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363B1 -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 Google Patents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363B1
KR101564363B1 KR1020150080528A KR20150080528A KR101564363B1 KR 101564363 B1 KR101564363 B1 KR 101564363B1 KR 1020150080528 A KR1020150080528 A KR 1020150080528A KR 20150080528 A KR20150080528 A KR 20150080528A KR 101564363 B1 KR101564363 B1 KR 10156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rod
des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60121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6436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to KR102015008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책상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선택적으로 회절 조절시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높낮이 조절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원터치 방식을 구현함으로 누구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조절된 각도의 안정된 고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게 하는 등 책상 사용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Desk with a height and angle adjus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책상 사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라 함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책을 읽거나 쓰는 과정에 있어서 안정된 자세를 유도함으로 피로감을 덜해주면서 집중력의 향상을 도와주게 된다.
한편, 이러한 통상의 책상은 상판이 구비되고, 그 상판의 양측은 상판을 일정 높이로 유지 고정시켜주기 위한 지지대가 구비된다.
즉, 사용자는 상판의 높이에 맞는 의자를 구비하여 앉은 자세에서 상판에 책을 올려놓고 읽거나 글을 쓰게 된다.
한편, 이러한 책상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한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사용함으로 그 집중력의 향상과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은 항시 고정된 외형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어린이나 청소년으로 하여금 그 신체조건이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어릴때 사용되는 책상은 성장시 높이 등이 맞지 않아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과 이에 따른 새로운 책상을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까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책상은 항시 상판이 평행한 고정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사용자는 책을 읽을때나 글을쓸때 항시 목을 구부려 아래로 내려보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척추 및 목 부분에 무리를 주어 쉽게 피로감이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 출원공개 1995-0022589호와 같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353767호와 같은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들은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완전 수동 조절 구조를 가지는 것인바, 높이를 조절시 항시 양측 다리를 번갈아 가면서 조절하여야 하는 거인바, 그 사용상의 매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또한 수동 조절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인바, 어린이로 하여금 무거운 상판의 작동이 힘들어 그 사용항의 불편함이 있는 등 사용상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공개 제1995-0022589호.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3537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 책상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선택적으로 조절시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높낮이 조절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원터치 방식을 구현함으로 누구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조절된 각도의 안정된 고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책상 사용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책상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수단과, 승강수단과, 상판과, 유동판 조절수단로 구성하되,
지지수단은, 바닥에 지지되는 양측 한 쌍의 지지바와, 각각의 지지바로부터 수직 입설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간격유지부재가 감싸여진 한 쌍의 고정관과, 상기 각각의 고정관을 감싸며 간격유지부재를 통해 간격이 유지되는 한편, 고정관을 가이드로 하여 상,하 슬라이딩 승강되는 승강관과, 양측 승강관의 중간부를 연결 지지하는 한편 상부가 개방된 수납함으로 구성하며,
승강수단은, 각각의 고정관 상단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너트체;
각각의 승강관의 내측 상부에 축설대가 형성되어, 상부가 축설대에 축설되고, 하부가 상기 너트체에 나삽 및 고정관 내측에 수용되는 나사봉;
각각의 나사봉 상부에서 승강관을 관통 및 회전되며, 외측단에는 공구결합부가 형성된 회전조절봉;
각각의 승강관에 형성된 양측 회전조절봉을 연결하는 연결관;
