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033B1 -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 Google Patents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033B1
KR101561033B1 KR1020150007425A KR20150007425A KR101561033B1 KR 101561033 B1 KR101561033 B1 KR 101561033B1 KR 1020150007425 A KR1020150007425 A KR 1020150007425A KR 20150007425 A KR20150007425 A KR 20150007425A KR 101561033 B1 KR101561033 B1 KR 10156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ross
layer
knitting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조원
Original Assignee
(주)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고 filed Critical (주)대고
Priority to KR102015000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0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0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which comprises: a charging layer; and a knitted structure incrustment which is individually placed at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of the charging layer, has a plurality of embossed or engraved patterns, and is partially engaged and coupled by being alternately knitted. The charging layer and the incrustment are individually formed with one or more yarn fibers selected from a group composed of a synthetic fiber which comprises: a natural fiber including cotton, linen, wool, and silk; a regenerated fiber including rayon and acetate; and a single yarn fineness of 0.1 to 1 denier of a polyester superfine fiber, a nylon superfine fiber, and a nylon/polyester complex superfine fiber.

Description

린트 발생이 없는 고 흡수성 크리너{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absorptive cleaner having no lint,

본 발명은 고 흡수성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외피층 내부의 충전층에 의해 흡수성이 향상되고 양각/음각패턴에 의해 원단의 표면적을 극대화시켜 흡수성을 높이고 닦임성을 향상시킨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absorptive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having improved absorbability by a filling layer in an outer skin layer and maximizing a surface area of a fabric by a relief / embossing pattern to improve water absorbency and scrub resistance.

일반적으로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청소용 원단에는 면(cotton)사 또는 폴리에스터 극세사, 나일론 극세사, 폴리에스터/나일론 복합사와 같은 합성섬유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공통된 특성은 모두 우수한 흡수성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특히 극세사로 된 원단에서의 흡수/흡습성은 원단을 형성하는 섬유내부, 섬유 사이 등 섬유집합체에 존재하는 공간에 의해서 그 공간을 통과하는 액체가 소위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섬유소재의 흡수/흡습성은 섬유소재(섬유집합체)내에 존재하는 미세공간에 따라 결정되는 물성 중 하나이다.
In general, cleaning fabrics used for cleaning dust and dirt are mainly made of cotton yarn or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microfiber, nylon microfiber, and polyester / nylon composite yarns. And exhibits absorbency. In particular, the absorption / hygroscopicity of a fabric made of microfibers is based on the fact that a liquid passing through the fiber bundle moves by so-called capillary phenomenon due to the space existing in the fiber aggregate, such as inside the fiber forming the fabric or between the fibers. That is, the absorption / hygroscopicity of the fibrous material is one of the physical propertie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icrospace present in the fibrous material (fibrous aggregate).

이와 같이 흡수성이 우수한 섬유 소재로는 섬유 한 가닥당 1 데니어(denier) 이하의 굵기를 갖는 극세사가 대표적이다. 극세사는 면사나 일반 화학섬유사에 비해 필라멘트 사이에 무수히 많은 마이크로 공간(미세공간)을 포함하고 있어 수분 흡수력은 물론 세탁력, 터치감, 보온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극세사를 소재로 한 행주, 걸레, 타월, 가운 등은 탁월한 세척력과 높은 속건성, 뛰어난 항균성과 내구성 등으로 인하여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무엇보다도 극세사는 찌든 때 등을 흡착시켜 닦아주는데 일반 면 걸레보다 5배 이상 흡수력이 뛰어나며, 그 효율과 수명 또한 일반 면 걸레보다 7∼8배 뛰어나 청소용 원단에 보다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As such a fi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absorbency, a microfiber having a thickness of 1 denier or less per fiber is typical. Microfiber contains many micro spaces (micro space) between filaments compared to cotton yarn or general chemical fiber yarn, and has properties such as washing ability, touch feeling and warmth as well as moisture absorption ability. As a result, cloths, mops, towels, and bathrobes based on microfiber yarns are highly evaluated for their excellent cleaning power, high quick drying propertie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durability. Above all, microfiber absorbs and wipes off stains. It absorbs more than 5 times more than ordinary cotton mop. Its efficiency and life span are also 7 to 8 times better than general mop, so it is more actively applied to cleaning fabrics.

한편,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원단은 통상적으로 루프 조직(loop or curl)을 갖도록 원사를 편성하여 제직하고, 경우에 따라 제직하여 얻어진 루프를 커트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루프 조직을 갖는 직물 구조를 테리파일(terry pile)이라 부르며, 테리파일 원단들은 도 1의 사진 (a)와 같이 원단면에 파일 혹은 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리파일과 같이 원단면에 루프조직의 파일 또는 술(커트된 루프)가 형성된 경우 원단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청소시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abric used for cleaning is usually fabricated by knitting a yarn so as to have a loop or curl, and cutting the loop obtained by weaving the yarn as the case may be. Here, the fabric structure having a loop structure is called a terry pile, and the terry file fabric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file or a thread is formed on a circular section as shown in photograph (a) of FIG. When a looped tissue file or a tuft (cut loop) is formed on a circular cross section like a terry fi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abric increases, and the effect of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 during cleaning is increased.

