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108B1 -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 Google Patents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108B1
KR101570108B1 KR1020150011507A KR20150011507A KR101570108B1 KR 101570108 B1 KR101570108 B1 KR 101570108B1 KR 1020150011507 A KR1020150011507 A KR 1020150011507A KR 20150011507 A KR20150011507 A KR 20150011507A KR 101570108 B1 KR101570108 B1 KR 10157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extension frame
main body
frame
main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오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송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39193&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701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오 filed Critical 송재오
Priority to KR102015001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설 전 차량과 동급 수준의 강도를 보장하고 엔진 등 부품 및 무게중심과 관련된 조건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충족하며, 조립성 및 생산성을 보장하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는 세로로 이격 배열된 두 메인바디; 두 메인바디를 연결하는 가로 배열 링크바디; 메인바디의 전방에 구비된 운전석 캡용 제1마운팅부; 메인바디의 중간에 구비된 엔진용 제2마운팅부; 메인바디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용 제3마운팅부; 및 제3마운팅부에 배열되고 두 메인바디 각각과 중첩부를 구성하도록 끼움 결합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EXTENSION FRAME ASSEMBLY FOR CARGO BOX AND TRU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설 전 차량과 동급 수준의 강도를 보장하고 엔진 등 부품 및 무게중심과 관련된 조건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충족하며, 조립성 및 생산성을 보장하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의 적재함을 늘려 적재용량을 증설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다.
먼저, 특허공개 제10-1993-0005827호(공개일자 1993년04월20일) [화물차량의 용적증대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적재화물의 요구조건에 따라 적재함의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물차량의 적재적량 범위 내에서 적재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보조적재함을 움직여 용적 증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 특허공개 제10-2006-0034123호(공개일자 2006년04월21일) [화물 차량의 적재함 확장 구조]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이루어진 화물을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차량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를 개폐하여 트럭 적재함의 적재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차량의 적재함 확장 구조를 통하여 트럭 적재함의 사이드 게이트를 개방 조작하여 적재함의 폭을 증대시킬 수 있어 트럭 적재함보다 넓은 폭을 갖는 화물을 적재하는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11-0106052호(공개일자 2011년09월28일) [이중 확장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이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탑차의 뒷부분에 탑재된 적재함의 내부에 적재함의 수평방향과 하부 방향이나 상부 방향으로 동시에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이중 확장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행 중에는 확장장치들을 접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고 주차상태에서 영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재함의 내부공간을 수평방향과 하부방향 또는 수평방향과 상부방향으로 동시에 넓혀서 탑의 내부 바닥면적과 공간을 넓게 하여 스크린 사격장 등의 게임장으로 활용하거나 야외 노래방으로 활용하거나 실시간 영상합성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음식물 판매차량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확장장치가 구비된 탑차의 적재함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2-0010419호(공개일자 2012년02월03일) [다목적 운반차량의 적재함 확장구조]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적재함의 수직방향 용적률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목적 운반차량의 적재함 확장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펜스와 연결펜스를 적재함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다목적 운반차량의 적재함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고도 적재함의 수직방향 