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18B1 -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018B1
KR101567018B1 KR1020100011919A KR20100011919A KR101567018B1 KR 101567018 B1 KR101567018 B1 KR 101567018B1 KR 1020100011919 A KR1020100011919 A KR 1020100011919A KR 20100011919 A KR20100011919 A KR 20100011919A KR 101567018 B1 KR101567018 B1 KR 10156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rving base
terminal
information
feedbac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478A (ko
Inventor
노원종
이융
권태수
이수환
신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18B1/ko
Priority to US12/939,709 priority patent/US8717986B2/en
Publication of KR2011009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Abstract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각 기지국의 계산 능력을 고려하여 기지국의 MIMO-DSM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단말기는 기지국간의 협력 레벨에 따라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MIMO-DSM 알고리즘 및 User Scheduling 을 통해 복수의 단말기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들을 선택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MIMO/DSM OPERATING MODE BASED ON NETWORK BACKHAUL LINK ENVIRONMENT AND COOPERATION LEVEL BETWEEN BASE STATIONS}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단말기로 전송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간섭 제어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현재 전송되는 신호의 수배에 이르는 용량의 신호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선 통신망은 복수의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원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이외에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신호는 무선 통신망의 전송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 중의 하나로, 이를 줄이거나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협력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에 인접한 서빙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서빙 기지국은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협력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는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 및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인지하여 최적의 MIMO-DSM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각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을 고려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와 DSM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개념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각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Backhaul link)에 대한 정보 또는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을 고려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빙 기지국(110)의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이 위치한다. 기지국(110, 120, 130, 140, 150, 160, 17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122, 132, 142, 152, 162, 172)를 백홀 링크(backhaul link)라고 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에 접속된 단말기들(111, 112, 113)은 서빙 기지국(110)뿐만 아니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에 접속된 단말기(111, 112, 113)가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부터 수신한 간섭 신호는 단말기(111, 112, 113)와 서빙 기지국(110)간의 통신 성능을 감소시킨다.
서빙 기지국(110)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은 여러 가지 간섭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기(111, 112, 113)가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부터 수신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빙 기지국(110)은 서빙 기지국(110)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110)과 협력 기지국의 단말기(121, 131, 141, 151, 161, 171)간의 제1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110)은 협력 기지국의 단말기(121, 131, 141, 151, 161, 171)와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간의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은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제2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협력 기지국의 단말기(121, 131, 141, 151, 161, 171)에 대한 서빙 기지국(110)의 간섭 신호의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은 서빙 기지국(110)의 단말기(111, 112, 113)에 대한 간섭 신호의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들은 이웃한 기지국에 속한 단말기들(111, 112, 113, 121, 131. 141, 151, 161)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에 속한 단말기들(121, 131. 141, 151, 161)은 서빙 기지국(110)과 단말기들(121, 131. 141, 151, 161)간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은 서빙 기지국(110)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122, 132, 142, 152, 162, 172)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서빙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은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110)과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122, 132, 142, 152, 162, 172)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은 매우 넓고,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는 매우 짧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110)은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부터 정확한 채널 상태 정보를 신속히 수신할 수 있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정확한 간섭량을 계산할 수 있다. 각 기지국(110, 120, 130, 140, 150, 160, 170)은 다른 기지국에 속한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110)은 짧은 주기로 각 단말기들(121, 131, 141, 151, 161, 171)에 대한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 전송 경로가 무선으로 연결되었다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은 매우 좁고,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는 매우 크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110)은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으로부터 대략적인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이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는 큰 전송 딜레이를 가지고 수신된 것이므로, 현재 채널의 상태를 반영하지 못한다. 서빙 기지국(110)이 계산한 간섭량은 상대적으로 부정확하다. 각 기지국(110, 120, 130, 140, 150, 160, 170)은 다른 기지국에 속한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을 대략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말기(111, 112, 113)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110)은 좀더 긴 주기로 단말기(111, 112, 113)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서빙 기지국(110)은 복잡한 계산을 수행해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110)은 복잡한 수학식을 이용하여 단말기들(121, 131. 141, 151, 161)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서빙 기지국(110)이 매크로 기지국이라면, 서빙 기지국(110)은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계산 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110)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능한 모든 동작 모드에 대하여 간섭의 영향을 신속히 계산하고, 최적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서빙 기지국(110)이 매크로 기지국에 부속된 펨토 기지국이라면 서빙 기지국(110)은 계산에 필요한 충분한 계산 능력을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110)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간섭의 영향을 대략적으로 계산하고,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110)은 각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및 각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의 계산 능력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각 기지국을 복수의 협력 레벨로 구분할 수 있다.
