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67B1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67B1
KR101565467B1 KR1020150036496A KR20150036496A KR101565467B1 KR 101565467 B1 KR101565467 B1 KR 101565467B1 KR 1020150036496 A KR1020150036496 A KR 1020150036496A KR 20150036496 A KR20150036496 A KR 20150036496A KR 101565467 B1 KR101565467 B1 KR 10156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nchor
plate
uni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남
Original Assignee
김홍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남 filed Critical 김홍남
Priority to KR102015003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67B1/ko
Priority to PCT/KR2016/002324 priority patent/WO20161484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28Elements with sockets receiving adjustable or removal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의 상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 및 상기 체결부 중 일측의 외주에 결합되는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판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편의 단부에 철근을 끼움결합하는 걸림후크부가 형성된 보조 스페이서장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complex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건축물의 형태에 맞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지주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콘크리트가 건조 및 경화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된 건축물의 천장에는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며, 상기 앵커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인서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1)는 하면에 앵커홈이 형성되며, 인서트(1)의 하단을 거푸집의 바닥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c)를 주입 및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하여 노출된 앵커홈에 앵커(a)를 결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덕트, 천장판 골격, 전기배선 등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a)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천장판 골격을 따라 천장판을 결합하면 천장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1)는 앵커(a)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은 높았지만, 콘크리트(c)의 표면부에 앵커(a)가 직접 접촉 및 지지되므로, 앵커(a)에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균열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발생된 균일은 내부로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 인서트(1)에 대한 결합력이 약화되었으며, 콘크리트(c)의 지지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거푸집과 인서트(1) 하면 사이에 이물질로 인해 틈이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앵커홈의 내부로 콘크리트(c)가 쉽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유입된 콘크리트(c)를 제거하기 위해 앵커홈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앵커(a)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로 측부로 돌출되는 이음 철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측벽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음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했으므로 구멍으로 인해 거푸집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의 지지력 증가를 위해 콘크리트(c)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에는 거푸집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철근 배근을 위해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앵커(a) 설치를 위한 인서트(1),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를 각각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자재비용 및 설치기간이 소모되어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된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c) 내부에 불필요한 장치들이 삽입되어 콘크리트(c)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건물의 용도나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상이하므로 그에 따라 변경된 철근의 배근 간격에 맞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 타설시에 타설면의 수평을 확인하여 타설된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높이가 표시된 막대 등의 레벨러를 사용하였다. 이때, 바닥면 상태나 타설 높이에 맞는 여러가지 치수로 별도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긴 치수의 제품을 당해 시공의 치수에 맞게 제단하여 설치해야 했다. 또한, 긴 치수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설 후 돌출된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등 작업상의 불편함을 발생시켰다.
이처럼, 콘크리트(c) 타설시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인서트(1),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등을 별도로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 설계 및 시공이 복잡화됨과 아울러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85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의 상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상기 지지몸체부 및 상기 체결부 중 일측의 외주에 결합되는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판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편의 단부에 철근을 끼움결합하는 걸림후크부가 형성된 보조 스페이서장치; 및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에 1차 타설 후 2차 타설의 기준이 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강자성체 재질의 보조레벨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이한 직경의 철근이 호환하여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의 상면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면부에 형성되는 판재부착식 고정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공체결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승강몸체부는 판재에 고정된 지지몸체부의 내부에서 승강되어 레벨링지지부를 콘크리트 타설 기준면으로 제공하되 체결부를 따라 승강되는 보조 스페이서장치에 철근이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콘크리트 높이/철근 배근 높이에서 철근 스페이서 및 레벨러의 기능을 호환 제공하여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 설계 및 준비 단순화로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정렬되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판재에 정렬되어 고정된 판재부착식 고정대의 결합홈에 지지몸체부의 하부를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간편하게 결합하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 상기 판재의 분리시 상기 판재에 부착된 판재부착식 고정대도 함께 분리되어 재활용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정렬하는 준비과정을 생략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지지몸체부 및 상기 체결부 중 어느 일측의 외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스페이서장치의 걸림후크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구비되되, 상기 걸림후크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바디부의 외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철근이 간편하게 걸림되어 고정되므로 호환성이 우수하다.
