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39B1 -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39B1
KR101558239B1 KR1020140032103A KR20140032103A KR101558239B1 KR 101558239 B1 KR101558239 B1 KR 101558239B1 KR 1020140032103 A KR1020140032103 A KR 1020140032103A KR 20140032103 A KR20140032103 A KR 20140032103A KR 101558239 B1 KR101558239 B1 KR 101558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pe
filtration
water
filte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9085A (en
Inventor
구자태
김희곤
Original Assignee
김희곤
선일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곤, 선일환경(주) filed Critical 김희곤
Priority to KR102014003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239B1/en
Publication of KR20150109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0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빗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빗물을 이물질과 여과수로 여과하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관,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연결되는 빗물 배수관을 마련하여 유입관의 수평 배관을 여과장치에 대하여 편심되게 연결하여 빗물이 와류에 의해 신속하게 흐를 수 있고, 나선 임펠러에 의해 원심력으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로 용이하게 여과할 수 있으며, 뚜껑의 개폐 동작만으로 여과망 또는 나선 임펠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n inlet pipe eccen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a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by foreign substances and filtration water, a filtration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move the filtration water, And the horizontal pipe of the inflow pipe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filtration device so that the rainwater can flow quickly by the vortex, and the water that has been removed from the rainwater by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spiral impeller is removed, The filter can be easily filtered by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filter net or the spiral impeller can be easily replaced on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lid.

Description

빗물 여과장치{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0001]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

본 발명은 빗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붕 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여과하여 빗물 저장조 등에 수집되게 함은 물론 여과장치의 필터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빗물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filtering rainwater flowing from a roof of a building to be collected in a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빗물은 별도로 모아두지 않는 한 저지대를 따라 호수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강이나 호수로 흘러간 빗물은 농업용수로 활용될 수 있으나 자연적으로 방치할 경우 봄, 가을의 건기와 여름의 장마 등 편차가 심하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바다로 흘러 보내는 것이 대부분이다.Generally rainwater flows into the lake or sea along the lowlands unless it is collected separately. Rainwater flowing into rivers and lakes can be used as agriculture water. However, when left untreated naturally, it is most likely that the spring and fall season and the rainy season in the summer are so deviated that they can not be used properly and flow into the sea.

세계적으로 물 부족 현상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자연환경이 파괴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빗물을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Water shortages are occurring everywhere in the world, and as a result, serious natural environments are destroyed, and measures are being taken to store and utilize rainwater.

특히 국내의 기후 및 지형적인 관계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늦겨울에서 초여름 사이에 용수부족현상을 매년 겪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빗물을 활용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Especially, due to the domestic climate and geographical relationship, most regions suffer water shortage every year from late winter to early summer.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use rainwater.

한편 일부에서는 지하수를 개발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은 지반의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지하 수면의 하강으로 인하여 인근 해역이나 지하수층으로 오염원이 유입되어 지하수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m have adopted the plan to develop groundwater, but the undeveloped groundwater development causes the ground to be weakened due to the cavitation phenomenon of the ground, and due to the descent of the underground water, the pollution source flows into the nearby sea area or groundwater layer, .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건물의 물받이 홈통용 빗물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a basin of a building.

하기 특허문헌 1은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관 내에 이중으로 배수관을 구성하여 그 사이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은 필터를 내부 삽입하여 빗물에 섞인 이물질을 걸러내어 생활용수로 재활용하는 빗물정화장치로서, 상기 배수관은 홈통 하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관, 상기 제1 결합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일측에 빗물저장탱크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마련된 제2 결합관, 상기 제2 결합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단이 제2 결합관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마련된 제3 결합관이 상호 결합되게 구성된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ternally inserting a filter having a narrow diameter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rough a double water pipe in a water pipe for discharging rainwater to filter foreign matter mixed with rainwater and recycle the water as domestic water, A second coupling pi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ipe and having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at one side thereof, a second coupling pip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ipe, And a third coupling pip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ipe.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결합관 하부의 결합부재와 제3 결합관 상단에 삽입 지지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필터는 그 외주연에 원통형의 타공판을 장착 연결 설치하고 있다.
The filter is mounted so as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at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memb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upling pipe and at the upper end of the third coupling pipe, and a cylindrical perforated plate is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빗물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하기 특허문헌 2는 빗물이 유입되는 집수조, 유입된 빗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유동 매체가 충전된 여과조 및 정화된 빗물을 생활용수로 공급하는 공급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빗물정화장치로서, 상기 집수조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집수조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집수조를 협잡물 분리부와 빗물 저류부를 구비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s a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tank into which rainwater flows, a filtration tank filled with a fluid medium so as to purify the introduced rainwater, and a supply tank that supplies purified rainwater to living water, And a screen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floating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provided in the inlet, and the screen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provided with the obstacle separating unit and the rainwater storing unit have.