각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은 서빙 기지국(11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각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110)과 제1 협력 기지국(12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유선으로 연결되고, 서빙 기지국(110)의 계산 능력이 충분하다면, 서빙 기지국(110)의 협력 레벨은 높을 수 있다. 서빙 기지국(110)의 협력 레벨이 높다면, 제1 협력 기지국(120)은 제1 단말기(121)에 대한 구체적인 채널 정보, 최근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110)과 제1 협력 기지국(12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무선으로 연결되고, 서빙 기지국(110)의 계산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서빙 기지국(110)의 협력 레벨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협력 기지국(120)은 제1 단말기(121)에 대한 대략적인 채널 정보 또는 예전 채널의 상태를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Short-Term CSI 또는 Long-Term CSI가 구체적인 채널 상태 정보로서 사용되고, Short-Term PMI 또는 Long-Term PMI가 대략적인 채널 상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Short-Term CSI 또는 Short-Term PMI가 최근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의 일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Long-Term CSI 또는 Long-Term PMI가 예전 채널 상태를 반영하는 채널 상태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 협력 기지국(120, 130, 140, 150, 160, 170)은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110)으로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110)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모드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간섭 제어 기법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동작 모드는 제1 간섭 제어 기법을 단말기(111, 112, 113)에 적용하는 모드이고, 제2 동작 모드는 제2 간섭 제어 기법을 단말기(111, 112, 113)에 적용하는 모드이고, 제3 동작 모드는 제1 간섭 제어 기법 및 제2 간섭 제어 기법을 단말기(111, 112, 113)에 적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단말기(111, 112, 113)에 대하여 동작 모드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단말기(111)에 대해서는 제1 동작 모드를 적용하고 단말기(112)에 대해서는 제2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IMO 전송 기법, 간섭 정렬 기법(IA: Interference Alignment),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DSM: Dynamic Spectrum Management)들이 간섭 제어 기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110)이 제1 단말기(121)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한 경우에, 서빙 기지국(110)은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b)는 마스터 기지국과 펨토 기지국 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마스터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의 계산능력을 고려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펨토 기지국(190)은 마스터 기지국(180)의 하위 기지국으로서, 마스터 기지국(180)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자원 중에서, 마스터 기지국(180)이 사용하지 않거나 마스터 기지국(180)의 데이터 전송에 극히 작은 영향만을 미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이다. 펨토 기지국(190)의 커버리지(192)는 마스터 기지국(182)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펨토 기지국(190)의 커버리지(192)내에 위치하는 단말기(191)는 마스터 기지국(180)으로부터 강한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180)의 커버리지(182)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181)도 펨토 기지국(190)으로부터 간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190)이 마스터 기지국(180)에 종속되어 마스터 기지국(180)에 할당된 무선 자원의 일부를 이용하여 단말기(19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마스터 기지국(180)과 펨토 기지국(190)은 서로 계층적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펨토 기지국(190)과 마스터 기지국(18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무선일 수 있다. 이 경우, 펨토 기지국(190)과 마스터 기지국(180)간의 대역폭은 매우 좁고,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는 매우 짧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기지국(180)은 도 1의 (a)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말기(18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190)도 단말기(19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기지국(180)은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충분한 계산 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 펨토 기지국(190)은 불충분한 계산 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기지국(180)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능한 모든 동작 모드에 대하여 간섭의 영향을 신속히 계산하고, 최적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펨토 기지국(190)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간섭의 영향을 대략적으로 계산하고,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간섭 제어 기법은 도 1의 (a)와 같은 매크로 셀 환경뿐만 아니라, 도 1의 (b)와 같은 계층 셀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간섭 제어 기법을 도 1의 (b)에 도시된 마스터 기지국(180)과 펨토 기지국(190) 환경에 적용한다면 큰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에서는 매크로 셀 환경에서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간섭 제어 기법은 계층 셀 환경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S250)에서 제1 단말기(210)는 협력 기지국(220)과 제1 단말기(210)간의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 상태를 협력 기지국(220)으로 전송한다. 