thereto and at least a portion And the sponge unit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the connection portion. Thus, efficiency, productivity, convenience, and the like are improved in the cultivation and supply of the crop.

Description

수경재배용 모종판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 RTI ID = 0.0 >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경재배용 모종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작물의 파종시에 사용하고 나서도 재배작물이 적당한 크기로 자란 후 재배작물과 함께 떼어 이식함으로써, 재배작물의 줄기 및 뿌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재배에 도움을 주게 됨과 더불어, 재배작물에 끼워진 채로 함께 출하하여 수요자에게 재배작물이 공급될 때까지 재배작물에 배양액 또는 수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수경재배용 모종판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for hydroponic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for hydroponic cultivation, more particularly, , And it also relates to a hydroponic cultivated seedlings which are shipped together with cultivated crops and can be supplied with culture liquid or moisture to the cultivated crops until the cultivated crops are supplied to the consumer.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모종이란 옮기어 심기 위해 가꾼 씨앗의 싹을 일컫는 말이다. 배추나 무 등과 같은 채소 또는 화초류, 즉 거의 대부분의 식물은 모종 재배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In general, seedlings are the buds of seeds that have been transferred to plant. Vegetables or plants such as cabbage, radish, and the like, that is, most of the plants, require seedling cultivation.

그 이유는 식물에 있어서 씨앗으로부터 싹이 트는 과정 중에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한 싹들은 성장해가는 과정에서 강한 저항력을 지니지 못하게 되어 병충해 등으로 인해 말라죽거나 성장하더라도 상품적 가치는 무의미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sprouts that do not absorb enough nutrients during the process of sprouting from seeds in plants do not have strong resistance in the process of growing, and even if they die or grow due to insect pests, the product value becomes meaningless.

한편,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는 대신에 각종 양분을 용해한 물(배양액) 속에서 재배작물을 배양하는 것으로서, 묘판에서 모종을 길러 적당한 크기로 성장하면 이를 수경설비의 재배판에 옮겨 심어서 배양액으로 기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hydroponic cultivation is a cultivation of cultivated crops in water (culture solution) in which various nutrients are dissolved instead of using soil. When the seedlings are grown in a suitable size, they are transferred to a cultivation plate of a hydroponic apparatus and cultured .

통상의 수경설비는 배양액이 통과하는 기판과 그 위에 설치하는 재배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배판에는 묘판에서 옮긴 모종을 심기 위한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Conventional hydroponic equipments are composed of a substrate through which the culture liquid passes and a reed plate installed thereon, and a large number of holes for planting the seedlings transferred from the reed plate are formed on the reed plate.

종래에는, 모종을 묘판에서 재배판의 구멍에 이식할 때, 묘판에서 길러진 모종의 줄기를 스펀지로 감싼다. 스펀지는 재배판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에 맞추어 미리 일정한 크기로 절단시킨 것으로, 그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를 벌려서 줄기를 감싸게 된다. 이러한 모종을 스펀지로 감싼 채 재배판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모종의 이식이 끝나게 된다.Conventionally, when a seedlings are transplanted from a grapevine to a hole in a grapevine, sprouts are wrapped around the seedlings grown in the grapevine. The sponge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reed plate, and the incision formed at the center is spread to cover the stem. These seedlings are wrapped in a sponge and inserted into the holes of the reed plate to end the seedling transplan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식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implantation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모종의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제거할 때 어린 줄기 및 뿌리에 상처를 주기 쉽고, 많은 충격이 가해질 수밖에 없어 이식 후 어린 식물의 성장이 매우 느리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죽는 경우도 발생한다. First, when removing the soil attached to the root of seedlings, the young stems and roots are easily scratched, and a lot of shocks are applied, so that the growth of young plants after the transplant is very slow, and in severe cases, they also die.

또한, 흙을 제거하고 스펀지를 준비해서 줄기를 감싸는 작업 등 많은 공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인건비가 높아지게 된다. 특히, 흙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스펀지로 줄기를 감싸는 작업을 할 때는 어린 식물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그만큼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In addition, labor costs are increased by removing the soil, preparing a sponge, and wrapping the stem. In particular, when removing soil or wrapping a stem with a sponge, it takes a lot of time to minimize the impact on young plants and pay close attention to avoid injuries.