넷째,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에는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강자성체 재질의 보조레벨부재가 자력에 의해 간편하게 부착되어, 1차 타설 후 차음시트를 적층한 후 2차 콘트리트 타설의 기준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 스페이서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 스페이서장치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기설정되는 앵커의 배치지점에 설치되어, 타설 후 각종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앵커가 삽입 및 결합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앵커 설치 외에도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러 등을 대체하여 호환 사용될 수 있으며, 순차적인 콘크리트 타설 시공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되어 시공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는 지지몸체부(50), 승강몸체부(20), 판재부착식 고정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부(50)는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51)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51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5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지만 성형가공의 용이성 및 소재비용 절감을 위해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 POM) 등의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앵커가 결합되는 승강몸체부(20)를 판재(p) 내지 판재부착식 고정대(60)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콘크리트(c)의 양생 후 판재 내지 판재부착식 고정대(60)를 철거하게 되면 경화된 콘크리트(c)의 하면으로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중공체결홀(51)이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몸체부(50)는 하나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확장되는 길이 범위의 증가를 위해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지지몸체부(50)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는 상호 나사 결합되고, 내부몸체의 내부를 따라 중공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체결부(20a)와 레벨링지지부(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0a)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된다. 상기 체결부(20a)의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51a)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21)이 형성되며, 하부측 내부에는 앵커의 나사산이 체결되는 앵커결합홈(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20a)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의 상부 개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중공체결홀(51)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0a)의 상부측 제2나사산(21)은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콘크리트(c)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요철 형상을 통한 맞물림 결합으로 콘크리트(c)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결합홈(22)은 상기 체결부(20a)의 하부을 따라 형성되고, 콘크리트(c) 양생 후 판재(p)가 분리되면, 개방된 상기 중공체결홀(51)의 하부 개구를 통해 앵커가 삽입되어 상기 앵커결합홈(2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결합홈(22)의 내주에는 앵커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반적인 천장시공에 사용되는 표준치수의 직경으로 구비된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결합홈(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결합홈(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c)의 하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단부에 천장에 시공되는 각종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링지지부(20b)는 상기 체결부(20a)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24)은 상기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의 기준면으로 기능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빌링지지부(20b)는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외부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다각 단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에는 선택적으로 자력에 의해 간편하게 착탈되는 강자성체 내지 영구자석 재질로서 2차, 3차의 순차적인 타설높이를 설정하는 보조레벨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상승 높이가 제한적이므로, 콘크리트의 설계된 타설 높이가 높이 설정된 경우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에 상기 보조레벨부재(80)를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의 1차 타설라인(L)을 따라 1차 콘크리트 타설 후 1차 타설된 면의 상면에 층간소음방지용 완충고무 재질의 차음시트(20c)를 적층하고 그 위에 추가로 상기 보조레벨부재(80)의 상단면을 따라 2차 콘트리트 타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음시트(20c)는 층간 소음을 방지하는 차음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20b)는 콘크리트(c)의 내부에 삽입되되, 돌출된 부분의 하면이 콘크리트(c)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상기 승강몸체부(20)가 앵커에 설치된 구조물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경화된 콘크리트(c)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어 직접 앵커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기계적 강도 및 피로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폴리아세탈 등의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나 앵커에 대한 지지력 등으로 고려하여 강철(steel)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앵커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기 승강몸체부(2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되, 상기 승강몸체부(20)를 지지하는 지지몸체부(50)는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단단한 구조력을 제공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 및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상부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와의 경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40) 및 수축 및 팽창지수재 링(4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 순차적인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소음완충/방진패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하면에 수축 및 팽창지수재 링(45)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40)가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이 상기 콘크리트(c)의 외부로 노출시에는 소음완충고무로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2차 타설 전에 그 상면에 소음방진시트 및 배수판(77)을 올려 공사함으로써 2차 타설된 구조체에 대한 소음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위치가 상하수도 배관 등이 위치된 부엌이나 욕실 등 누수 발생 영역인 경우에 상기 체결부(20a)의 상단에는 고무나 실리콘,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의 수축 및 팽창지수재 링(45)이 개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축 및 팽창지수재 링(45)은 누수가 발생된 경우 팽창하며 상기 콘크리트와의 경계부를 더욱 정확하게 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벨링지지부(20b)가 상기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누수에 취약한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레벨링지지부(20b) 사이의 경계부를 밀폐하여 수분 유입으로 인한 승강몸체부(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경화된 콘크리트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균열을 발생시키고 기발생된 균열은 쉽게 내부로 전파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와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경계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므로 시공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의 상면부에 피스 내지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의 상면부에는 상기 지지몸체부(50)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부(50)의 하부가 상기 결합홈(61)에 억지끼움되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는 상기 판재(p)와 함께 분리되어 다른 영역의 시공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는 콘크리트와 접착성이 낮은 합성수지 내지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의 시공을 위한 판재(p)의 상면에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의 배치 위치를 정렬하는 복수개의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가 이미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다수의 다른 시공영역에서 사용되도록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가 이미 고정되어 재활용되는 상기 판재에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끼움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생략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