제1 단말기(210)는 협력 기지국(220)에 속하나, 서빙 기지국(230)으로부터 간섭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제1 단말기(210)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제1 단말기(210)는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협력 기지국(220)과 제1 단말기(210)간의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S260)에서 협력 기지국(220)은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협력 기지국(220)과 서빙 기지국(23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협력 기지국(220)과 서빙 기지국(23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작다면, 서빙 기지국(230)은 최근 채널의 상태를 반영하여 각 단말기(210, 24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협력 기지국(220)은 short-term CSI 또는 short-term PMI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협력 기지국(220)과 서빙 기지국(23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크다면, 서빙 기지국(230)은 상대적으로 예전 채널의 상태를 반영하여 각 단말기(210, 24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협력 기지국(220)은 long-term CSI 또는 long-term PMI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에 따라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더 넓다면, 협력 기지국(220)은 상세한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long-term CSI, short-term CSI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더 좁다면, 협력 기지국(220)은 채널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long-term PMI, short-term PMI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서빙 기지국(230)의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230)은 제2 단말기(24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230)이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계산 능력을 구비한 경우에, 협력 기지국(220)은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의 일예로서, Short-term CSI 또는 long-term CSI가 이용될 수 있다.
서빙 기지국(230)이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하기에 미흡한 계산 능력을 구비한 경우에, 협력 기지국(230)은 제1 단말기(210)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간략화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간략화된 채널 상태 정보의 일예로서 short-term PMI 또는 long-term PMI가 이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220)은 협력 기지국(220)과 서빙 기지국(23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서빙 기지국(230)의 계산 능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230)을 복수의 협력 레벨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한다. 협력 기지국(220)은 서빙 기지국(23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230)과 협력 기지국(22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넓거나, 전송 딜레이가 작거나, 서빙 기지국(230)의 계산 능력이 우수하다면, 서빙 기지국(230)은 높은 협력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협력 기지국(230)은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협력 기지국(230)은 최근의 채널 상태를 반영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271)에서 협력 기지국(220)은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230)으로 전송한다.
단계(S280)에서 서빙 기지국(230)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모드는 여러가지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230)은 제2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고,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230)은 MIMO 전송 기법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제2 단말기에 대하여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서빙 기지국(23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생성될 수 있으므로, 결국 서빙 기지국(23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제2 단말기에 대한 전송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230)의 협력 레벨이 높다면, 제2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고, 협력 레벨이 낮다면, 제2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 또는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법만을 적용하는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도 있다.
단계(S260)에서 협력 기지국이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한 경우에, 서빙 기지국(230)은 정확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210) 또는 제2 단말기(240)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60)에서 협력 기지국(220)이 대략적인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한 경우에, 서빙 기지국(230)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210) 또는 제2 단말기(240)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280)에서 서빙 기지국(230)이 결정한 동작 모드는 제1 단말기에 대한 간섭의 영향이 최소화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단계(S290)에서 서빙 기지국(230)은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2 단말기(24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230)이 전송한 신호는 제1 단말기(210)로 전송되지만, 제1 단말기(210)에 대한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단계(S290)에서 서빙 기지국(230)은 채널 상태 변화에 따라서 단말기(240)에 대한 동작 모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230)은 동작 모드를 업데이트 함에 따라서 프리코딩 벡터를 업데이트 하거나 전송 전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230)은 피드백 정보 또는 서빙 기지국(23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 또는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와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개념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서빙 기지국은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하여 소정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한 계산량이,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기 위한 계산량보다 더 크다고 가정하자.
