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26B1 -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 Google Patents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26B1
KR101560226B1 KR1020150079306A KR20150079306A KR101560226B1 KR 101560226 B1 KR101560226 B1 KR 101560226B1 KR 1020150079306 A KR1020150079306 A KR 1020150079306A KR 20150079306 A KR20150079306 A KR 20150079306A KR 101560226 B1 KR101560226 B1 KR 10156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compartment
teblock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진
Original Assignee
(주)태양광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광창호 filed Critical (주)태양광창호
Priority to KR102015007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09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hollow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호에 설치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창호에 삽입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소음 및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 난방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창문틀의 하부 내측에 모헤어가 삽입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나, 이는 전미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하는 것은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으나 소음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상부 양측에는 모헤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격실구조를 이루는 지지부와, 상부면을 이루며 라운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 수개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하측 선단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역사다리꼴을 이루고, 상기 부착부 하측 선단은 경사형성된 측면이 직선상을 이루는 제1접촉단 또는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2접촉단 또는 다단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3접촉단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지지부의 외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레일의 내측면에 타측은 지지부 외측면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밀착부와; 레일과 지지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와; 부착부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창문틀의 레일 사이에 결합된 티블럭에 상기 창문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모헤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빗물, 소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기밀성 및 작동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광하협구조를 이루는 부착부에 의해 티블럭이 레일 사이에 용이하게 밀착삽입되고, 창틀의 하부 양측면에 단턱을 형성하여 티블럭을 삽입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시, 오토밸런싱 기능에 의해 삽입된 티블럭을 센터로 위치시킴으로써 위치 부적합으로 인한 기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이루는 이중 격실구조를 이루어 티블럭의 뒤틀어짐을 방지하고, 구분 형성된 하측의 제2격실에 창틀의 내측에서 결로에 의해 생기는 물기 또는 넘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기밀성과 배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T block for window frame within auto balancing}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호에 설치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창호에 삽입결합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소음 및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 난방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호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틀(10)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레일(10a)에 창문틀(1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착되는데, 상기 창문(11)은 하측에 상기 레일(10a)에 안착하여 구름 운동하는 로울러(11a)가 결합되는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2)의 양 내측면에는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모헤어(13)가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창문틀(11)이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개폐될 때 수용홈(12)의 내측에 구비된 모헤어(13)의 선단이 레일(10a)의 양 측면에 접촉되어 이송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어느 정도 저지할 수 있으나 빗물이나 소음은 차단하지 못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창호에 설치되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창호에 삽입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먼지나 소음 및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 난방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은 창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상부 양측에는 모헤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격실구조를 이루는 지지부와, 상부면을 이루며 라운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 수개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하측 선단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역사다리꼴을 이루고, 상기 부착부 하측 선단은 경사형성된 측면이 직선상을 이루는 제1접촉단 또는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2접촉단 또는 다단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3접촉단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내측면과 지지부의 외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은 레일의 내측면에 타측은 지지부 외측면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밀착부와; 레일과 지지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완충부와; 부착부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문틀의 레일 사이에 결합된 티블럭에 상기 창문틀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모헤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빗물, 소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창문의 기밀성 및 작동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광하협구조를 이루는 부착부에 의해 티블럭이 레일 사이에 용이하게 밀착삽입되고, 창틀의 하부 양측면에 단턱을 형성하여 티블럭을 삽입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시, 오토밸런싱 기능에 의해 삽입된 티블럭을 센터로 위치시킴으로써 위치 부적합으로 인한 기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를 이루는 이중 격실구조를 이루어 티블럭의 뒤틀어짐을 방지하고, 구분 형성된 하측의 제2격실에 창틀의 내측에서 결로에 의해 생기는 물기 또는 넘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공을 형성함으로써 기밀성과 배수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용 블럭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2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의 사시도,