특히 스펀지로 줄기를 감쌀 때나 이식할 때 줄기의 손상 방지를 위해 느슨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데, 스펀지의 모종 지지력이 약해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이식 초기에는 조그만 충격에도 모종이 심하게 유동하는 결과를 초래한다.Especially when wrapping the stem with a sponge or when grafting, the sponge is kept in a loose state to prevent damage to the stem. The sponge has weak bearing capacity and becomes unstable, resulting in a severe flow of seedlings even at a small impact at the initial stage of transplanting.

그리고 이식 후 각 모종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배양액의 수위조절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이에 따라 죽는 모종이 상당수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height of each seedling after transplanting is not constan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level of the culture liquid, and thus a large number of dead seedlings are generated.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배작물의 파종부터 이식, 재배 및 출하까지 재배작물과 함께 존재하여 재배작물의 생육에 도움이 됨과 더불어, 수요자에게 재배작물이 공급될 때까지 재배작물에 배양액 또는 수분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수경재배용 모종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ultivation of crops from the sowing to the cultivation and shipment of cultivated crop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종을 이식할 때 요구되는 공정 시간을 대폭 줄여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식물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모종을 견고히 지지하여 재배식물의 생육과 상품성이 향상되고, 배양액의 흡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수위조절이 용이한 수경재배용 모종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reduce the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transplanting seedlings, but also can reduce the cost such as labor costs, and firmly supports the seedlings while minimizing the impact on young plants, And the water absorption amount of the culture liquid is kept constant, so that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can be easily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은,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 상기 오목홈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 및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펀지 유닛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스펀지 유닛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edl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face, a pair of first through-cut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in the concave groove and cut to the other side from the one side face, A plurality of sponge units arranged radi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cut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each spong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adjacent thereto, And at least a part of the sponge unit is connected to the sponge unit via a connecting part which allows the sponge unit and the sponge uni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은,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 및 상기 제1관통절개부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펀지 유닛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스펀지 유닛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ling plate comprising a pair of first through-cut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a pair of first through-cuts spaced radially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through- A plurality of sponge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cut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are arranged, and each of the sponge units is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adjacent thereto And the sponge uni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은,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선이면서 교차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관통절개부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펀지 유닛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스펀지 유닛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sponge units including a pair of through-cuts, each of which is cur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which is at least partially curved and extends radially from the intersection,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ach of the sponge unit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adjacent to the sponge unit via a connection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sponge unit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the connection unit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재배작물의 파종부터 이식, 재배 및 출하까지 재배작물과 함께 존재하여 재배작물의 생육에 도움이 됨과 더불어, 수요자에게 재배작물이 공급될 때까지 재배작물에 배양액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ultivation crops are present from the sowing to the cultivation and shipment of cultivated crops, the cultivated crops can be grown, and the crops can be cultivated until the crops are supplied to the consum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product by providing a culture solu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종을 이식할 때 요구되는 공정 시간을 대폭 줄여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식물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모종을 견고히 지지하여 재배식물의 생육과 상품성이 향상되고, 배양액의 흡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수위조절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작물의 재배 및 공급에 있어 효율성, 생산성, 편의성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required for transplanting seedlings,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abor costs and the like, as well as firmly supporting the seedlings while minimizing the impact on young plants, Productivity and convenience in the cultivation and supply of crops are improved because the growth and the commerciality are improved and the amount of the absorption of the culture liquid is kept constant and the water level is easily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구성하는 스펀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펀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onge unit constitut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sponge unit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구성하는 스펀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펀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onge unit constitut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sponge unit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1)을 구성하는 스펀지 유닛(10)은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11), 이 오목홈(11)에서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12), 및 오목홈(1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14)를 포함한다. The sponge unit 10 constituting the seedling plat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ncave grooves 11 formed at the center of one side face,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14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groove 11 and formed to be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

스펀지 유닛(10)은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스펀지 유닛(10)의 재질과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양액의 흡수와 물 빠짐, 그리고 모종판의 구성이 가능하다면, 다른 임의의 재질과 형상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The sponge unit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the lik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sponge unit 10 are not limited to this, and any other material and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the sponge unit 10 is capable of absorbing and dripping the culture liquid and forming a seedling plate.

