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166B1 -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 Google Patents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166B1
KR101562166B1 KR1020150019264A KR20150019264A KR101562166B1 KR 101562166 B1 KR101562166 B1 KR 101562166B1 KR 1020150019264 A KR1020150019264 A KR 1020150019264A KR 20150019264 A KR20150019264 A KR 20150019264A KR 101562166 B1 KR101562166 B1 KR 10156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able
tube
waterproof tub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식
Original Assignee
신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식 filed Critical 신재식
Priority to KR102015001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점검 후 별도의 작업 수행 없이도 신속하게 방수처리가 가능하여 시공비는 물론 보수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전선 연결부의 외관에 위치되는 방수튜브100)에 있어서,
상기 방수튜브(100)는 내경이 서로 상이한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와, 커넥터 삽입부(30)가 각각 연통되게 형성하고,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들과, 커넥터 삽입부(30)의 내부에는 밀폐수단(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Waterproof tube for cable connecter}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커넥터용 방수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점검 시 테이핑 작업 또는 슬리브 압축 등 일체의 재작업이 필요 없고, 점검 후 별도의 작업 수행 없이도 신속하게 커넥터를 재접속할 수 있어 시공비는 물론 보수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전기 공급을 위한 간선이 보통 지하로 매설되고, 가로등과 같이 전원이 필요한 도로변 시설물들은 지하에 매설된 전력 간선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간선과 가로등 등으로 배설된 지선 사이의 결선 또는 간선과 간선 사이의 결선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 가장 일반적인 결선방법은, 두 전선의 끝단의 피복을 각각 적당한 길이로 제거하여 도선을 노출시킨 다음, 이를 서로 꼬아 연결하고 이 연결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아 외부와 절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결선방법은 작업자의 품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므로 작업성이 매우 나쁘고, 테이핑 부분의 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절연테이프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신축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므로, 작업자의 테이핑 작업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절연테이프의 노화 또는 침수 등의 이유로 접착력이 떨어져 쉽게 훼손되므로, 전선과 절연테이프 사이로 물기가 침투하여 누전이나 합선 또는 감전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전선의 보수 작업이나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작업 시에는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배선의 통전 및 누전 상태를 검사하게 되는데, 테스터기의 리드봉을 전선에 접속시키려면 테이핑 부분을 벗겨내야 하고, 검사가 끝나면 또 다시 절연을 위한 테이핑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결선방법은 하나의 관 형상으로 된 실리콘 튜브(5)를 이용하는 작업 방법이 알려져 있다.(도 1)
상기 기술은 전선의 결속 연결부위에 탄성이 있는 방수 재질의 외피를 씌워주는 것이어서 방수 문제는 해결되는 장점이 있으나, 보수 작업이나 유지관리를 위해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점검 작업을 할 때에는 실리콘 튜브를 벗겨내야 하는데, 실리콘 튜브는 전선의 결속 연결부위에 강한 탄력으로 밀착되어 있어 벗겨내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실리콘 튜브를 벗겨낸 후 슬리브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점검을 하고, 다시 슬리브를 재압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재료를 낭비하는 것은 물론 점검 시에 작업공수가 많아 유지 보수비가 상승되는 등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점검 작업 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79334호(등록일자 2005. 3. 10.)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0-0113819호(공개일자 2010. 10. 22.)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2-0062052호(공개일자 2012. 6. 14.)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82290호(등록일자 2005. 4. 11.)