용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부피가 큰 적재화물의 운송은 물론 보다 많은 양의 화물적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송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모두 프레임 자체의 증대 방안이 아니라 단순히 적재함 자체를 늘이기 위한 기술들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어서, 내구성 및 안전성과 관련하여 신뢰도가 낮고, 그만큼 공식 인증을 받기 어려우며, 또 양산성 및 범용성이 낮은 기술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증설 전 차량과 동급 수준의 강도를 보장하고 엔진 등 부품 및 무게중심과 관련된 조건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충족하며, 조립성 및 생산성을 보장하도록 기성 프레임의 메인바디의 적재함용 마운팅부를 절단하고 해당 부위에 연장프레임을 부착한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두 메인바디에 구비된 연장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링크를 더 도입하고, 파이프 타입 연장프레임에는 보강체를 더 도입하여 내구력 강화를 도모한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메인바디의 후단에 단부 연장프레임을 더 도입하여 증설용량 확대를 도모하며, 나아가 연장프레임에 주의환기용 발광부를 더 도입하여 주행 안전성까지 강화한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는
세로로 이격 배열된 두 메인바디;
두 메인바디를 연결하는 가로 배열 링크바디;
메인바디의 전방에 구비된 운전석 캡용 제1마운팅부;
메인바디의 중간에 구비된 엔진용 제2마운팅부;
메인바디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용 제3마운팅부; 및
제3마운팅부에 배열되고 두 메인바디 각각과 중첩부를 구성하도록 끼움 결합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연장부의 두 연장프레임은 보강링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장프레임은 파이프 타입으로 내주면에 보강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는 두 메인바디 각각의 후단에 결합된 단부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연장프레임 또는 단부연장프레임의 하면에는 주간 또는 야간 주의환기용 발광부가 더 구비되며,
이 발광부는 복수의 LED와, 각 LED에 구비되고 원추형 수용홈 및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용 외곽 미세요철부를 갖는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는 상기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는 기성 프레임의 메인바디의 적재함용 마운팅부를 절단하고 해당 부위에 연장프레임을 부착하며, 두 메인바디에 구비된 연장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링크를 더 도입하고, 파이프 타입 연장프레임에는 보강체를 더 도입하여 내구력 강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메인바디의 후단에 단부 연장프레임을 더 도입하여 증설용량 확대를 도모하며, 나아가 연장프레임에 주의환기용 발광부를 더 도입하여 주행 안전성까지 강화하며, 결국 증설 전 차량과 동급 수준의 강도를 보장하고 엔진 등 부품 및 무게중심과 관련된 조건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충족하며, 조립성 및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발광부 관련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이용한 화물차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의 사시도, 도 2 [A]의 평면도, 도 2 [B]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A)는 이격된 두 세로 메인바디(10), 두 메인바디 연결용 가로 링크바디(20), 마운팅부, 연장프레임(31)을 포함하는 연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격된 두 세로 배열 메인바디(10)는 특히 복수의 가로 배열 링크바디(20)에 의하여 연결되며, 다양한 돌출부나 브라켓 등의 구조물을 통하여 마운팅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 제1마운팅부(M1)는 화물차(C)의 운전석용 캡(C2)을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10)의 전방에 이격배열된 돌출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 제2마운팅부(M2)는 메인바디(10) 중간에 구비되며, 특히 전방에 치우친 위치에서 두 제1마운팅부(M1)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나아가 제4마운팅부(M4)는 변속기를 위한 것으로 제2마운팅부 후방 위치의 메인바디(10)에 배열되어 있다.
화물차(C)의 적재함(C1)용 제3마운팅부(M3)는 메인바디(10)의 후방에 배열되며, 화물차 특성상 메인바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플리(A)의 연장부(30)는 연장프레임(31)을 포함하고,
이 연장프레임(31)은 기성 프레임의 메인바디의 적재함용 제3마운팅부(M3)를 절단하고 해당 부위에 연장프레임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도입되며,
이를 통하여 증설 전 차량과 동급 수준의 강도를 보장하고 엔진 등 부품 및 무게중심과 관련된 조건을 유지하여 안전성을 충족하며, 우수한 조립성 및 생산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0)의 연장프레임(31)은 두 메인바디(10) 각각과 중첩부(31A)를 형성하는 형태로 끼움 결합되고, 또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확고히 고정된다.