오목홈(11)은 단면의 직경 또는 너비가 스펀지 유닛(10)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줄어드는 대략 원뿔형, 각뿔형, 원뿔대형 또는 각뿔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러한 단면모양 또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반구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The concave groove 1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a pyramidal shape, a conical shape, or a pyramidal shape which is reduced in diameter or width of a cross section as it enters the sponge unit 10, It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이 오목홈(11)에는 파종시에 씨앗이 안착되게 되며, 오목홈(11)의 개구부를 통해 빛이 조사되어 줄기가 뻗어나가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The seeds are seated on the concave grooves 11 at the time of sowing and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openings of the concave grooves 11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em extends.

스펀지 유닛(10)은 이 스펀지 유닛(1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절개부(12) 및 제2관통절개부(14)를 포함한다. 스펀지 유닛(10)은 흡수성이 높아 그 밑면이 배양액과 접촉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양액이 공급되면서 재배작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게 한다. The sponge unit 10 includes a first penetration cutout 12 and a second penetration cutout 14 that pass through the sponge unit 10 from above to below. The sponge unit 10 is highly absorbent and when the bottom of the sponge unit 10 is in contact with the culture liquid, the culture liquid is supplie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hereby helping growth of the cultivated crop.

전술한 오목홈(11) 내에 씨앗이 보유지지되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배양액을 공급받아 씨앗이 발아하고 생장하게 되며, 더욱 자라나면 제1관통절개부(12)를 통해 재배작물의 뿌리가 아래로 뻗어나가 차후에는 재배판의 배양액에 직접 접촉할 수 있게 된다. The seeds germinate and grow by receiving the culture liqui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while the seeds are held in the concave grooves 11. When the seeds germinate and grow, the roots of the cultivated crops extend downward through the first penetration cut-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tact the culture liquid of the cultivation plate at a later time.

제2관통절개부(14)는 재배작물의 움직임을 제어 또는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관통절개부(14)의 방사상 안쪽에 있는 재배작물이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하면 이동방향에 있는 일측 제2관통절개부(14)의 절개면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반면에 타측 제2관통절개부(14)의 절개면들은 서로 멀어져 벌어지게 된다. 이때, 스펀지 유닛(10)에서 제2관통절개부(14)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에 있는 부분은 별다른 이동 또는 변형 없이 본래의 위치와 자세 및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The second through-cut section 14 controls or supports the movement of the cultivated crop. More specifically, when the crop inside the radially inner portion of the second penetrating section 14 is inclined or flows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cut surfaces of the one second penetrating cutter 14 in the moving direction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 incision surfaces of the other second through-cut section 1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ortion radially outward from the second through-cut portion 14 of the sponge unit 10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posture and shape without any movement or deformation.