따라서 청소용 걸레에 적용되는 원단의 경우 극세사를 원사로 하며 테리파일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테일파일 원단은 흡수성이 높고 닦임성이 증대되는 이점은 있으나, 극세사의 굵기가 워낙 얇기 때문에 반복 사용, 반복 세탁 시 테리를 형성하는 실들이 뭉치거나 엉킨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밀림성이 떨어지고, 청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굵기가 얇은 극세사 섬유들이 마찰에 의해 쉽게 끊어지거나 원단으로부터 잘 빠져 나와 피청소면에 오히려 부착하면서 섬유잔여물(린트)을 남기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fabrics applied to a cleaning mop, microfiber yarn is often used as a yarn and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terry file. However, the tail file fabric has a high water absorbency and an increased scrubbing ability.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microfine yarn is so thin, the yarns forming the terry are repeatedly used and repeatedly laundered to form a tangled or entangled state, The cleaning effect is deteriorated. In addition, microfine fibers having a small thickness may be easily broken by friction, or they may escape from the fabric and adher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leaving a fiber residue (lint).

이에 섬유 잔여물을 남기지 않기 위해서는 원단에 루프 조직을 형성하는 대신 고밀도의 민자조직으로 제조하는 것(도 1의 사진(b) 참조)이 유리한데, 이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373554호와 같이 유리전용 청소원단에는 적합할지 모르나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수분 흡수성이 떨어지고 오염물을 흡수하는 성질도 떨어진다.
In order not to leave a fiber residue, it is advantageous to fabricate a high-density filamentary structure (see photo (b) of FIG. 1) instead of forming a loop structure on the fabric. In this cas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3554 , It may be suitable for glass cleaning cloths, but the surface area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water absorption is poor and the property of absorbing contaminants is also low.

이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339806호에서는 마찰계수가 상이한 융착섬유영역과 비융착섬유영역을 형성하여 청소가 용이한 극세사 시트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716623호에서는 외측은 극세사로 이루어져있고 내측부분은 분섬사로 되어 있는 커트 루프조직의 원단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극세사 원단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문헌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섬유잔여물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우수한 흡수성을 갖는 청소용 극세사 원단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해결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9806 discloses a microfiber sheet which is easily cleaned by forming a fused fiber region and an unfused fiber region having different friction coefficient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16623, Discloses a fabric of cut loops that is made of microfiber and the inner part is a fibrillated yarn. Despite the existence of variou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microfiber fabrics, the demand for microfiber fabrics for cleaning with excellent absorbency is still a challenge.

본 발명은 원단의 표면에 테리파일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원단의 표면적을 극대화함은 물론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섬유의 잔여물(린트)이 피청소면에 부착되지 않아 닦임성이 우수한 크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er that maximizes the surface area of a fabric without improving the surface of the fabric and improves water absorbency and removes residuals of fibers (lin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충전층; 및 상기 충전층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위치하되 다수의 양각 또는 음각패턴을 형성하며 교차편직되어 서로 부분적으로 맞물려 결합된 편직구조의 외피층을 포함하는 크리너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cked bed; And an outer layer of a knitted structu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ing layer, respectively, and forming a plurality of embossed or engraved patterns and cross-knitted and partially engaged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충전층 및 외피층은 각각 면, 마, 울 및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재생섬유; 및 단사 섬도가 0.1 내지 1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극세사, 나일론 극세사 및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ling layer and the outer covering layer each include natural fibers including cotton, hemp, wool, and silk; Regenerated fibers including rayon and acetate; And synthetic fibers including polyester microfine yarns having a single yarn fineness of 0.1 to 1 denier, nylon microfine yarns, and nylon / polyester combined microfine yarns.

상기 구현예에 의한 음각패턴은 음각패턴을 형성하는 면적의 총 합이 크리너 전체 단면적의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area of the engraved patter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30 to 60%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eaner.

또한, 상기 구현예에 의한 교차 편직은 웨일(wale)방향 및 코스(course)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나의 교차 편직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음 교차 편직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50개의 루프(loop)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knittin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50 loops from the point where one cross knitting ends to the point where the next cross knitting starts, on the basis of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a wale direction and a course direction or may be formed at an interval within a loop.