상기 협잡물 분리부의 하단에는 빗물과 함께 유입된 모래나 자갈 또는 진흙 등과 같은 물질을 모아서 제거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 설치되어 침전물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 저류부에는 빗물 저류부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기와 빗물 저류부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기 및 초기 우수(빗물)를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배수구와 빗물을 여과조로 공급하는 유출구가 마련된다.And a sludge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hopper for discharging the sediment sludg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ludge discharge pip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ludge separating unit, A water level meter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a 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rainwater storage part,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initial rainwater to the sewage pipe and an outlet for supplying the rainwater to the filtration tank.

상기 여과조는 상기 유동 매체가 통과할 수 없는 다수 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 기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부 다공판, 상기 유동 매체가 통과할 수 없는 다수 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판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 하부 다공판을 포함한다.The filtration tank includes an upper porous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at the fluid medium can not pass through, and is vertically movable along a guide column vertically installed in the filtration tank,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lower perforated plate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erforated plate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상부 다공판과 하부 다공판 사이에 충전된 유동 매체에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산기장치, 상기 유동 매체에서 분리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의 하단에 구비된 슬러지 배출관, 상기 상부 다공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 수단을 포함한다.
A sludge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ank to remove contaminants separated from the fluid medium; a sludge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filtration tank to remove contaminants separated from the fluidized medium; And lift means for moving the upper perforated plate upward and downward.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89016호(2004년 10월 20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9016 (published on October 20, 2004)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43415호(2013년 3월 7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43415 (Registered on March 7, 2013)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건물의 물받이 홈통용 빗물정화장치는 건물의 지붕 등으로부터 수직으로 흘러 내리는 빗물을 필터와 타공판으로 된 여과장치에 의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므로 필터 또는 타공판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빗물의 여과를 원활하게 할 수 없으며, 원심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흘러 내리는 빗물에 의한 충격으로 필터가 파손 또는 훼손될 수 있고, 여과장치를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1, the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the basin of the building is designed to filter the rainwater flowing vertically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through the filter and the perforated filter unit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The filtration of the rainwater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filter may be damaged or damaged due to the impact caused by rainwater flowing at a high speed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filtration device can not be replaced.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빗물 정화장치는 협잡물 분리부, 집수조, 여과조 및 공급조로 이루어져 여과장치의 크기가 매우 커지게 되고, 맨홀 뚜껑을 설치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Also, the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composed of the dust separator, the water collecting tank, the filtration tank, and the supply tank, so that the size of the filtration apparatus becomes very large and the manhole cover must be install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심되게 설치된 배관을 거친 빗물이 선회되면서 빗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빗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filtering rainwater while turning rainwater passing through an eccentrically installed pip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으로 유입되는 빗물 중 오염이 심한 빗물을 일정 시간 동안 배수시킨 다음 오염 정도가 낮은 빗물을 여과시키는 빗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drains rainwater having a high contamination among a rainwater flowing into a pip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filters rainwater having a low degree of pollu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나선형 임펠러 및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빗물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place the helical impeller and the fil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는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빗물을 이물질과 여과수로 분리 여과시키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관,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연결되는 빗물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ow pipe connected to one side eccentrically, a filtration device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pipe into foreign matter and filtration water, And a rainwater drain pipe connected to drain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상기 여과장치는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통체,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장착되는 여과망, 상기 여과망의 내부에 외측을 향해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 filter net installe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rainwater, and a spiral impeller formed inside the filter net, the filter being spirally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do.