이러한 스펀지 유닛(10)은 제1관통절개부(12)들이 재배작물의 뿌리를 고정 지지함과 더불어, 제2관통절개부(14)들이 스펀지 유닛(10)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 재배작물을 모종판 또는 재배판에서 유지한다. The sponge unit 1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irst through-cut portions 12 fix the roots of the cultivated crops and the second through-cuts 14 do not change the shape of the sponge unit 10, It is kept in a seedling or reed plat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1)은 전술한 스펀지 유닛(10)들이 대략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펀지 유닛(10)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10)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이 연결부(15)를 절단함으로써 스펀지 유닛(10)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edling plat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forementioned sponge units 10 ar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grid shape and each of the sponge units 1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10 adjacent thereto, The sponge unit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nnecting portion 15 for making a part of the sponge unit 10 integral, and by cutting the connecting portion 15, the sponge units 1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모종판(1)은 스펀지 기재를 스펀지 유닛(10)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고, 각 스펀지 유닛(10)의 관통절개부(12, 14)들을 절개한다. 이러한 스펀지에서 절단 또는 절개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The seedling plate 1 cuts the sponge base material to fit the size of the sponge unit 10 and cuts the penetration cutout portions 12 and 14 of each sponge unit 10. Techniques for cutting or cutting these spong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re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다만, 스펀지 유닛(10)들을 그 형상에 맞춰 절단할 때, 스펀지 유닛(10)들 사이에 있는 경계선 중간의 일부는 남겨두고 절단하여 스펀지 유닛(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5)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스펀지 유닛(10)은 일체의 모종판(1)으로 형상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들 연결부(15)는 파종 후 재배작물이 적당한 크기로 자라면 작업자에 의해 손으로 절단되어 스펀지 유닛(10)들이 각각 별개의 유닛으로 되게 하고, 이어서 재배작물에 끼워진 채로 함께 재배판에 이식되게 된다. However, when the sponge units 10 are cu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thereof, by forming the connecting portions 15 connecting the sponge units 10 by cutting off a part of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ponge units 10, A plurality of sponge units 10 must be maintained in shape by a single seedling plate 1. These connection parts 15 are cut by hand by the operator when the planting seedlings grow to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sponge units 10 become separate units and then they are inserted into the cultivating plates together with the crops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1)은 이식할 때, 각 스펀지 유닛(10)이 손쉽게 분리되고 모종과 함께 바로 재배판에 이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종으로부터 흙을 제거하는 작업이나 스펀지로 줄기를 감싸는 작업이 필요 없어 공정 시간이나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seedling plat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each sponge unit 1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implanted with the seedling immediately on the reed plate, It is not necessary to cover the stem with the work or the sponge, and the cost such as the processing time and the labor cost can be reduced.

또한, 파종시부터 재배작물을 보유지지하는 스펀지 유닛(10)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스펀지의 모종 지지력이 약해지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이 안정적으로 재배판에 이식되며 이식 후에도 모종을 견고히 지지하여 재배식물의 생육과 상품성이 향상된다. 또, 파종이 동일한 깊이의 오목홈(11) 내에서 이루어져 모종의 스펀지 유닛(10) 내 위치가 균일하게 될 수 있으므로, 배양액의 흡수량 및 수위가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Further, since the sponge unit 10 that holds the cultivated crop from the time of sowing is continuously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onge support force of the ordinary sponge from being weakened or supported in an unstable state, After planting, seedlings are firmly supported and the growth and commerciality of cultivated plants ar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owing is performed in the concave groove 11 having the same depth, the position in the sponge unit 10 can be made uniform, so that the absorption amount and the water level of the culture liquid can be controlled to be constant.