본 발명에 따르면, 외피층의 원단에 테리파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섬유의 잔여물(린트)이 피 청소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충전층에 의해 크리너의 흡수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교차편직으로 외피층 표면에 형성된 음각패턴으로 표면적 증대는 물론 이로 인한 닦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e (lint) of the fiber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because the terry pile is not formed on the fabric of the outer layer, and the absorption power of the cleaner can be maximized by the inner filling layer, By the knitt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nd improve the scrubbing due to the engraved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covering layer.

도 1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테리파일 크리너(a) 및 고밀도 극세사 크리너(b)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크리너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전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크리너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크리너에 형성된 다양한 음각패턴(a: 별패턴, b: 나비패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크리너(실시예 1 내지 2)와 기존의 크리너(비교예 1 내지 3)의 닦임성 차이를 보여주는 테스트 결과 사진이다.
도 6은 기존의 테리파일 크리너(비교예 3)을 이용하여 청소한 후 피 청소면에 잔존하는 섬유 잔여물(린트, 붉은 화살표)을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terry pile cleaner (a) and a high-density micro-fiber cleaner (b) which have been used in the past.
2 is a front view showing a layer structure of a clea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layer structure of a clea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showing various engraved patterns (a: star pattern, b: butterfly pattern) formed on a clea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test result showing the difference in scrubbing between the cleaners (Examples 1 and 2) prepa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cleaners (Comparative Examples 1 to 3).
6 is a photograph of a fiber residue (lint, red arrow) remaining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fter cleaning using a conventional terry file cleaner (Comparative Example 3).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크리너는, 충전층(100); 및 상기 충전층(100)의 상부 및 하부면에 각각 위치하되 다수의 음각패턴(300)을 형성하며 교차편직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있는 편직구조의 외피층(200)을 포함한다.
A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ed bed (100); And an outer skin layer 200 of a knitted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engraved patterns 300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ling layer 100 and partial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cross-knitting.

기존 크리너의 기본구조의 경우,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바닥사와 파일사로 구성된 테리파일 구조{도 1의 (a)}이거나 고밀도의 단층구조{도 1의 (b)}였으나, 본 발명의 크리너의 구조는 3중직의 편직구조이므로 테리파일과 같은 볼륨감을 지니면서 표면은 단층구조에서 볼 수 있는 매끄러운 질감을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외피층(200)의 내부에는 충전층(100)이 구비되어 있어 단층의 고밀도 크리너에서 구현할 수 없는 우수한 흡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existing cleaner, as shown in Fig. 1, the terry file structure (Fig. 1 (a)) or the high density single layer structure (Fig. 1 (b) Is a triple-woven knit structure, so it has the same volume feeling as a terry file, and the surface shows a smooth texture that can be seen in a single-layer structure. At the same time, since the filling layer 100 is provided in the outer layer 200, it is possible to realize superior absorbability that can not be realized by a single layer high-density cleaner.

특히, 본 발명의 크리너의 경우 외피층(200)이 충전층(100)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서로 맞물려 부분 교차 편직되면서 단층구조나 테리파일 구조의 극세사 크리너에서는 볼 수 없는 양면대칭의 양각 또는 음각패턴(300)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패턴(300)에 의해 본 발명의 크리너는 자연스럽게 엠보싱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패턴(300)은 충전층과 외피층이 분리되지 않게 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표면적을 넓게 하여 고밀도 단층구조의 크리너와는 달리 닦임성 및 이물질의 탈·부착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ell layers 200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packing laye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forming a double-sided symmetrical embossed or engraved The pattern 300 is formed. By this pattern 300,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aturally have an embossing effect. That is, the pattern 300 not only separates the packed layer and the outer layer, but also increases the surface area, thereby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and removal / attachment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unlike a cleaner with a high density single layer structure.