도 3의 (a)는 MIMO 전송 기법 적용 주기와 DSM 전송 기법 적용 주기가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소정의 임계 계산 능력 보다 더 큰 경우에,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 적용 주기(310)를 DSM 전송 기법 적용 주기(320)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선택한다(311). 또한 제1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선택한다(321).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단말기들 중에서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단말기들을 선택하고(312),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할 단말기들을 선택한다(322).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매 주기 마다 MIMO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단말기 또는 DSM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단말기들을 선택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매 주기마다 각 단말기들에 대하여 프리코딩 벡터를 업데이트 하거나 전송 전력을 업데이트 한다.
도 3의 (b)는 MIMO 전송 기법 적용 주기(330)와 DSM 전송 기법 적용 주기(340)가 서로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선택한다(331), 또한 제1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선택한다(341).
제2 시점에서, 서빙 기지국은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재선택한다(342).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제1 시점에서 MIMO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것으로 선택된 단말기들 중에서, 제2 시점에서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간섭 정렬 기법, 랜덤 빔포밍(random beamforming) 또는 PMI기반의 빔포밍 기법 등 여러가지 MIMO 전송 기법 중에서 단말기에 적용할 MIMO 전송 기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3의 (b)를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은 매 주기마다 MIMO 전송 기법이 적용되는 단말기들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단말기들에 대하여 프리코딩 벡터를 업데이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계산 능력이 다소 불충분한 서빙 기지국도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을 중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에 따라서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는 MIMO 전송 기법을 한번 적용하는 동안에, DSM 전송 기법을 2번 적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채널 상태에 따라서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채널 상태에 따라서 MIMO 전송 기법을 한번 적용하는 동안에, DSM 전송 기법을 한번 적용할 수도 있고, MIMO 전송 기법을 한번 적용하는 동안에 DSM 전송 기법을 3번 또는 그 이상 적용할 수도 있다. 채널 상태에 따라서 각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연산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DSM 전송 기법이 MIMO 전송 기법보다 자주 적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서빙 기지국은 채널 상태,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 등을 고려하여 MIMO 전송 기법을 DSM 전송 기법보다 더 자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협력 기지국(400)은 채널 상태 정보 수신부(410),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 및 전송부(430)를 포함한다.
채널 상태 정보 수신부(410)는 제1 단말기(440)로부터 협력 기지국(400)과 제1 단말기(440)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400)은 파일럿 신호를 제1 단말기(440)로 전송하고, 제1 단말기(440)는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단말기(440)와 협력 기지국(400)간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상태 정보 수신부(410)는 서빙 기지국(450)과 제1 단말기(440)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제1 단말기(4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단말기(440)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는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또는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광케이블과 같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은 매우 넓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경로가 광케이블로 연결된 경우에,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제1 단말기(440)에 대한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long-term CSI 또는 Short-term CSI)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은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제1 단말기(440)에 대한 간략화된 채널 상태 정보(Long-Term PMI 또는 Short-term PMI)를 피드백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가 간략화되면 정보량이 감소하므로, 협력 기지국(400)은 좁은 대역폭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정보를 용이하게 서빙 기지국(4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광케이블과 같이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는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작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440)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적은 전송 지연만을 가지고 서빙 기지국(450)으로 전송된다. 서빙 기지국(450)은 적은 전송 지연을 가지는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빙 기지국(450)은 고도화된(high complexity, high performan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은 제2 단말기(451)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400)과 서빙 기지국(45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는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큰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440)에 대한 피드백 정보는 큰 전송 지연을 가지고 서빙 기지국(450)으로 전송된다. 채널 상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변하므로, 피드백 정보의 전송 지연이 크다면, 피드백 정보는 정확하지 않다. 이 경우에, 서빙 기지국(450)은 제2 단말기(451)에 대한 간단한 계산과정을 거쳐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이 충분하다면, 협력 기지국(450)은 상세한 채널 정보를 반영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협력 기지국(450)은 대략적인 채널 정보를 반영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430)는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450)으로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450)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450)에 접속한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서빙 기지국(450) 및 협력 기지국(400, 460, 470)은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400)은 서빙 기지국(450)과 협력 기지국(40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서빙 기지국(450)을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협력 기지국(400)은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에 따라서 서빙 기지국(450)을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협력 기지국(400)은 서빙 기지국(45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넓거나,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충분하다면, 