더구나, 각 스펀지 유닛(10)은 재배작물과 함께 즉, 재배작물의 뿌리 상부에 끼워진 채로 출하되어 수요자에게 재배작물이 공급될 때까지 재배작물에 배양액 또는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each sponge unit 10 can be shipped with the cultivation crop, that is, sandwiched above the root of the cultivation crop, and can be supplied with culture liquid or moisture to the cultivation crop until the crop is supplied to the consumer.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2)은,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12), 및 이들 제1관통절개부(12)의 교차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14)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10')이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펀지 유닛(10')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10')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이 연결부(15)를 절단함으로써 스펀지 유닛(10')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edling platter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first through-cuts (12)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tersecting each other, and a pair of first through-cuts A plurality of sponge units 10 'are arranged, each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14 radially spaced from the intersection and spaced apart from one side to the other, 10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10' adjacent thereto via a connecting portion 15 which at least part of the sponge unit 10 'is integrated with the sponge unit 10' And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2)은 각 스펀지 유닛(10')에서 오목홈이 생략된 점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의 구조와 작용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recessed grooves are omitted in the sponge unit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1 embodi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2)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모종판(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조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in describing the seedling platt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seedlings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종판(2)의 스펀지 유닛(10')은 파종시 제1관통절개부들(12)을 벌린 상태에서 씨앗을 주입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밑으로 다수의 깔때기 형상의 주입구가 형성된 주입판을 사용하면 수월하게 주입할 수 있다. The sponge unit 10 'of the seedling platt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jecting seeds with the first through-cuts 12 opened in the seeding state. For example, Can be easily injected by using an injection plate having an injection port formed therein.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종판(3)은,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선이면서 교차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관통절개부(13)를 포함한 다수의 스펀지 유닛(10")이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펀지 유닛(10")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10")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15)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이 연결부(15)를 절단함으로써 스펀지 유닛(10")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edling pl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edling (3)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through-cuts (13)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partially curved and extending radially from the intersection A plurality of sponge units 10 "are arranged, and each sponge unit 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10 " , And the sponge units 1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the connecting portion 15.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종판(3)은 각 스펀지 유닛(10")에서 오목홈이 생략되고, 제1관통절개부와 제2관통절개부가 단일한 곡선형 관통절개부(13)로 통합된 점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의 구조와 작용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The concave groove is omitted in each sponge unit 10 ", and the first through-hole cutout 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hole cutout portion are formed as a single curved through-cutout portion 13 Except for the integrated poin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종판(3)의 스펀지 유닛(10")은 대략 호형상의 날개를 가진 바람개비 모양의 관통절개부(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종판(3)에서는 파종시 관통절개부들(13)을 벌린 상태에서 씨앗을 주입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밑으로 다수의 깔때기 형상의 주입구가 형성된 주입판을 사용하면 각 스펀지 유닛(10")에 수월하게 씨앗을 주입할 수 있다. The sponge unit 10 "of the seedling plat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ne-like through-cutout portion 13 having a substantially arc-shaped vane. In the seedling plate 3, The seeds can be injected into the sponge unit 10 "with ease by using the inj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unnel-shaped injection port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3: 모종판 10, 10', 10": 스펀지 유닛
11: 오목홈 12: 제1관통절개부
13: 관통절개부 14: 제2관통절개부
15: 연결부
1, 2, 3: seedlings 10, 10 ', 10 ": sponge unit
11: concave groove 12: first through-
13: penetrating incision part 14: second penetrating incision part
15: Connection

Claims (9)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오목홈,
상기 오목홈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 및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
를 포함하는 스펀지 유닛.
A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one side surface,
A pair of first through-cut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in the concave groove and cut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concave groov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ut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 / RTI >
서로 교차하여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한 쌍의 제1관통절개부, 및
상기 제1관통절개부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일측면에서 상기 타측면까지 절단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절개부
를 포함하는 스펀지 유닛.
A pair of first through-cuts intersecting each other and formed to be cut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cuts spaced radially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through-cuts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cut to the other side,
≪ / RTI >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 유닛은 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지는 스펀지 유닛.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Wherein the sponge unit is made of a urethan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단면의 직경 또는 너비가 상기 스펀지 유닛의 내부로 들어갈수록 줄어드는 단면모양을 갖는 스펀지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 groove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r width of the cross-section is reduced as the sponge unit is inserted into the sponge unit.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펀지 유닛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스펀지 유닛과 적어도 일부분이 일체로 되게 하는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스펀지 유닛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된 모종판.
A sponge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a plurality of sponge units are arranged,
Wherein each of the sponge units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sponge unit adjacent thereto via a connecting portion for making at least a portion thereof integral,
And the sponge unit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cutting the connect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펀지 유닛이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모종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sponge units are arranged in a lattice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스펀지 기재를 상기 스펀지 유닛의 크기에 맞게 절단할 때, 상기 스펀지 유닛들 사이에 있는 경계선의 일부는 남겨두고 절단하여 형성되는 모종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the sponge base while leaving a part of a boundary line between the sponge units when the sponge base is cut to fit the size of the sponge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각각의 스펀지 유닛은 재배작물에 끼워진 채로 함께 이식되고, 출하되고, 수요자에게 공급되는 모종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the separated sponge units is implanted together with being sandwiched between cultivated crops, shipped, and supplied to a consumer.
KR1020130139606A 2013-11-18 2013-11-18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KR1015709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06A KR101570978B1 (en) 2013-11-18 2013-11-18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PCT/KR2014/004979 WO2015072638A1 (en) 2013-11-18 2014-06-05 Seeding bed for hydropon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606A KR101570978B1 (en) 2013-11-18 2013-11-18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580A KR20150058580A (en) 2015-05-29
KR101570978B1 true KR101570978B1 (en) 2015-11-24