또한, 기존의 테리파일과 비교할 경우, 본 발명의 크리너는 음각패턴(300)에 의한 표면적 증대를 유도하면서도 표면에 파일사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피 청소면에 파일사에 의한 제 2의 오염물, 즉 린트(lint)의 발생 우려가 없다(도 6 참조).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rry file,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increase of the surface area by the engraved pattern 300, but the pile yarn is not expos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second contaminant by the pile yarn, that is, lint (See Fig. 6).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층 및 외피층은 각각 면, 마, 울 및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재생섬유; 및 단사 섬도가 0.1 내지 1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극세사, 나일론 극세사 및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layer and the covering layer each comprise natural fibers including cotton, hemp, wool and silk; Regenerated fibers including rayon and acetate; And synthetic fibers including polyester microfine yarns having a single yarn fineness of 0.1 to 1 denier, nylon microfine yarns, and nylon / polyester combined microfine yarns.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층(100)은 궁극적으로 크리너의 흡수율이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청소용 원단(크리너)의 경우 수분을 충분히 머금은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 단층구조의 고밀도 크리너의 경우 흡수율이 낮아 청소 중 빈번히 수분을 제공해야 하나 본 발명의 크리너는 내부의 충전층에 의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청소에 유리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layer 100 may ultimately improve the absorption of the cleaner. Most of the cleaning cloths (cleaners) ar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is sufficiently moistened. In the case of the high-density cleaner of the conventional single-layer structure, the water absorption rate is low and the water is frequently supplied during cleaning. Howe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te favorable for cleaning since it can absorb moisture.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층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사 섬도가 0.1 내지 1 데니어(Denier)인 폴리에스터 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로 형성하는 것이 크리너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용이하며, 250 내지 350개의 상기 극세사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를 권축가공한 가연사(false twist yarn)를 상기 충전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연성과 단위 면적당 흡수율 향상을 고려하였을 때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충전층은 별도로 제직하지 않아도 되나, 충전층(100)이 외피층(200)의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여 한 방향으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일방향 배열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ing lay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ing layer is formed of a polyester microfiber or a nylon / polyester composite microfiber having a single fiber fineness of 0.1 to 1 denier in view of improving the water absorption of the cleane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false twist yarn crimped with 250 to 350 microfilaments of the microfine yarn as the filling layer in consideration of flexibility and improvement of absorptivity per unit area.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ing layer 100 is formed so as to be unidirectionally aligned to prevent the filling layer 100 from easily moving in the inside of the outer cover layer 200 to be bundled in one direc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층(200)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단사 섬도가 0.1 내지 1 데니어(Denier)인 폴리에스터 극세사 또는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더욱이 50 내지 100개의 상기 극세사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로 상기 외피층을 형성할 경우, 충분한 흡수율 확보가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필라멘트로 사가공하여 크림프가 부여된 가연사 형태로 외피층을 형성하는 것이 크리너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용이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layer 200 may be formed of polyester microfiber and nylon / polyester composite microfiber having a single yarn fineness of 0.1 to 1 denier, 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urthermore, when the outer layer is formed of 50 to 100 microfilaments composed of the microfine fibers, a sufficient absorption rate can be ensured, and more preferably, the outer lay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false yarn crimped with the multifilament yarn It may be easy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cleaner.

특히, 외피층(200)은 마찰에 의한 외부자극에 쉽게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외피층(200)에 포함된 멀티필라멘트는 50 이상의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져야 마찰에 강해질 수 있으며, 다만 크리너를 형성하는 원단이 지나치게 두꺼워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모노필라멘트의 수는 100개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층(100)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가연사를 이용할 경우, 단위 면적당 흡수율 향상은 물론, 크리너를 형성하는 원단의 유연성이 보다 향상되므로 비틀어 짜는 힘이 빈번히 가해지더라도 사용자의 무리한 힘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outer layer 200 is easily exposed to external stimuli due to friction, the multifilament included in the outer layer 200 should be made of at least 50 monofilaments so that it can become strong against friction. However, the fabric forming the cleaner becomes too thick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monofilaments is 100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false yarn is used as described in the filling layer 100, since the flexibility of the fabric forming the cleaner is improved as well as the absorption rate per unit area is improved, even if twisting force is frequently applied, unreasonable force of the user is not required .

만약,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층이나 충전층을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를 이용하여 형성할 경우, 상기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극세사에서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 3:7 내지 2:8 이고, 극세사 필라멘트당 섬도는 0.13 내지 1.0 데니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동시에 존재하는 소재로서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라 성질이 다른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분할되어 미세공간을 형성하므로 우수한 투습 및 흡습 특성이 발현되며 소프트한 촉감과 고 크리닝(high cleaning)특성을 나타내는데 적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ell layer or the packed bed is formed using nylon / polyester composite microfiber, the mixing ratio of nylon to polyester in the nylon / polyester hybrid microfiber is 3: 7 to 2: 8 by weight , And the fineness per microfiber filament is preferably 0.13 to 1.0 denier. Nylon / Polyester Composite Microfiber is a material in which nylon and polyester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Due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nylon and polyester with different properties are divided to form a microspace, thus exhibiting excellent moisture permeability and hygroscopic properties. And may be suitable for exhibiting high clean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외피층(200)의 편직구조는 15 내지 30의 게이지 수를 갖는 자카드 환편(circular knitting)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게이지 수란, 편직기상의 1 inch 당 바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바늘 밀도, 즉 루프의 밀도를 나타낼 수 있다. 외피층(200)을 편직구조로 직조할 경우 제직구조보다 우수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기의 투과율이 높아 건조가 용이함에 따라 곰팡이나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최종 크리너의 밀도 및 마찰력 등의 성능과 이에 따른 생산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환편구조에서 게이지 수는 20 내지 25인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itted structure of the outer layer 200 may be a circular knitting structure having a gauge number of 15 to 30. Here, the gauge number refers to the number of needles per inch of the knitting machine, which can represent the needle density, i.e., the density of the loop. When the outer layer 200 is woven in a knitted structure, flexibility superior to the weaving structure can be secured, and the permeability of the air is high, so that drying and drying can be easily suppressed.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performance such as the density and the frictional force of the final cleaner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thereof, it is more advantageous that the number of gauges is 20 to 25 in the circular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교차편직은 웨일(wale)방향 및 코스(course)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나의 교차편직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음 교차편직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루프(loop) 50개 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교차편직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300)은 패턴(300)을 형성하는 면적의 총 합이 크리너의 전체 단면적의 30 내지 6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knitting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among a wale direction and a course direction, from a point where one cross-knitting ends to a point where the next cross- the pattern 300 formed by the cross knitting preferably has a total sum of the areas forming the pattern 300 to occupy 30 to 60%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eaner Do.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교차 편직 간격은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으로 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루프 50개 이내)의 간격을 두고 교차 편직이 형성될 경우 패턴(300)에 의한 엠보싱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각패턴(300)이 형성하는 면적의 총 합, 즉 음각패턴(300)이 차지하는 영역은 표면적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전체 단면적의 3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교차 편직에 의해 크리너를 형성하는 원단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 단면적의 6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secting knitting interval can be regarded as an interval between the pattern and the pattern, and when the crossing knitting is formed with the interval (within 50 loops), the embossing effect by the pattern 300 becomes conspicuous . In addition, the total area of the engraved pattern 300, that is, the area occupied by the engraved pattern 300 is preferably 30% or more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in terms of efficiently improving the surface area, and the cross- In order to prevent the flexibility of the fabric to be formed from deteriorating,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does not exceed 60%.