서빙 기지국(450)의 협력 레벨은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서빙 기지국(450)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은 MIMO 전송 기법 또는 DSM 전송 기법을 조합하여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450)은 복수의 단말기들(440, 451, 461, 462) 중에서 MIMO 전송 기법 또는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할 단말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과 DSM 전송 기법이 동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450)은 MIMO 전송 기법의 일예로서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채널 정보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450)은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많은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을 고려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이 소정의 임계 계산 능력보다 더 좋다면, 서빙 기지국(450)은 각 단말기(440, 461, 462)에 대한 정확한 채널 정보를 고려하여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은 각 단말기(440, 461, 462)에 대한 정확한 채널 정보를 고려하여 제2 단말기(451)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제2 단말기(451)에 대한 동작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450)의 계산 능력이 소정의 임계 계산 능력보다 좋지 않다면, 서빙 기지국(450)은 제2 단말기(451)에 대하여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이 경우에,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간략화된 채널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피드백 정보 생성부(420)는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피드백 정보로서 생성할 수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자원 중에서 일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펨토 기지국이 협력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펨토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으로, 마스터 기지국이 협력 기지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빙 기지국(500)은 수신부(510), 동작 모드 결정부(520) 및 전송부(530)를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서빙 기지국(500)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540)으로부터 협력 기지국(540)에 접속한 제1 단말기(541)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드백 정보는 서빙 기지국(500)과 협력 기지국(54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는 협력 기지국(540)과 서빙 기지국(500)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또는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좁은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Long-term PMI 또는 Short- term PMI)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 보다 더 작은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제1 단말기와 협력 기지국(540)간의 채널의 최근 상태를 반영하는 Short-term CSI 또는 Short-term PMI 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540)은 주기적으로 제1 단말기(541)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540)은 주기적으로 생성한 피드백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평균하고, 평균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크거나,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더 좁은 경우에, 협력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를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평균하고, 평균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long-term 피드백 정보라고 한다. 생성된 피드백 정보가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인 경우, 서빙 기지국(500)은 long-term PMI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생성된 피드백 정보가 채널 상태 정보(CSI)인 경우에, 서빙 기지국(500)은 long-term CSI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작거나,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더 넓은 경우에, 협력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를 소정의 시간 이하로 평균하고, 평균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short-term 피드백 정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서빙 기지국(500)은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좀더 자주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생성된 피드백 정보가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MI)인 경우, 서빙 기지국(500)은 short-term PMI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생성된 피드백 정보가 제1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인 경우에, 서빙 기지국(500)은 short-term CSI를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500)에 접속한 제2 단말기(55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여러가지 간섭 제어 기법을 조합하여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MIMO 전송 기법 또는 DSM 전송 기법이 간섭 제어 기법의 일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500)은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및 서빙 기지국(500)의 계산 능력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경록의 대역폭이 넓고,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작고, 계산 능력이 충분하다면 서빙 기지국(500)의 협력 레벨은 높고,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서빙 기지국(500)의 협력 레벨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610)는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서빙 기지국(500)의 협력 레벨에 기반하여 제2 단말기(55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부(510)가 수신한 피드백 정보가 제1 단말기(541)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와 같이 간략화된 채널 상태 정보인 경우에, 서빙 기지국(500)은 제2 단말기(550)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이 경우,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간단한 계산 과정을 거쳐 제2 단말기(550)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540)은 일반 가정에 설치된 펨토 기지국으로서 각 기지국의 통신 사정에 따라서 네트워크에 접속하거나 접속 해지될 수 있다. 