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880B1 -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 Google Patents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80B1
KR101565880B1 KR1020150088464A KR20150088464A KR101565880B1 KR 101565880 B1 KR101565880 B1 KR 101565880B1 KR 1020150088464 A KR1020150088464 A KR 1020150088464A KR 20150088464 A KR20150088464 A KR 20150088464A KR 101565880 B1 KR101565880 B1 KR 10156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door unit
leg
vertical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15008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받침대 사이에 배관용 공간을 구비한 실외기 다이에 관한 것으로,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 평행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 하부에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상기 중첩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AIR-CONDITIONER OUTDOOR MACHINE SUPPORT}
본 발명은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받침대 사이에 배관용 공간을 구비한 실외기 다이에 관한 것이다.
실외기는 에어컨이 작동할 때 실내 온도를 낮추는 반작용으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실외기는 배관을 통해 에어컨과 연결된 채로 실외에 비치된다.
일반적으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 장소에 다이(받침대)를 구비하고 다이 위에 실외기를 올려놓고 고정하는 형태로 실외기의 외부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외기 다이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36840호 (2008년06월03일) [에어컨의 실외기 설치대](종래기술1)에는 실외기 하면에 고정된 레그를 고정구의 상면에 슬라이딩시키고, 레그와 고정구가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단순한 구조와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파손 시 교환이 용이한 에어컨의 실외기 설치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1에 제시된 실외기 다이(설치대)는 실외기의 각 모서리 하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수평 조절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전문가의 설치를 필요로 하고, 또한 사용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이미 맞춰진 수평이 어긋나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358678호 (2004년08월03일)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종래기술2)에는 실외기와 지면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과 소음의 차단율을 높이며, 비교적 무거운 금속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비교적 가벼운 실외기의 자체 진동과 소음을 잡을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실외기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설치에 있어서 실내의 에어컨과의 연결을 위한 배관은 보통 실외기의 측 방향, 또는 상 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인데, 미관상 또는 설계상 실외기의 배관을 하부로 빼서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종래기술2에 도시된 실외기 다이는 이러한 '하부배관작업'이 사실상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받침대 사이에 배관용 공간을 구비한 실외기 다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절볼트 및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높이조절수단을 이루는 다리몸체에 만곡부를 구비하고, 실외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다리부재 간의 결합을 지지하는 풀림방지체를 만곡시켜 실외기의 하중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 평행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 하부에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상기 중첩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 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하면에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로프레임과 평행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중첩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절너트 및 상기 세로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상기 조절너트에 삽입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조절볼트 하단에는 삽입몸체 및 이 삽입몸체 하부에 연장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삽입몸체가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리몸체, 상기 결합공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고정체, 상기 다리몸체와 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결합부 및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바닥몸체 및, 상기 다리몸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풀림방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몸체는 상기 관통공 둘레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체는 상기 만곡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받침대 사이에 배관용 공간을 구비하여 외관적 미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충분히 고려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설치 규격에 따라 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아울러 실외기의 하중에 대해 효율적인 지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구성 예).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구조도(단면도,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실외기와 받침대 사이에 배관용 공간(p)을 구비한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S)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S)(본 실외기 다이(S))에 대해 각 구성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1), 평행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2) 및, 세로프레임(2)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1), 평행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2) 및, 세로프레임(2) 하부에 결합되는 다리부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양 단이 상기 가로프레임(1)에 하면에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세로프레임(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로프레임(2)과 평행 배치되는 보강프레임(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프레임(4)의 구비 또는 미 구비는 실외기의 규격(사양, 크기, 팬의 갯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고, 실외기의 크기가 커서 세로프레임(2) 간의 이격 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경우, 보강프레임(4)을 통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부가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프레임(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 및 세로프레임(2)은 제1중첩부(f1)(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로프레임(2)의 중첩부(f)를 제1중첩부(f1), 보강프레임(4)의 중첩부(f)를 제2중첩부(f2)로 구분하여 명명한다.)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교 결합 특징을 통해, 본 실외기 다이(S)는 안정적으로 실외기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50)을 통해 다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실외기의 각 꼭짓점마다 구비되는 형태의 다이(종래기술1)에 비해 수평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실외기 다이(S)의 핵심 특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이 이루는 제1중첩부(f1)는 가로프레임(1)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 설치 시 배관을 하부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제1중첩부(f1)를 가로프레임(1)의 하면에 구비되게 하였는데, 달리 표현하면 세로프레임(2)이 가로프레임(1)의 하부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2와 같은 프레임 형태의 실외기 다이에서는 세로프레임(2) 및 보강프레임(4)의 위치로 인해 실외기의 배관을 실외기의 하측으로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는데, 상기 제1중첩부(f1)의 특징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의 높이만큼 실외기 하측에는 배관용 공간(p)이 형성되고, 이 배관용 공간(p)을 통해 실외기의 배관을 실외기의 하측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는 양 단이 가로프레임(1)에 하면에 제2중첩부(f2)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세로프레임(2) 사이에 개재되어 세로프레임(2)과 평행 배치되는 보강프레임(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강프레임(4)은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의 결합을 지지하고, 또한 세로프레임(2)에 가해지는 실외기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부가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 향상에 기여한다.