본 발명에서 외피층의 환편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더블 자카드 환편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양면의 외피층을 동시에 편직하면서 위사나 경사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충전층을 투입하고, 부분적으로 외피층의 원사를 서로 교차 편직하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충전층과 외피층이 음각패턴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annular structure of the outer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device such as a double jacquard circular knitting machine. At this time, And the yarns of the outer layer are partially cross-knitted to form a pattern so that the packed layer and the outer layer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engraved pattern.

상기 패턴(300)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모양이나 원, 타원, 회오리, 물고기, 십자, 별, 달, 나비 등의 임의의 도형도 모두 가능하고, 물결무늬, 사선무늬, 체크무늬 등의 라인패턴도 모두 허용되며 다만,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attern 300 may be embossed or embossed and may have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ny other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whirl, a fish, a cross, a star, And line patterns such as a wave pattern, an oblique pattern, and a plaid pattern are all permissibl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se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1 및  1 and 실시예Example 2 2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3:7의 비율을 갖고, 필라멘트당 16분할인 N/P 분할형의 복합 극세사로 이루어진 섬도 150데니어/72필라멘트의 DTY 원사(㈜휴비스)를 더블 자카드 환편기(double jacquard circular knitting M/C)에서 양면 외피층을 각각 편직(게이지 수=20.5G)하면서, 동시에 외피층 사이에 충전층으로서 모노필라멘트당 0.5 데이어인 폴리에스터 극세사로 이루어진 섬도 150데니어/288필라멘트의 DTY 원사를 4합 공기교락(인팅, interlace)한 후, 코스(course)방향으로 투입하여 3중직의 크리너를 제조하였다.
A double jacquard circular knitting (DT) yarn with a fineness of 150 denier / 72 filaments consisting of an N / P split type composite microfiber having a ratio of nylon to polyester of 16 parts per filament of 16 filaments (Having a gage number of 20.5 G) and a DTY yarn having a fineness of 150 denier / 288 filaments made of polyester microfine yarns of 0.5 dia. Per monofilament as a packed layer between four layers of air After interlacing, they were put in the course direction to produce a triple-woven cleaner.

이때, 충전층의 원사가 내부에서 밀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외피층을 형성하는 N/P 분할형의 복합 극세사를 일정간격으로 교차 편직함으로써 외피층과 충전층이 하나의 층으로 서로 결합된 형태의 음각 패턴부를 형성하였다. 또한 3중직의 크리너를 35㎝ X 35㎝로 재단한 후 모서리의 올이 풀리지 않도록 휘갑치기(overlock)하여 마무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별 패턴의 크리너(실시예 1) 및 나비 패턴의 크리너(실시예 2, 양각패턴의 경우 육각형으로 보여짐)를 각각 완성하였다(도 4 참조).
At this time, the N / P split type microfine fibers are cross-knitt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ilament yarn of the packed bed is pushed from the inside so that the envelope layer and the packed bed are combined into one layer, ≪ / RTI > In addition, the triple-stitched cleaner was cut to 35 cm X 35 cm and then overlocked to prevent the edges from loosening. In this manner, a star pattern cleaner (Example 1) and a butterfly pattern cleaner (Example 2, hexagonal shape in the case of a relief pattern) were completed, respectively (see FIG. 4).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및  1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고밀도  2. High density 극세사Microfiber 크리너Cleaner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3:7의 비율을 갖고, 필라멘트당 16분할인 N/P 분할형의 복합 극세사로 이루어진 섬도 150데니어/72필라멘트의 DTY 원사를 일반 환편기(circular knitting M/C) 에서 가로세로 인치(inch)당 루프수가 672 ea/in2(25.9 G/inch)인 밀도를 갖는 고밀도 극세사 크리너(비교예 1)를 제조하였고,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가로세로 인치(inch)당 루프수가 306ea/in2(17.5G/inch)인 밀도를 갖는 고밀도 극세사 크리너(비교예 2)를 각각 제조하였다.
A DTY yarn having a fineness of 150 denier / 72 filaments composed of N / P split type composite microfine yarns having a ratio of nylon to polyester of 16 parts per filament having a ratio of 3: 7 was cut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M / C) A high density microfine cleaner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density of 672 ea / in 2 (25.9 G / inch) per inch was prepared and the number of loops per inch (inches) 2 (17.5 G / inch) density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테리형Terry type 극세사Microfiber 크리너Cleaner