상기 원통체는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 임펠러는 상기 뚜껑 저면의 고정바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ylindrical body includes a cap covering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helical impeller is integrally fixed to a fixing b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상기 유입관은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소정 높이에 마련되는 차단밸브, 상기 차단밸브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pipe includes a vertically arranged vertical pipe, a shutoff val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pipe, and a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valve.

상기 수직 배관에는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센서에서 빗물의 흐름이 감지된 후 5~10분 이후에 상기 수직 배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nsor for sensing the flow of rainwater is mounted on the vertical pipe, and the shutoff valve closes the vertical pipe after 5 to 10 minutes after the flow of rainwater is sensed by the sensor.

상기 유입관은 상기 여과장치로 유입되는 빗물의 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여과장치의 측면에서 나선형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flow pipe is spirally and eccentrically connected from the side of the filtration device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device.

상기 여과수 배출관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ltrat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wat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에 의하면, 유입관의 수평 배관을 여과장치에 대하여 편심되게 연결하여 빗물이 와류에 의해 신속하게 흐를 수 있고, 나선 임펠러에 의해 원심력으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로 용이하게 여과할 수 있으며, 뚜껑의 개폐 동작만으로 여과망 또는 나선 임펠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ipe of the inflow pipe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filtration device so that the rainwater can flow quickly by the vortex, and the spiral impeller The filter can be easily filtered by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foreign matter, and the filter net or the spiral impeller can be easily replaced only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id.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에 의하면, 빗물의 흐름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차단밸브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지며, 수동 개폐밸브 및 개폐밸브에 의해 빗물의 여과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여 여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rainwater is sensed by a sensor to have a convenience of automatically operating a shutoff valve, and manual or automatic filtration of rainwater is selected by a manual on / off valve and an on- The effect of filtering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확대 단면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는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유입관(10), 상기 유입관(10)으로 유입된 빗물을 이물질과 여과수로 여과하는 여과장치(20),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관(30),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연결되는 빗물 배수관(40)을 포함한다.The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ow pipe 10 eccen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a filtration device 20 for filtering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pipe 10 with foreign matter and filtrate water, A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connected to be moved, and a rainwater drain pipe 40 connected to drain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유입관(10)은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수직 배관(11), 수직 배관(11)의 상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배관(12)을 포함한다.The inflow pipe 10 includes a vertical pipe 11 having a vertically constant length and a horizontal pipe 12 connected horizontally to an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1.

수직 배관(11)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배관으로써 수직으로 형성되며, 수평 배관(12)은 수직 배관(11)의 상부에 연결된다. 수직 배관(11)은 건물의 지붕으로부터 지면까지 설치되는 빗물받이 배관(1) 등에 연결 설치된다.The vertical pipe 11 is vertically formed as a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horizontal pip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1. The vertical pipe 11 is connected to the rainwater collecting pipe 1 installed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to the groun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배관(12)은 수직 배관(11)에 대하여 직각(수평)으로 연결되고, 여과장치(20)에 대하여 일측에서 나선형으로 편심되게 연결된다.2, the horizontal piping 12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horizontal) to the vertical piping 11 and connected spirally eccentrically from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filtration device 20.

이는 수평 배관(12)으로 유입된 빗물이 여과장치(20)를 통과할 때 빗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와류에 의해 유속의 속도를 높여 보다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mooth the flow of the rainwater when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horizontal pipe 12 passes through the filtration device 20, an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flow velocity by the vortex so as to drain more quickly.

이와 달리 수평 배관(12)은 원통체(21)에 대하여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직각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이는 여과장치(20)로 유입된 빗물이 나선 임펠러(23)를 따라 흐르면서 원심력을 가지므로, 빗물에 포함된 모래, 자길, 낙엽 등의 이물질을 충분히 걸러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rizontal pipe 12 may be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ody 21 with reference to a virtual center line. This is because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apparatus 20 has a centrifugal force while flowing along the spiral impeller 23, so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roads, and leav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수직 배관(11)에는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13)가 장착되며, 센서(13)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차단밸브(14)가 마련된다. 이러한 센서(13)는 수직 배관(11)을 통해 흘러 내리는 빗물을 감지하여 차단밸브(14)를 작동되게 한다.The vertical pipe 11 is provided with a sensor 13 for sensing the flow of rainwater and a shutoff valve 1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nsor 13. The sensor 13 senses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vertical pipe 11 and activates the shutoff valve 14.