나아가 두 연장프레임(31)은 세로로 배열된 보강링크(3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또 연장프레임(31)은 파이프 타입으로 내주면에 보강체(35)가 결합되어 있어 강도 향상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2 [B]의 'A' 부분에 해당하는 연장프레임(31) 부분을 확대한 도 3 [A]와, 도 3 [A]의 "B-B"선 단면도 [B]와 같이, 상기 보강체(35)는 파이프 타입 연장프레임 내주면 양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 두 밴드 타입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도 3 및 "A-A"선 단면도인 도 3 [B]와 같이, 중첩부(31A)를 구성하도록 메인바디(10)에 끼움 결합, 특히 메인바디가 수용되는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보강체(35)의 양 단부는 메인바디(10)와 접촉하여 일종의 스토퍼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중첩부(31A)에는 메인바디와 연장프레임을 고정하는 체결수단(J)으로 볼트(Jb)가 결합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접면 용접(Jw)을 통하여 고정력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프레임(31)을 통하여 300~700mm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400~800mm 정도의 구간 연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장 길이는 프레임 어셈블리(A)의 충분한 내구성 확보와 화물 적재 상태에서 다양한 운전상황에서도 차량 자체의 설계에 준하는 안전성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장 치수 제한사유는 단부연장프레임(37)을 도입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나아가 도 4와, 하부 우측에 연속 도시한 측면도 및 측단면도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0)는 두 메인바디(10) 각각의 후단에 결합된 단부연장프레임(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부연장프레임(37)은 외부에 노출되어 전단부가 메인바디(10)의 후단과 접하고 메인바디와 동일한 단면적 및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단부연장프레임은 내삽된 보강파이프(37A)의 전방이 파이프 타입 메인바디(10)에 삽입되어 중첩부(37b)를 이루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역시 체결수단으로 볼트(Jb)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보강파이프(37A)의 전단에는 반원형 정지홈(37a)을 가져 이 정지홈(37a)이 최후단 링크바디(20) 또는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홀과 만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연장프레임을 통하여 추가로 50~400mm, 바람직하기로는 50~300mm의 구간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A)를 이용한 화물차(C)(도 6 [B])는 기존 화물차(c)(도 6 [A])와 비교할 경우 외형상으로도 적재함(C1)의 증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택배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1톤 트럭에 적용하는 경우 극초장축 탑차를 제공하여 경량화물의 다량 운송이 가능함은 물론 상용화를 위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A)는 연장부(30)의 중간 연장프레임(31)과 후방 단부연장프레임(37)로 이원화하고, 중앙 메인 연장프레임(31)에서 전체 연장길이 중 60~90%를 확보하고, 보조 단부연장프레임(37)에서 전체 연장길이 중 10~40%를 확보함으로써 프레임 자체에 대한 강도 보장은 물론 완성된 화물차(C)의 다양한 운전 상황에서도 자체 안정성이 기존 차량급에 준하는 정도로 확보하여
본 프레임 어셈블리(A)에 기초한 극초장축 탑차로의 개조에도 차체 강성과 내구성 확보와 더불어 조향성능, 제동능력, 연료소비비율 등 차량 안전성 등 차량 성능까지 담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특정 기준, 예를 들어 '자동차관리법' 및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을 충족하여 정식 승인을 확보할 수 있어, 불법 또는 편법 개조 탑차와 같이 상시 단속 및 적발 대상이 되는 곤란함 및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A)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C)는 추가적으로 연장프레임(31) 또는 단부연장프레임(37), 또는 이들 모두의 하면에는 주간 또는 야간 주의환기용 발광부(40)가 더 구비되어 있어 주행 안전성 확보와 함께, 주야간 발광부의 불빛으로 인하여 주변 차량 및 보행자의 주의 환기 및 운전자의 주차 편리성(특히 단부연장프레임(37)에 구비된 발광부로 인하여 적재함(C1) 끝 및 높이까지 확인이 가능함)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주간 또는 야간 주의환기용 발광부(40)는 복수의 LED(41)와, 각 LED에 구비되고 원추형 수용홈(43A) 및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용 외곽 미세요철부를 갖는 집광렌즈(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LED(41)는 통상의 전구와 같이 소켓 타입으로 결합되어 통전(화물차 배터리에서 공급 가능)되거나, PCB에 실장된 타입을 활용할 수 있다.
LED(41) 마다 구비되는 집광렌즈(43)는 빛을 모으면서도 적절히 확산하도록 돔타입 구조를 갖고, 대략 원추형 수용홈(43A)을 가져 LED(41)와 렌즈가 이격되어 방열성을 보장하면서도 적절한 휘도 특성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집광렌즈(43)는 PCB 또는 기타 고정판 등 고정패널(49)의 상응하는 요홈에 삽입되는 하부 둘레의 4 정위치고정발(47)을 갖고, 또 고정패널에 집광렌즈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멍에 삽입되는 돌기형 고정부재(45)를 갖는다.