나일론과 폴리에스터가 3:7의 비율을 갖고, 필라멘트당 16분할인 N/P 분할형의 복합 극세사로 이루어진 섬도 150데니어/72필라멘트를 테리사로 하고, 섬도 150데니어/48필라멘트인 폴리에스터 원사를 바닥사로 하여 테리형 극세사 크리너를 제조하였다.
A polyester yarn having a fineness of 150 denier / 48 filaments and having a fineness of 150 denier / 72 filaments composed of N / P split type composite microfine yarns having a ratio of nylon and polyester of 3: 7 and 16 divisions per filament Terry type microfine cleaner was manufactured by using the bottom yar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및  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일반  5. General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를  Fiber 충전층으로As a filling layer 하는  doing 크리너Cleaner

한편,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150데니어/288필라멘트의 0.5de 극세사 폴리에스터 대신 300de의 일반 폴리에스터 섬유를 2합 공기교락(인팅, interlace)한 것을 내부 충전층으로 사용하여 별 패턴의 크리너(비교예 4) 및 나비 패턴의 크리너(비교예 5)를 제조하였다.
On the other hand, a polyester fiber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and 2, except that 300de of ordinary polyester fibers were interlaced with each other in place of 0.5de microfiber polyester of 150 denier / 288 filament, A cleaner of a star pattern (Comparative Example 4) and a cleaner of a butterfly pattern (Comparative Example 5) were produc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흡수성 테스트 1. Absorbency test

크리너의 흡수성을 테스트 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크리너의 건조 중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 다음 1차적으로 상기 준비된 크리너를 물속에 5초 동안 충분히 침지한 후 중량을 측정한 후, 건조 중량을 빼 최대 흡수량을 계산하였고, 2차적으로는 물속에 20분간 침지한 후 압력 2kg.f/cm2, 속도 20cm/sec로 1회 스퀴징하였을 때의 크리너 중량을 측정한 후, 1회 스퀴징 후의 중량과 건조된 상태의 크리너 중량을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흡수율을 계산하였다. 흡수성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반영하였다.In order to test the water absorbency of the cleaner, the dry weights of the cleaners of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respectively measured. Then, the prepared cleaner was immersed in water for 5 seconds, and then the weight was measured. Then, the dry weight was subtracted to calculate the maximum absorption amount. Secondly, the cleaner was dipped in water for 20 minutes, cm 2 and a speed of 20 cm / sec, the weight of the cleaner after one-time squeezing and the weight of the cleaner in the dried state were substituted into the following formula 1 to calculate the water absorption rate. The results for absorbency are reflected in Table 1 below.

식 1)Equation 1)

Figure 112015004372882-pat00001

Figure 112015004372882-pat00001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건조 중량 (g/㎡)Dry weight (g / m 2) 409409 405405 300300 201201 308308 378378 345345 최대 흡수량
(kg/㎡)
Maximum absorption
(kg / m 2)
2.002.00 2.12.1 0.840.84 0.480.48 1.481.48 1.851.85 1.891.89
흡수율 (%)Absorption Rate (%) 300300 330330 180180 150150 280280 240240 20020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 크리너의 경우 3중직으로 제조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동일한 면적에 많은 양의 섬유가 사용되고 이에 따라 건조된 크리너의 중량이 비교예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흡수량은 물론 1회 스퀴징 후 크리너에 잔존하는 수분의 양 또한 비교예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크리너의 경우 기존의 고밀도 크리너 또는 테리형 크리너에 비해 흡수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1, in the case of the cleaners of Examples 1 and 2, since the fabric was made in triplicate, a large amount of fibers were used in the same structurally the same area, and thus the weight of the dried clean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cleaner after one time of squeegee as well as the maximum absorption amount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is, the clea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water absorption rate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high-density cleaner or terry cleaner.