도 3a 내지 3는 티블럭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는 및 4b는 창틀을 결합 또는 분리상태의 도면,
도 5a 및 5b는 레일에 설치된 단턱에 본 발명의 티블럭이 가압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6c는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티블럭을 개략적으로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상부 양측에는 모헤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부면을 이루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방풍과 방수 및 방음을 위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부착부(21)는 레일(41)(42) 사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가압하여 밀착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 선단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역사다리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광하협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창호 프레임의 모서리가 깔끔하게 마감처리되지 않는 경우 창호용 블럭에서 발생하는 들뜸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21) 하측 선단은 경사형성된 측면이 직선상을 이루는 제1접촉단(21a) 또는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2접촉단(21b) 또는 다단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3접촉단(21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창호용 티블럭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레일(41)(42)에 결합시, 부착부(21)의 선단이 상기 레일(41)(42)의 하부 양측면에 형성된 단턱(43)을 타고 넘어가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창호 작업 현장의 특성상 신속한 작업을 위해 무리한 힘이 가압하는 경우 또는 겨울철에 티블럭이 경화된 경우, 상기 부착부(21) 선단이 파손된 우려성이 높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경사형성된 측면이 직선상을 이루는 제1접촉단(21a) 또는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2접촉단(21b) 또는 다단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3접촉단(21c) 등 몇가지 실시예를 추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고정위한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종래제품에서 레일의 내측 하부에 구멍을 뚫고 고정볼트로 방풍부재(본원발명의 티블럭과 유사한 제품)를 고정시 발생할 수 있는 레일의 하측부 누수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2)의 격실구조는 횡압력에 대한 저항성과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분 형성된 제1격실(22a)과 제2격실(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격실(22b)은 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틀의 내측에서 결로에 의해 생기는 물기 또는 넘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공(도면미표시)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평상시 상기 배수공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격실(22b)에만 체류하고 상승 이동이 차단되어 기밀성이 보완된다.
특히, 상기 제1격실(22a)과 제2격실(2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빈 튜브(tube)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부(2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의한 티블럭(20)은 제작단계에서 발생하는 성형오차에 의해 설치시 하부면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부(21) 하측 선단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역사다리꼴을 이루는게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광하협구조를 이루는 부착부는 레일(41)(42) 사이의 하부면에 빈틈없이 밀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레일(41)(42)의 하부 측면 양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티블럭(20)을 삽입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광하협 구조의 부착부(21)는 단턱을 타고 넘어가면서 삽입되어 별도의 부착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이때, 티블럭(20)이 중심에서 한쪽으로 틀어지게 되면, 틈이 발생하여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부착수단없이 결합하게 되므로 티블럭(20) 삽입후 미세하게 좌우로 유동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에 의해 위치 부적합으로 인한 기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용 티블럭(20)의 지지부(22) 상부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23)(24) 내에 각각 모헤어(30)를 삽입하고, 창틀(40)의 레일(41)(42) 사이에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티블럭(20)의 지지부(22) 상측 삽입홈(23)(24) 내에 설치된 모헤어(30)는 외측으로 향하여 레일(41)(42)에 결합된 창문틀(50)(51)의 외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창문틀(50)(51)은 레일(41)(42)과 접촉하는 내부의 모헤어(50a)(51a)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고, 이어 상기 티블럭(20)에 구비된 모헤어(30)에 의해서 2차적으로도 이물질이나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창문틀(50)(51)의 외측면에 모헤어(30)의 선단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창문틀(50)(51)의 슬라이딩 작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창문틀(50)(51)의 슬라이딩에 따른 작동성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이때, 종래 창호용 블럭은 직사각형의 머리구조로 인해, 조립시 걸림현상이 발생하거나 최상단인 머리부(27)가 파손되어 기밀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측에서 결합되는 창틀이 티블럭(20)의 상측을 손상없이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머리부(27)를 라운드 구조로 형성하였다.