각각의 승강관의 내측에서 나사봉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기어와, 회전조절봉에 형성되는 한편, 수평기어와 치합되는 수직기어로 구성되어 회전조절봉의 회전력을 나사봉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주는 베벨기어; 및
어느 하나의 회전조절봉의 공구결합부에 착탈 결합되어 회전조절봉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판은, 양측 승강관의 상단을 연결하며 일측 하부에는 문구류의 수납이 가능한 서랍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타측에서 "ㄱ" 형으로 따내여져 분리 형성되며 저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이 형성된 유동판으로 구성하며,
유동판 조절수단은, 고정판의 후방 저면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축설판;
양측 축설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편, 회전이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
몸통이 고정판의 후방 저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몰로드가 회전축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에 회동력을 가지게 연결되며, 유동판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작동레버를 통해 유압 또는 공압이 작동하여 회전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완충쇼바;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되, 후단이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간에는 연결판으로 연결되는 스윙링크;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되, 후단이 축설판에 제1 힌지로 축설되는 가이드링크;
각각의 후방 하부가 스윙링크의 선단에 제2 힌지로 축설되고, 상부가 가이드링크의 선단과 유동판의 연결브라켓 사이에 형성되게 제3 힌지로 축설되며, 가이드링크의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원호형 가이드공이 형성된 양측 한 쌍의 가이드판; 및
양측 가이드판의 가이드공 및 유동판의 연결브라켓 전방을 관통하는 한편 일단은 일측 가이드공의 외측에 지지링으로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가이드공의 외측으로 돌출 및 가압링이 감싸지는 한편 일측으로 돌출되는 캠이 형성된 가압레버가 핀 결합되는 연결봉과, 양측 연결브라켓의 사이에서 연결봉을 감싸면서 양단이 연결브라켓에 밀착되는 간격유지관으로 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판과 유동판의 연결브라켓의 대항면에는, 가이드판의 가이드공 주변으로 가이드공의 호형을 따라 요철 형태의 가압부재를 더 형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은, 책상의 다리 양측 내부에 승강수단이 구비되고, 그 양측의 승강수단은 서로 연동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측에서 누구나 쉽게 레버를 조절시 연동 작동에 의한 상판의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 및 안정된 승강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판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유압 또는 공압 작동하는 쇼바구조를 가지고 있어, 누구나 간편하게 원터치 작동이 가능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정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조절된 각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판의 일부만의 조절로 인해 경사 및 수평상태의 겸용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사용 효율성이 현격히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유동판 조절수단을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승강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유동판 고정수단을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각도 조절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의 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1)은, 지지수단(100)과, 승강수단(200)과, 상판(300)과, 유동판 조절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100)은, 먼저, 바닥에 지지되도록 책상의 전,후방 폭방향 길이를 가지는 양측 한 쌍의 지지바(1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지지바(110)에는, 그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입설되는 내부가 중공된 고정관(12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관 상부 및 하부 둘레에는 간격유지부재(121)가 감싸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고정관(120)에는, 그 고정관(120)을 감싸는 승강관(130)이 형성된 것으로, 승강관(130)은 고정관(120)을 가이드로 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고정관(120)의 외둘레와 승강관(130)의 내주면은 간격유지부재(121)를 통해 일정 간격이 유지되며, 이때 간격유지부재(121)는 고정관(120)의 슬라이딩에 간섭되지 않도록 고정관(120)과 소정 이격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측 승강관(130)은, 그 중간부가 판체가 절곡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납함(140)으로 연결되어 그 연결 지지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200)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승강관(130)의 상,하 슬라이딩 승강을 단속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각각의 고정관(120)의 상단 내측에는 너트체(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관(120) 및 승강관(130)의 내측에는 상기 너트체(210)에 나삽되어 