즉, 센서(13)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센서 또는 빗물 감지판에 빗방울이 떨어져 감지선의 양극 사이가 물기로 채워지면 비가 오는 것으로 판단(간주)하는 레인 센서(rain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13 may be an opera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r a rain sensor for judging (judging) that raindrops are falling on the rainwater detection plate and rain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sensing line is filled with water.

아울러 센서(13)는 수직 배관(11)의 상부에 장착되며, 차단밸브(14)는 센서(13) 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된다. 이는 차단밸브(14)는 센서(13)에서 빗물의 흐름을 감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작동되므로, 수평 배관(12)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13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11, and the shutoff valve 14 is mounted in a position lower than the sensor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shutoff valve 14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ipe 12 since the shutoff valve 14 is operat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sensing the flow of rainwater from the sensor 13.

또한 수직 배관(11)에는 수직 배관(11)의 유로를 수동으로 차단시키는 수동 개폐밸브(15)가 장착된다. 수동 개폐밸브(15)는 차단밸브(14)의 상부에 장착된다.The vertical piping 11 is also equipped with a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15 for manually shutting off the flow path of the vertical piping 11. The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15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valve 14.

즉, 수직 배관(11)에는 센서(13), 차단밸브(14) 및 수동 개폐밸브(15)가 마련되는데, 센서(13)는 수평 배관(12)의 상부에 장착되고, 수평 배관(12)의 하부에 수동 개폐밸브(15)가 장착되며, 수동 개폐밸브(15)의 하부에 차단밸브(14)가 순차적으로 장착된다.The sensor 13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ipe 12 an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ipe 12. The sensor 13, And a shutoff valve 14 is sequentially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15. The manual opening /

차단밸브(14)는 센서(13)에 의해 작동되며, 수동 개폐밸브(15)는 관리자 등에 의해 빗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빗물이 수직 배관(11)을 통해 곧바로 배수되도록 수동으로 조절된다.The shutoff valve 14 is actuated by the sensor 13 and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valve 15 is manually controlled by the manager or the like to selectively block the flow of rainwater or to allow the rainwater to drain directly through the vertical line 11.

아울러 수직 배관(11)의 상단과 하단에는 건물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배관에 연결되도록 플랜지가 마련된다. 이는 기존의 빗물받이 배관(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flange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pipe 11 so as to be connected to existing pipes already installed in the building. This is for the purpose of being installed in the existing rainwater receiving pipe 1.

여과장치(20)는 일정 직경 및 크기를 갖는 원통체(21), 원통체(21) 내부에 장착되는 여과망(22) 및 여과망(22) 내부에 마련되는 나선 임펠러(23)를 포함한다.The filtration apparatus 2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size, a filter net 22 mount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21 and a spiral impeller 23 provided inside the filter net 22.

원통체(21)는 여과망(22) 및 나선 임펠러(23)가 내장되는 적정 크기로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대략 200~500㎜, 길이(높이)가 대략 500~800㎜로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body 21 has an appropriate size in which the filter net 22 and the helical impeller 23 are embedded. The cylindrical body 21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200 to 500 mm and a length (height) of about 500 to 800 mm.

이는 빗물 여과장치의 크기를 빗물받이 배관(1)과 유사한 크기로 마련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 배관(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reason that the size of the rainwater filtration device is provided in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rainwater receiving pipe 1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rainwater receiving pipe 1 already installed.

원통체(21) 내부에는 원통체(21)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여과망(22)이 마련되며, 여과망(22)은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모래, 자갈, 낙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로써,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메시 망 또는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A filter net 22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provided in the cylindrical body 21. The filter net 22 is a filter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gravel, A mesh or non-woven fabric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synthetic resin can be used.