나아가 돔타입 집광렌즈(43)의 특성상 발생되어 휘도 특성 및 광확산 특성을 저해하는 옐로우링(yellow ring)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광렌즈는 외곽 미세요철부(43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는 추가적으로 집광렌즈(43) 저면부에 형성된 추가 미세요철부(43b)를 통하여 강화될 수 있으며,
그 외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 강화 및 광확산 특성 조정을 위하여 수용홈(43A)의 원추형 내벽에도 미세요철부(43c)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메인바디, 링크바디, 연장부의 소재 및 결합 공법 등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화물차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화물차 C1: 적재함
C2: 캡 A: 프레임어셈블리
10: 메인바디 20: 링크바디
M1,M2,M3,M4: 마운팅부 30: 연장부
31: 연장프레임 33: 보강링크
35: 보강체 37: 단부연장프레임
40: 발광부 41: LED

Claims (4)

  1. 세로로 이격 배열된 두 메인바디;
    두 메인바디를 연결하는 가로 배열 링크바디;
    메인바디의 전방에 구비된 운전석 캡용 제1마운팅부;
    메인바디의 중간에 구비된 엔진용 제2마운팅부;
    메인바디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용 제3마운팅부; 및
    제3마운팅부에 배열되고 두 메인바디 각각과 중첩부를 구성하도록 끼움 결합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부의 두 연장프레임은 보강링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장프레임은 파이프 타입으로 내주면에 보강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두 메인바디 각각의 후단에 결합된 단부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연장프레임 또는 단부연장프레임의 하면에는 주간 또는 야간 주의환기용 발광부가 더 구비되며,
    이 발광부는 복수의 LED와, 각 LED에 구비되고 원추형 수용홈 및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용 외곽 미세요철부를 갖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3. 세로로 이격 배열된 두 메인바디;
    두 메인바디를 연결하는 가로 배열 링크바디;
    메인바디의 전방에 구비된 운전석 캡용 제1마운팅부;
    메인바디의 중간에 구비된 엔진용 제2마운팅부;
    메인바디의 후방에 구비된 적재함용 제3마운팅부; 및
    제3마운팅부에 배열되고 두 메인바디 각각과 중첩부를 구성하도록 끼움 결합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의 두 연장프레임은 보강링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장프레임은 파이프 타입으로 내주면에 보강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상기 연장부는 두 메인바디 각각의 후단에 결합된 단부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연장프레임 또는 단부연장프레임의 하면에는 주간 또는 야간 주의환기용 발광부가 더 구비되며,
    이 발광부는 복수의 LED와, 각 LED에 구비되고 원추형 수용홈 및 옐로우링(yellow ring) 방지용 외곽 미세요철부를 갖는 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
KR1020150011507A 2015-01-23 2015-01-23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KR10157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7A KR101570108B1 (ko) 2015-01-23 2015-01-23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507A KR101570108B1 (ko) 2015-01-23 2015-01-23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108B1 true KR101570108B1 (ko) 2015-11-18

Family

ID=5483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507A KR101570108B1 (ko) 2015-01-23 2015-01-23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1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4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첼린지모터스 차량의 적재함 연장 방법 및 연장된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
KR20180063737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첼린지모터스 적재함 연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어셈블리
KR20180078137A (ko) * 2016-12-29 2018-07-09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시공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CN108891342A (zh) * 2018-07-19 2018-11-2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可伸长式水泥杆运输车
KR20200087584A (ko) 2019-01-11 2020-07-21 조용균 화물차 적재함의 적재용량 증설을 위한 적재함 연장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609A (ja) * 2004-10-08 2006-04-20 Hino Motors Ltd シャシフレーム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609A (ja) * 2004-10-08 2006-04-20 Hino Motors Ltd シャシフレーム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4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첼린지모터스 차량의 적재함 연장 방법 및 연장된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
KR20180063737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첼린지모터스 적재함 연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레임 어셈블리
KR20180078137A (ko) * 2016-12-29 2018-07-09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시공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KR102009995B1 (ko) * 2016-12-29 2019-08-12 세화자동차주식회사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시공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
CN108891342A (zh) * 2018-07-19 2018-11-2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可伸长式水泥杆运输车
KR20200087584A (ko) 2019-01-11 2020-07-21 조용균 화물차 적재함의 적재용량 증설을 위한 적재함 연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108B1 (ko)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US8328272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ortion
CN205010328U (zh) 加强件、组合车辆车身结构以及皮卡车铰接立柱加强件
CN101734287B (zh) 车身前部结构
CN106864602A (zh) 前车体结构
WO2012073753A1 (ja) 車体後部構造
US20130118824A1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lower portion
CN103895720B (zh) 多用途车辆
CN103717481A (zh) 车体侧部构造
JP2008279956A (ja) 車両用デッキ構造
US20090315363A1 (en) Floor Top Crossmember
CN108928395A (zh) 车身前部构造
CN101204969B (zh) 车辆的主体结构
KR101675913B1 (ko) 적재함 용량 증설용 프레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물차
CN101321656B (zh) 踏板构造
KR101675920B1 (ko) 냉실을 구비한 분할 적재함을 갖는 초장축 화물차
CN102963435A (zh) 一种乘员舱前立柱加强结构
US7080875B2 (en) Vehicle floor capable of distributing impact load at collision
CN103223846A (zh) 一种动力电池***布置结构
JP2012091640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US1004663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EP2813390B1 (en) Armrest
CN104015809B (zh) 车身后部构造
US11155149B2 (en) Battery and fuel tank arrangement structure of hybrid vehicle
KR20200120164A (ko) 차량의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4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24

Effective date: 2016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