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777B1 -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 Google Patents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777B1
KR101569777B1 KR1020150026083A KR20150026083A KR101569777B1 KR 101569777 B1 KR101569777 B1 KR 101569777B1 KR 1020150026083 A KR1020150026083 A KR 1020150026083A KR 20150026083 A KR20150026083 A KR 20150026083A KR 101569777 B1 KR101569777 B1 KR 10156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pring plate
contact
side fixing
contac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범상
이정훈
강희용
이성기
김쾌만
전은찬
이은옥
Original Assignee
(주)코스텍
주식회사 크린퓨어
김쾌만
이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텍, 주식회사 크린퓨어, 김쾌만, 이은옥 filed Critical (주)코스텍
Priority to KR102015002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 판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어 저접촉 저항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기적 접촉 저항 및 인덕턴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발열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판부에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인해 고전류 통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Multi-contact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 and this piece, plug, socket}
본 발명은 스프링 판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어 저접촉 저항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기적 접촉 저항 및 인덕턴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발열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판부에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인해 고전류 통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접점 컨넥터는 계전기, 대전류 시험기, 철도, 고압차단기, 비상발전기, 모터테스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고전압 커넥터, 측정용 테스터 프루브 및 액세서리, 자동화 라인용 로봇, 조립 테스트 라인, 태양광용 정션박스 및 커넥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고온, 고압, 여러차례의 연결과 분해와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높은 전류 및 전압이 장비의 성능에 부합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접점 컨넥터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전기 접촉을 구성하는 개개의 웹 부재가 캐리어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중심 평면에 대해 비대칭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필수로 한 접촉부재 및 플러그 접속에서의 이러한 접촉부재의 사용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335398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335398의 경우, 웹 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웹 부재의 양측 모두에 자체탄성력이 발생되어 저접촉 저항이 불가능함은 물론 웹 부재가 좌우대칭된 상태로 2개로 구성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33539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프링 판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어 저접촉 저항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기적 접촉 저항 및 인덕턴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발열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판부에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인해 고전류 통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판부와, 상기 일측 판부와 평행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판부와, 일단부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 판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의 하단부가 상기 타측 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일측 판부 및 상기 타측 판부에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링 판부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컨넥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판부의 중간부에는 가로방향의 슬릿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측부의 상부에 일측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부의 상부에 타측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접촉바의 일측부에 상기 일측 걸림턱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일측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바의 타측부에 상기 타측 걸림턱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타측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컨넥터.
더불어, 상기 스프링 판부의 경사각도는 20°~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은 상기 일측 판부의 전측과 상기 타측 판부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판부와, 상기 일측 판부의 후측과 상기 타측 판부 후측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편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 판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 모두에 동일한 자체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어 저접촉 저항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기적 접촉 저항 및 인덕턴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발열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판부에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인해 고전류 통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촉바가 분리된 지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 내지 8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접촉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접촉바의 일측고정부를 개략적으로 측면도이고,
도 10은 접촉바의 타측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지지판에 접촉바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지지판에 접촉바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된 전기 접촉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판(10)과 접촉바(2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접촉바가 분리된 지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먼저, 상기 지지판(10)은 프레스 가공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가공형성된 상기 지지판(1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판부(110), 타측 판부(120) 및 스프링 판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판부(110)는 길이방향, 다시말해 상기 일측 판부(110)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 판부(110)의 후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된다.
상기 타측 판부(120)는 상기 일측 판부(110)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일측 판부(110)처럼 길이방향으로 전후연장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판부(130)가 상기 일측 판부(110)와 상기 타측 판부(120)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도록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단부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 판부(110)에 일체연결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단부의 하단부는 상기 타측 판부(120)에 일체로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판부(110)와 상기 타측 판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판부(1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하단부에서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상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판부(110)의 후측 상부 및 상기 타측 판부(12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판부(130)에 상기 접촉바(20)를 조립공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조립설치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상하경사각도(도 4의 α)는 20°~ 40°인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상하경사각도(α)가 28°인 경우 상기 스프링 판부(130)에 상기 접촉바(20)를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조립공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히,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중간부에는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에서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가로방향으로 좌우연장되는 슬릿(131)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31)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의 탄성력이 상기 스프링 판부(130) 타측방향으로 전달 및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의 탄성력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부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핑 판부(1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일측 걸림턱(132) 및 타측 걸림턱(13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바(20)는 상기 스프링 판부(13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접촉바(20)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의 고전류 통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20)는 동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8은 접촉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접촉바의 일측고정부를 개략적으로 측면도이고, 도 10은 접촉바의 타측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접촉바(20)의 일측부와 상기 접촉바(20)의 타측부에는 일측고정부(210)와 타측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접촉바(20)의 일측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1일측고정부재(211)와;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211)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접촉바(20)의 일측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2일측고정부재(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일측고정부재(211, 212)의 전측은 상기 접촉바(20)의 일측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211)의 후측은 상기 제 2일측고정부재(212)의 후측 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고정부재(212)의 후측은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211)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220)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접촉바(20)의 타측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1타측고정부재(221)와;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221)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접촉바(20)의 타측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2타측고정부재(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타측고정부재(221, 222)의 전측은 상기 접촉바(20)의 타측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221)의 후측은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222)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222)의 후측은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221)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될 수 있다.