또 여과망(22)의 내부에는 유입관(10)의 수평 배관(12)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빠른 유속으로 흐르도록 나선형으로 된 나선 임펠러(23)가 고정된다. 나선 임펠러(23)는 빗물에 포함된 모래, 자갈, 낙엽 등이 원심력에 의해 여과망(22) 내측에 걸리도록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여과망(22)의 하부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된다.The spiral impeller 23 is fixed inside the filter net 22 so that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pipe 12 of the inflow pipe 10 flows at a high flow rate. The spiral impeller 23 is formed such that sand, gravel, leave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rainwater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so as to be caught by the centrifugal force inside the filter net 22, and the outlet 2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net 22 .

원통체(21)의 외면에는 수평으로 여과망(22)에 의해 여과된 물(여과수)이 배출되도록 여과수 배출관(30)이 연결된다. 또 원통체(21)의 저면에는 여과망(22)의 배출구(24)를 통해 빗물이 배출되도록 빗물 배수관(40)이 연결된다.A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 so as to discharge water (filtered water) filtered horizontally by the filter net 22. The rainwater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 so that rain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4) of the filter net (22).

이러한 여과수 배출관(30)은 여과망(22)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을 저장조(미도시)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여과수 배출관(30)에는 저장조로 이동되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1)가 장착되고, 개폐밸브(31)는 관리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된다.The filtering water discharging pipe 3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3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of water to be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And the on-off valve 31 is manually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빗물 배수관(40)은 여과망(22)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은 빗물이 수직 배관(11)으로 배수되도록 수직 배관(11)에 연결된다.The rainwater draina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11) so that rainwater, which is not filtered by the filter net (22), is drained to the vertical pipe (11).

또 원통체(21)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뚜껑(25)이 마련되고, 뚜껑(25)의 저면에는 나선 임펠러(23)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바(26)가 고정된다.A lid 2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a fixing bar 26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25 so that the helical impeller 23 is integrally fixed. Is fixed.

이러한 뚜껑(25)은 관리자 등이 뚜껑(25)을 열어 여과망(22) 또는 나선 임펠러(2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즉, 뚜껑(25)의 고정바(26)에는 나선 임펠러(23)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뚜껑(25)을 교체함에 따라 나선 임펠러(23)를 교체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과망(22)도 함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The lid 25 allows the manager or the like to open the lid 25 to easily replace the filter net 22 or the spiral impeller 23. [ That is, the spiral impeller 23 is integrally fixed to the fixing bar 26 of the lid 25 so that the spiral impeller 23 can be replaced by replacing the lid 25, Can also be replaced.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 여과장치는 일정 길이로 수직 배관(11)을 형성하며, 수직 배관(11)에는 수평 배관(12) 및 빗물 배수관(40)을 수평으로 연결한다. 이때 수평 배관(12)은 여과장치(20)의 원통체(21)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하거나 원통체(21)의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1 to 3, the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vertical pipe 1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horizontal pipe 12 and the rainwater drain pipe 40 are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vertical pipe 11 Connect. At this time, the horizontal pipe 12 may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of the filtration device 20 or may be connected to a virtual center line of the cylindrical body 21 at a right angle.

즉, 수직 배관(11)에는 수평 배관(12) 및 빗물 배수관(40)을 소정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용접 등으로 고정하며, 수직 배관(11)에는 수평 배관(12)보다 높은 위치에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13)를 설치한다. 이러한 센서(13)는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 또는 빗물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pipe 12 and the rainwater drain pipe 40 are fixed to the vertical pipe 11 by welding or the like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pipe 11, a flow of rainwater A sensor 13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The sensor 13 may be an ope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flow of rainwater or a rain sensor for sensing rainwater.

또 수직 배관(11)에는 센서(13)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차단밸브(14)를 설치하며, 차단밸브(14)의 상부에는 관리자 등에 의해 수직 배관(11)을 개폐시킬 수 있는 수동 개폐밸브(15)를 설치한다.The vertical pipe 11 is provided with a shutoff valve 14 operated by a sensor 13 and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valve 15) is installed.

여과장치(20)는 일정 직경으로 된 원통체(21)를 마련하며, 원통체(21)의 상부에는 수평 배관(12)을 도 2에서와 같이, 원통체(21)의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한다. 이는 수평 배관(12)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와류에 의해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ltration apparatus 2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horizontal pip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21 eccentrically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21 do. This is to allow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horizontal pipe 12 to flow quickly by the vortex.