본 발명의 목적은, 2가지의 전선 굵기에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며, 방수 효율이 매우 높고 외관이 깔끔하도록 된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점검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재료 손실 없이 간단하게 점검 후 복원시킬 수 있어 보수 유지비가 저렴한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는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전선 연결부의 외관에 위치되는 방수튜브(100)에 있어서, 상기 방수튜브(100)는 내경이 서로 상이한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와, 커넥터 삽입부(30)가 각각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들과, 커넥터 삽입부(30)의 내부에는 밀폐수단(40)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폐수단(40)은 방수튜브(100)에 일체로 원형 단면의 돌기로 성형된 링(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41)은 3개가 각각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케이블 삽입부(10)와 제2 케이블 삽입부(20)의 경계면에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단홈(5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방수튜브(100)는 투명한 실리콘재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는 전선의 결속 연결부위를 방수튜브로 완전히 밀폐하므로 누수나 침수에 의한 누전이나 합선 및 감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 시공 후 방수 효율이 매우 높고 외관이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가지의 전선 굵기에도 모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음 시공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점검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재료 손실 없이 간단하게 점검 후 복원시킬 수 있어 보수 유지비가 저렴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종래 실리콘 튜브를 이용한 전선 연결부의 방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케이블 굵기가 가는 양쪽 전선들이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케이블 굵기가 가는 양쪽 전선들이 단자를 통해 연결되고 방수마감 처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케이블 굵기가 굵은 양쪽 전선들이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케이블 굵기가 굵은 양쪽 전선들이 단자를 통해 연결되고 방수마감 처리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예로서 전주와 신호등, 가로등, 간판 및 각종 제어장치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전기 시설물은 빗물에 의해 합선이나 누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선 연결부에는 방수 작업을 필수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수튜브(100)는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전선 커넥터의 외관에 방수 목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전선은 상대적으로 가는 케이블과, 이보다 굵은 케이블 대략 2 종류의 굵기로 설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방수튜브(100)는 이러한 2종류의 케이블 모두 방수기능을 위해 적용될 수 있도록 내경이 서로 상이한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을 단층지게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삽입부(20) 보다 내경이 더 큰 컨넥터 삽입부(30)가 단층지게 각각 연통되게 성형되며, 상기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들과, 커넥터 삽입부(30)의 내부에는 밀폐수단(40)을 더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3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양쪽 케이블(1)들의 이음부에 서로 접속 연결하는 커넥터의 단자(2)(3)들의 외부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제2 케이블 삽입부(20) 보다 큰 내경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는 양쪽 케이블(1)들의 이음부에는 암수 한쌍으로 된 단자(2)(3)가 각각 끝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암 단자(2)의 내부로 숫 단자(3)가 전기 접속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자(2)(3)들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양쪽 전기선을 꼬아서 연결하는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밀폐수단(40)은 방수튜브(100)에 일체로 원형 단면의 돌기형상인 링(41)이 성형되는데, 이 링(41)는 3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또한 제1 케이블 삽입부(10)와 제2 케이블 삽입부(20)의 경계면에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단홈(50)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러한 상기 방수튜브(100)는 주로 투명의 실리콘재로 성형된다.
도 4 및 도 5는 케이블(1)의 굵기가 상대적으로 가는 용도에 본 발명의 방수튜브(100)가 적용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2단으로 서로 다른 내경으로 단층지게 성형되는 제1, 제2 케이블 삽입부(10)(20)들 중에 제1 케이블 삽입부(10)의 치수에 맞는 케이블(1)을 사용하므로 방수튜브(100)의 절단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따라서 제1 케이블 삽입부(10)의 내측으로 성형된 밀폐수단(40)인 원형 단면의 돌기인 링(41)들이 가는 케이블(1)의 외측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밀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양쪽으로 분리된 가는 케이블(1)에 도면에서와 같이 방수 콘넥터(100)들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게 되고, 우선 암수 단자(2)(3)들을 서로 접속하게 되면, 전원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수처리를 위해 양쪽 방수튜브(100)들이 서로 밀착되는 위치까지 약간의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커넥터 삽입부(30)의 내경부에 성형되는 밀폐수단(40)의 링(41)들이 암 단자(2)의 외경부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방수 효과면에서 좋다.
따라서 커넥터 삽입부(30)의 경계위치에 두 방수튜브(100)들이 서로 밀착되고, 케이블(1)과 암 단자(2)의 위치에서는 밀폐수단(40)으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링(41)들이 외경부에서 긴밀하게 밀착하고 있으므로, 방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은 케이블의 경우는 우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가장 끝단부에 위치되는 제1 케이블 삽입부(10)가 형성되는 길이만큼 방수튜브(100)로부터 절단시키게 된다.
방수튜브(100)는 연질로 밀착성이 좋은 재질로 성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케이블 삽입부(10)와 제2 케이블 삽입부(20)의 경계면에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단홈(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위나 절단용 수공구를 이용해 쉽게 절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삽입부(20)의 내측으로 성형된 밀폐수단(40)인 원형 단면의 돌기인 링(41)들이 상대적으로 굵은 케이블(1)의 외측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밀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양쪽으로 분리된 굵은 케이블(1)에 도면에서와 같이 방수튜브(100)들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하게 되고, 우선 암수 단자(2)(3)들을 서로 접속하게 되면, 전원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방수처리를 위해 양쪽 방수튜브(100)들이 서로 밀착되는 위치까지 약간의 힘을 가하여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커넥터 삽입부(30)의 내경부에 성형되는 밀폐수단(40)의 링(41)들이 암 단자(2)의 외경부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방수 효과면에서 좋다.