도 11은 지지판에 접촉바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지지판에 접촉바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바(20)의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접촉바(20)의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촉바(20)의 일측고정부(210)의 제 1일측고정부재(211)와 제 2일측고정부재(212) 사이에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단부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접촉바(20)의 타측고정부(220)의 제 1타측고정부재(221)와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222) 사이에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바(20)가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좌우이동하여 상기 스프링 판부(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사이에 상기 일측 걸림턱(132)과 상기 타측 걸림턱(133)이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고정부(210)는 상기 일측 걸림턱(132)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타측고정부(220)는 상기 타측 걸림턱(133)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10)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상기 지지판(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판부(140)와 후측 판부(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판부(140)는 상기 일측 판부(110)의 전측과 상기 타측 판부(120)의 전측 사이에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판부(150)는 상기 일측 판부(110)의 후측과 상기 타측 판부(120)의 후측 사이에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인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된 전기 접촉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 접촉편(30)은 상기 다접점 컨넥터(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기접촉편(30)의 상부에는 상기 다접점 컨넥터(1)가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삽입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삽입홈(310)의 타측 상부는 각각 상기 삽입홈(310) 내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접점 컨넥터(1)의 일측 판부(110)와 타측 판부(120)가 상기 삽입홈(310)의 일측과 상기 삽입홈(310)의 타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음으로, 상기 전기접촉편(30)의 상기 삽입홈(310)내에 상기 다접점 컨넥터(1)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인 플러그와 본 발명인 소켓 또한 상기 다접점 컨넥터(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주형의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 상기 다접점 컨넥터(1)가 결합될 수 있고, 원주형의 상기 소켓의 내측에 상기 다접점 컨넥터(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촉편(30),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은 일본특허공보 공개번호 특개2001-250625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 모두에 동일한 자체탄성력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일측과 상기 스프링 판부(130)의 타측에 따로따로 독립적인 자체탄성력이 발생될 수 있어 저접촉 저항이 가능함과 더불어 전기적 접촉 저항 및 인덕턴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발열발생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신뢰성이 우수해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스프링 판부(130)에 고정되는 동재질의 접촉바(20)로 인해 고전류 통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지지판, 20; 접촉바.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판부와, 상기 일측 판부와 평행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판부와, 일단부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 판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의 하단부가 상기 타측 판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일측 판부 및 상기 타측 판부에 20°~ 40°의 경사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고 중간부에 가로방향의 슬릿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일측부의 상부와 타측부의 상부에 각각 일측 걸림턱과 타측 걸림턱이 형성되는 스프링 판부와, 상기 일측 판부의 전측과 상기 타측 판부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판부와, 상기 일측 판부의 후측과 상기 타측 판부 후측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판부로 이루어지는 지지판과;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일측부에 상기 일측 걸림턱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일측고정부가 형성되며, 타측부에 상기 타측 걸림턱의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프링 판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타측고정부가 형성되는 동재질의 접촉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고정부는 상기 접촉바의 일측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1일측고정부재와;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접촉바의 일측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2일측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의 전측이 상기 접촉바의 일측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의 후측이 상기 제 2일측고정부재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고,
    상기 제 2일측고정부재의 전측이 상기 접촉바의 일측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일측고정부재의 후측이 상기 제 1일측고정부재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며,
    상기 타측고정부는 상기 접촉바의 타측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1타측고정부재와;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와 상하대칭된 상태로 상기 접촉바의 타측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2타측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의 전측이 상기 접촉바의 타측부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의 후측이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고,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의 전측이 상기 접촉바의 타측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타측고정부재의 후측이 상기 제 1타측고정부재의 후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컨넥터.
  2. 제1항의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촉편.
  3. 제1항의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1항의 다접점 컨넥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26083A 2015-02-24 2015-02-24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KR10156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83A KR101569777B1 (ko) 2015-02-24 2015-02-24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083A KR101569777B1 (ko) 2015-02-24 2015-02-24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777B1 true KR101569777B1 (ko) 2015-11-18

Family

ID=5483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083A KR101569777B1 (ko) 2015-02-24 2015-02-24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7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4550A (zh) * 2016-10-26 2019-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检查装置及检查方法
CN112736530A (zh) * 2020-12-16 2021-04-30 安徽鑫龙低压电器有限公司 一种多线电接触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25A (ja) 2000-01-20 2001-09-14 Multi-Holding Ag 電気接続要素
JP2013187170A (ja) 2012-03-12 2013-09-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端子用接触ば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25A (ja) 2000-01-20 2001-09-14 Multi-Holding Ag 電気接続要素
JP2013187170A (ja) 2012-03-12 2013-09-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端子用接触ば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4550A (zh) * 2016-10-26 2019-06-04 三菱电机株式会社 检查装置及检查方法
CN112736530A (zh) * 2020-12-16 2021-04-30 安徽鑫龙低压电器有限公司 一种多线电接触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00890A (ja) フローティングソケットコネクタ
US8449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109933B2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y of a plug-in connection terminal
CN103579806A (zh) 电端子元件
US9716331B2 (en) Female contact and power connector
CN111193124B (zh) 电连接器
CN206640005U (zh) 电连接器
KR101569777B1 (ko) 다접점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접촉편, 플러그, 소켓
JP2015133204A (ja) コネクタ
JP2019505079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固定用湾曲部品
JP5081064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MX2008009904A (es) Centro de medidores, y conjunto de clavija y conjunto de quijada para el mismo.
US9011185B2 (en) Electrical plug-in contact
JP6882577B2 (ja) 磁気ラッチングリレー
JP2005222924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11777267B2 (en) Connector assembly
JP7115358B2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120134039A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N111384614B (zh) 端子组件和电源连接器
JP2019192347A (ja) コネクタ
KR102651015B1 (ko) 전기 단자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KR200463649Y1 (ko) 벌브홀더조립체
JP7211843B2 (ja) バスバの固定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20230086440A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also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