더욱이, 지지몸체부(50)의 하면이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에 의해 커버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에서 상기 중공체결홀(51) 내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공체결홀(51)과 연통된 앵커결합홈(22) 내부가 깨끗하게 유지되어 앵커를 상기 앵커결합홈(22)에 손쉽게 삽입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판재(p)를 분리하면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도 동시에 분리되어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중공체결홀(51)이 하측으로 노출되어 앵커 체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의 하단부에 억지끼움되도록 삽입되는 끼움돌기(62)가 돌출된다. 즉, 상기 지지몸체부(50) 하단부의 외주는 상기 결합홈(61)의 내주에 밀착되고, 상기 끼움돌기(62)의 외주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의 하부측 내주에 밀착되어 상호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지지몸체부(50)를 결합홈(61)에 삽입 후 하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정렬위치에 맞게 끼움 결합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몸체부(50)가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재(p)는 콘크리트를 부어 형성할 모양의 틀을 형성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판재(p)는 일반적인 건축시공 시에 콘크리트 양생 후 분리 및 철거를 통해 재사용되는 거푸집에서 콘크리트 주입면을 따라 이형제가 도포된 판재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판재(p)는 합판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는 거푸집과 달리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구조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부(50) 및 상기 체결부(20a) 중 어느 일측의 외주에는 보조 스페이서장치(70)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는 바디부(71), 연장판(72), 그리고 걸림후크부(74a,74b)를 포함하여 사출성형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71)는 상기 지지몸체부(50) 및 상기 체결부(20a) 중 어느 일측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71)의 하부에는 연장판(7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판(72)의 테두리 상면부에 돌출된 돌출편(73)의 단부에는 철근을 끼움결합하는 걸림후크부(74a,74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72)는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는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보강용 철근(s)을 별도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묶어 결합하는 대신에 상기 걸림후크부(74a,74b)에 간편하게 상기 판재(p)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철근(s)의 정렬 및 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철근(s)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측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설정된 피복두께 이상으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20a)의 제2나사산(21)에는 스페이서몸체부(30)가 나사 체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의 상면부에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가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의 내주에는 상기 제2나사산(21)과 나사 결합되는 체결홀(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를 상기 체결부(20a)를 따라 회전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의 바디부(71)의 내주에 상기 체결부(20a)의 제2나사산(21)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를 생략하고 상기 바디부(71)를 상기 체결부(20a)를 따라 회전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0a)의 외주에 형성된 제2나사산(21)의 상단부에는 상기 바디부(71) 등의 상단 테두리가 걸림되어 추가적인 상승을 구속하는 스토퍼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25)는 상기 바디부(71) 상단의 상승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철근(s)이 과도하게 상승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에 철근(s)을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로 앵커 인서트, 레벨러, 철근 스페이서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74a,74b)는 상기 연장판(72)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편(73)으로부터 내측으로 다단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다단으로 돌출된 걸림후크(74a,74b) 각각의 돌출된 높이 및 폭을 상호 상이하게 형성되어 상이한 직경의 철근이 호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측의 걸림후크(74a,74b) 내부로는 중간 사이즈의 철근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측 및 하측의 걸림후크 사이로는 철근 규격에 따른 다양한 사이즈의 철근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71)와 하측 걸림후크(74a) 사이로도 대형 사이즈의 철근이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74a,74b)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으로 구비되되, 상기 걸림후크(74a,74b)가 돌출된 방향이 상기 바디부(71)의 외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철근이 간편하게 걸림되어 고정되므로 호환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하나의 연장판(72)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후크가 구비된 돌출편(72)은 상호 동일할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호 높이가 다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후크가 구비된 돌출편(72)의 형성개수도 상기 각 연장판(72) 테두리의 각 면에 2개소 내지 4개소 등으로 가변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판재(p)가 설치되면,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정렬하여 판재부착식 고정대(60)를 부착하고,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60)의 결합홈에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의 하부를 억지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점별로 배치된 장치에서 승강몸체부를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까지 승강시켜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을 타설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응되는 철근 배근 높이까지 승강시켜 고정하고, 전술된 걸림후크에 철근(s)을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스페이서장치(70)는 체결부(20a) 및 지지몸체부(50) 각각의 외주에 구비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철근을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 상기 판재(p)의 분리시 상기 판재(p)에 부착된 판재부착식 고정대(60)도 함께 분리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다른 시공영역에서 상기 판재(p)의 재활용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를 배치시 위치 정렬을 위한 준비과정을 생략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의 판재부착식 고정대(60)에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를 결합하고 승강몸체부 및 보조 스페이서장치를 승강시켜 다양한 두께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 철근 배근 높이에 대응하여 레벨러, 철근 스페이서의 기능을 호환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될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인서트 등의 여러 장치를 별도로 보관하고, 시공시마다 각 장치를 필요한 만큼 준비하며, 부족한 장치는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조달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제거함으로써 한종의 장치만 구비하여 시공 상황에 따라 호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철근이 지지될 위치, 콘크리트 높이를 측정할 위치, 앵커가 설치될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로 통일된 장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내부 삽입물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종래의 인서트 a: 앵커