승강관(130)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봉(220)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봉(2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승강관(130)의 내측 상부에는 축설대(221)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나사봉(220)의 상단이 축설대(221)를 상부로 관통하며 축설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고정관(120)의 너트체(210)에 나삽 및 고정관(1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나사봉(220) 상부에는 회전조절봉(230)이 형성된 것으로, 회전조절봉(230)은, 승강관(130)을 책상(1)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봉(220)의 상단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한편, 베어링(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통해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회전조절봉(230)의 외측 단부에는 그 회전조절봉(23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공구결합부(231)가 형성된 것으로, 공구결합부(231)는 각홈 또는 각돌기 등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승강관(130)을 관통하는 회전조절봉(230)은, 양측 승강관(130)의 사이에서 연결관(240)을 통해 연결되어 어느 한 측을 회전시 동일한 회전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봉(220)과 회전조절봉(230)은 서로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통상의 베벨기어(250)를 통해 상기 회전조절봉(230)에 회전력을 부여시 그 회전력이 나사봉(220)으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이때, 베벨기어(250)는, 먼저 나사봉(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기어(251)와, 승강관(130)의 내측에서 회전조절봉(230)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기어(251)와 치합되는 수직기어(252)로 구성되며, 회전조절봉(230)에 회전력을 부여시 그 회전력이 수직기어(252)로부터 수평기어(251)로 전달되어 회전 방향이 변경되며, 이로 인해 나사봉(220)에 회전력이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조절봉(23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레버(260)가 형성된 것으로, 회전레버(260)는 일단에 상기 공구결합부(231)와 결합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어느 한 측의 회전조절봉(230)의 공구결합부(231)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상기 승강수단(200)은, 회전레버(260)를 이용하여 어느 한 측의 회전조절봉(230)에 형성된 공구결합부(231)에 결합 및 수직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되면, 그 회전조절봉(230)과 베벨기어(250)로 연결된 나사봉(220)에는 수평 회전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이에, 나사봉(220)은 고정관(120)의 너트체(210)의 나사체결력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상승 및 하강되고, 이에, 승강관(130)에 연결된 하기하는 상판(300)의 상,하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레버(260)는 어느 한 측의 회전조절봉(230)의 공구결합부(231)에 착탈 결합 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가능하며, 어느 한 측의 회전조절봉(230)에 회전력이 부여되게 되면 또다른 측의 회전조절봉(230) 또한 동일한 회전력이 부여되어 상판(300)의 양측의 안정된 승강력이 부여되게 된다.
상기 상판(300)은, 상기 양측의 승강관(130)을 연결하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판(300)은, 고정판(310)과 유동판(320)으로 구분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고정판(310)은, 그 저면 양측에 상기 승강관(130)의 상단이 고정되게 구성되며, 그 일측 하부에는 문구류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서랍(3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동판(320)은, 상기 고정판(310)의 타측에서 평면상 "ㄱ" 형태로 따내어져 분리 형성된 것으로, 양측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3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300)의 유동판(320)에는, 전방에서 폭방향 상단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326)이 형성되고, 중앙이 함몰 형성된 필기구 수납대(325)가 형성되고, 그 필기구 수납대(325)에는 가이드레일(326)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양측 한 쌍의 슬라이딩 덮개(327)가 형성되며, 슬라이딩 덮개(327)의 전방에는 "자"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눈금(328)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유동판(320)의 양측에는 필기구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홈(329)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판 조절수단(400)은, 상기 고정판(310)과 분리된 유동판(320)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유동판(320)의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유동판 조절수단(400)은,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고정판(310)의 후방 저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축설판(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 축설판(410)은 회전축(420)을 통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회전축(420)은 그 양단이 축설판(410)에 축설되어 자유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20)의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완충쇼바(430)가 형성된 것으로, 완충쇼바(430)는, 통상의 유압 또는 공압 작동에 의해 출몰로드(431)의 출몰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면 가능하다.