즉, 협력 기지국(540)은 네트워크에 항시적으로 접속된 기지국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협력 기지국(540)이 새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에, 수신부(510)는 협력 기지국(540)과 서빙 기지국(600)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협력 기지국의 협력 레벨에 대한 정보를 협력 기지국(540)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협력 레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부(630)는 소정의 측정 신호를 데이터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협력 기지국(5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540)은 측정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서빙 기지국(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510)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협력 기지국(540)과 서빙 기지국(510)간의 전송 딜레이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간섭 정렬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좁다면, 수신부(510)는 간략화된 채널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MIMO 전송 기법 또는 DSM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용한다면,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와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경로의 딜레이가 큰 경우에도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와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가 서빙 기지국(500)에 접속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동작 모드 결정부(520)는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 또는 DSM 전송 기법을 조합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부(53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2 단말기(55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자원 중에서 일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펨토 기지국이 협력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펨토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으로, 마스터 기지국이 협력 기지국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S610)에서 서빙 기지국은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피드백 정보는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과 협력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이상인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long-term CSI 또는 short-term CSI)일 수 있다. 반대로,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이 소정의 임계 대역폭 보다 작은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간략화된 채널 상태 정보(long-term PMI 또는 short-term PMI)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소정의 임계 딜레이보다 더 큰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최근의 채널 상태를 반영하여 생성된 것(Short-term CSI 또는 Short-term PMI)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의 소정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간략화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반대로,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소정의 기준치 보다 더 높은 경우에, 피드백 정보는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및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경록의 대역폭이 넓고,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작고, 계산 능력이 충분하다면 서빙 기지국의 협력 레벨은 높고,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서빙 기지국의 협력 레벨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 정보는 서빙 기지국의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서빙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가 간략한 채널 상태 정보인 경우에,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제2 단말기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서빙 기지국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가 상세한 채널 상태 정보인 경우에,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제2 단말기에 대한 간섭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빙 기지국은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2 단말기에 대한 간섭의 영향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가 서빙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각 동작 모드를 전송할 경우에 각 단말기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각 단말기에 대한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고 및 선택된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 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여러 가지 간섭 제어 기법을 조합하여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만을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고,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만을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하여 MIMO 전송 기법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중첩하여 적용하는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S630)에서 서빙 기지국 및 협력 기지국은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은 각 동작 모드에 적용된 간섭 제어 기법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채널의 변화에 따라서 일정 주기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각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계산량과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각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계산량에 비하여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협력 레벨에 기반하여 각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가 큰 값이라면, 서빙 기지국의 협력 레벨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빙 기지국은 MIMO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 또는 DSM 전송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서빙 기지국
120, 130, 140, 150, 160, 170: 협력 기지국
121, 131, 141, 151, 161, 171: 단말기

Claims (30)

  1. 협력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에 인접한 서빙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computational capability)에 기반하여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피드백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협력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좁은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협력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넓은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협력 기지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정해진 임계 능력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협력 기지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이 정해진 임계 능력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피드백 정보로 생성하는 협력 기지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에 따라서 상기 서빙 기지국을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협력 기지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기지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자원 중에서 일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펨토 기지국인 협력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협력 기지국에 할당된 무선 자원 중에서 일부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펨토 기지국인 협력 기지국.