또한, 충전층의 섬유 굵기가 증가할 경우, 단위 면적 또는 부피당 충진되는 섬유 수가 줄어들게 되고 또한 수분이 흡착할 수 있는 섬유의 단위면적이 크게 감소하므로 크리너 전체의 중량 및 흡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In addition, when the fiber thickness of the packed bed is increased,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fibers packed per unit area or volume is reduced and the unit area of the fibers capable of adsorbing moisture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weight and absorbency of the entire cleaner are remarkably decreas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마찰력 테스트 2. Friction Test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외피층을 사용한 비교예 4 및 5의 크리너는 제외하고 실시예 1 및 2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 하기와 같은 마찰력 테스트를 추가로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반영하였다.
Except for the cleaners of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using the same outer layer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al force test as described below was further performed on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 유리표면 위에서 wet상태의 시편에 200g의 압력을 가한 후, Sliding Force(A kgf)를 측정한 후, 하기 환산식(식 2)에 따라 환산하여 마찰계수를 계산한다.- Apply a pressure of 200 g to the wet specimen on the glass surface, measure the sliding force (A kgf), and calculate the fri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Equation 2).

식 2) Equation 2)

Figure 112015004372882-pat00002

Figure 112015004372882-pat00002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마찰력 (μk)Frictional force ([mu] k ) 0.660.66 0.650.65 0.650.65 0.510.51 0.620.62

마찰계수는 피 청소면에 대한 밀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값으로서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게 되는지에 대한 척도가 되므로 마찰계수를 통해 청소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실험예 2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크리너의 경우 마찰력은 기존의 극세사 크리너(비교예 1 내지 3)과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크리너용으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a value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it is a measure of how much force is applied. Therefore,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confirmed by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2 shown in Table 2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frictional force of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valent to that of conventional microfine cleaners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was expected to b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3. 닦임성Scrub 테스트 Test

닦임성 테스트도 마찬가지로 실시예와 동일한 외피층을 사용한 비교예 4 및 5의 크리너는 제외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크리너의 청소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60℃의 온수에 커피믹스와 분산염료(red, Dystar)를 각각 물 100중량부 대비 30중량부 및 2중량부로 혼합하고 완전히 녹게 배합한 후 약 30분간 실온에 방치하여 오염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오염원을 온도 25℃, 상대습도 50 내지 60%의 항온 상습실에서 유리에 10㎛의 두께로 케스팅(Casting)한 후, 5분뒤 오염원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닦임성 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이때, 테스트에 사용된 크리너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의 것으로 사용하였다.
The scrub test was also conducted except for the cleaners of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which used the same outer layer as the example. In order to confirm the cleaning power of the cleaners of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first, 30 parts by weight of coffee mix and disperse dye (red, Dystar) And the mixture was completely dissolved.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30 minutes to prepare a contamination source. The prepared contamination source was casted to a thickness of 10 μm on glass in a temperature and humidity room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to 60%. After 5 minu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amination source was not completely dried, And so on. At this time, the cleaner used in the test was completely dried.

상기 건조상태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크리너를 모터가 연결된 롤러(Roller)에 감고, 롤러가 유리판을 누르는 압력이 1kg/cm2가 되도록 공기 압축 조절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부여하였다. 그 다음 롤러를 72rpm의 회전 속도 및 250mm/sec의 하강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유리판을 와이핑(wiping)하고 오염물의 잔여 정도를 확인하였다.
Embodiment of the dry Examples 1 to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close the three-cleaner of the roller (Roller) The motor is connected, the roller is assigned a pressure using a pneumatic regulator so that the pressure pressing the glass sheet is 1kg / cm 2 Respectively. The glass plate was then wiped while the rollers were being moved at a rotational speed of 72 rpm and a falling speed of 250 mm / sec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remaining.

닦임성 테스트 결과는 하기 도 5와 같았다. 육안으로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듯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오염물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았으나 실시예 1 및 2의 크리너의 경우 깨끗하게 닦여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3의 크리너를 사용한 경우 오염물은 깨끗하게 제거되었으나, 표면을 확대하여 관찰해 본 결과 오히려 도 6과 같이 유리표면에 섬유잔여물(린트)이 남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 청소면의 표면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The results of the scrubbing test were as shown in Fig. As can be clear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pollutants were not wiped cleanly, but in the case of the cleaners of Examples 1 and 2, they were clearly wiped clea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the cleaner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contaminants were removed cleanly, bu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enlargement of the surface, a fiber residue (lint) remained on the glass surface as shown in FIG. 6 and 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cleaned surface was cleaned .