추가적으로, 도 2의 실시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 세로프레임(2) 및 보강프레임(4) 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각 프레임 간의 결합을 반드시 나사결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아울러 보강프레임(4)은 세로프레임(2)과 동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보강프레임(4)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 세로프레임(2)에 대한 설명에서 유추할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부수적인 특징에 대해서 추가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들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의 가로프레임(1)은 측면에 형성된 공구삽입구(11)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구삽입부에는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50)을 작동시키기 위한 몽키,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 공구삽입구(11)를 통해 본 실외기 다이(S)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도 설치면의 상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의 가로프레임(1)은 상면에 형성된 장공(13)을 더 포함한다. 장공(13)은 실외기 하면을 본 실외기 다이(S)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실외기 하면과의 결합을 제공하는 고정수단(볼트 등)에 대해 유격을 제공하여 정합 위치에 대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가로프레임(1) 및 세로프레임(2)의 결합 구조도로, 각기 다른 방향에서 결합 부위(중첩부(f))를 관찰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가로프레임(1) 및 세로프레임(2)에 구비된 지지부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실외기의 하중을 견디는 과정에서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면, 가로프레임(1)은 세로프레임(2)의 측부를 감싸는 측지지부(15) 및 세로프레임(2)의 하부를 감싸는 하지지부(17)를 더 포함한다.
측지지부(15)는 가로프레임(1)의 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세로프레임(2)의 측부를 지지하는데, 특히 세로프레임(2)의 측방향 외력이 가해져 본 실외기 다이(S)에 비틀림 문제가 발생하거나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 간의 직교 결합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하지지부(17)는 가로프레임(1)의 측지지부(15)에서 절곡 연장된 구성으로, 세로프레임(2)의 하부를 지지하여 실외기의 하중,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부여한다. 특히 전체 실외기 다이(S)의 무게 등을 고려할 때, 세로프레임(2)은 실외기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가로프레임(1)에 비해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고, 하지지부(17)는 실외기의 하중에 의해 세로프레임(2)이 가로프레임(1)에서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이 상호 중첩되어 서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추가로 상기한 나사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로프레임(1)은 세로프레임(2)과의 중첩부(f)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중첩지지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2)은 가로프레임(1)과의 중첩부(f)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제2중첩지지부(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중첩지지부(19) 및 제2중첩지지부(29)를 통해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추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프레임(2)은 하부에 구비되고 세로프레임(2)의 하면과 중첩된 중첩보강부(2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중첩보강부(28)는 세로프레임(2)에 수직 방향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부가하여, 보다 큰 실외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다리부재(3)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의 다리부재(3)에는 높이조절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리부재(3)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은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공구삽입구(11)를 통해 삽입된 공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가로프레임(1)과 세로프레임(2)의 결합으로 인해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도 4를 참고하여 높이조절수단(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50)은 중첩부(f)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절너트(51) 및 세로프레임(2)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조절너트(51)에 삽입되는 조절볼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너트(51)는 가로프레임(1)의 내측 저면에 접촉하여 스토핑되는 헤드(511) 및 세로프레임(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세로프레임(2)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바디(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53)는 세로프레임(2)의 하면에 접촉하여 스토핑되는 머리(531) 및 조절너트(51)의 바디(513)를 관통하여 가로프레임(1)의 내측까지 진입된 몸체(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50)은 조절너트(51)의 바디(513) 내측에 구비된 나사산(553)을 따라 조절볼트(53)가 승강하고, 이를 통해 다리부재(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데, 이 때 조절너트(51)의 헤드(511)와 조절볼트(53)의 머리(531)는 스토핑 기능을 제공하여 과도한 조절볼트(53)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조절너트(51) 및 조절너트(51)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수단(50)을 통해, 본 실외기 다이(S)는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설치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도 4에서는 다리부재(3)의 구체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먼저 조절볼트(53) 하단에는 삽입몸체(551)(533) 및 이 삽입몸체(551)(533) 하부에 연장 형성된 나사산(553)으로 이루어진 결합부(55)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55)의 구성은 다리부재(3)와 세로프레임(2)을 결합하여 고정시켜준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외기 다이(S)의 다리부재(3)는 조절볼트(53)의 삽입몸체(551)(533)가 관통하는 결합공(311)이 형성된 다리몸체(31), 이 결합공(311) 하부에 위치하고 조절볼트(53)의 나사산(553)에 결합되는 고정체(33), 설치면에 접촉하고 다리몸체(31)와 결합하며 내측에 결합부(55) 및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351)를 갖는 바닥몸체(35) 및, 다리몸체(31)와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풀림방지체(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본 발명의 핵심 특징 중 하나로, 다리몸체(31)는 관통공 둘레에 형성된 만곡부(313)를 포함하고, 플림방지체는 만곡부(313)에 상응하는 형태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만곡부(313)와 만곡된 풀림방지체(37)의 구성을 통해,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실외기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다리부재(3)의 외측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큰 하중을 갖는 실외기의 설치가 가능하고, 본 실외기 다이(S)의 내구성 역시 충분히 보장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다리몸체(31)는 만곡부(313)와 더불어 실외기의 하중 분산을 위해 효율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도 4를 참고하면 다리몸체(31)는 상기한 만곡부(313)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향경사를 갖는 경사부(315), 이 경사부(315)에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부(317) 및, 수평부(317)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측으로 절곡된 절곡단부(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사부(315)는 가해지는 하중을 이 경사부(315)를 타고 다리몸체(31)의 외측으로 분산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고, 수평부(317)는 설치면과 수평을 이루어 결합된 바닥몸체(35)와 함께 실제 실외기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성이고, 절곡단부(319)는 다리몸체(31)와 바닥몸체(35)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바닥몸체(35)가 다리몸체(3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추가적으로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바닥몸체(35)의 하부, 설치면과의 접촉 부위에는 다수의 마찰슬릿(3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마찰슬릿(353)은 바닥몸체(35)와 설치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본 실외기 다이(S)가 설치면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은 단부에 형성되고 세로프레임(2)의 측부에 접촉하는 접이중첩부(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이중첩부(18)는 세로프레임(2)과의 결합에 있어서 결합력 강화와 동시에 세로프레임(2)의 가로프레임(1)과의 결합에 대한 스토핑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접이중첩부(18)는 제2중첩지지부(29)가 안착되는 끝단처리부(180)를 구비한 것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한다.(제2중첩지지부(29)의 구성은 도 3을 참고한다.)