이때, 완충쇼바(430)는, 그 몸통이 고정판(310)의 후방 저면에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연결시에는 소정의 회동력을 가지도록 힌지(도면중 미도시함)를 통해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쇼바(430)의 출몰로드(431)는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되, 이를 위해 회전축(420)에는 브라켓(421)이 돌출 형성되어 그 브라켓(421)에 출몰로드(431)가 소정의 회동력을 가지도록 힌지(도면중 미도시함)를 통해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판(320)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완충쇼바(430)의 작동을 단속하는 작동레버(435)가 형성된 것으로, 작동레버(435)는 완충쇼바(430)와 케이블(도면중 미도시함) 등으로 연결되어 완충쇼바(430)의 유압 또는 공압의 작동을 단속하며, 이러한 유압 및 고압의 작동은 통상의 쇼바 작동구조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회전축(420)에는 스윙링크(440)가 연결 형성된 것으로, 스윙링크(440)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된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 한 쌍으로 구성 및 연결판(441)을 연결되며, 각각의 스윙링크(440)는 그 후단이 상기 회전축(420)의 양측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회전축(420)과 함께 회전 작동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축설판(410)에는 가이드링크(450)가 연결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링크(450)는 "ㄴ" 형태로 절곡 형성된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가이드링크(450)는 그 후단이 상기 축설판(410)에 회동력을 가지도록 제1 힌지(401)로 축설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측의 스윙링크(440)와 가이드링크(450)의 선단은 판체 형태를 이루는 양측 한 쌍의 가이드판(460)이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가이드판(460) 후방 하부에 상기 스윙링크(440)의 선단이 제2 힌지(402)로 축설되게 연결되게 구성되고, 후방 상부가 상기 가이드링크(450)의 선단이 제3 힌지(403)로 축설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크(450)와 가이드판(46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도 함께 연결되게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판(460)은 가이드링크(450)와 연결브라켓(321)의 사이에 내재된 상태에서 제3 힌지(403)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판(460)에는 상기 가이드링크(450)와 연결브라켓(321)이 연결된 제3 힌지(403)를 축으로 하여 원호 형태를 이루는 장공형 가이드공(461)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고정판(310)과 유동판(320)은 유동판 조절수단(4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한편, 유동판(320)의 상,하 승강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유동판(320)에 형성된 작동레버(435)를 작동시켜 완충쇼바(430)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출몰로드(431)의 자유 출몰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동판(320)에 외력을 가해 전방 상부로 회동 상승시키게 되면, 스윙링크(440)와 가이드링크(450)를 함께 당기게 되는 것이바, 이에, 스윙링크(440)는 회전축(420)을 축으로 스윙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가이드링크(450)는 그 스윙 작동을 안내하며, 완충쇼바(430)의 출몰로드(431)는 인출되게 된다.
이후, 작동레버(435)의 작동을 해제하게 되면, 완충쇼바(430)에는 압력이 부여되는 거인바, 출몰로드(431)가 인출된 상태로의 고정력이 부여되어 유동판(320)의 상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동판 조절수단(400)에는 고정수단(470)이 더 형성된 것으로, 고정수단(470)은, 도 2를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유동판(320)의 각도 조절 및 고정력이 부여되게 한다.
즉, 고정수단(470)은, 먼저, 연결봉(471)이 구성된 것으로, 연결봉(471)은 양측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 및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 전방을 관통하게 되며, 그 일단에는 지지링(472)이 형성되어 일측의 가이드판(460)에 형성된 가이드공(461)의 외측에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타단은 타측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 외측으로 둘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연결봉(471)의 돌출부는 고무재로 된 가압링(473)이 감싸지게 구성되는 한편, 일측이 볼록하게 돌출된 캠(474)이 형성된 가압레버(475)가 측부로부터 핀(476) 결합되어 회동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수단(470)에는 간격유지관(477)이 형성된 것으로, 간격유지관(477)은 양측 연결브라켓(321)의 사이에서 연결봉(471)을 감싸는 한편, 양단이 양측 연결브라켓(321)에 접하게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판(460)과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 대항면에 대하여,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 주변에는 그 가이드공(461)의 호형을 따라 