즉, 본 발명의 크리너의 경우, 표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표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내부 충전층에 의해 흡수력이 향상되므로 비교예 1 및 2와 같은 고밀도 크리너에 비해 청소력이 우수할 수 있는 것이며, 비교예 3과 같이 외부에 테리파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섬유잔여물이 피 청소면에 잔존하게 될 우려도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area can be widened by 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absorption power can be improved by the inner filling layer, so that the cleaning power can be excellent as compared with the high density cleaner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that the fiber residue remain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s in Comparative Example 3 because no terry pile was formed on the outside.

100: 충전층 200: 외피층
300: 외피층의 교차편직에 의해 형성된 패턴
100: filling layer 200: outer layer
300: pattern formed by cross-knitting of the outer layer

Claims (3)

일방향 배열된 다수의 섬유사를 포함하는 충전층; 및
상기 충전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되, 상하 대칭인 다수의 양각 및 음각패턴을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교차편직되어 결합된 편직구조의 외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층은 외피층 사이 형성된 공간을 채우면서 외피층의 교차편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충전층 및 외피층은 각각 면, 마, 울 및 실크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재생섬유; 및 단사 섬도가 0.1 내지 1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극세사, 나일론 극세사 및 나일론/폴리에스터 복합 극세사를 포함하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섬유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너.
A packed bed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ly arranged fiber yarns; And
And an outer shell layer of a knitted structure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cked bed to form a plurality of vertically symmetrical embossed and engraved patterns and partially cross-
The filling layer is fixed by cross-knitting of the outer layer while filling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layers,
Wherein the filling layer and the covering layer each comprise natural fibers including cotton, hemp, wool and silk; Regenerated fibers including rayon and acetate; And synthetic fibers including polyester microfine fibers having a single fiber fineness of 0.1 to 1 denier, nylon microfibers and nylon / polyester hybrid micro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또는 음각패턴은 패턴을 형성하는 면적의 총 합이 크리너의 전체 단면적의 30 내지 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mbossed or engraved pattern is such that the total sum of areas forming the pattern is 30 to 60%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편직은 웨일(wale)방향 및 코스(course)방향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나의 교차편직이 끝나는 지점에서 다음 교차편직이 시작되는 지점까지 50개의 루프(loop)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knitting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the wale direction and the course direction, the interval within 50 loops from the point where one cross knitting ends to the point where the next cross knitting starts, . ≪ / RTI >
KR1020150007425A 2015-01-15 2015-01-15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KR1015610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25A KR101561033B1 (en) 2015-01-15 2015-01-15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425A KR101561033B1 (en) 2015-01-15 2015-01-15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033B1 true KR101561033B1 (en) 2015-10-16

Family

ID=5436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425A KR101561033B1 (en) 2015-01-15 2015-01-15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0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1551A (en) * 2018-10-17 2019-02-22 苏州迈思德超净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ust-free cleaning cloth and its production method with high wicking capacity
CN112626688A (en) * 2020-12-05 2021-04-09 浙江流庆纺织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starry sky clo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448B1 (en) 2012-03-23 2013-06-19 포르모사 세인트 요세 코퍼레이션 Foot mat of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448B1 (en) 2012-03-23 2013-06-19 포르모사 세인트 요세 코퍼레이션 Foot mat of automobi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1551A (en) * 2018-10-17 2019-02-22 苏州迈思德超净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ust-free cleaning cloth and its production method with high wicking capacity
CN112626688A (en) * 2020-12-05 2021-04-09 浙江流庆纺织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starry sky cloth
CN112626688B (en) * 2020-12-05 2022-06-21 浙江流庆纺织有限公司 Preparation process of starry sky clo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1875C (en) Cleaning cloth for cleaning dirty surfaces
JP2709340B2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16623B1 (en) Fabric with the cut loo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210036B2 (en) Screen wiping cloth and screen cleaning tool
JP2006515905A (en) Textile finishes containing fluorochemicals exhibiting wash-resistant soil release and moisture absorption properties
KR101561033B1 (en)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US20140041141A1 (en) Textile with Ribs on One Side, Smooth on the Other
WO2009082136A1 (en)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JP2697151B2 (en) Towel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1062377A (en) Wiping cloth
JP2009247789A (en) Cleaner
JP5210029B2 (en) Screen wiping cloth and screen cleaning tool
EP3199676B1 (en) Cleaning cloth produced using a fabric having cut loops
EP2398370B1 (en) Long-lasting mop
KR101609326B1 (en) Yarn for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609328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JP2009160212A (en) Towel
US10697093B2 (en) Linear textile structure
KR102028454B1 (en) High-functional cleaning pad having scrub function and high absorbency function
CN214056761U (en) Fluffy towel cloth
JP2904548B2 (en) Double knitted fabric with pile
KR101453246B1 (en) Detachable antibiosis mop
JPH0745583Y2 (en) Double-sided pile knitted fabric
JPH0745585Y2 (en) Napped knitted fabric
JP2706305B2 (en) Wiping cloth and method for removing oily dir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