이러한 끝단처리부(180)를 갖는 접이중첩부(18)는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을 없애주어 사용자가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끝단처리부(180) 및 접이중첩부(18)가 가로프레임(1)의 단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을 통해, 시공 상황, 설치면의 상황, 시공 규격 등에 따라 부득이하게 배관을 하부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 본 실외기 다이(S)에 실외기를 설치함으로써 실외기의 내구성이 보존될 수 있으며, 단순한 외관상의 미감 향상을 위해 배관을 은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본 실외기 다이(S)를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실외기 다이 p: 배관용 공간
1: 가로프레임 f: 중첩부
2: 세로프레임
3: 다리부재 31: 다리몸체
311: 결합공 313: 만곡부
33: 고정체 35: 바닥몸체
37: 풀림방지체
4: 보강프레임
50: 높이조절수단 51: 조절너트
53: 조절볼트 55: 결합부
551: 삽입몸체 553: 나사산

Claims (4)

  1.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로프레임;
    평행 배치된 한 쌍의 세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 하부에 결합되고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다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은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상기 중첩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중첩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조절너트 및 상기 세로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 상기 조절너트에 삽입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볼트 하단에는 삽입몸체 및 이 삽입몸체 하부에 연장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삽입몸체가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리몸체, 상기 결합공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고정체, 상기 다리몸체와 결합하고 내측에 상기 결합부 및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갖는 바닥몸체 및, 상기 다리몸체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풀림방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몸체는 상기 관통공 둘레에 형성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체는 상기 만곡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다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양 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하면에 중첩부를 이루며 직교 결합하고,
    상기 세로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세로프레임과 평행 배치되는 보강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다이.
  3. 삭제
  4. 삭제
KR1020150088464A 2015-06-22 2015-06-22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KR10156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64A KR101565880B1 (ko) 2015-06-22 2015-06-22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64A KR101565880B1 (ko) 2015-06-22 2015-06-22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80B1 true KR101565880B1 (ko) 2015-11-16

Family

ID=5478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64A KR101565880B1 (ko) 2015-06-22 2015-06-22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65B1 (ko) * 2021-01-12 2021-07-27 ㈜동광시스템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구비한 실외기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376B2 (ja) 1999-07-16 2002-11-18 バクマ工業株式会社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台
KR200358678Y1 (ko)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삼일플랜트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376B2 (ja) 1999-07-16 2002-11-18 バクマ工業株式会社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台
KR200358678Y1 (ko) 2004-05-06 2004-08-11 주식회사 삼일플랜트 에어컨의 실외기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65B1 (ko) * 2021-01-12 2021-07-27 ㈜동광시스템 방진 및 완충 기능을 구비한 실외기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965B2 (en) Adjustable bracket for a slide assembly
US10100861B2 (en) Beam clamp for strut channel
US9452690B2 (en) Divided vehicle seat backrest and manufacturing method
JP5458199B1 (ja)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US9103362B2 (en) Fitting for furniture
US20190316351A1 (en) Ceiling structure with increased work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78681Y1 (ko) 아연도금 실외기 다이
KR101565880B1 (ko)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EP3024729A1 (en) Aircraft engine pylon
CN110285121A (zh) 家具***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KR102008888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1383869B1 (ko) 침대프레임 조립구조
KR101169448B1 (ko) 선반 지지체
US7380757B2 (en) Adjustable support for cable tray
US20110020058A1 (en) Device for the forced locking of two elements oriented orthogonally to one another
US20170340115A1 (en) Overturn preventing device
KR102043350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927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JP6340717B2 (ja) 下地材固定金具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3203490U (ja) ベッドの連結構造
KR20120088585A (ko) 유체 제어 장치
JP2006316857A (ja) 伸縮部材の長さ調節機構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