  10.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 모드 결정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딜레이가 정해진 임계 딜레이 보다 좁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시간 이상 평균하여 생성된 서빙 기지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딜레이가 정해진 임계 딜레이 보다 넓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시간 이하로 평균하여 생성된 서빙 기지국.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좁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인 서빙 기지국.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넓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인 서빙 기지국.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2 단말기에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서빙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어 기법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기법 또는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DSM: Dynamic Spectrum Management)을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상기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법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서빙 기지국.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계산 능력에 따라서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되고,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서빙 기지국.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복수이고,
    상기 동작 모드 결정부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기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서빙 기지국.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협력 기지국의 협력 레벨에 대한 정보를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22.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협력 기지국에 접속한 제1 단말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에 접속한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협력 기지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경로의 대역폭 또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의 전송 딜레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좁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 행렬의 인덱스인 데이터 전송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이 정해진 임계 대역폭 보다 넓은 경우에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인 데이터 전송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2 단말기에 간섭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데이터 전송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어 기법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기법 또는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DSM: Dynamic Spectrum Management)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계산 능력에 기반하여 상기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법 및 동적 스펙트럼 관리 기법을 적용하는 주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계산 능력에 따라서 복수의 협력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협력 레벨로 구분되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협력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기는 복수이고,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기들 중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00011919A 2010-02-09 2010-02-09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KR10156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19A KR101567018B1 (ko) 2010-02-09 2010-02-09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US12/939,709 US8717986B2 (en) 2010-02-09 2010-11-04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IMO/DSM operat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919A KR101567018B1 (ko) 2010-02-09 2010-02-09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478A KR20110092478A (ko) 2011-08-18
KR101567018B1 true KR101567018B1 (ko) 2015-11-06

Family

ID=4435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919A KR101567018B1 (ko) 2010-02-09 2010-02-09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17986B2 (ko)
KR (1) KR101567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7206B (zh) 2009-01-05 2014-10-08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mimo通信***的预编码码本
US8385441B2 (en) 2009-01-06 2013-02-26 Marvell World Trade Ltd. Efficient MIMO transmission schemes
US8238483B2 (en) 2009-02-27 2012-08-07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of dedicated reference signal (DRS) precoding granularity
EP2417780B1 (en) * 2009-04-06 2019-05-08 Marvell World Trade Ltd. Improved feedback strategies for multi-user mimo communication systems
CN102405603B (zh) * 2009-04-21 2015-04-29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具有选择性波束衰减的波束成形方法、设备及***
US8675794B1 (en) 2009-10-13 2014-03-18 Marvell International Ltd. Efficient estimation of feedback for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selection
US8917796B1 (en) 2009-10-19 2014-12-23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mission-mode-aware rate matching in MIMO signal generation
CN102550079B (zh) 2009-11-09 2015-10-2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经协调的发射***的非对称反馈
WO2011073876A2 (en) 2009-12-17 2011-06-23 Marvell World Trade Ltd Mimo feedback schemes for cross-polarized antennas
DE202011111016U1 (de) 2010-01-07 2018-05-02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sierung von dedizierten Referenzsignal (DRS) - Vorcodierungsgranularität
JP5258002B2 (ja) 2010-02-10 2013-08-07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移動通信端末、チップセット、およびその方法
ES2566974T3 (es) * 2010-02-23 2016-04-18 Alcatel Lucent Realimentación de información de estado de canal
US8687741B1 (en) 2010-03-29 2014-04-01 Marvell International Ltd. Scoring hypotheses in LTE cell search
JP2012100254A (ja) * 2010-10-06 2012-05-24 Marvell World Trade Ltd Pucch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コードブックサブサンプリング
US8615052B2 (en) 2010-10-06 2013-12-24 Marvell World Trade Ltd. Enhanced channel feedback for multi-user MIMO
US9048970B1 (en) 2011-01-14 2015-06-02 Marvell International Ltd.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s
US8861391B1 (en) 2011-03-02 2014-10-14 Marvell International Ltd. Channel feedback for TDM schedul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having multiple cell classes
US9124327B2 (en) 2011-03-31 2015-09-01 Marvell World Trade Ltd. Channel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US8923427B2 (en) 2011-11-07 2014-12-30 Marvell World Trade Ltd. Codebook sub-sampling for frequency-selective precoding feedback
US9020058B2 (en) 2011-11-07 2015-04-28 Marvell World Trade Ltd. Precoding feedback for cross-polarized antennas based on signal-component magnitude difference