또 원통체(21)의 내부에는 원통체(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여과망(22)을 분리 또는 결합되게 장착하며, 여과망(22)의 내부에는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나선(helix)형으로 형성된 나선 임펠러(23)를 설치한다.A filter net 2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21 is detachably or internally fitted into the cylindrical body 21 and a helix- A spiral impeller 23 is formed.

이러한 나선 임펠러(23)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판이 연속되게 나선으로 형성하며, 나선 임펠러(23)는 여과망(22)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여과망(22)의 내면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한다.3, the spiral impeller 23 is formed in a continuous spiral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spiral impeller 23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lter net 22, As shown in Fig.

나선 임펠러(23)는 빗물이 나선형으로 흘러내려가면서 빗물이 여과망(22)의 외측으로 배수되게 하며, 여과망(22)은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여과망(22)의 외측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The spiral impeller 23 causes the rainwater to flow downward in a spiral manner so that the rainwater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net 22. The filter net 22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fallen leaves contained in rain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filter net 22 do.

즉, 수평 배관(12)으로 빗물은 나선 임펠러(23)를 따라 흐르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여과수)이 여과망(22) 외측으로 분리되고, 모래, 자갈,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은 여과망(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24)를 통해 배출된다.That is, water (filtered water) from which foreign matter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horizontal pipe 12 flows along the helical impeller 23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net 22, and rain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gravel, (2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22).

아울러 원통체(21)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뚜껑(25)을 마련하며, 뚜껑(25)의 저면에는 나선 임펠러(23)가 고정되는 고정바(26)를 고정한다.A lid 2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 so a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a fixing bar 26 to which a helical impeller 23 is fixe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25.

또 여과장치(20)의 원통체(21) 외면에는 여과된 물이 저장조(미도시)로 보내지도록 여과수 배출관(30)을 연결하며, 여과수 배출관(30)에는 필요에 따라 여과수 배출관(30)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31)를 설쳐하고, 여과망(22)의 배출구(24)에는 수직 배관(11)으로 연결되는 빗물 배수관(40)을 연결한다.The filtration water discharge pipe 3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21 of the filtration device 20 so that the filtered water is sent to a storage tank (not shown).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is provided with a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And the rainwater drain pipe 40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11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4 of the filter net 22. The open /

이러한 본 발명의 빗물 여과장치는 건물의 신축 시 빗물받이 배관(1)과 함께 설치하거나 이미 빗물받이 배관(1)이 설치된 상태에서 빗물받이 배관(1)의 일부를 잘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collecting pipe 1 when the building is expanded or contracted, or a part of the rainwater receiving pipe 1 can be cut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rainwater receiving pipe 1 is already installed.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여과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1 to 3, an operation method of a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빗물 여과장치는 건물의 지붕 등으로부터 빗물이 낙하되고, 낙하되는 빗물은 수직 배관(11)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렇게 빗물이 흘러내리게 되면, 센서(13)는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게 되고, 센서(13)에서 감지된 신호는 컨트롤러(미도시) 등으로 전달되며, 컨트롤러에서는 센서(13)에 의해 빗물의 흐름이 감지된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In the rain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falls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the falling rainwater flows into the vertical pipe (11). When the rainwater flows down, the sensor 13 senses the flow of the rainwater, and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13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e measured time is measured.

이에 따라 컨트롤러에서는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빗물이 일정 시간 동안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설정 시간은 대략 5~20분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분 정도의 시간으로 설정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causes the rainwater to flow down for a predetermined time during the time set by the manager or the like. The set time can be set to about 5 to 20 minutes, and more preferably to about 5 to 10 minutes.

이는 대기 오염 등에 의해 오염된 빗물을 일정 시간 동안 배수시킨 다음 보다 오염이 덜 된 빗물을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for draining rainwater polluted by air pollution or the lik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filtering less polluted rainwater.

즉, 비가 내리게 되면, 대기 오염 등에 의해 산성 성분 등을 포함한 빗물을 여과하기보다는 일정 시간 동안 비가 내린 이후에 보다 산성 농도가 낮은 빗물을 여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rain is lowered, the rainwater having a lower acid concentration is filtered after rain for a certain time rather than the rainwater containing acid components by air pollution or the like.