따라서 커넥터 삽입부(30)의 경계위치에 두 방수튜브(100)들이 서로 밀착되고, 굵은 케이블(1)과 암 단자(2)의 위치에서는 밀폐수단(40)으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돌기(41)들이 외경부에서 긴밀하게 밀착하고 있으므로, 방수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수튜브(100)를 연질의 투명 실리콘으로 제작하여 기밀성이 좋아 방수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가 관찰 가능하게 하여 전원 및 단자들 연결 상태를 쉽게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1)의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타입의 경우에도 탄성 변형되면서 밀폐수단(40)의 돌기(41)들이 긴밀하게 외부면과 접촉되므로 케이블(1)의 종류와 무관하게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또, 작업 대상의 케이블 굵기에 따라 제1 케이블 삽입부(10)에 해당되는 부분을 절단하거나 그대로 적용하여 방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점검하고자 할 때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양쪽 방수튜브(100)들을 이동시켜 암수 단자(2)(3)들의 접점 상태를 점검하고 다시 접속한 후 복귀하는 방법으로 점검 작업이 마무리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재료 손실이나 불편한 작업 공수가 없게 되므로 유지 보수비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의 방수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다양한 전선 굵기에도 적용시킬 수 있고, 작업 후 외관이 깔끔하고 보수 유지비가 저렴한 전선 커넥터용 방수 분야에 적용된다.
1 - 케이블 2 - 암 단자
3 - 숫 단자 100 - 방수튜브
10 - 제1 케이블 삽입부 20 - 제2 케이블 삽입부
30 - 연결부 삽입부 40 - 밀폐수단
41 - 링 50 - 절단홈

Claims (5)

  1. 속이 빈 관 형상으로 전선 연결부의 외관에 위치되는 방수튜브(100)에 있어서,
    상기 방수 튜브(100)는 내경이 서로 상이한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와, 커넥터 삽입부(30)가 각각 연통되게 형성하고,
    제1, 2 케이블 삽입부(10)(20)들과, 커넥터 삽입부(30)의 내부에는 방수튜브(100)에 일체로 원형 단면의 돌기로 성형된 링(41) 형상의 밀폐수단(40)과
    제1 케이블 삽입부(10)와 제2 케이블 삽입부(20)의 경계면에 절단이 용이하도록 절단홈(5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41)은 3개가 각각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튜브(100)는 투명의 실리콘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KR1020150019264A 2015-02-09 2015-02-09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KR10156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64A KR101562166B1 (ko) 2015-02-09 2015-02-09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264A KR101562166B1 (ko) 2015-02-09 2015-02-09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166B1 true KR101562166B1 (ko) 2015-10-20

Family

ID=5440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264A KR101562166B1 (ko) 2015-02-09 2015-02-09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1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05B1 (ko) * 2015-12-31 2016-05-16 (주)더원아이앤씨 Rf 케이블 커넥터용 보호 튜브
CN110676796A (zh) * 2019-10-23 2020-01-10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电缆密封装置
KR20230072634A (ko) * 2021-11-18 2023-05-25 (주)베스라이트 방수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90Y1 (ko) 2004-01-30 2004-04-28 주수영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0854957B1 (ko) * 2008-03-11 2008-08-28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방수모듈을 내장한 초소형 방수 컨넥터
KR101477617B1 (ko) 2014-07-11 2014-12-31 (주)협신통신 케이블 커넥터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90Y1 (ko) 2004-01-30 2004-04-28 주수영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0854957B1 (ko) * 2008-03-11 2008-08-28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방수모듈을 내장한 초소형 방수 컨넥터
KR101477617B1 (ko) 2014-07-11 2014-12-31 (주)협신통신 케이블 커넥터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505B1 (ko) * 2015-12-31 2016-05-16 (주)더원아이앤씨 Rf 케이블 커넥터용 보호 튜브
CN110676796A (zh) * 2019-10-23 2020-01-10 国网电力科学研究院武汉南瑞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电缆密封装置
KR20230072634A (ko) * 2021-11-18 2023-05-25 (주)베스라이트 방수 커넥터
KR102619585B1 (ko) 2021-11-18 2023-12-29 (주)베스라이트 방수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98828B (zh) 一种双电缆t接式安装方法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8002565B2 (en) Waterproof connector kit useful for airfield lighting applications
MXPA05014000A (es) Conector de cordon que tiene un sello resistente al agua.
KR101562166B1 (ko)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US8866014B2 (en) Dead front cable terminal with isolated shield
US2696518A (en) Shielded cable terminal
KR101376294B1 (ko) 전선 커넥터
CN204732629U (zh) 电气设备绝缘快速连接构件
WO2009125113A3 (fr) Ensemble de raccordement electr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ensemble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CN214249520U (zh) 线缆结构及灯具
US2459004A (en) Preinsulated aerial cable tap connector
CN204760567U (zh) 绝缘导线l型连接端子
CN209963293U (zh) 一种绝缘分支线夹及其分支线连接器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US7534961B2 (en) Method of conta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and flexible element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CN2122444U (zh) 潜油(水)电机与电缆联接装置
CN216488580U (zh) 一种多芯电缆防水绝缘接线装置
CN220510417U (zh) 一种不区分公母的电缆防爆快速接头
CN216850519U (zh) 一种单芯电缆连接器
CA2835889C (en) Dead front cable terminal with isolated shield
CN209860170U (zh) 一种绝缘密封分支线连接器
KR200331234Y1 (ko) 전선 연결 멀티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