US9031597B2 (en) 2011-11-10 2015-05-12 Marvell World Trade Ltd. Differential CQI encoding for cooperative multipoint feedback
US9220087B1 (en) 2011-12-08 2015-12-22 Marvell International Ltd. Dynamic point selection with combined PUCCH/PUSCH feedback
US8902842B1 (en) 2012-01-11 2014-1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 signaling and resource mapping for coordinated transmission
KR101873596B1 (ko) * 2012-01-16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US8964819B2 (en) * 2012-04-02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mixed-mode powerline communication transceiver
WO2013160795A1 (en) 2012-04-27 2013-10-31 Marvell World Trade Lt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communication between base-station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N103812624A (zh) * 2012-11-07 2014-05-21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协同多点传输的方法
US10044487B2 (en) * 2012-11-30 2018-08-0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Interference management in wireless multi-access communication networks
US9231681B2 (en) 2013-01-21 2016-01-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backhaul and access communication via a common antenna array
US9762344B2 (en) 2013-01-22 2017-09-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cell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4115946A1 (ko) * 2013-01-22 2014-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다중 송수신 기법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26273B2 (en) 2013-01-24 2016-04-2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backhaul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WO2015100557A1 (zh) * 2013-12-30 2015-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回程数据的方法、装置和***
US10103799B2 (en) * 2015-03-16 2018-10-1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ed data rates in underwater communications using orbital angular momentu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2316B2 (en) * 2004-06-18 2013-05-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orthogonal multiplexing
JP4385223B2 (ja) * 2004-06-30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A2771267C (en) * 2004-08-12 2016-03-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pace frequency block coding
US7917176B2 (en) * 2006-02-14 2011-03-29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Structured codebook and successive beamforming for multiple-antenna systems
US7627347B2 (en) * 2006-03-17 2009-12-01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parameter optimization in MIMO communications system
US20080002733A1 (en) * 2006-06-30 2008-01-03 Ilan Sutsk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multiple access wireless networks
US7944985B2 (en) 2006-08-24 2011-05-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IMO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supporting downlink communication of single channel codewords
US7965783B2 (en) * 2007-01-08 2011-06-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streams via a beamformed MIMO channel
KR101386974B1 (ko) 2007-07-02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분할 다중 접속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시스템및 그 방법
US8681720B2 (en) * 2008-03-25 2014-03-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le modulated data streams signaling
JP5067981B2 (ja) * 2008-04-28 2012-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方法
KR101498048B1 (ko) * 2008-05-02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mimo를 사용하는 셀 경계 사용자를 위한 자원할당 방법
KR101486378B1 (ko) * 2008-05-07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다중 입출력 안테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방법
EP2217027B1 (en) * 2009-02-05 2012-06-20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Method and a device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478A (ko) 2011-08-18
US20110194594A1 (en) 2011-08-11
US8717986B2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018B1 (ko) 네트워크 백홀 환경 및 기지국 협력 수준 기반 mimo/dsm 동작 모드 결정 시스템
KR101727016B1 (ko) 상향 링크에서의 다중 사용자 간섭 정렬 시스템 및 방법
KR101059662B1 (ko) Wan 시그널링 및 피어 투 피어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혼합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또는 간섭 관리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75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모드 운용을 위한 방법 장치
KR20100081913A (ko) 다중 셀 환경에서 CoMP 수행 셀 결정방법 및 장치
KR101639042B1 (ko) 가상 셀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의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2008004931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13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형성 방법 및 장치
JP5636504B2 (ja) 伝送制御
KR101651934B1 (ko) 다중 사용자 간섭 채널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CN103701512A (zh) 一种确定下行波束赋形权向量的方法及装置
KR2014004616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구성 장치 및 방법
CN102986272A (zh) 无线电通信***,无线电基站,无线电终端以及通信控制方法
US10804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status by a transceiver
JP4651750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22124956A1 (en) Precoding and power allocation for access points in a cell- free communication system
US10998940B2 (en) Signal strength scaling of an uplink measurement signal and corresponding uplink transmission beam according to an estimated interference level
US115101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8994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patial Resource Selection
EP3262777B1 (en) Determining signal to noise ratio and tti bundling adap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24102038A1 (en) Initiation of channel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in a d-mimo network
WO2016112962A1 (en) Network node and method therein for selecting beam for a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705992B1 (ko)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제어 방법
WO2024008273A1 (en) Calibration between access points in a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network operating in time-division duplexing mode
WO2023085982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active trp measurement 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