컨트롤러에서는 수직 배관(11)을 통해 설정된 시간 동안 빗물을 흘러내려 보낸 다음 차단밸브(14)를 작동시키게 되며, 차단밸브(14)가 수직 배관(11)을 폐쇄시킴에 따라 빗물은 수평 배관(12)으로 흐르게 된다.The controller causes the rainwater to flow down through the vertical pipe 11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operates the shutoff valve 14. As the shutoff valve 14 closes the vertical pipe 11, the rainwater passes through the horizontal pipe 12 ).

이렇게 수평 배관(12)으로 유입된 빗물은 나선형으로 편심되게 연결된 수평 배관(12)을 통해 유입되며, 여과망(22)의 내부에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 임펠러(23)를 따라 흐르게 된다.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horizontal pipe 12 flows through the spiral eccentrically connected horizontal pipe 12 and flows along the spiral impeller 23 formed inside the filter net 22 and inclined downward.

이와 같이 나선 임펠러(23)를 따라 흐르게 되는 빗물은 원심력을 갖게 되고, 원심력에 의해 빗물은 여과망(22)의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자갈, 낙엽 등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여기서 이물질은 여과망(22)의 구멍 또는 공극 보다 큰 물질을 모두 포함하며, 여과망(2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rainwater flowing along the helical impeller 23 has a centrifugal force, and the centrifugal force causes the rain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net 22,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gravel, and leav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are filtered. In this case, the foreign matter includes all the substances larger than the holes or pores of the filter net 22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filter net 22.

즉, 빗물은 여과망(22)에 의해 일정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는데, 여과망(22) 외측에는 여과된 물이 배출되고, 이물질이 포함된 여과되지 않은 빗물은 여과망(22)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4)로 배출된다.The unfiltered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net 22, and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net 22,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4.

이렇게 여과망(22)에 의해 배출된 물은 여과수 배출관(30)으로 배수되어 저장조로 보내지며, 여과되지 않은 빗물은 빗물 배수관(40)을 통해 수직 배관(11)으로 배출된다.The water discharged by the filter net 22 is drained to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and sent to the storage tank. Unfiltered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vertical pipe 11 through the rainwater drain pipe 40.

아울러 관리자 등은 장기간에 걸쳐 빗물을 여과한 경우 여과망(22)이 막히게 되고, 이럴 경우 뚜껑(25)을 열어 여과망(22) 또는 나선 임펠러(23)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is filte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anager or the like closes the filter net 22, and in this case, the filter net 22 or the spiral impeller 23 can be replaced by opening the lid 25.

또한 저장조에 물이 가득 차 있게 되거나 빗물을 여과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여과수 배출관(30)에 설치된 개폐밸브(31)를 폐쇄시킴과 함께 컨트롤러에 의해 차단밸브(14)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중지시켜 빗물을 여과하지 않고서 빗물을 곧바로 수직 배관(11)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servoir is filled with water or does not want to filter rainwater, the opening / closing valve 31 provided in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30 is closed and the operation of the shutoff valve 14 is selectively stopped by the controller The rainwater can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vertical pipe 11 without filtering the rainwater.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유입관 11: 수직 배관
12: 수평 배관 13: 센서
14: 차단밸브 15: 수동 개폐밸브
20: 여과장치 21: 원통체
22: 여과망 23: 나선 임펠러
24: 배출구 25: 뚜껑
26: 고정바 30: 여과수 배출관
31: 개폐밸브 40: 빗물 배수관
10: inlet pipe 11: vertical pipe
12: Horizontal piping 13: Sensor
14: shutoff valve 15: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20: Filtration device 21: Cylindrical body
22: filter net 23: spiral impeller
24: outlet 25: lid
26: Fixing bar 30: Filtration water discharge pipe
31: opening / closing valve 40: rainwater drain pipe

Claims (7)