즉, 상기 머리부(26)는 창틀이 타고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양측이 일정한 각도α° 및 β°를 이루도록 경사 형성되고, 상측면은 수평을 이루도록 3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오토밸런싱 기능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경우 또는 겨울철 레일(41)(42)하부와 티블럭(20) 사이에 유입된 물이 동결되어 티블럭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탄성부재(60)를 삽입하여 티블럭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는 일측은 레일(41)(42)의 내측면에, 타측은 지지부(22) 외측면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밀착부(61)와; 레일(41)(42)과 지지부(22)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완충부(62)와; 부착부(21)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부(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부(61)가 압착된 상태로 레일(41)(42)과 지지부(22) 사이에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힘에 의해 티블럭(20)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이, 창틀에 삽입된 상기 탄성부재(60)는 창틀의 전후면 유동을 방지하여, 외부에서 창틀을 강제적으로 해체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수적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0 : 티블럭 21 : 부착부
21a: 제1접촉단 21b: 제2접촉단
21c: 제3접촉단 22: 지지부
22a: 제1격실 22b: 제2격실
23,24: 삽입홈 26 : 머리부
60 : 탄성부재 61 : 밀착부
62 : 완충부 63 : 안착부

Claims (7)

  1. 창틀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상부 양측에는 모헤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격실구조를 이루는 지지부와, 상부면을 이루며 라운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 수개의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21)의 하측 선단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역사다리꼴을 이루고, 상기 부착부(21) 하측 선단은 경사형성된 측면이 직선상을 이루는 제1접촉단(21a) 또는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2접촉단(21b) 또는 다단 라운드상을 이루는 제3접촉단(21c)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41)(42)의 내측면과 지지부(22)의 외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삽입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60)는 일측은 레일(41)(42)의 내측면에 타측은 지지부(22) 외측면에 가압밀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파형돌기가 형성된 밀착부(61)와; 레일(41)(42)과 지지부(22)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완충부(62)와; 부착부(21)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41)(42)의 하부 양측면에는 단턱(43)이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21)의 선단에 형성된 제1접촉단(21a) 또는 제2접촉단(21b) 또는 제3접촉단(21c)는 상측에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단턱(43)을 타고 넘어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의 격실구조는 횡압력에 대한 저항성과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구분 형성된 제1격실(22a)과 제2격실(2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격실(22b)은 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틀의 내측에서 결로에 의해 생기는 물기 또는 넘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실(22a)과 제2격실(22b)은 내측이 빈 튜브(tube)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부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6)는 창틀이 타고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양측이 일정한 각도α° 및 β°를 이루도록 경사 형성되고, 상측면은 수평을 이루도록 3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6. 삭제
  7. 삭제
KR1020150079306A 2015-06-04 2015-06-04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KR10156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306A KR101560226B1 (ko) 2015-06-04 2015-06-04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306A KR101560226B1 (ko) 2015-06-04 2015-06-04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26B1 true KR101560226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306A KR101560226B1 (ko) 2015-06-04 2015-06-04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26B1 (ko) * 2018-11-15 2020-02-03 선민구 창호
KR102505343B1 (ko) * 2022-05-27 2023-03-06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50B1 (ko) * 2007-05-17 2008-07-08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1421247B1 (ko) * 2013-08-22 2014-07-22 윤정록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550B1 (ko) * 2007-05-17 2008-07-08 김순석 창문프레임의 보조프레임
KR101421247B1 (ko) * 2013-08-22 2014-07-22 윤정록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26B1 (ko) * 2018-11-15 2020-02-03 선민구 창호
KR102505343B1 (ko) * 2022-05-27 2023-03-06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094B2 (en) Profile element for connecting a vehicle window pane to a cover part and profile element assembly
JP5846159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KR101560226B1 (ko) 오토밸런싱 기능이 구현된 창호용 티블럭
JP6062746B2 (ja) 車両ドアのベルトラインモール
CN108372773B (zh) 用于车辆的开放车顶构造
KR102098344B1 (ko)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구조
KR100941431B1 (ko) 자동차용 도어 로워 웨더 스트립
KR200386973Y1 (ko) 창짝용 유리고정테의 고정구조
CN112622588A (zh) 车门导槽和车辆
KR101679372B1 (ko) 미닫이 창호의 방풍부재 고정장치
JP2005088883A (ja) 平面ガラス窓の取付け方法
KR101989857B1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클램프 및 레일 수직 끼움 구조와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2474340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CN105539107A (zh) 一种替代植绒工艺的新型结构轿车窗导轨密封条
CN204821083U (zh) 一种汽车门窗的密封结构
WO2017138248A1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120001312A (ko) 도어 프레임 조립체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0820442B1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장착구조
KR101001212B1 (ko) 이동성 레일을 갖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2474603B1 (ko) 차량 도어의 드레인 플러그
KR200400850Y1 (ko) 창문용 방음 바람막이
CN215850689U (zh) 一种皮卡导槽密封条
CN219427907U (zh) 一种车门玻璃零阶差升降结构及具有其的车门
CN215751853U (zh) 一种天窗侧围密封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