요철 형태의 가압부재(4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470)은, 유동판(320)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유동판(320)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과 연결된 연결봉(471)이 제3 힌지(403)를 축으로 하여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을 따라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그 유동판(3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유동판(3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압레버(475)는, 그 캠(474)의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가압링(473)에는 가압력이 부여되지 않아 가이드판(460)으로부터 연결브라켓(321)의 자유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는 가압레버(475)를 핀(476)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캠(474)이 가압링(473)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양측의 가이드판(460)에는 압력이 부여되어 연결브라켓(321) 측으로 밀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판(460)이 연결브라켓(321)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그 가이드판(460)에 형성된 요철 형태의 가압부재(462)가 연결브라켓(321)을 가압하게 되는 것인바, 그 고정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상판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상판 전체의 높이 조절과 유동판의 높이 조절이 각각 가능하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100 : 지지수단 110 : 지지바
120 : 고정관 121 : 간격유지부재
130 : 승강관 140 : 수납함
200 : 승강수단 210 : 너트체
220 : 나사봉 221 : 축설대
230 : 회전조절봉 231 : 공구결합부
240 : 연결관 250 : 베벨기어
251 : 수평기어 252 : 수직기어
260 : 회전레버
300 : 상판 310 : 고정판
311 : 서랍 320 : 유동판
321 : 연결브라켓 325 : 수납대
326 : 가이드레일 327 : 덮개
328 : 눈금
400 : 유동판 조절수단 410 : 축설판
420 : 회전축 430 : 완충쇼바
431 : 출몰로드 435 : 작동레버
440 : 스윙링크
441 : 연결판 450 : 가이드링크
460 : 가이드판 461 : 가이드공
470 : 고정수단 471 : 연결봉
472 : 지지링 473 : 가압링
474 : 캠 475 : 가압레버
476 : 핀 477 : 간격유지관

Claims (5)

  1. 책상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수단(100)과, 승강수단(200)과, 상판(300)과, 유동판 조절수단(400)로 구성하되,
    지지수단(100)은, 바닥에 지지되는 양측 한 쌍의 지지바(110)와, 각각의 지지바(110)로부터 수직 입설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간격유지부재(121)가 감싸여진 한 쌍의 고정관(120)과, 상기 각각의 고정관(120)을 감싸며 간격유지부재(121)를 통해 간격이 유지되는 한편, 고정관(120)을 가이드로 하여 상,하 슬라이딩 승강되는 승강관(130)과, 양측 승강관(130)의 중간부를 연결 지지하는 한편 상부가 개방된 수납함(140)으로 구성하며,
    승강수단(100)은, 각각의 고정관(120) 상단 내측에 고정 형성되는 너트체(210);
    각각의 승강관(130)의 내측 상부에 축설대(221)가 형성되어, 상부가 축설대(221)에 축설되고, 하부가 상기 너트체(210)에 나삽 및 고정관(120) 내측에 수용되는 나사봉(220);
    각각의 나사봉(220) 상부에서 승강관(130)을 관통 및 회전되며, 외측단에는 공구결합부(231)가 형성된 회전조절봉(230);
    각각의 승강관(130)에 형성된 양측 회전조절봉(230)을 연결하는 연결관(240);
    각각의 승강관(130)의 내측에서 나사봉(220)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기어(251)와, 회전조절봉(230)에 형성되는 한편, 수평기어(251)와 치합되는 수직기어(252)로 구성되어 회전조절봉(230)의 회전력을 나사봉(22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주는 베벨기어(250); 및
    어느 하나의 회전조절봉(230)의 공구결합부(231)에 착탈 결합되어 회전조절봉(23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레버(26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판(300)은, 양측 승강관(130)의 상단을 연결하며 일측 하부에는 문구류의 수납이 가능한 서랍(311)이 형성된 고정판(310)과, 상기 고정판(310)의 타측에서 "ㄱ" 형으로 따내여져 분리 형성되며 저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321)이 형성된 유동판(320)으로 구성하며,
    유동판 조절수단(400)은, 고정판(310)의 후방 저면 양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축설판(410);
    양측 축설판(41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편, 회전이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420);
    몸통이 고정판(310)의 후방 저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출몰로드(431)가 회전축(4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421)에 회동력을 가지게 연결되며, 유동판(3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작동레버(435)를 통해 유압 또는 공압이 작동하여 회전축(42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완충쇼바(430);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되, 후단이 회전축(4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간에는 연결판(441)으로 연결되는 스윙링크(440);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되, 후단이 축설판(410)에 제1 힌지(401)로 축설되는 가이드링크(450);