일측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빗물을 이물질과 여과수로 분리 여과시키는 여과장치,
상기 여과수가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관,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연결되는 빗물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장치는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통체,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망, 상기 여과망의 내부에 외측을 향해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여과장치로 유입되는 빗물의 이동 속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여과장치의 측면에서 나선형으로 편심되게 연결되며,
상기 원통체는 상면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 임펠러는 상기 뚜껑 저면의 고정바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유입관은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소정 높이에 마련되는 차단밸브, 상기 차단밸브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동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배관에는 빗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차단밸브는 상기 센서에서 빗물의 흐름이 감지된 후 5~10분 이후에 상기 수직 배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장치.
An inlet pipe eccen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A filtration device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inflow pipe with foreign matter and filtration water,
A filtered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move the filtered water,
And a rainwater drain pipe connected to drain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The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 filter net detachably mounte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contained in rainwater, and a spiral impeller formed inside the filter net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in a spiral direction ,
Wherein the inlet pipe is eccentrically connected spirally from the side of the filtration device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filtration device,
The spiral impeller is integrally fixed to a fixing b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Wherein the inlet pipe includes a vertically arranged vertical pipe, a shutoff valv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pipe, and a manual opening / closing valv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utoff valve,
Wherein the vertical pipe is equipp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of rainwater, and the shutoff valve closes the vertical pipe after 5 to 10 minutes after the flow of rainwater is sensed by the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배출관에는 물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rat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 closing a flow of water.
KR1020140032103A 2014-03-19 2014-03-19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KR101558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03A KR101558239B1 (en) 2014-03-19 2014-03-19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03A KR101558239B1 (en) 2014-03-19 2014-03-19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85A KR20150109085A (en) 2015-10-01
KR101558239B1 true KR101558239B1 (en) 2015-10-13

Family

ID=5433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103A KR101558239B1 (en) 2014-03-19 2014-03-19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2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75B1 (en) * 2016-01-13 2016-06-17 정연태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4079A (en) * 2017-04-25 2017-07-28 杭州李春建设有限公司 Rainwater filtering device
KR102075557B1 (en) * 2019-07-30 2020-03-02 이용문 Rainwater filtration device using filter
CN110608124B (en) * 2019-10-10 2024-04-12 南京航空航天大学 Building public power system and method
KR102132156B1 (en) * 2020-04-20 2020-07-09 주식회사 성환산업 Rainwate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rainwater filter manufactured thereby
CN112523322B (en) * 2020-11-25 2022-02-18 李新升 Drainage structure for hydraulic engineering and use method thereof
US11905693B2 (en) 2022-01-14 2024-02-20 B/E Aerospace, Inc. Automatic drai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19B1 (en) * 2006-11-08 2007-06-19 덕암산업 주식회사 Cleanning water apparatus
JP2009127371A (en) * 2007-11-27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ainwater takeout device
KR101010391B1 (en) * 2010-09-15 2011-01-21 조선환 System for processing and utilizing rainwater through detecting rainfall and mtehod for controll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19B1 (en) * 2006-11-08 2007-06-19 덕암산업 주식회사 Cleanning water apparatus
JP2009127371A (en) * 2007-11-27 2009-06-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ainwater takeout device
KR101010391B1 (en) * 2010-09-15 2011-01-21 조선환 System for processing and utilizing rainwater through detecting rainfall and mte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75B1 (en) * 2016-01-13 2016-06-17 정연태 Primary Stage Rainwater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85A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239B1 (en)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KR101243415B1 (en)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101033859B1 (en) Contaminated rainwater separable reservoir
KR10135304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rainwater with control function
US6027639A (en) Self-cleaning siphon-actuated radial flow filter basket
KR101721439B1 (en) Sewage filter screen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38200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KR101556157B1 (en)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Rainwater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605267B1 (en)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KR200431389Y1 (en) Rainwater purify device
KR101332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for bridge or manhole
KR100998514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KR100825944B1 (en) Structure for treating rainwater
KR100524151B1 (en) The collecting appratus for purified rainwater excluding the first flush
KR100913315B1 (en)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KR100704901B1 (en) Rainwater-controlling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11208B1 (en) Reservoir system of rainwater
KR100991836B1 (en) Apparatus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KR100784496B1 (en) Rainwater purify device
KR100951098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a cartrage filter
KR101244122B1 (en) Back washing type apparatus for dispo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using floating decanter
KR101522817B1 (en) Transparent pipe for first flush removal system
JPS5950367B2 (en) filt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5