Family

ID=5305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606A KR101570978B1 (en) 2013-11-18 2013-11-18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0978B1 (en)
WO (1) WO20150726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0178A (en) * 2015-05-29 2015-09-23 余启佳 Soilless flowering cabbage planting method
CN104920181A (en) * 2015-05-29 2015-09-23 余启佳 Soilless cultivation method of celery
CN104920179A (en) * 2015-05-29 2015-09-23 余启佳 Soilless cultivation method of Chinese chives
CN104920194A (en) * 2015-05-29 2015-09-23 余启佳 Soilless spinach planting method
CN104957011A (en) * 2015-05-29 2015-10-07 余启佳 Leaf lettuce soilless plantation method
CN104920196A (en) * 2015-05-29 2015-09-23 余启佳 Soilless cultivation method of cabbages
CN105830905A (en) * 2016-03-25 2016-08-10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Plant hydroponic culture frame and plant growth environment protection system
KR102205570B1 (en) * 2018-09-12 2021-01-20 김홍기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sheet
KR102014539B1 (en) * 2018-12-07 2019-08-26 농업회사법인 바이오르 주식회사 Culture medium plate for culturing plants
NL2023929B1 (en) * 2019-10-01 2021-04-13 Foamplant B V Foam substrate for growing plants wherein the foam substrate is configured as a plu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uch pl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50B1 (en) 2012-01-31 2012-12-18 김현철 Sponge for seed germination and cultivation
KR101219201B1 (en) 2012-04-09 2013-01-09 김현철 Method for water culturing of ice pla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920B2 (en) * 1988-11-15 1997-12-17 株式会社スズテック Cleaning equipment for used foamed synthetic resin plates i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JPH0923769A (en) * 1995-07-11 1997-01-28 Mikado Ikushiyu Nojo:Kk Plant cultivation tool
KR101245232B1 (en) * 2012-02-03 2013-03-19 김현철 Pipe-type equipment for cultivating pla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50B1 (en) 2012-01-31 2012-12-18 김현철 Sponge for seed germination and cultivation
KR101219201B1 (en) 2012-04-09 2013-01-09 김현철 Method for water culturing of ice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638A1 (en) 2015-05-21
KR20150058580A (en)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978B1 (en) Seedling plate for water culture
KR101210850B1 (en) Sponge for seed germination and cultivation
JP2015073465A (en) Hydroponic device and hydroponic method
KR20170118108A (en) How to Produce Seedling and Seedling Sets and Seedlings for Grafting
JP6318646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seed planting equipment and nursery equipment
JP6035653B2 (en) Vegetable growing equipment
JPH0956282A (en) Water culture of plant with its cutting and device for water culture of plant with cutting and support of cutting of plant on water culture and cutting of plant on water culture
KR102205570B1 (en) Root plant hydroponic cultivation sheet
KR101360222B1 (en) The connected pot for hydroponics and the method of raising seedlings using the same
KR102257724B1 (en) Cultivation port
JP2008131873A (en) Method of cultivating baby leaf vegetables, and cultivation tray therefor
JPH02273122A (en) Culture of plant and device therefor
JP4507444B2 (en) Plant hydroponics equipment
JP3009115U (en) Hydroponics equipment
JPH0398518A (en) Nutritive solution culture of tree and device therefor
JP2005198563A (en) Water culture container for leaf vegetable and water culture method for leaf vegetable using the same
KR101341841B1 (en) Seedling pots for soiless culture
JP6704024B2 (en) 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JP2824831B2 (en) Leaf vegetable hydroponics method and leaf vegetable transport unit
KR100292360B1 (en) Medium cell for gardening
JP2005095035A (en) Cultivation supporter and water culture method
JPH0444059Y2 (en)
JPH0937664A (en) Seedling holder for hydroponic use
JP2016154467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JP2001016984A (en) Cultivation of fruit vege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