    각각의 후방 하부가 스윙링크(440)의 선단에 제2 힌지(402)로 축설되고, 상부가 가이드링크(450)의 선단과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 사이에 형성되게 제3 힌지(403)로 축설되며, 가이드링크(450)의 제3 힌지(403)를 중심으로 원호형 가이드공(461)이 형성된 양측 한 쌍의 가이드판(460); 및
    양측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 및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 전방을 관통하는 한편 일단은 일측 가이드공(461)의 외측에 지지링(472)으로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가이드공(461)의 외측으로 돌출 및 가압링(473)이 감싸지는 한편 일측으로 돌출되는 캠(474)이 형성된 가압레버(475)가 핀(476) 결합되는 연결봉(471)과, 양측 연결브라켓(321)의 사이에서 연결봉(471)을 감싸면서 양단이 연결브라켓(321)에 밀착되는 간격유지관(477)으로 된 고정수단(47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판(460)과 유동판(320)의 연결브라켓(321)의 대항면에는, 가이드판(460)의 가이드공(461) 주변으로 가이드공(461)의 호형을 따라 요철 형태의 가압부재(462)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80528A 2015-06-08 2015-06-08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KR10156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528A KR101564363B1 (ko) 2015-06-08 2015-06-08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528A KR101564363B1 (ko) 2015-06-08 2015-06-08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363B1 true KR101564363B1 (ko) 2015-11-06

Family

ID=5460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528A KR101564363B1 (ko) 2015-06-08 2015-06-08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3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597B1 (ko) * 2016-10-12 2017-07-19 (주)엉클톰 측판구동형 높낮이 조절책상
KR20170084994A (ko) * 2016-01-12 2017-07-21 주식회사 한샘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KR101802844B1 (ko) 2016-06-09 2017-11-29 주식회사 유영 탁자 프레임용 다리 고정장치
KR20200082779A (ko) 2018-12-31 2020-07-08 유니콘아이(주)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KR20200083850A (ko) 2018-12-31 2020-07-09 유니콘아이(주) 스마트 데스크
KR20210017608A (ko) * 2019-08-09 2021-02-17 배일규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CN113439932A (zh) * 2021-08-18 2021-09-28 袁乐 一种学习桌的桌面倾斜机构及其学习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4994A (ko) * 2016-01-12 2017-07-21 주식회사 한샘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CN107019334A (zh) * 2016-01-12 2017-08-08 汉森有限公司 能够调节高度及角度的人体工学功能性桌子
KR102056182B1 (ko) * 2016-01-12 2019-12-17 주식회사 한샘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CN107019334B (zh) * 2016-01-12 2020-05-19 汉森有限公司 能够调节高度及角度的人体工学功能性桌子
KR101802844B1 (ko) 2016-06-09 2017-11-29 주식회사 유영 탁자 프레임용 다리 고정장치
KR101756597B1 (ko) * 2016-10-12 2017-07-19 (주)엉클톰 측판구동형 높낮이 조절책상
KR20200082779A (ko) 2018-12-31 2020-07-08 유니콘아이(주) 스마트 데스크의 제어 방법
KR20200083850A (ko) 2018-12-31 2020-07-09 유니콘아이(주) 스마트 데스크
KR20210017608A (ko) * 2019-08-09 2021-02-17 배일규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KR102326841B1 (ko) * 2019-08-09 2021-11-15 배일규 태양광 발전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주택
CN113439932A (zh) * 2021-08-18 2021-09-28 袁乐 一种学习桌的桌面倾斜机构及其学习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363B1 (ko) 상판 높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US8661989B2 (en) Adjustable desk
CN202775011U (zh) 升降式课桌
CN101496679B (zh) 一种可调节高度的书桌
KR100869944B1 (ko) 강의용 책상
CN107550022A (zh) 一种桌板可自动翻转的学习桌
CN208524124U (zh) 一种桌板可自动翻转的学习桌
CN203986715U (zh) 一种用于桌椅高度调整的结构
CN202158320U (zh) 移动底座装置
CN203934831U (zh) 一种倾斜度可调式学习桌
CN111605961B (zh) 通过杠杆原理省力方式抬升的方形花盆搬运装置及方法
CN204909255U (zh) 一种升降杆的滑座结构
CN201714758U (zh) 插接杆固定装置
CN201211238Y (zh) 手术辅助工具的支撑装置
CN210251000U (zh) 蹦蹦床
CN210843118U (zh) 一种ct扫描时平躺患者专用上肢握架
CN208619474U (zh) 内锁伸缩杆及移动台车
CN203969672U (zh) 活动酒车
CN207626888U (zh) 一种可调整座椅
CN107468353B (zh) 一种应用于神经外科手术的臂托
CN201170423Y (zh) 一种可调节支架
CN105232258A (zh) 一种具有头部角度调节板的医疗床
CN205053457U (zh) 一种头部升起式电动床
CN101697848B (zh) 升降桌
CN204618760U (zh) 一种背部能升降的带按摩功能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28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01

Effective date: 201708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