c: 콘크리트 p: 판재
s: 철근 10: 인서트장치
50: 지지몸체부 51: 중공체결홀
51a: 제1나사산 20: 승강몸체부
20a: 체결부 20b: 레벨링지지부
21: 제2나사산 22: 앵커결합홈
30: 스페이서몸체부 40: 덮개부
45: 수축 및 팽창지수재 링 60: 판재부착식 고정대
61: 결합홈 70: 보조 스페이서장치
74a,74b: 걸림후크 77: 배수판

Claims (5)

  1.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의 상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상기 지지몸체부 및 상기 체결부 중 일측의 외주에 결합되는 바디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판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편의 단부에 철근을 끼움결합하는 걸림후크부가 형성된 보조 스페이서장치; 및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에 1차 타설 후 2차 타설의 기준이 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강자성체 재질의 보조레벨부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이한 직경의 철근이 호환하여 결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의 상면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상면부에 형성되는 판재부착식 고정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부착식 고정대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공체결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끼움돌기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5. 삭제
KR1020150036496A 2015-03-17 2015-03-17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56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96A KR101565467B1 (ko) 2015-03-17 2015-03-17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PCT/KR2016/002324 WO2016148428A1 (ko) 2015-03-17 2016-03-09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96A KR101565467B1 (ko) 2015-03-17 2015-03-17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467B1 true KR101565467B1 (ko) 2015-11-04

Family

ID=5460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496A KR101565467B1 (ko) 2015-03-17 2015-03-17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5467B1 (ko)
WO (1) WO201614842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20A (ko) * 2017-01-09 2018-07-18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의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KR20180081917A (ko) * 2017-01-09 2018-07-18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
KR102265607B1 (ko) * 2020-12-21 2021-06-15 임병준 철근 받침 장치
KR102310266B1 (ko) * 2021-03-31 2021-10-08 우광티엔씨(주)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KR102381592B1 (ko) * 2020-10-21 2022-03-31 김정래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0015A9 (en) 2018-11-09 2022-06-09 Anchor Ring Solutions, Llc Construction ancho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ology of use
US11332936B1 (en) 2019-11-12 2022-05-17 Newtonoid Technologies, L.L.C. Rebar support chair
WO2021231613A1 (en) * 2020-05-12 2021-11-18 Anchor Ring Solutions, Llc Construction anchor apparatus and methodology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028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200232396Y1 (ko) * 2001-01-29 2001-11-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받침대
KR101426500B1 (ko) * 2014-05-20 2014-08-05 김홍남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25A (ja) * 1996-07-04 1998-01-20 Koken Sangyo Kk インサート取付治具及びインサート取付方法
KR100921204B1 (ko) * 2008-10-09 2009-10-13 강신주 단열재용 인서트
JP2014173372A (ja) * 2013-03-12 2014-09-22 Haruo Sakamoto 熱媒体パイプホルダー及び該ホルダーを用いて鉄筋コンクリート床を造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396Y1 (ko) * 2001-01-29 2001-11-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받침대
KR200246028Y1 (ko) 2001-06-12 2001-10-29 김진술 콘크리트용 레벨봉
KR101426500B1 (ko) * 2014-05-20 2014-08-05 김홍남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920A (ko) * 2017-01-09 2018-07-18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의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KR20180081917A (ko) * 2017-01-09 2018-07-18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
KR101952389B1 (ko) * 2017-01-09 2019-02-26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의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KR101952388B1 (ko) * 2017-01-09 2019-02-26 김상문 내진용 옥내소화전
KR102381592B1 (ko) * 2020-10-21 2022-03-31 김정래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WO2022085907A1 (ko) * 2020-10-21 2022-04-28 김정래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102265607B1 (ko) * 2020-12-21 2021-06-15 임병준 철근 받침 장치
KR102310266B1 (ko) * 2021-03-31 2021-10-08 우광티엔씨(주) 유닛블록 설치용 기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유닛블록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8428A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JP5792880B1 (ja)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KR101630238B1 (ko)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CA2977565A1 (en) Concrete form system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441938B1 (ko) 빗물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00117288A (ko) 콘크리트 타설 레벨러
KR101426500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25511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41943B1 (ko) 반자동체결부와 체결안착부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96578B1 (ko) 거푸집 지지 웨일러
KR102184769B1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322581B1 (ko) 철근 및 행거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101426498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101639311B1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102381592B1 (ko) 콘크리트 내설용 철근스페이서 일체형 다용도 복합 인서트장치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KR101706135B1 (ko) 측방 지지형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